KR970009250B1 -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 Google Patents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250B1
KR970009250B1 KR1019890020628A KR890020628A KR970009250B1 KR 970009250 B1 KR970009250 B1 KR 970009250B1 KR 1019890020628 A KR1019890020628 A KR 1019890020628A KR 890020628 A KR890020628 A KR 890020628A KR 970009250 B1 KR970009250 B1 KR 970009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low
ejection
electric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015A (ko
Inventor
히사도 하라가
야스도시 이나도미
다카시 오바다
미쓰아끼 하시다
고오이찌 우찌야마
켄지 모리야마
Original Assignee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고가 요시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1772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108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3367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59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401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904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401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866A/ja
Application filed by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고가 요시네 filed Critical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1Inlet to the bath
    • A61H33/6021Nozzles
    • A61H33/6063Specifically adapted for fitting in bathtub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61H33/027Gas-water mixing nozz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1Inlet to the bath
    • A61H33/6021Nozzles
    • A61H33/6047With incorporated pump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1Inlet to the bath
    • A61H33/6021Nozzles
    • A61H33/6057Comprising means producing pulsating or intermittent str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2033/0037Arrangement for cleaning the fluid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61H2033/0054Electrical circuits therefor with liquid leve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61H2033/0058Electrical circuits therefor controlled by the user
    • A61H2033/0079Electrical circuits therefor controlled by the user using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devices, e.g. ultrasonic,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61H2033/02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with control means for regulating the air volume aspirated by a water j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68Outlet from the bath
    • A61H33/6073Intake mouths for recirculation of fluid in whirlpool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포발생욕조의 사시도.
제 2도는 기포발생욕조의 평면도.
제 3도는 기포발생욕조 구조의 개념설명도.
제 4도는 흡기파이핑의 설명도.
제 5도는 분출노즐의 확대단면도.
제 6도는 분출노즐의 측면도.
제 7도는 제 5도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제 8도는 노즐밸브 작동 모우터의 확대단면도.
제8(a)도는 본 발명의 분출노즐에 의해 온수에 공기를 혼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8(b)도는 본 발명의 분출노즐에 의해 온수에 공기를 혼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8(c)도는 기포발생욕조의 온수흡입구피팅의 확대종단면도.
제8(d)도는 온수흡입구피팅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설명도.
제8(e)도는 온수흡입구피팅의 장식용커버의 확대정면도.
제9도는 상부에 조작판넬이 설치된 흡기구의 확대수직단면도.
제9(a)도는 제 9 도의 Ⅱ-Ⅱ선에 따른 상부에 조작판넬이 설치된 흡기구의 확대수직단면도.
제9(b)도는 조작판넬이 장착되는 흡기구의 평면도.
제10도는 순환폄프가 설치되어 있는 기능장치의 정면단면도.
제 11도는 제10도의 Ⅲ-Ⅲ선에 따른 기능장치의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Ⅳ-Ⅳ선에 따른 기능장치의 단면도.
제13도는 펌프작동모우터가 설치된 순환펌프의 부분절취도.
제13(a)도는 주기적으로 온수를 청소하기 의해 사용되는 필터와 필터요소의 개략도.
제14도는 원격제어장치의 평면도.
제15도는 원격제어장치의 측면도.
제15(a)도는 원격제어장치의 종단면도.
제15(b)도는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원격제어장치의 부분절취도.
제15(c)도는 상기한 원격제어장치의 횡단측면도.
제15(d)도는 배터리저장부를 나타내는 상기한 원격제어장치의 배면도.
제15(e)도는 원격제어장치의 변경에의 부분절취도.
제15(f)도는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상기한 원격제어장치의 단면도.
제15(g)도는 제15(f)도의 Ⅴ-Ⅴ 선에 따른 상기한 원격제어장치의 종단측면도.
제15(h)도는 마일드블로우조작을 나타내는 블로우모우드 형태.
제15(i)도는 스폿블로우조작을 나타재는 블로우모우드 형태.
제15(j)도는 펄스블로우조작을 나타내는 블로우모우드 형태.
제15(k)도는 사이클블로우조작을 나타내는 블로우모우드 형태.
제15(l)도는 웨이브블로우조작을 나타내는 블로우모우드 형태.
제15(m)도는 랜덤블로우모우드조작을 나타내는 블로우모우드 형태.
제16(a)도 및 제16(b)도는 분출용적분출압력 특성의 설명도.
제17(a)도 제17(b)도는 분출노즐 특성의 설명도.
제18도는 마일드블로우모우드에서 각 분출노즐과 순환펌프의 작동타이밍차아트.
제19도는 어린이안전블로우모우드에서 각 분들노즐과 순환펌프의 작동타이밍차아트.
제20도는 스폿블로우모우드에서 각 분출노즐과 순환펌프의 작동타이밍차아트.
제21도는 펄스블로우모우드에서 각 분출노즐과 순환펌프의 작동타이밍차아트.
제22도는 웨이브블로우 형태(A)에서 각 분출노즐과 순환펌프의 작동타이밍차아트.
제23도는 웨이브블로우 형태(B)에서 각 분출노즐과 순환펌프의 적동타이밍차아트
제24도는 웨이브블로우형태(C)에서 각 분출노즐과 순환펌프의 작동타이밍차아트.
제25도는 사이클블로우형태(A)(B)에서 각 분출노즐과 순환펌프의 작동타이밍차아트.
제26도는 사이클블로우형태(C)에서 각 분출노즐과 손환펌프의 작동타이밍차아트.
제27도 내지 제32도는 기포발생욕조의 작동프름차아트.
제33도는 수위검출을 위한 기준위치의 설명도.
제34도는 수위검출법의 설명도.
제35도는 수온검출법의 설명도.
제36도는 온수분출위치 변화조작의 설명도.
제37도는 순환펌프의 전원작동 모우터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외로의 블록도.
제38도 내지 제45도는 본 발명의 인버터제어모우터에 의해 달성되는 온수의 분출압력과 용적에 있어서 여러 가지 특성곡선을 나타재는 설명도.
제46도는 전기절연회로의 블록도.
제47도 및 제48도는 그 회로의 주요부의 블록도.
제49도 및 제50도는 본 발명의 전기절연회로에 의하여 시간에 따른 누설고주파전압과 누설고주파전류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51도 및 제52도는 종래의 인버터회로의 시간에 따른 누설고주파전압과 누설고주파전류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53도 내지 제55도는 다른 전기절연장치 회로의 블록도.
제56도는 또 다른 전기절연장치 회로의 블록도.
본 발명은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의 기포발생욕조에 관한 것이다.
목욕하는 사람에게 마사지효과를 주기위하여 욕조내로 공기혼합수를 주입하는 기포발생욕조가 있었다.
이 공지의 기포발생욕조는 욕조와 욕조와 분리하여 배치되는 순환펌프와 한쪽끝이 순환펌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욕조내로 개방되는 복귀통로와 한쪽끝이 순환펌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욕조내로 개방되는 분기통로에 접속되는 불주입통로와 물주입통로를 통해 물의 흐름에 공기를 혼합하기 위해 물주입통로에 접속되는 공기혼합장치로 구성된다.
최근에 이와같은 기포발생욕조장치의 개량중의하나로서 순환펌프의 모우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인버터를 사용하는 기포발생욕조가 일본실원소 63-100035호에 제안되었는데, 여기서 모우터의 회전은 분출수의 배출압력과 배출량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에 의해 원활하게 변환된다.
그러나 인버터의 AC출력은 제51도 및 제5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많은 고주파성분을 포함한다.
고주파성분은 계자첨심의 정전결합과 모우터의 권선에 의해 계자첨심내로 누설된다.
모우터가 완전하게 접지되지 않으면 순환펌프를 통해 욕조내에 담겨있는 물로 흐르는 누설고주파 성분에 의해 욕조에서 목욕하는 사람이 충격으로 쓰러질 위험이 있다.
상용전원의 전선 중 하나는 예외없이 접지되므로, 목욕하는 사람이 기포발생욕조 장치의 접지부를 건드리면 고주파전류가 인버터→모우터의 권선→(정전결합)→모우터의 계자철심→순환펌프→물→목욕하는 사람→접지부→그라운드→상용전원의 접지선→상용전원을 인버터에 접속하는 선→인버터로 이루어진 회로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인버터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전류에 의해 목욕하는 사람이 충격으로 쓰러질 수 있다.
인버터와 순환펌프가 케이스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인버터→케이스→순환펌프→물→목욕하는 사람→접지부→그라운드→상용전원의 접지선→상용전원을 인버터에 접속하는 선→인버터로 이루어지는 회로를 통해 흐르는 인버터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전류에 의해 쓰러전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욕조와, (b) 전원작동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고 전기한 욕조본체의 외부에 장착된 순환펌프와, (c) 전기한 욕조본체내로 개방되는 적어도 종단을 보유하는 온수강제공급통로와 온수흡입통로로 구성되어, 전기한 욕조본체와 전기한 순환펌프 사이에 배티된 온수순환통로와, (d) 전기한 온수강제공급통로의 전기한 종단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분출노즐과, (e) 전기한 분출노즐로부터 전기한 욕조본체내로 기포발생 온수를 분출하기 의해 전기한 온수강제 공급통로에 접속된 흡기구와, (f) 전기한 순환펌프의 전원작동모추터와 전원사이에 배치되고, 전기한 분출온수의 분출량과 분출압력이 다른 여러 가지 모우드로 전기한 온수를 분출하기 위해 인버터에 으해 수행되는 주파수변조에 의하여 전기한 모우터의 외전수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변화되도록 전기한 순환펌프의 작동이 제어되게하는 인버터와, (g) 인버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의 고주파 성분이 전기한 욕조본체의 전기한 온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절연장치로 이루어진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를 개시한다.
이와같은 전기절연장치의 하나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고려된다.
(a) 절연변압기가 인버터와 상용전원 사이에 삽입된다.
(b)순환펌프와 인버터가 기능장치내에 수용되고 인버터와 기능 케이싱사이뿐만 아니라 순환펌프와 인버터 사이에 전기절연이 설치된다.
(c) 절연변압기가 인버터와 상용전원 사이에 삽입되고 순환펌프의 모우터게이싱을 상용전원의 중간부분에 접속된다.
(d) 순환펌프의 모우터와 펌프부는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모우터부와 펌프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e)인버터가 그안에 전기한 인버터를 수용하는 기능케이싱과 전기전으로 절연되어 인버터와 기능케이싱 사이의 정전결합이 최소화된다.
(f) 기능장치는 욕조본체와 떨어져서 배치되고 기능 케이싱내에서 순환펌프는 케이싱의 중앙에 배치되고 필터는 순환펌프의 옆에 배치되며 이러한 요소위에 모우터부 및 젱장치와 인버터등과 같은 전기부품이 배치된다.
(g) 라인필터는 전기한 인버터와 상용전원 사이에 삽입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Ⅰ) 기포발생욕조의 전체설명
(Ⅱ) 여러부분의 구조설명
(Ⅱ-1) 문출노즐의 구조설명
(Ⅱ-2) 온수흡입구의 구조설명
(Ⅱ-3) 흡기구의 구조설명
(Ⅱ-4) 기증장치의 설명
(Ⅱ-5) 순환펌프의 설명
(Ⅱ-6) 필터의 설명
(Ⅱ-7) 제어장치의 설명
(Ⅱ-8) 조판판넬의 설명
(Ⅱ-9) 원격제어장치의 설명
(Ⅱ-10) 인버터의 설명
(Ⅲ) 분출모우드의 설명
(Ⅲ-1) 아일드블로우
(Ⅲ-2)스폿블로우
(Ⅲ-3) 펄스블로우
(Ⅲ-4) 웨이브블로우
(Ⅲ-5) 사이클블로우
(Ⅲ-6) 프로그램블로우
(Ⅳ) 기포발생욕조의 작동설명
(Ⅳ-1) 순서도에 기초한 작동순서의설명
(Ⅳ-2) 블로두작동을 개시하기 위한 조건의 설명
(Ⅳ-3) 분출모두드의 상태변화 설명
(Ⅳ-4) 온수분출위치의 상태변화 설명
(Ⅳ-5) 블로우 작동에서 강도레벨의 상태변화 설명
(Ⅳ-6) 프라이어리티 주작동의 설명
(Ⅳ-7) 분출용적조절 밸브의 개폐와 숨환펌프의 회전수 사이의 제어타이밍
(Ⅳ-8) 인버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의 고주파성분에 대한 전기절연
(Ⅰ) 기포발생욕조의 전체설명
우선 본 발명에 의한 기포발생욕조의 전체구조를 아래에 설명한다.
제 1도 및 제 2도에서 부호(A)는 본 발명에 의한 기포발생 욕조를 나타잰다.
기포발생욕조(A)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욕조본체(1)의 앞벽, 뒷벽, 좌우측벽에 각 형성되어 있는 도합 6개의 다리쪽 분출노즐(2)(2), 둥쪽 분출노즐(3)(3), 배꼽쪽 분출노즐(4)(4)을 보유한다.
욕조본체(1)는 가장자리 플랜지형상부(1A)를 보유하며, 흡기구(5)는 가장자리 플랜지형상부(1a)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단면이 통상 V형상인 수직으로 긴 한쌍의 리세스(1b)(1b)가 좌우측벽의 대략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뒷벽(동쪽)에 대하하는 레세스(1b)(1b)의 경사진 면(1b)(1b)내에 뒷벽의 중간부를 향해 배꼽쪽 분출노즐(4)(4)이 장착되어 있다.
배꼽쪽 분출노즐(4)(4)은 온수가 신체의 배꼽, 가슴등의 부위에 확실히 공급될 수 있도록 다리쪽 분출노즐(2)(2) 및 동쪽분출노즐(3)(3)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포발생욕조(A)의 외측에는 기능장치(9)가 배치되어 있다.
기포발생욕조(A)의 외축에는 기능장치(9)가 배치되어 있다.
기포발생욕조(a)의 외측에는 기능장치(9)가 배치되어 있다.
제10도 내지 제1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기능장치(9)내에는 온수손환펌프(P)와 펌프(P)에 순환되는 온수를 여과하는 필터(43)와 펌프(P)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구동모우터(M)와 후술하는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 기포용적조절밸브작동모우터(M2) 및 모우터구동3방향밸브(45)의 작동뿐만 아니라 펌프구동모우터(M)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C)가 설치되어 있다.
기능장치(9) 및 그 내부구조를 제10도 내지 제12도와 관련해서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순환펌프(p)와 기포발생욕조(A)사이에는 제 1 도 및 제 3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온수순환통로(D)가 배치되어 있다.
온수순환통로(D)는 기포발생욕조(A)로부터 순환펌프(P)내로 온수를 흡입하는 온수흡입파이프(10)와 순환펌프(P)로부터 욕조본체(1)의 재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강제 공급파이프(11)로 구성되어 있다.
제 3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온수흡입파이프(10)의 한쪽끝은 욕조본체(1)의 하부에 개방되는 흡입구(1m)에 저복되고 다른쪽 끝은 순환펌프(P)내로의 온수흡입을 위해 순환펌프(P)의 흡입구에 접속된다.
한편, 온수강제공급파이프는 그 한쪽끝이 순환펌프(P)의 배출구에 접속되며 반대쪽 끝부분은 분출노즐(2)(3)(4)에 접속된다.
흡입구(1m)는 다리쪽 분출노즐(2)과 동쪽분출노즐(3)보다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1m)는 제 8(c)도 및 제 8(d)도를 참조아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순환펌프구동모우터(M)와 제어장치(C)사이에는 제 3 도에 표시된바와같이 인버터(E)가 배치되어 있다.
순환펌프(P)의 회전수는 인버터(E)의 출력주파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어되므로 분출용적 및 온수압력의 변화에 대응하는 펌프(P)의 회전수 변화가 원활하고 확실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 더욱이 제 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온수강제 공급파이프(11)를 통해 압력에 의해 공급되는 온수의 유동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48)가 파이프(10)의 중간부분에 설치된다.
압력센서(48)로 부터의 검출신호는 제어장치(C)로 공급되어, 펌프구동모우터(M)의 회전수와 노즐(2)(3)(4)의 개방도 또는 폐쇄도의 변화에 의해 노즐(2)(3)(4)로부터 분출되는 온수의 압력과 용적을 제어한다.
또한 압력세서(48)는 순환펌프(P)가 작동되지 않을 때 욕조본체(1)내의 온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레벨센서의 역할도 한다. 즉, 상기한 기포발생욕조(A)는 레벨센서로서의 역할을 하는 압력센서(48)의 사용에 의해 온수의 수위가 소정레벨이하임이 측정되면 후술하는 바와같이 제어장치(C)에 의해 개시되는 블로우작동, 결빙방지작동, 필터 세척작동 및 자동필터세척작동이 개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온수강제공급파이프(11)를 통해 압력에 의해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수온도검출센서(T)는 제 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파이프(11)의 중간부분에 설치된다.
온도센서(T)로 부터의 검출결과는 제어장치(C)로 공급되어, 펌프구동모우터(M)와 분출노즐(2)(3)(4)를 제어한다.
온수온도가 온수온도센서(T)의 사용에 의해 소정의 온도 이하임이 측정되면 제어장치(C)에 으해 개시되는 후술하는 블로우작동, 결빙방지작동, 필터세척작동 및 자동필터 세척작동이 개시되지 않는다.
즉, 온수의 수위와 온도가 각각 소정레벨이하인 한은, 후술하는 제어장치(C)에 의한 블로우 작동, 결빙방지작동, 필터세척작동 및 자동필터 세척작동이 개시되지 않는다.
제 1 도, 제 4 도, 제 9도, 제 9(a) 도 및 제9(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흡기구(5)와 분출노즐(2)(3)(4)사이에는 다수의 흡기파이프(12)가 배치돈다.
흡기파이프(12)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분출노즐(2)(3)(4)을 향해 흡기파이프(12a)(12b)(12c)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파이프(12a)(12b)(12C)의 끝부분은 각각 노즐(2)(3)(4)에 접속되어 있다.
흡기구(5)로부터 들어온 공기는 노즐(2)(3)(4)로부터 온수분출시에 발생되는 부압을 사용하여 흡기 파이프(12)의 공기흡입파이프(12a)(12b)(12c)를 통해 분출노즐(2)(3)(4)로 유입되어 공기 혼합온수가 노즐(2)(3)(4)로부터 욕조본체(1)내로 분출될 수 있다.욕존본체(1) 부근에는 제 1 도 및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조작판넬(6)이 배치되어 있어 조작판넬(6)에 의해 기포발생욕조(A)의 작동이 행하여질수 있다.
이 조작판넬(6)은 후술 된다.
제(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부호(30b)는 조작판넬(6)위에 설치된 적외선센서를 나타낸다.
적외선센서(30b)는 후술하는 원격제어장치(30)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는 분출용적이 자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다리쪽 분출노즐(2), 동쪽분출노즐(3), 배꼽쪽 분출노즐(4) 각각의 개방도 및 폐쇄도가 자동적으로 변화되고, 순환펌프(P)의 회전수가 순환펌프(P)와 전원사이에 인머터를 사용하여 변화되고 인버터가 후술되는 바와같이 목욕하는 사람의 다양한 기호를 충분히 만족시키기 위한 열가지 분출로우드(마일드블로우, 스폿블로우,펄스블롱, 웨이브블로우, 사이클블로우,프로그램블로우)를 얻기 의해 제어장치(C)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가지 분출모우드를 얻기위해서는 분출노즐(2)(3)(4)의 개방도 및 폐쇄도와 순환펌프(P)의 회전수가 변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출강도는 순환펌프(P)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변화될 수 있으며 온수분사에 의해 생기는 충분한 마사지효과를 얻기 위해 목욕하는 사람의 신체의 소망하는 부위에 소요강도의 온수분사가가해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분출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본실시예에서 순환펌프(P)를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인버터이외에 목욕을 하는 사람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전기절연장치가 설치된다.
(Ⅱ) 여러부분의 구조설명
(Ⅱ-1) 분출노즐의 구조설명
다리쪽 분출노즐(2), 동쪽 분출노즐 및 배꼽쪽 분출노즐(4)은 온수의 분출용적과 압력이 자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동일한 구조의 자동분출용적 변경가능 노즐이다.
이하, 제 5 도 내지 제 8도를 참조하여 다리쪽 분출노즐(2)의 구조를 설명한다.
다리쪽 분출노즐(2)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5도에 표시된 바왁같이 욕존본체(1)의 외측에 이팔보형태로 원통형노즐케이싱(20)이 욕조본체(1)의 다리쪽분출노즐 연결부(1g)에 접속되어 있다.
노즐케이싱(20)의 재부는 온수강제공급파이프(11)로부터 노즐케이싱(20)으로 공급되는 온수를 온수분사 또는 난류온수 유동으로 형성하기 위한 온수분사형성부(또는 난류온수유동형성부)(50)와 흡기파이프(12)를 통해 흡기구(5)에 연결되어 온수분사형성부(50)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분사에 공기를 혼합하기 위해 기능하는 공기혼합부(70)와 욕조본체(1)의 내부를 향해 스로트부분(59)로부터 분출되는 공기호합온수의 방향을 결정하는 스로트부분(59)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노즐케이싱(20)의 앞끝은 욕조본체(1)의 앞벽의 하부에 개방되는 화상의 다리쪽 분출노즐 연결부(1g)에 수밀하게 연결되고 두뒷끝은 거의 수평하게 뒤쪽으로 ⑬어있다.
부호(1h)는 외측원주부가 연결부(1g)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연결부(1g)에 수밀하게 끼워지는 링형상패킹을 나타내고, 부호(1i)는 한쪽 끝에 확대플랜지부(1j)를 보유하고 다른쪽 끝에 외측숫나사부(1k)를 보유하는 노즐장착슬리브를 나타낸다. 확대플랜지부(1j)는 링형상패킹(1h)의 앞끝면에 접촉되고, 외측숫나사부(1k)는 욕조본체(1)의 측벽위에 노즐(2)을 단단하게 장착하도록 내측나사부(1P)에 맞물린다.
제6도 및 제7도의 부호(20c)는 온수강제공급 파이프(11)가 교환가능하게 접속되는 강제공급파이프 연결파이프를 나타낸다.
부호(26)는 노즐케이싱(20)의 앞끝과 노즐장착슬리브(1i)의 확대플랜지부(1j)를 덮는 앞끝부분(26b)을 보유하는 장식용 커버를 나타낸다.
그리고, 후술하는 스로트고정부재(25)는 장식용커버(26)의 뒤 끝에 의해 고정된다.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장식용커버(26)의 외측둘레면위에는, 노즐케이싱(20)의 앞끝부분의 내측둘레면에 형성된 내부나사부(20j)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스로트부분(59)은 스로트(24)와 경사가능하게 스로트(24)를 지지하는 스포트 고정부재(25)와 밸브시이트형성원통체(21)의 앞부분으로 구성된다.
부후(24a)는 구형상외측 둘레면을 보유하는 스로는베이스를 나타내고, 부호(25a)(21c)는 스로트베이 스를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스로느고정부재(25)의 내측둘레와 밸브시이트형성 원통체(21)의 내측둘레에 각각 형성된 스로트지지면을 나타내며, 부호(24b)는 외경이 스로트베이스(24a)의 직경보다 작고, 원통형상인 스로트팁을 나타낸다.
스로트팁(24b)의 경사각은 베이스(24a)에 대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수동으로 조절 가능하다.
더욱이, 스로트(24)는 스로트(24)의 베이스(24a)상의 스로트지지면(25a)(21c)으로부터 작용되는 소정의 미끄럼 저항에 의해 소요의 경사각으로 정지될 수 있다.
부호 (S)는 스로트팁(24b)의 외측둘레면과 장식용커버(26)의 재축둘레면 사이에 형성된 스로트 경사를 위한 공간을 나타낸다.
스로트 고정부재(25)는 케이싱 앞부분의 내측둘레면 내에 형성된 위치결정 흠을 통해 노즐케이싱(20)의 앞부분에 끼워지고, 그 부재의 앞면(25b)은 고정링(28)에 의해 장식용커버(26)의 뒤 끝에 고정된다.
또, 내측둘레에 형성된 스로트지지면(25a)은 스로트베이스(245a) 앞부분의 외측둘레면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한다.
밸브시이트형성 원통체(21)는 그 뒤끝면이 강제공급 파이프 연결부(20c)의 부근에 위치되고 원통체(21)앞부분의 외측들레면 상에 형성된 볼록하게 턱진부분(21b)이 원통체(21)의 뒤족으로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의해 노즐케이싱(20)의 내측둘레면에 형성된 오목하게 턱진 부분(20i)에 맞물리도록 노즐케이싱(20)의 앞끝개구(1g)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노즐케이싱(20)의 중심부에 삽입된다.
스로트베이스(24a)는 백브시이트형성원통체 (21)의 앞쪽으로의 미끄러짐은 앞쪽으로의 미끄러짐이 스로트고정 부재(25)에 접촉하도록 전기한 앞부분에 끼워전다.
이 상태에서 밸브시이트형성원통체(21)의 앞쪽으로의 미끄러짐은 앞쪽으로의 미끄러짐이 스로특고정부재(25)에 의해 방지되는 스로트베이스(24a)에 의해 방지된다.
온수분사형성부(50)는 온수분사형성로(27)를 내부적으로 한정하는 밸브시이트(21a)와 온수분사형성로(27)의 개방도 폐쇄도를 조절하기 위해(즉, 분출온수의 분출용적 및 압력을 조절하기 의해)밸브시이트(21a)와 접촉하거나 떨어지는 분출용적조절 밸브요소(22)와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를 작동하는 노즐밸브 작동모우터(M1)와 뒷벽형성판(29)으로 구성된다.
제 6도 및 제 7도에서 부호(21d)는 밸브시이트형성원통체(21)의 외측둘레면을 따라 환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입통로를 나타내고 부호(21e)(21f)는 공기유입통로내에 흡기파이 연결부(20b)의 한쪽옆과 다른 쪽 옆에 각각 형성된 흡기구를 나타낸다.
밸브시이트형성 원통체(21)와 흡기파이프 연결부(20b)의 내부는 원통체(21)내에 공기혼합부(70)를 형성하기 위해 흡기구(21e)(21f)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부호(m)은 공기유입 방향을 나타낸다.
제 5도 및 제 8도에 표시된 노즐밸브 작동모우터(M1)의 구조에 의하면 원통형모우터 케이싱(23)은 뒷벽형성판(29)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고, 원통형코일(23a)은 노즐케이싱(20)과 동일축으로 모우터케이싱(23)내에 장착되고, 원통형자석(23b)은 코일(23a)내측에 배치되어 코일(23a)을 여자시킴에 의해 앞되로 회전될수 있으며, 원통형로우터너트(23c)는 자석(23b)의 내부에 동심상으로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베어링(23e)과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journal)되며, 앞 끝에 분출용적조절밸브 요소(22)가 장착된 밸브요소지지로드(23d)는 촉방향 앞뒤로 미끄럼 가증하도록 로우터너트(23c)를 통해 뻗어있다.
또, 나선형 로우터너트측볼흠(23k)은 로우터너트측볼흠(23k)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선형로드측볼흠(23m)이 형성되어 있고, 로드측볼홈(23m)과 로우터측볼흠(23k)사이에는 구름접촉을 위해 다수의 볼(23n)이 삽입된다.
부호(23g)는 백브지지로드(23d)가 로우터너트(23c)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로우터너트(23c)의 회전운동을 밸브요소지지로드(23d)의 됫끝에는, 노즐밸브 작동밸브(M1)의 정상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밸브작동체킹 센서(23f)가 장착되어 있다. 즉, 이것은 센서가 출력신호를 방생하면, 온수분사형성통로(27)를 개방하도록 모우터(M1)의 작동으로 밸브요소지지로드(23d)와 밸브요소(22)가 기준위치(완전밸브폐쇄위치)로부터 후퇴됨을 의미한다.
즉, 블로우작동중에 밸브작동체킹센서(23f)가 출력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면,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가 고장임을 의미한다.
센서(23f)는 위치검출호올소자(23i)와 호올소자(23i)의 반대쪽 뒷끝부분내에서 밸브지지로드(23d)에 부착된 위치검출자석(23j)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수분사형성통로(27)의 개방도는 밸브요소지지로드(23d)에 운동에 대응하며, 기준위치(노즐밸브작동모우터(M1)의 완전밸브폐괘위치)로부터의 펄스수(회전각)에 비례한다.
따라서, 그와같은 온수분사형성통로(27)의 개방도는 제어장치(c)에 의해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를 제어하여서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된다.
제 5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의 전기적접속은 에지접속기(23p)와 플렉시블플랫 케이블(23r)과 외장보호케이블(23s)로 구성된다.
에지접속기(23p)는 플렉시볼플랫케이블(23r)에 접속되는 소켓(23t)와 한쪽끝이 소켓(23t)에 분리가 능하게 삽입되고 다른쪽 끝이 노즐밸브작동 모우터(M1)의 코일(23a)에 접속되는 플러그(23u)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조의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에서, 로우터너트(23c)는 코일(23a)을 여자시킴에 의해서 자석(23b)와 함께 회전되고, 밸브지지로드(23d)는 로우터너트(23c)의 호전과 연동하여 앞 또는 뒤로 이동되므로, 밸브지지로드(23d)의 앞 끝에 장착된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가 욕조본체(1)내로의온수의 분출용적과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밸브시이트(21a)와 접촉하거나 떨어지도록 이동된다.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의 개방도 또는 폐쇄도에 곤해서는, 밸브작동체킹센서(23f)에 의해 수행되는 기준위치의 검출결과와 제어장치(C)에 공급되어, 적절한 정도로 밸브요소(22)를 개폐하기 위해 코일의 여자를 제어하므로, 욕조본체(1)내로 분출되는 온수의 용적과 압력의 미세한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는 분출되는 온수의 용적과 압력의 미세한 조절을 하기 위해 분출용적조절 밸브요소(22)를 무단적으로 매우 작은 거리를 이동시킬 수만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것으로는 압전액튜에이터가 시용될 수 있다.
부호(40)는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와 일체로 형성된 벨로우즈형상의 방수커어버를 나타낸다. 노즐케이싱(20)의 뒷벽은 커어버뚜껑(20r)과 함께, 노즐밸브작동 모우터(M1)의 모추터부가 설치되는 모우터부수용공간(20g)을 한정하는 모우터부(20p)를 형성하도록 확대되어 있다.
부호(29a)(29b)는 뒷벽형성판(29)의 원주면상에 설치된 패킹을 나타내고, 부호(29c)는 밸브시이트형 성원통체(21)의 원주면상에 설치된 패킹을 나타잰다.
부호 (23v)는 인쇄회로기판(23w)위에 장착되는 누수센서이다.
모우터부수용공간(20g)내에 물이 있는 것을 검출하면, 네어장치(c)는 밸브요소작동모우터(M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노즐밸블작동모우터(M1)로부터 육조본체(1)의 내부에 가득찬 온수로 전기가 누전되어 목욕하는 사람이 감전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모우터케이싱(23)의 외경은 노즈케이싱(20)의 뒤끝개구부(20k)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는 노즐케이싱(20)의 앞끝개구부로부터 노즐케이싱(20)내로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다리쪽 분출노즐(2)은 욕조본체(1)의 내부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분해조작에 있어서는 먼저 장식용커어버(26)가 제거되고 노즐장착슬리브(1i)가 제기된다.
그후 고정링(28), 스로트고정부재(25), 스로트(24), 밸브시이트형성 원통체(21)가 제기된다.
마지악으로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가 길다란 플렉시볼플랫케이블(23r)에 의해 전기적 접속을 보호하면서 뒷벽(29)과 함께 제거되므로,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동쪽분출노즐(3)과 배꼽쪽분출노즐(4)도 분출되는 온수의 용적과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술한 분출노즐(2)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다.
본출노즐(2)(3)(4)의 조절은 후술하는 바와같은 무선 원격제어장치(30)나 조작판넬(6)에 의해 수행될 수있다.
상술한 다리쪽 분출노즐(2), 동쪽분출노즐(3), 배꼽쪽분출노즐(4)등 6개의 분출노즐의 사용패턴에는 2종류가 있다.
한가지 패턴에 의하면 6개의 분출노즐(2)(3)(4)로부터 동시에 온수가 분출되고 다른 패턴에 으하면 제36도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11또는 2종류의 노즐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각각의 사용패턴은 조작판넬(6)이나 무선원격제어장치(30)의 분출노즐 사용패턴변경스위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다음은 분출노즐(2)(3)(4)에서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의 초기설정(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이 ON되면(플러그가 삽입되면),
①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는 정사아전압(예를들어 12V), 50pps에서 0.5초동안 분출용적조절 밸브요소(22)의 폐쇄방향으로 구동된다.
②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가 저전압(예를들어 4V), 200pps에서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의 폐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후 완전폐쇄위치에서 모우터(M1)는 초기설정을 행하기 위해 임이시간(예를 들어 2초)동안 탈조(step out)하도록 된다.
③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는 초기설정된 완전폐쇄위치로부터 6mm만큼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를 후퇴하기 의해 정상전압(예를들어 12V) 220pps에서 구동된다.
초기설정(조절)은 상기한 ①-③과 같이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를 동작시켜서 행하여 질수 있다.
상기한 수티는 예제일뿐이며 제한을 위한 것이 아지다.
이와같은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의 초기설정(조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a) 상기한 작동 ①에 의해, 시일링부에 점착되어 있는 오일을 제거하여, 모우트(M1)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
b) 상기한 작동 ②에 의해, 분출용 적조절밸브요소(22)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세력으로 밸브시이트(21a)에 접촉될 수 있어, 밸브요소(22)와 밸브시이트(21a)의 손상등을 방지할 수 있다.
c) 상기한 작동 에 의해,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가 완전폐쇄 위치로부터 ③ 정도 후퇴되어 개방되므로, 온수가 원활하게 공급 및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후술하는 블로우 작동의 개시시에, 노즐 밸브작동 모우터(M1)의 상기한 작동 6mm이 수행되므로 초기설정 블로우로서의 마일드블로우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8(a)도에서는, 종래의 분출노즐(1000)의 온수유동에 공기를 혼합하는 방법이 표시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가 분출노즐(1000)의 상부내면을 따라 분폴노즐을 관통하므로, 분출노즐(1000)로부터 분출되는 온수는 소량의 공기를 함유하여 마사지 효과가 미약하다. 본 발명의 분출노즐(2)에 의하변, 온수분사통로(27)와 왕복백브요소(22)의 설치에 의해, 힘찬 온수분사유동 또는 난류온수유동이 발생되고 흡기구(5)로 부터의 공기가 온수분사유동에 충분히 혼합되므로, 분출노즐(2)로부터 분출되는 온수유동은 다량의 공기를 그안에 함유하여 자극효과와 이완효과를 포함하는 마사지효과가 대단히 효력이 있게 된다.
(Ⅱ-2) 온수흡입국의 구조설명
이하, 흡입구(1m)에 부착되는 흡입구피링(35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8(c)도, 제8(d)도, 제8(e)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슬리이브(351)의 앞끝은 욕조본체(1)의 측벽의 하부에 개방디고 환상인 욕조본체(1)의 흡입구(1m)에 수밀하게 접속되며, 뒷끝은 뒤쪽으로 거의 수평하게 뻗어있다.
부호(352)는 흡입구(1m)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 흡입구(1m)에 수밀하게 꼭 끼워지는 외측원주부를 보유하는 링형상패킹을 나타낸다. 부호(353)는 한쪽 끝에 확대 플랜지부(354)와 다른쪽 끝에 회측숫나사부(355)를 보유하는 슬리이브장착칼라를 나타낸다. 확대플랜지부(354)는 링형상패킹(352)의 앝끝면에 접촉되고, 외측숫나사부(355)는 흡입구피팅(350)을 욕조본체(1)의 측벽에 외팔보형태로 단단하게 장착하도록 원총형 스리이브(351)의 내축나사부(356)에 맞물린다. 부호(357)는 온수흡입파이프(10)의 한쪽 끝이 접속되는 원통형 슬리이브(351)의 흡입파이프연결부를 나타낸다. 원통형슬리이브(351)에, 사람의 머리털등과 같은 먼지가 순환펌프(p)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환상필터요소(358)가 설치되어, 순환펌프(p)의 고장발생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필터요소(358)는 원통형슬리이브(351)의 내측면에 단단하게 장착되는 기단부를 보유하는 필터지지부(359)에 의해 원통형슬리이브(351)의 내측에 단단하고 안정하게 부착된다.
필터지지부(359)에 필터요소(358)를 신속하고 단단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나사축(360)이 필터지지부(359)에 형성된 암나사구멍(361)에 나사결합되고, 환상돌출부(362)와 한상흠(364)이 흠((363)에 대응하는 위치에 필터지지부(359)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0-링(365)은 2개의 홈(363)(364)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흡입구피팅(350)에도 장식용커어버(366)가 설치되며 그 커어버(366)는 나사축(360)의 헤드면 에 접속되는 중심부를 보유한다.
제 8(e)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장식용커어버(366)에는 상당한 크기의 먼지가 온수순환통로(D)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원호형상기구부(367)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368)는 토상 프러그 또즌 뚜껑을 위해 폐쇄도어 있고, 온수흡입파이프(10)가 다른 위치로부터 온수흡입구 (1m)로 인도되어야 할 경우에는 개방되는 한쌍의 원통향슬리브(351) 보조흡입파이프연결부를 나타낸다.
(Ⅱ-3) 흡기구이 구조 설명
이하에, 흡기부(5)의 구조를 설명할 것이다.
제 9도, 9(a)도, 9(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흡기구(5)는 욕조(1)의 가장자리 플랜지 부분(1a)에 장착되어 있다.
흡기구(5)는 입구를 갖고, 두 즐에 소음장치(92a), (92b)를 가지고 있는 직사각형모양의 흡기체(92), 바깥쪽에 형성된 흡기구(82a)를 가지고 흡기체(92)의 출구를 덮는 커버(82), 소음장치(92b)에 상부 끝이 연결되고 흡기파이팅(12a),(12b),(12c)에 저부 끝이 연결된 다수의 흡기파이핑연결부(83a),(83b),(83c), 전달통로 위에 개폐하는 소음장치(92b)와 흡기파이핑연결부(83a),(83b),(83c)사이에 다리역활을 하는 전달통로에 장치된 다수의 공기용적조절 밸브(87a),(87b),(87c)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공기의 미세조절량이 흡기파이핑(12a), (12b),(12c)을 통하여 분출노즐(2),(3),(4)로 공급될 수 있다.
각, 공기용적조절관(87a),(87b),(87c)은 촐구(88a)를 한정하는 상부가장자리를 가지는 원통형밸브바디(88), 원통형밸브바디(88)의 바닥에 장치된 공기용적조절파이프작동보우터(M2), 모우터(M2)에 연결된밸브요소지지로드(89), 로드(89), 로드(89)의 앞 끝에 장착되어 있고 밸브바디(88)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밸브시이트에 내외로 접촉하위해 움직일 수 있는 밸브요소(90)로 이루어져 있다.
부호(88d)는 밸브바디(88)의 주위벽에 형성된 전달출구를 나타낸다.
공기용적조절밸브 작동보우터(M2)는 노즐밸브작동모우터(M1)의 구조와 같은 단계모우터 구조이며, 그것은 후네 설명될 바와 같이 조절기(c)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분출작동 동안에 모우터(M2)를 구동함으로써 밸브요소(90)를 통하여 공기용적의 조절이 수행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의 공기용적의 분출작동이 수행된다.
부호(93a),(93b)는 소음장치(92a),(92b)를 지지하는 흡기체안에 두 줄에 수평으로 장치된 상부와 하부의 소음장치지지판 한쌍을 나타낸다.
상부줄의 소음장치(92a),(92b)에 형성된 다수의 전달 호옴(94a),(94b)은 하부 줄의 소음장치(92a), (92b)에 형성된 다수의 전달 호옴(94a),(94b)에 각각 배열되어 있다. 참고부호(r)은 공기흐름방향을 나타낸다.
더욱이, 제 9 도, 9(a)도, 9(b)도에서 알 수 있듯이, 조작판넬(6)은 커버(82)에 상호연관되어 있고 판텔커버(6a)가 열러있을 때에는, 원격제어장치(30)와 함께 분출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게 패널스위치 표면(6b)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Ⅱ-4) 기능장치의 설명
기능장치(9)의 구조는 제10조, 제11조,제12조를 참고로 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기능장치(9)는 상판(60a), 바닥프레임(60b), 양측판(60c), (60d),정면판(60e) 및 배면판(60f)을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박스 케이스(60)를 포함한다.
기능장치(9)안에 한정된 내부공간에서, 세 개의 프레임멤버(61a),(61b), 및 (61c)로 이루어진 수평선반(61)은 상부저장공간과 하부저장공간을 제한하는 측판들(60c),(60d)사이에 사교되어 있다.
상부공간(62)에서는 다수의 전기장치가 장치되어있는 반면, 내부공간에서는, 대체로 다수의 비전기장치가 고정되어 있다.
즉, 누설브레이커(64)와 절연변성기(65)는 프레임멤버(61a) 위에 장착되어 있고, 파우어소스변성기(66)와 노이즈필터(67)는 프레임멤버(61a)와 조절장치(c)위에 장착되어 있고 변환기(E)는 프레임멤버(61c)위에 장착되어 있다.
바닥프레임(60d)위에, 콜드 프루핑 히이터에 설비된 회전펌푸(p)와 온수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43)는 바닥프레임(60b)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저기장치와 비전기장치 사이의 전기절연은 목욕하는 사람의 완별한 방해할 수 있는 비전기장치를 통하여 욕조(1)안에 전기장치로부터 온수로의 전기누설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기능장치(9)의 다른 구조에 곤해서 보면, 다수의 고부연결(68)은 기능장치(9)에서 여려가지 파이핑늬 접합으로 설치죈다.
기능장치(9)의 벤츌레이션을 설치하기 위하여, 통로(69)는 케이스(60)의 양측판(60c),(60d)위에 설치되어 있다.
(Ⅱ-5) 순환펌프의 설명
이후에 순환펌프(p)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순환펌프(p)는 제13도에 나타내는 구조를 가전다. 상부임펠러실(33)과 하부임펠러실(34)이 펌프케이스(32)속에 전달통로(32d)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저부임펠러실(34)은 펨프케이스(32)의 저부의 한편에 형성된 온수흡입 통로를 통하여 온수흡입피이프(10)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펌프케이스(32)의 저부의 한쪽편에 형성된 온수 강제 공급 파이프(11)와도 연결되어 있으며, 후에 설명될 바와 같이 상부임펠려실(33)의 한쪽변에 형성된 필터링강제 공급 통로(32c)를 통하여, 필터(43)의 내부파이프(41)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다. 부호(32e)는 흡입부를 나타내며, 부호(32f)는 저부 배출부를 나타내고, 부호(32g)는 상부 배출부를 나타내고, (21)은 회전흐름방향을 나타내며, (22)는 여과흐름방향을 나타낸다.
임페러축(35)은 상부와 하부임펠러실(33),(34)에 동축으로 임펠러 축(35)에 장착딘 상부와 하부 임펠러실(33),(34)와 상부와 하부임펠러(33a),(34a)의 중심을 통하여 수직으로 뻗어있다. 임펠러 축(35)은 수밀하게 일체적으로 펌프 케이스(32)에 장착된 펌프구동모우터(M)의 구동축(39)에 연동되어 있다.
부호(36)은 펌프케이스(32)의 내부의 부밀도를 확실하게 하는 시일링멤버를 나타낸다.
제1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펌프(p)의 임펠러실(33)은 내부파이프(41)와 회전파이프(42)를 통하여 필터에 연결되어 있다. 하부 임펠러실(34)로 흡수되는 온수의 부분은 상부입펠러실의 삼부 분출부(32g)에 연결된 주입파이프(41)를 통하여 필터(43)에 공급되고, 그후에 필터(43)에 의해 여과되는 온수는 리턴파이트(42)를 통하여 온수강제공급파이프(11)로 공급되고 저부임펠러실(34)이 저부분출부(32f)로부터 파이프(11)에 강제적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구조하에, 상부임펠러(33a)의 회전시에, 욕조(1)이 온수는 온수흡입파이프(10)로부터 흡입부(32e)를 통하여 하부임펠러실(34)의 온수흡입통로(32a)에 흡수된 후, 온수 강제공급통로(32b)를 통하여 저부임펠러실(34)로부터 저부분출부(33a) 로 강제적으로 공급되고, 또한 온수강베공급파이프(11)를 통하여 욕조(1)로 공급된다.
이러한 경우에, 저부임펠러실(34)로 들어오는 온수부분은 전달통로(32d)를 통하여 지나가고 상부임펠러실(33)로 들어가고 나서, 여과강제공급통로(32c)를 통하여 지나가고, 또한 상부분출구(33a)로 부터필터(43)로 내부파이프를 통하여 공급된다.
그럼으로써, 온수는 리턴파이프(42)를 통하여 온수강제공급파이프(11)로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상부와 하부임펠러(33a),(34a)를 가지는 히전펌프(p)에 의해 온수회전펌프를 통하여 회전되는 온수는 필터(43)에 의해 부분적으로 여과된다.
회전펌프(p)의 외부가정자리 위에 냉동 프루핑펌푸를 위해 히이트(H1)가 제공된다. 히이터(H1)는 온수온도센서(T)에 의해 얻어지는 온수강제공급 파이프(11)에서의 온수 온도검출 결과에 따라서 제어장치(C)에 의해 조절된다. 그럼으로써 회전펌프(p)에서의 온수의 냉동이 저해된다.
펌프구동모우터(M)의 모우터(M)의 냉동을 위한 팬에 제공되는 세가지상의 유도형이다. 부호(39a)는 펌프구동모우터(M)의 구동축(39)의 외부가장자리표면에 장착된 로우터를 나타내며, 부호(39b)는 로우터(39a)에 대하여 재외 반대 상태인 모우터 케이스 (38)의 내부가장자리표면에 부착된 고정된 자기극을 나타내고, 부호(39c)는 냉각팬을 나타낸다.
변환기(E)는 펌프구동모우터(M)와 출력계면(52)사이에 장치되어 있고, 후에 설명될 조절기(C)의 기역장치(53)안에 저장된 프러그램에 따라서 커머어셜 AC 공급기로부터 입력전동수 공급을 위한 변환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좀더 상세하게, 변환기(E)는 AC100V 파아어 공급기로부터 세가지 상의 200V 파우어로 변환시키고 그 뒤에 츨력시킨다.
그리고 나서, 펌프구동모우터(M)의 회전수는 변환기(E)에서 프로세싱 변환을 통하여 사라진 출력진동수에 비례하여 조절함으로써 순환펌프 (P)의 회전수를 조절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상기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분출노즐(2),(3),(4)로부터 용적가 압력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회전펌프(P)의 회전수는 면환기(E)에 의해 부드럽고도 확실하게 조절된다. 그결과,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① 분출노즐(2),(3),(4)의 입구와 출구조작에 따라서 변환기(E)에 의해 만들어지는 순환펌프(p)의 회전수의 변화를 적당하게 조함으로써 복욕하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서 다양하게 만들여지은 분출의 변허를 기능하게 하고 복욕하는 사람의 여러 가지 기호를 만족시킨다.
② 블로우 강도는 변환기(E)에 따라 순환펌프(P)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목욕하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서 몇가저 단계 또는 부순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그래서 목욕하는 사람에게 충분한 만족도를 줄 수 있게 된다.
③ 분출노즐(2),(3),(4)의 입구와 출구조작가 함께 순환펌프(p)의 회전수가 변환기(E)에 의해 부드럽게 변화될 수 있개 때분에, 분출모두드로부터 또 다른 것까지느 번화의 효과를 가능케 하며 또한 목욕시에 사람에게 불편한 깁분이 들지않도록 부드럽게 천천히 여러 가지 분출오무드로 블로우 강도를 변환 시킨다.
④ 순환펌프(p)가 변한기(E)에 의해 느린 전연 회전을 줄수 있기 때문에, 목욕하는 사람, 특히 온수 의 갑작스런 분출 때문에 어린이나 노인의 낙하아 같은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⑤ 순환펌프(p)가 변환기(E)에 느린 전연 회전을 주기 때문에, 펌프(p)가 공기너 레이스를 취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래서 펌프(p)에 의해 온픔의 부드러운 분출이 확인될 수 있다.
⑥ 순환펌프(p)가 변환기(E)에 의해 느린 전연회전을 주기 때문에, 파이프안의 공기 배출소리를 줄일 수 있으며 소음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⑦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블로우 강도의 변화와 분출모두드의 변화가 분출용적과 압력의 변화에 수행될 때, 낭비되는 전력이 저장될 수 있으며 전력저장을 할 수 있게 된다.
⑧ 순환펌프(P)가 변환기 (E)에 의해 역회전될 수 있기 때분에, 파이프로부터 면디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Ⅱ-6) 필터의 설명
필터의 구조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제13(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43)는 필터바디(43a), 필터바디(43a)의 저부에 펼쳐진 아실릭메시(43b), 메시(43b) 위에 제공된 필터 매체(43c)과 필터바디의 상부벽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배폴(43d)로 이루어져 있다. 주입파이프(41)의 한끝은 필터바디(43a)의 상부 끝에 연결되어 있고, 반면에 리턴 파이프(42)의 한끝이 필터바디(43a)의 저부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온수를 필터매체(43c)를 통하여 필터바디(43a) 위로부터 아래로 통과 시킴으로써 온수가 여과된다.
필터프루핀을 위한 필터히이터(H2)가 필터(43)의 외부가장 자리에 장착되어 있고 온수 온도센서(T)에 의해 만들여진 온수 강제공급 파이프(11)에서의 온수의 온도검출 결과에 따라서 제어장치(C)에 으해 조절되고 그럼으로써 필터(43)에서의 온수의 냉각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도입파이프(41)의 절반이 모두터 구동 삼방밸므45)에 제공되고, 드레인 파이프(46)가 삼방밸브(45)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어, 도입파이프(41)와 드레인 파이프(46)가 삼방밸브(45)를 통하여 서로 상호연결될 수 있다.
도입파이프(41)와 드레인 파이프(46)사이에 상호연결을 하기 위하여 모우터 구동 삼방밸브(45)를 변화시키고 순환펌프(P)의 상부와 저부 임펠러(33a),(34a)를 회전 시킴으로써, 온수부분이 리턴파이프(42)를 통하여 동과되고 그후 필터매체(43c)를 통하여 필터바디(43a)의 저부로부터 상부로 통과시킴으로써, 필터 매체(43c)의 수세를 가능하게 한다.
모우터 구동 삼방 밸브(45)의 변환조작은 후에 설명될 바와 간이 원격 제어장치(30)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Ⅱ-7) 제어장치의 설명
제어장치(C)의 구조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C)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PV), 입력/출력 계면(51),(52),(ROM)과 (RAM)으로 이루어진 기역장치(53) 및 타이머(5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조에서 도입 계면(51)에, 분출용적조절 밸브(22)의 입구와 출구의 정도를 감지하는 밸브조작체킹 센서(23f), 공기용적조절밸브(87a),(87b)(87c)의 입구를 체크하는 밸브입구 체크센서(91), 온수 강제 공급 파이프(11)에서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8),욕조바디(1) 에서의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수온도센서(T), 조작판넬(6), 원격제어장치(30)로부터 제공된 자외선을 사용하여 구동 신호를 감지하는 자외선센서(30b)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출력계면(52)에, 후에 상술될 시계표시부분(115)과 조작판넬(6)위에 온수온도를 나타내는 부분(116), 펌프구동모우터(M), 노즐밸브작동 모우터(M1), 공기용적 조절밸브작동모우터(M2), 펨프히이터(H1), 피터히니터(H2) 모우터 구동삼방밸브(45)가 연결되어 있다.
기억장치(53)에는, 상기한 센서와 구동신호와 조작판넬(6)으로부터 또는 원격제어장치(30)에 따라서 모우터(M),(M1),(M2) 및 모우터구동삼방 밸브(45)와 같은 조작구동부분에 대한 구동순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Ⅱ-8) 조작판넬의 설명
다음 설명은 제어장치(C)에 구동출력을 수동으로 전달하는 조작판넬(6)에 관해 제9도, 제9(a)도, 제9(b)도를 통하여 행해질 것이다.
조작판넬(6)은, 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흡기부(5)의 커버(5a)에 합체되어 있다.
제 9(b) 도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조작판넬(6)은 조작 스위치(100) 마일드블로우스위치(101), 핑거프레스블로우스위치(102), 펄스블로우스위치(103), 웨이브블로우스위치(104), 사이클블로두스위치(105) 및 프로그램블로우스위치(106)등의 블로우조작스위치, 온수블로우 강약스위치(107),(108), 백사이드 분출노즐 사용 패턴스위치(111), 레그-사이드 분출노즐사영패턴스위치(112) 및 벨리-사이드 불출노즐 사용패턴스위치(113) 등의 분출 노즐사용패턴스위치, 타이머스위치(114), 타니머표시부분으로서 제공되는 시계표시부분(115), 온수온도게시부분(116), 필터세정스위치(117), 시계표시부분(115)위에 표시된 시간을 수정하는 타임세팅스위치(118), 시간세팅스위치(119) 및 분세팅스위치(120)로 이루어져 있다.
후에 상술될 블로우조작은 조작스위치(100)를 (ON)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부호(100a)는 조작스위치(100)의 (ON)을 회전시켜 계속하는 파이롯 램프를 나타내며, 부호(101a), (102a),(103a),(104a),(105a) 및 (106a)는 블로우 조작스위치계시램프를 나차내고 부호(109a),(109b),(109c),(109d) 및 (109e)는 강도레벨계시램프를 나타내며, 부호(111a),(112a) 및 (113a)는 각각 레그,백, 벨리사이드를 나타재고, 부호(121),(122), 및(123)은 후에 상술할 펄스브로우, 웨이브블로우, 사이클블로우 및 프로그램블로우에 선택 패턴(A),(B) 및 (C)를 나타내는 램프를 나타내고, 부호(117a)는 필터세정표시램프를 나타내며, 부호(117b)는 필터조작표시램프를 나타낸다.
조작판넬(6)은 제9(b)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또한 그들의 한쪽 끝 부분에 적외선센서(30b)가 제공된다.
후에 상술될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30)위에 제공되는 수위치가 조작될 때, 사전조작 설정 다주파음색조절시스템(NFTM)에 따라서 조작스위치에 일치하는 정해전 파장의 적외선이 원격제어장치(30)에 제공되는 적외선 방출부분(30a)으로 방출된다. 이렇게 방출된 적외선은 적외선 센서(30b)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신호는 제어장치(C)의 입력계면(50)에 제공됨으로써, 기역장치(52)로부터 읽어내는 구동프로그램에 따라서 원하는 구동장치가 조작된다.
조작판넬(6)의 상부표면위에 개폐할 수 있고 다른 스위치와 계시램프 이외에도 타이머스위치(114),시계표시부분(115), 온수온도계시부분(116), 필터조작례시램프(117b) 및 적외선센서(30b)를 받는 커버(125)가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그 장소에 장치되는 적외선 센서(30b)는 조작판넬(6) 위에 이외에도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로서도 유용하다.
(Ⅱ-9) 원격제어장치의 설명
다음 설명은 조작판넬(6)에서 분리된 목욕상태의 제어장치(C)로 구동출력을 수동전달하는 원격제어 장치에 대해서 행해질 것이다.
제14도 제15(a)도 애지 제15(d)도에서 나타내는 바아 같이, 원격네어장치(30)가 다음에 따라서 만들어진다. 격벽(235)은 인쇄회로기관으로서 그안에 기재(241)를 수용하기 위한 기재 수용실(236)과 여기 상태에서 그안에 배터리(B)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수용실(237)을 붐리하여 환정하는 수직으로 길고, 장방형 박스형의 케이스(231)안에 설치되어 있다.
기재 수용실(236)안의 상부끝부분에 기재(241)안에 연결된 적외선 방출부(245)가 설치되어 있고, 기재수용실(236)안의 상부끝부분에 기재(241)안에 연결된 적외선 방출부(245)가 설치되어 있고, 기재수용실(236)의 내부의 상부에는 기재(241)와 연결된 블로우상태표시부(233)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막스위치형의 여러 가지 조작스위치(234)가 케이스(231)의 저부표면부분에 고정되어 있어서기재(241)와 연결되어 있다. 원격젱장치(30)이 전부는 수밀하다.
케이스(231)는 강성률, 강도, 내충격성 및 수밀도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아크릴로니트릴-브타디엔-스티렌((ABC)수시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부호(233a)는 토며안 아크릴수지로 만들어진 곤찰 창문판을 나타내므로 블로우 상태표시부(233)는 외부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
조작스위치(234)는 막스위치이기 때분에, 원격제어장치(30)은 얇고, 가볍고, 견고하게 만들어 질 수있으며, 스위치는 자유롭게 배열될 수 있고, 시일링은 확실하게 된다.
제15(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수위치들은 유연한 케이블(234)을 통하여 각각 기재(241)에 연결된다.
조작스위치(234)의 연결에 있어서, 부호(260)는 조작스위치를 나타내며, 부호(261)는 마일드 블로우스위치를 나타내고, 부호(262)는 핑거 프레스 블로우스위치를 나타내며, 부호(263)는 펄스 블로우 스위치를 나타내고, 보호(265)는 웨이브블로우스위치를 나타내며, 부호(266)는 사이클 블로우 스위치를 나타내며, 부호(267)는 프로그램블로우스위치를 나타내고, 부호(268) 및 (269)는 각각 온스 블로우 강약스위치를 나타내며, 부호(274),(275) 및 (276)는 각각 레그-, 백- 및 벨리- 사이드 분출노즐사용패턴스위치를 나타낸다.
블로우 상태표시부(233)에서, 부호(431)는 분출모우드 특성 표시부를 나타내며,부호(432)는 웨이브블로우표시부를 나타내고, 부호(433)는 분출위치표시부를 나타내며, 부호(434)는 강도 레벨 표시부를 나타낸다. 표시부(431),(432),(433) 및 (434)는 각각 액체상의 크리스탈을 사용하여 조작한다. 블로우상태표시부(233)의 콘크리트구조와 조작스위치(234)의 그것은 일본 특허출원 제73367/89호에 기재된 원격제어장치와 같은 것이다.
격벽(235)은 케이스(231)안의 상부와 하부에 가각 기재수용실(236)과 배터리 수용실(237)을 형성하는 케이스(231)안에 낮은 끝으로부터 대략 1/3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챔버(236)과 (237)은 격벽 (235)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팩킹(259)에 의해 수밀도를 확실히 아여 서로 고립되어 있다.
기재수용실(236)가 배터리수용실(237)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케이스의 내부표면에 격벽(235)의 가장자리를 본딩함으로써 수밀도를 확실히 하면서 서로 독립될 수 있다.
기재수용실(236)의 전체내부는 팟핑되어 있으며, 즉, 내충격성과 내진동성을 주고 수분과 침식의 원인을 배재하기 위하여 가소성소지로 채워져 있다. 신장성의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여 팟팅함으로써 원격제어장치(30)의 내부를 모호하고 구것의 부게를 줄이는 겻이 가능해지며 또한 온수표면 위에 원격제어장치(30)를 부유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팽창된 폴리우레탄 수지로 기재(241)를 부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어떤 특별한 기재지지멤버의 설비 없이 기재(241)를 보호하는 것니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여, 원격네어장치(30)가 배터리시간 변화에 따라서 욕조안으로 떨어지는 경우노차도 배터리수영실(237)로 들어가는 온수가 기재 수용실(236)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케란다. 또한배터리 흐름의 누출의 경우에도 액체가 기재수용실(236)로 들어사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블로우상채표시부(233)와 조작스위치(234)에 연결된 기재수용실(236)안의 기재(241)는 그 뒷벽(231b)을 향하여 케이스(231)의 표면벽(231a)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제3돌출지지부(240)에 의해 부유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돌출지지부(238),(240) 기재사이에는 충격흡수멤버로서 제1, 제2 패킹(242),(243)이 설치되어 있다.
패킹은 고부스프링 등드로 대체되기도 한다. 부호(238)는 고정 보울트를 나타낸다. 더욱이, 조작판넬(206)위에 적외선 감지부분(1209)를 햐아여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방출부(245)는 기재 수용실(236)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적외선방출부(245)는 적외선 통과를 가능케 하는 아크릴로 형성된 케이스(245d)와 케이스(245d)안에 중앙, 좌, 우 위치에 설치된 적외선 방출장치로서 세 개의 광방출 다이오드(245a),(245b),(245c)로 이루어진다. 중앙의 광 방출다이로드(245a)는 앞쪽으로 적외선을 방출케하며 좌, 우 광방출 다이오드(245b),(245c)는 각각 좌우 바양아래로 적외선을 방출케 한다. 더욱이, 적외선 방출부(245)로부터 사전조작연속코오드 방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조작 스위치(234)에 대응하는 정해전 코오드 신호를 방출한다. 이렇게 방출된 적외선은 적외선 감지부(209)에 의하여 검출되며, 그후 검출신호는 제어장치(C)의 입력계면(a)으로 공급되고, 원하는 구동장치는 기역장치(m)로부터 읽어내는 구동프로그램에 따라서 조작된다.
배터리 수용실(237)에서, 전력소스로서 제공되는 배터리(B)가 수용될 수 있고 개폐를 위한 리드(247)가 케이스(231)의 아래쪽에 형성된 배터리 출구(246)에 장착되어 있다.
리드(247)는 배터리 출구(246)를 닫을수 있는 넓은 폭의 연결판(247a)과 연결판(247a)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배터리 출구(246)에 장치된 고정돌출부(247b)로 이루어진다. 연결판(247a)은 배터리 출구(246)를 한정하는 리드콘센트(248)의 아래쪽에 작은 볼트(249)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부호(250)는 리드 콘센트(248)안에 장치된 넛트를 나타낸다.
고정돌출부(247b)는 배터리출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주위표면(247c)은 리즈 콘센트(248)의 내부주위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0-링 장착그루브(247d)는 주위 표면(247c)에 중심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안에 0-링(251)에 장착된다. 더욱이, 배터리(B)의 끝 표면에 접촉된 전도성을 회전시키는 커런트 전도판(252)은 고정돌출부(247b)의 끝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에서 리드콘센트(248)로 리드의 고정돌출부(247b)를 삽입시키고 리드콘샌트(248)로 연결판(247a)을 장착시킴으로써, 고정돌출부(247b)의 끝 표면에 부착된 커런트전도판(252)은 배터리(B)의 끝표면에 접촉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전도 회전을 가능케 한다. 이 경우에, 배터리 수용실(237)의 내부의 방수성은 고정돌출부(247b)의 주위 표면에 장착된 0-링에 의하여 확실시 될 수 있다.
더욱이, 제4도 내지 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와 저부 프로텍터(253)에 각각 설치된 원격제어장치(30)의 상부와 하부는 원격제어장치(30) 자신과, 욕조바디(1), 욕실타일등이 드럼 충격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부 프로텍터(253)는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30)의 상부에 고정될수 있는 캡 모양으로 형성되고 적외선 방출 윈도우의 중앙, 좌, 우의 대응 위치에 적외선통과출구(255),(256),(257)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253a)는 벽표면 접촉부를 나타낸다.
프로텍터(253),(254)의 재료로서는 충격흡수기능을 가진 것이 사용된다.
예를들어, 니트릴 부터디엔고부(NBR), 팽창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트라이머(EPDM)등의 탄성고부가 사용되기도 한다.
팽창 폴리우레탄 등의 작은 비중의 재로가 사용되면, 같은 제어장치의 비중을 조절함으로써 온수표면위에 원격제어장치(30)를 부유시키는 것이 가능해전다.
이렇게, 원격제어장치(30)에 상부와 하부프로텍터(253),(254)를 장착시킴으로써, 욕조바디(1), 욕실타일 등의에 원격제어장치(30)의 잘못된 낙하의 경우에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6도 내지 9도에 나차내는 바와같이, 자석(280a)이 원격제어장치(30)의 뒷면에 고정되는 반면에, 욕조바디(1)의 측벽 또는 욕실 측벽(W)에는 자성체가 설치됨으로써, 원격제어장치가 자성에 의하여 욕실측벽(W)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자석(280)은 얇은 장방형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 프로텍터(253),(254)로 덮혀있는 제어장치의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원격제어장치의 뒷 표면에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것은 예를 들어 욕실측벽(W)에 설치된 자성체(280')로 그접촉표변에 광범위하게 설치되어 있다.
자석(280)의 자력은 적당한 크기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원격제어장치(30)는 분명하게 장착되고 쉽게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15(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욕조바디(1)의 측벽 또는 욕실측벽(W)은 얇은 판인 자성체(280')가 설치되어 있다. 자성체(280')는 욕실 측벽(W)위에 부분적으로 다수가 설치되거나 넓은 범위에 걸쳐 넓게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욕조바이(1)는 원격제어장치(30)의 장착돠 저장의 자유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장착과 제거가 용이한 장소에 원격제어장치를 부착할 수 있으며 좀더 쉽게 원격제어장치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상기와 반대로, 자성체(280')가 원격제어장치(30)위에 설치되고, 반면에 자석(280)이 욕실측벽(W)에 설치되기도 한다.
이 실시예에서, 더우기 상부와 하부 프로텍터(253),(254)가 원격제어장치(30)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재료로서 자석(280)는 자성체(280')가 프로텍터 위에 설치되기도 한다.
장착재로서 자력을 가지는 자석(280)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원격제어장치(30)를 욕실측벽(W) 또는 어떤 적당한 장소에 부착할수 만 있다면, 예를 들어 페이스페스트너 등의 접착력을 이용한 장착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제15도(e)도, 15(f)도, 15(g)도에는, 상디한 원격제어장치(30)의 변형을 나타낸다.
변형은 제14도에 나타낸 브로우 상태표시부(233)에 비하여 비교적 확대된 블로우상태표시부(533)의 크기 또는 면적으로 대테적으로 특징지워짐으로써 모욕하는 사람이 제15(h)도 내지 제15(m)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블로우 상태를 비교적 쉽게 즐길 수가 있다.
제15(h)도에서는, 마일드 블로우의 블로우상태를 나타내며, 비교적 충분한 용적과 저압의 블로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제15(i)도에서는, 스팟블로우의 블로우 상태를 나타내며, 비교적 작은 용적과 고압의 블로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제15(j)도에서는, 펄스 블로우의 블로우 상태를 나타내며, 원하는 블로우모우드의 블로우 작동, 즉, 간헐적으로 작동하는 스팟 블로우가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제15(k)도에서는, 사이클블로우의 블로우 상태를 나타내며, 어느 사이클에서 변화되는 분출노즐의 블로우 위치에서의 블로우는 각 분출 모오드에서 어떤 사이클에서의 각 분출노즐을 개폐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제15(l)도에서는, 웨이브 블로우의 블로우 상태를 나타내며, 순환펌프(P)의 회전수를 변하시킴으로써 정기적으로 변화되는 분출양의 블로우는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제15(m)에서는, 랜덤블로우의 블로우상태를 나타내며, 목욕중에 신선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한 블로우 모우드에서 다른 모두드로 임의로 이동시키는 믈로우 모우드에서의 블로우 작동이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블로우모우드는 분출모우드의 설명의 관점으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될 겻이다.
더욱이, 변형은 방수성의 보강에 의해 또한 특징 지위지므로 욕조바디(1)에서 원격제어장치의 이용을 확실하게 환다.
(Ⅱ-10) 인버터의 설명
제37도를 참조하면, 인버터(E)는, 단상상용전원(937)에 접속되는 정류회로(938)와, 정류회로(938)에 접속되는 평활회로(940)와, 형활회로(940) 및 모우터구동회로(921)에 접속되는 스위칭회로(939)와, 스위칭회로(939)에 접속 되는 인버터제어회로(912)로 구성된다. 제어장치(C)는 인버터제어회로(912)를 통해 스위칭회로(939)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인버터(E)의 출력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제어회로(912)에 접속된다.
정류회로(938)와 평활회로(940)는 사용전원으로서의 100V의 공급전압을 직류 200V로 변환한다.
순환펌프(P)의 배출압력과 배출량은, 제어장치(C)에 의해 인버터(13)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순환펌프(2)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킴에 따라 제38도 내지 제45도에 표시된 특성곡선(Ωc)과 같이 자유롭고 원활하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분출노즐(2),(3),(4)로부터 분출되는 온수의 분출압력과 분출용적도 목욕하는 사람의 안락함을 증진시켜 다양한 목욕감을 목욕하는 사람에게 부여하도록 자유롭고 원활하게 변화된다.
(Ⅲ) 분출모우드 설명
이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분출모두드(마일드 블로우, 스폿블로우, 펄스블로우, 웨이브 블로우, 사이클 블로우 및 프로그램블로우)는 제16도 내지 26도에 관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Ⅲ-1) 마일드블로우
마일드 블로운 분출노즐(202)(203)(204)로부터의 온수의 분출용적이 크고 분출압이 낮은 분출모우드이다.
니블로우 모우드에 따라서, 목욕하는 삶의 몸전체는 목욕하는 사람에게 마사지 느낌을 주기 위하여 온수를 포근하고 부드럽게 둘러싸여 진다.
좀더 상세하게, 이 모둘드 블로우 모우드에서, 분출노즐(202),(203),(204)에서의 분출용적 조절맬브(222)는 거의 완전히 열려져 있으며 순환펌프(P)의 회전수는 정해전 범위 (적, 1700-3000rpm) 이내로 변화되며, 펌프(P)의 분출압이 미리 고정한 저압범위(즉, 0.2-0.5kg/cm2) 이내의 강도레벨의 몇단계(즉 5단계)로 고정됨으로써 다량의 온수 (즉, 40-80ℓ/분)가 노즐(202),(203),(204)로부터 분출되게 한다.
제16도는 순환펌프(P)의 회전수가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분출용적-분출압 특성커브 (F1)(F2)(F3)를 나타낸다.
(N1)(N2)(N3) 및 (N4)는 회전수의 견지에서 N1,N2,N3,N4의 관계인 실험 커브에 제공된 순환펌프(P)의 회전실행커브를 나타낸다.
제16(a)도에서, 분출용적-분출압 특성커브(F1) 위의 지점(b)은 모울드 블로우상태를 나타내며, 순환펌프(P)의 회전수는 최대(N1)(즉, 3000rpm)에 근사하다.
(Y1)은 마일드 블로우 지역을 나타내며, (b1)과 (b2)지점은 마일드 블로우 지역(Y1)에 고정된 마일드 블로우 상태를 나타낸다.
제17도에서는, 분출용적조절밸브(22)가 완전히 열리고, 1/2 열리고, 1/4 열렸을 때 얻어진 분출노즐 특성 커브(R1),(R2) 및 (R3)를 나타낸다.
같은 도면에서, (U1),(U2) 및 (U3)는 크기가 U1,U2,U3 순서인 압력선이 설치된 분출압력선을 나타낸다.
제16(a)에서 지점(b)은 제17(a)도에 나타난 분출노즐특성커브(R1) 위에 지넘(b')로서 나타낼 수 있다.
제17(a)도에서, (Y'1)은 분출특성에서의 마일드블로우지역을 나타내며, 지점(b'1)과 (b'2)은 마일드블로우 지역(Y'1)에 고정된 마일드 블로우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마일브 블로우 조작은 원격제어장치(30)의 마일드 블로우스위치(261)를 (ON)으로 회전함으로써 수행된다.
마일드 블로우 모우드에서의 강도레벨변화와 분출노즐 사용패턴의 변화의 시간에 따라 스위치의 변환이 짧은 시간에 수행된다.(즉 약1초).
제18도는 레그-, 백-, 벨리- 사이드분출 노즐(2),(3),(4)에서 분출용적조절 밸브(22)의 개폐조작과 순환펌프(P)의 조작에 관한 타이밍 챠트이다.
마일드블로우스위치가 조작될 때 시간 (t0)에서 임의의 시간(t1)(즉 0초)의 경과후에 어떤 시간(t2)에 대하여, 레그-,백-, 벨리사이드분출노즐(2),(3),(4)에서의 분출용적조절밸브(22)가 고속으로 (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중간 개구위치(d1)에서 현 개구위치(d2)(즉, 최대폐위치로 부터 6mm 떨어진 밸브개구 위치)까지 각각 조작된다.
각 분출용적조절밸브(22)의 현밸브개구조작의 종료시간(t'1)의 경과이전에서부터, 순환펌프(P)의 분출모우드 변화 이전에 회전수(V1)(즉, 2800rpm)는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회전수(V2)(즉, 2400rpm)는 시간(t'2)(즉, 3초) 이내에 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 또한, 조작의 개시에 (조작스위치의 (ON)을 260 또는 100으로 회전시킬 때) 블로우조작이 시작된다.
블로우 조작에서, 어린이나 노인이 목욕시에 안전을 고려하여 분출모우드는 마일드블로우 모우드로 고정되고 강도레벨은 중간 으로 시작된다(이 블로우조작은 이후에 어린이 안전블로우로 칭함).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제19도의 타임챠트에 나타낸 바와같이, 사용자이 불편한 느낌 또는 위험을 느낄 백-사이드 노즐(3)로부터 분출로무터의 사전 이용후에 파이프에 남아 있는 냉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작 시작시에 백사이드 분출노즐에서 분출용적 조절밸브(22)만이 완정히 닫힌 위치까지 조작된다.
좀더 상세하게, 제19도에서, 마일드 블로우 스위치가 노작될 때 시간(t0)으로부터 어즈정도 시간(t1) 경과 후에 시간(t2)(즉, 1초)에 대하여, 백 사이드 노즐(3)에서의 분출용적 조절밸브(22)가 중간 위치에서(분출모두드 면화 이전에 밸브개구 위치) 고속으로 (바람직하게는 최고속도) 완전히 닫힌 위티까지 각각 노작되고, 이 닫힌 상태가 시간(t3) 동안 유지된 후의 시간(t4)에 대해, 분출용적조절밸브(22)는 고속 (바람직하게는 최고속도)으로 현재의 개구위치(d2)(즉, 완전히 닫힌 위치로부터 6mm 떨어진 밸브-개구위치)까지 각각 조작된다.
마일드 블로우 스위치가 조작될 때 시간(t0)으로부터 시간(t1)의 경과 후에 시간(t1)에 대해 레그-,멜리- 사이드분출노즐(2),(4)에서의 분출용적조절밸브(22)에 대하여, 밸브들은 중간개구위치(d1)(분출모우드가 변화되기 이전의 개구위치)에서부터 거의 완전하게 닫힌 위치(d2)(즉, 완전히 닫힌 위치로부터 6mm 떨어진 밸브개구위치)까지 고속 (바람직하게는 최고속도)으로 각각 조작된다.
순환펌프(p)는 각 분출용적조절밸브(22)의 닫는 조작 또는 사전 여는 조작의 종료시간(t')의 경과후에 바로 조작되며, 그 외전수는 점차로 증가하여 회전수(V2)(즉, 2800rpm)는 시간(t'2)(즉 10초)안에 도달된다.
사용자가 불편한 느낌을 갖지 않도록 하고 순환펌프(p)의 분출압의 갑작스러운 증가가 방지되어야함을 고려하여, 분출노즐 (2),(3),(4)의 각각에 분출용적조절밸브(22)의 열고 닫는 조작에 대한 타이밍 조절과 순환펌프(p)의 회전수의 변화는 결정된다.
이점은 (Ⅳ-7)에서 후에 설명할 것이다.
(Ⅲ-2) 스폿블로우
스폿블로우 모두드는 분출노즐 (2),(3),(4)로부터의 온수의 분출용출애 작고, 분출압은 높고 온수제트가 사용자의 몸의 일부에 격렬하게 가해짐으로써 사용자의 핑거-프레스 느낌을 포함한 마사지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되는 블로우 모두드이다.
좀더 특별하게, 스폿볼로우 모우드에서, 분출노즐 (2),(3),(4)의 각각에 분출용적 조절밸브요소(22)가 약간 열리고, 순환펌프(p)의 회전수가 어느 범위 (즉 2000 내지 3000rpm)안에서 변화되고, 펌프(p)의 분출압은 사전조작 고압범위 (즉 0.5-1.0kg/cm2) 이내에 강도레벨의 몇단계(즉 5단계)로 고정될 수 있다.
제16(a)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분출용적-분출압 특성커브(F3) 위의 지점(e)은 온수의 최소분출용적(즉 30ℓ/분)에서의 스폿블로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16(a)에서는, 더욱이, (Y2)는 분출용적-분출압 특성에서의 스폿블로우 지역을 나타내며, 지점(e1) 및 (e2)는 스폿지역(Y2) 이내에 스폿블로우 고장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제17(a)도에서의 지점(e)은 제17(a)도에 나타낸 분출노즐특성커브(R3) 위의 지점(e')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제17(a)도에서 (Y'2)는 분출노즐특성에서의 스폿블로우 지역을 나타내며 지점(e'1)과 (e'2)는 각각 스폿블로우 지역 (Y'2)이내에서 스폿블로우 고정상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핑거-프레스블로우조작은 원격제어장치(30)의 스폿블로우스위치(62)를 (ON)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제20도는 레그-, 백-, 벨리- 사이드 분출노즐 (2),(3),(4)에서의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의 개폐조작과 손환펌프(p)의 조작에 관한 타이밍 챠트이다.
좀더 상세하게, 제20도에서, 핑거-프레스블로우 스위치가 조작될 때 시간(t0)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t1)(즉, 0초)의 경과 후에 시간(t2)(즉 1초)에 대해, 각 분출용적조절 밸브요소(22)는 분출모우드가 변화(즉,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6mm 떨어진 밸브개구 위치)되기 이전에 개구위치(d1)에서 사전조작 개구위치(d2)(즉, 완전히 닫힌 위치로부터 1.5mm 떨어진 밸브개구위치)까지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조작된다.
그후에, 각 분출용적조절밸브 요소(22)의 사전조작, 개구조작의 종료시간(t'1)의 경과 후에서부터 분출모우드 변화, (즉, 2400rpm) 이전에 순환펌프(p)는 그 회전수 (V1)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므로, 회전수 (V2)(즉, 2800rpm)가 시간(t'2)(즉, 3초) 이내에 도달하게 된다.
(Ⅲ-3) 펄스 블로우
펄스블로우는 온수제트의 분출과 그펄스와이즈 중단 중에서 선택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분출노즐(2),(3),(4)을 개폐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온수의 분출과 중지의 통풍이 가능한 블로우 모우드이다.
그럼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날카롱운 자극을 주게 된다.
펄스블로우 모두드에 따라서 상기한 스폿블로우 조작에설 분출노즐 (2),(3),(4)에서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는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매시산 경과에 따라 짧은 시간 도안 (즉, 1초) 선택적으로 예비조작개구 위치와 완전히 닫혀진 위치로 이동되고, 온수가 분출되는 상태와 분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창조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온수가 버블을 함유하고 분출되고, 반면에 그 밖의 것은 그렇지 않다.
그러한 펄스블로우의 강도레벨의 변화는 순환펌프(p)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효과적일 수 있는 어떤 범위(즉, 30 내지 50ℓ/분)내에 몇단계(즉,5단계)에서 온수의 분출용적을 고정함으로써 수행될수 있다.
상기한 펄스블로우 노작은 원격제어장치(30)의 펄스 블로우스위치(263)의 (ON)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제21도는 레그-, 백-, 벨리- 사이드 분출노즐 (2)(3)(4)에서 분출용적조절 밸브요소(22)의 개폐조작과 순환펌프(p)의 조작에 관한 타이밍 챠트이다.
좀더 상세하게, 제21도에서, 펄스블로우 스위치가 조작될 때 시간(t1)(즉, 0초) 경과한 후에, 각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는 분출모우드 변화 이전에 (즉, 완전히 닫힌 위치로부터 6mm 떨어진 밸브개구위치) 그것의 개구위치(d1)에서부터 사전조작개구위치(d2)(즉, 완전히 닫힌 위치로부터 6mm 떨어진 밸브개구위치)까지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t2)(즉, 1초) 동안 조작된다.
개구상태가 시간(t3)(즉, 1초)동안 유지된 후에, 밸브요소(22)는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t4)(즉, 1초)동안 완전히 닫힌 위치로 막은 다음에, 완전히 막은 이 상태를 시간(t5)(즉, 1초) 동안 유지하고, 밸브는 시간(t6)(즉, 1초) 동안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사전조작개구위치(d2)까지 열린다.
또한, 이 개구상태가 시간(t1)(즉, 1초)동안 유지된 후에, 밸브는 닫한다.
이 밸브는 개폐조작은 정기적으로 반복된다.
펄스블로우 스위치가 조작될 때, 시간(t0)으로부터 시간(t1)의 경과(즉, 1초)후에, 회전수(V1)의 수는 분출모우드변환(즉, 2400rpm) 이전에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시간(t'2) 내에 회전수(V2)(즉, 2800rpm)에 도달하게 된다.
사전조작밸브개구 조건을 유지하기 휘하여 시간(t3)을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펄스블로우 패턴이 고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 1초, 2초, 3초로 시간(t3)을 고정하는 세가지 다른 펄스 블로우 패턴(A),(B) 및 (C)이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사용자를 위한 고운제트 고부시간이 선택될 수 있다.
(Ⅲ-4) 웨이브블로우
웨이브블로우모우드는 정기적으로 온수의 분출용적과 분출압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순환펌프(p)의 회전수가 정기적으로 변화되는 블로우모우드이다.
느린기간으로 분출용적과 분출압을 변환시킴으로써 사용자에 대해 반복적으로 접근하고 떠나는 웨이브의 화상을 가지는 고온제트를 이용하는 여러 가지 흐름이 형성된다.
웨이브블로우모우드에서, 분출노즐(2),(3),(4)에서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가 완전히 열려있거나 반쯤 열려있고 순환펌프(p)가 켜지고 꺼지거나, 또는 펌프(p)의 회전수가 범위(즉, 1600 내지 3000rpm)내에서 정기적으로 변화된다.
웨이브블로우강도레벨의 변화는 정기적으로, 몇단계로(즉,5단계), 상기한 회전수의 범위내로 변화되는 순환펌프(p)의 회전수의 범위를 고정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제16(b)에서 나타내는 (d1)(d2) 및 (d3)는 웨이브블로우모우드에서 분출용적분출압특성커브를 나타낸다.
온수의 분출용적과 분출압은, 커브(d1)(d2) 및 (d3)에 따라서 다양하다.
제17(b)도에서 나타내는 (d'1)(d'2) 및 (d'3)는 분출노즐특성커브를 나타낸다.
웨이브블로우모우드에서, 버블의 양이 매우크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한 웨이브블로우조작은 원격제어장치(30)의 웨이브블로우스위치(265)를 (ON)으로 회전시킴으로 써 개시된다.
웨이브블로우모우드에서의 온수분출노즐 사용패턴은 상기한 마일드블로우모우드에서와 동일하다.
제22도는 레그-백-밸리-사이드분출노즐 (2)(3)(4)에서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의 개폐조작과 순환펌프(p)의 조작에 관한 타이밍챠트이다.
좀 더 상세하게 제22도에서, 웨이브블로우스위치가 조작될 때, 시간(t0)에서부터 시간(t1)(즉, 1초)의 경과후에, 각 분출용적조절밸브요소(22)는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분출모우드변화(즉, 완전히 닫힌 위치로부터 6mm 떨어진 밸브개구위치) 되기전에 개구위치(d1)에서부터 사전조작밸브개구위치(d2)(즉, 완전히 닫힌 위치로 부터 4mm 떨어진 밸브개구위치)까지 시간(t2)(즉, 1초)동안 작동된다.
그리고나서, 각 분출용적조절밸브(22)이 사전개구조작의 종료시간(t3) 경과후로부터 바로, 순환펌프(p)는 분출모우드변화(즉, 2400rpm)전에 회전수(V1)점차적으로 증가시키므로, 큰 회전수(V2)(즉, 3000rpm)가 시간((t4)(즉, 4초)내에 도달된다.
그 이후에, 그 회전수가 시간(t5)(즉, 4초) 이내에 회전수(V3)(즉, 18000rpm) 보다도 작게 감소되며, 그리고나서 다시 시간(t6)(즉, 4초) 이내에 큰 회전수(V2) 이상으로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식으로 순환펌프(p)의 회전수는 정기적으로 변화된다.
순환펌프의 회전수를 정기적인 변화의 방법으로 병화시킴에 의하여 다른 웨이브블로우패턴이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한 웨이브블로우패턴의 웨이브블로우태턴(A)을 나타내고, 아래에 설명될 웨이브블로우패턴이 웨이브블로우패턴(B),(C)을 나타낸다.
이렇게 하여 세가지 유형의패턴이 고정된다.
제23도의 타이밍챠트에나타내는 웨이브블로우패턴(B)에 따라서, 각 분출용적조절밸브(22)의 사전개구조작의 종료시간(t3)의 경과후에 바로, 분출모우드병화(즉, 2400rpm)전에 회전수(V1)는 시간(t4)(즉, 4초)안에 큰 회전수(V2)(즉, 3000rpm)까지 점차적으로 증가되며, 큰 회전수(V2)는 시간(V5(즉, 2초)동안 유지되고, 그 이후에 호전수는 시간(t6)(즉, 4초) 이내에 작은 회전수(V3)(즉, 1800rpm)로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시간(t7)(즉, 2초)동안 작은 회전수(V3)로 유지되고, 그 이후에 회전수는 시간(t8)(즉, 4초) 이내에 상기한 큰 회전수(V2)까지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회전수는 정기적으로 변화된다.
웨이브블로우패턴(C)에 따라서, 제24도의 타이킹챠트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각 분출용적조적밸브(22)의 사전개구조작의 종료시간(t3)의 경과후부터 바로, 분출모우드병화하기 이번에 (즉, 2400rpm) 회전후 (V1)가 시간(t4)안에 (즉, 3초) 큰 회전수(V2)(즉, 3000rpm)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아래쪽으로 블로한 커브상승으로 설명되고, 그후에 감소하여 시간(t5)(즉, 3초)안에 회전수가 점차적으로 더작은 회전수(V3)(즉, 1800rpm)로 감소하여 아래로 볼록한 커브로 설명되고, 그 이후에는 시간(t6)(즉, 3초)안에 호전수가 상기한 큰 회전수(V2)로 증가하여 아래로 블록한 커브상승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회전수는 정기적으로 변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순환펌프(p)의 회저수가 변환기(E)에 의해제어도기 때문에, 순환펌프(p)의 회전수의 정기적인 변화가 부드럽고 확실하게 수행되며 희미한 온수제트에 필세이터리파우어를 각각 가지는 웨이브브로루(A)(B) 및 (C)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웨이브블로우패턴(C)에서의 순환펌프(p)의 회전수는 현수선커브를 나타내고 호전수가 증가율과 감소율은 높은 회전지역에서는 큰 반면에, 낮은 회전지역에서는 작다.
그러브로, 사용자에 의대한 명백한 구별과 필거프레스효과를 가지는 분출모두드를 얻는 것이 가능해지며, 강한 블로우변화가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일어나고 악한 블로우변화는 배교적 긴 시간에 걸쳐 일어난다.
(Ⅲ-5) 사이클 블로우
사이클블로우 모우드에서, 온수분출위치는 자동적으로, 정기적으로 변화되며, 그럼으로써 사용자가 온수분출 위치의 변화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좀더 상세하게, 시이클 블로우 모우드에서, 분출용적 조절밸브(22)는 순서대로 어느 시간 동안, 예를들어, 백-사이드 분출노즐 3,3→벨리-사이드 분출노즐 4,4→레그-사이드분출노즐 2,2 온수를 분출하도록 열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분출노즐(2),(3),(4)로부터의 온수의 분출보우드로서 마일드 블로우, 스폿블로우, 웨이브 블로우 모우드가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정기적으로 변화되는 마일드 블로우와 스폿블로우인 분출모우드가 적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이클 블로우 패턴 (A),(B),(C)의 세가지 종류가 고정되고, 제25도 및 26도에 나타내 타이밍 챠트를 참고로 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사이클 블로우 (A)는 스폿블로우 모우드로 수행된다.
제25도의 타이밍 챠트에 나타낸 바와같이, 사이클 블로우 스위치가 보작될 때 시간(t0)으로부터 시간 (t1)(즉, 0초)의 경과후에, 백-사이드 분출노즐(3)에 분출용적 조절밸브(22) 만이 분출모두드변화전에(즉,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6MM 떨어진 밸브 위치까지) 개구위치(d1)로부터 예비조작개구위치(d2)(즉,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1.5mm 떨어진 밸브개구위치)까지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t2)(즉, 1초)동안 조작되고, 반면에 노즐 (2),(4)은 완전히 닫힌 위치까지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t2)(즉, 1초)동안 조작된다.
이 상태에서, 온수는 오직 백-사이드분출노즐 (3),(3)에서만 스폿블로우 모우드에서 분출된다.
백-사이드분출노즐(3)에서 분출용적 조적백브(22)가 시간 (t3)(즉, 2초)동안 개구위치(d2)에서 각각 지지된 후에, 완전히 닫혀진 뒤치까지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 (t4)(즉, 1초) 동안 각각 조작된다.
그리고 나서, 시간 (t5)(즉, 0초)의 경과 후에, 닫힌 벨리-사이드 분출노즐 (4)에서 분출용적 조절밸브(22)는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 (t6)(즉, 1초)동안, 예비조작 개구위치로 조작되고, 그후에 시간(t7)(즉, 2초) 동안 예비조작 개구위치(d2)에서 지지되고, 밸브(22)는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t8) 동안 완전히 닫혀진 위치로 조작된다.
이 상태에서, 온수는 오직 벨리-사이드분출 노즐(4)(4)로부터 스폿 블로우 모우드에 분출된다.
그리고 나서, 시간(t9)(즉, 0초)의 경과 후에, 닫혀져 있는 레그-샹이드분출노즐(2)에서 분출용적 조절밸브(22)가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t10)(즉, 1초) 동안 예비조작 개구위치(d2)로 조작된다.
그리고 나서 시간(t11)(즉, 2초) 동안에 예비조작 개구위치(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에서 지지된 후에, 밸브(22)는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t12)(즉, 1초) 동안 완전하게 당혀진 위치에서 조작된다.
이 상태에서, 온수는 오직 레그-사이드분출노즐 (2),(2)로 부터의 핑거-프레스 블로우 모우드에서 분출된다.
그리고, 시간(t13)(즉, 0초)의 경과 후에, 닫혀져 있는 백-사이드 분출노즐(3)에서 분출 노즐조절밸브(22)는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t14)(즉, 1초) 동안 예비조작 기구위치(d2)까지 조작되고, 그후 시간(t15)(즉, 2초) 동안 예비조작개구위치(d2)에서 지지되고, 밸브(22)는 고속(바람직하게는 최대속도)으로 시간(t16)(즉, 1초)동안 완전히 당혀진 위치까지 각각 조작된다.
순환펌프(p)에서, 사니클 블로우 수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시간(t0)으로부터 시간(t'1)(즉, 0초)의 경과 후에, 분출모우드가 변화하기전에 즉, 2800rpm)으로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회전수(V2)는 블로우조작동안에 유지된다.
사이클블로우(B)는 수폿블로우모우드로 수행된다.
사이클블로우 패턴(B)에 따라서, 상술한 사이클 블로우패턴(A)의 타이밍 챠트에서 분출노즐 (2),(3),(4)에서 분출용적조절밸브의 예비조작개구 위치(d2)를 유지하기 위한 시간(t3),(t7),(t11)은 다르다(즉, 4초).
이것이 차이일 뿐이다.
이렇게 하여, 사이클 블로우패턴 (A),(B)에서, 분출노즐(2),(3),(4)에서 분출용적 조절밸브(22)는 백→벨리→레그→백의 순서로 어느 기간에서 개폐되고, 그로브로 스폿블로우 위치가 변화되는 동안에 사용자의 바디를 통하여 핑거-프레스 과가 제공될 수 있다. 사이클 블로우패턴(C)은 웨이브블로우 모우드로 수행된다.
제26도의 타이밍챠트에 나타난 바와같이, 사전조작개구위치(d2)(즉, 4mm)는 사이클조작(A),(B)에서의 그것보다 더크며 사전조작개구위치(d2)를 유지하는 동안 시간(t3)(t7)(t11)은 사이클블로우패턴(A)(B)에서의 그것과는 다르다.
더욱이 순환펌프(p)의 회전은 주거를 변한다.
특히 순환펌프(p)에서 싸이클 블로우 스위치가 작동될 때 시간(t0)에서 특정한 시간(t1)(즉, 0초)이 경과한 후에 분출 모우드변환(즉, 2400rpm)전의 회전(V1)의 수는 특정한 시간 t'2(즉, 1초)내에 특정한 작은 회전수(V3)(즉, 1600rpm)로 점차 감소되며 그리고 나서 회전수는 특정한 시간 t'3(즉, 4초)내에 특정한 큰 회전수(V2)로 점차 증가되고, 그 다음에 회전수는 특정한 시간 t'4(즉, 4초)내에 특정한 작은 회전수(V3)로 점차 감소된다.
그런 특정한 작은 회전수(V3)가 특정한 시간 t'4(즉, 1초)동안 유지된후에 위에 기술된 회전수의 변화(V3-V2-V3)는 반복된다.
그런 회전수의 변화(V3-V2-V3)는 분출노즐(2),(3),(4)로부터 온수가 분출되는 동안만 수행되며 시간측정은 분출노즐(2),(3),(4)에 있는 분출용적조정밸브(22)의 개폐작동동안 특정한 작은 회전수(V3)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취해지며 타격력에서의 돌연한 변화를 방지하며 그것으로 사용자가 불편하게 느끼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온수의 분출위치에서의 변화와 함께 사용자가 웨이브블로우에 특유한 파도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온수제트를 즐기는 것을 방지한다. 비록 이 실시예에서 싸이클 블로우 형태(A),(B),(C)에서의 온수분출위치의 변화가 등→배→다리→등의 순서로 실행된다 할지라도 특소한 한계점은 이 순서로 전혀 배치되지 않는다.
또 다른 순서(즉, 등→다리→배→등)가 채택될수도 있다.
온수불출위치를 불규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Ⅲ-6) 프로그램 블로우
프로그램 블로우 모우드는 분출 모우드의 선택과 분출력의 선택 그리고 분출위치의 선택을 본 브로글램에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되게 결합하고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하게 된다.
이 블로우모우드는 사용지가 고정된 형캐의 힘을 가하는 시스템이 아닌 돌연성을 가지고 있는 겨합된 분출모우드순서를 즐기는 겻을 허락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더욱이 다수의 다른애용이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나이와 성별구분을 고려하여 제공되고 있다.
선택은 가장 일반적 메뉴를 가지고 있는 표존블로우조작인 프로그램블로우(A)와 가장 강한 메뉴를 가지고 있는 하드 블로우조작인 프로그램블로우(B) 그리고 따뜻함을 가지고 있는 가장 가벼운 블로우 조작인 프로그램블로우(C)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그램 블로우 형태(A),(B),(C)는 표 1의 프로그램 블로우 명세에 나타나 있다.
표 1에서 등급 (1),(2),(3)은 앞에 마란 다수의 분출모우드의 세 개의 분리된 그룹에 있는 분출모우드의 외형확률의 세 단계를 나타낸다.
등급(1)에 속하는 분출모우드의 외형확률은 50%이고 등급(2)에 속하는 분출모우드의 외형확률은 30%이며 등급(3)에 속하는 외형확률은 20%이다. 블로우 강도레벨은 다섯단계로 설장되며 약 1, 중간 약 2, 중간 3, 중간 강4 그리고 강 5이다.
프로그램 블로우(A)에서 블로우 강도레벨은 표준 블로우조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2-4에 고정되며 프로그램브로우(B)에서는 블로우강도레벨은 하드블로우조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3-5로 고정되고 프로그램블로우(C)에서는 블로우강도레벨은 가벼운 블로우조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1-3에 고정된다.
돈수분출위치(부분)에 대해서는 온수가 다리-와 등-과 배-옆 분출노즐(2),(3),(4)의 세부분에서 일시에 분출되는 경우와 온수가 그런 부분중의 어떤 두곳에서 분출되는 경우 그리고 온수가 그런 부분중의 어떤 한곳에서 분출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 동시의 세부분 분출은 (다리-등-배)로 표시되며 동시 두부분분출은 (다리-등)(등-배)(다리-배)로 표시도고 한부분분출은(다리)(등)(배)로 표시된다.
분출모우드, 블로우강도레벨 그리고 온수 분출위치는 사용자에게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기쁨을 주기위하여 특정한 시간(즉 30초)이 경과한 후에 각각으로부터 각각변화도며, 그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피로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분출모우드에 대해서는 똑같은 모우드의 계속적인 외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려되어져야하며 그것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주어진 변화의 즐거움을 보장한다.
프로그램 블로우형태(A),(B),(C) 각각에서는 블로우시간을 일정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그램블로우(A),(B),(C)는 4분, 5분 그리고 3분으로 각각 설정된다.
만약 몇몇 메뉴가 프로그램블로우(A),(B),(C) 각각을 위하여 설정되고 어떤 하나의 프로그램블로우가 선택된다면 메뉴의 선택은 선택된 프로그램블로우로부터 불규칙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프로글램블로우(A),(B),(C)에서 분출모우드의 변화, 블로우강도 그리고 분출부분은 연령과 성별구분을 고려하여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며 따라서 사용자는 변화내용의 돌발성과 변화순허의 돌발성을 충분히 즐길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서 목욕하는 동안 피로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Ⅳ) 기포발생욕조의 작동설명
(Ⅳ-1) 순서도에 기초한 작동순서의 설명
위에 기술된 기포발생욕조(A)의 조작은 제27도에서 32도까지늬 흐름차아트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첫째기준은 제27도에 나타난 메인루틴에 이루어전다.
조절기(C)등의 플러그는 거기에 전기파우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파우어 소오스안에 삽입된다.
다리-, 등- 그리고 배-옆의 분출노즐(2),(3),(4) 전부에 있어서의 노즐 백브작동모우터(M1)는 시작된다(210).
다음으로 기포발생욕조(A)는 OFF(215)로 전환한다.
이 OFF상태에서는 기포발생욕조(A)와 분출노즐(2),(3),(4)에 연결된 순환펌프(p)를 위한 여러 가지 작동기가 OFF로 전환한다(215).
이때에 노즐 (2),(3),(4)에서는 노즐밸브쟉동모우터(M1)가 시작된 상태에 있으며 즉, 백브는 완전히 닫혀진 상태로부터 6mm 후퇴한 열린 상태에 있으며 그것에 의해서 온수를 공급하고 배수하는 동안 온수를 유연하게 공급하고 배출하는 겻을 가능케한다.
이 OFF 상태에서는 더욱이 조절기(C)는 흡입을 기다리며 또한 이 상태에서는 온수공급작동과 압력 감지기(48)와 온수온도감지기(T)로부터 제고왼 검출결과에 따른 결빈증명작동을 위하여 조절기(C)에 위해서 조절될 수 있다.
다음에 수위감지기로서 역할을 하는 압력감지기(48)에 의해서 욕조체(1)에서의 온수위가 블로우조작터가 높이(즉, 욕조체(1)에 설치된 흡입구(1m)의 상부끝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검출이 실시된다(220).
본 발명에서는 블로우조작을 보증하기 위해서 온수순환통로(D)에서 온수의 순환을 호락하는 최저의 높이인 흡입구(1m)의 상부끝위치가 블로우조작을 허락하는 더낮은 한계높이로서 사용되며 이 높이는 블로우조작의 시작을 위한 하나의 조건으로서 사용된다.
이 블로우조작 시자강태는 나중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온수위가 블로우조작허가높이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220N), 감소된 높이에 대한 경고는 발생하며 (225), 작동은 정지된다(215).
이 경우에 감소된 높이에 대한 경고는 15초에 걸쳐서 교대로 노작판넬의 시각진열부(115)위의 높이감소를 가르키는 표시 L을 켜고 끄는 것과 동시에 버저(미도시)소리를 내는 것으로써 효과를 나타낸다.
자동온수공급장치가 설치된 욕조에서는 온수보충조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온수위가 블로우조작허가 높이를 만족시킬 때(220Y), 욕조체(1)에서의 온수온도가 블로우조작허가 범위(즉, 5-50℃) 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돈수온도감지기(T)에 의하여 검출이 실시된다(230).
이 실시예에서는 블로우조작허가 온수온도범위는 사용자에 대한 보호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파이프와 손환펌프에서의 온수의 결빈즐명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전기한 온도범위는 블로우조작의 시작을 위한 하나의 조건으로서 사용된다.
니 블로우조작시작 상태는 뒤에 상세하게 기술된다.
결과적으로 블로우조작 허가온도범위의 하부 한계점(즉, 50℃)보다 더 낮은 온도의 경우에는 결빈증명 조작이 시작된다(300).
그런 결빙증명조작은 제32도에 나타난 서브루틴과 관련하여 뒤에 기술된다.
블로우조작허가 온도범위의 상부 한계점(즉, 50℃)보다 더높은 온도의 경우에는(235N) 고온경고가 발생하며(400) 조작은 정지된다(215).
이 경우에 고온에 대한 경고는 15초의 기간에 걸쳐서 교대로 조자간넬(6)의 시각진열부 (115)위의 높은 수온을 가리키는 표시 H를 켜고 끄는 것과 나타내며 동시에 버저 소리를 내는 것으로써 효과를 낸다.
블로우졸작허가 온수온도의 경우에는 (230Y), 블로우조작은 조작스위치(100) 혹은 (60)를 ON으로 전환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415Y).
블로우조작(500)은 여러 가지 분출모우드에 있는 블로우 조작들을 위한 총칭적인 용어이며 블로우조작이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실행되는 타이머조작이며 필터(43)가 블로우조작과 평행하여 자동적으로 씻어지는 자동필터세탁조작이다.
각 블로우조작에서 타이머조작가 자동필터세탁조작은 제28,29,30도에 나타난 서브루틴가 관련하여 두에 기술된다.
조작스위치(100) 혹은 (260)은 OFF로 전환함과 동시에 (995Y)조작은 정지된다(215).
조작스위치(100) 혹은 (260)이 OFF로 전환도지 않는 한 블로우조작은 계속된다.
더욱이 조작스위치(100) 혹은 (260)은 ON으로 전환함으로써 (415)블로우조작바로전이나 직후에 필터세탁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되며(500) 필터세탁조작은 필터세탁스위치(117)을 ON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900).
이필터 세탁조작은 제31도에 나타난 서브루틴과 관련하여 뒤에 기술된다.
위의 블로우조작은 제28도에 나타난 서브루틴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블로우 작동)
블로우 작동은 최초의 블로우가 유아안전 블로우 혹은 마일드 블로우이고 강도레벨이 중간으로 되도록 프로그램 짜여지며(510), 그것에 의하여 사고의 발생은 조작 시작시에 오수제트에 의하여 유아의 다리가 빠지고 어린아이가 빠지는 것과 같은 것이 방지된다.
유아안전 블로우의 이런 상태에서 원하는 블로우조작은 분출모우드스위치를 ON으로 전환함으로써 선택될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로는 모울드블러우 작동외의 것, 스폿블로우작동은 스폿블로우스위치(102)혹은 (62)를 ON으로 전환시킴으로써(520)시작될수 있다(525).
펄스블로우작동(A),(B),(C)는 펄스블로우스위치(103) 혹은 (263)을 ON으로 전환시킴으로써(530)(531)(532) 실행될 수 있다(535)(536)(537).
웨이브블로우작동(A),(B),(C)는 웨이브블오우스위치(104) 혹은 (265)를 ON으로 전환시킴으로써 (540)(541)(542)실행될 수 있다(545),(546),(547).
사이클블로우 작동(A),(B),(C)는 사이클블로우스위치(105)혹은 (66)을 ON으로 전환시킴으로써 (550)(551)(552)실행될 수 있다(555)(556).
더욱이 프로그램스위치(106)혹은 (267)을 ON으로 전환시킴으로써 (560)(561)(562)각 프로그램블로우 작동(565)(566)(567)은 실행될수 있다.
또다른 블로우모우드에서 마일드블로우로 되돌아오기 위해여 모울드블로우스위치(101) 혹은 (201)는 다시 ON으로 전환된다(510).
모든 블로우작오은 작동스위치(100) 혹은 (60)을 OFF로 전환함으로써 OFF 상태로 정지될수 있다.
이실시예에서는 더욱이 가능한한 사용자가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서 망리드블로우작동, 스폿블로우 작옹, 펄스블로우작동 그리고 웨이브블오우 작동의 경우에는 온수분출위치를 변화시키기 우한 작동이 샐행될 수 있다. 더욱이 온수가 분출되는 강력도를 변화시키기 우한 작동은 마일드블로우, 지압블로우, 펄스블로우, 웨이브블로우 그리고 사이클블로우 작동 경우에 실행될 수있다.
온수 분출위치와 강도레벨을 변화시키기위한 작동은 뒤에 기술된다.
다음에 타이머작동이 제29도에 나타난 서브루틴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타이머 작동)
타이머작동은 사용자가 원하는 블로우작동시간을 설정하도록 허가하여 사용자가 머리로 피가 쇄도한 것을 방지한다.
타이머작동은 아래에 기술된다.
타이머작동이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타이머스위치(114)가 조작판넬(6)위의 작동스위치(100)를 ON으로 밀어재친두에 ON으로 미러제쳐질때(580Y)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디지털 진열을 하는 시각진열부(115)의 시각진열은 타이머진열, 예를들어 최초 블로우작동시간으로서 설정된 5분을 가리키는 5로 변한다.(585)
만약 타이머스위치(114)가 특정한 시간(즉, 2초)내에 OFF로 전환된다면(590Y)타이머진열은 2초가 경과한후에 5:00으로 되며 타이머작동은 시작된다.
타이머진열의 숫자적 가치는 매초마다 감소한다(595).
타이머작동시간이 경과하고 타이머진열이 타이머작동 동안에 타이머스위치(114)를 ON으로 전환하지 않고(600N) 0:00로 될 때(605), 전기한 타이머진열은 5초동안 매 0.5초마다 커지고 꺼지고 꺼지며 버저가 소리나게 된다.
그 이후에 타이머작동(610)의 끝나자마자 작도은 정지되며 타이머진열로의 반환이 이루어진다(615).
타이머가 위의 5분과는 다른 어떤 시간으로 시간을 설덩하기 바랄 때 타이머스위치(114)를 계속하여 2초 혹은 그 이상동안 밀어제침으로써(590N)위의 표시5 1분으 단위로 매 0.5초마다 증가되며, 숫자의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치(즉, 19)에 도달한 후에 1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예를 들어 1분에설 19분까지의 범위로 원하던 블로우 작동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620).
만약 타이머스위치(114)가 바라던 값(즉, 9)이 나타날 때 OFF로 전환된다면(625Y) 2초후에 바라던 타이머시간(즉 9:00)이 표시되고 이타이머진열의 수치는 미초 감소한다(595).
만약 타이머스위치(114)가 ON으로 전환되고(600), 그 다음에 타이머 작동동안 2초내에 OFF로 전환된다면(630Y) 타이머작동은 그 사간점에서 정지도고(635)진열은 타이머 진열에서 시각진열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에 블로우 작동은 계속된다(640).
만약 타이머스위치(114)가 2초 혹은 그 이상동안 계속하여 ON으로 제쳐진다면 타이머진열은 그 시간점에 표시된 분에 1분을 더한것에 대응하는 타이머 설정진열이되며 타이머스스위치(114)의 하락을 계속함을써 타이머 작동시간은 1분단위로 매 0.5초 증가된다(620).
타이머스위치(114)가 원하던 수치가 나타났을 때 OFF로 전환된다면(625Y), 2초후에 타이머를 위한 원하던 시간이 표시되며 그 다음에 표시된 값은 매초 감소한다.(595)
타이머작동은 블로우작동보다 우선권이 있으며 분출모우드와 관계업싱 실행될수 있다(작동정지를 포함.)
타이머 작동동안과 타이머 설정동안과같은 타이머작동과 관련한 모든 작동 타이밍에 있어서 타이머 시간은 조작판넬 (6)의 시각진열부(115)위의 발광다아오드를 밟게 함으로써 표시된다.
시각진열부(115)는 시각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밝게 비추기를 계속한다.
그러므로 타이머 설정작동은 단순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로우 작동상테에서 특정한 시간(즉, 30)동안 작동스위치인 풋이 전혀 없을 때 블로우 작동은 정지된 다.
따라서 특정한 시간이 경과한후에 블로우 작옹을 정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블로우작동을 중단시키기를 망각한 것에 기인하여 오랜시간에 걸쳐서 블로우 작동을 지속을 방지하는 것이 의도이며 그것에 의해서 파우어의 절약과 순환펌프와 파이프를 보호하게된다.
또한 블로우작동이 위헤 설명된 바대로 타이머에 의해서 정지될 때, 이상태는 작동정지 즉, 후에 5초동안 버저소리를 내는 것에 의해서 발표된다.
다음에 자동필터세탁작동이 제30도에 나타난 서브루틴과관현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자동필터 세탁작동)
자동필터세탁작동에 있어서 필터(43)의 세탁은 블롱우작동과 나란히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자동필터세탁작동은 블로우작동으 통합된 시간(순환펌프(P)의 시작에서 부터)이 특정한 시간(즉,1시간)을 경과하고(760Y) 자동필터세탁작동을 만족시키는 블로우작동(765Y)의 경우에 시작된다(770).
여기에 언급된 자동필터세탁상태들은 블로우작동허가 온수위와 온도가 만족되어져야하며 분출모우드가 마일드블로우, 지압블로우, 웨이브블오우 그리고 사이클블로우모우드중의 하나이어야하며, 강도레벨은 강, 중간강 그리고 중간중으 하나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필터 세탁작동은 똑같은 작동의 특정한 시간(즉, 1분)이 경과하자마자 끝나며, 반면 블로우 작동은 계속하며 블로우작동의 시간통합은 다시 시작된다(785).
자동필터세탁상태가 자동필터세탁작동 동안에 분출모우드 혹은 강도레벨의 변화에 기인하여 더 이상 만족되지 않을 때(계속되지 않을때)(775Y)그리고 정지 이후에 다시 시작하는 시간수가 특정한 시간수(즉,4)보다 적을때(790N), 자동필터세탁 작동은 정지되며(795), 그이후에 자동필터세탁샹태를 만족시키는 블로우작동이 시직될때(800Y), 자동필터세탁작동이 시작된다(770).
다른 한편 자동필터세탁작동에 있어서의 정지 시간수가 특정한 시간수에 도달할 때 자동필터세탁작동은 끝난다(785).
이것은 무한하게 다시 시도하는 것에 기인한 욕체(1)의 진공을 방지하기위한 것이다.
블로우 작동의 통합된 시간이 특정한 시간(즉, 1시간)을 경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필터세탁상태를 만족시키지 않는 블로우 작동의 경우에 이어서(765N), 자동필터세탁자곧은 자동필터세탁상테를 만족시키믐 블오우작동이 시작되 동시에 시작된다(800Y).
다음에 필터 세탁작동이 제31도에 나타난 서브루틴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필터세탁작동)
필터세탁작도은 단지 작동스위치(100) 혹은 (260)이 ON으로 전환한 이후에만이 블로우작동전이나 이후 혹은 그 동안에 조파 필터 세탁스위치(117)를 ON으로 저환시킴으로써 블로우작동에 앞서 실행될 수 있다.
필터세탁스위치(117)가 ON으로 전환될때(905Y), 피터세탁작동을 시작되고(910),그리고 압력감지기 (48)에 의해서 검출괸 순환펌프(P)의 배출압력과 온수온도감지기(T)에의해서 검출된 욕저체(1)에 있는 온수온도에 있어서 정상상태가 전혀 없다면 즉, 압력과 온수온도가 블로우작동허가 압력과 온도라면(915N), 필터세탁작동은 특정한 시간(즉,5분)동안 계속되며 특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작동은 정지된다(215).
필터세탁작동에서 순환펌프(P)으 회전수는 예를 들면 3000rpm으로 설정되며, 다리-와 동-옆 분출노즐(2),(3)에 있는 분출노즐조정밸브(22)는 완전히 닫혀진 위치에서부터 뒤로 향하여 예를들어 0.5mm약 간 열리며, 등-옆 분출노즐(4)에 있는 분출용적 조정밸브(22)만이 완전히 닫힌다.
압력과 수온이 정사잉 아니라면(915v), 수온이 블로우 작동허가 온도 범위에 하부한계점(즉, 5℃)보다 더 낮은지에 대한 검출이 이루어지며 그 답이 긍정적이라면(925y), 결빙증명작동이 시작되고(320), 반면 그 답이 부정적이면, 즉 온수온도가 전기한 온도범위의 상부한계점(즉, 50℃)보다 더 높다면(925n), 작동은 정지한다(215).
그 다음에 결빙증명작동이 제332도에 나타난 서브루틴과 관현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결빙증명작동)
결빙증명작도은 순환펌프(p)와 온수순환통로(d)에 있는 물이 결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행된다.
그것이 블로우작동에 앞서 실행되며 수온이 블로우작동 동안에 블로우작동 허가 온다 범위의 하브한계점(즉, 5℃)보다 더 낮게 될 때 블로우 작동은 강력하게 정지되며 결빙증명작도은 시작된다.
첫째, 온수순환통로(D)에 있어서으 온수온도는 온수온도감지기(T)에 의해서 검출되며 만약 검출된 온도가 블로우작동어가 온도범위의 하부 한계점(즉, 5℃)보다 더 낮다면(319Y), 욕조체(1)에서의 수위는 수위감지기로서 역할을 하는 압력감지기(48)에 의해서 검출된다.
만약 검출된 높이가 블로우 자공허가높이(즉, 흡입부 1m의 상부끝보다 더 높은 높이)라면 (315Y), 결빙증명작동은 시작된다(320).
결빙증명작동에서 순환펌프(P)는 온수순환통로(D)를 거쳐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인버터조절로써 낮은속도(즉, 1000rpm)로 회전된다.
이 경우에 만약 수온이 전기한 하부한계점온도인 온도에 온수온도감지기(T)에 있어서의 자기이력에 대응하는 온도(즉 2-3℃)를 더한 것보다 더 낮은 블로우 작동허가 온도범위의 하부한계점(즉, 5℃)보다 더 낮다면(325N) 그리고 욕저체(1)에 있는 수위가 블로우작동 허가 높이라면(330V), 결빙증명작동은 계속된다.
그 결빙증명 작동동안에 낮은 수온을 가리키는 표시 ℃는 조작판넬(6)의 시각진열부(115)위에 매초커지고 꺼진다.
만약 온수의 추가공급에 으해서 수온이 블로우작동허가 온도범위의 하부 한계점이나 더높이 혹은 전기한 하부한계점온도인 온도에 온수온도감지기(T)에 있어서의 자기이력에 대응하는온도를 더한 온도나 더 높이 상승한다면(325Y), 작동은 정지한다(215).
위에 기술된 기포발생욕조의 작동절차에 있어서의 주요작동은 아래에서 더 설명도리 것이다.
(Ⅳ-2) 블로우 작동을 개새하기 위한 조건의 설명
앞서 말한 작동절차에 있어서의 블로우 작동은 욕조체(1)에 있어서의 미리 설정된 수위와 온도조건이 만족될때만이 시작된다.
더욱 상세하게로는 제33도에 나타난바대로 수위조건은 흡입구(1m) 와 욕조체(1)에 설치된 배-옆 분출노즐(4)에근거하여 결정된다.
각 배-옆 분출노즐(4)으 개구의 상부끝보다 더높은 수위는 수위(A)로 지적되며, 각 배-옆 분출노즐(4)의 개구의 상부끝과 흡입구(1m)의 상부끝 사이의 수위는 수위(B)로 지적되고 흡입수위(1m)의 상부끝보다 더낮은수위는 수위(C)로 지적된다.
수위가(A) 혹은 (B)일때에 블로우작동은 시작되고 반면에 수위가(C)일 때 블로우 작동은 시작되지 않는다.
더욱이 수위가(A)혹은 (B)로부터 (C)로 블로우작동동안에 변화돌대 블로우작동은 정지된다.,
이 경우에 수위가 온수의 추가공급에의해서(C)로부터 (B) 혹은 (A)로 되돌아갈때 조차도 예를 들어 블로우작동이 OFF로 된다할지라도 작동스위치를 ON으로다시 전환하는 것에 의하여 수위 하락 정지가 취소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작동의 안전과 확실성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조작판넬(6)의 시각진열부(115)에서 수위하락을 가리키는 표시L는 발광다이오드에 의해서 15초동안 매초교대로 커지고 꺼지며 동시에 경고가 버저의 소리에 의해서 주어진다.
수위(A),(B),(C)에 대한 검출은 제34도에 나타난 방법으로 실행된다.
사용자가 욕저에 들어가거나 욕조를 떠날 때 온수 표면의 흔들림을 고려하면 수위감지기로서 역할을하는압력감지기(48)의 출력전압은 추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이력이 제공되며 그것에의해서 조절기(C)의 조절작동은 압력감지기(48)를 통해서 부드럽게 실행될수 있다.
제34도에서(SOC)는 수위(C)보다 더 낮은 수위로부터 수위(C)까지의 시초값을 나타내며, (Scb)는 수위(C)에서 수위(B)까지의 시초값을 나타내고(Sba)는 수위(B)에서 수위(A)까지의 시초값을 나타내고, (Sab)는 수위(A)에서 수위(B)까지의 시초값을 나타내며, (Sbc)는 수위(B)에서 수위(C)까지의 시초값을 나타내고, (Sco)는 수위(c)에서 더 낮은 수위면까지으 시처값을 나타낸다.
자기이력은 시초값(SSOC)와 (Sco)사이와, 시초값(Scb)와 (Sbc)사이 그리고 시초값(Sba)와 (Sab)사이에 제공된다.
수온조건은 사용자의 보호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파이프의보호를 고려하는 수온 즉, 50℃까지으 범위에 있는 수온은 수온(B)로 지적되고 5℃보다 더 낮은 수온은 수온(C)로 지적된다.
블로우작동은 수온9B)에서 실행되며 수온(A) 혹은 (C)에서는 실행되지 않는다.
수온이 (B)에서 (A)혹은 (C)로 블로우작동동안 변화할 때 작동은 정지된다.
이 경우에 수온이 물의 추가공급에 의해서 (A)에서 (B)로 반환된다 할지라도 예를 들어 블로우작동이 OFF로 될지라도 작동스위치를 ON으로 다시 전환하는 것만으로도 온도의 상승에 기인한 작동의 정지는 작동으 안전과 확실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취소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높은 수온을 가리키는 표시 HSMS 15초 동안 조작판넬(6)으 시각진열부(115)위의 발광다이오드에 으하여 매초 교대로 커지고 꺼진다.
동시에 버저는 경고를 내기 우하여 소리를 낸다.
수온(A),(B),(C)는 제35도에 나타난 바어법으로 검출된다.
사용자가 욕저에 들에가거나 욕조를 떠날 때 온수표면으 흔들림을 고려하면 온수온도감지기(T)의 저함갑은 추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이력이 제공되며 그것에 의해서 조절기 (C)의 조절작동은 자연스럽게 실시될수 있다.
제 35도에서 (S' oc)는 수온(C)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온도(C)까지의 시초값을 나타내며, (S' cb)는 온도(C)에서 (B)까지의 시초값을 나타내고, (S' ab)는 온도(B)에서 (A)까지의 시초값을 나타내고, (S' ba)는 온도(A)에서 (B) 까지의 시초값을 나타내며 (S' bc)는 온도(B)에서 (C)까지으 시초값을 나타내고 (S' co)는 온도(C)에서 더 낮은 온도면까지의 시초값을 나타낸다.
자기이력은 시초값(S' oc)와 (S' co)사이와 (S' cb)와 (S' bc) 사이 그리고 (S' ba)와 (S' ab) 사이에 제공된다.
(Ⅳ-3) 분출모우드의 상태변화 설명
위에 기술된 작동절차에있어서의 분출모우드의 상태변화는 표 2에 나타난 바대로이다,.
표 2에서 작동정지조건과분출모우드는 수직방향으로 열거되며 상태숫자는 대응하는 우측위치로 열거되고, 반면 측 방향으로는 조작판넬(6)위에 발광다이오드로 표시되는 진열부분(마일드블로우, 스롯블로우, 펄스블로우, 웨이브블로우, 사이클블로우, 프로그램블로우, 선택형태 A,B,C, 진열부분)뿐만 아니라 작동스위치, 프로그램블로우스위치)갈 열거된다.
표 2는 각 작동스위치와 ON으로전환하기전으 분출모우드에서 ON으로 전환한후의 분출모우드까지의 변화를 나타낸다.
각각이 서브모우드로서 선택형태 (A),(B),(C)를 가지고 있는 펄스블로우, 웨이브블로우, 사이클블로우 그리고 프로그램블로우의 경우에 있어서 똑같은 종류의 분출모우드 사이에는 새로 추가된 서브모우드가 밀 설정된순서 예를 들면 사용하는 높은 빈도스에서 낮은 빈도수의 순서(이 실시예에서 A-B-C-A)로 반드시 변화되어져야 한다.
다른 종류의 분출모우드 사이에서는 미리 설정된 모우드에 예를들면 높은 사용빈도의 서브모우드(이 실시예에서 서브모우드A), 변화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이제 표 2와 관현하여 설명이 더 구체적을 된다.
작동스위치(100)를 ON으로전환함과동시에 작동정지(상태번호 0)에서부터 마일드블롱우(상태번호 1)까지 변화된다.
이 상태에서 만약 펄스블로우스위치(263) 혹은 (103)이 ON으로 전환된다면 변화는 마일드블오우에서 펄스블로우(A)(상태번호 3A)까지 이루어진다.
만약 이상태에서 지압 블로우스위치(262) 혹은 (102)가 ON으로 전환한다면 변화는 펄스블로우(A)에서 스폿블로우(상태번호 2)까지 이루어진다.
만약 펄스블로우(A)상태에서 펄스블로우스위치(263)혹은 (103)이 같은 종류의 분출모우드로의 변화를 위하여 ON으로 전환된다면 펄스블로우(B)(상태변호 3B)로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웨이브블로우스위치(265) 혹은 (104)가 펄스블로우(A)의 상태에서 다른 종루의 분출모우드까지으 변호를 위하여 ON으로 전환한다면 변화가 웨이브블로우(A)(상태번호 4A)에 이루어지며 반면 사이클블로우 스위치(266) 혹은 (105)가 ON으로 전환된다면 변화가 사이클블로우(A)(상태번호 5A)에 이루어지거나 프로그램블로우스위치(267) 혹은 (106)이 ON으로 전환된다면 변화는 프로그램 블로우(A)(상태번호 6A)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분출모우드가 작동시작시에는 마일들블로우모우드에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린이거나 노인일 때 조차도 사용자가 온수분출구에의해서 그의 다리가 빠지거나 굴러떨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또한 사용자가 지나친 블로우힘에 기인한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더욱이 서브분출모우드가 미리 설정된 순서로 반드시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브모우드변화 형태를 이해하기가 쉽고 작동하기가 용이한다.
표 2에서의 마크 ON는 채택되어지는 분출모우드의 진열부에 불을 켜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들면 펄스블로우(A)의 경우에 문자 A 는 펄스블로우진열부(138)와 선택형태진열부(142) 양쪽에서 불을 켠다.
프로그램블로우 형태 (A),(B),(C)의 경우에 있어서, 프로그램블로우 진열부(14)와 선택형태 진열부(`145)는 불을 밝히며, 반면 마일들블로우, 지압블로우, 펄스블로우, 그리고 웨이브블로우진열부 (136),(137),(138),(139)는 계속해서 켜지고 꺼진다.
표2에서 마크 -는 불변을 나타내며 마크 .는 OFF상태를 나타낸다.
위에 기술된 분출모우드의 상태변화에서 블로우 강도레벨은 분출모우두가 변화된다 할지라도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변화전에 분출모우드에 있어서 체가 느끼는 강도레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따라서 강도 레벨변화적동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며, 즉 사용자가 분출모우드의 불편하게 느끼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또한 분출모우드에 있어서의 변화와 함께 중간 높이로 강도레벨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온수분출위치는 분출모우드가 변화될지라도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화전에 분출모우드에 온수분출위치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분출위치 변화작동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며, 즉 사용자가 분출모우드 변화시에 불편하게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수분출위치에 대해서는 그것 또한 분출모우드에서의 변화와 함께 모든 분출노즐(2),(3),(4)을 여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감추어진 몸너머로 변화후에 분출모우드를 느끼게하며, 그 이후에 분출모우드를 배합하는 바라던 분출위치로 변화한다.
Figure kpo00001
(Ⅳ-4) 온수분출위치의 상태변화설명
(Ⅳ-1)의 흐름차아트에 근거한 적동절차에서 온스분출위치 변화작동이 제36도의 설명도와 관련하여아래에 기술된다.
이 실시예에서온수 분출위치는 사용자의선호에 따라서 몸전체나 몸의 일부에 온수배출구를 적용하기 위하여 변화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로는 욱공작동은 온수가 여섯 개, 가리-,등-, 그리고 배-옆 분출노즐(2),(2),(3),(3),(4),(4)로부터 동시에 분출되는 곳에서 시작된다(950).
다리-,등-,그리고 배-옆 분출노즐을 위한 모든 ON-OFF형태 수위치가 ON인 욱공작동으로부터(950), 변화가 두 개으 분출노즐이 OFF 이미 어떤 스위치를 밀어 제침으로써 (951)(952)(953)네게의 구멍작동(955)(956)(957)안으로 변화가 이루어질숭 있다.
다리-,등-그리고 배-옆 분출노즐(951)(952)(953)을 위하여 형태 스위치 밖으로 ON 그리고 OFF 상태 스위치를 밀어제침으로써 네 개의 구멍작동(955)(956)(957)으로부터 육동작동(950)으로 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리-,등-그리고 배-옆 분출노즐(960)-(965)을 위하여 형태 스위치 밖으로 ON 상태 스위치를 밀어제침으로써 추가의 두 개의 분출노즐이 OFF인 두 개의 구멍작동(967)(968)(969)으로 네 개의구멍작동(955)(956)(957)이 변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다리-,등-그리고 배-옆 분출노즐(960)-(965)을 위하여 ON 과 OFF 상태 스위치를 형태스위치 밖으로 밀어제침으로써 네개의 구멍작동(967)(968)(969)에서 네 개의 구멍작동(955)(956)(957)으로 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 3은 위에 기술된 온수분출위치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며, 거기서 작동정지와 분출위치(등, 배, 다리, 등-베, 배-다리, 등-다리, 등-배-다리)가 수직 방향으로 열기되며 상태숫자들은 대응하는 우측위치에열거되어 있고 반면 측방향으로는 작동스위치(등-,배- 그리고 다리-옆 스위치 뿐만 아니라 작동 스위치)와 조작판넬(6)위의 발광다이오드에 으하여 ON으로전환되는 파일럿림프(등-,배- 그리고 다리-옆 팔일럿램프)가 열거되어 잇다.
표3과 관련하여 이제 구체적으로 설명이 된다.
만약 작동스위치(100)가 ON으로 전환된다면 작동정치(상태번호 0)에서 온수가 여섯게, 다리-, 등- 그리고 배-옆 분출노즐(2),(2),(3),(3),(4),(4)로부터 동시에 분출되는 욱공작동(950)(상태번호 111)으로의 변화가 이루어지며 만약 이 상태에서 등-옆 노즐형태 스위치(274)혹은 (111)이 OFF)로 밀어제처진다면 다리- 그리고 배-옆으 분출노즐(2),(2),(4),(4)의 네 개의 구멍작동(955)에 변화가 생기며 상태번호는 11이된다.
위의 네 개의 구멍작동(상태번호 11)에서 두 개의 다리-옆의 분출노즐사용 형태스위치를 ON과 OFF로 전환함을써 욱공작동에서 네게 혹은 두 개의 구멍작동으로나 혹은 두 개의 구멍작동에서 네 개 혹은 여섯 개의 구멍작동으로의 간단한 변화가 이루어질수 있다.
표3에서 마크 -는 불변을 나타내며 마크 .는 OFF상태를 나타낸다.
위에 기술된 온수분출위치의 상태변화에서 강력도는 온수분출위치가 변화된다할지라도 블로우작동이 정지되지 않는한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변화전에 분출위치에서 강도레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강도레벨 변화작동을 실시할 필요는 없으며 즉 사용자가 분출위치의 변화시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Ⅳ-5) 블로우작동에서 강도레벨의 상태변화설명
(Ⅳ-1)의 흐름차아트에 근거한 작동절치에서의강도레벨은 각 분출모우드에 대하여 강, 중간강, 중간, 중간약 그리고 약의 다석 단계로 설정되며 다른 강고가 분출모우드의 내용을 고려하여 설정되는데 즉 다른 분출모으드는 똑같은 강도레벨표시 중간으로 조차도 다른 아래의 강도롤 유도한다.
그런 강도레벨의 상태변화가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4에서 프로그램블로우형태(A),(B),(C)뿐만 아니라 작동정지와 강도레벨의 다섯단계(강, 중간강, 중간, 중간약, 약)는 수직방향으로 열거되어있으며 상태번호는 대응하는 우측위치로 열거되어 있고 반면 측방향으로는 작동스위치(온스블로우강-그리고 약-옆 스위치뿐만 아니라 작동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들를 사용하는 강도레벨표시렘프(레벨강, 중간강, 중가느 중간약 그리고 약 표시램프)가 열거되어 있다.
온스 블로우 강-옆 스위치(68)혹은 (107)이 밀어제쳐질 때 그리고 풀어질 때 강도가 한단계 높아지는 방향으로 변화가 생기도록하고반면 온수 블로우 약-옆 스위치(69)혹은 9108)이 밀어제쳐지고 풀어질 때 강도가 한단계 약해지는 방향으롭 변화가 생기도록 강도레벨이 설정된다.
예를들면 만약 작동스위치(100)가 ON으로 전환된다면 변화는 작동정지(상태번호0)에서 강도 중간(상태번호3)으로 이루어지며 만약 이상태에서 온수블로우 강-옆 스위치(68)혹은 (107)이 밀어제쳐지고 풀어진다면 변화는 중간에서 강도레벨 중간강(상태번호4)으로 이루어지며 그다음에 만약 똑같은 스위치(68)혹은 (107)가 다시 밀어제쳐지고 풀어진다면 변화는 강도렙레 강 (상태번호5)으로 이우러진다.
더욱이 만약 강도레벨중간에서 온수블로우 약-옆 스위치(69)혹은 (108)이 밀어제쳐지고 풀어진다면 변화는 강도레벨 중간약(상태번호2)으로 이루어지며 똑같은 스위치(69) 혹은 (108)이 다시 밀어제쳐지고 풀어진다면 변화는 강도레벨 약(상태번호 1)으로 이루어진다.
프로그렘 블로우형태 (A),(B),(C)에서는 강도레벨이 미리 프로그렘 짜여지기 때문에 온스블로우 강-과 약-옆 스위치(68),(69)혹은 (107),(108)의 작동과 동시에 변화될수 없다.
표4에서는 마크 ON는 작동에 있어서 강도레벨 표시램프의 밝기를 가리킨다.
마크 ON/OFF는 강도레벨을 변화시킬수 없는 프로그램 블로우형태(A),(B)혹은 (C)가 작동중에 있을 때 강도 레벨 표시램프가 ON과 OFF로 가고 있음을 가리킨다.
더욱이 -는 불변을 가리키며 .는 OFF 상태를 표시한다.
따라서 강도레벨이 블로우작동시작시에 중간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도록 유발하는 지나치게 강한 온수배출구는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또한 사용자가 어린아이 혹은 노인일 때 사용자가 온수배출구에 빠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더욱이 강도레벨의 증가와 감소를 위하여 한단계씩 강도레벨이 변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몸이 느끼느 급작스런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에서의 수압과 갑작스런 상승에 기인한 수충에 의하여 파이프가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있다.
Figure kpo00003
(Ⅳ-6) 프라이어리티 주작동의 설명
(Ⅳ-1)의 흐름차아트에근거한 자동절차에있어서의 프라이어리티 주작동 표5에 나타난 바대로이다.
Figure kpo00004
따라서 높은 수온에서의 정지가 안전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최우선권이 주어지며 그리고 다른 작동에 대해서도 우선순위가 그들사이에 주어지며 그것에 의해서 사용자와 구성부재들을 보호하는 것을 허가하며 능률적인 작동을 실시아기위한 최적의 조절을 허가한다.
(Ⅳ-7) 분출용적조절밸브의 폐와 순환펌프의 회전수 사이의 제어타이망
다음 표(6)과 (7)은 다리-, 등- 그리고 배-옆 분추노즐(2),(3),(4)의 개폐작동사이의 제어타이밍과 순환펌프(P)의 회전수의변화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표6에 나타난 분출모우드를변화시킬시의 순화펌프(p)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경우에는 분출노즐(2),(3),(4)의 개폐작동은 펌프(p)의 회전수를 변화시키기전에 실행되며 반면 순환펌프(p)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때는 순환펌프(p)의 회전수변화는 분출노즐(2),(3),(4)의 개폐작동전에 실행된다,
온수배출구의 수가 표7에 나타난바대로 그런 배출구의 수를 변화시킬시에 감소되어야할 때에는 순환펌프(7)의회전수는 분출노즐(2),(3),(4)의닫는 작동전에 감소되며 반면 온수배출구의수가 증가되어야 할 때에는 노즐(2),(3),(4)의 여는 작동이 펌프(p)의회전수를 변화시키기전에 실해된다,
따라서 온스배츨구의 수와 분출모우드를 변화시킬시에 분출노즐(2),(3),(4)의 개폐를 위한 제어타이밍과 순환펌프(p)의 회전수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타이밍은 다르게 만들어지며, 그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블로 강도의 변화에기인한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았을 뿐만 아니라 순환펌프(p)의 배출압력에서의 돌연적변화도 방지될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서 수충등에 기인한 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게된다.
(Ⅳ-8) 인버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의 고주파성분에 대한 전기절연 이하, 인버터에의해 발생되는 전류의 고주파성분의 전기한 욕조본체(1)내로의 전달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전기절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제46도 내지 제4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절연변압기(1140)가 인버터(E)와 상용전원(937)사이에 삽입된다.
제49도는 절연변압기(1140)가 설치될 때 누설고주파전압의 주파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제50도는 시간에 따른 누설고주파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용이하게 이해될수 있듯이, 제49도 및 제50도에 표시된 고주파 성분의 누설고주파전압과 누설고주파전류 각각은 제51도 및 제52도에 표시된 종래의 욕조장치의 누설고주파전압과 누설고주파전류보다 훨씬 낮다.
따라서, 본발명은 어떤 이유에 의해 모우터(M)가 불완전하게 접지되더라도 목역하는 사람이 감전도어 쓰러지는 것을 효율적으로방지할 수있다.
(b) 제10도 내지 제1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p)와 안버터(E)는 기능장치(9)애에 수용되고, 기능장치(9)의 케이싱과 인버터(E)사이뿐만 아니라 순환펌프(p)와 인버터(E)사이에도 전기절연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의해 본발명은 어떤 이유에 의해 무유터(M)가 불완전하게 접지되더라도 목욕하는 사람이 감전되어 쓰러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 제53도 내지 제5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절연변압기(1140)는 인버터(E)와 상요전원(937)사이에 삽입되고, 순환펌프(p)의 모우터케이싱(938)은 상용전원(937)의 중간부분에 접속된다.
이와같은 구조에 의해 본발명은 어떤 이유에 의해 모우터(M)가 불완전하게 접지되더라도 목용하는 사람이 감전되어 쓰러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d)순환펌프(p)의 모우터부(1038)와 펌프부(32)는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모우터부(1038)와 펌프부(32)는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된다.
즉, 제9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합성수지로 형성된 절연파(1033)은 계자철심(1024)으로부터 모우터케이싱(38)으로 흐르는 고주파 전류가 펌프케이싱(32)를 통해 욕조(1)에에 담겨진 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우터케이싱(32)과 펌프케이싱(38)사이에 삽입된다.
상부임펠러(33a)와 하부임펠러(34a)를 일체적으로보유하는 임펠러는 절연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모우터(M)의 로우터축(35)은 임펠러 상부보스(1034)의 코아 (1035)내에 끼워진다.
따라서 펌프부(32)는 모우터부(38)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러한 구조에로 본발명은 어떤 이유에 의해 모우터(M)가 불완전하게 접지되더라도 목욕하는 사람이 감전되어 쓰러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e)제10도내지 제1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 인버터(E)가 그안에 인버터(E)를 수용하는 기능케이싱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인버터(E)와 기능장치(9)의케이싱(60)사이의 정전결합이 최솨화된다.
이러한 구조에로 본발명은 어떤 이유에 의해 모우터(M)가 불완전하게 접지되더라도 목욕하는 사람이 감전되어 쓰러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f)제10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기능장치(9)는 욕저본체(1)와 떨어져서 배치되고, 기능장치(9)내에는 순환펌프(p)가 장치(9)으 중앙에 배치되고, 필터(43)가 순화펌프(9)옆에 배치되며 이러한 요소위에 제어장치(C)와 인버터(E)등과 같은 전기부품과 모우터부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로 본발명은 어떤 이유에 의해 모우터(M)가 불완전하게 접지되더라도 목욕하는 사람이 감전되어 쓰러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g)제57도에표시된 바와같이 라인필터(1143)가 인버터(E)와 상용전원(937)사이에 삽입된다.
제56도에 표시된 회로에서 부호(1145)는 한쌍의 리이드선을 나타내고 부호(1146)(1147)는 콘덴서를 나타내며, 부호(1148)는 필터(1143)의 케이싱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러 본발명은 어떤 이유로 의해 모우터(M)가 불완전하게 접지되더라도 목욕하는 사람이 감전되어 쓰러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Claims (14)

  1. (a)욕조본체와, (b)전원작동모우터에 의해 구동되고 전기한 욕조본체의 외부에 장착된 순환펌프와, (c)전기한 욕조본체내로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단을 보유하는 온수강제공급통로와 온수흡입통로로 구성되어 전기한 욕조본체와 전기한 순환펌프사이에 배치된 온수순환통로와, (d)전기한 온수간데 공급통오의 전기한 종단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으 분출노즐과, (e)전기한 분출노즐로부터 전기한 욕조본체내로 기포발생온수를 분출하기 위해 전기한 온수강제공급통로에 접속된 흡기구와, (f)전기한 순환펌프의전원작동모우터와 전원사이에 배치되고, 전기한 분출온수의 분출량과분출압랙이 다른 여러 가지 모우드로 전기한 온수를 분출하기 위해 인버터에 의해 수행되는 주파수변조에 의하여 전기한 모우터의 회전수가 용이하고 원활하게변화되도록 전기한 순환펌프의 작동이 제어되게 하는 인버터와, (g) 인버터에 의해 발새외는 전류의 고주파상분이 전기한 욕조본체의 전기한 온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장치로 이루어진 것을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분출모우드는 전기한 분출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온수의 양이 많고 그 분출압력이 낮은 마일드블로우와, 전기한 분출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온수의양이 적고 그 분출압력이 높은 스폿블로우와 온수의 분출과 중지를 교대로 수행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전기한 분출노즐이 개폐되는 펄스블로우와 전기한 순환펌프의 회전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분출되는 온수의 양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웨이브블로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 제어 기포발생욕조.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온수강제공급통로는 전기한 욕조본체내로 개방되는 다수의 종단과 전기한 온수강제공급통로의 전기한 종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분출노즐을 보유하고, 전기한 제어장치는 전기한 각각의 분출모유드의 임의의 사이클에서 전기한 각각의 분출모우드의 임의의 사이클에서 전기한 그분출노즐을 개폐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사이클에서 전기한 분출노즐으 분출위치가 변화되는 사이클블로우를 수행하기 위해 전기한 분출노즐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텨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4. 제1항에 있어서, 블로우의 변화를 주기위해 전기한 여러 가지 분출모우드에서 전기한 각 분출노즐의 개방도와 폐쇄도 및 전기한 순환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에의해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기한 분출모우드, 전기한 분출온스의 분출강도, 전기한 분출노즐의 분출위치선택이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프로그램블로우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 제어 기포발생욕조.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각 분출모우드가 다수의 서브분출모우드로 구성되고, 매번 전기한 분출모우드가 하나의 분출모우드로부터 다른 분출모우드로 변화되며, 전기한 제어장치내에 기설정되어있는 기준서브분출모우드가 선택되는 다른 프로그램블로우가 수행될수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6.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분출온수의 양과 압력은 각 분출모우드에서 사인곡선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분출온수의 양과 압력은 각 분출모우드에서 불규칙곡선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8.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절연변압기가 전기한 인버터와 사용전원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버터에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9.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순환펌프와 전기한 인버터는 기능장치내에 수용되고, 전기한 기능장치와 전기한 인버터 사이뿐 아니라 전기한 수노한펌프와 건기한 인버터사이에도 전기절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버터에 의한 순화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10.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절연변압기가 전기한 인버터와 상용전원사이에 삽입도고, 전기한 순환펌프의 모우터케이싱은 전기한 상용전원의 중간부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버터에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11.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순환펌프의 모우터와 펌프부는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전기한 모우터부와 전기한 펌프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버터에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1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인버터는 그안에 전기한 인버터를 수용하는 기능장치와 전기전으로 절연되어 전기한 인버터와 전기한 기능장치 사이의 정전결합이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13. 제1에 있어서, 기능장치는 전기한 욕조본체와 떨어져서 배치되고, 전기한 기능장치 내에는 전기한 순환펌프가 전기한 기능장치의 중앙에 배치되고, 필터가 전기한 순환펌프옆에 배치되며, 이러한 요소들위에 전기한 제어장치와 전기한 인버터등과 같은 전기부품과 모우터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14.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인버터와 상용전원사이에 라인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KR1019890020628A 1988-12-29 1989-12-29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KR970009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73367 1988-12-29
JP63-331772 1988-12-29
JP1-140151 1988-12-29
JP1-140141 1988-12-29
JP33177288A JP2710810B2 (ja) 1988-12-29 1988-12-29 気泡発生浴槽
JP7336789A JP2755985B2 (ja) 1989-03-24 1989-03-24 浴湯噴出制御を行なう気泡発生浴槽
JP1140141A JP2890478B2 (ja) 1989-06-01 1989-06-01 気泡発生浴槽の浴湯循還ポンプ駆動回路
JP1140151A JPH034866A (ja) 1989-06-01 1989-06-01 気泡発生浴槽の機能部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015A KR900009015A (ko) 1990-07-02
KR970009250B1 true KR970009250B1 (ko) 1997-06-09

Family

ID=2746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628A KR970009250B1 (ko) 1988-12-29 1989-12-29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57826A (ko)
EP (1) EP0376845B1 (ko)
KR (1) KR970009250B1 (ko)
AT (1) ATE107159T1 (ko)
AU (1) AU632301B2 (ko)
CA (1) CA2006933A1 (ko)
DE (1) DE6891622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3353B (de) * 1990-05-25 1991-10-10 Koller Rudolf Wannensprudel-bzw. massagebad mit umwaelzeinrichtung fuer wasser
DE4108566C2 (de) * 1991-03-15 1996-02-22 Dueker Eisenwerk Fernbedienungseinrichtung für die Steuerung der Wasser- und/oder Luft-Zufuhrdüsen einer Badewanne
DE29621097U1 (de) * 1996-12-05 1998-04-02 Heddernheimer Metallwarenfab Fernbedienung für eine Massage- und/oder Sprudelvorrichtung
JP3625610B2 (ja) * 1997-03-31 2005-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調理装置
IT1294446B1 (it) * 1997-07-03 1999-03-24 Ideal Standard Spa Gruppo di chiusura e collegamento, per bocchette d'idromassaggio
US6407469B1 (en) 1999-11-30 2002-06-18 Balboa Instruments, Inc. Controller system for pool and/or spa
US20040049842A1 (en) * 2002-09-13 2004-03-18 Conair Cip, Inc. Remote control bath mat blower unit
US7030343B2 (en) * 2002-10-03 2006-04-18 Balboa Instruments, Inc. Controller system for bathing installation
EP1426501A1 (de) * 2002-11-27 2004-06-09 Franz Kaldewei GmbH & Co.KG Sanitäre Anlage
US8540493B2 (en) 2003-12-08 2013-09-24 Sta-Rite Industries, Llc Pump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287676B2 (en) * 2004-03-30 2007-10-30 Cathleen Siok-Syuan Chua Baby blanket for use with front-worn baby carrier
US7854597B2 (en) * 2004-08-26 2010-12-21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Pumping system with two way communication
US8480373B2 (en) 2004-08-26 2013-07-09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Filter loading
US8602745B2 (en) 2004-08-26 2013-12-10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Anti-entrapment and anti-dead head function
US7845913B2 (en) 2004-08-26 2010-12-07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Flow control
US7686589B2 (en) 2004-08-26 2010-03-30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Pumping system with power optimization
US8469675B2 (en) 2004-08-26 2013-06-25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Priming protection
US7874808B2 (en) 2004-08-26 2011-01-25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Variable speed pumping system and method
GB0421488D0 (en) * 2004-09-28 2004-10-27 Electronica Products Ltd Bathing pool
EP1657221A1 (de) * 2004-11-04 2006-05-17 Unbescheid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Badewasser
KR100711979B1 (ko) * 2005-12-16 2007-05-02 주식회사 에스피레저 인버터 펌프를 이용한 수영장내 온탕 물공급장치 및 방법
US20080148471A1 (en) * 2006-11-28 2008-06-26 Bradford Thomas Tatum Portable spa with sequenced jet pulsations
CN200980613Y (zh) * 2006-12-13 2007-11-28 东辉塑胶(上海)有限公司 一种按摩水池
GB0625571D0 (en) * 2006-12-22 2007-02-07 Electronica Products Ltd Bathing pool
WO2008078121A1 (en) * 2006-12-22 2008-07-03 Electronica Products Limited Bathing pool
US8104110B2 (en) * 2007-01-12 2012-01-31 Gecko Alliance Group Inc. Spa system with flow control feature
US20080172783A1 (en) * 2007-01-19 2008-07-24 Smith Scott A Bathtub with air-water injection system
CA2678016C (en) * 2007-02-26 2014-01-14 Groupe Gecko Alliance Inc.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use in configuring a bathing unit controller
US8769733B2 (en) 2007-06-18 2014-07-08 E. Taylor Galyean Computer-controlled hydrotherapy system
CA2674331A1 (en) * 2008-08-06 2010-02-06 Maax Bath Inc. Bypass system to control liquid volume
WO2010027025A1 (ja) * 2008-09-03 2010-03-11 Toto株式会社 浴槽装置
ES2773888T3 (es) 2008-10-06 2020-07-15 Danfoss Low Power Drives Método para operar un sistema de seguridad de liberación de vacío
DE102008064161B4 (de) * 2008-12-19 2013-09-19 Bühler Motor GmbH Elektronisch kommutierter Gleichstrommotor für eine Flüssigkeitspumpe
US9556874B2 (en) 2009-06-09 2017-01-31 Pentair Flow Technologies, Llc Method of controlling a pump and motor
US9641959B2 (en) 2014-05-23 2017-05-02 Gecko Alliance Group Inc. Household for industrial device including programmable controller an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use in configuring same
US9445482B2 (en) 2014-05-23 2016-09-13 Gecko Alliance Group Inc. Light bulb and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configuring same
US9775772B2 (en) 2015-03-03 2017-10-03 Kohler Co. Whirlpool bathtub and purging system
CN105055150B (zh) * 2015-09-21 2017-03-08 宁波吉登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水压丰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6214A (en) * 1936-09-22 1940-01-09 Parks Cramer Co Liquid atomizing device
US2762311A (en) * 1952-10-01 1956-09-11 Zenith Engineering Corp Motor driven pumps
CH320124A (de) * 1955-09-02 1957-03-15 Egli Bronner Ernst Badeeinrichtung mit Badewanne und Vorrichtung zum Bewegen der Badeflüssigkeit in der Badewanne
US2971327A (en) * 1957-11-26 1961-02-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Discharge control of an overexpanding propulsion nozzle
US3474469A (en) * 1965-10-24 1969-10-28 Douglas C Steltz Low voltage conversion unit
US3656136A (en) * 1970-07-30 1972-04-11 M & B Electric Co Inc Electric motor with safety sensing device
US4398789A (en) * 1979-04-13 1983-08-16 Diffracto Ltd. Opto-electronically controlled bathing systems
US4316312A (en) * 1980-09-19 1982-02-23 Allied Corporation Apparatus for intermittent application of fluid to yarn at a texturing device
ZW26782A1 (en) * 1981-12-23 1983-03-09 Vaal Reefs Expl & Mining Letdown valves
US4416030A (en) * 1982-09-30 1983-11-22 Reynoso Arturo S Compact adjustable spa jet aerator
US4542853A (en) * 1983-01-14 1985-09-24 Diamond Harvey E Fluid valve with directional outlet jet of continuously changing direction
DE3408217A1 (de) * 1984-03-07 1985-09-12 Hugo Lahme GmbH, 5828 Ennepetal Badewanne mit umwaelzanlage, insbesondere wirbelstrom- oder sprudel-badewanne
US4742584A (en) * 1984-09-05 1988-05-10 Abe Co., Ltd. Water current and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for bath
DE3447161A1 (de) * 1984-12-22 1986-07-03 Eberhard Hoesch & Söhne Metall und Kunststoffwerk GmbH & Co, 5166 Kreuzau Wirbelduesenbecken
US4663613A (en) * 1985-07-22 1987-05-05 Teledyne Industries, Inc. Protective system for hot tub water and power supply
IT1200742B (it) * 1985-09-17 1989-01-27 Teuco Guzzini Srl Vasca da bagno con impianto per idromassagio perfezionato
US4770212A (en) * 1985-12-13 1988-09-13 Halliburton Company Pressure compensated flow rate controllers
US4779803A (en) * 1986-08-11 1988-10-25 Calmar, Inc. Manually actuated liquid sprayer
US4761168A (en) * 1986-09-22 1988-08-02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manufacturing technique
DE3640497A1 (de) * 1986-11-27 1988-06-09 Ucosan Bv Austrittsduese fuer das austrittsventil einer whirlpool-wanne
US4694387A (en) * 1987-01-08 1987-09-15 Honeywell, Inc. Inductive devices
DE3815427C3 (de) * 1987-05-08 1995-08-31 Lutz Pumpen Gmbh & Co Kg Elektromotor, insbesondere Antriebsmotor für eine Faß- oder Behälterpu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2301B2 (en) 1992-12-24
CA2006933A1 (en) 1990-06-29
US5457826A (en) 1995-10-17
EP0376845A3 (en) 1991-04-03
DE68916223D1 (de) 1994-07-21
AU4738289A (en) 1990-07-05
KR900009015A (ko) 1990-07-02
EP0376845B1 (en) 1994-06-15
ATE107159T1 (de) 1994-07-15
EP0376845A2 (en)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9250B1 (ko) 인버터에 의한 순환펌프제어 기포발생욕조
EP0376843B1 (en) Whirlpool bath provided with a hot water injection control
US5144702A (en) Blow-off nozzle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varying the blow-off volume of water
JP2755985B2 (ja) 浴湯噴出制御を行なう気泡発生浴槽
JP2710810B2 (ja) 気泡発生浴槽
JP2876641B2 (ja) タイマー運転機能を有する気泡発生浴槽
JP2926751B2 (ja) 気泡発生浴槽
JP2841486B2 (ja) 気泡発生浴槽
JP2656832B2 (ja) 気泡発生浴槽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755992B2 (ja) 新期噴流の安全制御が可能な気泡発生浴槽
JP2803162B2 (ja) 気泡発生浴槽
JP2876622B2 (ja) 背側噴出ノズルの初期閉塞制御を可能とした気泡発生浴槽
JP2755993B2 (ja) 気泡発生浴槽
JP2844710B2 (ja) 気泡発生浴槽
JP2827280B2 (ja) 気泡発生浴槽
JP2827279B2 (ja) 濾過機の自動洗浄運転が可能な気泡発生浴槽
JP2746992B2 (ja) 気泡発生浴槽
JP2803161B2 (ja) 気泡発生浴槽
JPH02307454A (ja) 気泡発生浴槽におけ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の噴流形態表示構造
JPH0332670A (ja) ノズル組み込みポンプを具備する気泡発生浴槽
JPH02307457A (ja) 浴湯の噴出量が周期的に変化する気泡発生浴槽
JPH02307449A (ja) 高水温検出機能を有する気泡発生浴槽
JPH02307459A (ja) 濾過機洗浄が可能な気泡発生浴槽
JPH0326262A (ja) 気泡量を調節可能な気泡発生浴槽
JPH02307453A (ja) 噴流個所制御を行なう気泡発生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