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16B1 -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를 얻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를 얻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16B1
KR970004116B1 KR1019930028849A KR930028849A KR970004116B1 KR 970004116 B1 KR970004116 B1 KR 970004116B1 KR 1019930028849 A KR1019930028849 A KR 1019930028849A KR 930028849 A KR930028849 A KR 930028849A KR 970004116 B1 KR970004116 B1 KR 970004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pattern
data
image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915A (ko
Inventor
마스미 도야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40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874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436090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03127A/ja
Priority claimed from JP36089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819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80Creating or modifying a manually drawn or painted image using a manual input device, e.g. mouse, light pen, direction keys on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를 얻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몽타주 작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상기 몽타주 작성장치의 부위메모리에 있어서의 「코」부위에 대응하는 부위패턴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상기 몽타주 작성장치에 의한 몽타주 작성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이고, 제3a도는 그 기본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3B도는 그 부위분해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3C도는 그 패턴매칭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4도는 상기 몽타주 작성장치의 몽타주 작성처리에 있어서의 몽타주 패턴의 수정, 변경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 : 화상데이터입력부,15 : 입력화상메모리,
16 : 기본위치메모리,17 : 부위메모리,
18 : 패턴매칭부,19 : 표시부
본 발명은 화상데이터로서 얻어진 물체의 외관을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인물의 얼굴을 전자적으로 닮은 얼굴로 변환할 때에 사용되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몽타주 작성기능이 탑재된 전자수첩 등은 눈, 코, 입, 눈썹, 윤곽, 두발형 등의 각 부위를 각각 복수종류 비트맵 패턴으로서 기억한 부위메모리를 갖는 것이고, 이 각각의 부위패턴을 키입력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호출하여 표시부상에 합성표시시켜 임의의 몽타주를 작성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장치에서는 부위메모리에 미리 기억되는 부위패턴의 종류가 적으면 실물과 유사한 몽타주를 작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부위메모리에 있어서의 각 부위 각각의 패턴 종류를 많이 부여시키는 것으로, 실물과 유사한 몽타주를 작성할 수 있지만, 반면에 각 부위패턴을 선택하는데 상당히 시간이 걸리거나, 유사한 복수패턴중 하나를 적절한 패턴으로 판단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각 부위패턴의 선택조작에 시간을 들이지 않고, 실물에 의해 유사한 패턴화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처리장치는 인물의 얼굴을 촬영한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사전에 얼굴을 구성하는 요소 적어도 눈, 코, 입을 포함하는 각각에 대해서 형상이 다른 복수의 패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요소데이터 기억수단과,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데이터에서 각 요소에 대응한 화상데이터를 개별로 추출하는 요소추출수단과, 추출된 화상데이터와 요소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요소 각각의 패턴데이터와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판단수단의 판단결과에 의거하고, 각 요소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패턴데이터를 조합하고, 입력된 얼굴과 닮은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몽타주 작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몽타주 작성장치는 CPU(중앙처리장치)(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CPU(11)는 키입력부(12)에서의 키조작신호에 의거하고, ROM(13)에 기억된 몽타주 작성프로그램에 따라 회로각부의 동작제어를 실행하는 것이고, CPU(11)에는 상기 키입력부(12), ROM(13) 이외에 화상데이터입력부(14), 입력화상메모리(15), 기본위치메모리(16), 부위메모리(17), 패턴매칭부(18) 및 표시부(19)가 접속된다.
상기 키입력부(12)에는 몽타주 대상이 되는 인물의 얼굴을 화상입력할 때에 조작되는 화상입력키(20), 작성된 몽타주의 수정을 실행할 때에 조작되는 수정키(21), 몽타주 수정모드에 있어서 피수정 부위의 다음 후보패턴을 선택할 때에 조작되는 패턴선택키(22a, 22b) 등, 각종 기능키가 설치된다.
상기 화상데이터입력부(14)는 몽타주 대상이 되는 인물상의 얼굴화상을,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나 전자스틸 카메라 등으로 촬상(撮像)한 비디오신호(1 필드분)로서 입력하는 것이고, 이 화상데이터입력부(14)는 Y/C 분리부(14a)와 A/D 변환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Y/C 분리부(14a)는 비디오신호에 포함되는 휘도신호(Y)와 색차(色差) 신호(C)에서 휘도신호(Y)만 분리추출하는 것이고, 이 Y/C 분리부(14a)에서의 비디오 휘도신호(Y)는 A/D 교환부(14b)에 공급된다.
상기 A/D 교환부(14b)는 상기 Y/C 분리부(14a)에서 공급되는 1 필드분의 비디오 휘도신호(Y)를 미리 설정한 샘플링 클럭에 동기하고, 백혹 2치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 A/D 교환부(14b)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데이터를 입력화상 메모리(15)에 전송되어 기억된다.
즉, 상기 화상데이터메모리(15)에는 몽타주 대상인물로서 촬상된 얼굴화상데이터가 비트맵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이 경우 얼굴을 촬상할 경우는 얼굴이 미리 전해진 크기가 되도록 촬상하는 것처럼 정해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되는 얼굴화상데이터는 그 얼굴의 「코」가 존재하는 환상영역을 기억영역의 중앙에 설정하여 기억된다.
따라서 「코」에 대해서 「눈」「눈썹」「입」등은 소정의 위치 관계에서 기억되게 된다.
예를 들면 입력화상메모리(15)가 48×48도트의 기억용량을 가질 경우, 중앙의 8×10도트의 영역에 코가 기억되고, 그 영역하의 10×6도트가 「입」, 코의 왼쪽위 및 오른쪽 위의 8×4도트의 영역이 「눈」이 기억되는 영역이라고 하는 것처럼 화상데이터가 기억된다.
또한 얼굴의 윤곽은 하반부분의 48×24도트에 코와 입의 영역을 제외한 부분, 두발형은 상반부분의 48×24도트에서 눈과 눈썹의 영역을 제외한 부분이 된다.
상기 기본위치메모리(16)는 상술한 상기 입력화상메모리(15)에 있어서의 얼굴화상의 눈, 코 등의 요소마다 입력화상메모리(15)에 대한 어드레스값으로서 기억한다. 어드레스값은 코 등이 기억되는 직사각형영역 4개 각의 어드레스이다. 이 기본위치메모리(16)에 기억된 어드레스값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된 얼굴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이고, 몽타주 대상인물로서 촬상된 얼굴화상데이터의 머리, 눈썹, 눈, 코, 입, 귀 등 각 부위마다의 화상데이터가 판독된다.
상기 부위메모리(17)는 얼굴의 각 구성요소가 되는 머리, 눈썹, 눈, 코, 입, 귀 등의 부위에 대해서 각 부위마다 복수종류의 부위패턴을 소정의 기억위치에 번호를 붙여 비트맵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예를 들어 코이면 8×10도트의 패턴으로서, 입이면 10×6도트의 패턴으로서 기억하고 있다. 이 부위메모리(17)에 기억되는 각 부위마다의 부위패턴이 각각 한 개씩 조합되는 것으로 몽타주 패턴이 구성된다.
제2도는 상기 몽타주 작성장치의 부위메모리(17)에 있어서의 「코」부위에 대응하는 부위패턴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부위메모리(17)에서는 각 부위마다 보수종류 구비되는 부위패턴(1~20)의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된 얼굴화상데이터 대응부위와 패턴매칭을 했을 때 일치한 화소의 화소수를 격납하는 화소레지스터 및 이 화소레지스터에 격납된 일체 화소수가 큰 순으로 유사도의 순위가 각납되는 순위레지스터가 구비된다.
상기 패턴매칭부(18)는 상기 기본위치메모리(16)에 기억된 얼굴화상데이터 각 부위마다의 기억위치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입력화상메모리(15)에서 판독된 얼굴화상데이터의 각 부위와, 상기 부위메모리(17)에 기억된 대응부위의 복수 부위패턴을 차례로 대조한다. 대조는 판독된 화상데이터와 부위패턴의 화소가 일치하는 점의 수를 구하는 것으로, 이 얼굴화상데이터 각 부위에 대한 복수 부위패턴 각각의 대조일치 화소수는 상기 화소레지스터에 격납된다. 또한 일치 화소수의 대부분은 유사도가 높다고 가정되고 유사의 순위는 상기 순위레지스터에 격납된다.
화소의 일치수는 화상데이터와 부위패턴데이터를 AND 회로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그 출력을 계수할 수 있다. 그리고 부위패턴이 화상데이터에 유사할수록 화소의 일치수는 많아진다.
「코」를 예로 하면 입력화상메모리(15)의 중앙 8×10도트의 데이터와 부위패턴 8×10도트의 데이터가 일정방향으로 차례로 1도트씩 AND 처리되어 일치한 화소수가 계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위메모리(17)에 있어서의 각 부위마다의 복수 부위패턴 전체에 대해서, 상기 얼굴화상데이터 각 부위와의 일치 화소수 및 그 유사순위가 격납되면, 각 부위마다 제1순위의 부위패턴이 판독되고, 표시부(19)에 합성표시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한 몽타주 작성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상기 몽타주 작성장치에 의한 몽타주 작성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고, 제3A도는 그 기본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3B도는 그 부위분해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3C도는 그 패턴매칭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이다.
제4도는 상기 몽타주 작성장치의 몽타주 작성처리에 있어서의 몽타주 패턴의 수정, 변경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이다.
즉, 몽타주의 대상으로서 비디오 카메라나 전자스틸 카메라에 의해 촬상한 소정 크기의 얼굴화상데이터를 비디오신호로서 화상데이터입력부(14)에 접속공급하고, 키입력부(12)의 화상입력키를 조작하면 ROM(13)에 기억되는 몽타주 작성프로그램이 기동되고, 그 시점에서 화상데이터입력부(14)에 입력되는 1 필드분의 비디오신호가 Y/C 분리부(14a)에서 A/D 교환부(14b)를 통해 1 화면분의 디지 화상데이터로 변화되고, CPU(11)에서 입력화상메모리(15)에 대해 전송기억된다(단계 S1).
그러면 상기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된 1 화면분의 얼굴화상데이터는 그 배경부분에 존재하는 여분의 화상데이터가 제거되어 보정되고, 부위분해처리에서 패턴매칭처리로 이행한다(단계 S2, S3, S4).
부위분해처리에서는 기본위치메모리(16)에 미리 기억된 얼굴화상구성부위의 기본위치데이터가 머리, 눈썹, 눈, 코, 입, 귀 등의 부위마다 판독된다. 먼저 머리 부위에 대응하는 기본위치데이터가 판독되면, 이 머리부위의 기본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된 얼굴화상데이터에서 머리부위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만이 추출되어 패턴매칭부(18)에 보내진다(단계 S3a, S3b).
그리고 패턴매칭처리에서 상기 부위분해처리로 분해추출된 머리부위의 화상데이터에 대응하고, 부위메모리(17)에 미리 기억된 머리부위에 있어서의 제1 부위패턴이 지정되어 상기 패턴매칭부(18)에 보내진다(단계 S4a).
그러면 상기 입력화상메모리(15)에서 판독된 머리부위의 화상데이터와 상기 부위메모리(17)에서 판독된 머리부위의 제 1부위패턴이 패턴매칭부(18)에 있어서 대조되고, 그 화상패턴 각 화소가 일치하는 화소수가 계산되는 것이고, 이 얼굴화상데이터중 머리화상데이터와 미리 등록된 머리의 제1 부위패턴과의 대조일치 화소수는 그 머리의 제 1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부위메모리(17) 내의 화소수 레지스터에 격납된다(단계 S4b).
여기서 부위메모리(17)에 있어서 대조대상이 되는 다음 부위패턴(이 경우 머리의 제2 부위패턴)이 있는지 없는지가 판단되는 것이고, 「다음 패턴 존재」라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상기 부위메모리(17)에 있어서의 머리부위의 제2 부위패턴이 지정되어 상기 패턴매칭부(18)에 보내진다(단계 S4c → S4a).
그러면 상기 입력화상메모리(15)에서 이미 판독된 머리 부위의 화상데이터와 상기 부위메모리(17)에서 새로 판독된 머리부위의 제2 부위패턴이 패턴매칭부(18)에 있어서 대조되고, 그 화상패턴의 화소가 일치하는 일치화소구가 계산되는 것으로, 이 머리의 제2 부위패턴과의 대조일치 화소수는 그 머리의 제2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부위메모리(17)내의 화소수 레지스터에 격납된다(단계 S4b).
다시말해 이 경우 패턴매칭처리에 있어서의 단계 S4a~S4c를 반복하는 것으로, 몽타주 대상으로서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된 얼굴 화상 중 머리화상데이터와, 부위메모리(17)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머리부위의 각 부위패턴과의 대조처리가 차례로 반복되고, 각각의 대조일치 화소수가 각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화소수 레지스터에 격납되어 가는 것이고, 이후 모든 머리부위패턴과의 대조처리가 종료하면 상기 단계 S4c에 있어서 「다음 패턴 없음」이라고 판단되고, 각 부위패턴에 대응하여 화소수 레지스터에 격납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일치화소수가 많은 순으로 유사순위번호가 부여되고, 각각 대응하는 순위 레지스터에 격납된다(단계 S4c → S4d).
이렇게 해서 먼저 비디오 입력된 얼굴화상데이터중 머리화상데이터에 대한 전체 머리부위패턴과의 대조처리 및 그 일치 화소수의 순위부여처리가 종류하면, 다시 단계 S3 및 S4에 있어서의 부위분해처리 및 패턴매칭처리가 반복되고, 상기 머리화상데이터의 다음 기본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판독된 눈썹화상데이터에 대한 모든 눈썹부위패턴과의 대조처리 및 유사도의 순위부여처리가 실행된다.
즉, 상기 단계 S3 및 S4에 있어서의 부위분해처리 및 패턴매칭처리가 반복되는 것으로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된 얼굴화상데이터의 모든 부위의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부위메모리(17)에 기억된 전체 부위패턴이 각 부위마다 대조되고, 그 일치 화소수에 의거하여 유사순위부여가 실행되게 된다(제2도 참조).
이렇게 해서 상기 부위메모리(17)의 각 부위 각각의 순위레지스터에 대해, 각 부위패턴의 얼굴화상데이터와의 순위가 격납되면 그 각각의 부위(머리, 눈썹, 눈, 코, 입, 귀, …)에 있어서의 최고순위의 부위패턴이 부위메모리(17)에서 판독되고,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된 얼굴화상데이터에 대해 이론상 가장 유사한 몽타주 패턴으로서 표시부(19)에 합성표시된다(단계 S5a).
즉, 사용자가 화상입력키(20)를 조작하고, 화상데이터입력부(14)를 통해 CPU(11)에 입력된 몽타주 대상인물의 얼굴화상데이터가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되면, 그 얼굴화상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위(머리, 눈썹, 눈, 코, 입, 귀, …) 각각의 화상데이터 패턴에 가장 유사한 부위패턴이 상기 패턴매칭처리에 의거하여 부위메모리(17)에서 자동적으로 판독되고, 표시부(19)에 합성되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5a에 있어서 표시부(19)에 대해, 몽타주 대상 인물의 얼굴화상데이터에 가장 유사한 몽타주 패턴이 합성표시된 상태에서 그 몽타주 패턴에 수정, 변경을 가하고 싶을 경우에 수정키(21)를 조작하면 표시부(19)에는 상기 몽타주 패턴과 함께 그 몽타주 패턴 중 수정대상이 되는 부위명(머리, 눈썹, 눈, 코, 입, 귀 등)이 표시된다(단계 S5b → S5c).
여기서 예를 들면 상기 수정키(21)를 4회 조작하여 수정대상이 되는 부위명 「코」를 선택표시시켰을 때 패턴선택키(↑)(22a)를 조작하면 부위메모리(17)의 보수 코부위 패턴에 대응한 순위레지스터(제2도 참조)에 격납되는 패턴 대조순위에 의거하여 제2 순위의 코부위패턴이 지정되어 판독되고, 현표시 몽타주 패턴에 있어서의 제1순위 코부위패턴으로 교체하여 합성표시된다(단계 S5d → S5e, S5f).
이 경우 상기 수정대상으로 지정된 부위패턴은 상기 패턴선택키(↑)(22a)를 조작할 때마다 다음 순위의 부위패턴으로 교환수정되고, 또한 패턴선택기(↓)(22b)를 조작할 때마다 전 순위의 부위패턴으로 교환수정된다(단계 S5d → S5e, S5f, S5b).
이렇게 해서 상기 표시부(19)에 표시된 몽타주 패턴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수정대상부위를 지정함과 동시에, 그 부위패턴을 소망의 패턴으로 교체하여 수정한 상태에서 등록키(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현표시상태에 있는 몽타주 패턴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의 번호가 몽타주 데이터로서 RAM 등에 기입되어 등록한다(단계 S5g → S6).
따라서 상기 구성의 몽타주 작성장치에 의하면, 화상입력키(20)의 조작에 따라 몽타주가 되는 대상인물의 얼굴화상을 비디오신호에 의해 화상데이터입력부(14)를 통해 CPU(11)에 입력시켜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시키면, 이 입력화상메모리(15)에 기억된 얼굴화상데이터 각 부위의 화상패턴이 기본위치메모리(16)에 기억되는 각 부위마다의 기본위치데이터에 의거하여 판독됨과 동시에, 부위메모리(17)에 미리 기억된 각 부위마다의 복수종류의 부위패턴과 패턴매칭부(18)에 있어서 대조되고, 그 화상패턴의 대조일치도가 가장 높은 각 부위마다의 부위패턴이 선택되어 표시부(19)에 합성표시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번잡한 키입력조작이나 부위패턴의 선정 등을 하지 않아도 실물에 의해 유사한 몽타주 패턴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되는 화상데이터는 인물의 얼굴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의 몸전체라도, 건조물, 자동차와 같은 기기류라도 좋다.
대상이 되는 물품의 구성부분을 패턴데이터로서 구비하고 있으면 처리는 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Claims (20)

  1. 인물의 얼굴을 촬영한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미리 얼굴을 구성하는 요소 적어도 눈, 코, 입을 포함하는 각각에 대해서 형상이 다른 복수의 패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요소데이터 기억수단과,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데이터에서 각 요소에 대응한 화상데이터를 개별로 추출하는 요소추출수단과, 추출된 화상데이터와 요소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요소 각각의 패턴데이터와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판단수단의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각 요소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패턴데이터를 조합하고 입력된 얼굴과 닮은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추출수단은 각 요소에 대응한 상기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의 기억위치정보를 기억하는 위치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서 얼굴의 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적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에 의해 작성된 화상데이터에서 얼굴을 구성하는 요소의 1개를 특정하는 수단과, 특정된 요소에 대해서 다른 패턴데이터와 치환하는 수정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4. 제3항에서 있어서, 수정수단은 치환된 패턴데이터로서 판단수단에서 다음으로 유사도가 높다고 판단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추출된 화상데이터와 패턴데이터의 화소가 일치한 수를 계수하는 계산수단과, 계산값의 크기에 의해 유사도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입력수단은 비디오신호에서 부여되는 화상신호에서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수단과, 휘도신호를 2치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7. 화상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 물체의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입력수단과, 상기 화상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물체의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과, 물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에 대해서 각 부분 각각에 복수의 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부분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물체의 각 구성부분의 화상데이터와 부분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부분의 패턴데이터와 패턴매칭을 실행하는 패턴매칭수단과, 패턴매칭된 결과에 의거하여 각 구성부분에 대해서 상기 부분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패턴데이터를 결정하는 패턴결정수단과, 물체를 패턴화하여 실현하기 위해 패턴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각 부분의 패턴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패턴매칭수단은 구성부분의 화상데이터와 패턴데이터의 요소가 일치한 수를 계수하는 계산수단과, 계산값의 크기에 의해 매칭이 적합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입력수단은 비디오신호로 부여되는 화상신호에서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수단과, 휘도신호를 2치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결정수단은 패턴매칭수단에 의한 매칭의 결과에 의거하여 각 패턴데이터에 대해 패턴데이터의 일치도를 부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합성된 패턴데이터의 구성부분을 다른 패턴데이터로 변경하는 수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다른 패턴데이터는 일치도가 낮은 패턴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정하는 부분을 지정하는 지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입력화상데이터는 인물의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부분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패턴데이터는 눈, 코, 입, 두발형, 윤곽, 눈썹에 관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장치.
  16. 물체를 직접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데이터에서 물체가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로 변화시키는 화상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a. 물품을 구성하는 각 부분에 대해서 각각의 복수의 패턴데이터를 준비하고, b. 물품의 화상데이터에서 물품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화상데이터를 차례로 추출하고, c. 추출한 화상데이터와 대응하는 복수의 패턴데이터 각각에 패턴매칭을 하고, d. 복수의 패턴데이터에 매칭결과의 순위를 부여하고, e. 각 부분의 순위가 높은 패턴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f. 합성된 화상에서 1개의 부분을 지정하고, g. 단계 f에서 지정된 부분을 다음 수위의 패턴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h. 비디오신호에서 휘도신호를 분리하고, i. 휘도신호를 2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화상데이터는 인물의 얼굴이고, 부분은 눈, 코, 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매칭은 일치하는 화소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데이터 처리방법.
KR1019930028849A 1992-12-21 1993-12-21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를 얻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970004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40298A JPH06187414A (ja) 1992-12-21 1992-12-21 似顔絵作成装置
JP92-340298 1992-12-21
JP92-360900 1992-12-30
JP92-360896 1992-12-30
JP4360900A JPH06203127A (ja) 1992-12-30 1992-12-30 モンタージュ出力装置
JP36089692A JP3298197B2 (ja) 1992-12-30 1992-12-30 似顔絵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似顔絵画像表示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915A KR940015915A (ko) 1994-07-22
KR970004116B1 true KR970004116B1 (ko) 1997-03-25

Family

ID=2734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849A KR970004116B1 (ko) 1992-12-21 1993-12-21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를 얻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88096A (ko)
EP (1) EP0603809A3 (ko)
KR (1) KR970004116B1 (ko)
CN (1) CN1045677C (ko)
MY (1) MY1098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8624A (en) * 1994-07-29 1998-09-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icture making apparatus for creating a picture for printing by assembling and positioning component parts
KR960018988A (ko) * 1994-11-07 1996-06-17 엠, 케이. 영 음향 보조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JP3671259B2 (ja) * 1995-05-31 2005-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998834A (ja) * 1995-08-03 1997-04-15 Yasuda Seiko Kk 髪形の選択システム
JP3069073B2 (ja) * 1998-01-23 2000-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話装置
CA2273188A1 (en) 1999-05-28 2000-11-28 Interque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data
US6408301B1 (en) 1999-02-23 2002-06-18 Eastman Kodak Company Interactive image storage, indexing and retrieval system
US7275256B1 (en) 2001-08-28 2007-09-25 Music Cho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visual complement to an audio program
US6539354B1 (en) 2000-03-24 2003-03-25 Fluent Speech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ducing and using synthetic visual speech based on natural coarticulation
JP3542958B2 (ja) * 2000-07-03 2004-07-14 ファイルド株式会社 ヘアーデザインシステム及びその利用
WO2003005304A1 (fr) * 2001-07-02 2003-01-16 Sharp Kabushiki Kaisha Procede, appareil et programme de selection graphique, procede, appareil et programme d'edition graphique et support d'enregistrement sur lesquels sont enregistres les programmes
US7626609B1 (en) 2003-03-07 2009-12-01 Music Choice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ntent while reducing burn-in of a display
US7158169B1 (en) * 2003-03-07 2007-01-02 Music Choice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ntent while reducing burn-in of a display
US20050049005A1 (en) * 2003-08-29 2005-03-03 Ken Young Mobile telephone with enhanced display visualization
US20050054442A1 (en) * 2003-09-10 2005-03-10 Anderson Peter R. Gaming machine with audio synchronization feature
US20050054440A1 (en) * 2003-09-10 2005-03-10 Wms Gaming Inc. Gaming machine with audio synchronization feature
US9153096B2 (en) * 2004-10-01 2015-10-06 Bally Gaming Inc. Audio markers in a computerized wagering game
US7563975B2 (en) 2005-09-14 2009-07-21 Mattel, Inc. Music production system
US20080263095A1 (en) * 2007-04-23 2008-10-23 Porter Iii Gilbert Brackett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ng electronic documents using an electronic device
WO2011056657A2 (en) 2009-10-27 2011-05-12 Harmonix Music Systems, Inc. Gesture-based user interface
US9981193B2 (en) 2009-10-27 2018-05-29 Harmonix Music Systems, Inc. Movement based recognition and evaluation
US9358456B1 (en) 2010-06-11 2016-06-07 Harmonix Music Systems, Inc. Dance competition game
EP2579955B1 (en) 2010-06-11 2020-07-08 Harmonix Music Systems, Inc. Dance game and tutorial
JP5949030B2 (ja) * 2012-03-26 2016-07-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49331B2 (ja) 2012-08-30 2016-07-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20303B1 (en) 2013-03-15 2019-03-05 Harmonix Music Systems, Inc. Gesture-based music g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3152A (en) * 1979-02-05 1982-06-01 Best Robert M TV Movies that talk back
US4569026A (en) * 1979-02-05 1986-02-04 Best Robert M TV Movies that talk back
US4305131A (en) * 1979-02-05 1981-12-08 Best Robert M Dialog between TV movies and human viewers
US4445187A (en) * 1979-02-05 1984-04-24 Best Robert M Video games with voice dialog
US4884972A (en) * 1986-11-26 1989-12-05 Bright Star Technology, Inc. Speech synchronized animation
US4913539A (en) * 1988-04-04 1990-04-03 New York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lip-synching animation
JP2518683B2 (ja) * 1989-03-08 1996-07-24 国際電信電話株式会社 画像合成方法及びその装置
US5111409A (en) * 1989-07-21 1992-05-05 Elon Gasper Authoring and use systems for sound synchronized animation
JPH03129572A (ja) * 1989-10-16 1991-06-03 Hudson Soft Co Ltd モンタージュ表示型電子手帳
GB9019829D0 (en) * 1990-09-11 1990-10-24 British Telecomm Speech analysis and image synthesis
US5149104A (en) * 1991-02-06 1992-09-22 Elissa Edelstein Video game having audio player interation with real time video synchronization
US5404426A (en) * 1991-05-21 1995-04-04 Hitachi, Ltd. Method of displaying hair style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5155706A (en) * 1991-10-10 1992-10-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utomatic feature detection and side scan sonar overlap navigation via sonar image matching
US5544305A (en) * 1994-01-25 1996-08-06 Apple Compu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executing interactive interpersonal computer simul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677C (zh) 1999-10-13
CN1089739A (zh) 1994-07-20
EP0603809A2 (en) 1994-06-29
KR940015915A (ko) 1994-07-22
US5588096A (en) 1996-12-24
EP0603809A3 (en) 1994-08-17
MY109854A (en) 1997-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116B1 (ko)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를 얻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0355382B1 (ko) 영상 시퀀스에서의 객체 레이블 영상 생성장치 및 그 방법
EP3161728A1 (en) Hierarchical interlinked multi-scale convolutional network for image parsing
WO2008012905A1 (fr) Dispositif d'authentification et procédé d'affichage d'une image à authentifier
JPH03231247A (ja) 画像輪郭データの作成方法
EP0603790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obtaining pattern-image data
JPH05181411A (ja) 地図情報照合更新方式
JP3061812B2 (ja) パターン認識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23983A (ko) 색 추출 장치 및 색 추출 방법
JPH07146937A (ja) パターンマッチング方法
JPH11306318A (ja) 顔すげ替え編集装置
JP3477750B2 (ja) 顔画像作成装置および顔画像作成方法
CN112150608A (zh) 一种基于图卷积神经网络的三维人脸重建方法
JPWO2008081527A1 (ja) 認証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並びに認証方法
JP2015232765A (ja) 画像生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画像生成方法
JP2003058885A (ja) 対応点探索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21224A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2236877A (ja) 文字列認識方法、文字認識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H06162180A (ja) 領域抽出方式
KR940015885A (ko) 패턴화된 화상데이터를 얻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H05334411A (ja) モンタージュ作成装置
JPH09161086A (ja) 顔画像作成装置及び画像生成装置
JPH11213133A (ja) 色変換装置
JPH02100768A (ja) イラスト作成装置
JPH0375648A (ja) 絵柄切抜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