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797Y1 -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797Y1
KR970004797Y1 KR2019950026333U KR19950026333U KR970004797Y1 KR 970004797 Y1 KR970004797 Y1 KR 970004797Y1 KR 2019950026333 U KR2019950026333 U KR 2019950026333U KR 19950026333 U KR19950026333 U KR 19950026333U KR 970004797 Y1 KR970004797 Y1 KR 970004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ift lever
shift
selec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758U (ko
Inventor
정준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26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797Y1/ko
Publication of KR970012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7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변속레버장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 상태도
제 4 도는 종래 변속레버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변속레버 6 : 지지대
8 : 셀렉트 래버 10 : 시프트 레버
14,16 : 고정돌기 18 : 탄성부재
20.22 : 탄성핀 24 : 돌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수동변속기에 작용되어 이를 작동시킴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변속레버장치에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레버가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중립상태로 복원되도록 하고, 그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 변속레버는 운전석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그 하단부가 셀렉트 및 시프트 케이블 또는 로드로서,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샤프트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변속을 위하여 변속레버를 조작하면 그의 하단부가 X축 및 Y축으로 동작되면서 이에 연결되어 있는 셀렉트 및 시프트 케이블 또는 로드를 연동시킴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는 1, 2속 중립, 3, 4속 중립, 5속 후진 중립의 위치를 직선방향(X축)으로 동작하는 셀렉팅 동작과, 상기의 중립에서 각각의 변속단으로 직선운동(Y)하는 시프팅 동작되면서 변속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변속레버는 중립의 상태에서 운전자가 임의의 셀렉팅 동작을 실시하지 않는 한, 중앙부분인 3, 4속중립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변속레버가 중립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는 레버장치에 적용되는 리턴 스프링에의하여 이루어지는데, 변속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 4 도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되는 지지대(100)에 셀렉트레버(102)가 힌지 고정되고, 이의 설렉트 레버(102)에는 상기 힌지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프트 레버(104)가 힌지 고정되며, 상기 시프트 레버(104)의 상측에는 변속레버(106)가 세워진다.
이에 따라 변속레버(106)를 셀렉팅하면, 셀렉트 레버(102)이 회동하면서 변속기 내부의 셀렉팅이 이루어지고, 변속레버(106)를 시프팅하면 상기의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104)가 회동하면서 시프팅되어 변속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변속레버장치에 있어서, 리턴스프링을 적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상기 셀렉트 례버(102)의 중앙부 상단에 돌기(108)를 형성하고, 상기 셀렉트 레버(104)의 힌지부에 탄성부(110)가 고정되는 리턴스프링(112)의 양단부를 상기 돌기(108)에 탄지시키는 형태로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리턴 스프링(112)의 양단부가 돌기(108)를 탄지함으로써, 항시 중립의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리턴스프링(1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리턴스프링(112)의 구조적인 특성상 그 탄성력이 미약하여 변속레버의 중립 복원이 빠르고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은물론 그구조가 복작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강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변속레버가 빠르고 확실하게 중립상태로 복원되도록 하고, 그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대에 셀렉트 레버가 힌지 고정되고, 이의 셀렉트 레버에는 상기 힌지부에 직교하는 하는 방향으로 시프트 레버가 힌지고정되며, 상기 시프트 레버의 상측에는 변속레버가 세워지는 변속레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레버 중립 유지수단이, 띠상의 부재를 절곡시켜 그 양단이 탄성편이 되도록 형성하여 셀랙트 레버로부터 돌출되는 돌기가 상기 탄성편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대의 상측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변속레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호 2는 변속레버를 지칭한다.
상기 변속레버(2)는 상단으로 노브(4)를 보유하며, 하측부분이 지지대(6)에 X축 (셀렉트) 및 Y축(시프트)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2)를 셀렉팅 및 시프팅이 가능하도록 힌지 고정함에 있어서는 셀렉트 레버(8)와 시프트 레버(10)가 사용된다.
상기에서 지지대(6)는 평판 플레이트를 "ㄷ" 자형으로 절곡시켜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하였으며, 이의 개구부측으로부터 셀렉트 레버(8)를 삽입시켜 이의 중간부를 힌지 고정하였다.
상기 셀렉트 레버(8)를 힌지 고정함에 있어서는 볼트(12)가 사용되며, 이의 볼트(12)는 차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셀렉트 레버(8)의 일측 상단에는 차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힌지부에 의하여 시프트 레버(10)가힌지 고정되며, 이의 시프트 레버(10)의 상측으로는 변속레버(2)가 세워진다.
이에 따라 변속레버(2)를 셀렉팅하면, 셀렉트 레버(8)이 회동하면서 변속기 내부의 셀렉팅이 이루어지고, 변속레버(2)를 시프팅하면 상기의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10)가 회동하면서 시프팅되어 변속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속레버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셀렉트 레버(8)의 힌지부 상측 지지대(6)에 중간으로 요입홈이 형성되도록 좌우측에 고정돌기(14)(16)를 각각 세우고, 이에 띠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18)를 삽입 고정하였다.
상기에서 탄성부재(18)는 띠상의 부재를 "U"자형으로 절곡시켜 그 양측 자유단이 탄성편(20)(22)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의 탄성편(20)(22) 사이에 셀렉트 레버(8)로부터 돌출되는 돌기(24)가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셀렉팅 조작에 의하여 셀렉트 레버(8)가 회동되면 제 3 도에서와 같이 이의 돌기(24)가 함께 회동하면서 셀렉트 레버(8)의 회전방향측으로 위치한 탄성부재(18)의 탄성편(20)(22)을 외측으로 밀면서 셀렉팅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도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I 방향으로 셀렉팅 되면 셀렉트 레버(8)의 돌기(24)가 제 3 도의 I방향으로회동되면서 탄성부재(18)의 좌측 탄성편(20)의 탄성력을 받게 되는 것이며, 그 반대로 제 2 도의 Ⅱ방향으로 셀렉팅 되면 셀렉트 레버(8)의 돌기(24)가 제 3 도의 Ⅱ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탄성부재(18)의 좌측 탄성편(22)의탄성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변속레버(2)의 복원시켜 주는 탄성부재(18)에 있어서는 가능한 큰반발력을 갖는 것이 요구되므로, 이를 위하여는 양 탄성편(20)(22)의 간격이 좁을수록 유리한 바, 돌기(24)가위치하는 부분을 외측으로 약간 요입시켜 그 사이로 돌기(24)가 밀착되게 함으로써, 양 탄성편(20)(22)의 간격을 최소화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변속레버장치에 있어서, 종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던 리턴스프링 대신에 탄성 복원력을 크개 갖는 띠상의 부재를 절곡시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변속레버가 빠르고 확실하게 중립상태를 복원되도록 하고, 그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지지대(6)에 셀렉트 레버(8)가 힌지 고정되고, 이의 셀렉트 레버(8)에는 상기 힌지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프트 레버(10)가 힌지 고정되며, 상기 시프트 레버(10)의 상측에는 변속레버(2)가 세워지는 변속레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레버(8)의 중립 유지수단이, 떠상의 부재를 절곡시켜 그 양단이 탄성편(20)(22)이 되도록 형성하여 셀렉트 레버(8)로부터 돌출되는 돌기(24)가 상기 탄성편(20)(22)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대(6)의 상측에 고정되는 탄성부재(18)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부재(18)는 지지대(6)의 상측에 중앙부로 요입홈이 형성되도록 양측으로 돌설되는전후 고정돌기(14))(16)에 의하여 고정됨을 특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탄성부재(18)의 탄성편(20)(22)는 그 중앙부를 외측으로 요입시켜 이에 셀렉트 레버(8)의 돌기(24)가 삽입될 수 있도륵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KR2019950026333U 1995-09-27 1995-09-27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KR970004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333U KR970004797Y1 (ko) 1995-09-27 1995-09-27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333U KR970004797Y1 (ko) 1995-09-27 1995-09-27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758U KR970012758U (ko) 1997-04-25
KR970004797Y1 true KR970004797Y1 (ko) 1997-05-19

Family

ID=1942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333U KR970004797Y1 (ko) 1995-09-27 1995-09-27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7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588A (ko) * 2000-11-02 2002-05-09 이계안 자동차의 변속조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758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0114A (en) Gear shifting apparatus for use in a pneumatic transmission
KR20010061163A (ko)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 쉬프트 록 장치
US5878623A (en) Control mechanism for a gearbox
KR100462114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970004797Y1 (ko)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US6272944B1 (en) Shift lever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EP0865966B1 (en) Turn signal switch
US6443026B1 (en) Shift lever operating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PL183297B1 (pl) Urządzenie zabezpieczające przed przypadkowym włączeniem biegu wstecznego w pojeździe
JP4229503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3890697B2 (ja) 模型用操縦装置のレバー自動復帰機構
KR960003196Y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포지셔너
KR100192277B1 (ko) 클러치 조작장치
KR0157406B1 (ko) 스위치장치
JP4467993B2 (ja)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シフ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70003216Y1 (ko) 변속레버의 작동구조
KR100236541B1 (ko) 차량의 2축 독립 수동기어 변속장치
JP4284121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H10166881A (ja) 変速操作装置のインジケータ案内孔ブラインド装置
KR200220601Y1 (ko) 수동변속기용 체인지 레버 어셈블리
KR100490344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KR100273576B1 (ko) 자동차의 후진 변속 레버 어셈블리
KR100288275B1 (ko) 수동변속차량용 변속레버와 시프트로드간 결합구조물
KR0114620Y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
KR930000069Y1 (ko) 차량용 셀렉터 레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