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634B1 - 잉크제트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제트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634B1
KR970007634B1 KR1019910013212A KR910013212A KR970007634B1 KR 970007634 B1 KR970007634 B1 KR 970007634B1 KR 1019910013212 A KR1019910013212 A KR 1019910013212A KR 910013212 A KR910013212 A KR 910013212A KR 970007634 B1 KR970007634 B1 KR 970007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recording
ink jet
ink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337A (ko
Inventor
미쯔루 구라다
야스오 미야우찌
다까유끼 마쯔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3179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619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032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619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515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085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916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51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816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908910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잉크제트 기록장치
제1도는 예시적인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
제3도는 기록헤드의 장전을 예시하는 기록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기록헤드의 탈착작용을 예시하는 기록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기록헤드의 장착기구의 잠긴 상태를 예시하는 기록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기록헤드 장착기구의 해제상태와 캐리지 이동방지수단의 잠긴상태를 예시하는 기록장치의 측면도.
제7도는 다른 예의 기록헤드 장착기구의 잠금부재의 측면도.
제8도는 다른 예의 캐리지 이동방지수단의 측면도.
제9도는 기록헤드 장착기구의 다른 예에 대한 측면도.
제10도는 기록헤드 장착기구의 또 다른 예의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도시된 구조의 일부의 단면도.
제12도는 기록헤드 장착기구를 사용한 기록헤드용 잉크공급기구의 일예의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을 사용한 기록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제14도는 도어 잠금기능의 일예의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제16 및 17도는 제어작동의 일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
제18도는 도어 잠금기구의 다른 예의 단면도.
제19 및 20도는 제어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플로우 챠트.
제21도는 캐리지 잠금기구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된 기구를 사용한 기록장치의 단면도.
제23도는 용지 운송수단용 해제방지수단의 다른 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24, 202, 406a : 카트리지
2, 1a, 1b, 1c, 1d, 201, 201A, 201B, 201C, 201D, 406b : 기록헤드
2A, 2B, 2C, 2D : 기록헤드 카트리지 7 : 기록재
8 : 캐핑부재 26 : 케이싱
76, 77, 408 : 이동방지수단 122 : 잉크제트헤드
131 : 장착 및 탈착기구 404 : 운송수단
A : 휴지위치(캐핑위치)
본 발명은 기록재에 잉크를 분출시킴으로써 기록을 달성시키는 잉크제트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있어서, 잉크는 기록헤드의 분출출구를 통하여 기록재상에 분출된다.
잉크제트 기록장치는 정교한 상이 고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비충격식이기 때문에 소음이 없으며, 상이한 색상을 갖는 잉크재료를 이용하여 칼라화상을 기록하기 쉽다는 이점을 갖는다.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일체식 기록헤드 및 잉크 콘테이너를 가지는 교환가능 기록헤드 캐리지가 널리 사용된다.
우선 제1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교환가능한 기록헤드 카트리지를 가전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도에서, 캐리지(1)는 4개의 기록헤드 카트리지(2A, 2B, 2C 및 2D)를 지시한다. 캐리지(1)는 도면에서 스캐닝 레일(3)상을 좌우 미끄럼이동한다.
캐리지(1)는 구동풀리(5) 및 구동벨트(6)를 통하여 구동모터(4)로부터 스캐닝 구동된다. 캐리지(1)가 이동되는 동안, 잉크의 화상신호에 따라 기록헤드 카트리지(2A 내지 2D)로부터 분출되어, 화상이 기록재(7) 상에 기록된다.
도면에서, 파선(A)은 비기록기간 중의 캐리지 휴지위치를 표시한다. 캐리지 휴지위치는 기록재(7)의 운송경로영역밖의 비기록영역에 있다. 기록작동이 수행되지 않을 때, 또는 기록헤드가 분출을 회복시키기 위한 회복 작동하에 있게 될 때, 캐리지(1)는 기록헤드가 캐핑수단(8)에 대면하는 휴지위치로 이동되어 회복작동 등이 그곳에서 수행된다.
캐리지(1)가 휴지위치(A)에 있을 때, 헤드카트리지(2A 내지 2D)의 기록헤드는 캐핑수단(8)으로 복개되어 잉크의 기화가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헤드카트리지가 교환될 때, 교환작업은 카트리지가 휴지위치에 있을 때 수행되고 이것에 의해 헤드카트리지가 장착 또는 탈착될 때 잉크의 흩뿌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캐리지(1)는, 장치가 정상상태하에 있으면, 기록작동이 휴지상태에 있을 때 마다 파선(A)으로 표시된 휴지위치에 정지한다. 그러나, 잼(jam ; 용지 걸림)의 발생 또는 예기치 않은 동력공급의 차단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캐리지(1)는 휴지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헤드카트리지의 기록헤드와 기록재(7)와의 사이의 간극이 대략 0.5∼2mm 정도로 작기 때문에, 헤드카트리지(2A 내지 2D)가 긴급상황하에서 교환되어야 할 때 기록헤드는 기록재(7)에 맞닿을 수가 있다. 만약 이 상황이 발생하면, 기록헤드가 손상될 수도 있다. 장착 또는 탈착조작 중의 진동에 의하여, 잉크는 기록헤드로부터 흩뿌려지고 그 결과로서 기록장치의 내부를 오염시키게 된다.
만약 잉크가 기록재 운송경로에 흩뿌려지면, 다음의 기록재(7)의 뒷면이 오염된다. 만약 캐리지(1)가 휴지위치와 다른 위치에 잔류되어 있으면, 기록헤드(2A 내지 2D)는 덮히게 되지 않아 잉크가 증발하여 그 결과 부적절한 기록작동이 된다.
잼 발생 또는 기록헤드 교환시 장치의 도어가 열린다. 만약 조작자가 잼 제거조작시에 캐리지를 부주의하게 접촉한다면, 운송기구가 열려 있을때 캐리지는 예기치 않게 움직여서 캐리지와 용지 운송기구와의 사이를 간섭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이 일어나면, 장치가 손상을 입게될 것이다.
잉크제트 기록시스템에 있어서, 헤드는, 기록헤드가 휴지위치에 있을 때 복개되어 잉크가 건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캐리지가 캠 제거조작 등에 있어서 부주의하게 이동되면, 복개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장치가 그 상태로 남아있게 되면, 잉크가 건조되어 결국 부적절한 기록이 된다.
캐리지가 휴지위치에 있지 않을 때 기록헤드가 교환되고, 장치가 그 상태로 남아 있게 되면, 기록헤드는 복개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잉크가 건조되어 결국 부적절한 기록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기록헤드의 장착 또는 탈착 중에 진동으로부터 잉크를 보호하고 기록헤드가 기록재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기록작동 중에 잉크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제트 기록헤드의 분출측 표면이 캐리지의 안내표면과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방지되어 잉크제트 기록헤드의 분출측 표면과 분출출구가 보호될 수 있는 잉크제트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커버(도어)가 잼 제거작업 또는 헤드교체작업 목적상 개방될 때 기록수단이 계속 복개되고, 운송수단이 잼 제거조작을 위해 개방될 때 기록수단과 운송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헤드의 손상이 방지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기록이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기록헤드 카트리지로부터 기록재에 잉크를 분출시킴으로써 달성되며,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있어서, 주 스캔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기록헤드 카트리지를 장착하고 있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상에 기록헤드 카트리지를 장착 및 탈착하는 것을 제어하는 장착 및 탈착 기구, 및 상기 캐리지가 기록재에 대면되는 위치의 외측에 배치될 때에만 기록헤드 카트리지의 장착 및 탈착을 허용하도록 상기 장착 및 탈착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화상기록을 달성하기 위하여 잉크를 분출구멍을 통하여 분출시키는 잉크제트헤드, 상기 잉크제트헤드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기록영역 및 비기록영역에 걸쳐 이동가능한 캐리지, 상기 잉크제트헤드가 상기 캐리지상에 장착될 때 상기 잉크제트헤드를 안내하도록 상기 캐리지내에 구비된 캐리지 안내표면, 상기 잉크제트헤드를 상기 캐리지상에 장착시키고 상기 캐리지로부터 탈착시키는 장착 및 탈착 기구, 및 상기 장착 및 탈착 기구가 상기 잉크제트헤드의 탈착을 허용할 때 상기 캐리지 안내표면에 대하여 상기 잉크제트헤드의 분출측 표면을 경사시키는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는 잉크제트 기록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잉크를 분출시킴으로써 기록을 달성시키는 기록헤드에 있어서, 기록영역 및 비기록영역에 걸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기록헤드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가 비기록영역에 있을 때, 상기 기록헤드의 분출측 표면을 복개시키는 캐핑부재, 상기 기록헤드의 장착 및 탈착을 허용하며 상기 캐리지 부재 및 상기 캐핑부재를 에워싸는 도어를 가진 케이싱, 및 상기 장치의 주 스위치가 ON 상태일 때에만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용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록헤드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가능한 커버를 가지고 있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재를 운송하는 운송수단, 기록재와의 사이의 상대운동 중에 이 기록재상에 기록을 달성시키는 기록수단, 상기 커버의 개방 또는 폐쇄와의 상호관계로 상기 기록수단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가 개방될 때 상기 이동방지수단은 상기 기록수단의 이동을 방지하며, 상기 커버가 폐쇄되어 있을 때 상기 방지수단에 의한 방지가 해제되는 기록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여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될 것이며, 여기에서 동일 참조번호들을 상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부여되어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기록장치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교환가능한 캐리지 타입의 기록헤드(2A, 2B, 2C 및 2D)는 캐리지(1) 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캐리지(1)는 스캐닝 레일(3)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다른쪽 끝에 인접한 슬라이딩 레일(11)상에 장착되어 있다. 캐리지는 기록재(7)와 관련하여 화살표(S) 방향으로 구동풀리 및 구동벨트를 통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왕복이동된다.
캐리지(1)가 이동되는 도중에, 잉크는 화상신호에 따라 기록헤드(2A 내지 2D)의 잉크분출부를 통하여 분출되며, 이에 의해 문자, 도표 등과 같은 화상이 기록재(7)상에 기록된다.
기록헤드(2A 내지 2D)는 일체식 잉크 콘테이너를 가진 캐리지 타입이며 잉크는 일체식 잉크 콘테이너로부터 잉크분출부로 공급된다.
기록헤드(2A 내지 2D)는 상이한 잉크재료를 사용하여 화상기록을 달성한다. 칼라기록의 경우에 있어서, 기록헤드(2A 내지 2D)는 예컨대 황색, 심홍색, 청색 및 흑색의 잉크 재료를 제공한다.
각각의 기록헤드(2A 내지 2D)는, 더 상세하게는 이 헤드의 잉크분출부는 잉크를 분출시키기 위해서 열에너지를 사용하는 잉크제트헤드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열 트랜스듀서로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기록헤드(2A 내지 2D)는 전열 트랜스듀서에 의하여 가해진 열에너지에 의해 막비등이 이루어져, 버블의 팽창 및 수축이 분출출구를 통하여 잉크를 분출하도록 하며, 이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다.
하기 설명에 있어서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몇몇 요소를 참고할 때, 또는 이와 같은 모든 요소를 참고할 때 후첨자 A 내지 D는 생략되므로 "기록헤드(2)" 등으로 사용될 것이다.
기록재(7)는 공급로울러(12, 13 및 14, 15)에 의하여 기록되는 화상에 따라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기록재(7)는 측면 가장자리에서 안내판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그 측방위치는 한정되어 있다.
각각의 기록헤드(2)에, 신호라인(17 ; 가용성 케이블)으로부터 코넥터(18A, 18B, 18C, 18D)를 통하여 기록화상신호가 전달된다. 코넥터(18A 내지 18D)는 캐리지(1)에 관련하여 방향(M)으로의 운동을 위하여 맞물림된 코넥터 호울더(19)에 의하여 지지된다. 가요성 케이블(17)은 나사(20A, 20B)에 의해 코넥터 호울더상에 고정된 구속판(21)에 의하여 고정된다. 캐리지(1) 상에는 해제레버(22)가 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해제레버(22)는 기록헤드(2)를 정해진 위치에 유지하는데 통상적으로 효과적이다.
이후에 설명될 특정 캐리지 위치에서, 해제레버는 기록헤드(2)를 해제하도록 회전된다.
캐리지(1) 상에는, 해제레버(22) 및 코넥터 호울더(19)와 맞물림되어 있는 링크판(23)이 구비되어 있다. 캐리지(1) 상에는,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잠금포올(24) 및 잠금스프링(25)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후에 설명될 잠금장치는 기록헤드의 정해진 위치에서 통상적으로 해제레버(22)를 잠금한다. 잠금장치는 캐리지(1)가 이 장치의 케이싱(26)의 안내부(27)에 맞닿음되어 있을 때 즉, 캐리지(1)가 캐리지휴지위치(또는 캐핑위치 ; A)에 있을 때, 잠금레버의 해제위치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해제레버(22)의 작동을 제한한다.
캐리지(1)가 휴지위치(A)에 있을 때, 기록헤드(2)의 잉크분출부는 캐핑수단(8)에 의하여 복개된다. 캐핑수단(8)은 기록헤드(2)의 잉크분출부를 밀봉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캐핑부(28A, 28B, 28C 및 28D)로 각각 구비되어 있다.
장치 케이싱(26)은, 캐리지가 휴지위치(A)에 있을 때 해제레버(22)와 캐리지(1) 사이에 배치되는 캐리지 잠금부(29)로 구비되어 있다. 이후에 설명될 캐리지 잠금부(29)는 캐리지(1) 측면과 해제레버(22)의 맞물림부(31)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캐리지(1)가 휴지위치(A)에 있는 상태하에서 해제레버(22)가 기록헤드 해제위치로 회전될 때 캐리지의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그러므로, 캐리지 이동방지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캐리지(1) 및 기록부의 측단면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기록헤드(2)는 기록헤드(2)의 맞닿음면(36, 37, 38)과 캐리지(1)의 맞닿음면(39, 40, 41)과의 사이에서 맞닿음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코넥터 호울더(19)내에 장착되어 스프링(42)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가압하는 핀(43)을 밀어냄으로써 기록헤드(2)는 제3도의 좌측방향으로 가압되며, 이에 따라 맞닿음면(36, 37)은 맞닿음면(39, 40)에 가압된다. 그러므로, 헤드카트리지(2)는 캐리지에 대하여 수평방향에 위치한다. 가압핀(43)의 끝부에 의해 기록헤드(2)의 경사면(44)을 가압하는 힘(f)의 하향성분(f1)에 의하여, 기록헤드(2)의 맞닿음면(38)은 캐리지(1)의 맞닿음면(41)에 가압되어 기록헤드(2)가 높이방향으로 위치되게 한다.
이 코넥터 호울더(19)는 코넥터(18)에 장착되어 있다.
캐리지(1)의 수직면(45)과 기록헤드(2)의 수직면(46)은 기록헤드가 캐리지상에 장착되어 있을 때 대략적인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기록헤드(2)의 잉크분출부(분출부 ; 130)는, 캐리지(1)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잉크분출기(또는 제2도에 도시된 잉크분출면(131))를 복개하도록 캐핑수단(8)의 캐핑부(28)와 접촉되어 있다.
제4도는 기록헤드(2)가 캐리지(1)로부터 탈착되었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기록헤드(2)가 탈착되었을 때 코넥터 호울더(19)는 먼저, 이후에 제5도와 관련하여 설명될 기구에 의하여 우측으로 이동된다. 코넥터 호울더(19)가 이동되었을 때 기록헤드(2)의 이동은 대략적인 가이드(45, 46)의 맞닿음부에 의하여 방지되어 코넥터(18)는 헤드 코넥터(47)로부터 분리되며 동시에 가압핀(43)은 기록헤드(2)로부터 멀어진다. 그러므로, 기록헤드(2)는 정해진 위치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헤드 코넥터(47)와 코넥터(18)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고 가압핀(43)이 기록헤드(2)로부터 분리될 때 비로서 기록헤드는 방향(R)으로 분리가능하게 된다.
제5도는 코넥터 호울더(19)를 이동시키는 기구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며, 동시에 해제레버(22)를 잠금하는 기구를 예시하고 있다.
제5도에 있어서, 코넥터 호울더(19)의 축(51)은 링크판(23)과 일체로 커플링 되어 있다. 이 축(51)은 캐리지(1)내에 형성된 미끄럼 구멍(52)과 맞물림되어 있으며, 링크판(23)은 캐리지(1)의 캐리지축(54)과 맞물림되어 있는 미끄럼구멍(53)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코넥터 호울더(19)와 링크판(23)은 캐리지(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되어 있다.
해제레버(22)는 캐리지축(54)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링크판(23)의 돌출부(55)는 해제레버(22)내에 형성되어 있는 캠슬롯(56)과 맞물림되어 있다. 그러므로, 해제레버(22)의 회전과 함께 링크판(23)은 캐리지(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운동한다. 잠금포올(24)은 캐리지(1)의 잠금축(57)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그 자체와 캐리지(1) 사이에서 신장되어 있는 잠금스프링(25)에 의하여 제5도에서의 시계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기록작동에 있어서, 잠금포올(24)내에 형성된 잠금부(59)와 해제레버(22)내에 형성된 잠금부(60)와의 사이의 맞물림은 해제레버(22)의 회전을 방지한다.
제6도는 해제상태에 있는 해제레버(22)의 측면도이다. 캐리지(1)가 캐리지 휴지위치(A; 제1도)로 이동되면 캐리지상의 잠금포올(24)의 안내면(61)의 케이싱(26)의 안내부(27; 제1도)와 맞닿음되어 잠금포올(24)이 잠금스프링(25)에 저항하여 제6도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경사면을 따라 회전된다.
잠금포올(24)이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되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포올(24)의 잠금부(59)는 해제레버(22)의 잠금부(60)로부터 해제되어 그들 사이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그 결과 해제레버(22)의 회전을 허용한다.
제6도에 있어서, 해제레버(22)가 기록헤드(2)의 탈착을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의 상태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기록헤드(2)를 잠금하는(위치를 결정하는)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해제레버(22)가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회전되면 돌출부(55)와 캠구멍(56)의 캠작용은 링크판(23)과 일체인 코넥터 호울더(19)를 기록헤드(2)의 헤드코넥터(47)로부터 멀리(제6도의 우측으로) 가압한다.
코넥터 호울더(19)가 후방을 향해(제6도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코넥터(18)는 헤드 코넥터(47)로부터 멀리 이동되고, 가압핀(43; 제3도)은 기록헤드(2)로부터 멀리 떨어지므로 기록헤드(2)는 해제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카트리지용 해제레버의 해제작동은 기록헤드가 비기록(캐핑)위치에 있을 때에만 가능하므로 기록헤드는 용지걸림이 발생하더라도 기록위치에서 수신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록재와 기록헤드 사이의 부주의로 인한 접촉은 방지되므로 이 접촉으로 인한 기록헤드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게다가, 잉크가 이 장치에 흩뿌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잠금해서 기구는 캐리지의 스캐닝 운동을 이용하는 기계타입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전기식 제어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7도에 있어서, 잠금포올(24)의 아암부분(66)은 캐리지(1) 상에 장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의 솔레노이드축(68)에 연결되어 있다. 솔레노이드(67)의 온-오프 즉, 해제레버(22)의 잠금해제운동은 전기제어회로(69)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 캐리지(1)는 위치 검출기(70)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장치 케이싱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광센서(71)는 캐리지가 소정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광센서(71)로부터의 신호는 전기회로(69)에 공급된다. 카트리지 장착 캐리지가 복개위치에 있으면 솔레노이드(67)는 전기제어회로의 제어에 의하여 여자되며, 잠금포올(24)은 제7도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해제레버(22)의 잠금은 해제된다.
해제레버(22)가 단순히 해제위치로 회전된다면 캐리지(1)는 기록영역으로 여전히 운동가능하다. 그러므로, 기록헤드의 탈착이 복개위치에서만 가능하다 하더라도 기록헤드의 장착은 캐리지가 기록영역내에 있을 때에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록헤드의 장착상의 안정성(헤드의 손상 또는 장치내에 잉크의 흩뿌려짐)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이 실시예의 장치는 레버가 해제상태에 있을 때 복개위치에서 해제레버(22)의 맞물림부(31)와 맞물림가능한 캐리지 잠금부(29; 제2도 및 제6도)로 구비되어 있다. 이것은 캐리지(1)가 복개위치로부터 스캐닝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캐리지(1)가 휴지위치(A)에 있으면 캐리지 잠금부(29)는 캐리지(1) 측면과 해제레버(22)의 맞물림부(31)와의 사이의 틈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해제레버(22)를 해제위치에 회전시킴으로써 캐리지 잠금부(29)는 캐리지(1)와 맞물림부(31)와의 사이에 개지되어 있으므로 캐리지(1)의 스캐닝 방향으로의 운동은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록헤드(2)는 캐리지(1)가 휴지위치(A)에 있을 때에만 장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다. 기록헤드(2)의 탈착에 의하여, 캐리지(1)의 스캐닝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캐리지 운동은 활성화된다.
분리가능한 기록헤드(2)를 사용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캐리지(1)가 통상적으로 복개위치인 휴지위치(A) 이외의 위치에 있을 때 캐리지상의 기록헤드(2)의 장칙 및 탈착기구는 잠금된다. 캐리지(1)가 정지위치에 있을 때에만 기록헤드(2)의 기구는 해제가능하게 된다. 기록헤드(2)의 장착 또는 탈착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캐리지 이동방지장치는 캐리지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작동된다. 그러므로, 기록재(7)등과의 부주의한 접촉에 기인한 기록헤드의 손상은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기록헤드(2)의 장착 또는 탈착 작동상에서의 진동에 기인한 잉크의 흩뿌려짐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소정위치에서 기록헤드(2)의 복개는 보장되어 잉크의 증발이 방지된다.
전기식으로 제어가능한 화상은 휴지위치(복개위치)로부터 스캐닝 방향으로의 캐리지의 운동을 방지하도록 기계식 수단(캐리지 잠금부(29) 및 맞물림부(31))을 대신할 수 있다.
제8도에 있어서, 캐리지(1)는 위치검출기(71)로 구비되어, 캐리지가 소정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광센서(72)로써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해제레버(22)는 해제레버센서(73)로 구비되어 해제레버의 운동(잠금위치 및 해제위치)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캐리지(1)의 소정의 위치(제1도에서 휴지위치(A))가 검출되어, 해제레버를 사용하는 탈착작동이(예컨대, 해제위치로의 회전운동) 수행되었을 때 솔레노이드(75)는 전기회로(74)의 제어에 의하여 여자되므로 솔레노이드축(76; 가동축)은 캐리지(1)의 맞물림 구멍(77)으로 들어간다. 캐리지가 소정의 휴지위치에 있을 때 캐리지(1)의 맞물림 구멍(77)은 솔레노이드 축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캐리지는 캐리지(1)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솔레노이드(75)의 여자화에 의하여 솔레노이드축(76)을 맞물림구멍(77)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이동이 방지되어 휴지위치에 머물게 된다.
그러므로, 또한 제8도에 도시된 구조에 의하여, 잉크제트 기록장치는, 캐리지가 소정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에만 기록헤드(2)의 장착 및 탈착기구가 해제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 위치에서 기록헤드(2)의 장착 및 탈착과 상호관계를 갖고 캐리지 이동방지수단(76, 77)이 캐리지의 운동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8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또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록재(7)등과 부주의한 접촉에 기인한 기록헤드의 손상은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기록헤드(2)의 장착 또는 탈착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기인한 잉크의 흩뿌려짐도 방지될 수 있다. 더우기, 소정위치에서 기록헤드(2)의 복개가 보장되므로 잉크의 증발은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의 손상 또는 잉크의 흩뿌려짐은 기록헤드의 휴지위치(A; 복개위치 또는 비기록 위치)에서 기록헤드의 장착 및 탈착을 해제레버용 잠금기구를 사용하여 제한함으로써 또는, 기록헤드 대체작동중에 캐리지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캐리지 스캐닝 운동을 해제레버의 회전과 관련하여 방지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기록헤드의 잉크분출측의 손상은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제9도에 있어서, 장착 및 탈착기구의 해제레버는 해제상태에 있을 때 이 도면에 도시된 임의위치에서 정지되므로 파지부(22c)의 내부 가장자리(22d)는 잉크제트기록헤드(2)의 헤드 안내면(21)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성하고 있다. 이 내부 가장자리(22d)는 캐리지 안내면(1g)으로부터 캐리지 안내면(1g)에 수직한 방향으로 높이(H1)가 되는 위치에 정지된다. 높이(H)는 헤드(2)의 기록헤드(2A) 잉크분출측 표면(2B)으로부터 잉크제트헤드 안내면(21)까지의 높이(H2)보다 더 높다. 해제레버(22)의 파지부(22c)의 내부 가장자리(22d)의 회전반경은 회전 중에 잉크 콘테이너(2B)를 간섭하지 않도록 가능한한 짧게 선택되어지며, 이에 따라 해제레버(22)가 해제위치에 정지하고 있을 때 내부 가장자리(22d)는 가능한한 삽입부(19)에 인접한 위치에 정지한다.
장착 및 탈착기구가 해제되고, 기록헤드(2)의 기록헤드부(2A)가 장착되어 있는 돌출부(2c)가 캐리지(1)의 삽입부(1a)안으로 삽입될 때, 또는 이 돌출부가 삽입부로부터 꺼내어질 때 이 내부가장자리(22d) 및 잉크제트 헤드 안내면(21)은 상호간에 맞닿음되며(왜냐하면 H1과 H2 사이의 높이관계 때문이다), 돌출부(1a)의 바닥면은 캐리지 안내면(1g) 및 돌출부 바닥면을 우측끝이 접촉되는 범위내에서 캐리지 안내면(1g)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기록헤드부분(2a)의 분출측 표면(2B)은 캐리지 안내면(1g)과 완전한 면접촉을 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방식으로, 분출측 표면(2B)과 캐리지 안내면(1g)과의 사이의 미끄러짐은 방지될 수 있으므로 분출측 표면(2B)에 형성된 분출출구는 보호될 수 있다.
게다가, 장착 및 탈착기구를 작동시키는 해제레버(22)의 파지부(22c)는 잉크제트헤드의 안내면(21)을 안내하는 가이드로서 사용되므로 분출측 표면(2b)에 형성된 분출출구는 생산단가의 증가없이 보호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장착 및 탈착기구(131)는 채널형 형상을 하고 있는 안내아암(134)을 갖추고 있다. 그 끝은, 방향(J)과 그리고 그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기 위하여, 캐리지(124)의 측표면(124h)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124ℓ)과 측표면(124h)에 대향한 도시되지 않은 측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다른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안내아암(134)의 끝에는, 아암기어(134a)가 형성되어 해제레버(132) 상에 형성된 레벨기어(132b)와 정합되어 있다.
해제레버(132)가 도시된 고정된 위치에 있으면, 안내아암(134)의 아암안내부(134b)는 잉크제트 기록헤드(122)의 콘테이너부(122b) 아래에 배치된다. 해제레버(132)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파단선으로 표시된 해제위치로 방향(G)으로 회전되면, 레버기어(132b)와 아암기어(134a) 사이의 정합결합 때문에 안내아암(134)은 안내아암(134)이 파단선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정지될 때까지 해제레버(132)의 회전으로 방향(J)으로 회전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아암(134)은 장칙 및 탈착기구(131)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낸 위치에서 정지한다. 아암가이드(134b)는 잉크제트헤드(122)의 잉크제트헤드 가이드면(122ℓ)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성하고 있다. 아암가이드(134b)는 안내면(124g)에 수직인 방향으로 캐리지 안내면(124g)으로부터 L1의 높이에 있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높이(L1)는 잉크제트헤드(122)의 기록헤드부(21)의 분출측 표면(121a)으로부터 잉크제트헤드 안내면(122ℓ)까지의 높이(L2)보다 더 크다.
해제상태에서 아암안내부(134b)는 캐리지(124)에 장착된 잉크제트헤드(122)의 콘테이너부에 가능한한 접근하는 위치로 회전하여 거기에서 정지한다.
잉크제트헤드(122)가 해제상태에서 장착 및 탈착기구(131)로 캐리지(124)로부터 탈착되거나 장착되면, 아암안내부(134b)(안내부)와 잉크제트헤드 안내면(122ℓ)은 서로 맞닿게 되고, 기록헤드(121)의 분출측면(121a)은, 제9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캐리지 안내면(124g)이 돌출부(122a)의 바닥면의 우측(도면에서)끝과 접촉 상태로 있는 범위내에서 캐리지 안내면(124g)과의 완전한 면접촉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분출측 표면(121a)과 캐리지 안내면(124g) 사이의 마찰이 방지될 수 있어, 분출측 표면(121a)과 분출출구가 보호된다.
다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9도와 연관하여 설명된 잉크제트 기록헤드(2)에 있어서 잉크 헤드부(2A)로 공급될 잉크를 수용하는 콘테이너(2B)가 기록헤드부(2A)와 일체로 되어 있다.
설명될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제트 기록헤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식 콘테이너부와 같은 것을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에, 잉크제트 헤드의 기록헤드부로 공급될 잉크를 수용한 콘테이너는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어 있다.
제12도를 참조하면, 캐리지(144)의 코넥터 호울더(147)는 커플러(155)를 갖추고 있다. 이 커플러(155)는 잉크제트헤드(142)의 기록헤드부(141)로 공급될 잉크를 수용하는 콘테이너(도시되지 않음)와 연통하는 튜브(155a)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잉크제트헤드(142)는 주조립체 커플러(15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헤드 커플러(142m)를 갖추고 있다. 헤드 커플러(142m)는 도시되지 않은 잉크공급통로를 통하여 기록헤드부(141)와 연통한 상태로 있다.
잉크제트(142)의 돌출부(142a)는 캐리지(144)의 리셉터(144a)안으로 삽입되어 있고, 장착 및 탈착기구의 해제레버(152)는 고정위치로 회전되어 그 위치에 정지되며, 코넥터 호울더(147)는 주조립체 커플러(155)와 헤드커플러(142m)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L 방향으로 이동한다. 콘테이너내에 수용된 잉크는, 지정된 순서로, 튜브(155a), 주 조립체 커플러(155), 헤드 커플러(142m) 및 잉크공급통로를 통하여 기록헤드부(141)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의 장착 및 탈착 기구 대신에, 제10도 및 제11도와 연관하여 설명된 안내아암을 가진 기구도 캐리지(144)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가 상기 설명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의 장점적인 효과가 제공된다.
장착 및 탈착기구가 캐리지상에 잉크제트헤드의 장착을 허용하도록 해제되면, 잉크제트헤드의 잉크제트헤드 안내면을 안내하는 안내부는 캐리지 안내면에 대해 잉크제트헤드의 분출측면에 경사지게 되는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이것은 안내부가 잉크제트헤드 안내면을 안내하는 범위내에서, 분출측면이 캐리지 안내면과 완전한 면접촉을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고, 분축측면과 캐리지 안내면 사이의 미끄럼 접촉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이 결과로, 분출측면과 분출출구는 간단한 구조로 보호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분출출구가 캐리지 안내면상의 이물질로 막히는 단점은 회피될 수 있으며, 또한 분출측면상의 물제거 피복층이 박리되는 단점은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장착 및 탈착기구를 작동시키는 해제레버의 그립이 잉크제트헤드 안내면을 안내하는 안내부로 활용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되지 않는다.
제13도에 있어서, 개방가능한 도어(전방도어)(200)는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전방부분에 제공되어 있다.
이 도어(200)는 돌출부(241)를 갖추고 있으며, 기록장치의 주조립체는 돌출부(241)에 의해서 개방되고 폐쇄되는 절취부(개방부)(242)를 가지고 있다.
절취부(242)는 복개위치에서 기록헤드부(1A∼1D)(기록헤드(1))의 교체를 이루는데 효과적이다.
도어(200)의 뒷쪽에는 도어의 개폐를 제한하기 위하여 장치의 주조립체의 잠금기구와 협력하는 잠금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잠금부재(221)가 돌출되어 있다. 잠금수단은 도어(220)가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잠금수단은 도어(200)가 폐쇄될 때 조작자가 자유롭게 도어(220)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예컨대, 주 스위치가 작동되면, 도어(220)는 자유롭게 개방 또는 폐쇄가능하지만, 주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도어(200)는 개방 또는 폐쇄가능하지 않게 된다.
제14a도, 제14b도 및 제14c도는 잠금수단의 구조 및 작동을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제13도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제14a도, 제14b도 및 제14c도는, 장치의 주 조립체의 주 스위치가 ON될 때, 도어(200)가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이동되는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주 스위치가 ON 되면, 솔레노이드(223)가 제어기로부터 신호에 의해 가동 아이언부재(224)를 끌어당겨서 잠금상태로 있게 된다.
도어(200)의 폐쇄운동으로, 잠금부재(221)는 잠금수단을 따라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4A도 및 제1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221)는 스프링(226)에 의해서 가압된 돌출부(225)를 억누르는 한편 제14C도의 폐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한다. 이 폐쇄위치에서 돌출부(225)는 스프링(226)에 의해서 잠금부재(221)의 오목부안내로 결합되어, 도어(220)가 완전하게 폐쇄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잠금부재(221)는 도어센서(22)를 억누르며, 이에 따라, 장치주조립체의 제어기가 도어(220)의 폐쇄를 검출한다. 주 스위치가 작동되면, 제14도의 상태에 있어도 부재(224)를 흡입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도어(220)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주스위치가 ON 상태로 있는 한, 도어(220)는 자유롭게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도어(220)가 완전하게 폐쇄되어, 주 스위치가 OFF되어, 솔레노이드(223)는 비여자 되어 가동 아이언 부재(224)를 해제한다. 이것은 제14D도에 도시되어 있다. 해제부재(223)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돌출하며, 이것에 의해서 가동부재의 포울부가 잠금부재(221)에 맞물림 구멍(231)으로 들어가므로, 잠금부재(221)는 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방지하도록 잠금된다. 주 스위치가 작동되면 도어(220)가 개방되는 상태에서 주 스위치가 OFF되면, 제14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재(224)가 잠금부재(221)의 운동을 방지하도록 돌출하므로, 도어(220)는 폐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주 스위치가 ON상태에 있을 때 단지 개방 또는 폐쇄가능하다.
제15도는 이 실시예의 기록장치의 전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 시스템은 기록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기(300)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기(3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타입인 CPU(301), 제16도, 제17도, 제18도 및 제19도와 연관하여 설명된 CPU 제어프로그램과 여러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302), 및 CPU(301)의 작업 영역으로 사용가능하고 여러 데이타의 일시 저장을 위하여 사용되는 RAM(303)을 포함하고 있다.
CPU(301)는, 기록개시키이(304)로부터의 기록개시신호, 도어센서(222)로부터의 도어 폐쇄검출신호, 용지배출센서(216)로부터의 용지배출신호 등을 수용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CPU(301)는 다양한 부분을 제어하기 위하여 입력신호에 반응하고 호스트 장치 등으로부터의 화상신호에 따라 화상기록작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CPU(301)는 솔레노이드 구동원(305)을 제어하기 위하여 검출신호 등에 반응하여 솔레노이드 제어신호를 발생새켜, 솔레노이드(223)의 작동을 제어한다.
CPU(301)는 배출센서(216) 등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용지걸림을 구별하면 용지걸림램프(306)(표시부)를 ON시킨다.
기록작동에 있어서, CPU(301)는 캐리지 이동모우터(308)와 같은 모우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모우터 구동기(307)를 제어하고 또한 호스트 장치등으로부터의 화상신호에 따라 기록헤드구동기(308)를 제어함으로써 기록헤드(201A∼201D)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16도 및 제17도는 상기 설명된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제어작동의 메인루틴 및 중단루틴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제16도에 있어서, 기록장치의 주스위치가 작동되면, 초기세팅은 스텝 S1에서 제어기의 CPU 및 RAM 등에 대해 수행된다. 초기세팅이 완료되면, 도어(220)에 대한 잠금은 스텝 S2에서 중단을 허용하기 위하여 해제된다. 특히, 솔레노이드(223)는 가동아이언피스(224)를 끌어당기기 위하여 여자화되어 잠금부재(221)의 맞물림 구멍(231)으로부터 가동편(224)의 포올부를 후퇴시키며, 따라서 잠금부재를 해제시킨다. 그 다음에 조작자는 도어(2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스텝 S3에서는 도어(220)의 개방이 도어센서(220)에 의해서 검출된다. 도어(220)가 개방되면, 기록작동은 개시되지 않으며, 검사작동은 도어가 폐쇄될 때까지 폐쇄된 루프로 연속된다.
도어(220)가 폐쇄되면, 기록헤드(201)는 스텝 S4에서 캐핑수단(212)으로 복개되어 있다. 복개된 후, 조작자에 의해서 개시 키이의 누름은 스텝 S5에서 대기된다.
제17도를 참조하여 중단루틴을 설명할 것이다.
도어(220)가 개방되고 도어센서(222)가 이 상태를 검출하면, 중단요청은 제어기의 CPU에서 이루어진다.
제16도의 메인루틴의 작동이 스텝 S3으로 진행되면, 중단은 이미 달성되어 있으므로, 작동은 제17도에 도시된 중단루틴으로 이동된다.
제17도에서 스텝 S8에 있어서 기록작동은 도어(220)가 기록작동 중에 개방되는 것으로 하여 정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헤드에 대한 구동펄스 및 잉크분출 펄스가 정지된다. 또한, 스테핑 모터(308)에 대한 구동펄스는 캐리지(202)의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정지된다. 기록정지작동은 기록작동 중에 수행되지 않더라도 장치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는다. 스텝9에서 메인 루틴으로 복귀하기전에 메인루틴의 스텝번호는 "3"으로 변경된다. 스텝번호의 변경에 의해서 메인루틴작동은 작동이 중단루틴으로부터 메인루틴으로 복귀한 직후 스텝 S3에서 개시한다.
상술된 중단처리때문에 복개작동은 도어(220)가 개방 또는 폐쇄된 후 항상 수행된다.
도어(220)가 개방 또는 폐쇄되면, 기록재는 제15도에 있는 용지배출센서(216)에 의해서 검출된다. 기록개시키이가 눌러지기전에 용지가 용지배출센서(216)에 있기 때문에 용지걸림이 판별된다. 그러므로, 제13도에 있는 용지걸림 램프(219)는 발광되어 조작자가 기록재를 제거하고 주 스위치를 재작동시키는 것을 돕도록 한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기록헤드(201)가 복개되어 있지 않는 상태는 주 스위치가 기록 중에 작동되지 않을 때 또는 도어(200)가 기록 중에 개방될 때만 발생된다. 그러므로, 기록헤드(201)는 조작자가 고의로 복개시키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는 항상 복개되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 따라 복개되지 않은 상태로 있는 기록헤드(201)의 가능성은 거의 완전하게 회피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작자의 부주의한 실수로 인한 잉크의 고형화는 회피될 수 있다.
제18도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어잠금기구 및 그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제18도는 제14도에 있는 부분과 동일한 부분의 평면도이다.
제18a도는 주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을 때 잠금부재(221)가 개방측에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8b도는 주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을 때 잠금부재(221)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8c도는 주스위치가 ON 상태일 때 잠금부재(221)가 개방상태와 폐쇄상태 사이의 중간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아이언으로 만들어진 맞물림주재(227)는 기록장치의 주조립체 상에 피벗(229)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맞물림주재(227)는, 제1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221)가 통과하는 표면을 넘어서 돌출하도록 스프링에 의해서 가압된다.
맞물림부재(227)는 정지표면(227A)과 슬라이드 표면(227B)을 가지고 있는 잠금부재(221)의 폐쇄운동을 방지할 수 있지만 그 형상때문에 개방운동을 허용한다.
한편으로는, 잠금부재(221)는 맞물림부재(227)의 돌출부(포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형상은 개방방향운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지만 인입방향운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형상은 제18b도에 도시된 폐쇄위치에서 맞물림부재(227)와 결합가능한 오목부(232)를 포함하고 있다.
맞물림부재(227) 근처에는 솔레노이드(230)가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30)는 CPU로부터의 신호에 반응하고 스트링(22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맞물림부재(227)를 끌어당겨서 잠금부재(221)를 방해하지 않도록 맞물림부재를 후퇴시킨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어센서(222)가 제공된다.
도어(220)가 폐쇄되고, 잠금부재(221)가 제18B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으면, 잠금부재(221)는 메인스위치가 ON 상태로 있는한 도어센서(222)를 밀게되면, 그 결과 CPU는 도어(200)의 폐쇄를 판별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18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가 폐쇄된 위치에 있고 주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을 때, 솔레노이드(230)는 비여자화되어, 맞물림부재(227)가 돌출된다. 그러므로, 잠금부재(232)는 폐쇄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나, 잠금부재(221)가 개방방향으로 이동되면, 잠금부재(221)는 맞물림부재(227)가 스프링(228)에 대해 후퇴가능하므로 우측으로 이동가능한다. 그러므로, 도어(200)가 개방하게 된다. 그러므로, 잠금부재(221)는 제18e도의 상태로부터 제18C도의 상태를 통하여 제18a도의 상태로 운동을 한다. 그러므로, 도어(220)는 개방된다. 도어(220)가 개방되면, 맞물림부재(220)는 스프링(228)에 의해서 잠금부재 통과표면을 넘어서 돌출된다. 이것은 잠금부재(221)가 폐쇄방향(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어(220)가 폐쇄되는 것으로 부터 방지된다.
주 스위치가 ON 상태에서 도어(220)가 폐쇄되면, 이 상황은 도어(220)가 완전하게 개방될 때까지 주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어(200)가 개방될 때와 동일하다.
주스위치가 작동된 경우에 있어서, 도어센서(222)가 개방되면, CPU는 도어(220)의 개방을 검출하고 맞물림부재(227)를 끌어당기는 솔레노이드(230)의 여자화상태는 도어센서가 도어(220)의 폐쇄에 의해서 가압될 때까지 유지된다.
그러므로, 주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고, 도어(200)가 폐쇄되면, 도어(200)는 개방 및 재폐쇄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제어방식에 있어서, 도어(220)는 본 발명에 있어서와 같이 주스위치가 ON 상태에 있을 때만 폐쇄될 수 있다.
제19도 및 제20도는 제18도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어작동의 메인루틴 및 중단루틴의 계룡도이다.
제19도에 있어서는, 기록장치의 주 스위치가 작동되면,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의 CPU, RAM 등에 대하여 수행되는 초기세팅작동은 스텝 S11에서 실행된다. 초기세팅이 완료된 후, 중단작동은 스텝 S12에서 허용된다.
스텝 S13에서, 도어센서(222)를 사용하여, 도어(200)가 개방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이 만들어진다. 개방되었다면, 작동은 지시가 맞물림부재(227)를 끌어당기기 위하여 솔레노이드(230)로 보내지는 스텝 S15로 진행된다. 도어(220)가 폐쇄될 때까지 검사작동은 스텝 S13에서 루프내에서 수행된다.
또 한편으로는, 도어(220)가 폐쇄되면, 또는 도어가 주 스위치의 작동시에 이미 폐쇄되었다면, 작동은 솔레노이드(230)가 비여자화되는 스텝 S14로 진행하고, 기록헤드(201)는 스텝 S16에서 복개된다. 복개 후 조작자의 기록개시키이의 누름은, 스텝 S17에서, 폐쇄된 루프에서 대기된다.
기록개시키이의 누름에 반응하여, 기록작동은 스텝 S18에서 개시된다. 소정 수의 용지가 기록처리되면, 기록헤드(201)는 스텝 S19에서 복개된다. 복개의 완료 후, 작동은 그 다음 기록작동을 준비하기 위하여 스텝 S17로 복귀하는데, 즉, 기록개시키이의 누름이 대기된다.
제20도의 중단루틴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어(230)가 개방되고, 도어센서(222)가 이 상태를 검출하면, 중단요구는 제어기의 CPU에 공급된다.
제19도의 메인 루틴에서의 작동이 스텝 S13의 다음의 스텝에 있으면, 중단은 이미 허용되었고, 그러므로, 제어작동은 제20도의 중단루틴으로 진행한다.
제20도의 스텝 S20에서, 기록작동은 기록작동동안 도어(220)가 개방되는 전체에서 멈추게 된다. 더욱 상세히는 기록헤드(1)용 구동펄스 및 잉크분출펄스는 정지되고, 스테핑 모터(208)용 구동펄스는 멈추고, 캐리지(202)의 운동은 멈추게 된다. 기록작동 스테핑 제어는 기록작동동안에 실행되지 않을 지라도 기록장치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스텝 S21에서 작동이 메인루틴으로 복귀하기 전에 스텝번호는 "13"으로 변경된다. 스텝번호의 변경에 의해서, 제어작동은 작동이 중단 루틴으로부터 복귀한 직후 메인루틴의 스텝 S13에서 개시한다.
상기한 종단 루틴 때문에, 복개작동은 도어(220)가 개폐될 때마다 항상 수행된다.
도어(220)가 기록작동동안에 개폐된다면, 기록재는 용지배출센서(216)에 의해서 검출되며, 용지걸림은 기록개시키이가 가압되기전에 기록재가 용지배출센서(216)의 위치에 있으므로 식별된다. 그러므로 제14도의 용지 걸림램프(19)는 발광되어 조사자가 기록용지를 제거시키고 주 스위치를 재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유사한 이점들이 제공된다. 더욱 상세히는, 기록헤드(201)는 기록작동 중 도어(220)가 개방될 때, 또는 기록작동 중 주 스위치가 비작동 될 때에만 복개되지 않는 채로 남아있다. 그러므로 기록헤드는 조작자가 이것을 고의로 시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복개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헤드(201)가 복개되지 않은 채로 남겨지는 경향은 완전히 제거된다. 그러므로 기록헤드(201)에서 조작자의 부주의한 실수로 인한 잉크의 고용화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220)는 주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을지라도 개방이 허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기록헤드(201)는 더욱 안전하게 교환될 수 있다. 또한, 도어(220)용 잠금기구의 구성부품수는 감소되어 제조원가를 낮추게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4개의 기록헤드(1a∼1d)가 칼라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록헤드의 갯수에 관계없이 단일칼라기록용 단일 기록헤드(단일잉크분출부)를 갖춘 장치, 동일칼라로 상이한 명암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록 헤드를 사용하는 음색기록이 가능한 잉크제트기록장치, 또는 다른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적용가능하다.
교환가능한 기록헤드(201A∼201D)는 커플러와 튜브를 통해서 연결된 별개의 잉크 분출기와 잉크콘테이너로 구성된 기록헤드 형태로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잉크콘테이너없이 잉크분출기를 갖춘 기록헤드의 형태 또는 일체로 잉크분출기와 잉크콘테이너를 갖춘 카트리지 타입 기록헤드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록재를 따라 가동가능한 캐리지상에 장착된 기록헤드를 갖춘 연속기록타입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적용가능하며, 또는 기록재에 대한 기록폭의 전체 또는 실제적인 부분을 커버하는 라인기록헤드를 사용한 라인타입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적용가능하다. 동일한 장점적인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될 때 기록헤드의 안전은 비기록위치(복개위치)로부터 기록영역까지의 기록헤드의 운동을 방지함으로써 더 보장된다.
도어의 개폐와 상호관련된 기록헤드용 이동방지수단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21도를 참조하면, 이동방지수단(408)이 도시되어 있다. 채널형 이동방지부재(408a)는 캐리지(406a)의 홈 위치에서 축(408b)에 대하여 회전을 위해 장착되어 있다. 이동방지수단(408)은 인장스프링(408c)에 의해서 제21도에서 c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것은 스토퍼(408d)에 접촉된 바닥끝과 함께 유지되어 있다. 테이퍼(408a1)가 이동방지부재(408a)의 끝에 형성되어 있다. 캐리지(406a)의 바닥면의 소정위치에서 맞물림구멍(408e)이 형성되어 있다.
방지수단(408)은 커버의 개폐와 상호 관련하여 작동된다. 더욱 상세히는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장치는 커버(412)가 장치의 주 조립체(411)로부터 개방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커버(412)의 내부 표면은 돌출부(408f)로 구비되어 있다. 돌출부(408f)는 커버(412)가 폐쇄될 때 방지부재(408f)의 끝(408a2)을 가압한다. 커버(412)가 개방될 때 이 돌출부는 가압을 해제한다.
그러므로, 제22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12)가 폐쇄될 때 돌출부(408f)는 끝(408a2)을 가압하며, 그 가압에 의해서 방지수단(408)은 축(408b)에 대하여 d 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이퍼부(408a1)와 맞물림구멍(408e)이 해제상태에 있게 한다. 그러므로, 캐리지(406a)는 슬라이드 레일(406c)을 따라 가동되어 기록작용이 장애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커버(412)가 기록헤드(406d) 등의 교환 목적으로 개방될 때, 돌출부(408f)는 방지부재(408a)의 끝(408a2)이 가압을 멈추어 방지부재(408f)가 스토퍼(408d)와 맞닿음할 때까지 스프링(408c)의 인장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한다. 캐리지(406a)가 홈위치(제21도의 점선)에 있으면, 테이퍼부(408a1)의 선두끝이 실선으로 표시된 캐리지(406a)에 형성된 맞물림구멍(408e)내에 결합되어 잠겨진다. 그러므로 캐리지(406a)는 슬라이드레일(406c)을 따르는 운동이 방지되어 캐리지(406a)의 예기치 않은 운동이 헤드교환작동시에 방지된다. 예기치 않은 전원공급장애 등으로 인하여 커버(412)가 개방된 홈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캐리지(406a)가 정지해 있으면 캐리지의 바닥은 캐리지(406a)가 홈위치로 움직일 때 테이퍼부(408a1)를 따라 방지부재(408a)를 하향시키고, 또한, 부가하여 테이퍼부(408a1)는 스프링(408c)을 가압함으로써 맞물림구멍(408e)내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캐리지(406a)는 홈위치로부터의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커버(412)가 개방될 때, 이동방지부재(408a)는 커버(412)의 개방과 관련하여 작동되어 홈위치에 배치된 캐리지(406a) 운동을 제한한다. 커버(412)가 폐쇄될 때, 캐리지(406a)에 대한 이동방지는 해제된다. 그러므로 캐리지(406a)는 기록헤드(406b)의 교환 또는 용지걸림 제거조작시에 부주의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개방수단(409)은 이송로울러(404a)와 핀치로울러(404b) 사이에 그리고 배출로울러(404c)와 핀치로울러(404d) 사이에서 개방되고 분리되도록 제공되고 있어서 기록용지(402)가 걸릴 때 걸림제거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04j1, 404j2)는 축(409a1, 409a2)에 고정되어 있다. 후크(404j1, 404j2)는 축(409a1, 409a2)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일체식 기어부(409b1, 409b2)를 갖추고 있다. 기어부의 하나(409b1)는 캠기어(409c)를 통해 랙(409d)과 맞물려 있고, 다른 하나의 기어부(409b2)는 랙(409d)과 직접 맞물려 있다.
조작레버(409e)는 축(409a2)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작레버(409e)가 제23도의 e 방향으로 회전될 때, 후크(404j2)는 e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축(404e2)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며, 동시에 랙(409d)은 f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그러므로 후크(404j1)는 g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축(404e1)으로부터 해제되고, 이송로울러(404a)와 핀치로울러(404b) 사이의 가압 그리고 배출로울러(404c)와 핀치로울러(404d) 사이의 가입은 해제된다. 개방방지부재(410a)는 제23도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 아암(404f1, 404f2)은 스프링(404i1, 404i2)에 의해서 당겨지며 아암(404f1, 404f2)의 부분이 지지축(404h)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더욱이 조작레버(409e)가 e 방향으로 회전될 때, 캠기어(409c1)상에 장착된 아암(409c1)은 지지축(404h)상에 고정된 캠(409f)을 회전시키며,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404g1)와 핀치로울러(404b)를 상승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지운송수단(404)은 용지걸림 제거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넓게 개방되어 이송통로로부터 기록용지(402)를 제거한다.
용지운송수단(404)이 개방되는 제23도의 상태에서, 상부 가이드(404g1)와 핀치로울러(404b)는 캐리지(406a)의 스캐닝 영역에 들어간다. 이것은 캐리지(406a)가 홈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정지될 때 작동레버(409e)가 작동되면 상부가이드(404g1)와 핀치로울러(404b)가 캐리지(404a)를 간섭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예는 캐리지(406a)가 홈위치에 있을 때에만 용지운송수단(404)의 개방이 허용되고, 캐리지(406a)가 다른 위치에 있을 때에만 운송수단(404)의 개방이 방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개방방지부재(41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방지부재(410)는 축(410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L자형 개방방지부재(410a)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방지부재(410a)가 제23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랙(409d)의 끝은 개방방지부재(410a)과 맞닿는다. 연결축(410c)의 한끝이 개방방지부재(410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L자형 잠금부재(410d)가 연결축(410c)의 다른 한끝에 장착된다. 캐리지(406a)가 홈위치로 움직일 때, 잠금부재(410d)는 캐리지(410a)의 바닥끝과 결합하여 제23도에서 h 방향으로 연결축(410c)을 미끄러지게 한다.
그러므로, 캘지(406a)가 홈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에 있을 때, 개방방지부재(410a)는 제22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어서, f 방향으로의 랙(409d)의 미끄럼 이동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작동레버(409e)가 e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하여 용지운송부재(404)의 개방이 방지된다.
용지운송부재(404)가 용지걸림제거작동 등을 위해 개방될 때, 연결축(410c)은 캐리지(406a)의 이동에 의해 홈위치까지 h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개방방지부재(410a)는 제23도에서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회전하고, 그 결과 랙(409d)은 회전가능상태로 되고, 용지운송부재(404)는 작동레버(409e)의 작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이때에 캐리지(406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방지부재(408)에 의해서 이동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용지운송부재(404)는 캐리지(406a)가 홈위치에 있을 때 개방될 수 있다. 캐리지(406a)가 다른 위치에 있을 때 개방방지부재(410)에 의해 개방이 방지되어, 캐리지(406a) 또는 기록헤드(406b)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기록수단은 끝제트 기록타입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타입의 전열 트랜스듀서가 기록신호에 의하여 여자되어 막비등을 발생시키도록 잉크를 가열하고 분출출구를 통해 잉크를 분출하도록 버블을 생성시키는 타입이다.
본 발명은 전열 트랜스듀서, 레이저 빔 등에 의해 열에너지가 잉크의 상태를 변화시켜 잉크를 분출 또는 방출시키는 데 사용되는 잉크제트 기록헤드 및 기록장치에 특히 적절히 사용된다. 이것은 화소의 고농도 및 기록의 고해상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구조와 작동원리는 미국특허 4,723,129호 및 4,740,796호에 바람직하게 개시되어 있다. 원리와 구조는 소위 온-디멘드(on-demand) 타입 기록시스템과 연속타임 기록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그러나 특히, 적어도 하나의 구동신호가 액체(잉크)유지 용지 또는 액체통로 상에 배치된 전열 트랜스듀서에 적용되고 구동신호가 핵비등점을 넘어 이러한 신속한 온도상승을 충분히 제공하는 원리로 되어 있어 온-디멘드 타입에 적절한데, 이것에 의해 열에너지는 열 트랜스듀서에 의해 제공되어 기록헤드의 가열부상에 막비등을 발생시키며, 이에 의해 각각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버블이 액체(잉크)에서 형성될 수 있다. 버블의 생성, 발달 및 수축에 의해서, 액체(잉크)는 분출출구를 통해서 분출되어 적어도 하나의 액적을 발생시킨다. 버블의 발달 및 수축이 즉각 시행되므로, 구동신호는 바람직하게 펄스의 형태이며, 그러므로 액체(잉크)는 신속한 응답이 분출된다. 펄스형태의 구동신호는 미국특허번호 제4,463,359호 및 제4,345,262호에 개시된 것과 바람직하게 동일하다. 또한, 가열표면의 온도증가율은 바람직하게 미국특허 제4,313,124호에 개시된 것과 같다.
기록헤드의 구조는 가열부가 만곡부에 배치된 미국특허번호 제4,558,333호 및 제4,459,600호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일 뿐만 아니라 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분출출구, 액체통로 및 전열트랜스듀서의 조합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 슬릿이 복수의 전열 트랜스듀서용 분출출구로서 사용되는 일본 공개특허 123670/1984호에 개시된 구조에 적용가능하며, 열에너지의 압력파 흡수용 개방구멍부가 분출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일본 공개특허 138461/1984호에 개시된 구조에 적용가능하다. 이것은 본 발명이 기록헤드의 타입에 관계없이 확실하고 높은 효율로 기록작동을 수행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최대 기록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춘 소위 풀-라인 타입 기록헤드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기록헤드는 단일 기록헤드와 최대폭을 커버하도록 조합된 복수의 기록헤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헤드가 주조립체에 고정된 연속타입 기록헤드에 적용가능하며, 주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교체가능한 칩타입 기록헤드에 적용가능하고, 또는 일체식 잉크콘테이너를 갖춘 카트리지 타입 기록헤드에 적용가능하다.
예비작동용 리커버리수단 및/또는 보조수단의 설비는 이들이 본 발명의 효과를 더 확실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단으로서는 기록헤드용 캐핑수단, 크리닝 수단, 가압 또는 흡입수단, 전열 트랜스듀서인 예비가열수단, 추가가열소자 또는 조합가열소자 등이 있다. 또한 예비분출을 시행하는 수단(기록작동용이 아님)이 기록작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장착가능한 기록헤드의 다양함에 관하여, 이 기록헤드는 단일칼라잉크에 대응하는 단일, 또는 다른 기록칼라 또는 농도를 갖춘 복수의 잉크재질에 대응하는 복수개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흑색인 단색 모우드, 다른 칼라잉크재질을 갖춘 멀티-칼라 모우드 및/또는 일체로 형성된 기록 유니트 또는 복수의 기록헤드 조합이 되는 혼합칼라를 사용하는 풀-칼라 모우드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갖춘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 잉크는 액체이다. 하지만 상온 이하에서는 고화되지만 상온에서는 액화되는 잉크재질도 사용가능한다. 잉크가 30℃ 이상 및 70℃ 이하에서 제어되므로 이러한 타입의 통상 기록장치에서 안정된 배출을 제공하도록 잉크의 점성을 일정하게 하며 잉크는 기록신호가 다른 타입의 잉크에 적용가능한 온도범위내에 액체인 것이다. 이들 중 하나에서, 열에너지로 인한 온도상승은 고체상태로부터 액체상태로 잉크의 상태변화를 위해 소비됨으로써 확실히 방지된다. 다른 잉크재질은 잔류할 때 응고되어 잉크의 증발은 방지한다. 이들 경우 중의 하나에서는, 기록신호발생 열에너지의 적용은 잉크가 액화되고, 액화된 잉크는 배출된다. 다른 잉크 재질은 기록용재에 도달될 때 고용화되기 시작한다. 본 발명은 열에너지의 적용에 의해서 액화되는 잉크재리에 역시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잉크재질은 일본 공개특허 56847/1979호, 동 71260/1985호에 개시된 다공쉬트재상에 형성된 구멍 또는 오목부를 통해서 액체 또는 고체 재질로서 유지된다. 용지는 전열 트랜스듀서에 대면한다. 상기한 잉크 재질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것 중의 하나는 막비등 시스템이다.
잉크제트기록장치는 컴퓨터 등과 같은 정보처리장치의 출력단자로서, 화상판독기와 결합된 복사기로서, 또는 정보송수신 기능을 갖춘 팩시밀리기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기록수단은 잉크제트 기록타입의 형태이지만, 본 발명은 열전달 타입 기록, 열감지 기록과 같은 다른 타입에 적용가능하며, 또는 와이어도트타입기록 시스템과 같은 충격식 기록 시스템에 적용가능한다.
본 발명의 여기에서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상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은 개량목적 또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내에서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9)

  1. 기록을 실행하는 기록영역에서 이동가능하고 기록영역에 인접한 비기록 영역으로 또한 이동가능한 캐리지(1)로서, 잉크제트헤드(2)가 기록재상에 기록을 수행하기 위해 잉크를 분출시키는 잉크분출출구를 가지고서 상기 캐리지(1)상에 장착가능하게 되어 있는 캐리지(1), 상기 잉크제트헤드를 상기 캐리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캐리지에 있는 장착기구(18), 상기 잉크제트헤드를 장착 및 탈착시키는 상기 장착기구를 위한 작동기구(22, 23)로 구성된 잉크제트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내에 제공되어 있으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의 장착 또는 탈착을 금지하도록 상기 작동기구의 작동을 금지하는 금지기구(59, 60), 및 상기 캐리지가 비기록위치에 있는 소정의 위치(A)에 있을 때에만 상기 금지기구에 의한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작동기구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기구(27, 61; 67, 68, 6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2)는 잉크를 분출시키기 위하여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열 트랜스듀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헤드(2)가 해제될 때, 작동가능한 캐리지 이동방지수단(31, 29)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는 상기 잉크제트헤드가 상기 캐리지(1)상에 장착될 때 상기 잉크제트헤드(2)를 안내하도록 안내면(1g)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가이드부(22d)는 상기 장착 및 탈착기구가 상기 잉크제트헤드의 탈착을 허용할 때, 상기 캐리지 안내면(1g)에 대하여 상기 잉크제트헤드의 분출측 표면을 경사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2d)는 상기 장착 및 탈착기구(18)를 작동시키는 해제레버(22)용 그립(22c)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2d)는 상기 장착 및 탈착기구의 안내아암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장착 및 탈착기구를 작동시키는 해제레버의 작동과 연합하여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안내면(1g; 124g)으로부터의 상기 가이드부(22d, 134b)의 높이(H1, L1)는 상기 잉크제헤드(122)의 분출측 표면(121a)으로부터의 잉크제트헤드안내면(21; 122ℓ)의 높이(H2; L2)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가 비기록영역에 있을 때, 상기 잉크제트헤드(201)의 분출측 표면을 복개시키는 캐핑부재(212), 상기 잉크제트헤드의 장착 및 탈착을 허용하고 상기 캐리지 부재 및 상기 캐핑부재를 에워싸고 있는 도어(220)를 가진 케이싱, 및 상기 장치의 주 스위치가 ON 상태일 때에만 상기 도어(220)의 개방 또는 폐쇄를 허용하는 제어수단(300)으로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도어(220)가 폐쇄될 때 분출측 표면을 상기 캐핑부재(212)에 의하여 복개시키는 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KR1019910013212A 1990-07-31 1991-07-31 잉크제트 기록장치 KR970007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317990A JP2761971B2 (ja) 1990-07-31 1990-07-3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203179 1990-07-31
JP2-230324 1990-08-31
JP23032490A JP2761974B2 (ja) 1990-08-31 1990-08-3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255151 1990-09-27
JP25515190A JP2908549B2 (ja) 1990-09-27 1990-09-27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5916290A JP2915121B2 (ja) 1990-09-28 1990-09-28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259162 1990-09-28
JP3-181687 1991-06-27
JP3181687A JP2908910B2 (ja) 1991-06-27 1991-06-27 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337A KR920002337A (ko) 1992-02-28
KR970007634B1 true KR970007634B1 (ko) 1997-05-13

Family

ID=2752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212A KR970007634B1 (ko) 1990-07-31 1991-07-31 잉크제트 기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69536B1 (ko)
KR (1) KR970007634B1 (ko)
AU (1) AU8149591A (ko)
CA (1) CA2048034C (ko)
DE (1) DE69119660T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9028B2 (en) 2003-05-15 2007-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esting hard disk drive
US7243043B2 (en) 2003-05-15 2007-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esting hard disk driv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US7401168B2 (en) 2003-05-15 2008-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via serial multi-port, and recording medium
KR101020432B1 (ko) * 2007-11-29 2011-03-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8807A (en) * 1992-09-10 1997-07-15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an antismear sheet deformation discharge system
DE4345338C2 (de) * 1992-09-10 1998-09-10 Seiko Epson Corp Tintenstrahldrucker
JP3253153B2 (ja) 1992-10-20 2002-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及び該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装置
DE69433804T2 (de) * 1993-01-13 2005-03-17 Canon K.K. Aufzeichnungsgerät und Aufzeichnungsmechanismusträger
EP0729845B1 (en) * 1995-02-28 2001-11-07 Canon Kabushiki Kaisha An ink jet printer and an ink storing member mounted on the printer
EP0890442A1 (en) * 1997-06-18 1999-01-13 Hewlett-Packard Company Inkjet pen alignment mechanism and method
JP3416904B2 (ja) * 1997-09-19 2003-06-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DE19839225A1 (de) * 1998-08-28 2000-03-02 Siemens Nixdorf Inf Syst Tintenstrahldrucker und Wechselbehälter für Drucktinte
DE19842445C2 (de) * 1998-09-16 2003-12-11 Wincor Nixdorf Int Gmbh Tintenstrahldrucker mit Halterung für einen Drucktintenbehälter
DE10324059B4 (de) * 2003-05-27 2007-03-08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DE102014103987A1 (de) 2014-03-24 2015-09-24 Francotyp-Postalia Gmbh Druckergerät
FR3047924B1 (fr) * 2016-02-18 2019-04-05 Just Print Dispositif d'approvisionnement en encre d'une impriman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2894A1 (de) * 1983-11-26 1985-06-05 Olympia Werke Ag, 2940 Wilhelmshaven Kassette fuer einen schreibkopf einer tintenschreibvorrichtung in einer schreibmaschine
JPS60172575A (ja) * 1984-02-20 1985-09-06 Canon Electronics Inc プリンタ
JPS60172576A (ja) * 1984-02-20 1985-09-06 Canon Electronics Inc プリンタ
JPS61279573A (ja) * 1985-06-05 1986-12-10 Ricoh Co Ltd 印字装置
JPS6283167A (ja) * 1985-10-09 1987-04-16 Canon Inc キヤリツジストツパ
US4736213A (en) * 1986-12-22 1988-04-05 Eastman Kodak Company Multiple print/cartridge ink jet printer having accurate vertical interpositioning
DE69019834T2 (de) * 1989-01-17 1995-12-07 Canon Kk Tintenstrahldruck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bau eines Tintenstrahldruckkopfes in eine Tintenstrahldruckvorrichtu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9028B2 (en) 2003-05-15 2007-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esting hard disk drive
US7243043B2 (en) 2003-05-15 2007-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esting hard disk driv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US7401168B2 (en) 2003-05-15 2008-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via serial multi-port, and recording medium
KR101020432B1 (ko) * 2007-11-29 2011-03-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149591A (en) 1992-02-06
CA2048034A1 (en) 1992-02-01
DE69119660T2 (de) 1996-12-12
DE69119660D1 (de) 1996-06-27
EP0469536A3 (en) 1992-10-28
EP0469536A2 (en) 1992-02-05
CA2048034C (en) 1997-10-07
EP0469536B1 (en) 1996-05-22
KR920002337A (ko) 199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634B1 (ko) 잉크제트 기록장치
US5579039A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5541631A (en) Ink cartridge including projection for preventing erroneous loading
US6637856B2 (en) Inkjet head and inkjet printer
EP0927641B1 (en) Ink jet recording unit
EP0398348B1 (en)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EP0398347B1 (en)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5248207A (en) Thermal printer provided with detachable head unit having built-in thermal head unit
US7566108B2 (en) Recording apparatus with detection of improperly mounted head cartridges
CA2051964C (en) Ink cartridge and ink jet apparatus usable with ink cartridge
JPH09240097A (ja) 走査型キャリアを備える機器およびプリント装置
EP1078773B1 (en) Carriage with protecting member for the electrical connectors and recording apparatus
JP276197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470318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
US6764237B2 (en) Printer with cutter device
JP364709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
EP0521658A1 (en) Recording apparatus
AU723213B2 (en)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H03197052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装着が可能な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76197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02912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4009530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のカバー開閉制御方法
JP2007022093A (ja) 印字装置
JP3464082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印刷記録装置
JPH0859023A (ja) プリンターの印画紙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