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406B1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7406B1 KR0157406B1 KR1019900006186A KR900006186A KR0157406B1 KR 0157406 B1 KR0157406 B1 KR 0157406B1 KR 1019900006186 A KR1019900006186 A KR 1019900006186A KR 900006186 A KR900006186 A KR 900006186A KR 0157406 B1 KR0157406 B1 KR 01574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uator
- translator
- support
- bearing portion
- rever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스위치 장치의 종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라인 IV-IV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우측면도.
제6도는 제1도의 라인 IV-IV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상부부재를 제거한 하우징의 내부를 예시하기위한 제1도의 평면도.
제8도는 역전 인터록킹 기구의 작동 설명도.
제9도는 다른 역전 인터록킹 기구의 작동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스위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주요부분의 종 단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상부부재 2, 11 : 액츄에이터
3, 38 : 트랜스레이터 7 : 하우징
8 : 스위치기구 16, 17 : 연결단자
21 : 고정접점 31 : 가동접점 엘레멘트
37 : 가동접점 40 : 트랜스레이터 지지부
41 : 베어링부 49 : 장식 작동 플레이트
53 : 액츄에이터 지지부 54 : 프레싱부
61 : 액츄에이터 베어링부 62 :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
A, B, C, D : 회전중심 C, G : 힘의 작용점
F : 접점 O : 아아치 표면의 중심
U : D을 통과하는 수직축 V : E를 통과하는 수직축
본 발명은 스위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의 역전각을 확대하는 역전 인터록킹 기구를 갖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스위치의 종류는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특허 공개번호 제296,312/1987호에 공개되어 있다. 여기에 공개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의 역전 인터록킹 기구는 제11, 12도를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제11도는 스위치 장치의 주요부분의 종 단면도이고,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되어있는 스위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이 스위치 장치는 상부부재(1)와 하부부재를 갖는 하우징 내의 액츄에이터(2)의 역전 작용에 의해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간의 연결을 개폐하는데 이용되는 스위치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기구는 외부도선의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잇는 도전성 지지체에 역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접점 엘레멘트와 이 가동접점 엘레멘트를 직접 역전시키는 트랜스레이터(3)를 갖는다. 액츄에이터(2)의 역전작용에 의해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간의 연결이 트랜스레이터(3)와 가동접점 엘레멘트의 역전작용을 통해 개폐된다.
트랜스레이터(3)는 3개의 톱니를 갖는 기어로 구성되고 상부부재(1)에 역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톱니의 상부는 위쪽으로 향해 있다. 트랜스레이터(3)는 구동부(4)와 맞물리고, 이 구동부(4)는 상부부재(1)에 역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츄에이터(2)로 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해있다. 구동부재(4)는 2개의 톱니를 갖능 기어로 구성되어 있고, 이 기어는 트랜스레이터(3)와 서로 맞물려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스위치 장치에서, 액츄에이터(2)와 트랜스레이터(3)는 제12도에 도시되어있는 바와같이 마치 외접기어가 맞물려 있는 것처럼 서로 마주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액츄에이터(2)의 회전중심 A와 트랜스레이터(3)의 회전중심 B는 각각 힘의 작용점 C로 부터 떨어져 위치된다. 그러므로, 회전중심 A와 B간의 거리가 더 길게 된다. 결과적으로, 트랜스레이터(3)의 가동접점 엘레멘트의 지지점으로부터 액츄에이터(2)의 상부 표면까지의 거리가 더 길게된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의 전체 높이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종류의 스위치 장치에서, 액츄에이터의 온-오프 작용이 확실히 이루어지고 그리고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간의 개폐작용이 확실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기때문에, 액츄에이터의 역전각은 약 4 내지 5도가 되도록 설정되는 한편 가동접점 엘레멘트의 역전각은 약 9 내지 10도가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스위치 장치의 높이가 더 커지게 되고 액츄에이터의 표면이 벽으로 부터 눈에 뜨이게 드러나지 않도록 스위치 장치가 빌딩의 벽에 배치될 경우, 스위치 장치의 하우징은 벽내로 크게 돌출해야만 하고 벽의 두께에 대한 장치의 위치에 대한 유연성은 감소하게 될 것이다.
또한, 액츄에이터(2)가 스위치 장치의 전체 상부표면을 커버할 경우에, 만일 액츄에이터(2)와 가동접점 엘레멘트의 역전각이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설정된다면, 액츄에이터의 양단부에서의 스트로크는 요구되는 것보다 훨씬 더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츄에이터가 트랜스레이터와 내치기어들의 맞물림으로 상호간에 힘을 전달하도록 접속되고, 액츄에이터와 트랜스레이터의 회전 중심들이 힘의 작용점에 관련해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중심들간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위치 장치가 제공되는 바, 이 스위치 장치는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상부부재의 액츄에이터 지지부에 역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액츄에이터,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스위치수단, 트랜스레이터의 역전 작용으로 상기 스위치수단을 온.오프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부재의 트랜스레이터 지지부에 역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아래에 배치되는 트랜스레이터,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역전작용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레이터를 역전시키기 위한 인터록킹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킹 기구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공되는 프레싱부와 상기 트랜스레이터에 제공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부의 표면은 일정한 곡선진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싱부는 상기 곡선진 표면과 접촉하는 V형 홈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곡선진 표면은 인벌류트 곡선으로 될 수 있거나, 상기 액츄에이터 지지부의 회전중심을 통한 수직축과 상기 트랜스레이터 지지부의 회전중심을 통한 수직축 사이의 교차점인 중심에 대해 아치표면을 형성한다.
또한, 스위치 장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역전작용의 스타트시 상기 트랜스레이터의 역전작용의 스타트를 증진시키기위한 수단을 포함 할 수 있다.
상부 부재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역전방향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어깨를 구비하고있는 대향하는 벽에 액츄에이터 베어링부와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가 제공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베어링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횡방향으로 반대로 연장하는 상기 액츄에이터 지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는 상기 트랜스레이터의 횡방향으로 반대로 연장하는 상기 트랜스레이터 지지부를 지지한다.
역전 인터록킹 기구의 작용에 의해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간의 연결을 개폐하는데 이용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케이블용 연결단자는 상기 상부 및 하부부재를 갖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수단은 지지체에 역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접점을 제공하는 가동접점 엘레멘트를 갖고 상기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수단은 액츄에이터의 역전작용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트랜스레이터를 역전시킴으로 개폐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사실상 상기 상부부재의 전체 상부표면을 덮는 분리가능한 장식의 작동플레이트를 포함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의 일단이 눌려졌을 때 액츄에이터 지지부 둘레에서 역전 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의 프레싱부 상의 V형 홈은 트랜스레이터의 베어링부 상의 굴곡진 표면과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하여 베어링부가 트랜스레이터 지지부의 축 둘레에서 회전되게 한다. 액츄에이터의 역전각은 프레싱 및 베어링부로 구성되는 역전 인터록킹 기구의 작용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트랜스레이터를 크게 역전시키도록 확대된다.
아울러, 역전 증진기구가 제공되는 경우에, 입력부는 역전 작용의 시작시 트랜스레이터의 작용부를 아래로 누름으로 트랜스레이터의 역전작용의 스타트를 증진한다. 비록 액츄에이터의 스타트 토오크가 작을지라도, 트랜스레이터의 역전작용이 쉽게 실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동접점 엘레멘트의 가동접점은 연결단자에 제공되는 고정접점에 연결되고 거기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한 쌍의 연결단자간의 전기회로는 스위치 기구의 작용에 의해 개폐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10도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우징(7)은 스위치기구(8)와 기타의 부품을 수용하기위한 공동을 갖는 하부부재(9)와 상기 하부부재(9)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공동의 개구부를 폐쇄하기위한 상부부재(10)를 포함한다. 상부부재(10)에는 작동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12)로부터 윗쪽으로 액츄에이터(11)가 연장한다. 하부부재(9)는 바닥에 각각의 권선을 유입시키기위한 권선 삽입 구멍(13)과 릴리즈 버튼(14)을 작동시키기위한 공구를 수용하기위한 공구 삽입 구멍(15)을 갖는다. 패스너(19)는 상부부재(10)를 하부부재(9)에 고정한다.
연결단자 엘레멘트(16,17), 엘레멘트(16,17)에 대응하는 홀딩스프링(18), 그리고 릴리스 버튼(14)과 같은 부품은 하우징(7)에 배치된다. 각각의 연결단자 엘레멘트(16,17)는 동합금 플레이트를 U자 보디로 구부려 형성된다. 연결단자 엘레멘트(16)는 엘레멘트(16)을 종방향의 중간지점에서 바깥쪽으로 구부림으로서 상단부에 고정접점(21)을 갖능 접점편(20)으로 형성된다.
다른 연결단자 엘레멘트(17)는 엘레멘트(17)를 종방향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구부림으로서 접속편(2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속편(22)은 지지체(23)의 연결편(24)에 장착되고 리벳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편(24)에 고정되어 연결단자 엘레멘트(17)을 지지체(23)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부 엘레멘트(9)의 바닥쪽을 향한 U자형 개구부를 갖는 한 쌍의 연결단자 엘레멘트(16,17)는 엘레멘트(9)의 공동에 제공되는 한 쌍의 측면돌출부(25)와 한 쌍의 수직돌출부(26)(제7도) 사이에 배치된다. 양 돌출부(25,26)는 엘레멘트(16,17)가 외부로 쏠리는 것으로 방지한다.
제6 및 7도에 도시되어있는 바와같이, 도전성 플레이트(27)의 일단은 코킹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단자 엘레멘트(16,17)의 각각의 상부측에 연결된다. 이 도전성 플레이트(27)능 중간부에서 종방향으로 구부러지고, 플레이트(27)의 타단은 하부부재(9)의 마주보는 양쪽 벽에 면한다.
이제, 제1도로 돌아가서, 홀딩스프링(18)은 스프링의 양단부에 앵커단부(18a)를 가지며, 이단부(18a)는 권선과 맞물려 권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치한다. 양 앵커단부(18a)는 홀딩스프링(18)의 단부중 하나를 U자 형태로 구부히고 그것의 다른 단부를 S자 형태로 구부려 형성된다. 공구 삽입구멍(15)에 배치되는 릴리스 버튼(14)의 내부 단부면은 앵커단부(18a)의 말단 단부에 맞대어진다.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앵커단부(18a)를 탄력있게 휘게하기 위해 릴리스 버튼(14)을 변위시킴으로서, 권선이 맞물림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지지체(23)는 연결편(24), 연결편(24)의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레그(28), 레그(28)의 상부에 연결되는 V자형편(29)으로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을 포함한다. 레그(28)는 V자형편(29)에 탄성을 제공한다. V자형편(29)의 계곡의 양쪽에는 노취가 형성된다. 이 노취들 사이에 한정되는 좁은 부분은 가동접점 엘레멘트(31)의 안쪽 및 하단부에 형성된 노취(32)(제6도)와 맞물린다.
코일스프링(33)은 아래로부터 V자형편(29)을 탄력있게 지지한다. 가동접점 엘레멘트(31)는 코일스프링의 탄성 및 지지체(23)에 의해 아래로부터 탄력있게 지지된다.
가동접점 엘레멘트(31)는 중심에 위치되는 접점편(34)과 접점편(34)의 양쪽에 접촉하는 측편(35)을 한정하기위해 노취(32)의 양쪽에 형성된 2슬릿을 갖는다. 측방향에서 단자편(34)의 하부를 통해 상부로 연장하는 양측면 상의 측편(35)에 형성되는 U자형 돌기부(36)는 측편(35)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측편(35)에 제공되는 외부힘에 의한 단자편(34)의 역전작용을 확실하게 한다. 접점편(34)은 가동접점(37)을 갖고 단자편(34)의 고정접점(21)에 기대도록 배치된다. 가동접점 엘레멘트(31)가 지지체(23)를 둘레에서 요동할 때, 가동접점(37)은 전기회로를 개폐하기위해 고정접점(21)에 접촉하고 고정접점(21)으로부터 분리된다.
지지체(23)와 가동접점 엘레멘트(31)는 상기 연결단자 엘레멘트(16,17)와 마찬가지로 동함금과 같은 높은 도전성 플레이트로 만들어진다.
트랜스레이터(38)는 가동접점 엘레멘트(31)의 단편(35)의 상단부를 역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가동접점 엘레멘트(31)는 트랜스레이터(38)의 요동으로 역전된다. 트랜스레이터(38)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에 직사각형 개구부(39)를 갖는 프레임 보디로 형성된다. 개구부(39)의 양측면에 그리고 중간에 그리고 종방향으로 한쌍의 트랜스레이터 지지부(40)와 옆으로 돌출한 한쌍의 베어링(41)과 아래로 돌출한 한쌍의 작용아암(42)이 배치된다.
트랜스레이터 지지부(40)와 베어링(41)는 프레임 보디의 일부를 V자형 홈으로 잘라서 형성된다. 트랜스레이터 지지부(40)는 점점 가늘어지는 삼각형 기둥으로 형성된다. 베어링부(41)는 트랜스레이터 지지부(40)의 양 측면에 장착된다. 베어링부(41)는 종방향으로 인벌튜트-곡선표면 또는 아치표면을 갖는다. 이 표면은 베어링부와 후술되는 프레싱부(54)간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연속적인 접점이 확실히 이루어지게 한다. 각각의 작용아암(42)은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아암의 중심에서 연장하는 V자형 슬릿(43)을 갖는다. 측편(35)의 상단부들이 상기 슬릿(43)과 맞물린다.
제9도를 참조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베어링부(41)는 후술될 액츄에이터(11)의 프레싱부(54)와 관련해 한정되는 반경의 원 S에 의해 한정되는 아치표면을 가질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램프롸 같은 발광지시기(44)는 호울더(45)를 통해 트랜스레이터(38)에 지지된다. 호울더(45)는 발광지시기(44)의 대향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맞물림 구멍을 갖는다. 발광지시기(44)는 제1,4 및 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작용아암(42)을 호울더(45)의 맞물림 구멍으로 삽입함으로서 트랜스레이터(38)에 부착된다. 제4 및 6도에 도시된 접점(46)은 호울더(45)의 대향측면에 배치됨으로, 이 접점(46)은 전력이 공급되도록 도전성 플레이트(27)의 다른 단부와 미끄러질 수 있게 맞물린다.
지지체(23), 가동접점 엘레멘트(31) 그리고 트랜스레이터(38)로 구성되는 스위치기구(8)는 고정접점(21)과 가동접점(37)간의 연결을 개폐하는데 이용된다.
액츄에이터(11)는 상부부재(10)의 작동개구부(12)로부터 돌출한 상부부를 갖는 작동블록(47)과 마운팅 스프링(48)을 통해 작동블록(47)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장식의 작동플레이트(49)를 포함한다. 작동블록(47)은 주변에 직사각형 가장자리부(50)와 바닥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51)를 갖는다. 어깨는 발광지시기(44)로 부터 광을 산란시켜 광이 균일하게 통과되게 하고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 플레이트(52)를 제공하는 개구부(51)의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다.
또한, 가장자리부(50)의 양 측면에, 중간에, 그리고 종방향으로 측면으로 돌출한 한쌍의 액츄에이터 지지부(53)와 아래로 돌출한 한쌍의 프레싱부(54)가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지지부(53)는 점점 가능러지는 삼각형 기둥으로 형성된다. 프레싱부(54)는 포크형 모양을 형성하기위해 일정한 거리에서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한쌍의 돌출부를 갖는다. 이 돌출부들 사이에 한정되는 V자형 홈은 트랜스레이터(38)의 베어링부(41)를 수용한다. 베어링부(41)를 갖는 트랜스레이터(38)와 프레싱부(54)를 갖는 액츄에이터(11)로 구성되는 역전 인터록킹 기구는 액츄에이터(11)의 작용과 협력하여 동일 방향으로 트랜스레이터(38)를 역전시키는데 이용된다.
이제, 제9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베어링부(41)의 아치표면의 중심 O은 액츄에이터 지지부(53)의 회전중심 D를 통과하는 수직축 U와 트랜스레이터 지지부(40)의 회전중심 E를 통과하는 수직축 V의 교차점에 위치된다. 수직축 U는 액츄에이터(11)의 평면의 대칭축에 관련한다. 액츄에이터 지지부(53)와 프레싱부(54)는 수직축 U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유사하게, 수직축 V는 트랜스레이터(38)의 평면의 대칭축이다. 트랜스레이터 지지부(40), 베어링부(41), 그리고 작용아암(42)은 수직축 V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베어링부(41)와 프레싱부(54)로 구성되는 역전 인터록킹 기구는 액츄에이터(11)의 작동과 관련해 동일방향으로 트랜스레이터(38)의 확대된 역전을 실행하는데 이용된다. 작동블록(47)의 가장자리부(50)의 하부 외단부는 트랜스레이터(38)의 상부 외단부와 맞물린다. 작동블록(47)의 하부외단부는 입력부(47a)를 한정하는 한편 트랜스레이터(38)의 상부 외단부는 작용부(38a)를 한정한다. 입력부(47a)와 작용부(38a)로 구성되는 역전 증진기구는 액츄에이터(11)가 역전하기 시작할 때 트랜스레이터(38)의 역전작용의 스타트를 증진시키는데 이용된다.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구멍(55)들이 작동블록(47)의 가장자리부(50)의 내부주변에 제공되어 장착스프링(48)의 측면에 형성된 맞물림편(56)을 수용한다. 마운팅 스프링(48)의 종방향 대향 단부들은 맞물림편(56)과 가장자리부(48)의 맞물림력에 의해 작동블록(47)에 유지되도록 가장자리부(48)의 내부에 눌려진다. 동시에, 마운팅 스프링(48)은 반사 플레이트(5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장식의 작동플레이트(49)는 마운팅 스프링(48)과 맞물리고 바닥의 중심에 직사각형 프레임부(57)을 갖는다. 플레이트(49)는 마운팅 스프링(48)의 대향단부의 수직편(58)에 형성된 오목부에 프레임부(57)를 맞물림으로서 작동블록(47)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트명 플레이트(60)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창(59)에 고정되며, 이창(59)은 발광 지시기(44)로 부터의 광을 통과시키기 위해 프레임부(57)의 중심에 제공된다.
액츄에이터(11)와 트랜스레이터(38)를 역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부재(10)는 역 V자형 액츄에이터 베어링부(61)와 역 V자형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62)를 포함한다. 베어링부(61,62)는 제6 및 1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액츄에이터(11)의 역전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된 대향벽에 형성되고, 액츄에이터 베어링부(61)는 어깨를 통해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62)에 연결된다. 상부위치에 제공되는 액츄에이터 베어링부(61)의 중심과 하부위치에 제공되는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62)의 중심은 동일한 수직선에 있도록 설정된다. 디텐트(63)는 트랜스레이터(38)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62) 아래에 형성된다.
이제, 상기 언급된 실시예의 작용이 설명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10도는 스위치기구(8)의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자(11)의 장식작동 플레이트(49)의 상승된 쪽(제1 및 4도에서 좌측)이 눌려진 때, 장착스프링(48)을 통해 플레이트(49)와 일체로 형성된 작동블록(47)은 상부부재(10)의 액츄에이터 베어링부(61)에 요동적으로 유지된 액츄에이터 지지부(53) 둘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작동블록(47)의 요동력은 한편으로는 프레싱부(54)로부터 베어링부(41)로 이동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블록(47)의 좌단부로 부터 트랜스레이터(38)의 좌 단부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트랜스레이터(38)는 액츄에이터(11)와 상부 부재의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62)에 요동적으로 유지된 트랜스레이터 지지부(40) 둘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적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에, 처음에 작동블록(14)으로부터 트랜스레이터(38)로 공급되는 압력의 대부분은 작동블록(47)의 좌단부로 부터의 압력이다. 작동블록(47)의 좌단부는 블록(47)이 움직이기 시작한 직후 트랜스레이터(38)로부터 떨어져 이동되고, 그 후에는 프레싱부(54)의 압력만이 트랜스레이터(38)를 역전시키기위해 트랜스레이터(38)에 작용한다. 트랜스레이터(38)의 그러한 작용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힘의 작용점 F에 대해 동일방향으로 트랜스레이터(38)의 역전중심 E과 액츄에이터(11)의 역전중심 D을 설정하고 내치기어와 피니언의 맞물림의 관계에서와 같이 액츄에이터(11)로부터 트랜스레이터(38)로 힘을 전달함으로서 발생된다. 이러한 구조는 트랜스레이터(38)가 액츄에이터(11)의 역전각을 증가시킴으로서 크게 요동하게 하는 한편, 트랜스레이터(38)는 액츄에이터(11)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베어링부(41)의 표면이 인벌류트 곡선과 같은 적당한 곡선의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리고 곡선진 표면이 프레싱부(54)의 내부와 연속적으로 맞물리기 때문에 프레싱부(54)와 베어링부(41) 사이의 접촉위치는 액츄에이터(11)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레이터(38)의 자세는 액츄에이터(11)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역전된다.
트랜스레이터(38)에 통합된 작용아암(42)은 트랜스레이터가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요동될 때 요동되기 때문에 가동접점편(31)의 측편(35)은 지지체(23)의 V자형편(29)의 오목부 둘레에서 우측으로 역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측편(35)의 상단 가장자리는 작용아암(42)의 하단에 제공되는 슬릿(43)에 맞물린다. 따라서, 가동접점(37)을 갖는 접점편(34)은 측편(35)의 이동에 후속하여 적은 시간지연을 갖고 역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동접점(37)은 스위치기구(8)를 개방하고 회로의 도전을 차단하기위해 고정접점으로 부터 떨어져 역전한다. 그 때, 액츄에이터(11)의 장식 작옹 플레이트(49)의 우측 단부가 상승된다.
그다음, 장식 작동 플레이트(49)의 우측 상승단부가 눌려질 때, 액츄에이터(11)는 동일방향으로 트랜스레이터(38)을 회전시키기위해 시계방향으로 요동적으로 회전되고, 그리고 접점편(34)은 좌측으로 역전한다. 왜냐하면 트랜스레이터(38)에 통합된 작용아암(42)은 가동접점 엘레멘트(31)의 측편(35)이 좌측으로 역전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제9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1)의 장식 작옹 플레이트(49)의 상승된 쪽이 눌려졌을 때, 마운팅 스프링(48)을 통해 플레이트(49)와 일체로 형성된 작동블록(47)이 상부부재(10)의 액츄에이터 베어링 부(61)에 요동적으로 유지되는 액츄에이터 지지부(53)의 회전중심 둘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작동블록(47)의 요동력은 한편으로는 역전 인터록킹 기구를 이루는 프레싱부(54)로부터 베어링부(41)로, 다른 한편으로는 역전 증진기구를 한정하는 작동블록(47)의 좌단부에 있는 입력부(47a)로부터 트랜스레이터(38)의 좌단부에 있는 작용부(38a)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트랜스레이터(38)는 상부부재(10)의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62)에 요동적으로 유지되는 트랜스레이터 지지부(40)의 회전중심 E 둘레에서 액츄에이터(11)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경우에는, 처음에 작동블록(47)으로부터 트랜스레이터(38)에 공급되는 압력의 대부분이 역전증진 기구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이고 그리고 작용점 G에 제공된다. 트랜스레이터(38)의 작용부(38a)는 트랜스레이터(38)가 액츄에이터(11)의 움직임과 혐력하여 역전하기 시작한 직후 작동블록(47)의 입력부(47a)로 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그 후, 역전 인터록킹 기구로부터의 압력은 트랜스레이터(38)에 작용한다. 역전 인터록킹 기구에서, 프레싱부(54)의 압력은 접점 F로부터 베어링부(41)로 작용하여 트랜스레이터(38)가 회전중심 E 둘레에서 역으로 작동하게 한다.
트랜스레이터(38)의 그러한 작용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F의 상부 위치에 액츄에이터(11)의 회전중심 D과 트랜스레이터(38)의 회전중심 E을 설정하고 액츄에이터(11)와 트랜스레이터(38)간에 내치기어와 피니언의 맞물림 관계로 액츄에이터(11)로부터 트랜스레이터(38)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것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맞물림은 액츄에이터(11)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트랜스레이터(38)를 역전시키고 액츄에이터(11)의 역전각을 확대함으로서 트랜스레이터(38)가 크게 역전되게 한다.
역전증진기구로 부터의 압력이 액츄에이터(11)의 회전중심에 작용하는 작용점 G로 부터의 거리에 L, 역전 인터록킹 기구로 부터의 압력이 회전중심 D에 작용하는 접점으로부터의 거리에 ℓ, 접점 F으로부터 트랜스레이터(38)의 회전중심 E까지의 거리에 S, 회전중심 D에 접점 F을 연결하는 라인과 회전중심 E에 접점 F를 연결하는 라인간의 각으로서 θ그리고 작용점 G에 제공되는 힘으로 TG가 주어지면, 그때 접점 F에 제공될 힘 TF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TG× L = TF× ℓ
그러므로,
TF= TG× L / ℓ
여기서,
L / ℓ 1,
따라서,
TFTG
작용력 TF에 따라 트랜스레이터(38)에 제공되는 압력으로 TE가 주어지면, 작용력 TF과 압력 TE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TF× ℓ = TE× S
TE= TF× ℓ / S
여기서,
ℓ S,
따라서,
TETF
따라서, 작은 작동력을 액츄에이터(11)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큰 압력을 트랜스레이터(38)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고 작은 스타트 토오크로 트랜스레이터(38)의 역전작용를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베어링부(41)의 표면은 원 S의 일부인 아치표면에 형성되고 프레싱부(54)의 V자형 홈은 2점에서 항시 서로 접촉하도록 아치표면에 맞물리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1)와 트랜스레이터(38)간에 빈틈이 발생되지 않고 액츄에이터(11)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 프레싱부(54)와 베어링부(41)간의 접점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점 F에서의 마모를 억제하고,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스위치의 유연한 작동이 확실히 이루어지게 된다.
트랜스레이터의 역전작용후 스위치 장치를 작동시키는 일련의 처리가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실행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 될 것이다.
액츄에이터의 역전중심 그리고 프레싱부와 베어링부에 맞물리는 트랜스레이터의 역전중심은 힘의 작용점에 관련해 동일방향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배열은 내치기어와 내치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사이의 힘 전달의 관계에 해당할 것이다. 따라서, 액츄에이터와 트랜스레이터의 역전중심간의 거리를 가능한한 짧게 유지하면서 액츄에이터의 역전각을 확대하고 액츄에이터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트랜스레이터를 크게 역전시킬수 있게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와 트랜스레이터간의 토오크 전달은 내치기어 맞물림 관계로 실행된다. 그들의 회전중심은 힘의 작용점에 관해 동일 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그들의 회전중신간의 거리를 가능한한 짧게 유지하면서 액츄에이터의 역전각을 확대하고 액츄에이터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트랜스레이터를 크게 역전시킬 수 있게된다. 가동접점 엘레멘트의 역전점으로부터 액츄에이터의 상부표면까지의 거리가 작기때문에 스위치 장치의 전체 높이가 작게 되고 스위치 장치를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츄에이터의 표면이 벽으로부터 거의 드러나지 않도록 스위치장치가 빌딩의 벽에 배치될 경우에도, 스위치 장치는 벽으로 크게 돌출하지 않을 것이고, 그리고 벽의 두께에 관련한 위치의 유연성이 증가될 것이다.
또한, 액츄에이터 베어링부는 상부부재의 대향벽 상의 어깨를 통해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에 연결된다. 액츄에이터에는 액츄에이터 베어링부에 지지되는 액츄에이터 지지부가 제공된다. 트랜스레이터는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에 지지되는 트랜스레이터 지지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은 간단한 구조 및 쉬운 어셈블리를 갖는 역전 인터록킹 기구를 얻을수 있다.
비록 스위치 장치는 장식 작동플레이트가 액츄에이터의 전 상부표면을 덮을만큼 큰 액츄에이터를 갖지만, 액츄에이터 역전각을 증가시키고 가동접점 엘레멘트를 크게 역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츄에이터의 대향단부에서의 스트로크량은 불필요하게 크게 되지않는다. 아울러, 액츄에이터에 작은 작용력을 가해도 큰 압력이 트랜스레이터에 제공될 수 있다. 스타팅 토오크의 량은 유효한 작용이 얻어질 수 있을만큼 작다.
스위치 기구의 닫혀진 위치(ON)는 상기 종류의 스위치 장치를 장착할시 표준적으로 우측이 되야한다. 액츄에이터의 경사방향은 트랜스레이터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장식 작동 플레이트가 액츄에이터로부터 제거될 때 스위치 기구의 개 또는 폐위치(OFF 또는 ON)를 아는 것은 쉽다.
Claims (7)
-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 상기 상부부재의 액츄에이터 지지부에 역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액츄에이터 ;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스위치수단 ; 상기 트랜스레이터의 역전작용에 의해 상기 스위치수단을 턴 온 및 턴 오프시키기위해 상기 상부부재의 트랜스레이터 지지부에 역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및에 배치되는 트랜스레이터 ;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역전작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레이터를 역전시키기 위한 인터록킹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킹 기구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공되는 프레싱부와 상기 트랜스레이터에 제공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부의 표면은 일정한 곡선진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싱부는 상기 곡선진 표면과 접촉하는 V자형 홈을 구비하고 있는 스위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진 표면은 인벌류트 곡선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진 표면은 상기 액츄에이터 지지부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과 상기 트랜스레이터 지지부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간의 교차점인 중심을 갖는 아치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역전작용의 스타트시에 상기 트랜스레이터의 역전작용의 스타트를 증진시키기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역전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되고 어깨를 구비하고 있는 대향벽에 액츄에이터 베어링부와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 베어링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횡방향으로 반대로 연장하는 상기 액츄에이터 지지부를 지지하고 그리고 상기 트랜스레이터 베어링부는 상기 트랜스레이터의 횡방향으로 반대로 연장하는 상기 트랜스레이터 지지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케이블용 연결단자는 상기 상.하부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점 엘레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체에 역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역전 인터록킹 기구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간의 연결을 개폐하는데 이용되고,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역전작용은 상기 트랜스레이터가 상기 스위치수단을 개폐하도록 역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사실상 상기 상부부재의 전체 상부표면을 커버하는 분리가능한 장식 작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09109/89 | 1989-05-01 | ||
JP1109109A JP2727113B2 (ja) | 1989-05-01 | 1989-05-01 | スイッチ装置 |
JP262143/89 | 1989-10-09 | ||
JP26214389 | 1989-10-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9090A KR900019090A (ko) | 1990-12-24 |
KR0157406B1 true KR0157406B1 (ko) | 1998-11-16 |
Family
ID=2644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6186A KR0157406B1 (ko) | 1989-05-01 | 1990-05-01 | 스위치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5072086A (ko) |
KR (1) | KR015740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53578B2 (en) | 2009-12-18 | 2014-10-07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Multi motion switch with multiplier arm |
US8418778B2 (en) * | 2010-01-07 | 2013-04-16 | Black & Decker Inc. | Power screwdriver having rotary input control |
US8716962B2 (en) | 2011-11-10 | 2014-05-06 | Snap-On Incorporated | Variable speed trigger mechanism |
US10950397B2 (en) * | 2018-10-19 | 2021-03-16 | Schneider Electric (Australia) Pty Ltd | Switching and operating assembly of a switch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589314A (en) * | 1959-12-22 | O. Roeser John | Toggle switch mechanism | |
US1736849A (en) * | 1927-11-17 | 1929-11-26 | Harry A Douglas | Handle and its mounting |
US2275789A (en) * | 1940-11-18 | 1942-03-10 | Cutler Hammer Inc | Electric switch |
US2808482A (en) * | 1956-04-12 | 1957-10-01 | Miniature Switch Corp | Toggle switch construction |
US3435169A (en) * | 1967-07-19 | 1969-03-25 | Leviton Manufacturing Co | Rocker type electric switch with pilot light |
DE2060752C3 (de) * | 1970-12-10 | 1979-04-05 | Elektrotechnische Industrie Gustav Giersiepen, 5608 Radevormwald | Schalter, insbesondere Tastschalter |
DE2413897B2 (de) * | 1974-03-22 | 1977-12-29 | Gebrüder Merten GmbH & Co KG, 5270 Gummersbach | Elektrischer installationsschalter |
US4105882A (en) * | 1977-03-03 | 1978-08-08 |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 Control station switch |
US4169972A (en) * | 1978-01-10 | 1979-10-02 | Indak Manufacturing Corp. | Electrical switches with rocker action |
US4496802A (en) * | 1983-04-15 | 1985-01-29 | Amp Incorporated | Single in-line package switch |
JPS61296620A (ja) * | 1985-06-26 | 1986-12-27 | 神保電器株式会社 | スイツチ |
JPH0521789Y2 (ko) * | 1987-12-14 | 1993-06-04 |
-
1990
- 1990-04-23 US US07/511,426 patent/US5072086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5-01 KR KR1019900006186A patent/KR01574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9090A (ko) | 1990-12-24 |
US5072086A (en) | 1991-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4105436U (ja) | 揺動スイツチの可動接片支持構造 | |
JPH10125157A (ja) | スイッチの接続構造 | |
KR0157406B1 (ko) | 스위치장치 | |
KR0157678B1 (ko) | 시소스위치 | |
US4808778A (en) | Switching apparatus having a rocking element | |
US4121068A (en) | Polarity reversing electrical switch | |
JP2821798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2727113B2 (ja) | スイッチ装置 | |
KR100387977B1 (ko) | 전자레인지용 타이머 및 이 타이머를 사용한 전자레인지 | |
JP4525954B2 (ja) | スイッチ装置及び可動接触子 | |
JP3101034B2 (ja) | スイッチの反転連動機構 | |
JP3716433B2 (ja) | スイッチ | |
JP3819677B2 (ja) | 入力装置 | |
JP2908837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S6325249Y2 (ko) | ||
KR970004797Y1 (ko) |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 |
JPH01206520A (ja) | スイッチ | |
JP2004200002A (ja) | スイッチ装置 | |
JPH02247921A (ja) | トリガースイッチ | |
KR830001427Y1 (ko) | 레바 스위치 장치 | |
JPH0577130B2 (ko) | ||
JPH0326597Y2 (ko) | ||
JP3106003B2 (ja) | 接点切換表示機能付ピアノスイッチ | |
JPH0537383Y2 (ko) | ||
JPH0737214Y2 (ja) | 極性切換えスイッ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