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067B1 -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067B1
KR970005067B1 KR1019920018114A KR920018114A KR970005067B1 KR 970005067 B1 KR970005067 B1 KR 970005067B1 KR 1019920018114 A KR1019920018114 A KR 1019920018114A KR 920018114 A KR920018114 A KR 920018114A KR 970005067 B1 KR970005067 B1 KR 970005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guide
building
unit
guid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752A (ko
Inventor
타꾸야 카키타
노리유끼 이노우에
쇼이치 오카다
아키라 미타미
아키요시 키무라
유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유이찌 filed Critical 미쓰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7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with lifting beams, e.g. slewable beams, carrying load-engaging elements, e.g. magnets,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가이드장치를 구비한 반송설비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하부레일요소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표시된 반송설비의 일부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표시된 반송설비에 사용되는 롤러유닛과 레일요소의 일부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중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가이드장치를 구비한 반송설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송설비 11 : 가이드장치
12 : 바닥 13 : 천정쪽 부재(건물쪽 부재)
15,16 : 횡행용가이드레일 20 : 횡행유닛
26 : 승강체 30,31 : 상부레일요소
52∼55 : 가이드롤러 70,71 : 하부레일요소
80,81 : 승강가이드레일 82,83 : 이음부
본 발명은, 공장등의 건물내에 설치되는 반송 설비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조립공장등에 있어서, 공작물로서의 패널류를 반송하기 위하여 반송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 반송설비는 수평방향으로 보내는 것, 공작물을 수직방향으로 보내는 것, 혹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보낼 수 있는 것과 같은 반송설비도 제공되고 있다.
공작물을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보내는 기능을 가진 반송설비는, 제6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천정쪽의 부재(1)에 고정된 수평방향의 횡행용 가이드레일(2)을 가지고, 이 횡행용 가이드레일(2)을 따라서 횡행유닛(3)(일부만 도시한다)이 수평방향 즉 도면중의 화살표 A방향으로 주행되도록 하고 있다. 횡행유닛(3)에는, 상하방향 즉 도면중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승강체(4)와, 이 승강체(4)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상부레일(5)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레일(5)은 횡행유닛(3)의 아래쪽으로 뻗어있다.
상부레일(5)의 아래쪽에, 건물의 바닥(6)으로부터 상승하는 하부레일(7)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레일(7)은 바닥(6)에 고정되어 있으며, 횡행유닛(3)이 건물내의 소정위치에 정지했을때에, 상부레일(5)과 하부레일(7)이 서로 일직선으로 연속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레일(5)과 하부레일(7)이 일직선으로 연속된 상태에 있어서, 윈치등의 승강구동기구에 의해서, 승강체(4)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부레일(5)과 하부레일(7)은 채널제와 같은 긴쪽방향을 따른 홈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홈의 내측면에 승강체(4)의 가이드롤러(8)를 접촉하여 구르게 함으로써, 승강체(4)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구조이다.
상기 종래 설비에 있어서, 상부레일(5)은 횡행유닛(3)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횡행유닛(3)은 건물쪽의 부재인 횡행용 가이드레일(2)에 지지되고 있다. 이때문에 상부레일(5)의 위치는 건물의 세우기 상태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 이에 대하여 하부레일(7)은 건물의 바닥(6)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문에 계절적 요인에 의한 건물 자체의 열팽창자등의 영향에 의해서 건물의 각부가 바닥(6)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 횡행유닛(3)의 정지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상부레일(5)과 하부레일(7)의 상대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있다. 이 어굿남량이 커지면, 레일(5)(7)의 이음부(9)에 있어서 가이드롤러(8)가 레일(5)(7)사이를 바뀌탈 수 없게 된다.
이때문에, 종래예는 레일(5)(7)의 이음부(9)에 각각 길이 L1,L2에 걸쳐 나팔형상으로 넓어진 폭확대부(5a)(7a)를 형성함으로써, 상부레일(5)과 하부레일(7)이 수평방향으로 어굿나도, 가이드롤러(8)가 상부레일(5)과 하부레일(7)의 사이를 옮겨 탈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폭확대부(5a)(7a)를 형성되어 있으면, 가이드롤러(8)가 폭확대부(5a)(7a)의 부분을 통과할때에 가이드롤러(8)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되고, 승강체(4)가 흔들리거나 소음을 발생할 뿐만아니라 설비트러블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횡행유닛에 설치된 승강체의 승강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승강가이드레일을 구비한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완수하기 위하여 개발된 본 발명 장치는 건물쪽의 부재에 지지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은 횡행용레일과, 상기 횡행용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 횡행용 가이드레일에 지지되는 동시에 반송하는 부재를 탑재 가능한 승강체를 가지는 횡행유닛과, 상기 횡행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체의 상하방향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레일을 구비한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레일은, 상기 횡행유닛에 설치되어 횡행유닛의 아래쪽으로 뻗는 적어도 1쌍의 상부레일요소와, 상단부가 상기 상부레일요소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동시에 하단부가 상기 건물의 바닥면에 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횡행유닛이 상기 건물내의 소정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요소에 나란히 줄지어 있는 적어도 1쌍의 하부레일요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레일요소를 상기 건물쪽에 부재에 지지암을 개재해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1쌍의 승강 가이드레일에 있어서의 상기 하부레일요소와 하부레일요소의 이음부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 가이드레일은 1쌍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횡행용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횡행유닛이 수평방향으로 주행된다. 횡행유닛의 승상체에는 공작물이 유지된다. 횡행유닛이 건물내의 소정위치까지 횡행하여 정지하면, 상부레일요소의 하단부와 하부레일요소의 상단부가 서로 연속한다. 이들 상부레일요소로 이루어진 적어도 1쌍의 승강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승강체가 강하된다.
본 발명 장치에서는, 서로 쌍을 이루는 승강 가이드레일에 있어서의 상부레일요소와 하부레일요소의 이음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고 있으므로, 한쪽의 승강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승강체가 레일의 이음부를 통과할때에, 다른쪽의 승강 가이드레일에 있어서는 승강체가 이음부 이외의 개소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문에 승강체는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승강 가이드레일에 의해서 확실히 안내된 상태가 되고, 흔들림의 발생이 억제되어 원활하게 승강동작이 안내된다.
또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상부레일요소와 하부레일요소가 모두 건물쪽에 부재에 지지되고 있으므로, 계절적인 온도변화 등에 의해서 건물과 바닥의 사이에 수평방향의 위치어긋남이 발생해도, 상부레일요소와 하부레일요소의 위치관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고, 원형유닛이 소정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레일요소의 하단부와 하부레일요소의 상단부가 빠르게 대향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에 대해서, 제1도 내지 제5도에 표시된 반송설비(10)에 사용되는 가이드장치(11)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시예의 반송설비(10)는, 자동차의 조립공장등과 같은 대형건물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자동차의 보디에 사용되는 패널등의 공작물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반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도등에 있어서 도시한 아래쪽에 건물내의 바닥(12)이 있고, 도시한 위쪽에 천정쪽 부재(건물쪽 부재)(13)가 구축되어 있다.
천정쪽부재(13)를 따라서, 좌우 1쌍의 횡행용 가이드레일(15)(16)이 설치되어 있다. 횡행용 가이드레일(15)(16)은 건물내를 수평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적당한 위치에서 지지구조물(17)에 의해서 천정쪽 부재(13)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횡행용 가이드레일(15)(16)에, 횡행유닛(20)이 주행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횡행유닛(20)의 상부에 설치된 주행용 롤러(21)(22)(일부만 도시함)은 횡행용 가이드레일(15)(16)에 접촉하여 구르게하고 있다. 이 횡행유닛(20)은, 도시하지 않은 횡행구동기구에 의해서 건물내의 공작물 반입스테이지로부터 공작물 수수스테이지에 걸친 범위를 수평방향(제3도중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횡행유닛(20)은 베이스프레임(25)과, 이 베이스프레임(25)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승강체(26)와, 좌우 1쌍의 상부레일요소(30)(31)등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체(26)는 와이어로프 혹은 체인등의 줄형상체 및 이 줄형상체를 감아올리는 윈치등으로 이루어진 승강구동기구(32)에 의해서, 상하방향(제1도중의 화살표 B방향)으로 구동된다.
승강체(26)는 공작물 W(제3도에 일부만 도시한다)를 소정의 자세에서 유지하는 공작물홀더(35)를 구비하고 있다. 공작물홀더(35)는 에어실린더등의 적당한 작동기를 사용한 홀더구동기구(36)에 의해서 개폐되어, 공작물 W의 유지 및 해방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공작물 W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도어패널이나 사이드패널등이다.
횡행유닛(20)의 베어스프레임(25)의 좌우양쪽에, 옆걸기재(40)(41)를 개재해서 상부레일요소(30)(41)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레일요소(30)(31)는 각각 건물의 바닥(12)를 향해서 수직으로 뻗어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한쪽의 상부레일요소(30)를 대표해서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레일요소(30)(31)는, 각 직사각형의 폐쇄단면을 가진 기둥부(45)와, 이 기둥부(45)를 고정된 레일본체(46)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레일본체(46)의 하단부에, 길이 L3에 걸쳐서 두께와 폭이 하단쪽을 향해서 점차 감소하는 테이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레일요소(30)(31)를 따라서 롤러유닛(50)(51)이 승강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롤러(50)(51)은, 제4도 및 제5도에 한쪽의 롤러유닛(50)을 대표해서 표시한 바와 같이, 레일본체(46)의 정면벽에 접촉하여 구르는 상하 1쌍의 가이드롤러(52)(53)와, 레일본체(46)의 좌우양쪽벽을 사이에 끼워넣도록 해서 접촉하여 구르는 상부 가이드롤러(54) 및 하부 가이드롤러(55)를 구비하고 있다. 각 롤러(52)∼(55)는, 각각 베어링을 개재해서 기체(基體)(60)에 장착되어 있다. 기체(60)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지지재(61)를 개재해서 승강체(26)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레일요소(30)(31)의 아래쪽에 하부레일요소(70)(71)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등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부레일요소(70)(71)는 지지암(74)(75)과 지지구조물(17)등을 개재해서 천정쪽부재(13)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레일요소(70)(71)는 바닥(12)을 향해서 수직으로 뻗어있으며, 횡행유닛(20)이 건물내의 소정의 공작물 수수스테이지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레일요소(30)(31)와 일직선으로 연결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레일요소(70)(71)의 하단부(76)(77)는 바닥(12)의 바로위에 달하고, 바닥(12)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되고 있다.
상기한 상부레일요소(30)(31)와 하부레일요소(70)(71)에 의해서 승강 가이드레일(80)(81)이 구성된다.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쌍을 이루는 승강 가이드레일(80)(81)은, 그이음부(82)(83)의 높이, 즉 상부레일요소(30)(31)와 하부레일요소(70)(71)의 접속부분의 바닥(12)으로부터의 높이를 좌우에서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부레일요소(70)(71)의 높이 H1,H2를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H1,H2의 차는, 상기 테이퍼부(47)의 길이 L3보다도 크게 하면 좋다.
하부레일요소(70)(71)는, 제4도 및 제5도에 한쪽의 하부레일요소(70)를 대표해서 표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폐쇄단면을 가진 기둥부(85)와 이 기둥부(85)를 따라서 고정된 레일본체(86)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레일본체(86)의 상단부에, 길이 L4에 걸쳐서, 두께와 폭이 상단쪽을 향해서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하부 레일요소(30)(70)의 끝부분에 테이퍼부(47)(87)를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롤러(52)∼(55)가 이음부(82)를 통과할때의 충격의 발생이 회피된다.
상기 구성의 가이드장치(11)를 구비한 반송설치(10)에 있어서, 공작물 W를 유지한 승강체(26)는 횡행용 가이드레일(15)(16)을 따라서, 예를 들면 소정의 공작물 반입스테이지로부터 공작물 수수테이지를 향해서 이동한다. 횡행중, 승강체(26)는 상승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횡행유닛(20)의 소정의 공작물 수수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횡행이 정지된다. 이때, 상부레일요소(30)(31)의 하단부(30a)(31a)와 하부레일요소(70)(71)의 상단부(70a)(71a)가 서로 연속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승강구동기구(32)에 의해서 승강체(26)가 강하된다. 이 경우 롤러유닛(50)(51)이 각각 상부레일요소(30)(31)로부터 하부레일요소(70)(71)에 걸쳐서 접촉하여 구르면서 똑바로 강하하기 때문에, 승강체(26)의 승강 동작이 원활하게 안내된다.
또한 좌우의 승강 가이드레일(80)(81)의 이음부(82)(83)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의 롤러유닛(50)이 한쪽의 이음부(82)를 통과할때에, 다른쪽의 롤러유닛(51)은 다른쪽의 이음부(83) 및 테이퍼부(47)이외의 개소에 있어서 승강 가이드레일(81)에 접초하여 구른다. 또 다른쪽의 롤로유닛(51)이 다른쪽의 롤러유닛(51)은 다른쪽의 이음부(83) 및 테이퍼부(47)이외의 개소에 있어서 승강 가이드레일(81)에 접촉하여 구른다. 또 다른쪽의 롤러유닛(51)이 다른쪽의 이음부(83)를 통과할때에는 한쪽의 롤러유닛(50)이 이음부(82) 및 테이퍼부(47)이외의 개소에 있어서 승강 가이드레일(80)에 접촉하여 구른다.
따라서, 승강체(26)는 그 상하방향의 이동스트로크 전역에 걸쳐서, 승강 가이드레일(80)(81)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된 상태가 되고, 승강체(26)가 이음부(82)(83)를 통과할때에 크게 흔들리거나 소음을 내는 불편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하부레일요소(70)(71)는 건물쪽부재(13)에 지지되고 있으며, 상부레일요소(30)(31)도 건물쪽에 지지되는 횡행유닛(20)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계절적인 온도변화등에 의해서 건물이 바닥(12)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위치어긋남을 발생해도, 상부레일요소(30)(31)와 하부레일요소(70)(71)와의 이음부(82)(83)가 수평방향으로 크게 어긋나는 불편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도 승강체(26)의 승강동작을 원활하게 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가이드레일(80)(81)이 이음부(82)(83)에 있어서 레일요소(30)(31)(70)(71)의 끝부분에 테이퍼부(47)(8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체(26)가 이음부(82)(83)를 통과할때의 충격이 없어지고, 승강동작을 더욱 원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부 가이드레일(54)와 하부 가이드레일(55)는 각각 승강가이드레일(80)(81)의 레일본체(46)(86)를 폭방향 양쪽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접촉하여 구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체(26)가 승강할때의 흔들림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공작물 W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횡행유닛에 설치된 승강체의 승강동작을 승강 가이드레일에 의해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고, 흔들림이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공작물 어긋남의 발생도 회피된다.

Claims (4)

  1. 건물쪽의 부재에 지지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은 횡행용 가이드레일(15)(16)과, 상기 횡행용 가이드레일(15,16)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 횡행용 가이드레일(15)(16)에 지지되는 동시에 반송하는 부재를 탑재가능한 승강체(26)를 가지는 횡행유닛(20)과, 상기 횡행유닛(20)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체(26)의 상하방향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레일(80,81)을 구비한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레일(80,81)은 상기 횡행유닛(20)에 설치되어서 횡행유닛(20)의 아래쪽으로 뻗는 적어도 1쌍의 상부레일요소(30,31)와, 상단부가 상기 상부레일요소(30,3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동시에 하단부가 상부 건물의 바닥면에 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횡행유닛(20)이 상기 건물내의 소정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요소(30,31)에 나란히 줄지어 있는 적어도 1쌍의 하부레일요소(70,71)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레일요소(70,71)를 상기 건물쪽의 부재에 지지암(74,75)을 개재해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1쌍의 승강 가이드레일(80,81)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레일요소(30,31)와 상기 하부레일요소(70,71)의 이음부(82,83)의 바닥으로 부터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요소의 하단부 및 상기 하부레일요소의 상단부에는, 양자의 이음부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건물쪽부재에 지지구조물를 개재해서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가 지지되고, 이 지지암의 상부에 상기 횡행용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암의 타단부에는 상기 하부레일요소가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에 의해 상기 하부레일요소의 상부가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
KR1019920018114A 1991-10-04 1992-10-02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 KR970005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80923U JP2535681Y2 (ja) 1991-10-04 1991-10-04 搬送設備用ガイド装置
JP91-80923 1991-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52A KR930007752A (ko) 1993-05-20
KR970005067B1 true KR970005067B1 (ko) 1997-04-12

Family

ID=1373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114A KR970005067B1 (ko) 1991-10-04 1992-10-02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99506A (ko)
JP (1) JP2535681Y2 (ko)
KR (1) KR970005067B1 (ko)
DE (1) DE4233055C2 (ko)
NL (1) NL19273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7905B2 (en) * 2009-09-30 2014-03-25 Ray Givens Single-bridge manipulator maneuvering system
KR102235517B1 (ko) * 2020-11-02 2021-04-01 시너스텍 주식회사 오버헤드 호이스트 방식의 스토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2168A (en) * 1951-03-01 1954-10-19 Gregory Jon Apparatus for movement of a television camera
DE1806681A1 (de) * 1968-11-02 1970-07-02 Demag Zug Gmbh Fahrwerk fuer Laufkrane und Katzen
US3783792A (en) * 1972-01-20 1974-01-08 J Cullom Repair facility for overhead crane
DE2911051A1 (de) * 1979-03-21 1980-09-25 Remmert Friedrich Gmbh Regallager, insbesondere fuer die lagerung von langgut
US4395180A (en) * 1980-09-15 1983-07-26 Westmont Industries Engine unit maintenance complex
DE3423916A1 (de) * 1984-06-26 1986-01-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oerderanlage mit einer horizontalen und einer vertikalen profilschienentrasse und einer einrichtung zur wahlweisen ueberfuehrung von fahrwerken von einer auf die andere profilschienentrasse
US4846073A (en) * 1988-03-21 1989-07-11 Roberts Corporation Selective delivery arrangement for self propelled pallet vehicles
DE3824505C2 (de) * 1988-07-20 1999-05-20 Becker Walter Gmbh Schienenfahrzeug, insbesondere für Grubenbahnen
US4991707A (en) * 1990-01-12 1991-02-12 Progressive Tool & Industries Co. Bodyside panel handling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35681Y2 (ja) 1997-05-14
KR930007752A (ko) 1993-05-20
DE4233055C2 (de) 1995-06-01
NL192731B (nl) 1997-09-01
US5299506A (en) 1994-04-05
DE4233055A1 (de) 1993-04-22
NL192731C (nl) 1998-01-06
JPH0531835U (ja) 1993-04-27
NL9201706A (nl) 199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6840A (ko) 화물이송장치용 컨베이어
KR970005067B1 (ko) 반송설비용 가이드장치
KR930002224A (ko) 승객용 콘베이어의 가이드기구
CA2092024C (en) Guide structure for lift and carry conveyor
KR20050054430A (ko) 무단형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물품이송시스템
JPH01162692A (ja) エヤベアリング式クリーンリフト
US5117966A (en) Conveyor system
JP2585575B2 (ja) クレ−ンの組み立て方法
JP2008222137A (ja) 吊下げ搬送設備
JP2571013B2 (ja) クレーンの昇降キャレッジ案内装置
US4938150A (en) Guide and support track system
KR200156967Y1 (ko) 보조 트래버서를 가진 용접 건 지지용 트래버서
KR0117556Y1 (ko) 드롭리프터
JPS63218407A (ja) クレ−ンの昇降キヤレツジ案内装置
JPS642552B2 (ko)
SU1207916A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четырехцепной конвейер дл штучных грузов
JP2830589B2 (ja) 搬送装置の昇降荷支持手段位置決め装置
JPH071337Y2 (ja) 固定レールと昇降レール間のずれ防止装置
JPH0518383Y2 (ko)
JPH07179201A (ja) 走行クレーン用支柱
JP2002255341A (ja) 外壁パネル仕上げ用搬送装置
JP2884276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19990038666A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안내장치
JPH0589144U (ja) 固定レールと昇降レール間の位置ずれ解消接続装置
JPH03143892A (ja) 斜行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