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036A - 디스크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036A
KR970003036A KR1019950033428A KR19950033428A KR970003036A KR 970003036 A KR970003036 A KR 970003036A KR 1019950033428 A KR1019950033428 A KR 1019950033428A KR 19950033428 A KR19950033428 A KR 19950033428A KR 970003036 A KR970003036 A KR 970003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regeneration
trays
disc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56305B1 (ko
Inventor
사또루 고이즈미
히로시 마쯔까와
히로아끼 미야시게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7000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2Raising and lowering; Back-spacing or forward-spacing along track; Returning to starting position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Abstract

가요성을 지닌 래크 부재에는 대략 V자 형상의 캠부가 형성되고, 베이스 대에서의 격벽에는 대략 U자 형상의 안내 슬릿이형성되어 있다. 재생 유닛에 형성된 지지 바아는 안내 슬릿을 관통해서 캠부에 감입되고 있다. 각 트레이의 대향 측면에는 트레이 래크가 형성되어 있다. 래크 부재의 양 단부에 설치된 계합 핀이, 각 트레이에 형성된 안내 홈에 계합하면서안내된다. 이로 인해, 래크 부재가 각 트레이간을 이동하는 것만으로 재생 유닛의 승강, 각 트레이간에서의 이동 및 각트레이의 개폐를 연속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원은 트레이 기어체 뿐이며, 안내 홈이 구비되는 맞닿음부가 각 동작 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 구성에 의해서 고정밀도한 타이밍으로 동작을 절환할 수 있는 저렴한 디스크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재생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재생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재생 장치를 탑재한 오디오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제2트레이의 언로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laims (37)

  1. 디스크(5)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유닛(29,30)과, 디스크(5)를 취출 가능한 언로딩 위치 및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독취 가능한 로딩 위치 사이를 각각 왕복 이동하고, 기대(6) 위에서 서로 병렬로 배치된 제1, 제2트레이(3,4)와, 제1트레이(3)와 제2트레이(4)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체(10)와, 이동체(10)가 제1, 제2트레이(3,4)의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이동체(10)와 일체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재생 유닛(29,30)을 제1, 제2트레이(3,4)의 한 쪽에 적재된 특정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위치에서, 그 특정한 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떨어진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제1, 제2트레이(3,4)의 상기 다른 쪽 재생 위치로 이동시키는이동 캠(11)과, 재생 유닛(29,30)이 제1, 제2트레이(3,4)가 상기 한 쪽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제1, 제2트레이(3,4)의 상기 다른 쪽을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16)을 포함하고, 제1, 제2트레이(3,4)의 상기 다른 쪽 구동 수단(16)에 의한 왕복 이동은 이동체(10)와의 계합에 의해서 안내되고, 상기 구동 수단(16)은 상기 이동체(10)의 구동원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16)의 구동력을 상기 이동체(10)에 전달하는 구동 기어(19)도 포함하고,상기 이동체(10)에는 구동 기어(19)에 맞물리고 재생 유닛(29,30)의 이동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래크(10a)와 상기 이동캠(11)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 캠(11)은, 래크(10a)의 이동에 따라서, 재생 유닛(29,30)에 대해 상기 대략 수직 방향으로작용하는 분력을 부여해서 재생 유닛(29,30)을 대략 수직방향으로 동작하게 하는 승강용 캠부(11b,11d) 및 각 후퇴 위치사이에서 재생 유닛(29,30)을 이동시키는 계합부(11b,11d)를 구비하고, 재생 유닛(29,30)은 래크(10a)의 이동에 따라서,승강용 캠부(11b,11d) 및 계합부(11b,11d)에 연속해서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은,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방지 수단(29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0)는 가요성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있으며, 또한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1스위치(26)와,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있으며, 또한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2스위치(2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스위치는 상기 기대(6) 위에 설치되고, 이동체(10)의 이동에 따라서 제1스위치(26)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1절환부재(10g)와, 이동체(10)의 이동에 따라서 제2스위치(27)의 ON,OFF를 절환하는 제2절환부재(10h)가 상기 이동체(1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26) 및 제2스위치(27)는 각각 2회로 2접점형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에는 계합 핀(30b)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기대(6)에는 상기 이동체(10)와 재생 유닛(29,30)을 격리하는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계합 핀(30b)이 이동체(10)의 이동 캠(11)과 계합하도록끼워 넣고 또 이동 캠(11)에 의한 계합 핀(30b)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슬릿(25)이 상기 격벽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 슬릿(25)은, 상기 승강용 캠부(11b,11d)에 의한 계합 핀(30b)의 상기 대략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1트레이(3)에 대응해서 안내하는 제1수직안내슬릿(25a)과, 제2트레이(4)에 대응해서 안내하는 제2수직안내슬릿(25e)과, 상기 계합부(11b,11d)에 의한 계합 핀(30b)의 각 후퇴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 안내 슬릿(25c)을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비하고,상기 제1수직안내슬릿(25a)과 수평 안내 슬릿(25c) 및 제2수직안내슬릿(25e)과 수평 안내 슬릿(25c) 각각이 상기 대략 수직 방향 및 후퇴 위치 사이에서의 쌍방에 대해 사행하는 사행 슬릿(25b,25d)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디스크 재생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이동체(10) 본체에 맞닿아서 제1트레이(3)가 언로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규제부(8h)가 제1트레이(3)에 설치되고,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이동체(10) 본체에 맞닿아서 제2트레이(4)가 언로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규제부(9h)가 제2트레이(4)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16)은 상기 구동 기어(19)와 맞물리는 구동원 기어(16)를 포함하고, 이구동원 기어(16)와 맞물리는 트레이용 래크(3e,4e)가 제1, 제2트레이(3,4) 각각에 형성되고, 재생 유닛(29,30)이 제1, 제2트레이(3,4)의 한 쪽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구동원 기어(16)가 제1, 제2트레이(3,4)의 다른 쪽 트레이용 래크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용 래크(3e,4e)는 제1, 제2트레이(3,4)의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제1, 제2트레이(3,4)가 한 쪽을 향하는 제1방향(F)으로의 이동체(10)의 이동과, 제1, 제2트레이(3,4)의 다른 쪽 로딩 위치로부터 언로딩 위치를 향하는 진행 방향(A)으로의 이동을 상호 변환함과 동시에, 상기제1방향(F)과는 반대 방향인 제2방향(E)으로의 이동체(10)의 이동과, 제1, 제2트레이(3,4)가 상기 다른 쪽의 언로딩 위치로부터 로딩 위치로 복귀하는 복귀 방향(B)으로의 이동을 상호 변환하는 왕복 이동용 캠부(8d,9d)가 상기 이동체(10)와의계합 관계를 유지하도록, 제1, 제2트레이(3,4)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재생 유닛(29,30)을 제1, 제2트레이(3,4)의 한 쪽재생 위치로 배치하는 이동체(1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왕복 이동용 캠부(8d,9d)가 상기 구동원 기어(16)와 제1, 제2트레이(3,4)의 다른 쪽 트레이용 래크와의 맞물림과, 상기 구동 기어(19)와 래크(10a)의 맞물림 해제를 차례로 행하게 하는한편, 제1, 제2트레이(3,4)의 상기 다른 쪽에서의 복귀 방향(B)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구동 기어(19)와 래크(10a)의 맞물림과, 구동원 기어(16)와 상기 다른 쪽 트레이용 래크와의 맞물림 해제를 차례로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용 래크(3e,4e)는 제1, 제2트레이(3,4) 각각의 상기 진행 방향(A) 단부 및복귀 방향(B) 단부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래크(10a)는, 상기 이동체(10)의 제1트레이(3)측 단부 및 제2트레이(4)측 단부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구동원 기어(16)는 제1, 제2트레이(3,4)간 간격에서의 진행 방향(A)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0)에는 제1트레이(3)측 단부에 제1계합부재(10c)가 설치됨과 동시에, 제2트레이(4)측 단부에 제2계합부재(10d)가 설치되고, 제1트레이(3)에는 상기 제1계합부재(10c)가 계합 미끄럼 이동하는 제1안내홈(9)이 형성되고, 제2트레이(4)에는 상기 제2계합 부재(10d)가 계합 미끄럼 이동하는 제2안내 홈(9)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홈(8)은, 제1, 제2트레이(3,4) 사이에서의 이동체(10)의 왕복 이동을 제1트레이(3)의 왕복이동으로 변환해서,상기 구동원 기어(16)와 제1트레이(3)의 트레이용 래크(3e)의 맞물림과, 상기 이동체(10)의 제1트레이(3)측 단부에서 상기 래크(10a)와 구동 기어(19)의 맞물림 해제를 차례로 행하게 하는 제1왕복이동용 캠부(8d)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내홈(9)은, 제1, 제2트레이(3,4) 사이에서의 이동체(10)의 왕복 이동을 제2트레이(4)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구동원기어(16)와 제2트레이(4)의 트레이용 래크(4e)의 맞물림과, 상기 이동체(10)의 제2트레이(4)측 단부에서 상기 래크(10a)와 구동 기어(19)의 맞물림 해제를 차례로 행하게 하는 제2왕복이동용 캠부(9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홈(8)은, 제2트레이(4)에서 제1트레이(3)를 향하는 제1방향(F)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1가로홈부(8c)와, 제1가로홈부(8c)와 직교하도록 연장 설치된 제1세로홈부(8e)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왕복이동용 캠부(8d)는 제1가로홈부(8c) 및 제1세로홈부(8e) 각각에 대해 45°각도를 이루도록, 제1가로홈부(8c)와 제1세로홈부(8e)를 접속하고 있고, 상기 제2안내홈(9)은, 제1트레이(3)에서 제2트레이(4)를 향하는 제2방향(E)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2가로홈부(9c)와, 제2가로홈부(9c)와 직교하도록 연장 설치된 제2세로홈부(9e)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왕복이동용 캠부(9d)는 제2가로홈부(9c) 및 제2세로홈부(9e) 각각에 대해 45° 각도를 이루도록 제2가로홈부(9c)와 제2세로홈부(9e)를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제2트레이(3,4)의 어느 로딩 위치에서 언로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3방향(A)이라 하면, 상기 제1안내홈(8)은, 또한 상기 제1가로홈부(8c)의 제1방향(F) 단부가 제3방향(A)으로 방향을 바꾸고, 제2방향(E)을 향해서 반환하기 위한 원호상의 제1원호홈(8b)과, 제1원호홈(8b)에서 계속해서 제2방향(E)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1안내홈(8a)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안내홈(9)은 또한 상기 제2가로홈부(9c)의 제2방향(E) 단부가 제3방향(A)으로방향을 바꿔서, 제1방향(F)을 향해서 반환하기 위한 원호상의 제2원호홈(9b)과, 제2원호홈(9b)에서 계속해서 제1방향(F)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2가이드홈(9a)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0)는 가요성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기대(6)에는 제1, 제2트레이(3,4) 각각이 로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안내홈(8) 및 제2안내홈(9)과 정면으로 마주 대하고, 또한 상기 이동체(10)를 수납하는 래크 수납 홈(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있고, 또한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1스위치(26)와,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있고, 또한 재생 가능 상태에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2스위치(27)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10)의 상기 제1계합부재(10c)가 상기 제1안내홈(8a)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제1스위치(26)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1절환부재(10g)가 상기 이동체(10)의 제1트레이(3)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10)의 상기 제2계합부재(10d)가 상기 제2안내홈(9a)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제2스위치(27)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2절환부재(10h)가 상기 이동체(10)의 제2트레이(4)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26) 근방에서 기대(6)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되고, 제1스위치(26)를OFF로 하는 상태로 가압되어, 상기 제1절환부재(10g)에 의해 가압되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스위치(26)를 ON으로 하는 제1절환레버(21)와, 상기 제2스위치(27) 근방에서 기대(6)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되고, 제2스위치(27)를 OFF로 하는상태로 가압되어, 상기 제2절환부재(10h)에 의해 가압되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스위치(27)를 ON으로 하는 제2절환레버(2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26)는 또한 제2트레이(4)가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2회로 2접점형 스위치이며, 상기 제1절환레버(21)는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에 대해 재생 가능 상태에 있음을상기 제1스위치(26)가 검출할 때 상기 제1절환부재(19g)에 의해 가압되는 제1계합아암(21c)과, 제2트레이(4)가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상기 제1스위치(26)가 검출할 때 상기 제1절환부재(19g)에 의해 가압되는 제2계합아암(21d)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27)는 또한 제1트레이(3)가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2회로 2접점형 스위치이며, 상기 제2절환레버(22)는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에 대해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것을 상기 제2스위치(27)가 검출할 때 상기 제2절환부재(10h)에 의해 가압되는 제1계합아암(22c)과, 제1트레이(3)가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상기 제2스위치(27)가 검출할 때 상기 제2절환부재(10h)에 의해 가압되는 제2계합아암(22d)을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0)에는 제1트레이(3)측 단부에 제1계합부재(10c)가 설치됨과 동시에, 제2트레이(4)축 단부에 제2계합 부재(10d)가 설치되고, 제1트레이(3)에는 상기 제1계합부재(10c)가 계합해서미끄럼 이동하는제1안내홈(8)이 형성되고, 제2트레이(4)에는 상기 제2계합부재(10d)가 계합해서 미끄럼 이동하는 제2안내홈(9)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안내홈(8,9)은, 제1, 제2트레이(3,4) 사이에서의 이동체(10)의 왕복 이동을 제1, 제2트레이(3,4)의 한쪽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구동원 기어(16)와 트레이용 래크(3e,4e)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를 행하게 하는 제1왕복이동용 캠부(8d), 제2왕복이동용 캠부(9d)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이동 캠(11)은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에서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계합부재(10c)가 제1왕복이동용 캠부(8d)를 미끄럼 이동하면서 이동체(10)가 제2트레이(4)에서 제1트레이(3)를 향해서 이동하는 동안 재생 유닛(29,30)의 제1트레이(3)에서의 재생 위치를 유지하는 제1도피부(11c)를 포함함과 동시에,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에서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계합부재(10d)가 제2왕복이동용 캠부(9d)를 미끄럼 이동하면서 이동체(10)가 제1트레이(3)에서 제2트레이(4)를 향해서 이동하는 동안 재생 유닛(29,30)의 제2트레이(4)에서의 재생 위치를 유지하는 제2도피부(11e)를 포함하고,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의재생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제2계합부재(10d)가 제2왕복이동용 캠부(9d)에 인접하고,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제1계합부재(10c)가 제1왕복이동용 캠부(8d)에 인접하도록 제1왕복이동용캠부(8d)가 제1트레이(3)에 배채됨과 동시에, 제2왕복이동용 캠부(9d)가 제2트레이(4)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안내홈(8,9) 각각은, 이동체의 (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체 안내 홈(8c,9c)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있고 또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것을 검출하는 제1스위치(26)와,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있고 또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것을 검출하는 제2스위치(2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스위치는 상기 기대(6) 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10)의 이동에 따라서 제1스위치(26)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1절환부재(10g)와, 상기 이동체(10)의 이동에 따라서 제2스위치(27)의ON, OFF를 절환하는 제2절환부재(10h)가 이동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계합부재(10c)와 제1절환부재(10g), 제2계합부재(10d)와 제2절환부재(10h) 각각은 이동체(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캠부는 제1트레이(3)에 대해 재생 유닛(29,30)을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제1승강용캠부(11b)와, 제2트레이(4)에 대해 재생 유닛(29,30)을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제2승강용캠부(11d)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에는 계합 핀(30b)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이동 캠(11)은, 상기이동체(10)에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합 핀(30b)이 감입하는 슬릿이며, 상기 슬릿의 V자 저부에, 상기 계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용캠부(11b) 및 제2승강용캠부(11d)는 상기 계합부 양측에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도피부(11c)는 상기 제1승강용캠부(11b)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2도피부(11e)는 상기 제2승강용캠부(11d)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제2트레이(4)로부터 제1트레이(3)를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F), 제2트레이(3)에서 제2트레이(4)를 향하는 방향을 제2방향(E)이라 하면, 상기 제1도피부(11c)는 제1방향(F)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제2도피부(11e)는 제2방향(E)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19)와 구동원 기어(16)는 같은 치형으로 같은 잇수를 지님과 동시에,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6)에는 상기 구동원 기어(16)를 수동 회전시키기 위한 창부(6p)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9. 디스크(5)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유닛(29,30)과, 디스크(5)를 취출 가능한 언로딩 위치 및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독취 가능한 로딩 위치 사이를 각각 왕복 이동하고, 기대(6) 상에 서로 병렬로 배치된 제1, 제2트레이(3,4)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과, 구동원에 구비된 구동원 기어(16)와, 구동원 기어(16)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19)와, 구동 기어(19)와 맞물리는 동시에 재생 유닛(29,30)에 계합하고 재생 유닛(29,30)을 제1트레이(3)의 후퇴 위치와제2트레이(4)의 후퇴 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시키는 래크(10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트레이(3,4) 각각에는 이 구동원 기어(16)와 맞물리는 트레이용 래크(3e,4e)가 형성되고, 재생 유닛(29,30)이 제1, 제2트레이(3,4) 한 쪽에서의 재생위치에 있을 때, 구동원 기어(16)가 제1, 제2트레이(3,4)의 다른 쪽의 트레이용 래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래크(10a)와 계합하고, 또한 제1, 제2트레이(3,4) 한 쪽에서 다른 쪽을 향하는 래크(10a)의 직선 이동을 제1, 제2트레이(3,4)한 쪽의 상기 왕복 이동으로 변환하는 왕복이동용 캠부(8d,9d)가 제1, 제2트레이(3,4)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래크(10a)에는 각 트레이에 적재된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위치와 디스크(5)의 기록면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탈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을 이동시키도록, 재생 유닛(29,30)에 대해 상기 대략 수직 방향에 걸리는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용 캠 홈(11b,11d)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어느 재생 위치에 있을 때 래크(10a)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왕복 이동용 캠부(8d,9d)를 동작시키고 비재생측 트레이에서의 트레이용 래크와 상기 구동원 기어(16)를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시키는 동안 재생 유닛(29,30)을 재생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용 홈(11c,11e)이형성되고, 상기 승강용 캠 홈(11b,11d)은, 재생 유닛(29,30)을 직선 이동시키는 계합부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0. 디스크(5)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유닛(29,30)과, 디스크(5)를 취출 가능한 언로딩 위치 및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독취 가능한 로딩 위치 사이를 각각 왕복 이동하고, 기대(6) 위에서 서로 병렬로 배치된 제1, 제2트레이(3,4)와, 제1, 제2트레이(3,4) 한 쪽에 적재된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위치와 디스크(5)의 기록면에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탈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재생 유닛(29,30)을 지지축을 회동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키고, 다시제1트레이(3)가 후퇴 위치와 제2트레이(4)의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재생 유닛(29,30)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10)과, 상기회동 중심의 지지축을 겸해서 기대(6)에 설치되고, 양 후퇴 위치간의 재생 유닛(29,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수단(6g)과, 상기 회동단측에서 기대(6)에 설치되고, 양 후퇴 위치간의 재생 유닛(29,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수단(6t)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10)은 재생 유닛(29,30)의 회동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안내수단(6s)과 맞물림 하는 제1맞물림부(30e)가 재생 유닛(29,30)의 회동 중심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수단(6t)과 맞물림 하는 제2맞물림부(30f)가재생 유닛(29,30)의 회동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수단(6s)과 제1맞물림부(30e)의 맞물림 관계는 제2안내수단(6t)과제2맞물림부(30f)의 맞물림 관계보다 느슨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 제2트레이(3,4) 각각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만 재생 유닛(29,30)을 재생 위치에서 후퇴 위치를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수단(30g)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제1, 제2트레이(3,4)를 덮도록 배치되어, 제1, 제2트레이(3,4) 중 어느 것에 적재된 디스크(5)를 재생할 때 디스크(5)를 유지하는 기구가 설치된 뚜껑(7)을 포함하고, 뚜껑(7) 이면에는 돌기(7i)가 설치되고,상기 재생 유닛(29,30)은 위 뚜껑상의 홀딩 샤시(30)를 포함하고, 홀딩 샤시(30) 상면에는 상면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설편(30g)이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 형성되고, 재생 유닛(29,30)이 상기 재생 장치에 배치되면, 설편(30g)이 상기 돌기(7i)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재생 유닛(29,30)의 부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6)에는 상기 재생 유닛(29,30)을 격납함과 동시에, 재생 유닛(29,30)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수단(6s)은 재생 유닛(29,30)의 이동 범위 전체에 걸치도록 레일형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은, 윗뚜껑 상의 홀딩 샤시(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맞물림부(30e)는 홀딩 샤시(30) 이면에서, 상기 제1안내수단(6s)과 계합하는 레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제1, 제2트레이(3,4) 어딘가에 적재된 디스크(5)를 재생할 때, 디스크(5)를 유지하는기구가 설치된 뚜껑(7)을 포함하고, 뚜껑(7) 이면에서의 재생 유닛(29,30)이 회동 중심측에는 제1맞물림부(30e)와 제1안내수단(6s)의 계합 상태를 유지하는 규제편(7h)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수단(6t)은 상기 기대(6)에서 상기 제1안내수단(6s)과 대향하는 벽면에, 재생 유닛(29,30)이 이동 범위 전체에 걸치도록 레일형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은, 위뚜껑 상의 홀딩 샤시(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맞물림부(30f)는 홀딩 샤시(30) 이면에서 제2안내수단(6t)과 계합하는 레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33428A 1995-06-07 1995-09-30 디스크 재생 장치 KR0156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140953A JP3086154B2 (ja) 1995-06-07 1995-06-07 ディスク再生装置
JP95-140953 1995-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036A true KR970003036A (ko) 1997-01-28
KR0156305B1 KR0156305B1 (ko) 1998-12-15

Family

ID=1528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428A KR0156305B1 (ko) 1995-06-07 1995-09-30 디스크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68790A (ko)
EP (1) EP0747899B1 (ko)
JP (1) JP3086154B2 (ko)
KR (1) KR0156305B1 (ko)
CN (1) CN1153203C (ko)
DE (1) DE69525043T2 (ko)
MY (1) MY113763A (ko)
TW (1) TW2702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01442U (en) * 1995-09-04 1997-03-21 Asahi Seiko Co Ltd Plate-like article dispensing device
JPH11126401A (ja) * 1997-10-20 1999-05-11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JP2001052406A (ja) * 1999-08-06 2001-02-23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搬送機構および移動体搬送機構
KR20030028422A (ko) * 2001-10-01 2003-04-08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플레이어 및 이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
EP1816650B1 (en) 2004-09-30 2012-01-04 Sharp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5071128B2 (ja) 2008-01-30 2012-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ディア処理装置
DE102009050909A1 (de) * 2009-10-26 2011-04-28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enwechsler
CN107146634B (zh) * 2017-05-29 2018-05-11 湖南中融汇智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收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654A (ja) 1984-09-28 1986-04-24 Toshiba Corp ディスクレコ−ド再生装置
JP2523644B2 (ja) 1987-06-05 1996-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装置
EP0330731A3 (en) * 1988-03-04 1991-01-2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Front loading disk player
US5218592A (en) * 1988-08-30 1993-06-08 Sanyo Electric Co., Ltd. Disc player
KR910007430B1 (ko) * 1989-05-31 1991-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투윈 디스크플레이어
JPH0812733B2 (ja) * 1990-07-31 1996-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のトイレ機構
JP3017266B2 (ja) * 1990-10-08 2000-03-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KR920009778B1 (ko) * 1990-11-12 1992-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연속 플레이장치
JP3079828B2 (ja) * 1992-11-09 2000-08-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2939092B2 (ja) * 1993-06-10 1999-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048848B2 (ja) * 1994-08-17 2000-06-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47899A3 (en) 1998-02-11
US5668790A (en) 1997-09-16
CN1153203C (zh) 2004-06-09
KR0156305B1 (ko) 1998-12-15
MY113763A (en) 2002-05-31
JPH08335385A (ja) 1996-12-17
TW270200B (en) 1996-02-11
EP0747899A2 (en) 1996-12-11
JP3086154B2 (ja) 2000-09-11
CN1143243A (zh) 1997-02-19
DE69525043T2 (de) 2002-09-19
EP0747899B1 (en) 2002-01-16
DE69525043D1 (de)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1402Y2 (ja) カートリッジ収納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277960B1 (ko) 광 디스크 로딩장치
WO1989008918A1 (en) Disk magazine and disk loading device
KR970003036A (ko) 디스크 재생 장치
US6414929B1 (en) Disk device with improved loading mechanism
GB2293041A (en) Compact disc player with spring biased loading tray
US5396475A (en) Disk changer
JP2722512B2 (ja) ディスク収納ケース及び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US5377174A (en) Disk changer having a disk tray moved by a pair of slidable, parallel racks
JPH0512776A (ja) 光デイスク等のローデイング装置
US6958970B1 (en) Disk player
JP2757527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960008039B1 (ko) 미니디스크겸용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승강플레이트용 랙기어
JP2942492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US6628600B1 (en) Disc changer
JP3607797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3078219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3078218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2627140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2942493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H077560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970023155A (ko) 디스크 오토 체인저 장치
JPS6319955Y2 (ko)
JPH04252458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287360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におけるカートリッジイジェク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