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959B1 -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959B1
KR970005959B1 KR1019940012867A KR19940012867A KR970005959B1 KR 970005959 B1 KR970005959 B1 KR 970005959B1 KR 1019940012867 A KR1019940012867 A KR 1019940012867A KR 19940012867 A KR19940012867 A KR 19940012867A KR 970005959 B1 KR970005959 B1 KR 97000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ime
dumplings
rice cooker
ste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134A (ko
Inventor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959B1/ko
Publication of KR96000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만두찜 제어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유도 가열 밥솥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제3도는 제2도를 적용한 만두찜 제어과정의 신호흐름도.
제4도는 제2도 인버터수단의 동작상태 주기를 보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정류수단 101 : 평활수단
102 : 인버터수단 103 : 인버터제어수단
104 : 스위칭구동수단 105 : 전류검출수단
106 : 부궤환증폭수단 107 : 적분수단
111 : 키이조작수단 112 : 시스템제어수단
본 발명은 전자유도가열 밥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최적 조건의 찐만두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만두찜시 밥솥의 물의 양의 변화에 따라 보충하고 만두의 수량을 판단하여 그 수량에 따라 최적 조건의 시간동안 가열하여 만두찜을 하도록 하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찜을 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밥솥에 물을 만두의 수량에 맞게 공급하고 그 수위상으로 그물망과 그위로 찌고자 하는 만두를 올려놓은 후 가스레인지 또는 전기밥솥의 취사 모드를 통해 화력 또는 전력으로 장시간 고온의 수증기로 가열하여 만두를 찌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화력 또는 전력을 이용하여 만두를 찌고자 할시에는 만두의 찜조건에 가장 적절한 수위 온도 및 시간의 3조건을 유지시켜 가열해 주어야 만이 만두가 터지지 않고 최적의 조건으로 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적정 수위, 온도 및 시간조건으로 전기 밥솥의 취사모드를 통해 찐만두를 구현하기에는 어렵고, 단지 사용자가 만두가 쩌지고 있는 상태에서 자주 꺼내어 확인해야 함으로, 밥솥의 수증기에 의해 화상의 위험성이 뒤따르고, 심지어는 물의 과다 공급에 의해서 물과 만두가 혼탕 가열되어 터지거나, 또는 물의 공급은 적고 과다 가열이 발생하게 되면 만두가 터지게 되는 비경제성은 물론 물의 과공급에 의해 밥솥의 외부로 물과 함께 터진 만두의 속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두찜시 만두의 수량을 판단하여 그 수량에 맞게 최적조건의 시간과 온도로 가열하여 만두찜을 하도록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만두찜시 만두의 수량에 맞게 밥솥의 수위량을 검출하여 부족시에 보충시에 보충표시를 음성 또는 문자로 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만두찜시 일정시간 밥솥의 내부온도를 외부의 온도와 평행상태로 유지시킨후 인버터수단의 워킹코일을 최대로 발열시켜 밥솥의 하부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때까지 금속팬내의 음식물을 설정시간 동안 가열하는 1차찜과정과, 상기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그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밥솥의 하부온도에 따른 상부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때까지 가열하는 2차찜과정과,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기준온도의 도달시점의 시간부터 설정온도의 도달시점 시간까지를 연산하여 만두의 수량을 판정하고 그 판정된 수량에 따라 시간을 설정하여 추가가열 하는 추가찜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만두찜 제어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유도가열 밥솥(126)내의 상두에 설치되어 보온모드시 발열되어 일정온도로 보온을 유지시키는 상부히터(116)와, 상기 밥솥(126)내의 측면에 원주상으로 설치되어 보온모드시 상기 상부히터(116)와 함께 선택적으로 발열되어 일정온도로 보온을 유지시키는 측면히터(118)와, 상기 측면히터(118)사이로 안착되는 금속팬(110)과, 상기 밥솥(126)의 하부에 원주상으로 설치되어 전자기 유도효과에 의해 금속팬(110)을 가열하는 하부히터인 워킹코일(102a)과, 상기 밥솥(126)의 상부 및 측면에 위치하여 밥솥내부의 상부 및 측면온도를 측정하는 상, 측부온도감지부재(120)(122)와, 상기 밥솥(126)와, 하부 적소에 위치하여 하부온도를 감지하는 하부온도감지부재(123)외, 상기 밥솥(126)의 하부 적소에 위치하여 밥솥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팬(114)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만두찜시에는 금속팬(110)의 내부에 그물망(127)을 넣고, 그 금속팬(110)과 그물망(127)사이에는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며, 그물망(127) 위에는 만두(128)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제2도는 본 발명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만두찜키이가 할당되어 취반기능, 보온기능 및 만두찜기능을 선택하는 키이조작수단(111)과, 상기 상부온도감지부재(120), 측면온도감지부재(122), 부온도감지부재(123)에서 감지한 온도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제1 내지 제3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121)(123)과, 상기 제1 내지 제3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121)(123)에서 변환된 현재의 공기온도와 키이조작수단(111)으로 부터 선택된 각종 기능 데이타에 따라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수단(112)과, 입력 교류전원을 맥동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제1정류수단(100)과, 상기 제1정류수단(100)에 의해 정류된 맥동 직류전압을 쵸크코일(L1)과 콘덴서(C1)로 일정하게 평활화시키는 평활수단(101)과,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상기 평활수단(101)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공진시키고 그 공진전압에 의해 발생된 자장에 기인한 전자기 유도효과로 가열되어질 금속팬(110)에 와류를 유도시켜 금속팬(110)내의 음식을 원하는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워킹코일(102a), 그 워킹코일(102a)과 일련의 공진회로를 이루는 공진커패시터(C2), 댐핑다이오드(D1) 및 스위칭소자(TR1)로 이루어진 인버터수단(102)과, 상기 인버터수단(102)에서 발생된 공진전압에 따라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하는 인버터제어수단(103)과, 상기 인버터제어수단(103)에서 발생된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를 제어하는 스위칭구동수단(104)과, 상기 입력 교류전원(AC)에서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105)과, 상기 전류검출 수단(105)에서 검출된 전압레벨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으로 부터의 각 기능에 대해 설정되어 입력되는 기준레벨값과를 비교하여 비교편차값을 출력하는 부궤환증폭수단(106)과, 상기 부궤환증폭수단(106)의 비교편차값을 적분하여 그 적분값에 따른 인버터제어수단(103)의 출력 펄스폭변조신호를 제어하여 스위칭구동수단(104)을 통해 스위칭소자(TR1)의 온/오프 타임을 결정하는 적분수단(107)과, 상기 입력 교류전원(AC)을 강압하는 트랜스(108)와, 상기 트랜스(108)에서 강압된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의 동작전압으로 인가하는 제2정류수단(109)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으로 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부히터(116), 측면히터(118)를 발열시키는 상부히터 구동수단(115)및 측면히터구동수단(117)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각종 기능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표시수단(125)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인버터제어수단(103)은 상기 인버터수단(102)에서 발생된 공진전압을 검출하여 삼각파 발생시점을 결정하는 전압검출수단(103a)과, 상기 전압검출수단(103a)에서 검출된 전압에 의해 삼각파 발생수단(103b1)에서 삼각파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삼각파와 적분수단(107)에서 적분된 전압파를 비교수단(103b2)을 통해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온/오프 타임을 결정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하는 펄스폭변조신호 발생수단(103b)으로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 설명부호 D2는 다이오드이고, R은 저항이다.
그리고, 제3도는 제2도를 적용한 만두찜 제어과정의 신호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이조작수단(111)으로 부터 키이 데이타를 읽어들여 취사 또는 만두찜모드를 판별하는 입력모드 판변과정(ST100)과, 상기 판별한 모드가 취사모드이면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을 통해 금속팬(110)을 설정온도로 가열하여 치사를 수행하고 보온선택 여부에 따라 상부히터(116) 및 측면히터(118)를 발열시켜 취사후에 보온을 수행하는 취사/보온과정(ST104)과, 입력모드 판별과정(ST100)에서 판별한 모드가 만두찜모드이면 일정시간(t1)동안 금속팬(110)내의 내부온도를 외부의 온도와 평행상태로 유지시킨 후에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을 최대로 발열시켜 금속팬(110)내의 수위량에 관계없이 하부온도가 기준온도(T1)에 도달때까지 금속팬(110)내의 음식물을 설정시간(t3) 동안 가열하는 1차찜과정(ST101)과, 상기 기준온도(T1)에 도달하면 그 시점부터 시간(t4)을 카운트하고 금속팬(110)의 하부온도에 따른 상부온도가 설정온도(T2)에 도달때까지 가열하는 2차찜과정(ST102)과, 상기 설정온도(T2)에 도달하면 기준온도(T1)의 도달시점 시간(t2) 부터 설정온도(T2)의 도달시점 시간까지를 연산하여 만두의 수량을 판정하고 그 판정된 수량에 따라 각각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추가찜을 하는 추가찜과정(ST10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에서 1차찜질과정(ST103)에서, 설정시간(t3)을 경과하기 전에 하부온도가 기준온도(T1)에 미리 도달하면 금속팬(110)내의 물이 부족하거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표시를 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전자유도 가열밥솥에서 취반기능을 먼저 설명하고, 이후에 상기 전자유도 가열밥솥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만두찜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인 취반공정을 설명하면, 교류전원(AC)이 제1정류수단(100)을 통해 맥동 직류전압으로 정류된 다음 평활수단(101)의 쵸크코일(101a)을 통해 평활되고, 아울러 상기 교류전원(AC)이 다시 트랜스(108)를 통해 전압강하된 후 제2정류수단(109)을 통해 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 시스템제어수단(112)의 동작전압으로 인가된다.
상기 평활수단(101)에서 평활된 맥동 직류전압은 인버터수단(102)에 입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취반을 수행하기 위해 금속팬(110)에 쌀과 적정량의 물을 공급한 후 키이조작수단(111)을 통해 취사키이를 선택 하게 되면(ST1),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입력모드 판단과정(ST100)을 통해 취사모드로 판단하고(ST2), 표시수단(125)을 통해 취사기능을 표시하여 줌과 아울러 부궤환 증폭수단(106)에 취사공정에 적절한 온도(120℃)의 기준레벨값을 입력한다.
한편, 상기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로의 베이스전류는 인버터제어수단(103)의 펄스폭변조신호 발생수단(103b)로 부터 유도된 펄스폭변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칭구동수단(304)를 통하여 구동되어지므로 워킹코일(102a) 및 공진커패시터(C2)가 평활수단(101)에서 입력된 맥동 직류전압에 의해 연속적인 공진상태로 되어진다. 이에따라 상기 워킹코일(102a)에는 큰 공진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워킹코일(102a)로 부터 발생된 자장에 기인한 전자기 유도효과로 인하여 가열되어질 금속팬(110)에 와류가 유도되어져 그 결과 금속팬(110)이 가열되어지고 금속팬(110)내의 음식이 원하는 가열온도로 가열된다.
이때, 상기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과 공진커패시터(C2)에서 발생된 공진전압을 인버터제어수단(103)의 전압검출수단(103a)에서 검출하여 펄스폭변조신호로 발생수단(103b)의 삼각파 발생 수단(103b1)을 제어하여 삼각파 발생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삼각파 발생수단(103b1)은 전압검출수단(103a)에서 검출된 전압에 따라 인버터수단(103)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을 결정하는 삼각파신호를 발생하여 비교수단(103b2)의 반전단자 (-)에 입력하게 된다.
한편, 전류검출수단(105)은 입력 교류전원(AC)에서 전류를 검출하여 부궤환증폭수단(106)의 반전단자에 입력하면 상기 부궤환증폭수단(106)은 전류검출수단(105)에서 검출된 전압레벨과 제2정류수단(109)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의 취사공정에 대응하는 기준전압 레벨과 비교하여 그 비교편차값을 적분수단(10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적분수단(107)은 입력된 비교편차값을 적분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시간을 결정하는 적분값을 다이오드(D2)를 통해 비교수단(103b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수단(103b2)은 삼각파발생수단(103b1)의 삼각펄스와 적분수단(107)의 적분값을 비교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을 결정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스위칭구동수단(104)에 입력하여 구동시키게 됨으로써,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가 도통 및 차단되어 워킹코일(102a)을 효과적으로 구동시켜 금속팬(110)내의 음식을 가열하면서 취반공정을 수행하게 된다(ST3).
이와같이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을 의해 금속팬(110)이 가열되면서 취반공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금속팬(11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온도감지부재(123)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24)을 통해 금속팬(110)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120℃)와 비교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온도감지부재(123)를 통해 측정한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취반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뜸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뜸공정에 필요한 온도의 기준레벨값을 주게된다.
이에따라 전술한 바와같이, 부궤환증폭수단(106), 적분수단(107), 인버터구동수단(103) 및 스위칭구동수단(104)을 통한 펄스폭변조신호에 의해서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시간이 짧게되어 점차적으로 금속팬(110)의 온도도 낮추어져 뜸공정이 수행 된다.
이후, 뜸공정이 완료되면, 즉, 모든 취사공정이 완료되면(ST4), 사용자의 보온버튼 선택 유무에 따라 보온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측면히터 구동부(117) 및 상부히터 구동부(115)를 통해 측면히터(118)와 상부히터(116)를 발열시켜 보온을 하면서 주기적으로 제1, 제2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121)을 통해 상부온도감지부재(120), 측면온도감지부재(122)에서 감지한 온도를 읽어들이면서 적정온도로 보온을 유지하게 된다(ST5).
이와같이, 취반기능을 갖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을 통해 만두찜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금속팬(110)내에 그물망(127)을 얹은 다음 물을 적정량으로 하여 공급 한 후 상기 그물망(127)에 찌고자 하는 만두(128)를 올려놓는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이조작수단(111)을 통해 만두찜 키이를 선택하여 누르게 되면(ST1), 초기에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입력모드 판단과정(ST100)을 통해 만두찜 모드로 판단하고(ST2), 제3도에서와 같이 1차찜과정(ST101)을 통해 팬구동수단(113)으로 하여금 밥솥(126)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팬(114)을 설정시간(t1) 동안 구동시켜 금속팬(110), 즉 밥솥(126)의 내부온도를 평행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ST6).
이후 일정시간(t1)이 경과하면, 시스템제어수단(112)은 금속팬(110)의 하부온도를 60℃로 유지시키기 위해 제4도와 같이, 인버터수단(102)에 구성된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의 듀티를 16레벨 즉, 15:1인 풀파워(Pull Power)로 하여(ST7) 부궤환증폭수단(106)에 입력함과 아울러 이때부터 내부 타이머를 구동시킨다(ST8).
상기한 부궤환증폭수단(106)은 전술한 바와같이, 전류검출수단(105)에서 검출된 전압레벨과 시스템제어수단(112)에서 입력된 스위칭소자(TR1)의 듀티비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편차값을 적분수단(10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적분수단(107)은 입력된 비교편차값을 적분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시간을 결정하는 적분값을 다이오드(D2)를 통해 비교수단(103b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수단(103b2)은 삼각파발생수단(103b1)의 삼각펄스와 적분수단(107)의 적분값을 비교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을 결정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스위칭구동수단(104)에 입력하여 구동시키게 됨으로써,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가 15초동안 도통되고 다시 1초동안 차단되었다가 다시 15초동안 도통되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워킹코일(102a)을 최대로 구동시켜 금속팬(110)을 가열하게 됨으로써, 그 금속팬(110) 내의 물이 끓게 되고 그 끓는 물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어 그물망(127)의 만두(128)를 통화하면서 1차찜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하부온도감지부재(123) 및 제3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24)을 통해 금속팬(110)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한 하부온도와 기준온도(T1 : 60℃)와를 비교하게 된다(ST9).
상기 단계(ST9)에서 비교한 결과 아직 하부온도감지부재(123) 및 제3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24)을 통해 감지한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기준온도(T1), 즉 60℃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기준온도(T1)에 도달때까지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를 제어하고(ST7), 현재 감지한 하부온도가 설정온도(T1)에 도달하면 그 도달시점까지의 시간(t2)이 설정시간(t3)을 경과하였는가를 검색하게 된다(ST10).
상기 검색한 결과 설정시간(t3)을 경과되기 전에 하부온도가 기준온도(T1)에 미리 도달하면 이때에는 금속팬(110)내의 물이 부족하거나 또는 물이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의 발열을 중지, 즉 듀티를 0레벨로 주어 인버터수단(102)의 동작을 중지시키고(ST11), 아울러 표시수단(125)을 통해 물을 공급하라는 표시를 문자로써 나타내주거나(ST12) 또는 음성안내장치(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음성으로써, 물의 보충을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ST9)에서 검색한 결과 하부온도가 기준온도(T1)에 도달하고 그 도달한 시점의 시간(t2)이 설정시간(t3)을 경과 하였으면, 이때에는 금속팬(110)내에 물이 충분하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2차찜과정(ST102)을 통해 상부히터(116)를 발열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온도가 기준온도(T1)에 도달하는 시점부터 새로 시간(t4)을 카운트업하고(ST13), 상부온도가 설정온도(T2 : 44℃)에 도달때까지 워킹코일(102a)만을 계속 발열시키면서 상부온도감지부재(120) 및 제1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을 통해 지속적으로 상부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T2)와 비교 검색하게 된다(ST14).
상기 단계(ST14)에서 검색한 결과 현재 감지한 상부온도가 설정온도(T2)에 도달하였으면 그때까지 카운트업한 시간(t4)을 계산하고 그 계산된 시간(t4)과 설정된 시간(t5)(t6)과를 비교하여 만두량 즉, 만두 수량을 판정하고 그 판정된 수량에 따라 시간을 각각 달리 설정하여 추가찜은 수행한다.
즉, 상기에서 상부온도감지부재(120)는 밥솥(126)내의 상부에 위치하여 금속팬(110)내의 만두(128)를 통과한 수증기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금속팬(110)내의 물의 양과 만두(128)의 수량에 따라 상부온도가 설정온도(T2)인 44℃에 도달하는 시간(t4)이 변화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금속팬(110)내에 물의 양이 많거나 또는 만두의 수량이 많으면, 기준온도(T1)인 60℃를 기준으로 하고 같은 풀파워로 가열 하였을때, 상부온도가 설정온도(T2)에 도달하는 시간(t4)은 많이 걸리게 되고, 물의 양과 만두의 수량이 적으면 상부온도가 설정온도(T2)에 도달하는 시간(t4)은 짧아진다.
그리고, 상부온도가 설정온도(T2)인 44℃에 도달하면, 그때 하부온도감지부재(123)가 감지한 하부온도는 거의 120℃이다.
따라서,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상기 단계(ST14)에서 비교한 결과 상부온도가 설정온도(T2)에 도달하였으면, 60℃의 도달시점부터 현재 설정온도(T2)에 도달한 시점의 시간(t4)까지를 연산하여 설정된 시간(t5)(t6)과를 비교하게 된다(ST15)(ST17).
상기 단계(ST15)에서 비교한 결과 변화된 시간(t4)이 설정시간(t5), 즉 4분 이하이면 만두의 수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추가찜과정(ST103)을 통해 일정시간(t7 : 3분) 동안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를 구동시키고 금속팬(110)을 가열하여 추가찜을 수행하고(ST16), 상기 단계(ST17)에서 비교검색한 결과 변화된 시간(t4)이 설정시간(t6), 즉 4분 40초 이하이면, 만두의 수량이 조금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일정시간(t.8 : 4분 40초) 동안 금속팬(110)을 가열하여 추가찜을 수행한다(ST18).
그리고, 상기 단계(ST17)에서 비교 검색한 결과 변화된 시간(t4)이 설정시간(t6) 이상이면 만두의 수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일정시간(t9 : 5분 30초) 동안 금속팬(110)을 추가가열하여 추가찜을 수행한다(ST19).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만두찜시 만두의 수량을 판단하여 그 수량에 맞게 최적조건의 시간과 온도로 가열하여 만두찜을 수행함으로써, 물넘침이 없고, 또한 만두의 수량에 맞게 밥솥의 수위량을 검출하여 부족시에는 보충표시를 음성 또는 문자로써,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만두가 터지거나 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최적조건의 찐만두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키이조작수단에 만두찜키이를 할당하여 만두찜 선택시 일정시간 동안 밥솥의 내부온도를 외부의 온도와 평행상태로 유지시킨 후 인버터수단의 워킹코일을 최대로 발열시켜 밥솥의 하부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때까지 금속팬 내의 만두를 설정시간 동안 가열하는 1차찜과정과, 상기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그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밥솥의 하부온도에 따른 상부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때까지 가열하는 2차찜과정과,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기준온도의 도달시점 시간부터 설정온도 도달시점의 시간까지를 연산하여 만두의 수량을 판정하고 그 판정된 수량에 따라 각각 시간을 설정하여 추가찜을 하는 추가찜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 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차찜과정에서 설정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하부온도가 기준온도에 미리 도달하면 금속팬 내의 물이 부족하거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금속팬의 발열을 중지시키고 에러표시를 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기준온도는 60℃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2차찜과정의 상부 설정온도는 44C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금속팬 내의 물수위에 관계없이 기준온도에 도달시까지 1차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에러표시는 물보충 상태를 음성으로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KR1019940012867A 1994-06-08 1994-06-08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KR97000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867A KR970005959B1 (ko) 1994-06-08 1994-06-08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867A KR970005959B1 (ko) 1994-06-08 1994-06-08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34A KR960000134A (ko) 1996-01-25
KR970005959B1 true KR970005959B1 (ko) 1997-04-22

Family

ID=1938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867A KR970005959B1 (ko) 1994-06-08 1994-06-08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9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34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581B1 (en) Waffle maker with cooking temperature control
JP2009295330A (ja) 誘導加熱調理装置
KR970005959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JP6277086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2009043587A (ja) 誘導加熱調理器
KR0129237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요구르트 제조방법
KR0133465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JP4444126B2 (ja) 加熱機器
KR0176776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예약취반 제어방법
JP2584932B2 (ja) 調理装置
JP3187320B2 (ja) 電気炊飯器
KR970005958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계란 반숙/완숙 제어방법
JP5216547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378827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915187B2 (ja) 加熱調理器
JPH0662955A (ja) 炊飯器
JP2004185829A (ja) 電磁調理器
JPH07275114A (ja) 炊飯器
JP634955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4247237A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8117092A (ja) 誘導加熱装置
KR970005956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JP323716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490777B2 (ja) 誘導加熱装置とその入力電力特性調整方法
KR0141794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