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422A - 디스크 플레이어 및 이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 및 이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422A
KR20030028422A KR1020020059376A KR20020059376A KR20030028422A KR 20030028422 A KR20030028422 A KR 20030028422A KR 1020020059376 A KR1020020059376 A KR 1020020059376A KR 20020059376 A KR20020059376 A KR 20020059376A KR 20030028422 A KR20030028422 A KR 20030028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isk
chuck
lifte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오고이찌
가나모리요시아끼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테크노사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5881A external-priority patent/JP37178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5880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23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588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151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5883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3049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테크노사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42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플레이어는 수평의 회전축을 갖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에 설치된 디스크(12)로부터 신호 재생을 하기 위한 신호 재생 기구와,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12)를 보유 지지하여 턴테이블에 대해 접근 이격하는 것이 가능한 홀더(3)와, 홀더(3)를 왕복 구동하는 홀더 구동 기구와, 홀더(3) 내에 배치되어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리프터(5)와, 리프터(5)를 홀더(3) 내에서 승강 구동하는 리프터 구동 기구와, 홀더 구동 기구 및 리프터 구동 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원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 및 이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 {Disc Player and Television with The Same}
본 발명은 DVD 플레이어 등의 디스크 플레이어 및 디스크 플레이어를 내장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플레이어를 내장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디스크 플레이어는 표시 화면을 구비한 수상기 본체의 캐비넷 내, 혹은 수상기 본체의 측방에 배치한 스피커 장치의 캐비넷 내에 수용되어, 상기 캐비넷의 전방면 패널로부터 출몰하는 디스크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 상에 디스크를 수평 자세로 적재함으로써 전방면 패널의 안 쪽에 배치된 신호 재생 장치로 디스크를 송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박형의 텔레비전 수상기가 개발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박형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를 내장한 경우, 디스크는 수평의 자세로 캐비넷 내에 수용되므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캐비넷 안길이 치수가 디스크의 직경에 의해 제한되게 된다. 그래서, 디스크를 수직으로 세운 자세로 기록 재생 위치로 송입하는 디스크 플레이어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디스크를 수직 자세로 보유 지지한 홀더를 기록 재생 기구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턴테이블 혹은 홀더를 구동하여 턴테이블 상에 디스크를 세트하는 동시에, 턴테이블과의 대향 위치에 배치한 척 풀리를 디스크측으로 이동시켜 디스크를 턴테이블 상에 척(chuck)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그 하우징 천정면에 디스크 삽입구가 개방 설치되므로,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하는 경우, 디스크 플레이어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캐비넷 최상부에 배치해야만 해, 캐비넷의 중앙부나 하부에 배치할 수 없으므로, 위치의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디스크 삽입구로 수직 자세로 삽입한 디스크를 압박함으로써 디스크의 로딩이 개시되지만, 디스크를 과대한 힘으로 깊이 압박한 경우, 그 힘에 의해 디스크가 변형하거나, 디스크 로딩 기구가 손상을 입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정 샤시에 대해 디스크 홀더를 수평 방향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지지하고, 상기 홀더를 구동하여 홀더 내의 디스크를 신호 재생 위치로 송입하는 디스크 로딩 기구에 있어서, 홀더 내부에 디스크를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상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리프터를 배치한 경우, 상기 리프터는 홀더와 함께 수평 이동을 행하는 데 반해, 상기 리프터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리프터 구동 부재는 샤시측에 배치되어 승강 이동만이 허용되어 있으므로, 리프터 승강 부재와 리프터 사이의 연결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에 있어서는 턴테이블, 혹은 홀더를 왕복 구동하는 기구 외에, 척 풀리를 디스크에 대해 접근 이격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기구가 필요하고, 특히 척 풀리 구동 기구는 부품 개수가 많아, 이에 의해 디스크 척 기구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또한,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에 있어서는 턴테이블의 대향 위치에 배치한 척 풀리를 디스크측으로 이동시키고, 디스크를 턴테이블 상에 척하는 동작으로 척 풀리의 회전 중심축을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축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척 풀리를 턴테이블에 결합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중심축이 어긋난 상태에서 척 풀리를 턴테이블에 결합시키려고 한 경우, 결합 동작이 불확실한 것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1의 (a) 및 도1의 (b)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플레이어를 내장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홀더의 출몰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홀더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홀더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홀더를 생략한 상기 상태의 사시도.
도5는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6은 샤시 상의 부품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홀더에 대한 캠 슬라이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캠 기어로부터 캠 슬라이드에 이르는 동력 전달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샤시 상의 리프터 구동 레버로부터 리프터에 이르는 동력 전달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캠 기어와 리프터 사이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원동 기구로부터 리프터에 이르는 동력 전달 경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샤시의 사시도.
도13은 홀더의 사시도.
도14는 캠 기어의 정면도.
도15는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의 사시도.
도16은 리프터의 사시도.
도17은 홀더 구동 슬라이드의 사시도.
도18은 캠 슬라이드의 사시도.
도19의 (a) 및 도19의 (b)는 척 풀리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20은 철판 및 척 풀리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21은 척 풀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22의 (a), 도22의 (b) 및 도22의 (c)는 척 해제 동작을 도시한 일련의 단면도.
도23의 (a), 도23의 (b) 및 도23의 (c)는 홀더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한 세트의 도면.
도24의 (a), 도24의 (b) 및 도24의 (c)는 홀더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한 세트의 도면.
도25는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이젝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6은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리프터 하강 도중의 사시도.
도27은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홀더 후퇴 도중의 사시도.
도28은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홀더 폐쇄 상태의 사시도.
도29는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플레이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텔레비전 수상기 2 : 샤시
3 : 홀더 4 : 캠 기어
5 : 리프터 6 :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
7 : 구동 슬라이드 8 : 캠 슬라이드
11 : 디스크 플레이어 12 : 디스크
13 : 디스크 삽입구 14 : 턴테이블
16 : 캐비넷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한 경우에 캐비넷의 안길이 치수가 디스크 직경에 의해 제한을 받는 일이 없고, 게다가 캐비넷 내의 배치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는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플레이어는,
수평의 회전축을 갖는 턴테이블(14)과,
턴테이블(14) 상에 설치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로부터 신호 재생을 하기 위한 신호 재생 기구(15)와,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디스크 삽입구(13)를 갖고, 상기 디스크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를 보유 지지하여 턴테이블(14)에 대해 접근 이격하는 것이 가능한 홀더(3)와,
홀더(3)를 상기 접근 이격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홀더 구동 기구와,
홀더(3) 내에 배치되어 디스크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리프터(5)와,
리프터(5)를 홀더(3) 내에서 승강 구동하는 리프터 구동 기구와,
모터(21)를 동력원으로 하여 홀더 구동 기구 및 리프터 구동 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원동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홀더(3)를 턴테이블(14)로부터 가장 떨어진 개방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리프터(5)를 가장 상방의 위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3)의 디스크 삽입구(13)로 디스크(12)를 수직 자세로 삽입한다. 이에 의해, 디스크(12)는 리프터(5)에 의해 받아내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우선 리프터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리프터(5)가 하강하고, 이에 수반하여 디스크(12)가 홀더(3)의 내부에 수용된다.
다음에, 홀더 기구가 동작하여 홀더(3)가 턴테이블(14)을 향해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홀더(3) 내의 디스크(12)가 턴테이블(14) 상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리프터(5)가 약간 하강하여 디스크(12)로부터 이격함으로써, 디스크(12)의 회전이 자유로워진다. 이 상태에서 턴테이블(14)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디스크(12)가 회전하여 신호 재생 기구(15)에 의해 디스크(12)로부터 신호가 재생된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따르면,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하는 경우에, 캐비넷 내의 배치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디스크는 전방면 패널과 평행한 수직 자세로 캐비넷 내로 수용되므로, 캐비넷의 안길이 치수가 디스크 직경에 의한 제한을 받는 일은 없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를 내장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디스크 플레이어(11)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캐비넷(16) 전방면 패널(17)로부터 노출시켜 부착된다. 턴테이블(14)은 디스크(12)를 상기 전방면 패널(17)과 평행한 수직 자세로 회전 구동한다. 또한, 홀더(3)는 디스크 삽입구(13)를 전방면 패널(17)의 전방으로 진출시킨 개방 위치와, 디스크 삽입구(13)를 전방면 패널(17)의 후방으로 후퇴시킨 폐쇄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상기 본 발명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홀더(3)는 전후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전방면 패널(17)로부터 디스크 삽입구(13)를 출몰시키므로, 디스크 플레이어(11)의 상방에 다른 메커니즘을 배치했다고 해도, 디스크 플레이어(11)의 동작에 지장은 없다. 따라서, 디스크 플레이어(11)를 캐비넷(16) 내의 중앙부나 하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디스크를 수직으로 세운 자세에서 기록 재생 위치로송입하는 방식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디스크를 수직 자세로 삽입구에 삽입하여 압박할 때, 디스크를 과대한 힘으로 깊이 압박했다고 해도, 디스크가 변형하거나, 홀더 내의 리프터 승강 기구가 손상을 입거나 하는 일이 없고, 게다가 리프터 승강 기구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플레이어는,
턴테이블(14) 및 신호 재생 기구(15)가 배치된 샤시(2)와,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디스크 삽입구(13)를 갖고, 샤시(2)에 수평 방향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턴테이블(14)에 대해 접근 이격하는 홀더(3)와,
홀더(3)를 상기 접근 이격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홀더 구동 기구와,
홀더(3)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디스크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리프터(5)와,
리프터(5)를 홀더(3) 내에서 승강 구동하는 리프터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터 구동 기구는 샤시(2)에 배치된 원동 기구(20)에 의해 승강 구동되는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와, 상기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의 단부를 리프터(5)의 단부에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6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홀더(3)를 턴테이블(14)로부터 가장 떨어진 개방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리프터(5)를 가장 상방의 위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5)의 디스크 삽입구(13)로 디스크(12)를 수직 자세로 삽입한다. 이에 의해, 디스크(12)는 리프터(5)에 의해 받아내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12)를 압박하면, 원동 기구(20)가 기동하여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가 하방으로 구동된다. 여기서,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와 리프터(5)는 연결 스프링(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와 일체로 리프터(5)가 하강하고, 이에 수반하여 디스크(12)가 홀더(3) 내부에 수용된다.
이 경우, 과대한 힘으로 깊이 디스크(12)를 압박했다고 해도, 연결 스프링(60)이 신장함으로써 리프터(5)는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에 대해 하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연결 스프링(60)에 의해 리프터(5)에 작용하는 과대한 힘이 흡수되므로, 디스크(12)가 변형하거나, 리프터 구동 기구가 손상을 입거나 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홀더 구동 기구가 동작하여 홀더(3)가 턴테이블(14)을 향해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홀더(3) 내의 디스크(12)가 턴테이블(14) 상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홀더(3)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홀더(3) 내의 리프터(5)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반해,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는 샤시(2)측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만이 허용되어 있지만, 리프터(5)와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는 연결 스프링(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연결 스프링(60)이 신장함으로써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에 대한 리프터(5) 수평 방향의 상대 이동이 허용된다.
그 후, 리프터(5)가 약간 하강하여 디스크(12)로부터 이격함으로써 디스크(12)의 회전이 자유로워진다. 이 상태에서 턴테이블(14)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디스크(12)가 회전하고, 신호 재생 기구(15)에 의해 디스크(12)로부터 신호가 재생된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따르면, 디스크를 수직 자세로 홀더의 삽입구에 삽입하여 압박할 때, 디스크를 과대한 힘으로 깊이 압박했다고 해도, 디스크가 변형하거나, 리프터 승강 기구가 손상을 입거나 하는 일은 없다. 게다가 리프터 승강 기구는 리프터와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를 연결 스프링에 의해 서로 연결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를 간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는,
디스크(12)를 보유 지지하여 턴테이블(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 이격해야 할 홀더(3)와,
홀더(3)에 개방 설치된 개구(34)를 관통하여 부착되고, 턴테이블(14) 사이에 디스크(12)를 협지해야 할 척 풀리 어셈블리(9)와,
홀더(3)에 척 풀리 어셈블리(9)에 대향하여 부착된 금속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척 풀리 어셈블리(9)는 턴테이블(14)과 결합해야 할 수지제의 척 풀리(91)와, 상기 금속 부재에 대향해야 할 금속제의 척 디스크(92)와, 척 풀리(91)와 척 디스크(92) 사이에 배치된 마그네트(93)를 구비하고, 척 디스크(92)에는마그네트(93)로부터 방사되는 자력선을 상기 금속 부재를 향해 누설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94)이 개방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크 척 기구에 있어서는, 디스크 척 동작으로 홀더(3)가 턴테이블(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홀더(3)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12)가 턴테이블(14) 상에 설치된다. 또한, 홀더(3)에 부착되어 있는 척 풀리 어셈블리(9)가 턴테이블(14)에 접근함으로써, 척 풀리 어셈블리(9)의 마그네트(93) 자력이 턴테이블(14)에 강하게 작용하여 척 풀리 어셈블리(9)가 턴테이블(14)에 의해 흡착된다. 이 결과, 디스크(12)가 턴테이블(14) 상에 척되게 된다.
또한, 마그네트(93)로부터 방사되는 자력선은 척 풀리 어셈블리(9)의 척 디스크(92)의 관통 구멍(94)으로부터 누설하여 홀더(3)의 금속 부재에도 미치지만, 마그네트(93)와 턴테이블(14)과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마그네트(93)의 자력은 금속 부재보다도 턴테이블(14)에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디스크의 척을 해제하는 동작에 있어서는 홀더(3)가 턴테이블(14)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함으로써, 홀더(3)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12)가 턴테이블(14)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또한, 홀더(3)에 부착되어 있는 척 풀리 어셈블리(9)가 턴테이블(14)로부터 이격함으로써 턴테이블(14)로부터의 흡인력이 저하하여, 척 디스크(92)의 관통 구멍(94)으로부터의 누설 자력선이 홀더(3)의 금속 부재에 미침으로써 얻어지는 흡인력이 우위가 되어 척 풀리 어셈블리(9)는 금속 부재에 의해 흡착된다. 이 결과, 디스크(12)가 턴테이블(14)로부터 이격하는 동시에상기 디스크(12)로부터 척 풀리 어셈블리(9)가 이격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에 따르면, 홀더(3)를 턴테이블(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 이격하는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것만으로 홀더(3)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12)의 척 및 척 해제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 척 기구의 구성이 간이해진다. 또한, 척 디스크(92)에 개방 설치해야 할 관통 구멍(94)의 내경이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홀더(3)의 금속 부재로부터 받는 흡착력을 가감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디스크 척 해제에 수반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척 풀리의 회전 중심축을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축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척 풀리를 턴테이블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디스크 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는,
디스크(12)를 보유 지지하여 턴테이블(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 이격해야 할 홀더(3)와,
홀더(3)에 개방 설치된 개구(34)를 관통하여 부착되고, 턴테이블(14) 사이에 디스크(12)를 협지해야 할 척 풀리(91)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3) 개구(34)의 내주면과 척 풀리(91)의 외주면 사이에는 척 풀리(91)의 반경 방향 및 회전 방향에 일정한 여유가 마련되는 동시에, 척 풀리(91)에는 홀더(3)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홀더(3) 개구(34)의 내주 모서리와 미끄럼 접촉하여척 풀리(91)의 중심축을 턴테이블(14)의 중심축에 일치시키기 위한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크 척 기구에 있어서는 척 풀리(91)가 턴테이블(14)에 결합하여 홀더(3) 내의 디스크(12)가 턴테이블(14) 상에 설치된 상태로부터 홀더(3)가 구동되어 턴테이블(14)로부터 이격함으로써, 우선 척 풀리(91)가 턴테이블(14)로부터 이탈하여 홀더(3)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척 풀리(91)의 가이드면이 홀더(3) 개구(34)의 내주 모서리에 미끄럼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면에 의한 코어 맞춤 작용에 의해 척 풀리(91)는 그 회전 중심축이 턴테이블(14)의 회전 중심축에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홀더(3)가 다시 턴테이블(14)로부터 이격함으로써 디스크(12)는 턴테이블(14)로부터 이탈된다.
그 후, 척 동작에 있어서 홀더(3)가 턴테이블(14)측으로 구동되면, 우선 디스크(12)가 턴테이블(14) 상에 설치되고, 계속해서 척 풀리(91)가 턴테이블(14)에 의해 흡인된다. 이 때, 척 풀리(91)는 턴테이블(14)과 동축 상에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홀더(3) 개구(34)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일 없이 턴테이블(14)을 향해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상태의 자세로 턴테이블(14)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에 따르면, 척 풀리의 회전 중심축을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축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척 풀리를 턴테이블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확실한 결합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1의 (a) 및 도1의 (b)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플레이어(11)를 내장한 박형의 텔레비전 수상기(1)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1)는 화면(1O)을 구비한 수상기 본체의 양 측에 한 쌍의 스피커 장치를 배치하여 구성되고, 한 쪽 스피커 장치의 캐비넷(16) 내에는 그 전방면 패널(17)의 하부로부터 노출시켜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11)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플레이어(11)는 디스크(12)를 보유 지지해야 할 홀더(3)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3)는 도1의 (a)와 같이 전방면 패널(17)의 후방으로 후퇴한 폐쇄 상태와, 도1의 (b)와 같이 전방면 패널(17)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된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전후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도1의 (b)와 같이, 홀더(3)를 개방 상태까지 이동시켰을 때, 상기 홀더(3)의 상면에 개방 설치된 디스크 삽입구(13)가 노출되어 디스크(12)의 삽입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디스크(12)를 수용한 홀더(3)가 도1의 (a)와 같이 폐쇄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상기 홀더(3) 내의 디스크(12)가 턴테이블(도시 생략) 상에 설치되어 신호 재생 기구(도시 생략)에 의한 신호의 재생이 행해진다.
디스크 플레이어(11)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길이 치수가 작은 상자형의 샤시(2)를 구비하고, 상기 샤시(2)에 대해 홀더(3)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홀더(3)의 내부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를 받아내기 위한 리프터(5)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리프터(5)에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의 디스크 받침부(56)가 설치되어 있다.
샤시(2)의 배면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도시 생략)를 동력원으로 하여 캠 기어(4)를 회전 구동하는 원동 기구(2O)가 배치된다. 캠 기어(4)에는 샤시(2)측의 표면에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용돌이형으로 신장하는 2개의 캠 홈(41)(42)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 캠 홈(41, 42)의 캠 작용에 의해 홀더(3)의 왕복 구동과 리프터(5)의 승강 구동이 행해진다.
샤시(2)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2)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턴테이블(14)과, 턴테이블(14) 상의 디스크(12)로부터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신호 재생 기구(15)가 배치되어 있다.
[홀더 구동 기구]
샤시(2)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벽 및 하부벽으로 각각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2개의 홀더 안내 홈(23, 23)이 개방 설치되어 있다. 이들 홀더 안내 홈(23, 23, 23, 23)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수 비스(31)가 각각 삽입 통과되고, 그 선단부가 홀더(3)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홀더(3)는 샤시(2)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샤시(2)와 홀더(3) 사이에는 도7 및 도18에 도시한 캠 슬라이드(8)가 배치되고, 상기 캠 슬라이드(8)는 샤시(2)에 대해 좌우 수평 방향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캠 슬라이드(8)의 상부벽 및 하부벽에는 각각 경사 방향으로 신장되는 2개의 캠 홈(81, 81)이 개방 설치되어 있고, 각 캠 홈(81)을 상기 특수 비스(31)가 관통하여 그 선단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3)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캠 슬라이드(8)가 좌우로 구동되면 상기 캠 슬라이드(8)의 캠홈(81)의 캠 작용에 의해 홀더(3)가 전후로 왕복 구동되게 된다.
샤시(2)에는 캠 기어(4)와의 대향면에 도8 및 도17에 도시한 홀더 구동 슬라이드(7)가 샤시(2)에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홀더 구동 슬라이드(7)에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종동기(71), 돌기 부재(74, 75) 및 스프링 걸이 부재(73)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캠 종동기(71)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4)의 제1 캠 홈(41)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돌기 부재(74, 75)가 샤시에 개방 설치한 안내 홈(도시 생략)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 구동 슬라이드(7)의 왕복 이동이 안내되어 있다. 스프링 걸이 부재(73)에는 연결 스프링(7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 스프링(72)의 타단부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슬라이드(8)에 돌출 설치한 스프링 걸이 부재(8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23의 (a), 도23의 (b) 및 도23의 (c) 및 도24의 (a), 도24의 (b) 및 도2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4)의 회전에 의해 홀더 구동 슬라이드(7)가 좌우로 왕복 구동되면, 상기 홀더 구동 슬라이드(7)와 연결 스프링(72)을 거쳐서 연결된 캠 슬라이드(8)가 홀더 구동 슬라이드(7)와 일체로 왕복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 구동 슬라이드(7)의 캠 홈(81)의 캠 작용에 의해 홀더(3)가 전후로 왕복 구동되는 것이다.
[리프터 구동 기구]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5)에는 상하 한 쌍의 비스(54)(54)가 나사 결합하고 있고, 상기 비스(54)(54)의 헤드부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에상하 방향으로 개방 설치한 리프터 안내 홈(32)에 결합하여 리프터(5)의 승강 이동이 안내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2)의 측벽에는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에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형 부재(62), 돌기 부재(63, 64) 및 스프링 걸이 부재(65)가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긴 구멍(61)이 개방 설치되어 있고, 돌기 부재(63)(64)가 샤시의 측벽에 개방 설치한 안내 홈(도시 생략)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의 승강이 안내되어 있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5)의 하단부에 돌출 설치한 스프링 걸이 부재(55)와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의 스프링 걸이 부재(65) 사이에 연결 스프링(60)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 스프링(60)의 압박력에 의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5)의 상단부면(66)이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의 설형 부재(62)에 압접되어 있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2)에는 리프터 구동 레버(50)가 배치되고, 상기 리프터 구동 레버(50)의 기단부가 샤시(2)에 돌출 설치된 피봇축(51)에 피봇 지지되어 리프터 구동 레버(50)가 수직면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 구동 레버(50)의 중간부에는 캠 종동기(52)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캠 종동기(52)가 캠 기어(4)의 제2 캠 홈(42)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리프터 구동 레버(50)의 선단부에는 구동 핀(53)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구동 핀(53)이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의 긴 구멍(6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따라서, 캠 기어(4)의 회전에 의해 리프터 구동 레버(50)가 요동 구동되고, 이에 의해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가 승강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의 승강에 수반하여 리프터(5)가 승강하게 된다.
또한,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는 샤시(2) 상에 배치되고, 리프터(5)는 홀더(3)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홀더(3)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와 리프터(5)는 수평 방향의 상대 이동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와 리프터(5)는 연결 스프링(6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리프터(5) 상단부면(66)이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의 설형 부재(62)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연결 스프링(60)이 신장됨으로써 양자의 수평 방향의 상대 이동이 허용된다.
[원동 기구]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 기구(20)는 동력원이 되는 모터(21)의 출력축을 기어 및 풀리로 이루어지는 감속 기구(22)를 거쳐서 캠 기어(4)의 기어부에 연결하여 구성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4)의 제1 캠 홈(41)은 홀더(3)를 개방 완료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기 위한 캠 홈부(A)와, 홀더(3)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왕복 구동하기 위한 캠 홈부(B)와, 홀더(3)를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캠 홈부(C)를 갖고 있다. 또한, 캠 기어(4)의 제2 캠 홈(42)은 리프터(5)를상승단부(이젝트 완료 위치)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캠 홈부(D)와, 리프터(5)를 상승단부와 하강단부의 직전 위치(처킹 위치) 사이에서 승강 구동하기 위한 캠 홈부(E)와, 리프터(5)를 처킹 위치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캠 홈부(F)와, 리프터(5)를 처킹 위치와 하강단부(플레이 위치) 사이에서 왕복 구동하기 위한 캠 홈부(G)와, 리프터(5)를 하강단부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캠 홈부(H)를 갖고 있다.
[척 기구]
홀더(3)에는, 도7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34)가 개방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홀더(3)의 표면에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34)를 막아 철판(30)이 고정되어 있다. 홀더(3)에는 그 개구(34)를 관통하여 척 풀리 어셈블리(9)가 배치되어 반경 방향 및 회전축 방향으로 약간의 여유를 갖고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척 풀리 어셈블리(9)는,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 풀리(91)와 척 디스크(92)를 서로 결합시켜 구성된다. 척 풀리(91)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91a) 및 원판부(91b)로 이루어지는 수지의 일체 성형품이고, 척 디스크(92)는 철판의 일체 성형품이다. 척 풀리(91)와 척 디스크(92) 사이에는 링형의 마그네트(93)가 협지되어 있다.
척 디스크(92)에는 마그네트(93)와의 대향부에 복수의 관통 구멍(94)이 개방 설치되어 있고, 마그네트(93)로부터 방사되는 자력선을 관통 구멍(94)으로부터 누설시켜 도20에 도시한 철판(30)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척 풀리(91)에는 원통부(91a)와 원판부(91b)에 걸쳐서 척 풀리(91)의 회전축에 대해경사진 쐐기형의 리브(95)가 복수 부위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복수 리브(95)의 외접원 직경은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 개구(34)의 내경에 일치하고 있다.
상기 척 기구에 있어서는, 도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가 척 위치까지 후퇴하였을 때, 척 풀리 어셈블리(9)의 마그네트(93)의 자력이 철판(30)보다도 턴테이블(14)의 금속 부분에 강하게 작용하여 척 풀리 어셈블리(9)는 턴테이블(14)에 의해 흡착된다. 이 결과, 척 풀리 어셈블리(9)는 홀더(3)의 철판(30)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홀더(3)에 대해 회전 반경 방향 및 회전축 방향으로 약간의 여유를 갖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척 풀리 어셈블리(9)는 마그네트(93)의 자력에 의해 디스크(12)를 턴테이블(14)을 향해 압박하고, 이에 의해 디스크(12)는 척 풀리 어셈블리(9)와 턴테이블(14) 사이에 협지되게 된다. 따라서, 턴테이블(14)이 회전하면, 상기 턴테이블(14)과 일체로 디스크(12)와 척 풀리 어셈블리(9)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디스크(12)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신호 재생 후, 디스크(12)를 배출하기 위해, 도22의 (b)와 같이 홀더(3)가 턴테이블(14)로부터 이격하면, 상기 홀더(3)의 이동에 의해 척 풀리 어셈블리(9)가 턴테이블(14)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 결과, 척 풀리 어셈블리(9)의 마그네트(93) 자력이 텐테이블(14)보다도 철판(30)에 강하게 작용하여 척 풀리 어셈블리(9)는 철판(30)에 의해 흡착된다. 이 때, 척 풀리 어셈블리(9)의 리브(95)의 경사면이 홀더(3) 개구(34)의 내주 모서리에 미끄럼 접촉하고, 상기 경사면에의한 코어 맞춤 작용에 의해 척 풀리 어셈블리(9)는 그 회전 중심축이 턴테이블(14)의 회전 중심축과 일치하고, 이 상태에서 홀더(3)에 보유 지지된다.
그 후, 도2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홀더(3)가 턴테이블(14)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3)의 이동에 수반하여 디스크(12)가 턴테이블(14)로부터 이탈하고, 하방에서 대기하는 리프터(5)에 의해 받아내어지게 된다. 이 때, 척 풀리 어셈블리(9)는 디스크(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홀더(3)에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디스크(12)가 척 풀리 어셈블리(9)와 간섭할 우려는 없다.
또한, 척 풀리 어셈블리(9)는 턴테이블(14)과 중심축이 일치한 위치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후의 척 동작에 있어서 도22의 (a)와 같이 척 풀리 어셈블리(9)가 턴테이블(14)에 의해 흡인되었을 때, 척 풀리 어셈블리(9)는 홀더(3) 개구(34)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일 없이 수직 자세로 턴테이블(14)측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상태의 자세에서 턴테이블(14)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원활한 처킹 동작이 실현된다.
[모드 천이]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2)에는 홀더(3)가 폐쇄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폐쇄 스위치(25)와, 리프터(5)가 하강단부에 도달한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척 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홀더(3)에는 리프터(5)가 상승단부에 도달한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이젝트 스위치(3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스위치(25, 26, 33)는 도시 생략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입력 포트에 접속되어 있고, 각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거하여 상기 원동 기구(20)의 모터(21)의 회전이 제어된다.
도25 내지 도29는 디스크 이젝트 완료 상태로부터 플레이 상태에 이르는 동작 모드의 천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25에 도시한 디스크 이젝트 완료 상태에서는 홀더(5)가 전방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리프터(5)가 상승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홀더(3)의 디스크 삽입구(13)로부터 디스크(12)를 삽입하여 손을 떼면, 상기 디스크(12)는 자중에 의해 약간 낙하한 후, 리프터(5)에 의해 받아내어진다.
이 상태로부터 디스크(12)를 약간 압박하면, 리프터(5)가 도11에 도시한 연결 스프링(60)에 저항하여 하강하고, 이에 수반하여 이젝트 스위치(33)가 오프가 된다. 이 결과, 원동 기구(20)의 모터(21)가 기동하여 캠 기어(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캠 기어(4)의 회전에 의해 리프터 구동 레버(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가 하강한다. 또한,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의 하강에 수반하여 도26과 같이 리프터(5)가 하강하고, 상기 리프터(5) 상의 디스크(12)가 홀더(3) 내로 인입되어 간다.
또한, 디스크(12)를 압박할 때, 과도한 힘을 디스크(12)에 가했다고 해도, 연결 스프링(60)이 신장함으로써 그 힘은 흡수되므로, 디스크(12)가 변형하거나, 리프터 구동 기구가 손상을 입거나 할 우려는 없다.
도26의 상태로부터 다시 캠 기어(4)가 회전함으로써,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5)가 하강을 계속하는 동시에, 홀더(3)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후퇴를 개시한다. 그리고, 도28에 도시한 척 완료 상태에서는 리프터(5)가척 위치까지 하강하여 홀더(3)가 폐쇄 위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폐쇄 스위치(25)가 온이 되어 홀더(3)의 폐쇄 완료가 검지된다.
그 후, 도29에 도시한 플레이 상태에서는 리프터(5)가 더 하강하여 척 상태의 디스크(12)로부터 이탈한다. 이 시점에서, 척 스위치(26)가 온이 된다. 이에 의해, 턴테이블(14)이 회전 구동되어 신호 재생 기구(15)에 의한 디스크(12)의 재생이 개시된다.
디스크(12)의 재생 후, 디스크(12)를 배출할 경우에는 원동 기구(20)의 모터(21)에 의해 캠 기어(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5)가 척 위치까지 상승하여 디스크(12)를 받아낸다. 계속해서,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을 개시하고, 계속해서 리프터(5)가 상승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5)가 개방 위치에 도달한다. 리프터(5)는 다시 상승을 계속하여, 최종적으로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5)가 상승단부에 도달하여 디스크(12)의 배출이 완료된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11)는, 도1의 (a), 도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상기(1)의 캐비넷(16) 전방면 패널(17)로부터 노출시켜 부착되고, 홀더(3)는 디스크 삽입구(13)를 전방면 패널(17)의 전방으로 진출시킨 개방 위치[도1의 (b)]와, 디스크 삽입구(13)를 상기 전방면 패널(17)의 후방으로 후퇴시킨 폐쇄 위치[도1의 (a)]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전방면 패널(17)로부터 디스크 삽입구(13)를 출몰시키므로, 캐비넷(16) 내의 디스크 플레이어(11)의 상방 위치에 다른 메커니즘을 배치했다고 해도, 디스크 플레이어(11)의 동작에 지장은 없다. 따라서, 디스크 플레이어(11)을 전방면 패널(17)의 중앙부나 하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12)는 전방면 패널(17)과 평행한 수직 자세로 홀더(3) 내에 수용되므로, 캐비넷(16)의 안길이 치수가 디스크(12)의 직경에 의한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캐비넷(16)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리프터 구동 기구는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와 리프터(5)를 단순히 연결 스프링(60)에 의해 서로 연결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12)나 리프터 구동 기구의 손상이 방지되는 동시에,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와 리프터(5)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척 기구는 홀더(3)를 턴테이블(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 이격하는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것만으로 홀더(3)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12)의 척 및 척 해제를 행하므로, 구성이 매우 간이하다. 게다가 또한, 디스크 척 동작에 있어서, 척 풀리 어셈블리(9)는 그 회전 중심축이 턴테이블(14)의 회전 중심축에 일치된 상태에서 턴테이블(14)에 결합하므로, 확실한 결합 동작이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가능한 다양한 변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따르면,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하는 경우에, 캐비넷 내의 배치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디스크는 전방면 패널과 평행한 수직 자세로 캐비넷 내에 수용되므로, 캐비넷의 안길이 치수가 디스크 직경에 의한 제한을 받는 일은 없다.
상기 제2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따르면, 디스크를 수직 자세로 홀더의 삽입구에 삽입하여 압박할 때, 디스크를 과대한 힘으로 깊이 압박했다고 해도, 디스크가 변형하거나, 리프터 승강 기구가 손상을 입거나 하는 일은 없다. 게다가 리프터 승강 기구는 리프터와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를 연결 스프링에 의해 서로 연결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3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에 따르면, 홀더(3)를 턴테이블(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 이격하는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것만으로 홀더(3)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12)의 척 및 척 해제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 척 기구의 구성이 간이해진다. 또한, 척 디스크(92)에 개방 설치해야 할 관통 구멍(94)의 내경이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홀더(3)의 금속 부재로부터 받는 흡착력을 가감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디스크 척 해제에 수반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에 따르면, 척 풀리의 회전 중심축을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축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척 풀리를 턴테이블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확실한 결합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6)

  1.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이며,
    수평의 회전축을 갖는 턴테이블(14)과,
    턴테이블(14) 상에 설치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로부터 신호 재생을 하기 위한 신호 재생 기구(15)와,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디스크 삽입구(13)를 갖고, 상기 디스크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를 보유 지지하여 턴테이블(14)에 대해 접근 이격하는 것이 가능한 홀더(3)와,
    홀더(3)를 상기 접근 이격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홀더 구동 기구와,
    홀더(3) 내에 배치되어 디스크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리프터(5)와,
    리프터(5)를 홀더(3) 내에서 승강 구동하는 리프터 구동 기구와,
    모터(21)를 동력원으로 하여 홀더 구동 기구 및 리프터 구동 기구로 동력을 전달하는 원동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3)에는 턴테이블(14) 사이에 디스크(12)를 척하기 위한 척 기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원동 기구(20)는 제1 및 제2 캠 홈(41, 42)을 갖는 캠기어(4)와, 상기 캠 기어(4)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21)를 구비하고, 캠 기어(4)의 제1 캠 홈(41)에는 홀더 구동 기구의 입력부에 설치된 캠 종동기(71)가 결합되는 동시에, 캠 기어(4)의 제2 캠 홈(42)에는 리프터 구동 기구의 입력부에 설치된 캠 종동기(52)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4. 캐비넷 내에 디스크 플레이어를 배치한 텔레비전 수상기이며, 디스크 플레이어는 캐비넷(16)의 전방면 패널(17)로부터 노출시켜 부착되고,
    디스크(12)를 상기 전방면 패널(17)과 평행한 수직 자세로 회전 구동하는 턴테이블(14)과,
    턴테이블(14) 상에 설치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로부터 신호 재생을 하기 위한 신호 재생 기구(15)와,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디스크 삽입구(13)를 갖고, 상기 디스크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를 보유 지지하여 턴테이블(14)에 대해 접근 이격하고, 디스크 삽입구(13)를 상기 전방면 패널(17)의 전방으로 진출시킨 개방 위치와, 디스크 삽입구(13)를 상기 전방면 패널(17)의 후방으로 후퇴시킨 폐쇄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홀더(3)와,
    홀더(3)를 상기 접근 이격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홀더 구동 기구와,
    홀더(3) 내에 배치되어 디스크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리프터(5)와,
    리프터(5)를 홀더(3) 내에서 승강 구동하는 리프터 구동 기구와,
    모니터(5)를 동력원으로 하여 홀더 구동 기구 및 리프터 구동 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원동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5.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이며,
    턴테이블(14) 및 신호 재생 기구(15)가 배치된 샤시(2)와,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디스크 삽입구(13)를 갖고, 샤시(2)에 수평 방향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턴테이블(14)에 대해 접근 이격하는 홀더(3)와,
    홀더(3)를 상기 접근 이격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홀더 구동 기구와,
    홀더(3)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디스크 삽입구(13)로부터 삽입된 수직 자세의 디스크(12)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리프터(5)와,
    리프터(5)를 홀더(3) 내에서 승강 구동하는 리프터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터 구동 기구는 샤시(2)에 배치된 원동 기구(20)에 의해 승강 구동되는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와, 상기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의 단부를 리프터(5)의 단부에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6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리프터 구동 슬라이드(6)의 단부와 리프터(5)의 단부가 홀더(3)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서로 미끄럼 접촉하는 동시에, 연결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압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7. 제5항에 있어서, 홀더(3)에는 턴테이블(14) 사이에 디스크(12)를 척하기 위한 척 기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8. 제5항에 있어서, 원동 기구(20)는 제1 및 제2 캠 홈(41, 42)을 갖는 캠 기어(4)와, 상기 캠 기어(4)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21)를 구비하고, 캠 기어(4)의 제1 캠 홈(41)에는 홀더 구동 기구의 입력부에 설치된 캠 종동기(71)가 결합하는 동시에, 캠 기어(4)의 제2 캠 홈(42)에는 리프터 구동 기구의 입력부에 설치된 캠 종동기(52)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9.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턴테이블(14) 상에 디스크(12)를 척하기 위한 디스크 척 기구이며,
    디스크(12)를 보유 지지하여 턴테이블(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 이격해야 할 홀더(3)와,
    홀더(3)에 개방 설치된 개구(34)를 관통하여 부착되고, 턴테이블(14) 사이에 디스크(12)를 협지해야 할 척 풀리 어셈블리(9)와,
    홀더(3)에 척 풀리 어셈블리(9)에 대향하여 부착된 금속 부재를 구비하고, 척 풀리 어셈블리(9)는 턴테이블(14)과 결합해야 할 수지제의 척 풀리(91)와, 상기 금속 부재에 대향해야 할 금속제의 척 디스크(92)와, 척 풀리(91)와 척 디스크(92) 사이에 배치된 마그네트(93)를 구비하고, 척 디스크(92)에는 마그네트(93)로부터방사되는 자력선을 상기 금속 부재를 향해 누설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94)이 개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홀더(3) 개구(34)의 내주면과 척 풀리 어셈블리(9)의 외주면 사이에는 척 풀리 어셈블리(9)의 반경 방향 및 회전축 방향으로 일정한 여유가 마련되는 동시에, 척 풀리 어셈블리(9)에는 홀더(3)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홀더(3) 개구(34)의 내주 모서리와 미끄럼 접촉하여, 척 풀리 어셈블리(9)의 중심축을 턴테이블(14)의 중심축에 일치시키기 위한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턴테이블(14)은 샤시(2) 상에 회전축을 수평을 향해 배치되고, 홀더(3)는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디스크 삽입구(13)를 갖고, 샤시(2)에 상기 접근 이격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홀더 구동 기구에 의해 왕복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척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홀더(3)의 내부에는 디스크(12)를 받아내기 위한 리프터(5)가 배치되고, 상기 리프터(5)는 리프터 구동 기구에 의해 승강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척 기구.
  13.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턴테이블(14) 상에 디스크(12)를 척하기 위한 디스크 척 기구이며,
    디스크(12)를 보유 지지하여 턴테이블(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 이격해야 할 홀더(3)와,
    홀더(3)에 개방 설치된 개구(34)를 관통하여 부착되고, 턴테이블(14) 사이에 디스크(12)를 협지해야 할 척 풀리(91)를 구비하고,
    홀더(3) 개구(34)의 내주면과 척 풀리(91)의 외주면 사이에는 척 풀리(91)의 반경 방향 및 회전축 방향으로 일정한 여유가 마련되는 동시에, 척 풀리(91)에는 홀더(3)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홀더(3) 개구(34)의 내주 모서리와 미끄럼 접촉하여, 척 풀리(91)의 중심축을 턴테이블(14)의 중심축에 일치시키기 위한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척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척 풀리(91)는 수지제이며, 상기 척 풀리(91)에는 금속제의 척 디스크(92)가 동축에 부착되는 동시에, 척 풀리(91)와 척 디스크(92) 사이에 마그네트(93)가 배치되고, 척 디스크(92)에는 마그네트(93)로부터 방사되는 자력선을 외부로 누설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94)이 개방 설치되고, 홀더(3)에는 척 디스크(92)에 대향하여 금속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척 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턴테이블(14)은 샤시(2) 상에 회전축을 수평을 향해 배치되고, 홀더(3)는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디스크 삽입구(13)를 갖고, 샤시(2)에 상기접근 이격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홀더 구동 기구에 의해 왕복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척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홀더(3)의 내부에는 디스크(12)를 받아내기 위한 리프터(5)가 배치되고, 상기 리프터(5)는 리프터 구동 기구에 의해 승강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척 기구.
KR1020020059376A 2001-10-01 2002-09-30 디스크 플레이어 및 이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 KR20030028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5883 2001-10-01
JP2001305881A JP3717824B2 (ja) 2001-10-01 2001-10-01 ディスクプレーヤ
JPJP-P-2001-00305882 2001-10-01
JPJP-P-2001-00305880 2001-10-01
JP2001305880A JP3802389B2 (ja) 2001-10-01 2001-10-01 ディスクプレーヤ及びこれを具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1305882A JP2003115147A (ja) 2001-10-01 2001-10-01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チャック機構
JP2001305883A JP3733049B2 (ja) 2001-10-01 2001-10-01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チャック機構
JPJP-P-2001-00305881 2001-10-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422A true KR20030028422A (ko) 2003-04-08

Family

ID=2748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376A KR20030028422A (ko) 2001-10-01 2002-09-30 디스크 플레이어 및 이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063898A1 (ko)
KR (1) KR200300284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435B1 (ko) * 2006-01-18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용 광디스크 드라이브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8767A (ja) * 1983-12-27 1985-07-23 Toshiba Corp デイスクオ−トチエンジヤ−装置
US5235579A (en) * 1990-03-15 1993-08-10 Cyberkinetics Ltd. Compact disc storage retrieval and loading device
KR100199880B1 (ko) * 1994-12-05 1999-06-15 전주범 광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이송장치
JP3086154B2 (ja) * 1995-06-07 2000-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318011B1 (ko) * 1998-08-03 2002-04-22 구자홍 광재생기기트레이
US6295265B1 (en) * 1999-10-04 2001-09-25 Hewlett Packard Company Unique tray geometry to allow for vertical loading of optical disc in optical drive
JP3406256B2 (ja) * 1999-10-22 2003-05-1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ディスク装置、ディスクトレー、および案内部材
CN1174409C (zh) * 2000-02-17 2004-11-03 索尼电脑娱乐公司 垂直定位的托盘和盘驱动器
JP3608490B2 (ja) * 2000-09-19 2005-01-12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トレ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435B1 (ko) * 2006-01-18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용 광디스크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63898A1 (en)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251B1 (ko) 디스크형 기록 매체용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KR100192194B1 (ko) 디스크 플레이어
JPH0142850Y2 (ko)
EP1482496B1 (en) Disc device with disc changer
KR20030028422A (ko) 디스크 플레이어 및 이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
JP2004296090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用トレー
JP3644384B2 (ja) ディスク装置
JP3717824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3802389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及びこれを具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733049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チャック機構
US5933403A (en) Disk player having a magazin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disks
KR101017308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5532995A (en) Disc-cartridge front loading apparatus of a mini disc player
JP2003115147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チャック機構
JPS6310500B2 (ko)
KR20050084756A (ko) 기록 재생 장치
JPH10125026A (ja) 光ディスク装置
JP3287092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68260B1 (ko) 광디스크의로딩및언로딩장치
JP3034761B2 (ja) ディスク装着装置
JP3403833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097753U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TW470947B (en) Disk driving apparatus
JPH1083606A (ja) ディスクトレー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00027123A (ko) 디스크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