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465B1 -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465B1
KR0133465B1 KR1019940013120A KR19940013120A KR0133465B1 KR 0133465 B1 KR0133465 B1 KR 0133465B1 KR 1019940013120 A KR1019940013120 A KR 1019940013120A KR 19940013120 A KR19940013120 A KR 19940013120A KR 0133465 B1 KR0133465 B1 KR 013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time
temperature
rice
moxi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135A (ko
Inventor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4001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465B1/ko
Publication of KR96000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을 이용하여 가마솥 원리와 같이, 취반시 인분수에 따라 비등, 휴지, 뜸주기를 최적 조건으로 조절하여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밥을 약간 질게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키이조작수단에서 진밥모드키이를 할달하여 진밥모드 선택시 인버터수단의 워킹코일을 통해 설정시간동안 설정된 불림온도에 도달때까지 가열하여 쌀에 침수시키는 불림과정과, 상기 설정시간 경과후에 금속팬을 설정온도에 도달때까지 최대로 가열하여 취반을 수행하는 취반과정과,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워킹코일의 휴지시간과 뜸시간을 각기 달리주고 휴지와 뜸을 반복적으로 수행시켜 뜸을 들이는 휴지/뜸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취반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제3도는 제2도를 적용한 취반제어 과정의 신호흐름도.
제4도는 제 2인버터수단의 동작상태 주기를 보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정류수단 101 : 평활수단
102 : 인버터수단 103 : 인버터제어수단
104 : 스위칭구동수단 105 : 전류검출수단
106 : 부궤환증폭수단 107 : 적분수단
111 : 키이조작수단 112 : 시스템제어수단
본 발명은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제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가마솥 원리를 이용하여 취반시 인분수에 따라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밥을 약간 질게하도록 하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으로 취반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물에 불린 쌀을 밥솥 용기에 넣고, 인분수에 따라 물을 적정량으로 맞추어 공급한 후에 취사키이를 누르게 되면, 초기에는 쌀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하부히터와 측면히터가 각각 120℃, 100℃로 발열되어 취반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취반공정이 수행되면 밥솥의 하부 및 측면에 설치된 온도 감지소자가 용기내의 하부온도와 측면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취반공정을 증지시키고 하부히터와 측면히터의 발열량을 낮추어 뜸공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후 뜸공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선택 여부에 따라 상부히터를 약 70℃로 발열 유지시켜 보온공정을 수행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유도가열 밥솥으로 취반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쌀을 밥솥의 금속팬에 넣고, 인분수에 따라 물을 적정량으로 맞추어 공급한 후에 취사키이를 누르게 되면, 초기에 불림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58℃로 발열되어 불림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불림공정이 완료되면 다음 공정인 취사공정으로 들어가 금속팬을 취사공정에 필요한 120℃로 발열시켜 취사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취사공정이 완료되면, 뜸공정, 보온공정순으로 온도를 맞추어 취사를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일반적인 밥솥에 있어서, 전자의 전기밥솥은 근년식 생활의 패턴변화에 따른 적은 식사와 함께 윤기있고, 맛있는 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단순히 취사 및 보온위주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진밥 또는 된밥을 원할시 밥솥의 용기에 물의공급량을 조절하여야 하는데, 쌀보다 물의 공급량이 많을 경우에는 취사시에 물넘침이 발생되고, 쌀보다 물의 공급량이 적을 경우에는 수분분의 부족으로 인하여 된밥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밑에서는 타고 위에서는 설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전자유도가열 밥솥에 있어서는 금속팬과 워킹코일간의 자장에 기인하는 전자 유도효과에 의해 금속팬내의 쌀이 상, 하 구분없이 고루 익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마솥 같은 원리에 의해 진밥을 원할 경우, 금속팬내의 물의 공급량과 관계없이 금속팬내의 인분수가 판정되면 풀파워로 금속팬을 가열하게 되므로 수분이 쌀속까지 충분히 흡수되지 못한 상태에서 증발되어 익게 되므로 된밥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전반적인 전기밥솥 또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자유도가열 밥솥을 이용하여 가마솥 원리와 같이, 취반시 인분수에 따라 비등, 휴지, 뜸주기를 최적 조건으로 조절하여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밥을 약간 질게하도록 하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취반시에 발생되는 물의 넘침을 워킹코일의 발열온도를 조절하여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키이조작수단에 진밥모드키이를 할당하여 진밥모드 선택시 인버터수단의 워킹코일을 통해 설정시간 도안 설정된 불림온도에 도달할때까지 가열하여 쌀에 침수 시키는 불림과정과, 상기 설정시간 경과후에 금속팬을 취반온도에 도달때까지 최대로 가열하여 취반을 수행하는 취반과정과, 상기 취반온도에 도달하면 워킹코일의 휴지시간과 뜸시간을 각기 달리주고 휴지와 뜸을 반복적으로 수행시켜 뜸을 들이는 휴지/뜸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취반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유도가열 밥솥(126)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어 보온모드시 발열되어 일정온도로 보온을 유지시키는 상부히터(116)와, 상기 밥솥(126)의 내부 측면에 원주상으로 설치되어 보온모드시 상기 상부히터(116)와 함께 선택적으로 발열되어 일정온도로 보온을 유지시키는 측면히터(118)와, 상기 측면히터(118) 사이로 안착되는 금속팬(110)과, 상기 밥솥(126)의 하부에 원주상으로 설치되어 전자기 유도 효과에 의해 금속팬(110)을 가열하는 하부히터인 워킹코일(102a)과, 상기 밥솥(126)의 상부 및 측면에 위치하여 밥솥내부의 상부 및 측면온도를 측정하는 상부, 측면온도감지부재(120)(122)와, 상기 밥솥(126)의 하부적소에 위치하여 하부온도를 감지하는 하부온도감지부재(123)와 상기 밥솥(126)의 하부 적소에 위치하여 밥솥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팬(114)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2도는 본 발명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진밥모드키이가 할당되어 취반기능, 보온기능을 선택하는 키이조작수단(111)과, 상기 상부온도감지부재(120), 측면온도감지부재(122), 하부온도감지부재(123)에서 감지한 온도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제 1내지 제 3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121)(124)과, 상기 제 1내지 제 3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121)(124)에서 변환된 현재의 온도 변화값과 키이조작수단(111)으로부터 선택된 각종 키이신호에 따라 전자유도 가열밥솥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여 불림공정, 취반공정, 보온공정, 휴지/뜸공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제어수단(112)과, 입력 교류전원을 맥동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제 1정류수단(100)과, 상기 제 1정류수단(100)에 의해 정류된 맥동 직류전압을 쵸크코일(L1)과 콘덴서(C1)로 일정하게 평활화시키는 평활수단(101)과,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상기 평활수단(101)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공진시키고 그 공진전압에 의해 발생된 자장에 기인한 전자기 유도효과로 가열되어질 금속팬(110)에 와류를 유도시켜 금속팬(110)내의 음식을 원하는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워킹코일(102a), 워킹코일(102a)과 일련의 공진회로를 이루는 공진커패시터(C2), 댐핑다이오드(D1) 및 스위칭소자(TR1)로 이루어진 인버터수단(102)과, 상기 인버터수단(102)에서 발생된 공진전압에 따라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하는 인버터제어수단(103)에서 발생되어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를 제어하는 스위칭구동수단(104)과, 상기 입력 교류전원(AC)에서 입력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105)과, 상기 전류 검출수단(105)에서 검출된 전압레벨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으로부터의 각 기능에 대해 설정되어 입력되는 기준레벨값과 비교하여 비교편차값을 출력하는 부궤환증폭수단(106)과, 상기 부궤환증폭수단(106)의 비교편차값을 적분하여 그 적분값에 따른 인버터제어수단(103)의 출력 펄스폭변조신호를 제어하여 스위칭구동수단(104)을 통해 스위칭소자(TR1)의 온/오프타임을 결정하는 적분수단(107)과, 상기 입력 교류전원(AC)을 강압하는 트랜스(108)와, 상기 트랜스(108)에서 강압된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의 동작전압으로 인가하는 제 2정류수단(109)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부히터(116), 측면히터(118)를 발열시키는 상부히터 구동수단(115) 및 측면히터구동수단(117)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각종 기능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표시수단(125)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인버터제어수단(103)은 상기 인버터수단(102)에서 발생된 공진전압을 검출하여 삼각파 발생시점을 결정하는 전압검출수단(103a)과, 상기 전압검출수단(103a)에서 검출된 전압에 의해 삼각파 발생수단(103b)에서 삼각파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삼각파와 적분수단(107)에서 적분된 전압과를 비교수단(103b2)을 통해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온/오프 타임을 결정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하는 펄스폭변조신호 발생수단(103b)으로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D2는 다이오드이고, R1은 저항이다.
제3도는 제2도를 적용한 취반제어 과정의 신호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이조작수단(111)의 진밥모드키이 선택시 일정시간(t1) 동안 금속팬(110)내의 온도를 외부의 온도와 평행상태로 유지시킨후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을 통해 금속팬(110)내의 온도를 설정시간(T2)동안 설정된 불림온도(T1 : 58℃)에 도달할때까지 가열하여 쌀에 침수시키는 불림과정(ST100)과, 상기 불림과정(ST100)의 설정시간 경과후에 금속팬(110)을 설정된 취반온도(T2 : 110℃)에 도달할때까지 워킹코일(102a)을 최대로 가열하여 취반을 수행하는 취반과정(ST101)과, 취반온도(T2)에 도달하면 워킹코일(102a)의 휴지시간 및 구동시간을 각기 달리주어 휴지와 뜸을 반복적으로 수행시켜 뜸을 들이는 휴지/뜸과정(ST10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 교류전원(AC)이 제 1정류수단(100)을 통해 맥동 직류전압으로 정류된 다음 평활수단(101)의 쵸크코일(101a) 및 콘덴서(C2)를 통해 평활되고, 아울러 상기 교류전원(AC)이 다시 트랜스(108)을 통해 전압강하되고 제 2정류수단(109)을 통해 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 시스템제어수단(112)의 동작전압으로 인가된다.
상기 평활수단(101)에서 평활된 직류전압은 인버터수단(102)에 입력된다.
이때,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진밥을 원할시에 밥솥(126)내의 금속팬(110)에 쌀과 적정량의 물을 공급한 후에 키이조작수단(111)을 통해 진밥모드키이를 선택하여 누르게 되면,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취사기능을 표시수단(125)을 통해 표시하여 줌과 아울러 제3도에서와 같이 불림공정, 취반공정, 휴지/뜸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를 제3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키이조작수단(111)으로부터 진밥모드키이가 선택되면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제 2정류수단(109)에서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초기에 팬구동수단(113)을 통해 밥솥(126)의 하부 적소에 위치한 냉각팬(114)을 일정시간(t1 : 16초) 동안 구동시켜 밥솥(126)의 내부온도를 외부온도와 평행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ST1).
이후, 일정시간(t1)이 경과하면, 내부의 타이머를 동작시켜(ST2) 설정시간(t2 : 20분) 동안 불림공정에 적절한 온도(58℃)의 기준전압 레벨값을 부궤환증폭수단(106)에 입력함과 아울러 표시수단(125)에 불림공정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로의 베이스전류는 인버터제어수단(103)의 펄스폭변조신호 발생수단(103b)으로 부터 유도된 펄스폭변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칭구동수단(104)을 통하여 구동되어지므로 워킹코일(102a) 및 공진커패시터(C2)가 평활수단(101)에서 입력된 직류전압에 의해 연속적인 공진상태로 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워킹코일(102a)에는 큰 공진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워킹코일(102a)로부터 발생된 자장에 기인한 전자기 유도효과로 인하여 가열되어질 금속팬(110)에 와류가 유도되어져 그 결과 금속팬(110)이 가열되어지고 금속팬(110)내의 음식이 원하는 가열온도로 가열된다.
이때, 상기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과 공진커패시터(C2)에서 발생된 공진전압을 인버터제어수단(103)의 전압검출수단(103a)에서 검출하여 펄스폭변조신호 발생수단(103b)의 삼각파 발생수단(103b1)을 제어하여 삼각파 발생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삼각파 발생수단(103b1)은 전압검출수단(103a)에서 검출된 전압에 따라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을 결정하는 삼각파신호를 발생하여 비교수단(103b2)의 반전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한편, 전류검출수단(105)은 입력 교류전원(AC)에서 전류를 검출하여 부궤환증폭수단(106)의 반전단자에 입력하면 상기 부궤환증폭수단(106)은 전류검출수단(105)에서 검출된 전압레벨과 제 2정류수단(109)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의 불림공정에 대응하는 온도(58℃)의 기준전압 레벨과 비교하여 그 비교편차값을 적분수단(10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적분수단(107)은 입력된 비교편차값을 적분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시간을 결정하는 적분값을 다이오드(D2)를 통해 비교수단(103b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수단(103b2)은 삼각파발생수단(103b1)의 삼각펄스와 적분수단(107)의 적분값을 비교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을 결정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스위칭구동수단(104)에 입력하여 구동시키게 됨으로써,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가 도통 및 차단되어 워킹코일(102a)을 효과적으로 구동시켜 금속팬(110)내의 음식을 가열하면서 불림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에 의해 금속팬(110)이 가열되면서 불림공정을 수행하는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금속팬(11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온도감지부재(123) 및 제 3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24)을 통해 금속팬(110)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불림온도(T1 : 58℃)와 비교하게 된다(ST4).
이때, 상기 하부온도감지부재(123)를 통해 측정한 하부온도가 설정된 불림온도(T1)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제4도에서와 같이, 인버터수단(102)에 구성된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의 듀티비를 15 : 1, 즉 16레벨인 풀파워(Pull Power)로 하여 부궤환증폭수단(106)에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부궤환증폭수단(106)은 전술한 바와같이, 전류검출수단(105)에서 검출된 전압레벨과 시스템제어수단(112)에서 입력된 스위칭소자(TR1)의 듀티비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편차값을 적분수단(10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적분수단(107)은 입력된 비교편차값을 적분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시간을 결정하는 적분값을 다이오드(D2)를 통해 비교수단(103b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수단(103b2)은 삼각파발생수단(103b1)의 삼각펄스와 적분수단(107)의 적분값을 비교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을 결정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스위칭구동수단(104)에 입력하여 구동시키게 됨으로써,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가 15초동안 도통되고 다시 1초동안 차단되었다가 다시 15초동안 도통되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이고 설정시간(t2=20분)동안 도통 및 차단되면서 워킹코일(102a)을 최대로 구동시켜 금속팬(110)을 가열하게 된다(ST5).
그리고, 상기 단계(ST4)에 검색한 결과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설정된 불림온도(T1)에 도달하였으면, 불림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듀티비를 0레벨로 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를 차단시켜 워킹코일(102a)의 동작을 중시시키게 된다(ST6).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타이머를 통해 현재의 시간(t3)이 설정시간(t2)을 경과했는가를 검색하고(ST3), 설정시간(t2)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으면, 계속 불림온도(T1)를 유지시켜 쌀에 충분히 침수가 이루어질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즉,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불림온도(T1)에 도달하였더라도 설정시간(t2)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아직 쌀에 충분한 물침수(불림)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ST3)에서 비교한 결과 현재의 시간(t3)이 설정시간(t2)을 경과하면 쌀에 물의 침수가 충분히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취반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취반공정에 있어서는 금속팬(110)의 온도를 취반에 필요한 온도(110℃)로 발열시켜 주기 위해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제5도와 같이, 인버터수단(102)에 구성된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의 듀티비를 15 : 1 즉, 16레벨인 풀파워로 하여 부궤환증폭수단(106) 및 적분수단(107), 다이오드(D1), 저항(R1), 인버터제어수단(103), 스위칭구동수단(104)을 통해 스위칭소자(TR1)를 15초 동안 도통시키고, 다시 1초 동안 차단시켜 워킹코일(102a)을 통해 금속팬(110)을 최대로 가열하게 된다(ST7).
이에따라 금속팬(110)의 내부온도가 점점 증가되어 물이 끓게 됨과 아울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증기가 증발되어 취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을 통해 금속팬(110)을 가열하면서 취반공정을 수행중에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하부온도감지부재(123) 및 제 3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24)을 통해 금속팬(110)의 하부온도를 계속 측정하여 취반온도(T2 : 110℃)와 비교하게 된다(ST8).
상기 단계(ST8)에서 비교 검색한 결과 하부온도가 설정된 취반온도(T2)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그 취반온도(T2)에 도달할때까지 풀파워로 가열하고, 상기 단계(ST8)에서 검색한 결과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취반온도(T2)에 도달하면 취반공정을 완료하고 다음 공정으로 뜸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뜸공정에 있어서는 먼저,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취반온도(T1)에 도달할시에 듀티비를 0 레벨로 하여(ST9),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를 통해 워킹코일(102a)의 동작을 일정시간(t4 : 150초)동안 휴지(休止)시키게 된다(ST10).
이때, 상기 워킹코일(102a)이 일정시간(t4) 동안 휴지되더라도 그 시간동안은 금속팬(110)내의 잔열에 의해서 뜸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일정시간(t4)이 경과하면 다시 금속팬(110)내의 열이 낮아지게 되므로, 다시 휴지때의 열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제4도에서와 같이, 듀티를 2레벨로 하여(ST11) 즉, 2초동안은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를 도통시키고 14초동안 차단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일정시간(t5 : 180초) 유지시켜 뜸공정을 수행한다(ST12).
이후, 일정시간(t5)이 경과하면 다시 듀티를 0레벨로 하여(ST13) 워킹코일(102a)을 일정시간(t6 : 2분 30초) 휴지시키고, 금속팬(110)내의 잔열로써 뜸공정을 수행한다(ST14).
이후, 다시 일정시간(t6)이 경과하면 다시 듀티를 2레벨로 하여(ST15) 일정시간(t7 : 180초) 동안 금속팬(110)을 낮은 온도로 가열하여 뜸공정을 수행하고(ST16), 일정시간(t7)이 경과하면 듀티를 0레벨로 하여(ST17)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와 워킹코일(102a)의 동작을 일정시간(t8 : 120초)동안 휴지시키고(ST18), 그 시간동안 금속팬(110)내의 잔열로써 뜸공정을 수행하여 종료한다(ST19).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뜸공정을 통해 워킹코일의 휴지시간과 동작시간을 각기 달리주게 됨으로써, 금속팬내의 온도변화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수분이 급속이 증발되지 않고 쌀속으로 충분히 침수가 이루어져 가마솥 원리와 같이 원하는 진밥을 얻을 수가 있을뿐 아니라 불림공정후에 110℃로 가열하여 취반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물넘침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키이조작수단에 진밥모드키이를 할당하여 진밥모드 선택시 인버터수단의 워킹코일을 통해 설정시간 동안 설정된 불림온도에 도달할때까지 가열하여 쌀에 침수시키는 불림과정과, 상기 설정시간 경과후에 상기 워킹코일을 통해 금속팬을 취반온도에 도달할때까지 최대로 가열하여 취반을 수행하는 취반과정과, 상기 취반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워킹코일의 휴지시간과 구동시간을 각기 달리주어 뜸을 들이는 휴지/뜸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불림과정은 설정된 불림온도에서 20분간 침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취반과정은 불림공정 이후의 시간에 관계없이 금속팬의 하부온도가 110℃이상일시에 취반안료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휴지/뜸과정의 휴지시간은 150초이고, 구동시간은 18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취반완료후 상기 워킹코일의 휴지와 구동을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수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휴지/뜸과정에서의 마지막 휴지시간은 12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KR1019940013120A 1994-06-10 1994-06-10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KR013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120A KR0133465B1 (ko) 1994-06-10 1994-06-10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120A KR0133465B1 (ko) 1994-06-10 1994-06-10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35A KR960000135A (ko) 1996-01-25
KR0133465B1 true KR0133465B1 (ko) 1998-04-20

Family

ID=1938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120A KR0133465B1 (ko) 1994-06-10 1994-06-10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248A (ko) * 2002-12-09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보온밥솥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292B1 (ko) * 2002-11-07 2005-06-10 김성부 고압수를 이용한 구근류(감자/고구마/당근 등) 세척 및탈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248A (ko) * 2002-12-09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보온밥솥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35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465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KR970005956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KR0129237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요구르트 제조방법
KR0176776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예약취반 제어방법
JPH0662955A (ja) 炊飯器
JP3187320B2 (ja) 電気炊飯器
JP2000070126A (ja) 電気炊飯器
JPH10321360A (ja) 誘導加熱式炊飯器
KR970005959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KR970005958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계란 반숙/완숙 제어방법
JP3265888B2 (ja) 炊飯器
JP3149534B2 (ja) 誘導加熱式炊飯器
JPH07275114A (ja) 炊飯器
JP4041053B2 (ja) 炊飯器
KR0152839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조리용기 재질판정장치
JPH0924595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812086B2 (ja) 電気炊飯器
JPH02268710A (ja) 炊飯器
JPH07278A (ja) 誘導加熱炊飯器
KR0152836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주파수대역 변환회로
JPH0817735B2 (ja) 炊飯器
JP2531803B2 (ja) ジャ―炊飯器
JP2004357851A (ja) 電気炊飯器
JP3146627B2 (ja) 誘導加熱式炊飯器
JPH0795974B2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