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956B1 -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956B1
KR970005956B1 KR1019940013518A KR19940013518A KR970005956B1 KR 970005956 B1 KR970005956 B1 KR 970005956B1 KR 1019940013518 A KR1019940013518 A KR 1019940013518A KR 19940013518 A KR19940013518 A KR 19940013518A KR 970005956 B1 KR970005956 B1 KR 970005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ime
nurungji
rice cooker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1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56B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취반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제3도는 제2도를 적용한 누룽지 제조과정의 신호흐름도.
제4도는 제2도 인버터수단의 동작상태 주기를 보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정류수단 101 : 평활수단
102 : 인버터수단 103 : 인버터제어수단
104 : 스위칭구동수단 105 : 전류검출수단
106 : 부궤환증폭수단 107 : 적분수단
111 : 키이조작수단 112 : 시스템제어수단
본 발명의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가마솥 원리를 이용하여 취반시 인분수를 판정하고 그 판정된 인분수에 따라 금속팬을 적정시간 동안 가열하여 취반과 뜸공정을 수행한 후에 인분수에 관계없이 누룽지가 제조되는 최적의 온도로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도록 하는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으로 취반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물에 불린 쌀을 밥솥 용기에 넣고, 인분수에 따라 물을 적정량으로맞추어 공급한 후에 취사키이를 누르게 되면, 초기에는 쌀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하부히터와 측면히터가 각각 120℃, 100℃로 발열되어 취반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취반공정이 수행되면 밥솥의 하부 및 측면에 설치된 온도감지소자가 용기내의 하부온도와 측면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취반공정을 중지시키고 하부히터와 측면히터의 발열량을 낮추어 뜸공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후 뜸공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선택 여부에 따라 상부히터를 약 70℃로 발열 유지시켜 보온공정을 수행하도록 하게된다.
그리고, 전자유도가열 밥솥으로 취반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쌀을 밥솥의 금속팬에 넣고, 인분수에 따라 물을 적정량으로 맞추어 공급한 후에 취사키이를 누르게 되면, 초기에 불림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하부히터인 인버터수단의 워킹코일과 금속팬이 자장에 기인한 전자기 유도 효과에 의해 불림공정에 필요한 58℃로 발열되어 불림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불림공정이 완료되면 다음 공정인 취사공정으로 들어가 금속팬을 취사공정에 필요한 120℃로 발열시켜 취사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취사공정이 완료되면, 뜸공정, 보온공정순으로 온도를 맞추어 취사를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일반적인 밥솥에 있어서, 전자의 전기밥솥은 근년 식생활의 패턴변화에 따른 적은 식사와 함께 윤기있고 맛있는 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단순히 취사 및 보온위주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중,장년층의 사람들은 옛날의 가마솥밥 같은 기름기가 있고 솥밑면에 누룽지가 있는 구수한 밥을 원하고 있고, 아울러 식사후에 누룽지를 숭늉으로 만들어 전통의 미를 음미하고자 하나 일반적인 전기밥솥은 이러한 용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전자유도가열 밥솥에 있어서는 금속팬과 워킹코일간의 자장에 기인하는 전자기 유도효과에 의해 금속팬내의 쌀이 상, 하 구분없이 고루 익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마솥 같은 원리에 의해 금속팬내의 물의 공급량과 관계없이 금속팬내의 인분수가 판정되면 풀파워로 금속팬을 가열하여 윤기있는 밥을 지을수는 있으나, 전자의 전기밥솥과 같이, 누룽지 제조 기능이 없고 단순한 쌀의 불림, 취반, 뜸공정, 보온공정만을 수행함으로써, 구수한 누룽지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에 부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전반적인 전기밥솥 또는 전자 유도가열 밥솥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자유도가열 밥솥을 이용하여 가마솥 원리와 같이, 금속팬을 적정시간 동안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취반과 뜸공정을 수행한 후에 인분수에 관계없이 밥이 타지않고 누룽지가 제조되는 최적조건의 온도로 재가열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구수한 누룽지를 가지는 밥을 짓도록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적은 인분의 취사시에 발생되는 물의 넘침을 워킹코일의 동작주가를 조절하여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금속팬과 하부온도감지부재와의 사이에 이물질 삽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실제온도와 감지온도와의 편차에 따른 과가열시간을 이물대비시간으로 보상하여 밥이 타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키이조작수단에 누룽지모드키이를 할당하여 누룽지모드 선택시 인버터수단의 워킹코일을 통해 설정시간 동안 설정된 불림온도에 도달때까지 가열하여 쌀에 침수시키는 불림과정과, 상기 설정시간 경과후에 인분수를 판정하기 위해 금속팬의 상, 하부의 온도가 각각 설정치에 도달때까지 예비 가열하는 예비가열과정과, 상기 금속팬의 하부온도의 설정치 도달시점부터 상부온도의 설정치 도달시점까지 걸린 시간을 연산하여 인분수를 판정하는 인분수 판정과정과, 상기 판정된 인분수에 따라 금속팬의 동작주기와 이물대비시간을 각기 달리주어 그 시간동안 또는 금속팬의 하부온도가 취반온도에 도달때까지 가열하는 이물대비가열과정고, 상기 취반온도에 도달하거나 또는 이물대비시간이 경과하면 워킹코일을 소정시간 동안 휴지시켜 뜸을 들이면서 목표시간 동안 목표온도에 도달시까지 가열하여 누룽지를 만드는 누룽지생성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취반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유도가열 밥솥(126)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어 보온모드시 발열되어 일정온도로 보온을 유지시키는 상부히터(116)와, 상기 밥솥(126)의 내부 측면에 원주상으로 설치되어 보온모드시 상기 상부히터(116)와 함께 선택적으로 발열되어 일정온도로 보온을 유지시키는 측면히터(118)와, 상기 측면히터(118) 사이로 안착되는 금속팬(110)과, 상기 밥솥(126)의 하부에 원주상으로 설치되어 전자기 유도효과에 의해 금속팬(110)을 가열하는 하부히터인 워킹코일(102a)과, 상기 밥솥(126)의 상부 및 측면에 위치하여 밥솥내부의 상부 및 측면온도를 측정하는 상부, 측면온도감지부재(120)(122)와, 상기 밥솥(126)의 하부 적소에 위치하여 하부온도를 감지하는 하부온도감지부재(123)와, 상기 밥솥(126)의 하부 적소에 위치하여 밥솥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팬(114)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2도는 본 발명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누룽지모드키이가 할당되어 취반기능, 보온기능, 누룽지 제조기능을 선택하는 키이조작수단(111)과, 상기 상부온도감지부재(120), 측면온도감지부재(122), 하부온도감지부재(123)에서 감지한 온도신호를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내지 제3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121)(123)과, 상기 제1 내지 제3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121)(123)에서 변환된 현재의 온도 변화값과 키이조작수단(111)으로 부터 선택된 각종 키이신호에 따라 전자유도가열밥솥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여 불림공정, 취반공정, 뜸공정, 누룽지 생성공정, 보온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제어수단(112)과, 입력 교류전원을 맥동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제1정류수단(100)과, 상기 제1정류수단(100)에 의해 정류된 맥동 직류전압을 쵸크코일(L1)과 콘덴서(C1)로 일정하게 평활화시키는 평활수단(101)과,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상기 평활수단(101)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공진시키고 그 공진 전압에 의해 발생된 자장에 기인한 전자기유도효과로 가열되어질 금속팬(110)에 와류를 유도시켜 금속팬(110)내의 음식을 원하는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워킹코일(102a), 그 워킹코일(102a)과 일련의 공진회로를 이루는 공진커패시터(C2), 댐핑다이오드(D1) 및 스위칭소자(TR1)로 이루어진 인버터수단(102)과, 상기 인버터수단(102)에서 발생된 공진전압에 따라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하는 인버터제어수단(103)과, 상기 인버터제어수단(103)에서 발생된 펄스폭변조신호에 따라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를 제어하는 스위칭구동수단(104)과, 상기 입력 교류전원(AC)에서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105)과, 상기 전류검출수단(105)에서 검출된 전압레벨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으로부터의 각 기능에 대해 설정되어 입력되는 가열온도 대응 기준레벨값과를 비교하여 비교편차값을 출력하는 부궤환증폭수단(106)과, 상기 부궤환증폭수단(106)의 비교편차값을 적분하여 그 적분값에 따른 인버터제어수단(103)의 출력 펄스폭변조신호를 제어하여 스위칭구동수단(104)을 통해 스위칭소자(TR1)의 도통/차단 시간을 결정하는 적분수단(107)과, 상기 입력 교류전원(AC)을 강압하는 트랜스(108)와, 상기 트랜스(108)에서 강압된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의 동작전압으로 인가하는 제2정류수단(109)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으로 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부히터(116), 측면히터(118)를 발열시키는 상부히터구동수단(115) 및 측면히터구동수단(117)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각종 기능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표시수단(125)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의 제어신호에 의해 냉각팬(114)을 구동시키는 팬구동수단(113)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인버터제어수단(103)은 상기 인버터수단(102)에서 발생된 공진전압을 검출하여 삼각파 발생시점을 결정하는 전압검출수단(103a)과, 상기 전압검출수단(103a)에서 검출된 전압에 의해 삼각파 발생수단(103b1)에서 삼각파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삼각파와 적분수단(107)에서 적분된 전압과를 비교수단(130b2)을 통해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온/오프 타임을 결정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수단(103b)으로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 설명부호 D2는 다이오드이고, R1은 저항이다.
제3도는 제2도를 적용한 누룽지 제조과정의 신호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이조작수단(111)의 누룽지모드키이 선택시 일정시간(t1)동안 금속팬(110)내의 온도를 외부의 온도와 평행상태로 유지 시킨후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을 통해 금속팬(110)내의 온도를 설정시간(t2)동안 설정된 불림온도(T1 : 58℃)에 도달때까지 가열하여 쌀에 침수시키는 불림과정(ST100)과, 상기 불림과정(ST100)의 설정시간(t2)경과 후에 인분수를 판정하기 위해 금속팬(110)의 상, 하부의 온도가 각각 제1, 제2설정온도(T2)(T3)에 도달때까지 예비 가열하는 예비가열과정(ST101)과, 상기 상부온도가 제2설정온도에 도달하면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제1설정온도(T2)에 도달한 시점에서 부터 상부온도가 제2설정온도(T3)에 도달한 시점까지 걸린 시간의 변화를 연산하고 그 변화된 시간(t4)과 각기 인분수에 따라 설정된 시간과를 비교하여 인분수를 판정하는 인분수 판정과정(ST100)과, 상기 판정된 인분수에 따라 워킹코일(102a)와 동작주기와 이물대비시간을 각기 달리주어 그 시간동안 또는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취반온도(T4 : 121℃)에 도달때까지 가열하는 이물대비가열 과정(ST103)과, 상기 취반온도(T4)에 도달하거나 또는 이물대비시간이 경과하면 워킹코일(102a)을 소정시간 동안 유지시켜 뜸을 들이고 이후 설정된 표준시간 동안 워킹코일(102a)을 통해 금속팬(110)을 표준온도(T5)에 도달시까지 가열하여 누룽지를 만드는 누룽지생성과정(ST10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 교류전원(AC)이 제1정류수단(100)을 통해 맥동 직류전압으로 정류된 다음 평활수단(101)의 쵸크코일(101a)을 통해 평활되고, 아울러 상기 교류전원(AC)이 다시 트랜스(108)를 통해 전압강하되고 제2정류수단(109)을 통해 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 시스템제어수단(112)의 동작 전압으로 인가된다.
상기 평활수단(101)에서 평활된 맥동 직류전압은 인버터수단(102)에 입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취향에 맞게 윤기있고 구수한 누룽지가 있는 밥을 원할시 밥솥(126)내에 금속팬(110)에 인분수에 따라 쌀과 적정량의 물을 공급한 후에 키이조작수단(111)을 통해 누룽지모드키이를 선택하여 누르게 되면,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취사기능을 표시수단(125)을 통해 표시하여 줌과 아울러 제3도에서와 같이, 불림과정(ST100), 예비가열과정(ST101), 인분수 판정과정(ST102), 본격적인 취반을 수행하기 위한 이물대비가열과정(ST103) 및 누룽지생성과정(ST104)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를 제3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키이조작수단(111)으로 부터 누룽지모드키가 선택되면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제2정류수단(109)에서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초기에 팬구동수단(113)을 통해 밥솥(126)의 하부 적소에 위치한 냉각팬(114)을 일정시간(t1 : 16초) 동안 구동시켜 밥솥(126)의 내부온도를 외부온도와 평행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ST1).
이후, 일정시간(t1)에 경과하면, 내부의 타이머를 동작시켜(ST2) 설정시간(t2 : 20분) 동안 불림과정에 적절한 온도(58℃)의 기준전압 레벨값을 부궤환증폭수단(106)에 입력함과 아울러 표시수단(125)에 불림공정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로의 베이스전류는 인버터제어수단(103)의 펄스폭변조신호 발생수단(103b)으로 부터 유도된 펄스폭변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칭구동수단(104)을 통하여 구동되어지므로 워킹코일(102a) 및 공진커패시터(C2)가 평활수단(101)에서 입력된 맥동 직류전압에 의해 연속적인 공진상태로 되어진다.
이에따라 상기 워킹코일(102a)에는 큰 공진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워킹코일(102a)로 부터 발생된 자장에 기인한 전자기유도 효과로 인하여 가열되어질 금속팬(110)에 와류가 유도되어져 그 결과 금속팬(110)이 가열되어지고 금속팬(110)내의 음식이 원하는 가열온도로 가열된다.
이때, 상기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과 공진커패시터(C2)에서 발생된 공진전압을 인버터제어수단(103)의 전압검출수단(103a)에서 검출하여 펄스폭변조신호 발생수단(103b)의 삼각파 발생수단(103b1)을 제어하여 삼각파 발생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삼각파 발생수단(103b1)은 전압검출수단(103a)에서 검출된 전압에 따라 인버터수단(103)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을 결정하는 삼각파신호를 발생하여 비교수단(103b2)의 반전단자에(-)에 입력하게 된다.
한편, 전류검출수단(105)은 입력 교류전원(AC)에서 전류를 검출하여 부궤환증폭수단(106)의 반전단자에 입려하면 상기 부궤환증폭수단(106)은 전류검출수단(105)에서 검출된 전압레벨과 제2정류수단(109)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의 불림공정에 대응하는 온도(58℃)의 기준전압 레벨값과를 비교하여 그 비교편차값을 적분수단(10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적분수단(107)은 입력된 비교편차값을 적분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시간을 결정하는 적분값을 다이오드(D2) 및 저항(R1)을 통해 비교수단(103b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수단(103b2)은 삼각파발생수단(103b1)의 삼각펄스와 적분수단(107)의 적분값을 비교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I)의 도통 및 차단시간을 결정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스위칭구동수단(104)에 입력하여 구동시키게 됨으로써,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가 도통 및 차단되어 워킹코일(102a)을 효과적으로 구동시켜 금속팬(110)내의 음식을 가열하면서 불림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을 통해 금속팬(110)을 가열하여 불림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금속팬(11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온도감지부재(123) 및 제3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24)을 통해 금속팬(110)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불림온도(T1 : 58℃)와 비교하게 된다(ST4).
이때, 상기 하부온도감지부재(123)를 통해 측정한 하부온도가 설정된 불림온도(T3)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제4도에서와 같이, 인버터수단(102)에 구성된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의 듀티비를 15:1, 즉 16레벨인 풀파워(Pull Power)로 하여 부궤환증폭수단(106)에 입력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한 부궤환증폭수단(106)은 전술한 바와같이, 전류검출수단(105)에서 검출된 전압레벨과 시스템제어수단(112)에서 입력된 스위칭소자(TR1)의 듀티비값과를 비교하여 그 비교편차값을 적분수단(10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적분수단(107)은 입력된 비교편차값을 적분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I)의 도통시간을 결정하는 적분값을 다이오드(D2)를 통해 비교수단(103b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수단(103b2)은 삼각파발생수단(103b1)의 삼각펄스와 적분수단(107)의 적분값을 비교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의 도통 및 차단시간을 결정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스위칭구동수단(104)에 입력하여 구동시키게 됨으로써,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가 15초동안 도통되고 다시 1초동안 차단되었다가 다시 15초동안 도통되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설정시간(t2=20분)동안 도통 및 차단되면서 워킹코일(102a)을 최대로 구동시켜 금속팬(110)을 가열하게 된다(ST5).
그리고, 상기 단계(ST4)에 검색한 결과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설정된 불림온도(T1)에 도달하였으면, 불림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듀티비를 0레벨로 하여 인버터수단(102)의 스위칭소자(TR1)를 차단시켜 워킹코일(102a)을 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ST6).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타이머를 통해 현재의 시간(t3)이 설정시간(t2)을 경과했는가를 검색하여(ST3) 설정시간(t2)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으면, 계속 불림온도(T1)를 유지시켜 쌀에 충분히 침수가 이루어질때 까지 대기하게 된다.
즉, 이는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불림온도(T1)에 도달하였더라도 설정시간(t2)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아직 쌀에 충분한 물침수(불림)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ST3)에서 비교한 결과 현재의 시간(t3)이 설정시간(t2)을 경과하면 쌀에 물의 침수가 충분히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금속팬(110)내의 인분수를 판정하기 위해 예비가열과정(ST101)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예비가열과정(ST101)에 있어서는, 제3도에서와 같이, 불림과정(ST100)이 완료되면, 즉 설정시간(t2)이 경과하면 인분수의 예비판정 조건을 주기 위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듀티를 16레벨로 하여(ST7) 금속팬(110)의 하부온도를 제1설정온도(T2 : 80℃)에 도달시까지 가열시킨다.
이에따라 불림과정(ST100)에서 58℃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16레벨로 금속팬(110)을 가열하게 됨으로써,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인분수에 따라 공급된 쌀과 수위에 따라 제1설정온도(T2)에 도달하는 시간은 변화하게 된다.
이와같이,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을 통해 금속팬(110)을 가열하면서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하부온도감지부재(123) 및 제3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24)을 통해 금속팬(110)의 하부온도를 측정하여 제1설정온도(T2 : 80℃)와 비교하게 된다.
상기 단계(ST8)에서 비교 검색한 결과 하부온도가 제1설정온도(T2)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풀파워로 계속 가열하고, 상기 단계(ST8)에서 검색한 결과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제1설정온도(T2)에 도달하면 그 시점부터 시간(t4)을 카운트업 하면서(ST9) 상부온도감지부재(120) 및 제1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을 통해 금속팬(110)의 상부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즉, 상부히터(116)를 구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인버터수단(102)의 워킹코일(102a)에 의해 금속팬(110)이 가열되어 제1설정온도(T2)에 도달하게 되면 금속팬(110)내의 물이 끓어 증기가 발생되는데, 이때 금속팬(110)내의 쌀의 양과 물의 양에 따라 증기의 발생이 지연 또는 빠르게 되어 금속팬(110)의 상부로 전달된다.
즉, 듀티가 동일한 16레벨로 금속팬(110)을 가열하는 조건하에서, 인분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증기의 발생이 지연되어 상부로 전달되고, 인분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증기가 빨리 발생되어 상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금속팬(11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온도감지부재(120)가 증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1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을 통해 시스템제어수단(112)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제1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19)으로 부터 검출되어 입력된 상부온도와 제2설정온도(T3 : 70℃)와를 비교하여(ST10) 상부온도가 제2설정온도(T3)보다 낮을 경우에는 계속 시간(t4)을 카운트업 하면서 상부온도를 계속 측정하게 된다.
이후, 상부온도가 제2설정온도(T3)에 도달하면, 이때부터 본격적인 취반을 수행하기 위해 제4도에서와 같이, 듀티를 8레벨로 하여(ST11) 금속팬(110)내의 비등을 약하게 한다.
즉 8초동안 스위칭소자(TR1)를 도통시키고 8초동안 스위칭소자(TR1)를 차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소정시간(t5 : 2분) 동안 제어하여 금속팬(110)을 가열하게 된다(ST12).
이후, 고정시간(t5)이 경과하면 인분수를 판정하기 위해 인분수판정 과정(ST102)을 통해 상기 제1설정온도(T2)에 도달한 시점부터 제2설정온도(T3)에 도달한 시점까지 카운트한(변화된) 시간(t4)을 가지고 인분수에 따라 설정된 각각의 시간(t6 내지 t12)과를 비교하게 된다(ST13 내지 ST19).
상기 단계(ST13 내지 ST19)에서 비교한 결과 변환시간(t4)이 인분수에 따라 설정된 시간(t6 : 2분30초, t7 : 3분, t8 : 4분30초, t9 : 5분30초, t10 : 6분, t11 : 7분, t12 : 7분 이상) 이하이면 시간의 감소순으로 인분수가 적은 것으로 판정하고, 이상이면 시간의 증가순으로 인분수가 많은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즉, 변화된 시간(t4)이 인분수에 따라 설정된 시간(t6 : 2분30초) 이하이면 가장 적은 인분수로 판정하고, 변화된 시간(t4)이 설정된 시간(t7 내지 t12)이상으로 갈수록 인분수가 많은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이후, 상기한 시스템제어수단(112)은 상기 인분수판정과정(ST102)에서, 판정한 인분수에 따라 이물대비가열과정(ST103)을 통해 듀티를 10레벨 내지 13레벨로 하여(ST20 내지 ST26) 금속팬(110)을 설정된 이물대비시간(t13 내지 t19)동안 비등강으로 가열하게 된다.
즉, 이를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상기 단계(ST13)에서 비교한 결과 변화 시간(t4)이 인분수에 따라 설정된 시간(t6) 이하이면, 인분수가 가장적은 것으로 판정하고 듀티를 10레벨로 하고(ST20) 금속팬(110)을 이물대비시간(t13 : 6분35초) 동안 가열하게 된다.
이는, 인분수가 적은 상태에서 풀파워로 가열할 경우 물이 쌀속으로 침수하기 전에 높은 온도에 의해서 빨리 끓어 물넘침이 발생하기 때문에 듀티를 10레벨로 낮게하여 물이 쌀속으로 충분히 침수되면서 끓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이물대비시간(t13)이 경과하였는가를 검색하여(ST27) 아직 이물 대비시간(t13)이 경과하지 않았으며, 하부온도감지부재(123)를 통해 하부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설정된 취반온도(T4 : 121℃)를 비교하에 된다(ST34).
그리고, 상기 단계(ST27)에서 비교 검색한 결과 이물대비시간(t13)이 경과 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하부온도가 취반온도(121℃)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하부온도감지부재(123)와 금속팬(110)에 이물질(예로써, 밥티나 먼지등)이 들어있어 하부온도강지부재(123)가 정확하게 하부온도를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정하고 듀티를 0레벨로 하여(ST35) 인분수에 따라 누룽지 생성과정(ST104)은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ST27)에서 이물대비시간(t13)이 경고하기 전에 하부온도강지부재(123)로 감지한 금속팬(110)의 하부온도가 취반온도(121℃)에 미리 도달하면 이물대비시간에 관계없이 취반이, 즉 물대비가열과정(ST103)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하고 듀티를 0레벨로 하여(ST35) 인분수에 따라 누룽지 생성과정(ST104)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상기 단계(ST14 내지 ST19)에서 판정한 인분수에 따라 듀티를 10레벨에서 부터 13레벨로 하여(ST21 내지 ST26) 각각 인분수에 따라 설정된 시간(t14 : 5분20초, t17 : 5분45초, t16 : 6분30초, t17 : 5분20초, t18 : 5분30초, t19 : 5분) 동안 가열하고(ST28 내지 ST33), 그 설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경과하기 전에 하부온도가 취반 온도(121℃)에 도달하면 취반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하고 듀티를 0레벨로 하여(ST35) 일정시간 동안 뜸들이기를 한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내부의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하부온도감지부재(123) 및 제3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124)을 통해 하부온도를 감지하여 누룽지가 가장 좋은 조건으로 제조되는 표준온도(T5 : 170℃)와를 비교하게 된다(ST37).
상기 단계(ST37)에서 비교한 결과 현재 감지한 하부온도가 설정된 표준온도(T5)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듀티를 13레벨 하여(ST38) 표준온도(T5)에 도달시까지 표준시간(t20) 동안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T37)에서 비교한 결과 표준온도(T5)에 도달하였으면, 듀티를 0레벨로 하여(ST39), 금속팬(110)의 가열을 중지시키고 타이머를 통해 현재의 시간(t21)이 표준시간(t20)을 경과 하였는가를 검색하게 된다.(ST40)
상기 단계(ST40)에서 검색한 결과 현재의 시간(t21)이 표준시간(t20)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계속 표준온도(T5)를 유지시켜 누룽지를 제조하고 표준시간(t20)을 경과하였으면, 누룽지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ST41).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마솥 원리와 같이, 금속팬을 적정시간 동안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취반과 뜸공정을 수행한 후에 인분수에 관계없이 밥이 타지않고 누룽지가 제조되는 최적조건의 온도로 재가열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구수한 누룽지밥을 얻을수 있고, 또한 적은 인분수 일수록 듀티를 낮게하여 워킹코일을 통해 금속팬을 가열함으로써, 물의 넘침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키이조작수단에 누룽지모드키이를 할당하여 누룽지모드 선택시 인버터수단의 워킹코일을 통해 설정시간 동안 설정된 불림온도에 도달때까지 가열하여 쌀에 침수시키는 불림과정과, 상기 설정시간 경과후에 인분수를 판정하기 위해 금속팬의 상, 하부의 온도가 각각 설정치에 도달때까지 예비 가열하는 예비가열과정과, 상기 금속팬의 하부온도의 설정치 도달시점부터 상부온도의 설정치 도달시점까지 걸린 시간을 연산하여 인분수를 판정하는 인분수 판정과정과, 상기 판정된 인분수에 따라 워킹코일의 동작주기와 이물대비시간을 각기 달리주어 그 시간동안 가열하는 이물대비 가열과정과, 상기 이물대비시간이 경과하면 워킹코일을 소정시간 동안 휴지시켜 뜸을 들이면서 목표시간 동안 목표온도에 도달시까지 가열하여 누룽지를 생성하는 누룽지생성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판정된 인분수에 따라 이물대비시간에 관계없이 하부온도가 취반온도에 도달하면 워킹코일을 소정시간 동안 휴지시켜 뜸을 들이면서 목표시간 동안 목표온도에 도달시까지 가열하여 누룽지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판정된 인분수에 따라 이물대비시간 경과 및 취반온도 도달중 어느 하나의 보건이 만족되면 표준시간 동안 표준온도로 가열하여 누룽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불림과정은 설정된 불림온도에서 20분간 침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예비가열과정에서의 하부온도의 설정치는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예비가열과정에서의 상부온도의 설정치는 70℃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이물대비가열과정에서 인분수가 적을 수록 워킹코일의 동작주기를 짧게하여 금속팬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취반온도는 121℃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인분수에 따른 이물대비시간은 최소 5분에서 부터 최대 6분 35초로 함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누룽지 생성과정에서의 목표온도는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누룽지 생성과정에서의 목표온도는 170℃에서 14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KR1019940013518A 1994-06-15 1994-06-15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KR970005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518A KR970005956B1 (ko) 1994-06-15 1994-06-15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518A KR970005956B1 (ko) 1994-06-15 1994-06-15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956B1 true KR970005956B1 (ko) 1997-04-22

Family

ID=1938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518A KR970005956B1 (ko) 1994-06-15 1994-06-15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95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49875A (ja) 誘導加熱調理器
KR970005956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누룽지 제조방법
KR0133465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취반 제어방법
JPH0662955A (ja) 炊飯器
KR0129237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요구르트 제조방법
JP2652078B2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H09257256A (ja) 誘導加熱装置
JPH064850Y2 (ja) 炊飯器
KR0176776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예약취반 제어방법
JP3265888B2 (ja) 炊飯器
JPH0824120A (ja) 調理器
JPH10321360A (ja) 誘導加熱式炊飯器
JPH01265917A (ja) 炊飯器
KR970005958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계란 반숙/완숙 제어방법
JP2673747B2 (ja) 炊飯器
KR970005959B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만두찜 제어방법.
JP2531803B2 (ja) ジャ―炊飯器
JPH0795974B2 (ja) 炊飯器
JPH03261420A (ja) 炊飯器
JP2000058250A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937930A (ja) 電磁誘導加熱式保温釜
KR19980014282A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백미조리방법
JPH02136111A (ja) 炊飯器
JPH05329053A (ja) 誘導加熱式炊飯器
JP3479177B2 (ja) 業務用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