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502B1 - 시뇨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시뇨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6502B1 KR970006502B1 KR1019940008852A KR19940008852A KR970006502B1 KR 970006502 B1 KR970006502 B1 KR 970006502B1 KR 1019940008852 A KR1019940008852 A KR 1019940008852A KR 19940008852 A KR19940008852 A KR 19940008852A KR 970006502 B1 KR970006502 B1 KR 970006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ine
- container
- air
- pipe
- ejec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1—Bowls combined with a reservoir, e.g. contain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for disinteg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3—Incinerator clos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설변소내에 채택된 시뇨처리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의 다양한 부품들의 배관접속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변기와 건조가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장치에 대한 제어계의 블룩도.
제6도는 제1도의 장치의 부품의 작용을 나타내는 진리표.
제7도 내지 제10도는 제1도의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설변소내에 채택된 시뇨처리장치의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3도는 제11도의 장치의 배관접속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제11도의 변기와 건조가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제15도는 제14도의 히터 유니트와 건조가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제16도는 덮개가 제거된 제15도의 히터 유니티의 확대사시도.
제17도는 제11도의 장치의 다양한 부품의 배관접속을 나타내는 확대도.
제18도는 제11도의 장치에 대한 제어계의 블록도.
제19도는 제11도의 장치의 부품의 작용을 나타내는 진리표.
제20도 내지 제24도는 제11도의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가설변소 2, 102 : 기초대
3, 103 : 하우스 4, 104 : 도어
5, 105 : 시뇨처리장치 6, 106 : 변기
7, 107 : 먼지수집기 8, 108 : 흡인호스
9, 109 : 배출호스 11, 111 : 건조가마
12, 112 : 밸브기구 13, 113 : 구동기구
14, 114 : 송풍기 15, 115 : 탈취상자
16, 116 : 이젝터 17, 117 : 에어크리너
18 : 열풍기 21, 121 : 가마덮개
22 : 개구 23, 123 : 교반모우터
24, 124 : 기어박스 25, 125 : 로우터리축
26, 126 : 교반날개 27, 127 : 도입부
28, 128 : 투입구 29, 129 : 축열체
30, 130 : 죠인트 32, 132 : 전환밸브
33, 133 : 흡기파이프 35 : 모우터
36, 136 : 팬 37, 39, 137, 139 : 송풍파이프
38, 138 : 전환밸브 40, 140 : 개폐밸브
41, 141 : 분출파이프 42 : 개폐밸브
43 : 우회파이프 44 : 히터
45, 145 : 액면센서(오버플로우 센서)
45, 146 : 온도센서 47, 147 : 증발파이프
48, 148 : 전환밸브 49, 149 : 먼지파이프
50, 150 : 먼지봉투 51, 151 : 방출파이프
52, 152 : 촉매상자 53, 153 : 조리개부
54, 154 : 촉매 55, 57, 160 : 예열파이프
57 : 예열파이프 58 : 분기파이프
62, 172 : 오버플로우 판별회로 63, 173 : 온도판별회로
64, 174 : 지시스위치 65, 175 : 건조지시회로
66, 176 : CPU 68, 178 : 전환밸브 제어회로
69, 179 : 모우터 제어회로 70, 180 : 개폐밸브 제어회로
71, 181 : 히터제어회로 119 : 히터 유니트
122 : 분출구 134 : 흡인파이프
156 : 혼합파이프 157 : 개폐밸브
158 : 송압파이프 159 : 개폐밸브
163 : 송기파이프 165 : 가이드 레일
166 : 전극 167, 168 : 죠인트파이프
169 : 고주파 코일 170 : 전력선
177 : 전원 스위치 182 : 고주파 발생회로
183 : 공냉기
본 발명은 시뇨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촉매상자 앞에 놓여진 열풍수단이 부식하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사용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로부터 배설된 시뇨는, 일반 가정에 있어서는 수세토일렛 등에 의하여 하수관에 방출하던가, 정화조에 일시 저류하여 정화하고 나서 하천에 방류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런데, 옥외에서 집회를 하는 경우, 예컨대, 축제, 운동회, 전시회, 집회 등의 인원이 다수 몰리는 회장에서는, 종래부터 가설의 변소를 설치하는 것으로 참가자의 생리적 현상을 해소하고 있었다.
종래의 이동가능한 가설변소는, 대부분이 시뇨를 일시 수납하는 탱크를 가진 구조의 것이며, 인체로부터 배설된 시뇨는 이 탱크에 저류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가설변소를 사용한 후에는 진공차등에 의하여 탱크에 저류된 시뇨를 회수하고, 정화시설이 있는 시뇨처리장치에 이송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회수 후의 처리가 필요하게 되며, 뒷처리에 시간과 노력이 듦과 동시에, 비위생적인 것이었다.
또, 장거리를 이동하는 전차, 버스, 선박등의 교통기관에서는 배설된 시뇨를 보관하는 전용의 탱크를 비치하고 있으며, 이 탱크안에 시뇨를 수납하고, 화학약품등으로 방취처리를 한 후, 종착역이나, 중계지점에서 버큠카에 의하여 회수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설변소, 혹은 이동할 수 있는 교통기관에서의 시뇨의 처리는 인체에서 배설된 채로의 상태로 저류하고, 그 후 회수하는 것이 거의 전부였다.
이 때문에, 저류방법, 회수방법, 처리방법의 어느 것이나 비근대적이고, 매우 비위생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장기간 가설변소를 사용하고 있으면, 배설한 시뇨가 탱크내에 잔류하고, 악취의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또, 사용 후의 처리작업은 작업원에게 혐오스럽기 때문에, 가설변소를 설치한 후의 보수유지의 근대화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었다.
이와 같은 현상 때문에, 종래부터 위생적으로 시뇨를 처리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생각되고 있었다.
예컨대, 시뇨와 함께 화학약품을 투입하고, 살균 및 방치를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약품이 살균내에서 순환하기 때문에, 장기사용을 할 수 없고, 또, 약품의 사용에 의한 경비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또한, 비닐등의 주머니에 시뇨를 수납하여 패킹함으로써, 냄새의 발산을 방지하는 방법도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1회의 배설에서 상당히 넓은 면적의 비닐 주머니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처리비용이 높아짐과 동시에, 후일 비닐주머니로부터 시뇨를 분리하기 위한 처리가 번거롭고, 또한 그 처리시설이 대규모로 되는 것이었다.
또한, 배설된 시뇨를 버너 등의 화력으로 직접 건조시키는 방법도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은 수분이기 때문에, 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시뇨의 1회 처리에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이 때문에, 본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발명자는, 시뇨를 수납하는 용기내에 회전하는 교반날개를 설치하고, 또한 용기에는 다수의 축열체를 수납시킨 시뇨건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는, 용기를 외부로부터 가열함과 동시에,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신속하게 시뇨를 건조시키고,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원소 63년 124150호, 특원평 2년 411577호, 미합중국 특허 제4,999,930호, 5,058,213호, 5,152,074호, 5,230,164호, 5,257,466호 및 1991. 12. 18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07/809,962 및 1992. 10. 8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07/985,556호 등이 그것이다.
이 새로이 제안된 시뇨처리장치를 이용하면, 배설된 시뇨는 용기내에서 가열, 증발되고,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은 증발되어서 대기중에 발산된다.
이 경우, 액체성분이 확산되기 전에, 악취를 풍기는 성분이 촉매 등으로 무취화되고 대기중으로 확산되며, 인가등이 들어서 있거나, 인원이 다수 집합하고 있는 장소이더라도, 악취를 발산시키는 일이 없고, 환경보전의 면에서도 바람직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밀폐된 용기내에서 시뇨를 증발, 교반시키는 것은 매우 위생적이고, 또한 작업이 시스템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등에 있어서, 작업원에 부담을 주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제안하고 있는 시뇨처리장치에서는 밀폐한 용기인 건조가마내에 시뇨를 수납하고, 이 밀폐한 건조가마 하부를 히터 등에 의하여 가열시키는 것으로 증발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용기내의 증발된 수증기는 이들 수증기로부터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먼저수집상자내로 도입되고, 촉매상자로 도입된 후, 대기중으로 확산된다. 밀폐된 용기내의 수증기가 촉매와 접촉되어야 하는 이유는 악취성분이 무취의 성분으로 변화되고, 그에 의하여 대기환경으로 확산될 때 악취를 없애버리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에, 악취성분을 산화환원하기 위한 촉매로서는 백금이 사용된다. 따라서 촉매는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촉매히터는 종래에는 촉매상자의 하부에 수용되어 있었다.
이러한 촉매히터는 수증기와 접촉하고, 촉매히터가 산화되고 부식 및 파괴되는 일이 발생되는데, 왜냐하면, 암모니아, 요소 등 시뇨내에 포함된 성분이 촉매히터와 접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러한 촉매히터는 장시간동안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보수유지 및 교체 때문에 귀찮은 것이었다.
시뇨를 담고 있는 용기를 가열하기 위하여는, 히터를 기동하기 위하여 용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따라서 용기는 그 외부로부터 가열되며, 또는 버너 등에 의하여 액체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용기를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다른 방법도 있다. 그러나, 히터에 의하여 용기를 가열하는 방법은 전체 열이 용기내로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떨어진다. 한편, 액체연료를 연소함으로써 용기를 가열하는 방법은, 용기의 구조는 단순한 장점이 있는 반면, 용기를 둘러싸는 수납상자와 버너가 높은 온도로 증가되어 화재를 발생할 수 있으며, 가열된 용기가 냉각되어야 하며, 따라서 장치가 대형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액체연료를 연소함으로써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방법은 옥외에서 채택될 수 있으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므로 실내에서는 위험하다. 이러한 종래의 시뇨처리장치에 있어서, 열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교반날개가 용기내에서 회전하여 용기를 진동시킨다. 만약 진동이 히터로 전달되면 히터가 파괴될 수 있으며, 그의 보수유지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하지 않으며, 높은 열효율을 가지고 용기를 가열하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히터의 진동을 감내할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서, 항상 청결한 상태로 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방법도 요구되어 왔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시뇨처리장치는,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의 내부에 시뇨를 수납하는 내열 밀폐용기와, 용기를 가열하고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수단과, 용기내에 설치되고 시뇨를 교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수단과, 용기내에 수납된 다수개의 구형상 축열체와, 시뇨가 배출되는 변기와, 변기가 용기와 연이어 통하도록 변기 및 용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기구와, 시뇨로부터 배출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용기와 연이어 통하는 증발파이프와, 그의 내부에 촉매를 수납하고 증발파이프와 연이어 통하는 촉매상자와, 촉매상자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촉매상자의 하류측에 접속된 이젝터와, 가열된 공기류를 보내기 위하여 촉매상자의 상류측에 접속된 열풍기와, 공기를 이젝터 및 열풍 송풍기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 및 이젝터 및 용기를 연이어 통하도록 이젝터와 용기의 하류측 사이에 마련된 우회파이프로 구성된 시뇨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시뇨처리장치는,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의 내부에 시뇨를 수납하는 내열 밀폐용기와, 용기의 아래쪽에서 용기와 밀접하게 접속되며 고주파 전자파를 발생하기 위한 고주파 코일을 가지고 있어서 발생된 전자파에 의하여 용기가 인덕션 가열되도록 하는 인덕션 가열수단과, 인덕션 가열수단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주파 발생회로와, 용기내에 설치되고 시뇨를 교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수단과, 용기내에 수납된 다수개의 구형상 축열체와, 시뇨가 배출되는 변기와, 변기가 용기와 연이어 통하도록 변기 및 용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기구로 구성되는 시뇨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변기로 배출된 시뇨는 밸브기구에 의하여 건조가마내로 떨어진다. 시뇨의 1차 성분으로서의 액체성분은, 히터에 의하여 건조가마가 가열된 때 수증기로 변하여 증발된다. 증발된 수증기는 증발파이프를 통하여 촉매상자로 전달된다. 열풍 송풍기가 촉매상자와 관련하여 상류측에 마련되고, 송풍기로부터 열풍 송풍기를 통하여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므로, 촉매상자내의 촉매는 항상 열풍기에 의하여 데워진다. 이젝터가 촉매상자에 관하여 촉매상자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촉매상자는 항상 부압상태로 있다. 따라서, 건조가마내의 시뇨로부터 증발된 수증기는 증발파이프를 통하여 촉매상자로 들어가고 열풍기로부터 뜨거운 공기와 혼합되며 촉매와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악취는 산화환원되면서 무취한 상태로 되고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이젝터의 배출측과 건조가마는 상호간에 우회파이프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으므로 건조가마로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시뇨의 산화를 촉진하고 증기의 흐름을 제고한다. 그와 같은 일련의 처리 또는 작용에 있어서, 건조가마내에서 증발된 증기는 열풍기내의 촉매히터와 직접 접촉하지는 않게 되고 따라서 촉매히터는 시뇨로부터 증발된 여러 가지 성분에 의하여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촉매히터는 장기간 동안 사용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주파 코일이 건조가마의 아래쪽에서 밀접하게 놓여 있으며 고주파가 고주파 코일에 인가되므로 전자파가 용기로 전해지고, 따라서 건조가마는 전자유도가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전자파는 건조가마의 금속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열을 발생하지 않으면, 고주파 코일에 접촉하는 건조가마의 금속부분에서만 열을 발생하므로, 열효율을 증진하게 된다. 또한, 액체연료가 연소되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는 건조가마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건조가마는 실내 또는 터널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건조가마와 고주파 코일의 사이에는 간극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며, 건조가마내에서 교반날개가 작동할 때 발생되는 진동은 고주파 코일로의 가열가능이 그와 같은 간극이 존재하여도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고주파 코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주파 코일의 파괴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1실시예(제1도 내지 제10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뇨처리장치를, 제1도에 제10도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기술된 시뇨처리장치는 트럭 등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시뇨처리장치가 결합된 이동식 또는 가설변소가 개시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가설변소(1)는 플라스틱 또는 강화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상자형상을 하고 있다. 가설변소(1)는 바닥에 지지될 수 있는 기초대를 가지며, 그에 고정되는 지붕달린 하우스(3)를 가진다. 도어(4)는 하우스(3)의 앞쪽에 부착된다. 가설변소(1)는 그의 내부에 기초대(2)의 상부에 고정되는 시뇨처리장치(5)를 가진다. 변기(6)는 시뇨를 수납하기 위하여 처리장치(5)의 상부에 고정된다. 빈상자형상의 먼지수집기(7)는 하우스(3)의 뒤쪽에 인접하여 설치되지만 하우스(3)와는 독립적이다. 처리장치(5) 및 먼지회수기(7)는 흡인호스 및 배출호스(9)에 의하여 상호간에 연이어 통한다.
제2도는 장치(5)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며, 처리장치(5)의 주요 구성부재 및 이들 각 부재들과 접속된 배관은 실선에 의하여 표시되었으나, 유통경로는 생략되었다. 장치(5)는 그 자체로 작동가능한 유니트로서 조립되며 통산 건조기구 및 촉매산화-감소기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통형의 건조가마(11)는 처리장치(5)의 좌측 가장 안쪽에 고정되며, 대기중으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건조가마(11)의 앞쪽에서 송풍기(14)가 처리장치(5)에 고정됨으로써 장치(5)내의 환기를 수행한다. 입방체 형상의 탈취 상자(15)는 그의 외부 둘레부에서 열절연부재에 의하여 덮여 있으며, 처리장치(5)의 우측에 고정되며, 여기에서 상자(15)는 그의 내부에 촉매기구를 포함한다. T자형 이젝터(16)는 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탈취상자(15)의 상부에 고정된다. 에어크리너(17) 및 (18)가 건조가마(11)와 탈취상자(15)의 사이 공간에 설치된다. 나비밸브를 포함하는 밸브기구(12)는 변기(6)와 건조가마(11) 사이의 경로를 폐쇄하기 위하여 건조가마(11)의 상부측에 설치된다. 변기(6)의 하부는 밸브기구(12)의 상부 개구에 접속된다. 구동기구(13)는 시뇨를 교반하기 위하여 건조가마(11)의 상부면상에 놓여진다.
제3도는 처리장치(5) 내부에 마련된 것과 같은 다양한 구성부의 배관접속을 나타낸다. 밸브기구(12)는 변기(6)의 하부 개구와 건조가마(11)의 상부의 사이에 접속된다. 구동기구(13)는 건조가마(11)의 상부면상에 놓여지며 로우터리측(25)은 건조가마(11)의 내부측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다수개의 교반날개(25)는 로우터리 축(25)의 방사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 및 고정되어 있으며, 건조가마(11)의 아래쪽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다. 구형이면서, 산화알루미늄, 세라믹 등과 같은 축열체의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축열체(29)들은 건조가마(11)의 내부에 담겨있다. 히터(44)는 건조가마(11)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 액면센서(45)는 건조가마(11)의 상부에서 건조가마(11)에 수납된 시뇨의 액면높이를 검지하기 위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건조가마(11)의 외측면에는 건조가마(11)의 표면의 온도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센서(46)가 밀착되어 있다.
상기 에어크리너(17)는 예를 들면 내부에 눈금이 가는 종이나 직포를 수납하고 있으며, 먼지와 공기를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 에어크리너(17)에는 A, B의 2방향으로 전환되는 전환밸브(32)의 A측에 접속하고 있다. 이 전환밸브(32)의 공통측에는 흡기파이프(33)가 접속되어 있으며, 흡기파이프(33)에는 송풍기(14)의 흡입측이 접속하고 있다. 이 송풍기(14)의 내부에는, 모우터(35), 이 모우터(35)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36)이 수납하고 있으며, 송풍기(14)의 배기측에는 송풍파이프(37)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파이프(37)에는 C, D의 2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전환밸브(38)의 공통측에 접속하고 있으며, 전환밸브(38)의 C측에는 예열파이프(55)가, 전환밸브(38)의 D측에는 송풍파이프(39)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송풍파이프(39)는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40)가 접속하고 있으면, 개폐밸브(40)에는 분출파이프(41)가 접속하고 있으며, 분출파이프(41)는 건조가마(11)의 상부에 접속하고 있으며, 분출파이프(41)의 앞끝단은 건조가마(11)의 바닥부로 향하여 노즐상태로 되어 있다.
이 건조가마(11)의 상부의 개구에는, 가마내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발파이프(47)가 접속하고 있으며, 이 증발파이프(47)에는 E, F의 2방향으로 전환가능한 전환밸브(48)의 공통측에 접속하고 있으며, 전환밸브(48)의 E측에는 방출파이프(51)가 접속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도에 나타낸 탈취상자(15)의 내부에는 촉매(52)가 접속하고 있으며, 이 촉매상자(52)의 내부에는 방출파이프(51)의 앞끝단이 연장하여 삽입하고 있다. 이 촉매상자(52)는 탈취상자(15)내에서 단열재로 둘러싸여 수납하고 있고, 촉매상자(52)는 탈취상자(15)내에서 단열재로 둘러싸여 수납하고 있고, 촉매상자(52)는 외부로부터 밀폐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의 거의 중앙에는 유로를 사이에 두도록 조이는 조리개부(53)가 형성하고 있다. 이 조리개부(53)에 접근하여 방출파이프(51)의 앞끝단이 위치하고 있으며, 촉매상자(52)내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이젝터 효과를 발생하는 때에 방출파이프(51)로부터 공기가 흡인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촉매상자(52)의 내부에서 조리개부(53)로부터 하류쪽의 위치에는, 백금 등으로 형성한 촉매(54)를 충만하고 있다.
상기 탈취상자(15)에 고정하고 있는 이젝터(16)의 흡인측은, 탈취상자(15)에 수납한 촉매상자(52)의 배출측에까지 접속하고 있으며, 그 이젝터(16)의 송풍측에는 분기파이프(58)에 접속하고 있으며, 이 분기파이프(58)은 예열파이프(55)의 측면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예열파이프(55)의 끝단에는 상자 형상을 한 열풍기(18)가 접속하고 있으며, 열풍기(18)의 배출측은 촉매상자(52)의 측면으로서 조리개부(53)로부터 상류측에 접속하고 있다. 이 열풍기(18)는 촉매상자(52)내를 예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풍기(18)에는 전기를 통전함으로써 발열하는 예열히터(57)가 수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출파이프(41)는 도중에서 분기하고 있고, 분기한 측에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42)가 접속하고 있으며, 이 개폐밸브(42)에는 우회파이프(43)가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이젝터(16)의 배출측의 한쪽에는 도입구(56)가 개구하고 있으며, 이 도입구(56)는 개폐밸브(48)로부터의 우회파이프(43)에 접속시킨다.
다음에, 상기 전환밸브(48)의 F측에는 먼지파이프(49)가 접속하고 있으며, 먼지파이프(49)의 끝단은 시뇨처리장치(5)의 외부에서 배출호스(9)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환밸브(32)의 B측에는 흡인파이프(34)가 접속하고 있으며, 흡인파이프(34)의 끝단은 시뇨처리장치(5)의 외부에서 흡인호스(8)로 접속하고 있다. 이 흡인호스(8)의 앞끝단은 먼지회수기(7)의 내부와 연이어 통하고 있으며, 이 먼지회수기(7)의 내부에는 눈금이 미세한 직포로 푸대형상으로 형성한 먼지봉투(50)가 수납하고 있으며, 먼지봉투(5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호스(9)의 개구끝단이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4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기(6), 건조가마(11)의 외형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 제4도에서, 건조가마(11)는 하부가 폐쇄하고 상부가 플랜지 형상으로 개구한 가마형상을 하고 있으며, 건조가마(11)의 하나의 측면은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도입부(27)가 형성하고 있으며, 이 도입부(27)의 아래면은 시뇨를 건조가마(11)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경사하고 있다. 이 도입부(27)의 윗면의 평탄부에는 큰 개구를 한 투입구(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투입구(28)의 상부에는 링형상을 한 죠인트(30)가 연결하고 있고, 죠인트(30)의 상부에는 나비밸브를 수납한 밸브기구(12)를 얹어 놓고 있다. 이 밸브기구(12)의 상부개구에는 변기(6)의 하부에 있는 개구와 연이어 통하고 있으며, 변기(6)로 향하여 배설된 시뇨는 밸브기구(12)를 통과한 후 투입구(29)로부터 도입구(27)로 흐르고, 도입구(27)로부터 건조가마(11)의 내부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건조가마(11)의 내부에는 구형상을 한 복수의 축열체(29)가 수납하고 있다.
다음에, 이 건조가마(11)의 상부개구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에는 원반형상을 한 가마덮개(21)가 밀착하고 있으며, 가마덮개(21)에 의하여 건조가마(11)는 외부로부터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가마덮개(21)의 상부에는 구동기구(13)를 구성하는 기어박스(24)가 얹어 놓여 있으며, 기어박스(24)의 측면에는 동력원인 교반모우터(23)가 연결하고 있다. 이 기어박스(24)로부터 가마덮개(21)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회전축(25)이 연장하고 있으며, 이 회전축(25)의 하부좌우에는 교반날개(26)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돌기하고 있다. 또한, 가마덮개(21)의 윗면의 한면에는 건조가마(1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22)가 개구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뇨처리장치(5)의 전부를 제어하는 전기계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에 있어서, 상기 액면센서(45)의 출력은 오버플로우 판별회로(62)로 접속하고 있으며, 온도센서(46)의 출력은 온도판별회로(63)에 출력하고 있으며, 이 가설변소(1)를 사용한 이용자가 그 사용을 종료한 것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스위치(64)의 출력은 건조지시회로(6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오버플로우판회로(62), 온도판별회로(63), 건조지시회로(65)의 각각의 출력은 예를 들면 마이컴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CPU(66)로 접속되며, 이 CPU에는 시뇨처리장치(5)의 전체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전원스위치(67)가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이 CPU(66)로부터의 제어출력은 전환밸브 제어회로(68), 모우터 제어회로(69), 개폐밸브 제어회로(70), 히터 제어회로(71)에 각각 접속하고 있으며, 각 전환밸브 제어회로(68), 모우터 제어회로(69), 개폐 밸브 제어회로(70), 히터 제어회로는 어느 것도 CPU(66)로부터의 지시신호에 의하여 각각 별개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전환밸브 제어회로(68)의 출력에는 전환밸브(32), (38), (48)가 접속하고 있으며, 모우터 제어회로(69)에는 교반모우터(23), 모우터(35)가 접속하고 있으며, 개폐밸브 제어회로(70)에는 밸브기구(12), 개폐밸브(40), (42)가 접속하고 있으며, 히터 제어회로(71)에는 가열히터(44), 예열히터(57)가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각 부의 동작은, 제6도의 진리표, 제7도, 제8도, 제9도, 제10도의 플로우챠트에 의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시뇨처리장치(5)를 이용하여 시뇨의 건조처리작업을 행하기 전에, 시뇨처리장치(5)의 주요부분을 예열하여 놓고, 가설변소(1)가 사용된 후만 시뇨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대개의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먼저, 전원스위치(67)를 투입하여 CPU(66)의 이로부터 시뇨처리장치(5)를 사용한다는 위치의 지시를 전달한다. 이 지시신호에 의하여, CPU(66)로부터 전환밸브 제어회로(68), 모우터 제어회로(69), 개폐밸브 제어회로(70), 히터 제어회로(71)에는 예열한다는 취지의 신호가 전해진다. 이 CPU(66)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전환밸브 제어회로(68)는 전환밸브(32), (38), (48)를 전환하여 전환밸브(32)를 A측으로 접속하고, 전환밸브(38)를 C측으로 접속하고, 전환밸브(48)를 E측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전환밸브 제어회로(70)는 밸브기구(12), 개폐밸브(40), (42)를 각각 닿아 놓는다. 그리고, 모우터 제어회로(69)는 모우터(35), 교반모우터(23)로 신호를 전하여 각각 작동시키고, 모우터(35)는 40헤르츠의 낮은 주파수로 회전시켜 놓고, 교반모우터(23)의 회전력이 기어박스(24)를 통하여 회전축(25)를 회전시켜 놓는다. 또한, 히터 제어회로(71)는 예열히터(57)로 통전하여 발열시키고, 예열히터(57)의 발열에 의하여 열풍기(18)를 가열시켜 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우터(35)가 작동하는 것으로 팬(36)이 구동되고, 이 팬(36)에 의하여 에어크리너(17), 전환밸브(32), 흡기파이프(3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것이 된다. 이 팬(36), 즉 송풍기(14)의 작용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흡인된 공기는 송풍파이프(37), 전환밸브(38), 예열파이프(55), 분기파이프(58)를 통과하여 이젝터(16)로 송풍된다. 이 이젝터(16)내를 공기가 통과하는 때에, 이젝터(16)의 중심부가 조여져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공기가 통과하고, 중심부는 부압으로 되어 촉매상자(52)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예열파이프(55)로부터 보내진 공기의 일부는 동시에 송풍기(18)의 내부로 유통하고, 이 공기는 열풍기(18)내의 예열히터(57)로 가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촉매상자(52)의 내부는 이젝터(16)에 의하여 흡인되고 있으며, 열풍기(18)로 가열된 공기가 촉매상자(52)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촉매상자(52)를 통과할 때에 예열히터(57)로 가열된 공기가 촉매상자(52)를 통과하면, 이 가열된 공기가 촉매(54)를 가열하고, 일정한 온도까지 촉매(54)를 가열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촉매(54)를 가열한 공기로 가열하는 것은, 촉매(54)의 성질로부터 산화-환원의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하여 그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일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 송풍기(14)로부터 예열파이프(55), 열풍기(18), 촉매상자(52)로 흐르는 공기의 순환에 의하여 촉매(54)는 항상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이 예열작용에 의하여, 시뇨처리장치(5)는 대기의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뇨처리장치(5)가 예열에 의한 대기의 동작을 유지하고 있을 때, 가설변소(1)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시뇨를 배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설변소(1)를 사용하는 사람은, 먼저 도어(4)를 열어서 하우스(3)의 배부로 들어가고, 변기(6)을 향하여 시뇨를 배설한다. 배설된 시뇨는 변기(6)의 바닥부로 가라앉고, 폐쇄되어 있던 밸브기구(12)의 상부에서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다음에, 가설변소(1)의 내부에서 변기(6)를 사용하여, 배설의 행위를 끝낸 사용자는 다음에 가설변소(1)를 사용하는 사람을 위하여 배설물의 처리를 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변기(6)에 배설한 사용자가 그 배설이 종료한 것을 의지표시하기 위하여 지시스위치(64)를 누르고, 배설한 시뇨를 건조가마(11)로 유입시켜서, 증발건조의 처리를 개시시킨다.
사용자가 지시스위치(64)를 누르면 그 지시신호는 건조지시회로(64)를 통하여 CPU(66)로 전달되고, CPU(66)에서는 건조처리를 개시하여야만 함을 판단하여 개폐밸브 제어회로(70)를 통하여 밸브기구(12)를 닫는다. 이 밸브기구(12)가 열리면, 변기(6)의 지부에 잔류하고 있던 시뇨는 밸브기구(27)의 나비밸브를 통과하고, 죠인트(30), 투입구(28)를 통과하여 도입부(27)의 내부로 낙하한다. 이 도입부(27)는 건조가마(11)로 향하여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낙하한 시뇨는 건조가마(11)로 향하여 유동하고, 건조가마(11)에 저류된다. 소정시간만 밸브기구(12)가 열린 후에, 개폐밸브 제어회로(70)는 작동신호를 정지시키고, 밸브기구(12)를 폐쇄함으로써 변기(6)와 건조가마(11)의 연이어 통함을 차단한다. 이것은, 건조가마(11)에 투입된 시뇨의 악취를 외부로 발산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시뇨의 건조가마(11)로의 투입과 동시에, 모우터 제어회로(69)는 모우터(35)에 60헤르츠의 높은 주파수의 전력을 공급하고(통상은 40헤르츠임), 모우터(35)에 의하여 팬(36)을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하여, 에어크리너(17)를 통하여 송풍기(14)가 흡인하고 있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고, 그 증가한 공기가 예열파이프(55), 분기파이프(58)를 통과하여 이젝터(16)로 공급된다. 이 이젝터(16)내를 유통하는 공기량이 많으면, 그 중앙부에서 좁혀진 부분의 부압이 높아져서 촉매상자(52)내의 공기를 보다 강하게 흡인하게 된다. 대기의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밸브(48)가 E측으로 접속하고 있으며, 동시에 밸브기구(12)가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것으로부터 건조가마(11)와 외부가 연이어 통하고, 건조가마(11)내의 공기는 증발파이프(47), 전환밸브(48), 방출파이프(51)를 통하여 촉매상자(52)로 유입한다. 이것은 건조가마(11)의 내부를 부압으로 하여 놓고, 투입한 시뇨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촉매상자(5)로 흡인된 공기는 조리개부(53)를 통과한 후, 이미 가열되어 있는 촉매(54)에 접촉하고, 이 촉매(54)에서 산화환원된 무취로 된 후에 이젝터(16)로부터 외부로 확산된다.
이 시뇨를 건조가마(11)로 투입할 때에 이미 건조가마(11)의 내부에는 허용량 이상의 시뇨가 충만하고 있거나, 혹은 변기(6)로부터 1회 투입된 시뇨의 양이 많아 허용량 이상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시뇨의 액면의 높이를 액면센서(45)가 검지하고, 허용량 이상의 시뇨가 건조가마(11)에 저류하고 있음을 오버플로우 판별회로(62)로 전하고, 이 신호는 중앙연산처리회로(66)로 전해진다. 이를 위하여, CPU(66)는 개폐밸브 제어회로(70)에 지시하여 밸브기구(12)를 긴급하게 폐쇄하고, 허용량 이상의 시뇨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밸브기구(12)에 의한 시뇨의 투입의 거절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건조가마(11)에서의 시뇨의 건조처리가 완전히 종료할 때까지 계속하고, 이 사이는 변기(6)의 사용이 중지된다.
상술한 CPU(66)에 의하여 소정시간(약 10초 정도)만 밸브기구(12)가 개방된 후, 건조가마(11)의 내부에 수납된 시뇨가 증발에 의하여 건조의 처리가 행해진다. 먼저, CPU(66)는 모우터 제어회로(69)로 제어신호를 보내고, 모우터(35)로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40헤르츠로 저하시키고, 팬(36)의 회전을 저하시킴으로써 송풍기(14)에 의한 공기의 송풍량을 통상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CPU(66)는 개폐밸브 제어회로(70)로 신호를 전하여 개폐밸브(42)를 개방시키고, 동시에 히터제어회로(71)로 신호를 전하여 가열히터(44)에 전력을 공급하고, 가열히터(44)에 의하여 건조가마(11)의 하부를 가열시킨다.
이 가열히터(44)에 전력이 통전됨으로써, 가열히터(44)는 발열하여 건조가마(11)의 하부를 가열하고, 건조가마(11)내에 저류된 시뇨의 온도는 비둥점까지 높아지며, 그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은 수증기로서 증발된다.
다음에, 모우터 제어회로(69)는 교반모우터(23)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교반모우터(23)의 회전력이 기어박스(24)에 의하여 감속되고, 그 감속된 회전력이 회전축(25)을 회전시키고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축(25)에 고정하고 있는 교반날개(26)가 건조가마(11)의 바닥부에 의하여 회전하고 있으며, 투입한 시뇨와 축열체(29)를 건조가마(11)의 바닥부에서 교반하는 작용을 한다. 이 교반에 의하여, 시뇨는 혼합되어 전체가 균일한 온도가 되도록 데워지고, 동시에 축열체(29)에 축적된 열이 그 표면에 의하여 주위의 시뇨로 전해져 시뇨를 가열한다. 축열체(29)는 그 표면이 구형으로 표면적이 크므로, 시뇨로의 열의 전달이 크므로 시뇨의 전조속도가 높고,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은 서서히 증기로 되어 증발된다.
또한, 송풍기(14), 즉 팬(36)에 의하여 에어크리너(17)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흡인된 공기는 송풍파이프(37), 전환밸브(38), 예열파이프(55), 분기파이프(58)를 통과하여 이젝터 (16)로 전달되고, 이젝터(16)의 중앙부를 항상 부압으로 하여 촉매상자(52)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고, 동시에 일부의 공기는 예열파이프(55), 열풍기(18)로부터 촉매상자(52)의 내부로 유입하고 있고, 열풍기(18)로 가열된 공기는 촉매(54)를 항상 데워 놓는다. 그리고, 이젝터(16)의 배출측에 설치된 도입구(56)로부터는 소량의 공기가 유입하고 있으며, 우회파이프(43), 개폐밸브(42)를 통과하여 분출파이프(41)의 아래끝단의 노즐로부터 건조가마(11)의 내부로 분출하고 있다. 이것은 외부의 공기를 건조가마(11)의 내부로 유입시켜, 증발한 수증기를 증발파이프(47)방향으로 유동시킴과 함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에 의하여 건조가마(11)의 내부에 가열되고 있는 시뇨를 산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건조가마(11)에서 증발한 수분은 증발파이프(47), 전환밸브(48), 방출 파이프(51)를 통과하여, 조리개부(53)의 이젝터 작용에 의하여 흡인되고, 촉매(54)를 통과한 후 이젝터(16)에서 흡인되어 외부로 확산된다. 건조가마(11)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나 공기가 촉매(54)를 유동하는 때에, 이들 수증기나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요소, 암모니아 등의 악취성분은 촉매(54)와 겁촉하여 산화환원되고, 그 악취성분은 무취하게 되어 외부로 확산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순환과 가열히터(44)에 의한 건조가마(11)로의 가열이 연속하여 행해지면, 건조가마(11)의 내부에 저류된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이 증발되고, 최종적으로 모든 수분이 증발하여 건조가마(11)내는 건조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건조가마(11)내의 수분이 증발하면 비등점의 온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건조가마(11)의 외벽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 온도변화는 온도센서(46)로 검지되고, 그 검지신호는 온도판별회로(63)로 전해진다. 이 온도판별회로(63)에서는 건조가마(11)의 내부에 있는 수분이 전부 증발된 것을 판별하고, 그 판별신호를 CPU(66)로 전하고, 시뇨의 건조처리가 완료하였으므로 그 처리를 정지하여 다음의 동작으로 이행하여야 함을 지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44)에 의한 건조가마(11)의 가열과, 교반날개(26), 축열체(29)에 의한 시뇨의 교반작용에 의하여, 건조가마(11)내에 저류되어 있던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이 증발된다. 그리고, 수분이 증발되면, 최종적으로 건조가마(11)에는 시뇨중의 섬유질 등의 증발되지 않는 성분이 찌꺼기로 남게 된다. 이와 같은 찌꺼기를 건조가마(11)의 내부로 잔류하여 놓으면, 장기적인 사용에 있어서는 건조가마(11)의 내벽에 찌꺼기가 고착하고, 계속하여 시뇨의 건조처리가 행해지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일회의 시뇨의 건조처리가 종료하게 되면, 건조가마(11)내에 남아 있는 찌꺼기가 먼지를 제거하여 청소의 처리를 행해야 한다. 이 청소의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46)에 의하여 건조가마(11)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판별되고, 자동적으로 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가마(11)의 수분이 증발하면 건조가마(11)의 표면온도가 상승하고, 이 온도변화로 온도판별회로(63)는 건조의 처리가 종료함을 판별하고, 그 판별신호를 CPU(66)로 전한다. CPU(66)에서는 이 신호에 의하여, 건조처리를 정지하고 바로 청소처리로 이행하는 것으로 되고, CPU(66)는 전환밸브 제어회로(68), 모우터 제어회로(69), 개폐밸브 제어회로(70), 히터 제어회로(71)의 각 제어신호를 전한다. 먼저, 히터 제어회로(71)는 예열 히터(57)와 가열히터(44)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열풍기(18)에 의한 열풍의 발생을 정지함과 함께 건조가마의 가열을 정지한다. 모우터 제어회로(69)는 각 모우터(35), 교반모우터(23)의 작동을 계속하고 있으나, 모우터(35)로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는 60헤르츠로 높게 하여 팬(36)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숭풍기(14)에 의한 송풍량을 증가시킨다. 송풍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후술하는 먼지를 불어내는 것을 효율화 시키는 것이다.
다음에, 전환밸브 제어회로(68)는, 전환밸브(32)를 B쪽으로 접속하고, 전환밸브(38)를 D쪽으로 접속하고, 전환밸브(48)를 F쪽으로 접속한다. 또한, 개폐밸브 제어회로(70)는 개폐밸브(40)를 개방하고, 개폐밸브(42)를 폐쇄시킨다. 이 각 밸브의 전환에 의하여, 송풍기(14), 송풍파이프(37), 전환밸브(38), 송풍파이프(39), 개폐밸브(40), 분출파이프(41), 건조가마(11), 증발파이프(47), 전환밸브(48), 배출호스(9), 먼지회수기(7), 흡인호스(8), 흡인파이프(34), 전환밸브(32), 흡기파이프(33)에 의한 순환한 공기의 폐회로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송풍기(14)에 수납하고 있는 팬(36)이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송풍기(14)로부터 배출된 대량의 공기는 이 폐회로에서 고속으로 순환하는 것으로 된다. 이 공기의 유동은 분출파이프(41)의 하단에 형성하고 있는 노즐로부터 건조가마(11)의 내부로 분산되고, 분사된 공기가 건조가마(11)의 내부에 남아 있는 찌꺼기나 먼지를 공기류에 의하여 불어올리고, 공기와 함께 분말상태의 먼지, 찌꺼기를 증발파이프(47), 전환밸브(48), 먼지파이프(49), 배출호스(9)를 통과시켜, 먼지회수기(7)의 내부에 형성된 먼지봉투(50)까지 이동시킨다. 이 먼지봉투(50)는 눈금이 가는 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출된 공기에 의하여 건조가마(11)로부터 불어날아오른 먼지, 찌꺼기는 먼지봉투(50)에서 포획되고, 분리된 공기만이 흡인호스(8)의 방향으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고속으로 폐회로를 순화하는 공기에 의하여, 건조가마(11)내의 먼지, 찌꺼기가 먼지회수기(7)로 유동된다. 이 고속으로 분사된 공기에 의하여 건조가마(11)내의 먼지, 찌꺼기가 불어날려지고 있는 때에는, 교반모우터(23)가 계속하여 작동하고 있으며, 회전축(25)과 교반날개(26)가 건조가마(11)의 내부로 회전하고, 축열체(29)를 건조가마(11)의 바닥부근에서 회동시키고 있으므로, 건조가마(11)에 남아있던 찌꺼기는 축열체(29)의 회전에 의하여 미세한 가루로 분쇄되므로, 고압의 공기류로 날아오르기 쉽게 가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건조가마(11)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찌꺼기, 먼지는 공기와 함께 불어날리고, 먼지회수기(7)에서 공기와 찌꺼기, 먼지가 분리되고, 건조가마(11)내의 청소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이 청소의 동작이 소정시간 계속하여 행해지면, CPU(66)는 청소가 종료한 것을 자기판단하고, 대기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전환밸브 제어회로(68), 모우터 제어회로(69), 개폐밸브 제어회로(70), 히터 제어회로(71)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 때문에, 모우터(35)는 40헤르츠의 낮은 주파수로 회전되고, 예열히터(57)에는 전력이 공급되어 발열하며, 전환밸브(32)는 A측으로 전환밸브(38)는 C측으로, 전환밸브(48)는 E측으로 각각 접속되고, 개폐밸브(40)는 폐쇄된다. 이와 같은 각 부의 전환에 의하여 상술한 예열에 의한 시뇨처리장치(5)의 대기의 상태로 복귀하고, 다음에 가설변소(1)를 사용하는 사람을 위하여 대기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시뇨처리장치(5)는 예열에 의한 대기, 시뇨의 투입, 건조처리, 청소처리와 사이클을 자동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밀폐한 건조가마(11)를 사용하여 시뇨를 건조, 증발시켜서 처리하여도 내부에 찌꺼기나 먼지가 남지 않고, 시뇨처리장치(5)를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설변소 등에 응용하여 시뇨를 증발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용이 위생적이고, 또한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시뇨의 증발처리의 때에 있어서, 촉매를 사용하여 악취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여야만 하나, 이 촉매의 가열을 위하여 설치되는 가열히터에 증발한 수증기가 직접 닿지 않고, 수증기 및 촉매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가열히터 등의 부재가 시뇨로부터 증발한 각종의 성분을 포함하는 수증기에 의하여 부식되거나, 파괴되는 고장이 없고, 장기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제2실시예(제21도 내지 제24도)]
이하, 제21도 내지 제2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뇨처리장치를 기술한다.
가설변소(101)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이나 강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입체형의 상자형상을 하고 있다. 이 가설변소의 바닥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102)로 되어 있으며, 이 기초대는 입방체형을 하고 있으며, 이 기초대(102)의 상부에는 하우스(103)가 얹어놓여 있다. 이 하우스(103)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열려져서 이용자가 하우스(103)내로 출입하는 것이 가능한 도어(104)가 부착되어 있다.
이 가설변소(101)의 내부로서 기초대(102)의 상부에는, 시뇨를 건조하여 처리하는 시뇨처리장치(105)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시뇨처리장치(105)의 윗면 중앙에는 양식변기(106)가 고정되어 있으며, 가설변소(101)의 이용자는 이 변기(106)의 배설을 위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하우스(103)의 뒤쪽에는, 하우스(103)와 독립한 내부가 빈 상자형상을 한 먼지수집기(107)가 배치되어 있으며, 시뇨처리장치(105)와 먼지회수기(107)와는 흡인호스(108), 배출호스(109)에 의하여 연이어 통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2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시뇨처리장치(105)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스케일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는, 시뇨처리장치(105)의 주요한 부재는 실선으로 나타내었으며, 각 주요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은 그의 일부가 생략되어 있다. 이 시뇨처리장치(105)는 자체 단독으로 작동할 수 있는 유니트로 조립되어 있으며, 크게 구별하여, 건조기구, 송풍기구, 촉매환원기구, 가열기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제22도에 있어서, 시뇨처리장치의 가장 우측에는 원통형을 한 건조가마(111)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건조가마(111)의 좌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시뇨처리장치(105)내에서의 공기의 순환을 행하기 위한 송풍기(11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시뇨처리장치(105)의 내부의 앞쪽으로서 건조대(111), 송풍기(114)의 전방에는 장방체 형상을 하고 외부에 촉매를 수납하며, 바깥 둘레를 단열재로 덮인 탈취상자(115)가 고정하고 있으며, 탈취상자(115)와 송풍기(114)의 사이에는 열풍기(11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114)의 상부에는 건조가마(111)의 내부에서 교반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113)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뇨처리장치(105)의 거의 중앙에는 변기(106)의 하부와 연이어 통하는 밸브기구(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밸브기구(112)는 건조가마(111)의 측면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밸브기구(112)와 변기(106)의 사이에는, 변기(106)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상하 좌우로 자유도를 가진 벨로우즈가 배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23도는 제22도에 있어서의 시뇨처리장치(105)의 내부에 배치하고 있는 각 부의 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 제23도에 있어서, 각 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은 제22도 보다 세밀하게 나타내었으나, 이 제23도에도 그의 일부를 생략하여 주요한 접속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제23도에서는, 상기 건조가마(111)의 하부에는 평탄한 상자형상을 한 히터유니트(119)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히터유니트(119)의 측면으로서 시뇨처리장치(105)의 뒤쪽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에어크리너(117)가 접속하고 있으며, 히터유니트(119)의 앞쪽에는 송기파이프(163)가 접속하고 있다. 건조가마(111)의 상부에는 교반모우터(123)와 기어박스(124)로 이루어지는 구동기구(113)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 기어박스(124)의 측면에 접근하여 전환밸브(148)가 접속하고 있으며, 전환밸브(148)로부터 뻗어나온 방출파이프(151)는 탈취상자(115)의 한 측면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그리고, 방출파이프(151)로부터 분기된 혼합파이프(156)에는 개폐밸브(157)가 접속하고 있으며, 혼합파이프(156)의 끝단은 건조가마(111)의 상부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그리고, 탈취상자(115)의 배기측에는 이젝터(116)의 T자형으로 된 중앙이 접속하고 있으며, 이 이젝터(116)의 공급측에는 송풍기(114)의 배출측이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제24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기(106), 건조가마(111)의 외형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 제4도에서, 건조가마(111)는 하부가 폐쇄하고 상부가 플랜지형상으로 개구한 가마형상을 하고 있으며, 건조가마(111)의 하나의 측면은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도입부(127)가 형성하고 있으며, 이 도입부(127)의 아래면은 시뇨를 건조가마(111)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경사하고 있다. 이 도입부(127)의 윗면의 평탄부에는 큰 개구를 한 투입구(1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투입구(128)의 상부에는 링형상을 한 죠인트(13)가 연결하고 있고, 죠인트(130)의 상부에는 나비밸브를 수납한 밸브기구(112)를 얹어 놓고 있다. 이 밸브기구(112)의 상부 개구에는 변기(106)의 하부에 있는 개구와 연이어 통하고 있으며, 변기(106)로 향하여 배설된 시뇨는 밸브기구(112)를 통과한 후 투입구(129)로부터 도입부(127)로 흐르고, 도입부(127)로부터 건조가마(111)의 내부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건조가마(111)의 상부 개구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에는 원반형상을 한 가마덮개(121)가 밀착하고 있으며, 가마덮개(121)에 의하여 건조가마(111)는 외부로부터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가마덮개(121)의 상부에는 복수의 톱니바퀴를 수납하고 감속하기 위한 기어박스(124)가 얹어 놓여 있으며, 기어박스(124)의 측면에는 동력원인 교반모우터(123)가 연결하고 있으며, 교반모우터(123), 기어박스(124)에 의하여 구동기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박스(124)로부터 가마덮(121)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회전축(125)이 연장하고 있으며, 이 회전축(125)의 하부 좌우에는 교반날개(126)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돌기하고 있다. 또한, 가마덮개(121)의 내부에는 교반날개(126)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형상을 한 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축열체(129)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가마덮개(121)의 윗면의 일부에는 건조가마(11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분출구(122)가 개구하고 있다. 이 건조가마(111)의 아래면은 평탄하고, 이 건조가마(111)의 아래면에 접근하여 약간 간격을 두고, 내부에 전자유도 가열기구인 고주파 코일을 수납한 히터유니트(119)가 설치된다. 이 히터유니트(119)는 알루미늄 등의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를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속이 비어 형성되어 있으며, 히터유니트(119)의 내부에는 전자파를 발생하기 위한 대형의 고주파 코일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건조가마(111)의 히터유니트(119)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시뇨처리장치(105)의 하부에는 얇은 강판을 꺽쇠형상으로 구부려 형성한 가이드레일(165)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165)의 한 끝단, 즉 제15도중의 좌측에 접근하여 송기파이프(163)의 끝단부가 배치하고 있다. 가이드레일(165)에는 편평한 형상을 한 히터유니트(119)가 부착 및 이탈이 자유롭게 삽입되도록 조합되어 있으며, 히터유니트(119)의 한쪽면에는 내부와 연이어 통하는 죠인트파이프(168)가 돌기하고 있으며, 이 죠인트파이프(168)에 상기 파이프(163)가 접속하고 있다. 또한, 히터유니트(119)의 다른쪽 면, 즉 시뇨처리장치(105)의 뒷쪽 면에는 내부와 연이어 통하는 죠인트파이프(167)가 돌기하고 있어서, 이 죠인트파이프(167)에는 에어크리너(117)가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히터유니트(119)는 송기파이프(163), 에어크리너(117)와는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하고, 가이드레일(165)을 미끄럼운동시킴으로써 시뇨처리장치(105)의 외부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고, 단선 등의 고장시에는 히터유니트(119)를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히터유니트(119)의 측면으로서 죠인트파이프(167)의 좌우에는, 내부에 설치된 전자파 발생용의 고주파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극(166)이 돌기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65)에 히터유니트(119)를 고정한 상태에서는, 히터유니트(119)의 윗면과 건조가마(111)의 아래면의 사이에서는 적은 간격이 있도록 배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16도는 상술한 히터유니트(119)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그의 상부의 덮개판을 떼어내고, 히터유니트(119)의 내부로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히터유니트(119)의 외부 프레임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이 전자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재료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전자파를 발생하기 위한 고주파 코일(169)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주파 코일(169)의 둘레에는 공기가 유통되도록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죠인트(167)로부터 죠인트(168)로는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주파 코일(169)과 상기 전극(166)과는 대용량의 전력을 흘리기 위한 전력선(170)으로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제17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뇨처리장치(105)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의 기기의 접속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제17도에서는, 공기의 유통경로와 시뇨의 유동경로를 나타내는 배관의 접속이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변기(106)의 하부 개구에는 나비밸브에 의하여 그의 유로를 개폐가능하도록 밸브기구(112)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밸브기구(123)의 하부 개구는 건조가마(111)의 상부 공간과 연이어 통한다. 이 건조가마(111)의 윗면에는 구동기구(113)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기구(113)의 하부로부터 건조가마(111)의 내부로 향하여 회전축(125)의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으며, 회전축(125)의 하단의 좌우에는 건조가마(111)의 바닥부근에서 회전하는 교반날개(12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건조가마(111)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2산화 알루미늄 등의 유지성이 있는 재료인 세라믹스나 철로 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축열체(129)가 투입하고 있다. 그리고, 건조가마(111)의 내부의 상부에는 건조가마(111)내에 수납한 시뇨의 액면높이를 검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센서(145)가 고정되어 있고, 건조가마(111)의 외측면에는 건조가마(111)의 표면의 온도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46)가 밀착되어 있다.
상기 에어크리너(117)는 예를 들면 내부에 눈금이 가는 종이나 직포를 수납하고 있으며, 먼지와 공기를 분리시키는 것이며, 이 에어크리너(117)는 히터유니트(119)의 내부와 연이어 통하고, 히터유니트(119)의 배출측에는 송기파이프(163)가 접속하고 있다. 이 송기파이프((163)의 끝단은 A, B의 2방향으로 전환되는 전환밸브(132)의 A측에 접속하고 있고, 전환밸브(132)의 공통측에는 흡기파이프(133)가 접속되어 있으며, 전환밸브 B측에는 흡인파이프(134)가 접속하고 있다. 이 흡기파이프(133)에는 송풍기(114)의 흡입측이 접속하고 있으며, 이 송풍기(114)의 배기측에는 송풍파이프(137)가 접속하고 있다. 이 송풍기(114)의 내부에는, 모우터(135)와 이 모우터(135)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136)이 수납하고 있으며, 팬(136)이 회전함으로써 흡기파이프(133)로부터 송풍파이프(137)의 방향으로 공기가 이송된다. 또한, 송풍파이프(137)의 끝단에는 C, D의 2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전환밸브(138)의 공통측에 접속하고 있으며, 전환밸브(138)의 C측에는 송압파이프(158)가, 전환밸브(138)의 D측에는 송풍파이프(139)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송풍파이프(139)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40)가 접속하고 있으며, 개폐밸브(140)에는 분출파이프(141)가 접속하고 있으며, 분출파이프(141)의 앞끝단의 노즐은 건조가마(111)의 바닥부로 향하고 있다.
이 건조가마(111)의 상부의 개구에는, 가마내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발파이프(147)가 접속하고 있으며, 이 증발파이프(147)에는 E, F의 2방향으로 전환가능한 전환밸브(148)의 공통측에 접속하고 있으며, 전환밸브(148)의 E측에는 방출파이프(151)가 접속하고 있고, 전환밸브(148)의 F측에는 먼지파이프(149)가 접속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2도에 나타낸 탈취상자(115)의 내부에는 접촉상자(152)가 접속하고 있으며, 이 접촉상자(152)의 내부에는 방출파이프(151)의 앞끝단이 연장하여 삽입하고 있다. 이 접촉상자(152)는 탈취상자(115)내에서 단열재로 둘러싸여 수납하고 있고, 접촉상자(152)는 그의 거의 중앙에는 유로를 사이에 두도록 조이는 조리개부(153)가 형성하고 있다. 이 조리개부(153)에 접근하여 방출파이프(151)의 앞끝단이 위치하고 있으며, 접촉상자(152)내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이젝터 효과를 발생하는 때에 방출파이프(151)로부터 공기가 흡인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촉상자(152)의 내부에서 조리개부(153)로부터 하류쪽의 위치에는, 백금 등으로 형성한 촉매(154)를 충만하고 있다.
또한, 탈취상자(115)의 배출측에는 T자형상을 한 이젝터(116)의 중앙의 흡인측이 접속하고 있고, 이젝터(116)의 주입측은 분기한 송압파이프(158)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젝터(116)의 배출측에는 우회파이프(143)가 접속하고 있으며, 이 우회파이프(143)의 개구끝단은 공기의 흐름의 상류방향으로 향하고 있고, 우회파이프(143)의 다른 끝단은 개폐밸브(142)를 통하여 건조가마(111)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송압파이프(158)에는 개폐밸브(159)가 접속하고 있으며, 개폐밸브(159)에는 예열파이프(160)가 접속하고 있고, 예열파이프(160)에는 내부에 촉매히터(161)를 수납한 열풍기(118)가 접속하고 있다. 이 열풍기(118)의 배출측에는 개폐밸브(162)를 통하여 촉매상자(152)의 상류측에 접속하고 있다. 이 열풍기(118)는 보내온 공기를 가열하여 촉매상자(152)의 내부에 있는 촉매(154)를 예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풍기(119)의 내부에는 전기를 통전함으로써 열을 발생하는 촉매히터(161)가 수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출파이프(151)의 사이에는 혼합파이프(156)가 접속하고 있으며, 이 혼합파이프(156)에는 개폐가능한 개폐밸브(157)가 개재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개폐밸브(148)의 F측에는 먼지파이프(149)가 접속하고 있으며, 먼지파이프(149)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열을 식히는 공냉기(183)가 설치되어 있고, 먼지파이프(149)의 끝단에는 시뇨처리장치(105)의 외부에서 흡인호스(109)와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환밸브(132)의 B측에는 흡인파이프(134)가 접속하고 있으며, 흡인파이프(134)의 끝단은 시뇨처리장치의 외부에서 배출호스(108)와 접속하고 있다. 이 배출호스(108)의 앞끝단은 먼지회수기(107)의 내부와 연이어 통하고 있으며, 먼지회수기(107)의 내부에는 눈금이 가는 직포로 형성한 먼지봉투(150)가 수납하고 있으며, 먼지봉투(150)의 내부에는 상기 흡인호스(109)의 끝단이 연이어 통하고 있다.
제18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뇨처리장치(105)의 전부를 제어하는 전기계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센서(145)의 출력은 오버플로우 판별회로(172)로 접속하고 있으며, 온도센서(146)의 출력은 온도판별회로(173)에 출력하고 있으며, 이 가설변소(101)를 사용한 이용자가 그 사용을 종료한 것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스위치(174)의 출력은 건조지시회로(17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오버플로우판별회로(172), 온도판별회로(173), 건조지시회로(175)의 각각의 출력은 예를 들면 마이컴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CPU(176)로 접속되며, 이 CPU에는 시뇨처리장치(105)의 전체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77)가 접속하고 있다.
이 CPU(176)로부터의 제어출력은 전환밸브 제어회로(178), 모우터 제어회로(179), 개폐밸브 제어회로(180), 히터 제어회로(181)에 각각 접속하고 있으며, 각 전환밸브 제어회로(178), 모우터 제어회로(179), 개폐밸브 제어회로(180), 히터 제어회로(181)는 어느 것도 CPU(176)로부터의 지시신호에 의하여 각각 별개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전환밸브 제어회로(178)의 출력에는 전환밸브(132), (138), (148)가 접속하고 있으며, 모우터 제어회로(179)에는 교반모우터(123), 모우터(135)가 접속하고 있으며, 개폐밸브 제어회로(180)에는 밸브기구(112), 개폐밸브(140), (142), (157), (159), (162)가 접속하고 있으며, 히터 제어회로(181)에는 촉매히터(161)와 고주파 발생회로(182)가 접속하고 있으며, 고주파 발생회로(182)에는 고주파 코일(169)이 접속하고 있다. 이 고주파 발생회로(182)는 전자유도를 일으킬 정도의 사용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인버터 등이 이용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각부의 동작은 제19도의 진리표, 제20도, 제21도, 제22도, 제23도, 제24도의 플로우차트와 함게 나타낸다.
이 시뇨처리장치(105)를 이용하여 시뇨의 건조처리작업을 행하기 전에, 시뇨처리장치(105)의 주요부분을 예열하여 놓고, 가설변소(101)가 사용된 후만 시뇨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대기의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먼저, 전원스위치(177)를 투압하여 CPU(176)의 이로부터 시뇨처리장치(105)를 사용한다는 취지의 지시를 전달한다. 이 지시신호에 의하여, CPU(176)로부터 전환밸브 제어회로(178), 모우터 제어회로(179), 개폐밸브 제어회로(180), 히터 제어회로(181)에는 예열한다는 취지의 신호가 전해진다. 이 CPU(176)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전환밸브 제어회로(178)는 전환밸브(132), (138), (148)를 전환하여 전환밸브(132)를 A측으로 접속하고, 전환밸브(138)를 C측으로 접속하고, 전환밸브(148)를 E측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전환밸브 제어회로(180)는 밸브기구(112), 개폐밸브(140), (142), (157)를 각각 닫고, 개폐밸브(159), (162)를 연다. 그리고, 모우터 제어회로(179)는 모우터(135), 교반모우터(123)로 신호를 전하여 각각 작동시키고, 모우터(235)는 45헤르츠의 낮은 주파수로 회전시켜 놓고, 교반모우터(135)는 50헤르츠의 정상의 주파수로 회전시킨다. 교반모우터(123)의 회전력이 기어박스(124)를 통하여 회전축(125)를 회전시켜 놓는다. 히터 제어회로(181)는 촉매히터(161)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촉매히터(161)를 발열시키고, 열풍기(118)내를 통과하는 공기를 이 촉매히터(161)에 접촉하는 것으로 온도를 높인다.
이러한 작동의 상태가 동작으로서, 장치내를 흐르는 공기의 유로는 다음과 같이 된다. 먼저, 모우터(135)가 작동하는 것으로 팬(136)이 구동되고, 이 팬(136)에 의하여 공기가 흡기파이프(133)로부터 송풍파이프(137)로 유동된다. 이 때문에, 에어크리너(117), 히터유니트(119), 송풍파이프(163), 전환밸브(132)를 통하여 외부둘레의 공기가 흡인된다. 이 팬(136), 즉 송풍기(114)의 작용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흡인된 공기는, 송풍파이프(137), 전환밸브(138), 송압파이프(158)를 통과하여 이젝터(116)로 송풍된다. 송압파이프(158)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는 개폐밸브(159), 예열파이프(160), 열풍기(118), 개폐밸브(162)를 통하여 촉매상자(152)의 상류측에도 공급된다. 이 이젝터(116)의 내부를 공기가 고속으로 유동하면, 이 이젝터 효과에 의하여 이젝터 상류측에도 공급된다. 이 이젝터(116)의 내부를 공기가 고속으로 유동하면, 이 이젝터 효과에 의하여 이젝터(116)의 중앙이 부압으로 되고, 촉매상자(152)의 내부의 공기가 흡인되며, 열풍기(118)로부터의 공기를 촉매상자(152)의 내부로 인입하도록 보조의 작용을 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송풍기(114)로부터 보내진 공기는, 송풍파이프(137), 전환밸브(138), 송압파이프(158), 개폐밸브(159), 예열파이프(160), 열풍기(118), 개폐밸브(162), 촉매상자(152), 이젝터(116)의 경로로 유동하는 유로를 이동하고, 이젝터(116)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이 공기의 유동시에 있어서, 열풍기(118)내에는 발열하고 있는 촉매히터(161)가 있기 때문에, 열풍기(118)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이 촉매히터(161)와 접촉하여 가열되고 촉매상자(152)로 유입한다. 이 열풍기(118)로 가열된 공기가, 촉매상자(152)내를 통과할 때에 촉매(154)는 이 가열된 공기로 데워지고, 촉매(154)는 일정의 온도까지 데워진다. 촉매(154)를 가열한 공기로 데우는 것은, 촉매(154)의 성질로부터 산화 환원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하여는, 그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일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가열된 공기로 촉매상자(152)내의 촉매(154)가 일정한 온도까지 높아지고, 이 예열작용에 의하여 시뇨처리장치(105)가 작동가능한 준비를 행하는 것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기(114)가 작동하여 공기의 유동이 행해지면, 열풍기(118)로부터 공기를 개재하여 촉매(154)를 데우는 예열의 동작을 소정시간(약 25분 정도) 행하면, 시뇨처리장치(105)는 대기의 상태로 전환된다. 이것은, 예열에 의하여 촉매(154)가 소정 온도까지 높아지고, 가설변소(101)를 이용자가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가능한 것으로 되나, 바로 이용자가 가설변소(101)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므로, 전원 스위치(177)를 투입하고부터 가설변소(101)가 이용하기까지는, 전력소비를 제한하여 시뇨처리장치(105)는 대기하는 것으로 된다.
Claims (13)
- 그의 내부에 시뇨를 수납하는 내열 밀폐용기와; 상기 용기내의 시뇨를 가열하고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용기내에 설치되고, 시뇨를 교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수단과; 상기 용기내에 수납되는 다수개의 구형상 축열체와; 시뇨가 배출되는 변기와; 상기 변기가 상기 용기와 연이어 통과하도록 상기 변기 및 용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기구와; 시뇨로부터 배출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와 연이어 통하는 증발파이프와; 그의 내부에 촉매를 수납하고 상기 증발파이프와 연이어 통하는 촉매상자와; 상기 촉매상자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촉매상자의 하류측에 접속된 이젝터와; 가열된 공기류를 보내기 위하여 상기 촉매상자의 상류측에 접속된 열풍기와; 공기를 상기 이젝터 및 열풍기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 및; 상기 이젝터 및 상기 용기를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이젝터와 용기의 하류측 사이에 마련된 우회파이프로 구성된 시뇨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기구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용기로 시뇨가 배출될 때 폐쇄되는 개폐밸브가 상기 우회파이프에 더욱 포함됨으로써, 상기 우회파이프로부터 상기 용기로의 공기의 공급이 중지되고 상기 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젝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어 상기 이젝터에 의하여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용기내의 시뇨의 악취가 상기 변기로부터 외부로 발산되는 것이 방지되는 시뇨처리장치.
- 그의 내부에 시뇨를 수납하는 내열 밀폐용기와; 상기 용기내의 시뇨를 가열하고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용기내에 설치되고, 시뇨를 교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수단과; 상기 용기내에 수납되는 다수개의 구형상 축열체와; 시뇨가 배출되는 변기와; 상기 변기가 상기 용기와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변기 및 용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기구와; 시뇨로부터 배출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와 연이어 통하는 증발 파이프와; 그의 내부에 촉매를 수납하고 상기 증발 파이프와 연이어 통하는 촉매상자와; 상기 촉매상자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촉매상자의 하류측에 접속된 이젝터와; 가열된 공기류를 보내기 위하여 상기 촉매상자의 상류측에 접속된 열풍기와; 공기를 상기 이젝터 및 열풍기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배출측에 접속되며, 2개의 전환측으로 전환이 가능한 제1전환밸브와; 상기 제1전환밸브의 한 전환측에 접속되며, 상기 이젝터 및 상기 열풍기에 접속된 제1파이프와; 상기 제1전환밸브의 다른 전환측에 접속되며, 상기 용기안쪽에서 그의 끝단이 분출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증발파이프에 접속되며 2개의 전환측으로 전환이 가능한 제2전환밸브와; 상기 촉매상자의 상부를 상기 촉매와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제2전환밸브의 한 전환측에 접속되는 제3파이프와;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2전환밸브의 다른 전환측에 접속된 먼지수집기와; 상기 송풍기의 흡인측에 접속되며 2개의 전환측으로 전환이 가능한 제3전환밸브와;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도록 상기 제3전환밸브의 한 전환측에 접속된 에어크리너 및 ; 상기 먼지수집기의 배출측과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제3전환밸브의 다른 전환측에 접속된 제4의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뇨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2 방향 또는 2 전환측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상기 이젝터의 하류와 상기 용기의 사이에 우회파이프가 연이어 통하는 시뇨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기구가 개발되어 있는 동안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용기로 시뇨가 배출될 때 폐쇄되는 개폐밸브가 상기 우회파이프에 더욱 포함됨으로써, 상기 우회파이프로부터 상기 용기로의 공기의 공급이 중지되고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이젝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어 상기 이젝터에 의하여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용기내의 시뇨의 악취가 변기로부터 외부로 발산되는 것이 방지되는 시뇨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에어크리너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열교환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3전환밸브의 한쪽 전환측에 접속되고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3전환밸브로 향하도록 하며, 고주파 전자파를 발생하기 위한 고주파 코일을 그의 내부에 가지고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유도가열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전자파에 의한 유도가열로 가열이 되도록 하는 유도가열수단 및; 상기 유도가열수단으로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주파 발생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뇨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우회파이프는 상기 용기와 상기 이젝터를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용기와 상기 이젝터의 하류 끝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뇨처리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기구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용기로 시뇨가 배출될 때 폐쇄되는 개폐밸브가 상기 우회파이프에 더욱 포함됨으로써, 상기 우회파이프로부터 상기 용기로의 공기의 공급이 중지되고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이젝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어 상기 이젝터에 의하여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용기내의 시뇨의 악취가 상기 변기로부터 외부로 발산되는 것이 방지되는 시뇨처리장치.
- 그의 내부에 시뇨를 수납하는 내열 밀폐용기와; 상기 용기의 아래쪽에서 상기 용기와 밀접하게 접속되며 고주파 전자파를 발생하기 위한 고주파 코일을 가지고 있어서, 발생된 전자파에 의하여 상기 용기가 유도가열되도록 하는 유도가열수단과; 상기 유도가열수단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주파 발생회로와; 상기 용기내에 설치되고 시뇨를 교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수단과; 상기 용기내에 수납된 다수개의 구형상 축열체와; 시뇨가 배출되는 변기 및, 변기가 용기와 연이어 통하도록 변기 및 용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기구로 구성되는 시뇨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수단은 상자형상이며, 상기 유도가열수단은 용기의 아래에 배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미끄럼식으로 장착되는 시뇨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부와 상기 유도가열수단의 상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시뇨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수단은 그의 내부가 비어 있는 상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주파코일은 상기 상자의 내부에 수납 및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상자는 공기가 유통하는 공간을 가지는 시뇨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신선한 공기가 상기 유도가열수단을 둘러싸는 상기 상자의 내부로 흘러들어가고, 상기 고주파 코일을 냉각하는 공기가 상기 용기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된 시뇨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3-121968 | 1993-04-26 | ||
JP5121968A JPH06304547A (ja) | 1993-04-26 | 1993-04-26 | 屎尿処理装置 |
JP93-125360 | 1993-04-28 | ||
JP5125360A JPH06312174A (ja) | 1993-04-28 | 1993-04-28 | 屎尿処理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6502B1 true KR970006502B1 (ko) | 1997-04-28 |
Family
ID=2645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8852A KR970006502B1 (ko) | 1993-04-26 | 1994-04-26 | 시뇨처리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575082A (ko) |
EP (1) | EP0622498B1 (ko) |
KR (1) | KR970006502B1 (ko) |
CA (1) | CA2121821A1 (ko) |
DE (1) | DE69401679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30378A1 (en) * | 2006-09-07 | 2008-03-13 | Sifers Don S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ecal odors |
CA2654999A1 (en) * | 2008-02-21 | 2009-08-21 | Christopher T. Norgaard | Holding tank heating system |
US9011786B2 (en) * | 2010-02-26 | 2015-04-21 | State Of Franklin Innovations, Llc | Dry heat sterilizing systems using inductive heating |
WO2017103839A1 (es) * | 2015-12-16 | 2017-06-22 | Hoyos Urrea Leandro | Sistema sanitario seco temporal, portatil; fabricacion, almacenaje transporte, montaje y mantenimiento del sistema |
JP7396207B2 (ja) * | 2020-06-03 | 2023-12-1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極板乾燥装置 |
CN115448421A (zh) * | 2022-08-05 | 2022-12-09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一种内置电磁装置的蒸发罐、高含盐废水蒸发系统和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46502A (en) * | 1983-03-14 | 1985-10-15 | Lew Hyok S | Evaporative waste disposal system |
DE68911202T2 (de) * | 1988-05-21 | 1994-04-14 | Japanic Corp | Trocknungsvorrichtung für Faulschlamm. |
AU627056B2 (en) * | 1989-09-28 | 1992-08-13 | Nikken Corporation | Raw sewage drying apparatus |
US5257466A (en) * | 1990-12-19 | 1993-11-02 | Japanic Corporation |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
JPH084781B2 (ja) * | 1991-07-03 | 1996-01-24 | 株式会社ジャパニック | 屎尿処理装置 |
US5183296A (en) | 1991-09-17 | 1993-02-02 | Qualex | Photograph album and method for making same |
JP2511344B2 (ja) * | 1991-09-17 | 1996-06-26 | 株式会社ジャパニック | 屎尿処理装置 |
AU2984892A (en) * | 1992-12-02 | 1994-06-16 | Japanic Corporation |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
-
1994
- 1994-04-20 DE DE69401679T patent/DE69401679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4-20 EP EP94302822A patent/EP062249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4-20 US US08/230,537 patent/US5575082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4-21 CA CA002121821A patent/CA2121821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4-04-26 KR KR1019940008852A patent/KR9700065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575082A (en) | 1996-11-19 |
DE69401679D1 (de) | 1997-03-20 |
EP0622498B1 (en) | 1997-02-05 |
EP0622498A3 (en) | 1994-12-07 |
DE69401679T2 (de) | 1997-05-28 |
CA2121821A1 (en) | 1994-10-27 |
EP0622498A2 (en) | 1994-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7871B1 (ko) | 시뇨 건조 장치(屎尿乾燥裝置) | |
US5257466A (en) |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 |
US569809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uman waste treatment | |
KR950000466B1 (ko) | 오물처리장치 | |
EP0701029A2 (en) |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 |
US5261126A (en) |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 |
KR970006502B1 (ko) | 시뇨처리장치 | |
EP0637568A1 (en) | Method of treating night soil and apparatus therefor | |
JP2511344B2 (ja) | 屎尿処理装置 | |
JP2510101B2 (ja) | 屎尿処理装置 | |
JPH06312174A (ja) | 屎尿処理装置 | |
JP3909390B2 (ja) | 消臭装置 | |
JP2683522B2 (ja) | 屎尿処理装置 | |
JPH0632805B2 (ja) | 屎尿乾燥装置 | |
JPH06304547A (ja) | 屎尿処理装置 | |
JPH084570B2 (ja) | 小便乾燥機の清掃機構 | |
JPH1114030A (ja) | 屎尿の乾燥処理機構 | |
JPH10234617A (ja) | 屎尿処理装置 | |
KR950009312B1 (ko) | 오물처리장치 | |
JPH07328601A (ja) | 屎尿処理装置 | |
KR960008092B1 (ko) | 시뇨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 |
JPH11192187A (ja) | 屎尿処理装置の触媒清掃機構 | |
JPH1034131A (ja) | 屎尿処理装置の触媒清掃機構 | |
JPH0459090A (ja) | 屎尿乾燥装置の清掃機構 | |
JPH04281889A (ja) | 屎尿処理装置の処理能力検知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