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589B1 - 점착성 수성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성 수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589B1
KR970004589B1 KR1019940004184A KR19940004184A KR970004589B1 KR 970004589 B1 KR970004589 B1 KR 970004589B1 KR 1019940004184 A KR1019940004184 A KR 1019940004184A KR 19940004184 A KR19940004184 A KR 19940004184A KR 970004589 B1 KR970004589 B1 KR 97000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dhesive
methylvinylether
salt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531A (ko
Inventor
안종원
이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한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한동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1994000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589B1/ko
Publication of KR95002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61L15/58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an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5/08Copolymers with vinyl ethers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점착성 수성 시트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단층구조를 갖는 점착성 수성시트에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구조를 갖는 점착성 수성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박리지 또는 박리용 필름2, 3 : 수성 점착증
4 : 노출부위 보호층(지지체)
본 발명은 화장품 또는 의약부외용품용 점착성 수성 시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 염과 메칠비닐 에테르-말레인산 모노알킬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점착기제로 함유하는 피부로의 접착성이 뛰어나며 높은 함수능과 응집력을 갖는 점착성 수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팩 미용법에 이용되는 팩제로서는, 여러종류의 팩제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여러가지 분말물질을 물에서 페이스트상으로 만든 것이나 크림상으로 만든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팩제는 도포시 손이 더러워지고 사용 후 세정이 필요한 등의 단점이 있으며, 또한 폴리비닐알콜등을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O/W형 에멀젼 또는 젤리상의 피막형성능을 가지고 있는 팩제도 시판되고 있지만, 이러한 팩제도 튜브등의 용기에 넣어 사용시에 필요한 양을 취해 얼굴등에 도포하며, 역시 손 등을 더럽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팩제에서는 형성된 피막이 약하고 피막을 벗겨낼 때 부서지기 쉬우며, 피막이 형성될 때까지 건조를 필요로 하고, 건조된 후에는 더 이상의 미용효과가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기존 팩제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미리 팩트를 시트상으로 만든 팩제가 개발, 연구되고 있으며, 폴리아크릴산, 젤라틴,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스 나트륨등의 수용성 고분자와 다가알콜과 물로 된 시트상 팩제(日本特開昭 54-49334, 特開昭 63-162610, 特開昭 63-78199, 特開平 1-254612)들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시트상 팩제는 여러가지 상이한 고분자들의 혼합 및 과량의 충진제가 함유됨으로서 가교가 균일하게 되지 않으므로 고온(40℃ 이상)에서 보형성이 저하되며, 또한 피부표면에 점착물질이 남기 쉽고, 피부로의 접착성이 약해 쉽게 떨어지는 등의 결점을 갖는다.
메칠미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를 이용한 제안(日本特公開 60-34924, 特開昭 61-22012, 特開昭 58-167510)도 있으나, 일본 특허공개 소 60-34924호와 일본 특허공개 소 61-22012호의 경우 라텍스와 병용해서 사용해야 하며, 보형성을 위해 다량의 충진제를 필요로 하고, 라텍스로 인한 사용감 저하 및 피부 부작용과 함수율이 낮아 습포제로는 부적절하며, 일본 특허공개 소 58-167510호의 경우 pH의 조정을 위해서 메칠비닐에케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소량 사용되었을 뿐, 이 또한 보수성, 보형성의 접착성이란 면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피부로의 첩착성을 증대시킨, 고무계의 함수겔로 된 시트상의 팩제(日本特開昭 55-92306)가 제안되었지만, 이 고무계의 팩제는 물이 연속적으로 분산되어 있지 않고 물에 의한 피부의 유연화나 미용성분의 흡수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고 있지 않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고무계 팩제는 피부에 대한 부착력이 강해 박리시에 각질층을 제거하게 되며, 장기간 사용시에는 각질층의 과도한 박리로 인한 부작용을 초래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의약성 점착성 수성시트의 경우, 현재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를 함유하는 첩부제가 다수 시판되고 있으며, 약물의 안정화나 피부로의 흡수를 증진시키고 환부로의 부착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첩부제들 (日本特開昭 58-167510, 特開昭 6 1-236600, 特開昭 61-88125, 特開昭 63-91318)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기존 시트상 팩제와 마찬가지로, 피부로의 부착성이 낮아 수성 시트만을 피부에 적용하지 못하며, 따로 밀착포를 사용하여 피부에 부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피부에의 부착성이 우수하며 높은 함수능과 응집력을 갖는 수성 시트의 제공이 요망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의 부착성이 우수하며 높은 함수능과 응집력을 갖는 수성 시트를 제공하고자 예의연구한 결과,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물질인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와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점착기제의 주요성분으로 사용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체; 점착기제와 유효성분으로 이루어진 점착증; 및 박리제로 이루어진 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기제가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와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성 시트는 지지체; 점차기제와 유효성분으로 이루어진 점착층; 및 박리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점착층은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고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물질인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와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며, 여기에 보수성 보형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물질을, 그리고 보습작용 및 가소작용을 위해 다가알콜을,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물질의 경화를 위해 다가금속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수성시트에서 사용되는 점착기제는 폴리아클릴산 또는 그의 염과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알킬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에인산 공중합체의 2가지를 주요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산염 및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또는 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를 함께 사용함으로서 각성분이 갖고 있는 특성을 유지하면서, 각 물질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산 염을 주로 한 점착기제의 경우, 점착성을 크게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의 것을 사용하거나 가교밀도를 낮게 하면 우수한 점착성을 얻을 수 있으나, 보형성이 떨어져 부착시 점착물질이 피부표면에 남거나, 특히 부직포를 지지체로 사용하는 것에서는 부직포로 스며드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나게 된다. 또한 피부표면으로의 잔류나 지지체로 배어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교밀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상대적으로 점착성이 낮아 피부에 부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높은 인장강도의 응집력 및 집중력을 갖고 필름 형성능이 우수한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알킬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에인산 공중합체를 혼용함으로서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산염에서 나타나는 응집력과 보형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더욱 우수한 점착특성을 갖는 수성 점착기제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알킬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그이 알킬기가 에칠,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n-부칠기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접착기제어 사용되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 염은 분자량이 너무 크게되면 피부로의 접착성이 저하되므로 중량 평균분자량은 1×103∼5×107이 바람직하며, 배합량은 점착층 총중량에 대하여 1∼20중량%이다.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놀알킬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104∼5×106으로 화학량론적 중화도(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의 경우 가수분해된 형태에서의 중화도)가 1∼100%이며, 배합량은 점착층 총중량에 대하여 2∼30중량%이다.
본 발명의 수성 시트를 미용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점착층에 배합되는 유효성분으로서의 미용성분은 그의 종류나 함량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의약부외품에 사용되고 있는 히아루론산, 아미노산, 단백질, 호르몬, 태반추출물등과 같은 천연추출물과 계면활성제, 피부미백제, 소염제, 마취제, 비타민 및 그 유도체등이 가능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성 시트를 의약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점착층에 배합되는 유효성분으로서의 의약성분은 수성기제에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의약 성분으로서 진통소염제, 항히스타민제, 피부자극제, 항염증제,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제, 비타민 등이 사용가능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수성 시트의 점착층에 배합되는 다가알콜은 점착기제에서의 보수성을 형상시키는 동시에, 점착기제의 유연성을 증대시켜주는 동시에 겔 강도를 높이고 안정한 점착성 수성시트를 얻게 하는 역할을 하며,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글리콜, 에칠렌글리콜, 이에칠렌그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칠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등으로 단독 또는 2종이상 병용해 사용할 수 있고, 배합량은 점착층 총중량에 대하여 0.1∼50중량 %이다.
본 발명의 수성 시트의 점착층의 주요성분이 폴리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염 및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알킬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의 가수분해물의 가교제로는 다가 금속염이 사용되며, 금속염으로는 알루미늄으로서 각종 알카리금속 알루미늄 설페이트류, 염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초산 알루미늄,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또는 알루미늄타르타에리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아연염으로서 염화아연, 수산화아연, 황산아연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등의 2가나 3가의 금속염들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고, 배합량은 금속으로 환산하여 점착층 총중량에 대하여 0.00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수성 시트의 점착층에 배합되는 안정화제로는 가교 겔의 안정화제로서 우레아, 비우레트등과 약제 및 조성물의 안정화제로서 이디티에이, 이디티에이 나트륨염, 젖산, 구연선, 저분자량 폴리아크릴산등의 킬레이트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배합량은 점착층 총중량에 대하여 0∼15중량%이다.
충진제로는 주로 무기계 충진제가 사용되며, 무기분제로서 카올린, 꼽牙이트, 아연화, 티타늄 옥사이드, 무수 규산 또는 탈크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점착층 총중량에 대하여 0∼3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수용성 고분자 및 수팽윤성 고분자 물질은 가교 겔의 칙소트로피성을 부여하고, 점착성을 보완하며, 겔이 지지체로 배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고분자 물질들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나트륨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제라틴, 하이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아라비아검 또는 알긴산소다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점착층 총중량에 대하여 0∼15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된 수성시트는 필요에 따라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제조된다.
단층 수성 시트는 제1도에서처럼 박리지 또는 박리용 필름인 1; 무기충전제, 유효성분 및 수성점착기제로 이루어진 점착층 2; 및 노출부위 보호층 (지지체)4로 이루어져 있다. 단층의 제제는 박리필름 또는 박리지를 점착기제에서 떼어낸 후 직접 피부에 도포한다.
다층 시트는 제2도에서처럼 박리지 또는 박리용 필름인 1; 무기충전제, 유효성분 및 피부에 부착되어 유효성분을 전달하는 제1점착충 2; 무기충진제, 유효성분 및 피부에 부착시 지지체 역할을 하는 상대적으로 제1점착층 2보다 낮은 점착성을 나타내거나, 점착성이 없는 제2점착층 3; 그리고 보관시 점착제2'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박리지 또는 박리필름 1'로 이루어져 있다. 이 다층의 제제는 먼저 피부에 접착력이 강한 부분의 박리지 또는 박리필름을 제거한 후 피부에 부착시키고, 점착성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점착성을 갖는 2'위의 박리지 또는 박리필름을 제거함으로서 제 2점착층 3이 지지체 역할과 동시에 유효성분의 저장고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성 시트에서 사용하는 지지체로서는 각종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 신축성포, 종이 셀로판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박리용 필름으로는 각종 플라스틱 필름과 실리콘 또는 테프론계 박리제가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박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성 수성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알킬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을 소정 온도 (예를들면 60℃)로 가온한 탈이온수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분산시키고 가수분해시키기 위해, 일정시간 (약 20분∼60분)교반한다. 교반해 얻은 용액에 다가알콜을 가해 희석한 후, 폴리아크릴산 단독 또는 보형성 및 점착성 조절에 필요한 다른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를 적당량 탈이온수에 녹인 용액을 가해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 혼합물에 유효성분, 안정화제, 가교제, 무기충지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향 등을 탈이온수 또는 탈이온수와 다가알콜의 혼합액에 용해, 유화, 가용화 또는 분산시켜 얻은 용액을 교반, 혼합해 도포액을 얻는다. 이 도포액을 부직포, 린트포, 메이야스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등의 지지체에 0.005∼1.0 밀리미터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박리필름을 붙힌 후,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절단하여, 이를 실온에서 약 7일간 숙성시켜 본 발명의 수성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다층 시트의 경우에는 상기 도포액을 균일하게 박리필름에 도포한 후 이들 두개를 서로 붙여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각종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0%-폴리아크릴산 수용액에 20g과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모노에칠에스테르 공중합체의 25%-수용액(주 : 하기 1) 20g을 혼합해 베이스 고분자용액을 제조하였다. 글리세린 15g, 미용성분 (주 : 하기 2) 10g, 비이온 계면활성제 (주 : 하기 3) 1g, 알카리금속염으로서 알루미늄설페이트 0.5g(알루미늄으로서 0.055중량%), 보존료로서 메칠파라벤 0.1g, 중화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 4.5g을 탈이온수 14g과 함께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충진제로서 카올린 13g과 이산화티탄 2g을 분산시켜 베이스 고분자 용액과 혼합하였다. 모든 혼합은 50℃에서 행하였다. 얻어진 제조액을 부직포에 0.5㎜의 두께로 도포하고, 박리필름으로 첩합시킨 후 원하는 모양으로 절단하였다. 절단한 점착성 수성시트를 실온에서 7일간 숙성시켜 원하는 제품을 얻었다.
주) 1 :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Gantrez ES Series; ISP사 제품)는 에탄올이나 이소프로판올을 50% 용액으로 공급되므로 수지용액에 탈이온수를 1 : 3의 비율로 가한 후, 70℃에서 감압증발시켜, 25%의 고형분을 가진 수지용액 또는 분산액을 얻는다.
2 : 미용성분
0.1%-히아루론산 용액 3g
젖산2.0g
태반 추출물0.5g
유동 파라핀1.0g
로스힙 오일0.5g
스테아리알콜0.2g
폴리옥시에칠렌솔비탄모노올레이드0.1g
비에이취지(B. H. T) 0.05g
탈이온수적량
3 : 폴리옥시에치렌(20) 솔비탄모노올레이트(TWEEN 80)
실시예 2
20%-폴리아크릴산나트륨 용액(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1×104) 20g에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Gantrez AN Series; ISP)사 12g을 20g의 탈이온수에 분산시켜 얻은 가수분해 용액과 혼합해 베이스 고분자용액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1.5g을 17g의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솔비톨 15g, 미용성분(상기 실시예 1의 주2) 10g, 비이온 계면활성제(상기 실시예 1의 주 3)1g, 알칼리금속염으로서 알루미늄설페이트 0.2g(알루미늄으로서 0.032중량%), 안정화제로서 이디티에이 -2 Na 0.5g, 주석산 1.0g, 우레아 1.7g 보존료로서 메칠파라벤 0.1g을 용해시켰다. 이때 얻은 용액을 베이스 고분자용액과 혼합하였다. 모든 혼합은 50℃에서 행하였다. 얻어진 제조액을 부직포에 두께가 0.5㎜되게 도포하고, 박리필름으로 라미네이트시킨 후 원하는 형태로 절단하였다. 절단한 점착성 수성시트를 실온에서 7일간 숙성하여 원하는 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3
20%-폴리아크릴산 수용액(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1×104)에 20g과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모노에칠에스테르 공중합체의 25%-수용액(상기 실시예 1의 주1) 10g과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의 8g을 물 16g에 분산시켜 얻은 가수분해 수용액을 혼합해 베이스 고분자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피롤리돈 3g을 14g의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솔비톨 15g, 미용성분(상기 실시예 1의 주2) 10g, 비이온 계면활성제(상기 실시예 1의 주 3)1g, 알칼리금속염으로서 알루미늄설페이트 0.4g(알루미늄으로서 0.062중량%), 안정화제로서 이디티에이 -2 나트륨 0.8g, 우레아 1.7g 보존료로서 메칠파라벤 0.1g을 용해시켰다. 이렇게 해서 얻은 용액을 베이스 고분자용액과 혼합하였다. 모든 혼합은 50℃에서 행하며, 실시예 2와 같이 도포, 숙성하여 원하는 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4
20%-폴리아크릴산 암모늄용액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5×103) 15g과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이 소프로필모노에스테르 25%-수용액 (상기 실시예 1의 주1)25g을 혼합해 베이스 고분자용액을 제조하였다. 알긴산나트륨 7g을 24g의 탈이온수에 용해시킬 수용액에 솔비톨 15g, 미용성분(상기 실시예 1의 주2) 10g, 비이온 계면활성제(상기 실시예 1의 주 3)1g, 알칼리금속염으로서 알루미늄설페이트 0.4g(알루미늄으로서 0.062중량%), 안정화제로서 이디티에이 -2 나트륨 0.8g, 우레아 1.7g 보존료로서 메칠파라벤 0.1g을 용해시켰다. 이때 얻은 용액을 베이스 고분자용액과 혼합하였다. 이렇게 얻은 도포액을 두께가 0.5㎜ 되게 박리필름에 도포하였다(제 1 점착층).
실시예 2에서 얻은 도포액을 박리필름의 두께가 0.5㎜되게 도포하고 (제 2점착층), 이를 위에서 제조한 제 1점착층과 접합하여 제2도와 같은 다층 구조의 점착성 수성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를 원하는 모양으로 절단한 후 숙성시켜 최종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25%-폴리아크릴산 암모늄수용액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5×103) 25g에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10g을 18g의 탈이온수에 분산시켜 얻은 가수분해용액과 혼합해 베이스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피롤리돈 3g과 폴리비닐알콜 1.5g을 19g의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글리세린 10g 1,3-부탄디 5g, 박하유 2.2g 디클로페낙 소디움 4%, 비이온 계면활성제 (상기 실시예 1의 주3) 1g, 알칼리금속염으로서 알루미늄포타슘설페이트 0.35g(알루미늄으로서 0.035중량%), 안정화제로서 이디티에이 -2Na 0.85g, 보존료로서 메칠파라벤0.1g을 용해시켰다. 이때 얻은 용액을 베이스 고분자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도포하고, 숙성시켜 원하는 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6
25%-폴리아크릴산 수용액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5×103) 20g에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10g을 물 20g에 분산시켜 얻은 가수분해 수용액을 혼합해 베이스 고분자용액을 제조하였다. 40%-폴리아크릴산 나트륨 10g과 글리세린 20g, 박하유 2.3g,디클로페낙 소디움 4%, 비이온 계면활성제 (상기 실시예 1의 주3) 1g, 알칼리금속염으로서 알루미늄포타슘설페이트 0.3g(알루미늄으로서 0.03중량%), 안정화제로서 이디티에이 -2Na 0.8g, 보존료로서 메칠파라벤 0.1g을 용해시키고, 카오린 10g과 이산화티탄 1.5g을 잘 분산시켰다. 이때 얻은 용액을 베이스 고분자 용액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도포하고, 숙성시켜 원하는 제품을 얻었다.
비교예 1
니더(kneader)에 먼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1×105) 15g, 글리세린 30g, 알루미늄 포타슘설페이트 0.5g(알루미늄으로서 0.028g)을 5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상태에서 20%-폴리아크릴산 수용액 15g, 물 28.5g과 비이온계면활성제 1g을 가해 균일하게 되면 미용성분(상기 실시예 1의 주 2)10g을 첨가해 유화시켜 도포액을 얻었다. 얻은 도포액은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도포, 숙성하여 원하는 제품을 얻었다.
비교예 2
메칠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2.0g, 구연산 0.5g를 탈리온수 18g에 용해시키고, 카올린 20g, 이산화티탄 3g, 젤라틴 5g, 폴리아클린산 나트륨 3g,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나트륨 1g, 천연 고무라텍스 5g, 스치부타디엔 라텍스(S. B. R라텍스) 5g, 폴리부텐 2.4g, 미용성분 10g, 산화방지제 0.1g를 미량 첨가해 도포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실시예 2와 같이 도포, 숙성시켜 원하는 제품을 얻었다.
비교예 3
탈이온수 18.0g에 젤라틴 1.5g, 폴리비닐피폴리돈 3g에 메칠파라벤 0.1g, 요소 1g 을 가해 50℃에서 용해시켰다. 미리 1,3-부틸렌글리콜 5g, 박하유 2.2g, 디클로페낙 나트륨 4g을 용해시킨 용액에 솔비톨 50g, 수산화알미늄 0.5g을 가해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에 1,3-부틸렌글리콜 6.7g, 폴리아크린산 나트륨 4g,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스 나트륨 4g을 가해 혼합시킨 혼합액을 가해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 2와 같이 도포 숙성시켜 원하는 제품을 얻었다.
실험예 1
점착력 시험
점착력 시험은 PSTC의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점착력 시험 (PSTC-1)
하기 표 1에 나타낸 시표를 폭 0.5인치로 자르고, 길이를 약 20㎝로 하여 시편을 제조한 후, 약 10㎝정도 박리필름을 벗겨 스테인레스 스틸판에 붙이고, 2.3kg의 고무롤로 2회 왕복시켜 눌러주었다. 이를 만능시험기 (ZWICK사)를 이용해 180℃로 벗겨낼 때의 힘을 측정하였다. 한 시료에 대해 3회씩 반복 시험 하고 그 평균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점착성 (Tack) 시험 (PSTC-6)
하기 표 1에 나타낸 시료를 폭 1인치, 길이 30㎝로 자른 후, 박리지를 벗기고 평평한 유리판 위에 점착제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고정시켰다. 이 시편의 한쪽 끝에 TT-10 롤링 볼 택 시험기(Rolling Ball Tack Tester : Chemsultants International사)를 고정시키고, 방출 레버를 눌러 직경 5/16인치의 볼이 처음 시편에 닿았던 위치부터 점착제 상에 멈춘 곳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한 시료에 대해 3회씩 반복하여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점착력 시험결과
실험예 2
부착효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시트를 안면에 적합한 크기로 자르고, 여기에 눈과 코 부분에 구멍을 내어 피검자 10명에 대해서 3시간 동안 첩포한 후, 피부 접착성, 피부로의 잔존, 작리시 통증, 피부 자극성, 미용 효과 등의 항목을 ○, △, ×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또한 고온에서의 보형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 샘플을 60℃에서 24시간 방치하고, 그 후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가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60℃의 온수에 3시간 동안 마그네틱 교반기로 교반한 후 시트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표 2]
부착효과
주)*: 시판제품 C는 30분을 적용한 후 결과를 얻었다.
실험예 3
경피침투 시험
체중이 약 350g인 수컷 기니이픽의 복부털을 전기이발기 (Hair Clipper)로 깍은 다음, 일정부위를 절취해 냉동 (-20℃ 이하)보관한 후 시험시 녹여 사용하였다.
프란쯔 글래스 확산기구 (Franz type diffusion cell)의 중간에 각질층 부분이 위로 향하게 피부를 설치한 후 밑부분의 공간에는 와충용액을 넣고, 확산기구의 온도를 37℃로 유지시켰다. 리셉터용액 (완충용액)은 일정한 속도 (600rpm)로 저어주면서 실시예 5와 6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시료를 피부에 부착시켰다.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리셉터 부분의 용액을 취하고, 채취한 양만큼 새로운 완충용액을 보충해 주었다.
채취한 시료는 다음 조건의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를 이용하여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고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의 분석조건-
컬럼 : C18u (메세추세츠주 01757, 밀톤 소재 워터스 크로마토그래피사 제품)
이동상 : 70/30/ v/v(메탄올 : 0.50M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용액)
유속 : 1.2ml/분
검출기 : 자외선 280㎚파장
[표 3]
In vitro 피부 투과 시험결과

Claims (7)

  1. 지지체 ; 점착기제와 유효성분으로 이루어진 점착층 ; 및 박리제로 이루어진 점착성 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기제가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와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의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성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의 양은 점착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20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성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에 양은 점착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3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성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메칠비닐에테르-말레인산 모노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메칠비닐에테르-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는 그의 알킬기가 에칠,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n-부칠기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산 또는 중화된 염의 형태로 1×104∼106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성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1×103∼5×107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성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점착층은 친수성 고분자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물질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점착층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5중량%의 양으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성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점착층은 점착층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50중량 %의 다가 알콜, 금속으로 환산하여 0.005∼5.0중량%의 가교제로서 다가 금속염, 0∼15중량%의 안정화제 및 0∼30중량%의 충진제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성 시트.
KR1019940004184A 1994-03-04 1994-03-04 점착성 수성 시트 KR97000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184A KR970004589B1 (ko) 1994-03-04 1994-03-04 점착성 수성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184A KR970004589B1 (ko) 1994-03-04 1994-03-04 점착성 수성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531A KR950026531A (ko) 1995-10-16
KR970004589B1 true KR970004589B1 (ko) 1997-03-29

Family

ID=1937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184A KR970004589B1 (ko) 1994-03-04 1994-03-04 점착성 수성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26A1 (ko) * 2015-10-30 2017-05-04 이태완 상처 치료용 고흡수성 제로겔 드레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849B1 (ko) * 2004-09-08 2011-07-06 임대철 개선된 수밀성을 나타내는 파형관 연결용 수밀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26A1 (ko) * 2015-10-30 2017-05-04 이태완 상처 치료용 고흡수성 제로겔 드레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531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3524B1 (en) Use of adhesive dermal bandages and dermal percutaneous preparations
JPH08509748A (ja) エストラジオール含有経皮治療システム
WO2005105150A1 (ja) 貼付剤
WO2006090782A1 (ja) 含水系外用貼付剤用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用いた貼付剤
FR2734574A1 (fr) Feuilles de masque adhesives a usage cosmetique et medical
JP4799783B2 (ja) 伸縮性外用貼付剤
JP4663209B2 (ja) ポリアクリレートおよびポリアミン塩の2相接着剤マトリックスを含有する医療用接触接着性組成物
CN112689505A (zh) 含水贴剂
JP4744439B2 (ja) 貼付剤
JPH08319213A (ja) 美容及び医療用の粘着性パックシート
KR970004589B1 (ko) 점착성 수성 시트
CA2719364C (en) Butenafine hydrochloride-containing aqueous patch
WO2006090824A1 (ja) 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497298B2 (ja) シート状貼付剤
JP3193161B2 (ja) 経皮吸収性製剤
JP4927261B2 (ja) 化粧用粘着シート
JP2003081815A (ja) 皮膚処理用製剤
JP3382032B2 (ja) インドメタシン貼付剤
JP2002167335A (ja) 肌荒れ治療用製剤及び肌荒れ治療用貼付剤
JPS61260007A (ja) シ−ト状パツク剤
JP2507068B2 (ja) 経皮吸収製剤
JP3432305B2 (ja) 医療用貼付剤
JP2004097730A (ja) 医用粘着剤組成物
JPH10316560A (ja) 貼付剤
JP3478865B2 (ja) ヒドロゲル膏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