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702Y1 - 낚시용 리일의 핸들 - Google Patents

낚시용 리일의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702Y1
KR970006702Y1 KR92013307U KR920013307U KR970006702Y1 KR 970006702 Y1 KR970006702 Y1 KR 970006702Y1 KR 92013307 U KR92013307 U KR 92013307U KR 920013307 U KR920013307 U KR 920013307U KR 970006702 Y1 KR970006702 Y1 KR 970006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upport shaft
hollow shaft
shaft porti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139U (ko
Inventor
아끼라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모리 히데다로오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 히데다로오,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히데다로오
Publication of KR9300041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1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085Crank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744Hand cran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낚시용 리일의 핸들
제1도는 제1실시예로 핸들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2도는 제2실시예로 핸들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분해·분해 조립 순서를 본 고안의 작용 효과와 관련에 있어서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핸들아암1a : 관통구멍
2 : 지지축2a : 소경부
2b : 지지축의 축부2d : 지지축의 나사구멍
3 : 중공축부3B : 다각형 너트부
3d : 중공축부의 오목부3e : 중공부의 단부
3f : 중공축부의 수나사부4, 4' : 볼베어링
6 : 핸들 손잡이
6a : 핸들 손잡이 내주의 한쪽의 암나사부
13 : 치장마개14, 15 : 스터드 빠짐 방지부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스푸울에 낚시줄을 감아올리는 낚시용 리일의 핸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낚시용 리일의 핸들은, ① 일본실개소 56-21971 호 공보. ② 일본 실개소 58-96783호 공보에서 알려지는 바와 같이 핸들아암에 돌출설치하여 코오킹 고정한 지지축 외주에 핸들손잡이를 설치한 중공축부를 회전이 자유로이 빠짐방지 되어 지지한 구성으로 하고 있었다.
상기 공보의 구성에서는, 어느 것이든 지지축외주의 전주에 중공축부가 지지구성상 필요한 끼워맞춤 여유간극을 갖고 끼워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감기 조작중에 해수, 물 및 손에 부착한 물고기의 점액(물고기의 표면을 덮는 점액)이나, 손에 묻은 먹이의 앙금이나 모래등이 상기 지지축과 중공축부의 간극에 침입하기 쉽고 침입하면 스코어링이 발생하거나, 간극이 메워져서 핸들노브의 회전마찰저항이 커지고 핸들손잡이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감기조작을 경쾌히 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스코어링이 발생하거나 간극이 메워져서 핸들노브의 회전마찰 저항이 커지더라도 종래의 구성에서는 핸들 노브가 지지축에서 이탈할 수 없으므로 정비가 곤란하고, 핸들을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정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손잡이 본체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고정축을 핸들 아암에 끼워통하는 멈춤나사에 의해 핸들 아암에 한쪽지지 형상으로 축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정비를 하는 경우, 핸들 아암에 끼워 통한 멈춤나사를 풀어 고정축을 핸들 아암으로부터 제거하여 부착통 또는 손잡이 본체의 교환을 행하도록 한 것이 일본 실개평 3-56367호에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지축으로 되는 멈춤나사의 핸들아암 기부로의 감길때 등의 불규칙한 힘의 작용에 의해 사용경과에 따라 느슨해지기 쉽고, 덜그럭거림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멈춤나사, 고정축, 부착통의 3중 구조가 되기 때문에 손잡이부가 대형화(직경이 크게됨)하여 쥐기 어렵게 되고, 감기 조작성이 나쁨과 동시에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회전지지부의 세척이나 주유등의 정비를 용이하게 행할 수 없게 되는 과제가 남겨진다.
[고안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중공축부의 회전마찰저항의 영향을 받아, 핸들손잡이를 손으로 쥔상태에서 경쾌하게 감기조작을 행할 수 없고 또한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결점에 비추어 핸들아암에 고착한 지지축에 핸들 손잡이를 설치한 중공축부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하고 세척이나 주유등의 정비를 쉽게 가능하게 하여 지지축과 중공축부의 사이에 회전마찰저항을 작게하여 경쾌히 핸들조작이 가능한 낚시용 리일의 핸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핸들아암의 측면에 지지축의 외주에 핸들손잡이를 설치한 중공축부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한 낚시용 리일의 핸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아암에 한쪽을 고착한 상기 지지축의 축부 외주와 중공축부의 내주와의 사이의 상기 핸들아암측과 핸들 손잡이 측의 양측부를 볼베어링으로 지지하여 중공축부 내주와 지지축의 외주와의 사이를 환상공간부가 생기도록 이간시켜 이 핸들 손잡이측의 볼베어링을 상기 지지축의 핸들 손잡이측단부의 중심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나사맞춤하는 스터트 나사로 이루어진 빠짐 방지부재의 머리부에서 축방향으로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축을 핸들 손잡이를 가지는 중공축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빠짐 방지함과 동시에 이 빠짐방지부재 외측의 상기 핸들 손잡이의 반핸들 아암측의 개구부를 이 제거가 가능한 치장마개로 폐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일의 핸들이다.
[작용]
상기 낚시용 라인의 핸들이 회전되는 때는 핸들 손잡이는 핸들아암에 대하여 유성(遊星) 작용 위치에 있고 이 핸들 손잡이가 손으로 쥐고 핸들 아암과 지지축이 회전되어 도시하지 않은 스풀이 회전한다.
이때 지지축은 2개소의 축받이체를 통해서 핸들 손잡이로 회전된다. 핸들손잡이는 핸들아암에 대하여 유성작용위치에 있고, 이 핸들손잡이가 손으로 쥐고, 핸들아암과 지지축이 회전되어 도시하지 않는 스푸울이 회전된다.
[실시예]
이하 도시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제1도, 제2도는 낚시용 리일의 핸들의 제1및 제2실시예이고 모두 핸들의 주요부 단면측면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낚시용 리일의 핸들은, 핸들아암(1)의 관통구멍(1a)에 지지축(2)의 소경부(2a)가 삽입 또는 압입되어 코오킹 고정된 상태로 지지축(2)이 핸들아암(1)의 측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핸들의 핸들 손잡이(6)와, 별체로 형성된 중공축부(3)가 나사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핸들 손잡이(6)는 예컨데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내주에 한쪽의 암나사부(6a)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쪽에는 예컨데 상기 암나사부(6a)와 축선을 공유하도록 다른쪽의 암나사를 형성하는 등으로, 핸들 손잡이(6)의 반핸들 아암측의 개구부를 제거가 가능한 치장마개(13)로 폐쇄하고 있다.
중공축부(3)는 예컨데 금속제이고, 중공축부(3)의 내경은 지지축(2)의 축부(2b) 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된 상태에서는 양자 사이에는 환상 간격부가 생기도록 이간되어 있다. 중공축부(3)의 일단내주에는 축받이체(4)가 끼워지는 오목부(3d)가 형성되어 있고 동일한 일단 외주에는 외주다각형의 너트부(3b)간 형성되어 있다.
중공축부(3)의 타단내주에는 축받이체(4')가 끼워지는 단차부(3e)가 형성되어 있고 동일한 타단 외주에 수나사부(3f)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는 핸들 손잡이(6)의 암나사부(6a)가 나사맞춤되어 있다.
지지축(2)의 축부(2b) 외주와 중공축부(3)의 내주의 사이에 상기 오목부(3d)와 상기 단차부(3e)에 축받이체(4, 4')가 설치되어, 다시 설명하는 형태로서 중공축부(3)가 지지축(2)의 축부(2b) 외주에서 환상으로 이간되어 있음과 동시에, 착탈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2)의 외주는 상기 한측의 소경부(2a)와 중간의 축부(2b)로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체(4, 4')는 볼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2)의 타측 중심에는 나사 구멍(2d)이 형성되어, 여기에 작은 평나사(14)가 나사맞춤되고, 지지축(2)은 상기 작은 평나사(14)의 머리부에 의해 볼베어링(4')을 통해서 중공축부(3)에 대해, 즉 핸들 손잡이(6)에 대해 축방향으로 걸어맞춤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는 제1도의 실시예의 작은 평나사(14)를 작은 둥근나사(15)로 바꾼 점이 다른 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핸들의 분해, 조립의 순서를 본 고안의 작용 효과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낚시용 리일의 핸들이 조립되는 때에는 먼저 최초로, 핸들아암(1)에 코킹 고정된 지지축(2)의 축부(2b)의 외주에 단부에서 한쪽의 축받이체(4)를 끼워맞춤하여, 상기 핸들아암(1)측에 미끄럼시키든가 또는 상기 한쪽의 축받이체(4)를 최초부터 중공축부(3)의 오목부(3d)내에 끼워맞춤하여 둔다. 다음에 지지축(2)을 중공축부(3)에 삽입한 후, 지지축(2)의 축부(2b) 외주에 다른쪽 축받이체(4') (볼베어링)를 중공축부(3)의 단차부(3e)에 끼워맞춤한다. 또한 다음에, 지지축(2)의 나사구멍(2d)내에 빠짐 방지부재(제1실시예의 경우는 작은 평나사(14), 를 나사맞춤하여 탈착 자유로이 빠짐 방지한다. 그리고 최후에, 치장마개(13)로 핸들 손잡이(6)의 반핸들 아암측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역으로, 상기 낚시용 리일의 핸들을 분해할 때는 (i)치장마개(13)를 핸들 손잡이(6)에서 빼낸다. (ii) 핸들 손잡이(6)의 개구부에서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빠짐 방지부재(작은 평나사(14)의 나사산에 상기 드라이버의 끝을 걸어맞춤하고 회전시켜 이완시키고, 빠짐 방지부재(작은 평나사(14)의 머리부와 볼베어링(4')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여, 빠짐 방지부재(14)를 지지축(2)의 나사구멍(2d)에서 제1도의 좌방향으로 꺼낸다. (iii) 지지축(2)을 중공축부(3)와 일체화한 핸들 손잡이(6)에서 제1도의 우방향으로 빼낸다. 또한 이때에 축받이체(볼베어링)(4')는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축부(3)의 개구부에 남는다. 이것에 대하여 다른 쪽의 축받이체(볼베어링(4)는 중공축부(3)와 함께 이동하여도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의 원위치에 남아도 상관없다.
상기 낚시용 리일의 핸들이 회전되는 때는 핸들 손잡이(6)는 핸들아암(1)에 대하여 유성작용 위치에 있고, 이 핸들 손잡이가 손으로 쥐고 핸들아암(1)과 지지축(1)이 회전되어 도시하지 않은 스풀이 회전된다.
이때 지지축(2)은 축지지체(4, 4')를 통해서 핸들 손잡이(6)로 회전된다.
[고안의 효과]
낚시용 리일의 핸들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세척이나 주유등의 정비가 가능하고, 중공축부(3) 내주는 지지축(2)의 축부(2b)외주에서 이간되어 있고, 또한 중공축부(3)는 지지축(2)의 축부(2b)에 축 지지체(4, 4')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큰 부하가 걸릴때에, 핸들의 회전조작이 무겁게 되지 않고, 중공축부(3)와 축부(2b)의 사이에 먹이의 앙금이나 모래등이 침입하지 않고, 해수, 물 및 손에 부착한 물고기의 점액등이 침입하여도, 침식이 발생하든가, 간격이 매워져 버리지 않고, 중공축(3)의 회전마찰저항이 크게 되지 않고, 핸들 손잡이(6)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감기조작을 경쾌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예 ①, ②에서는 지지축 외주의 전주변과 중공축부와의 면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특히 큰 부하가 걸릴때에, 핸드의 회전조작이 무겁게 되어 감기조작이 경쾌하게 행해지지 않았는데, 이 결점이 개선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아암에 고착한 지지축의 내부의 나사구멍이 나사부착한 스터드형 빠짐 방지 부재의 머리부가 축받이체를 통해서 중공축부를 지지하고 있고, 지지축과 중공축부 사이의 회전마찰저항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 핸들 손잡이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감기조작을 경쾌히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치장마개 및 빠짐방지부재를 핸들 손잡이의 핸들아암측의 개구부에서 탈착하는 것으로 세척이나 주유등의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행한다고 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지지축(2)과 중공축부(3)와의 사이에, 환상의 이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 분해시의 지지축(2)의 미끄럼을 극히 부드럽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터드형 빠짐 방지부재의 머리부가 볼베어링을 걸어맞춤하는 것을 통해서, 지지축(2)을 중공축부(3)에 대하여, 따라서, 핸들 손잡이(6)에 대하여 걸어맞춤하므로, 상기 지지축(2)의 외주에는 나사를 형성하지 않고 마무리하여 조립, 분해를 반복하는 경우에 상기 지지축(2)은 중공축부 내주부와의 충돌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없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낚시용 리일의 핸들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정정) 핸들아암(1)의 측면에 고착한 지지축(2)의 외주에 핸들 손잡이(6)를 설치한 중공축부(3)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한 낚시용 리일의 핸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아암(1)에 한쪽을 고착한 상기 지지축(2)의 축부 외주와 중공축부(3)의 내주와의 사이의 상기 핸들아암(1)측과 핸들 손잡이(6)측의 양측부를 볼베어링(4, 4')으로 지지하여 중공축부(3) 내주와 지지축(2)의 외주와의 사이를 환상공간부가 생기도록 이간시켜 이 핸들 손잡이(6)측의 볼베어링(4')을 상기 지지축(2)의 핸들 손잡이(6) 측단부의 중심에 형성한 나사구멍(2d)에 나사맞춤하는 스터트 나사로 이루어진 빠짐 방부재(14, 15)의 머리부에서 축방향으로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축(2)을 핸들 손잡이(16)를 가지는 중공축부(3)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빠짐 방지함과 동시에 이 빠짐방지부재(14, 15) 외측의 상기 핸들 손잡이(6)의 반핸들 아암측의 개구부를 이 제거가 가능한 치장마개(13)로 폐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일의 핸들.
KR92013307U 1991-08-23 1992-07-18 낚시용 리일의 핸들 KR97000670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74709U JP2550972Y2 (ja) 1991-08-23 1991-08-23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91-074709 1991-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139U KR930004139U (ko) 1993-03-20
KR970006702Y1 true KR970006702Y1 (ko) 1997-07-02

Family

ID=1355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307U KR970006702Y1 (ko) 1991-08-23 1992-07-18 낚시용 리일의 핸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328122A (ko)
JP (1) JP2550972Y2 (ko)
KR (1) KR9700067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972Y2 (ja) * 1991-08-23 1997-10-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H075360U (ja) * 1993-06-25 1995-01-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JP3017028B2 (ja) * 1994-09-21 2000-03-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3504463B2 (ja) * 1997-07-10 2004-03-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US6942077B1 (en) 2000-06-28 2005-09-13 Trg Assessories, L.L.C. Towable wheeled-backpack
US20030102195A1 (en) * 2000-11-02 2003-06-05 Mittleman David D.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US6651791B1 (en) * 2000-11-02 2003-11-25 Trg Accessories, Llc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US20020144874A1 (en) * 2000-11-02 2002-10-10 Nykoluk Cory O.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GB2371209B (en) * 2001-01-19 2004-05-12 Foo Tai Wong Napkins
WO2004080228A2 (en) * 2003-03-07 2004-09-23 Trg Accessories, Llc Rotatable handle for towable luggage
AU2004100214B4 (en) * 2003-06-27 2005-02-03 Landor & Hawa International Limited Suitcase
SG121940A1 (en) 2004-10-06 2006-05-26 Shimano Kk Handle knob and handle assembly for a fishing reel
US7836624B1 (en) * 2006-05-05 2010-11-23 Billy Pennington Gun cleaning kit
JP5618490B2 (ja) * 2009-02-27 2014-11-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CN102754626B (zh) * 2012-07-18 2015-04-22 宁波中源欧佳渔具股份有限公司 渔线轮手把
JP6956602B2 (ja) * 2017-11-13 2021-11-02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ノブ及び魚釣用リール
US11009307B2 (en) * 2018-12-21 2021-05-18 John Damarin Handle for firearm cleaning ro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52896A (en) * 1930-02-18 1931-07-16 Oerlikon Maschf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rank handles for control drums
US2184149A (en) * 1938-03-07 1939-12-19 Walter D Marr Fishing reel
US2316266A (en) * 1940-12-18 1943-04-13 Walter D Marr Handle mechanism for reels
US2643073A (en) * 1950-02-04 1953-06-23 Frank P Adams Reel
US3989204A (en) * 1968-01-05 1976-11-02 Carpano & Pons S.A. Fly fishing reel
SE369825B (ko) * 1973-05-11 1974-09-23 Abu Ab
JPS5516805B2 (ko) * 1973-12-08 1980-05-07
US4155517A (en) * 1977-01-24 1979-05-22 Ryobi Limited Fishing spinning reels
US4138075A (en) * 1977-09-08 1979-02-06 Korten Chauncey F Combination knob for fishing reels
JPS55100323A (en) * 1979-01-18 1980-07-31 Inst Fuizuikoooruganichiesukoi Unsaturated hydrocarbon manufacturing process
DE2930498A1 (de) * 1979-07-27 1981-02-12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Hilfskraftlenkung,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S5846783A (ja) * 1981-09-12 1983-03-18 Sony Corp クロマキ−装置
JPS5896783A (ja) * 1981-12-04 1983-06-08 Internatl Rectifier Corp Japan Ltd 発光ダイオ−ド
GB2134761B (en) * 1983-02-16 1986-01-22 Linn Prod Ltd Fishing reel
FR2637458B1 (fr) * 1988-10-07 1991-01-04 Mitchell Sports Manivelle pour moulinet de peche
JP2550972Y2 (ja) * 1991-08-23 1997-10-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3056367U (ja) * 1998-07-31 1999-02-16 マリーン開発株式会社 あわびの養殖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139U (ko) 1993-03-20
US5429317A (en) 1995-07-04
JPH0520561U (ja) 1993-03-19
JP2550972Y2 (ja) 1997-10-15
US5328122A (en) 1994-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702Y1 (ko) 낚시용 리일의 핸들
CN100521931C (zh) 旋转绕线轮的摇把组件和旋转绕线轮
CA2607875A1 (fr) Dispositif de galet tendeur ou enrouleur
EP3503723B1 (en) Reel with disengageable seal
TWI710315B (zh) 紡車式捲線器
CA1297708C (en) Adjustable socket-type wrench
US7344099B1 (en) Drag system for a spinning reel
JPH0423411Y2 (ko)
JP4240479B2 (ja) ネジ式クランプ
TW201927141A (zh) 釣具用捲線器之捲筒及釣具用捲線器
WO2024079935A1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WO2024079936A1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4121176A (ja) 魚釣用リール
JPH09144739A (ja) めねじ体の抜け止め部材およびめねじ体の抜け止め方法
JP3568161B2 (ja) 釣用リール
JP3001861U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6223213A (ja) 魚釣用リ−ル
JP2004222656A (ja) 釣用リールの注油構造
FR2465145A1 (fr) Indicateur de position pour robinets d'arret
JPS5917172Y2 (ja) 両軸受型魚釣用リ−ル
JPH0246532Y2 (ko)
KR0135930Y1 (ko) 물고기 낚시용 릴의 핸들장착기구
JPH0215901Y2 (ko)
JPS6136972Y2 (ko)
JPH0718566U (ja)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装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