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194B1 - 디스크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194B1
KR100192194B1 KR1019910004993A KR910004993A KR100192194B1 KR 100192194 B1 KR100192194 B1 KR 100192194B1 KR 1019910004993 A KR1019910004993 A KR 1019910004993A KR 910004993 A KR910004993 A KR 910004993A KR 100192194 B1 KR100192194 B1 KR 10019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ickup
gear
tray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397A (ko
Inventor
고우이찌 가와까미
마사히로 모리야마
히로끼 고바
도시히데 하마구띠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910017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11B17/0565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for moving the turntable or the clamper towards the disk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고정 샤시(13)상에 트레이 구동 기구(4), 디스크 클램프 기구(7) 및 픽업 장치(9)를 설치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턴테이블(50)을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51)은 모터 승강 기구(5)에 연계하여 상기 샤시(13)에 대해 승강 구동한다. 따라서 턴테이블(50)은 로딩 완료 위치의 트레이(44)보다도 하부측의 대기 위치에서 디스크 클램프 기구(7)의 클램퍼(70)에 압착 가능한 디스크 클램프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체 구성을 일부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
제2도 내지 제6도는 트레이 방출 상태에서 신호 재생 상태에 이르는 일련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모터 승강 기구, 디스크 클램프 기구 및 틸트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일련의 일부 파단 측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원동 기어 기구의 각 기어의 형상 및 맞물림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2도는 모터 승강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슬라이드 구동판의 측면도.
제14도는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15도 내지 제18도는 구동 레버 및 측압 해제 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일련의 평면도.
제19도는 제3기어의 이면도.
제20도는 캠 곡선을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픽업 장치의 사시도.
제22(a)도 및 제23(a)도는 각각 틸트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제22(b)도 및 제23(b)도는 각각 제22(a)도 및 제23(b)도에 대응하는 측면도.
제24도는 샤시의 탄성지지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단 측면도.
제25도 내지 제27도는 각각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원동 기어 기구 4 : 트레이 구동 기구
5 : 모터 승강 기구 7 : 디스크 클램프 기구
9 : 픽업 장치 13 : 고정 샤시
21 : 로딩 모터 26 : 제1피니언
39 : 제2피니언 44 : 트레이
50 : 턴테이블 51 : 스핀들 모터
70 : 클램퍼 91 : 슬라이드 베이스
98 : 래크
본 발명은 컴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등의 원반 형태의 기록 매체에 대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로서는 트레이상의 디스크를 턴테이블의 상부측 위치까지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고, 그후 턴테이블을 상승시켜서 디스크를 트레이에서 들어올려 최종적으로 턴테이블 상부측 위치의 클램퍼에 디스크를 압착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 86-145758호].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캐비닛 내에 고정된 메인 샤시 상에 서브 샤시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서브 샤시 상에 턴테이블 장치, 픽업 장치 등을 배치하고, 메인 샤시 상에 배치된 모터의 동력으로 서브 샤시가 상방으로 구동되면, 이에 따라서 턴테이블이 상승하여 트레이상의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서브 샤시상에 턴테이블 장치뿐만 아니라 전용의 피이드 모터를 포함한 픽업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샤시를 포함한 승강부가 대향이 되어 중량이 커진다. 이 결과, 서브 샤시의 승강 구동에는 대용량의 전용 모터나 대규모 기구가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대형 서브 샤시의 승강 이동을 위해 큰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플레이어 전체의 중량화·대형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픽업 장치는 고정 샤시상에 배치되고 턴테이블 장치만을 승강시켜 승강부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픽업 장치를 고정 샤시상에 배치하는 경우, 픽업은 상승단에 설치된 턴테이블상의 디스크에 대해 광학계에 의해 규정되는 근소한 간격을 둔 높은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있어서 그 간격이 작은 경우, 픽업은 트레이의 수평 이행로 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할 수밖에 없게 되고, 그 결과 트레이 로딩 과정에서 트레이 또는 트레이 상의 디스크가 픽업과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턴테이블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외에 적어도 메인 샤시 상에는 서브 샤시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모터, 서브 샤시상에는 픽업을 이송하기 위한 모터, 트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 다수의 모터가 필요하게 되어 디스크 플레이어의 대형·중량화 뿐만 아니라 각 모터의 드라이브 회로도 필요하게 되어 전기 회로의 구성도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턴테이블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이외에는 단일 모터로 트레이의 왕복 구동, 턴테이블의 승강 구동, 픽업의 왕복 구동을 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기구 기구에 중계용 기어와 이것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출력부를 설치하고, 이들의 출력부에 트레이의 구동 기어, 픽업 이송 기구, 턴테이블 승강 기구의 복수의 피구동부를 연계함과 동시에, 상기 기어 기구에는 복수의 피구동부로 동력을 전환 전달하기 위한 제네바 기구 등의 동력 전달 경로 전환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픽업 이송 기구는 픽업에 일체로 장치된 래크와 이 래크를 구동하는 피니언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중계용 기어는 최대 부하가 걸리는 피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해 큰 회전 토크를 발휘하여야 하기 때문에 모터로부터 중계용 기어에 이르는 동력 전달 경로에는 복수의 기어로 감속 기구를 삽입 장착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모터와 픽업 이송 기구의 래크 사이에는 상기 중계용 기어를 포함한 다수의 기어가 개재됨으로써 이들 기어 사이의 백래쉬(backlash)의 누적으로 픽업 이송 방향의 전환시 제어 불감대를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턴테이블 및 스핀들 모터만을 승강 구동함으로써 승강부의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하고, 따라서 장치 전체의 소형·경량화가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턴테이블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이외에는 단일 모터에 의해서 트레이의 왕복 구동, 스핀들 모터의 승강 구동, 픽업의 이송을 행할 수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여 장치의 소형·경량화 및 회로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 로딩 중에는 픽업과 트레이가 서로 간섭할 위험이 없는 위치로 대피시킬 수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모터에 의해서 픽업 이송 기구를 포함한 복수 피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고, 특히 픽업 이송 기구에 이르기까지 기어의 백래쉬를 감소시켜서 정확한 픽업 이송 제어를 행할 수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구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트레이 구동 기구(4), 디스크 클램프 기구(7) 및 픽업 장치(9)는 고정 샤시(13) 상에 배치되고, 스핀들 모터(51)는 모터 승강 기구(5)에 연계하여 상기 샤시(13)에 대해 승강 구동된다.
스핀들 모터(51)의 출력축에 장치된 턴테이블(51)은 로딩 완료 위치의 트레이(44)보다도 하부측의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트레이(44)의 중앙 개구(46)를 통과하여 디스크 클램프 기구(7)의 클램퍼(70)에 압착 가능한 디스크 크램프 완료 위치까지 상승 가능하다.
또한, 고정 샤시(13) 상에는 로딩 모터(21)에 의해 구동되는 원동 기어 기구(2)가 배치되고, 이 원동 기어 기구(2)에는 상기 트레이 구동 기구(4), 모터 승강 기구(5) 및 픽업 장치(9)로 연계되는 복수의 출력부와 로딩 모터(21)의 동력을 상기 각각의 기구로 전환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전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디스크 배출 위치의 트레이(44)에 디스크(120)를 배치한 후, 트레이 구동 기구(4)에 의해 트레이(44)를 로딩 완료 위치까지 반송한다. 이 때, 턴테이블(50) 및 스핀들 모터(51)는 트레이(44)의 상승 위치보다도 낮은 대기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44)의 로딩 완료후, 모터 승강 기구(5)의 동작이 개시되고, 턴테이블(50)은 스핀들 모터(51)와 함께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턴테이블(50)은 트레이(44)의 중앙 개구를 통과하고, 이 때 상기 트레이(44) 상의 디스크를 들어올려, 다시 상승하여 상기 디스크를 디스크 클램프 기구(7)의 클램프(70)에 압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스핀들 모터(51)가 기동하여 디스크가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픽업 장치(9)의 동작에 의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실행된다.
상기 원동 기어 기구(2)에 의해 트레이 구동 기구(4), 모터 승강 기구(5) 및 픽업 장치(9)를 구동하는 경우, 먼저 원동 기어 기구(2)와 트레이 구동 기구(4)가 연계하여 트레이(44)의 구동이 행해지고, 다음에 원동 기어 기구(2)와 모터 승강 기구(5)가 연계하여 스핀들 모터(51) 및 턴테이블(50)의 상승 구동이 행해지며, 그후 원동 기어 기구(2)와 픽업 장치(9)가 연계하여 픽업(90)이 이송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승강부에 픽업 장치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승강부가 종래에 비해서 소형·경량화 되고 이것을 승강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승강부의 이동을 위한 빈 공간이 작아져서 장치 전체가 소형·경량화 된다.
또한, 공통의 샤시상에 트레이 구동 기구, 모터 승강 기구 및 픽업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들을 공통의 로딩 모터로 전환 구동하기 위한 원동 기어 기구는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장치의 소형·경량화가 가능하고, 특히 종래보다도 회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장치(9)는 슬라이드 베이스(91) 상에 픽업(90)을 승강 가능하게 배치한 것이다.
슬라이드 베이스(91)는 샤시(13) 상에 턴테이블(50)의 반경선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턴테이블(50) 상의 디스크의 최내주부에 대향한 제1의 위치와 상기 디스크의 최외주부에 대향하거나 또는 더 외측의 제2위치 사이를 왕복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픽업(90)은 슬라이드 베이스(91) 상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트레이(44)의 왕복 이행로 보다도 하부측의 대피 위치와 트레이(44)에 근접한 신호 기록 또는 재생시의 높은 위치 사이를 승강 구동한다.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장치(9)에서는 트레이(44)가 디스크 배출 위치에서 로딩 완료 위치까지 구동되는 과정에서 픽업(90)은 상기 대피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트레이(44) 및 상기 트레이 상의 디스크가 픽업(90)과 충돌하는 일은 없다.
트레이(44)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픽업(90)이 대피 위치로부터 상승 구동되고 신호 기록 또는 재생시의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픽업(90)의 초점을 디스크 신호면 상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슬라이드 베이스(91)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 구동하고, 픽업(90)에 의해 턴테이블(50) 상의 디스크에 대해 신호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장치(9)에서는 트레이 로딩 중에는 픽업(90)을 트레이(44)와 간섭하는 일이 없는 위치에 대피시킬 수 있어서 픽업(90)의 초점 추종 범위가 작은 경우에도 트레이(44) 및 디스크와 픽업(90)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 기구에서는 샤시(13) 상에 로딩 모터(21)를 동력원으로 하는 원동 기어 기구(2)를 배치함과 동시에 픽업(90)에는 픽업 이송 방향으로 신장되는 래크(98)를 일체로 장치하고 있다.
원동 기어 기구(2)는 상기 래크(98)를 포함한 복수의 피구동부로 로딩 모터(21)의 동력을 전달해야 할 중계용 기어(3), 로딩 모터(21)와 상기 기어(3) 사이에 개재함과 동시에 상기 래크(98)와 맞물리는 제1피니언(26), 상기 기어(3)에 의해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래크(98)와 맞물릴 수 있는 제2피니언(39), 상기 기어(3)와 제2피니언(39)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래크(98)의 구동시에만 동력 전달 상태로 되는 간헐 회전 기구를 갖추고 있다.
제1피니언(26)은 턴테이블(50)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위치의 래크(98)와는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2피니언(39)은 상기 래크(98)와 맞물림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픽업 이송 기구 이외의 피구동부로 로딩 모터(21)의 동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는 로딩 모터(21)에 의해 중계용 기어(3)가 구동되고,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필요한 피구동부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기어(3)와 제2피니언(39) 사이의 간헐 회전 기구는 동력 전달 차단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피니언(39) 및 래크(98)는 정지되어 있다.
그 후, 턴테이블(50) 상에 디스크가 클램프된 상태에서 로딩 모터(21)에 의해 중계용 기어(3)가 다시 회전 구동하게 되면, 상기 간헐 회전 기구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되어 제2피니언(39)이 래크(98)를 구동하여 턴테이블(50) 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래크(98)는 제1피니언(26)과 맞물리게 되고, 로딩 모터(21)의 동력은 중계용 기어(3)를 우회하여 제1피니언(26)에 의해 래크(98)로 전달되고, 이 맞물림 상태에서 픽업(90)의 이송 제어가 실행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 구동 기구에서는 단일의 로딩 모터(21)에 의해 픽업 이동 기구를 포함한 복수의 피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이송시에는 중계용 기어(30)를 개재하지 않고서도 동력 전달 경로가 형성되고, 이 동력 전달 경로는 로딩 모터(21)로부터 제1피니언(26), 기어(3), 제2피니언(39) 등을 거쳐서 래크(98)에 이르는 경로에 비해 기어수가 작으므로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 발생하는 백래쉬는 상당히 작아져서 신호 재생시의 픽업 이송 제어를 정확히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컴팩트 디스크, 레이저디스크 등 직경 및 두께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디스크의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호환성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실시한 일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체 구성]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프론트 패널 개구(11)에 트레이(44)가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트레이(44)는 캐비닛(1)내에 고정된 샤시(13) 상의 복수의 테이블 지지 부재(16)에 의해 왕복 운동이 안내된다.
캐비닛(1) 내에는 샤시(13) 상에 트레이(44)를 왕복 구동시키기 위한 트레이 구동 기구(4), 턴테이블(50)과 함께 스핀들 모터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모터 승강 기구(5), 광학식 픽업(90) 및 틸트 기구(100)를 갖춘 픽업 장치(9), 이들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원동 기어 기구(2), 및 클램퍼(70)를 구비한 디스크 클램프 기구(7) 등이 설치된다. 턴테이블(50)은 후술한 바와 같이 샤시(13)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샤시(13)에 설치된 중앙 구멍(17)으로부터 상부측으로 향하고 있다.
원동 기어 기구(2)는 로딩 모터(21)를 동력원으로 하여 벨트 전달기구(22), 제1기어(23), 제2기어(24), 중계용 제3기어(3), 제4기어(27), 제5기어(41)의 경로에서 트레이 구동 기구(4)로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제3기어(3)에 맞물리는 제6기어(37)와 제2기어(24)에 의해 픽업 장치(9)에 대한 출력부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3기어(3)에 의해 턴테이블(50)을 승강 구동하기 위한 출력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트레이(44)에는 여러 종류의 디스크의 장착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장착부의 중앙에는 턴테이블(50)이 들어갈 개구(46)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각 기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원동 기어 기구(2)]
제10도의 (a) 및 (b)는 원동 기어 기구(2)를 구성하는 로딩 모터(21), 벨트 전달기구(22) 및 제1내지 제5기어(23, 24, 3, 27, 41)를 트레이 구동기구에 대한 동력 전달 경로를 따라 일렬로 나열하여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또한, 제11도의 (a) 및 (b)는 로딩 모터(21), 벨트 전달기구(22), 제2기어(24), 제3기어(3) 및 제6기어(37)를 픽업 장치에 대한 동력 전달 경로에 따라 일렬로 나열하여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각각의 기어는 높이가 각각 상이한 구성의 다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2기어(24)는 제1기어(23)와 항상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부(25), 픽업 장치를 구성하는 래크(98)와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부(26), 및 소직경 기어부(20)를 갖추고 있다. 제3기어(3)에는 상기 제2기어(24)의 소직경 기어부(20)와 맞물리는 주기어부(31)가 전체 주변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만 톱니면을 갖는 부기어부(32)를 갖추고 있다. 이 주기어부(31)의 상단부에는 대략 원주의 반에 걸쳐 기어 절개부(31a)가 설치된다. 제4기어(27)는 상기 제3기어(3)의 부기어부(32)와 맞물릴 수 있는 소직경 기어부(28) 및 대직경 기어부(29)를 갖추고 있다.
제5기어(41)는 상기 제4기어(27)의 대직경 기어부(29)와 항상 맞물리는 기어부(42), 및 트레이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래크(45)와 항상 맞물리는 피니언부(43)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제6기어(37)는 상기 제3기어(3)의 주기어부(31)와 항상 맞물리는 기어부(38), 및 상기 래크(98)와 항상 맞물리는 피니언부(39)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제3기어(3)에는 주기어부(31) 및 부기어부(32)의 상부에 소정 각도 범위에 걸치는 원통면의 제1 및 제2볼록면(34, 35), 제4기어(27)에는 소직경 기어부(28)와 대직경 기어부(29) 사이에 원통면의 오목면(27a), 제6기어(37)에는 피니언부(39)의 상부에 원통면의 오목면(3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3기어의 볼록면(34, 35)은 각각 제4기어(27)의 오목면(27a), 제6기어(37)의 오목면(37a)과 맞물릴 수 있다.
[트레이 구동 기구(4)]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44)의 이면에는 트레이 출몰 방향으로 신장하는 래크(4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래크(45)와 상기 제5기어(41)의 피니언부(43)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 모터(21)에 의해 제1기어(23)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면, 제2기어(24)를 통해 제3기어(3)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기어(3)의 부기어부(32)가 제4기어(27)의 소직경 기어부(28)에 맞물린다. 이로써, 로딩 모터(21)의 회전은 다시 제4기어(27)를 통해 제5기어(41)로 전달되고, 이 제5기어(41)의 피니언부(43)가 트레이 수용 방향으로 구동되게 된다. 이 결과, 트레이(44)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배출 위치에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내부를 향해서 반입되고 최종적으로 제4도에 도시된 로딩 완료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44)의 전방 연부에 의해 캐비닛(1)의 프론트 패널 개구(11)가 막힌다.
상기 트레이 로딩 과정에서는, 후술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50)이 하강단부에 보유됨과 동시에 픽업(90)은 틸트 기구(100)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44)와는 간섭되지 않는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제7도, 제8도 참조)
또한, 이 과정에서 제2기어(24)의 피니언부(26)와 픽업 장치(9)의 래크(98)는 맞물림이 해제되고(제2도 내지 제4도 참조), 피니언부(26)는 공 회전한다.
또한, 제11도에 도시된 제6기어(37)의 기어부(38)와 제3기어(3)의 주기어부(31)의 기어 절개부(31a)가 대향함과 동시에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기어(37)에 형성된 오목면(37a)이 제3기어(3)에 형성된 제2볼록면(35)과 맞물려 제6기어(37)는 정지상태로 로크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픽업 장치(9)의 래크(98)가 구동되는 일은 없다.
제4도에 도시된 트레이 로딩 완료 상태에서는 제3기어(3)의 부기어부(32)와 제4기어(27)의 소직경 기어부(28)의 맞물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3기어(3)의 제1볼록면(34)과 제4기어(27)의 오목면(37a)이 맞물려 제4기어(27)는 정지 상태로 로크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트레이(44)도 로딩 완료 위치에서 로크되게 된다.
또한, 트레이(44)의 언로딩은 로딩 모터(21)가 역회전하여 제5기어(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행해진다.
[모터 승강 기구(5)]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3)의 이면에 2개의 가이드 샤프트(18, 18)가 하향 돌출 설치되고, 이들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모터 베이스(52)의 승강이 안내된다. 이 모터 베이스(52)에는 스핀들 모터(51)가 장치되고, 이 모터의 출력 측에는 턴테이블(50)이 고정되어 있다. 모터 베이스(52)의 상부면에는 샤시(13)의 이면에 맞물려 모터 베이스(52)의 상승단을 규정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 결정 부재(53)가 설치됨과 동시에 베이스 양쪽면에는 각각 3개의 핀(54)이 돌출 설치된다.
상기 모터 베이스(52)가 삽입된 양측에는 1쌍의 슬라이드 구동판(55, 55)이 배치되고, 각 슬라이드 구동판(55)은 샤시(13)의 이면에 돌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부재(19)에 의해 트레이 출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제7도 내지 제9도 참조). 양쪽 슬라이드 구동판(55, 55)의 내면에는 각각 비스듬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1 내지 제3의 캠홈(56, 57, 58)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캠홈(56) 및 제3캠홈(58)은 동일 형상으로 경사캠부(56a, 58a)와 수평 캠부(56b, 58b)를 갖추고 있다. 한편, 제2캠홈(57)은 제1경사캠부(57a)와 이 캠부보다도 경사 각도가 완만한 제2경사캠부(57b)를 갖추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구동판(55)의 후방 단부에는 긴 구멍(55a) 및 정지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52)의 양측에 돌출 설치된 핀(54)이 각각 양쪽 슬라이드 구동판(55, 55)의 각 캠홈(56, 57, 58)에 맞물리고, 슬라이드 구동판(55)의 왕복 운동에 의해 모터 베이스(52)를 승강시키는 좌우 한쌍의 캠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양쪽 슬라이드 구동판(55와 55) 사이에는 중계 구동판(64) 및 스피링(59)이 개재되어 있다. 중계 구동판(64)은 양측에 형성된 돌출편(67, 67)을 각각 슬라이드 구동판(54)의 긴 구멍(55a)에 여유있게 끼워져 있다. 또한, 스프링(59)은 중계 구동판(64)의 전방 연부에 하향으로 돌출 설치한 지지 부재(66)에 걸리고, 스프링의 양쪽 단부를 슬라이드 구동판(55, 55)의 걸림부(55b)에 걸어맞추고 있다.
중계 구동판(64)의 상부면에는 후술한 구동 레버(6)의 핀(62)이 걸어맞춰지는 긴 구멍(5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레버(6)에 의해 중계 구동판(64)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59)을 통해 양쪽 슬라이드 구동판(55, 55)이 후방으로 견인되고, 상기 캠 구동의 동작에 의해 모터 베이스(52)가 상부측으로 구동되게 된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스핀들 모터(51)가 상승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44)가 로딩중인 상태에서는 양쪽 슬라이드 구동판(55)은 최대로 전전한 위치에 있고, 스핀들 모터(51) 및 턴테이블(50)은 트레이(44)와는 간섭하지 않는 낮은 위치인 대기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44)가 로딩 완료 위치에 도달한 후 스프링(59)의 견인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판(55)이 후방(제8도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모터 베이스(52)의 핀(54)이 슬라이드 구동판(55)의 제1, 제2 및 제3 캠홈(56, 57, 58)의 경사 캠부(56a, 57a, 58a)에 의해 구동되어 모터 베이스(52)와 함께 스핀들 모터(51) 및 턴테이블(50)이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턴테이블(50)은 트레이(44) 상의 디스크(120)를 트레이 배치면에서 들어올리고, 이 디스크를 디스크 클램프 기구(7)의 클램퍼(70)에 접촉시킨다.
또한, 슬라이드 구동판(55)이 좌측으로 견인되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52)의 전후의 2개의 핀(54, 54)은 슬라이드 구동판(55)의 제1 및 제3 캠홈(56, 58)의 수평 캠부(56b, 58b)로 승상함과 동시에 모터 베이스(52)의 중앙의 핀(54)은 슬라이드 구동판(55)의 제2 캠홈(57)의 제2경사 캠부(57b)로 이행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슬라이드 구동판(55)이 좌측으로 약간 견인됨으로써 상기 제2캠부(57b)의 구동으로 인해 모터 베이스(52) 상의 위치 결정 부재(53)가 샤시(13)의 이면에 압접되고, 턴테이블(50)은 상승 단부에 정확히 위치 설정되게 된다.
이때, 턴테이블(50)상의 디스크(120)는 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클램프 기구(7)에 의해 확실하게 클램프된다.
또한, 제9도의 상태에서는 제12도에 도시된 스프링(59)이 탄성 변형됨과 동시에 중계 구동판(64)의 돌출편(67, 67)이 슬라이드 구동판(55)의 긴 구멍(55a, 55a)의 나머지 범위 내에서 후방으로 변이한다. 따라서 스프링(59)의 반발력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판(55)의 위치 설정부(53)가 샤시(13)에 압접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구동 레버(6)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3) 상에는 L자 모양의 구동 레버(6)가 지지축(60)으로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이 레버의 일단에 설치된 캠 팔로워(cam follower)(61)를, 제3기어(3)의 이면에 형성된 소용돌이 형태의 캠홈(33)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의 다른 단부에 설치된 핀(60)을 중계 구동판(64)의 긴 구멍(65)에 걸어맞추고 있다.
제3기어(3)의 캠홈(33)은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이 일정한 제1캠부(33a), 점차적으로 반경이 작아지는 제2 및 제3의 캠부(33b, 33c), 캠홈 외주벽의 반경이 증대하여 홈의 폭이 도면에서 W에서 X로 확대되는 제4캠부(33d) 및 반경이 일정한 제5캠부(35e)로 구성된다. 제1캠부(33a)는 트레이 구동 중에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와 걸어 맞춰지고, 제2 및 제3 캠부(33b, 33c)는 모터 승강 기구(5)의 구동을 위해 캠 팔로워(61)와 걸어 맞춰지며, 제5 캠부(35e)는 픽업 이송 중에 캠 팔로워(61)와 걸어 맞춰지는 것이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트레이 로딩에서는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가 제3기어(3)의 제1 캠부(33a)에 걸어 맞춰져 있어 제3기어(3)가 회전하여도 구동 레버(6)는 회전하지 않으며, 시계 방향의 회전 단부에서 정지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2장의 슬라이드 구동판(55)은 전방(도면에서 좌측)의 이동단에 설치되고, 턴테이블(50)은 하강 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 후, 제3기어(3)가 다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면,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는 제3기어(3)의 캠홈(33)의 제2 캠부(33b)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 레버(6)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서 슬라이드 구동판(55)은 후방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2 캠부(33b)의 동작 범위에서 턴테이블(50)은 제7도의 위치에서 제8도의 위치까지 상승한다.
또한, 제3기어(3)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어 캠홈(33)의 제3 캠부(33c)가 동작함으로써 중계 구동판(64)은 제5도의 후방 이동단에 도달함과 동시에 턴테이블(50)은 제8도의 위치에서 제9도의 위치까지 상승하여 디스크 클램프가 행해진다.
[디스크 클램프 기구(7)]
디스크 클램프 기구(7)는 클램프 힘을 자력에 의해 얻는 것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3) 상에 고정된 금속제의 지지 부재(71)에 장치되어 있고, 이 지지 부재(71) 가 평판 형태로 요크를 구성한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클램프 기구(7)는 원반 형태의 클램퍼(70), 링 형태의 영구 자석(74) 및 자석(74)을 지지하는 홀더(57)로 구성되고, 지지 부재(71)를 삽입하여 상부측에는 홀더(75)에 고정된 자석(74), 하부측에는 클램퍼(70)를 배치하여 자석(74)을 보유한 홀더(75)와 클램퍼(70)를 일체화한 것이다.
지지 부재(71)에는 클램퍼(70)의 축부(70a)가 여유있게 관통하는 중앙 구멍(72)이 열려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 부재(71)의 상부면에는 자석(74)의 수용 정지부(73)가 여러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50)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자석(74)과 지지 부재(71) 사이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자석(74)은 지지 부재(71) 상의 수용 정지부(73)에 밀착하고 클램퍼(70)는 지지 부재(71)에서 최대한 거리를 두고 하강단에 설치되어 있다.
그 후,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로딩 완료 후 턴테이블(5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클램퍼(70)는 턴테이블(50) 상의 디스크(120)에 의해 밀려 올려지고,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50)이 상승단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자석(74)이 지지 부재(71) 상의 수용 정지부(73)에서 부상하여 자석(74)과 지지 부재(71) 사이에 일정한 자기 갭(G)이 형성된다.
이 결과, 자석(74)과 지지 부재(71) 사이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클램퍼(70)가 턴테이블(50)을 향해 하부쪽으로 밀리고, 디스크(120)가 턴테이블(50)과 클램퍼(70) 사이에 삽입되어 디스크 클램프가 완료된다.
상기 디스크 클램프 기구(7)에 따르면, 클램프 해야 할 디스크의 두께 차이에 따라 상기 자기 갭(G)이 다소 다르다고 해도 자석(74)의 크기는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어서 디스크의 종료에 관계없이 충분한 클램프 힘이 얻어진다.
또한, 신호 재생 후의 클램프 해제 동작, 즉 턴테이블(50)의 하강 동작은 제3기어(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서 행해진다.
[픽업 장치 (9)]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3) 상에는 턴테이블(50)의 한쪽에 트레이 출몰 방향으로 신장되는 가이드 샤프트(92)가 설치되어 있다. 픽업(90) 등이 배치된 슬라이드 베이스(91)는 원동 기어 기구(2)측의 단부에 상기 가이드 샤프트(9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춰짐과 동시에 반대측의 단부가 샤시(13)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로써 픽업(90)은 턴테이블(50)의 반경선을 따라 정확하게 왕복 이동된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91)에는 이 슬라이드 방향으로 신장되는 래크(98)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래크(98)에 상기 제2기어(24)의 피니언부(26) 및 제6기어(37)의 피니언부(39)가 맞물려 슬라이드 베이스(91)의 왕복 구동이 행해진다.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베이스(91) 상에는 픽업(90)이 직접 고정된 회전이동 베이스(93)가 설치되고, 이 회전이동 베이스(93)의 양측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 설치된 한 쌍의 추축(樞軸)(95, 95)을 슬라이드 베이스(91) 상에 축지(軸支)하여 회전이동 베이스(93)는 상하 방향의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이동 베이스(93)는 슬라이드 베이스(91)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96)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픽업 장치(9)에는 신호 재생시 픽업(90)의 광축(光軸)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틸트 기구(100)가 설치된다. 이 틸트 기구(100)는 제8도에 도시된 트레이 로딩시에 트레이(44)와 픽업(9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픽업(90)을 회전이동 베이스(93)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픽업 대피 기구를 겸하고 있다.
틸트 기구(100)는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이동 베이스(93)의 단부에 후방측으로 돌출 설치된 핀(94), 이 핀(94)이 미끄러지면서 접하는 나선 형태의 캠면(104)을 갖춘 캠 부재(103), 이 캠 부재(103)를 회전 구동시키는 기어 기구(102) 및 기어 기구(102)의 동력원인 모터(101)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캠 부재(103)를 정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핀(94)이 캠면(104)에 따라 미끄러져 회전 베이스(93)가 상하로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캠면(104)은 제22(a)도, 제22(b)도 및 제23(a)도, 제2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경사의 제1경사면(104a) 상을 미끄러지는 과정에서 제22(a)도 및 제2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단에 있는 회전이동 베이스(93)를 급속도로 상승시키고, 그 후의 제2경사면(104b)의 동작을 거쳐 제23(a)도 및 제2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이동 베이스(93)를 수평 자체가 되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후술한 신호 기록 재생시에는 제23(a)도, 제23(b)도의 수평 상태를 중심으로 하여 제2경사면(104b)의 동작에 의해 본래의 틸트 조절 동작을 행한다.
또한, 샤시(13) 상에는 제22(a)도 및 제2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90)이 하강단에 설치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1포토센서(106), 제23(a)도 및 제2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이동 베이스(93)가 수평 자세로 설치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2포토센서(107)가 장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베이스(91)의 이면에는 상기 포토센서(106, 107)에서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05)이 설치되어 있다.
제22도(b)에서 제23도(b)까지의 회전이동 베이스(93)의 회전이동 각도는 약 8도이고, 본래의 틸트 조절 동작시의 경사 각도의 변동은 ±2.5도이다.
상기 틸트 기구(100)의 동작에 의해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로딩 중의 픽업(90)은 하강단에 설치되고,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 완료 후의 픽업(90)은 턴테이블(50) 상의 디스크(120)와 소정의 간격을 갖고 높은 위치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50) 및 스핀들 모터(51)만을 승강시키고, 픽업 장치(9)는 샤시(13) 상에 설치된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도 신호 재생시의 디스크(120)와 픽업(90)의 간격, 즉 픽업(90)의 광학계의 초점 거리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크의 언로딩시에는, 다시 픽업(90)이 하강하여 픽업(90)과 트레이(44)의 간섭이 회피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픽업(90)을 승강시키는 기구로서 신호 재생시 픽업(90)의 광축 조정용 틸트 기구(100)를 이용했으므로, 트레이 로딩 중에 픽업(90)을 퇴피(退避)시키기 위한 특별한 기구가 필요 없어 장치 구성이 간략화된다.
[픽업 이송 기구]
다음에, 제1도에 도시된 래크(98)를 구동하여 슬라이드 베이스(91) 상의 픽업(90)을 왕복 이송시키기 위한 픽업 이송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디스크 클램프 완료 상태에서 제3기어(3)가 다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기어(3)의 주기어부(31)의 기어 절개부(31a)가 제6기어(37)에서 이탈하여 제3기어(3)의 주기어부(31)와 제6기어(37)의 기어부(38)의 맞물림이 시작된다.
이로써,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기어(3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제6기어(37)의 피니언부(39)가 슬라이드 베이스(91)에 고정된 래크(98)를 좌측으로 구동시키기 시작한다. 이 결과, 제18도 및 제11도(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98)는 상기 제6기어(37)와 맞물리는 동시에 제2기어(24)의 피니언부(26)와도 맞물리게 되어 로딩 모터(21)의 동력은 제2기어(24)를 거쳐 래크(98)에 이르는 제1경로와 제2기어(24), 제3기어(3) 및 제6기어(37)를 거쳐 래크(98)에 이르는 제2의 경로의 2가지의 동력 전달 경로를 슬라이드 베이스(91)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1동력 전달 경로는 로딩 모터(21)와 래크(98) 사이에 제1기어(23) 및 제2기어(24)의 2개의 기어를 개재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상기 제2동력 전달 경로에 비해 기어간에서 발생되는 백래쉬가 작아져서 신호 재생시에 픽업(90)의 이송 제어를 정확히 행할 수 있다.
[측압 해제 기구]
또한, 픽업 장치(9)에는 픽업 이송시에 제3기어(3)이 캠 홈(33)과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의 압접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측압 해제 기구가 설치된다.
이하 측압 해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16도에 도시된 디스크 클램프 완료 상태에서는, 구동 레버(6)는 상기 스프링(59)의 반발력을 받아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는 제3기어(3)의 캠 홈(33)의 외주벽에 압접되어 있어서, 이 상태에서 제3기어(3)를 구동하여 픽업 이송을 행하려면, 상기 캠 팔로워(61)와 캠홈(33)의 벽면과의 마찰력이 부하로서 가해지고, 특히 이 부하가 장치 조립 상태에 따라 분산되면, 픽업 이송 제어를 정확히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구동 레버(6)에는 조편(爪片)(63)을 형성함과 동시에 샤시(13) 상에는 상기 조편(63)과 걸어맞출 수 있는 후크부(81)를 갖는 L자 형태의 측압 해제 레버(8)가 설치된다. 측압 해제 레버(8)는 상기 후크부(81)와는 반도측에 돌출편(83)을 갖추고 있고, 샤시(13) 상의 지지축(82)에 의해 회전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샤시(13)와의 사시에 뻗어 설치된 스프링(84)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한편, 픽업 장치(9)를 구성하는 슬라이스 베이스(91)의 이면에는 상기 측압 해제 레버(8)의 돌출편(68)과 접촉 가능한 볼록부(99)가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레버(6)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동 단부에 있고,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91)가 좌우의 이동 단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베이스(91)의 볼록부(99)가 측압 해제 레버(8)의 돌출편(83)을 가압하여 측압 해제 레버(8)는 스프링(84)에 반발하여 시계 반대 방향의 회전이동 단부에 보유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레버(6)의 조편(63)과 측압 해제 레버(8)의 후크부(81)는 이탈한다.
그 후,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기어(3)가 약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6기어(37)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드 베이스(9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볼록부(99)의 이동에 따라 측압 해제 레버(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레버의 후크부(81)가 구동 레버(6)의 조편(63)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는 제19도에 도시된 캠홈(33)의 제3 캠부(33c)로부터 제4 캠부(33d)와의 걸어맞춤 상태로 이행한다. 제4 캠부(33d)는 홈의 폭이 W에서 X로 외주 방향으로 넓어져서 상기 캠부의 외주벽을 따라 캠 팔로워(61)가 이동하게 되고, 구동 레버(6)는 제16도의 위치에서 제17도의 위치까지 약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구동 레버(6)의 조편(63)과 측압 해제 레버(8)의 후크부(81)가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직전의 상태에 이른다.
그 후, 제3기어(3)가 다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슬라이드 베이스(9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측압 해제 레버(8)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의 후크부(81)가 구동 레버(6)의 조편(63)에 대해서 완전히 걸어 맞춰지고, 이 걸어 맞춤에 의해 구동 레버(6)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59)에 의한 시계 방향의 회전 가압력이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구동 레버(6)는 이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다.
이와 동시에,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는 제19도에 도시된 캠홈(33)의 제4 캠부(33)로부터 홈 폭이 큰 제5 캠부(33)로 이행하고, 이 이행에 따라서 캠 팔로워(61)는 캠홈(33)의 외주벽에서 이탈하여 캠 팔로워(61)가 캠홈(33) 벽면에 미치는 측압이 해제된다. 이 결과, 제3기어(3)는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에서의 저항력을 받지 않고 제2기어(24) 및 제6기어(37)를 구동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90)을 디스크의 외주부에서 내주부 사이로 왕복 이송하는 과정, 즉 신호 재생시에는 구동 레버(6)는 상기 측압 해제 상태에서 로크된 채로 회전 이동하는 일이 없이 이 레버(6)의 캠 팔로워(61)는 제19도에 도시된 캠홈(33)의 제5캠부(33e) 내를 내주벽 및 외주벽과 접촉하지 않고 상대 이동한다.
또한, 신호 재생 후의 구동 레버(6)의 조편(63)과 측압 해제 레버(8)의 후크부(81)와의 걸어맞춤 해제 동작은 제3기어(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슬라이드 베이스(91)를 디스크 외주측의 이동단을 향해 이동시키고, 이 슬라이드 베이스(91)의 볼록부(99)에 의해 측압 해제 레버(8)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3기어(3)의 캠홈(33)의 제4 캠부(33d)의 구동에 의해 구동 레버(6)를 약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제17도 참조).
상기 측압 해제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픽업 이송시 부하를 일정값으로 유지하여 안정한 이송 제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샤시(13)의 지지 구조]
샤시(13)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저부의 기대(基合坮)(12)상에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지주(14)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지주(14)의 머리부와 샤시(13) 사이에는 고무 등의 탄성 자재로 이루어진 완층 부재(15)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기구의 동작 등에 수반하여 기대(12)에 가진력(加振力)이 작동하여도 이 가진력은 상기 완충 부재(15)에 의해 흡수되어 픽업 신호(90)에 의한 신호 재생에 지장을 초래할 만한 진동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진동 억제 구조는 원동 기어 기구(2), 트레이 구동 기구(4), 디스크 클램프 기구(7), 픽업 장치(9) 등의 기구를 모두 고정 샤시(13) 상에 설치함으로써 실현된 것이다.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51)의 출력축에 턴테이블(50)을 장치한 모터 일체형 턴테이블 장치를 구성하고 있지만, 베이스(52)에는 턴테이블(50)만을 배치하고, 디스크 회전 구동용의 스핀들 모터는 제14도에 도시된 디스크 클램프 기구(7)에 짜넣을 수도 있다.
제25도 내지 제27도는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5도의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에서는 클램퍼(70)의 머리부에 백요크(122)를 삽입하여 자석(111)을 설치하고, 상기 자석(111)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코일(112)을 배치하며, 이 코일(112)은 샤시 상에 고정된 비자성 부재(11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백요크(122), 자석(111) 및 코일(112)과 함께 모터를 구성하는 로터리 요크(116)는 클램퍼(7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비자성 부재(115)에 고정된 탄성 부재(114)와 클램퍼(70) 머리부의 사이에는 트러스트 베어링(113)이 삽입 장착된다.
따라서, 턴테이블(50)의 상승에 따라서 이 턴테이블(50) 상의 디스크(120)가 탄성 부재(114)에 저항하여 클램퍼(70)를 밀어올리면, 탄성 부재(114)의 반발력에 의해 클램프 힘이 발생하고, 이 상태에서 코일(112)로 통전되면, 로터리 요크(116)가 클램퍼와 함께 회전 구동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클램퍼(70)의 상승 위치가 달라도 자석(111)과 로터리 요크(116)의 간격은 불변이므로 모터의 회전 토크는 일정값으로 유지된다.
제26도에 도시된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에서는, 비자성 부재(115) 상에 스테이터 요크(117)를 고정하고 스테이터 요크(117) 상에 코일(112)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코일(112)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클램퍼(70)에 백요크(112)를 삽입하여 지지한 자석(111)을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모터를 구성하는 자석(111)과 스테이터 요크(117) 사이의 자기 흡입력에 의해 클램프 힘이 얻어진다.
제27도에 도시된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에서는 클램퍼(70)에 복수의 걸어맞춤편(118)을 돌출 설치하고, 이 걸어맞춤편(118)에 대해 축부(121)를 상하 작동 가능하며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걸어맞추고, 이 축부(121)의 상단부에 백요크(122)를 삽입하여 자석(111)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클램퍼(70)와 축부(121)는 탄성 부재(119)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디스크의 두께 차에 의해 클램퍼(70)의 상승 위치가 달라져도 그 위치 변동은 탄성 부재(119)에 의해 흡수되어 자석(111)과 코일(112) 사이의 갭은 거의 일정하게 된다. 그 결과, 디스크 클램프 힘 및 모터 회전 토크는 소정 값으로 유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를 설치함으로써 샤시(13)에 대한 승강부는 턴테이블(50)만으로 이루어져 승강부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것으로 한정되거나 범위를 감축하도록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스핀들 모터(51)에 의해 구동되는 턴테이블(50), 트레이(44)를 디스크 배출 위치에서 턴테이블(50) 상의 로딩 완료 위치까지 구동하는 트레이 구동 기구(4), 트레이(44) 상의 디스크를 턴테이블(50)에 압착시키는 디스크 클램프 기구(7) 및 턴테이블(50) 상의 디스크에 대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픽업 장치(9)를 포함하는 디스크 플레이어로서, 상기 트레이 구동 기구(4) 및 픽업 장치(9)는 고정 샤시(13)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스핀들 모터(51)는 모터 승강 기구(5)에 연계하여 상기 샤시(13)에 대해 승강 구동하며, 상기 턴테이블(50)은 상기 로딩 완료 위치의 상기 트레이 아래의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중앙 개구(46)를 통해 상기 디스크가 디스크 클램프 기구(7)의 클램프(70)에 압착시킬 수 있는 디스크 클램프 완료 위치까지 상승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클램프 기구(7) 및 로딩 모터(21)에 의해 구동 가능한 원동 기어 기구(2)는 상기 고정 샤시(13) 상에 배치되며, 상기 원동 기어 기구는 상기 트레이 구동 기구(4), 상기 모터 승강 기구(5) 및 상기 픽업 장치(9)에 각각 연계하는 복수의 출력부와 상기 로딩 모터(21)의 동력을 상기 기구 및 장치 중의 하나로 선택 전달하는 동력 전달 전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장치(9)는 픽업(90)을 왕복 구동하기 위한 픽업 이송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샤시(13) 상에는 로딩 모터(21)에 의해 구동되는 원동 기어 기구(2)가 배치되며, 상기 원동 기어 기구(2)는 상기 픽업 이송 기구 및 모터 승강 기구(5)에 각각 연계하는 복수의 출력부와 상기 모터 승강 기구(5)를 구동하기 위한 중계용 기어(3)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3)는 캠 기구에 의해 모터 승강 기구(5)와 연결되며, 상기 캠 기구는, 상기 기어(3)에 소용돌이 형태로 형성되며, 반경이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구동캠부(33c)와 반경이 정해진 소직경 캠부(33e)를 갖는 캠홈(33); 상기 샤시(13) 상에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한쪽의 자유단에 상기 캠홈(33)과 걸어맞춰지는 캠 팔로워(61)를 포함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자유 단이 모터 승강 기구(5)와 연결된 구동 레버(6); 및 상기 샤시(13) 상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레버(6)의 상기 캠 팔로워(61)를 상기 캠홈(33e)의 소직경부(33e)와의 압접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픽업 이송 중에는 상기 구동 레버(6)와 걸어맞춰지는 측압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승강 기구(5)는, 상기 고정 샤시(13)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스핀들 모터(51)가 장치된 모터 베이스(52), 상기 모터 베이스(52)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며, 샤시(13)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안내되는 2장의 슬라이드 구동판(55, 55), 상기 모터 베이스(52)의 대향 측면의 각각에 돌출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구동판(55, 55)에 그 수평 이동 방향과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캠홈(56, 57, 58)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핀(54)을 포함하는 캠 기구, 로딩 모터에서의 동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구동판(55, 55)의 이동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는 구동 부재(64), 및 상기 구동 부재(64)와 상기 슬라이드 구동판(55, 55) 사이에 삽입 장착된 스프링(5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장치는, 상기 샤시(13) 상에 턴테이블(50)의 반경선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턴테이블(50) 상에 클램프되어야 할 디스크의 최내주부에 대향하는 제1위치와 상기 디스크의 최외주부에 대향하거나 또는 더 외측의 제2위치 사이를 왕복 구동하는 슬라이드 베이스(91) 및, 슬라이드 베이스(91) 상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트레이(44)의 왕복 이행로보다도 하부측의 대피 위치와 트레이(44)에 접근한 신호 기록 또는 재생시의 상승 위치 사이를 승강 구동되는 픽업(90)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90)은 트레이(44) 로딩 과정에서 상기 대피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91) 상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픽업(90)을 탑재한 회전이동 베이스(93)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이동 베이스(93)는 틸트 기구(100)에 연계되어 상하로 구동됨으로써 트레이 로딩중에는 픽업(90)을 상기 대피 위치로 하강시킴과 동시에 신호 재생 중에는 픽업(90)의 광축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장치는 모터 승강 기구(5)에 연계하여 샤시(13)에 대해 승강 구동되는 턴테이블(50)을 장치한 스핀들 모터(51)를 구비하며, 상기 턴테이블(50)은 로딩 완료 위치의 트레이(44)보다도 하부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트레이(44)의 중앙 개구(46)를 통과하여 디스크 클램프에 압착 가능한 디스크 클램프 완료 위치까지 상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기구(100)는, 상기 회전이동 베이스(93)의 자유 단부에 설치된 캠 팔로워(94) 및, 상기 회전 이동 베이스(93)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자체 회전에 따라 상기 캠 팔로워(94)를 상하로 구동하는 캠면(104)을 구비하는 캠 부재(104)를 포함하며, 상기 캠면은, 상기 픽업(90)을 트레이(44)의 왕복 이행로보다도 하부측의 대피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한 제1경사면(104a) 및 상기 픽업(90)을 신호 재생시의 기준 상승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상하 구동하는 제2경사면(104b),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9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캠부재(103)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01), 및 상기 픽업(90)을 상기 기준 위치에 설정한 때의 캠부재(103)의 제1의 위치 및 상기 픽업(90)을 상기 대피 위치에 설정한 때의 캠부재(103)의 제2의 위치를 검지하여 상기 구동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 수단(106, 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106, 107)은 샤시(13)의 대향면에서 캠 부재(103)에 스크류로 고정되는 반사판(105), 상기 캠 부재(103)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샤시(103) 상에 장착되며 반사판(105)과 대향하도록 위치 지정 가능한 포토센서(106, 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KR1019910004993A 1990-03-30 1991-03-29 디스크 플레이어 KR100192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7141A JP2599015B2 (ja) 1990-03-30 1990-03-30 ディスクプレーヤ
JP2-87141 199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397A KR910017397A (ko) 1991-11-05
KR100192194B1 true KR100192194B1 (ko) 1999-06-15

Family

ID=1390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993A KR100192194B1 (ko) 1990-03-30 1991-03-29 디스크 플레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51195A (ko)
EP (1) EP0450528B1 (ko)
JP (1) JP2599015B2 (ko)
KR (1) KR100192194B1 (ko)
DE (1) DE6911691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1697A (ja) * 1991-11-27 1993-06-18 Sony Corp デイスク駆動装置
KR950007443B1 (ko) * 1992-12-31 1995-07-11 대우전자주식회사 멀티디스크플레이어의 틸팅장치
JP3531200B2 (ja) * 1993-03-05 2004-05-2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US5583839A (en) * 1993-12-28 1996-12-10 Daewoo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elevating a spindle assembly of a disc player
US5691969A (en) * 1994-04-07 1997-11-25 Teac Corporation Compact disk apparatus having enhanced disk handling capabilities
US5880907A (en) * 1994-07-13 1999-03-09 Mitsumi Electric Co., Ltd. Disk device with improved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JPH0855449A (ja) * 1994-08-11 1996-02-27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405606B2 (ja) * 1994-10-04 2003-05-12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再生装置
KR0137539B1 (ko) * 1994-12-29 1998-05-15 배순훈 광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이송장치(disc tray loading mechanism of optical disc player)
US6021104A (en) * 1996-04-12 2000-02-01 Sony Corporatio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537960B2 (ja) * 1996-07-31 2004-06-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H10283703A (ja) * 1997-04-02 1998-10-23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パ及び前記ディスククランパを備えた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238302B1 (ko) * 1997-07-14 2000-01-15 윤종용 디스크플레이어
WO1999016065A1 (en) * 1997-09-20 1999-04-01 Daewoo Electronics Co., Ltd. Mechanism for moving a tray and a driving unit of disk players driven by a single motor
US6266311B1 (en) * 1997-10-09 2001-07-24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k player
US6496463B1 (en) 1997-12-24 2002-12-17 Teac Corporation Disk apparatus
JP4041569B2 (ja) * 1997-12-26 2008-01-3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US6195407B1 (en) * 1999-04-21 2001-02-27 Analogic Corporation Determinate positioner assembly
JP4657476B2 (ja) * 2000-09-26 2011-03-23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2003059153A (ja) * 2001-08-21 2003-02-28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装置
EP1313099B1 (en) 2001-10-19 2004-12-22 Sanyo Electric Co., Ltd. Disk recording or playback device and process for assembling the device
US6624423B2 (en) 2002-01-14 2003-09-23 General Electric Company Semiconductor detector for thermal neutrons based on pyrolytic boron nitride
JP3864848B2 (ja) * 2002-05-27 2007-01-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のヘッド駆動装置
JP3915918B2 (ja) * 2003-04-14 2007-05-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ディスクプレーヤ
TW200721147A (en) * 2005-11-25 2007-06-01 Hon Hai Prec Ind Co Ltd Optical disc drive
JP5056791B2 (ja) * 2009-04-10 2012-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13004119A (ja) * 2011-06-13 201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装置およびクランプ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868A (en) * 1977-10-19 1980-1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tationary record player
JPS57152688U (ko) * 1981-03-20 1982-09-25
JPS58203664A (ja) * 1982-05-21 1983-11-28 Toshiba Corp 記録円盤再生装置
JPS6089654U (ja) * 1983-11-24 1985-06-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フロントロ−デイングデイスクプレ−ヤ
US4680748A (en) * 1984-12-19 1987-07-14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ed disk playback apparatus
KR900002980B1 (en) * 1985-01-23 1990-05-03 Sanyo Electric Co Disc player
JPH0743799Y2 (ja) * 1985-10-17 1995-10-09 オンキヨ−株式会社 デジタルオ−ディオディスクプレ−ヤの駆動装置
JPH0821221B2 (ja) * 1986-02-06 1996-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イスク再生装置
JPS62142757U (ko) * 1986-03-03 1987-09-09
EP0261384B1 (en) * 1986-08-25 1992-07-15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producing selectively loaded discs of different diameters
KR900007144B1 (ko) * 1986-08-25 1990-09-29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광학식 디스크레코드 재생장치
US4800551A (en) * 1987-05-15 1989-01-24 Polaroi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card
JPH01176363A (ja) * 1987-12-29 1989-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573017B2 (ja) * 1988-03-08 1997-01-16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686899B2 (ja) * 1988-07-13 1994-11-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カム装置
JPH0276160A (ja) * 1988-09-13 1990-03-15 Sony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
JP2718182B2 (ja) * 1989-06-01 1998-02-2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50528B1 (en) 1996-02-07
KR910017397A (ko) 1991-11-05
DE69116914T2 (de) 1996-09-05
EP0450528A3 (en) 1992-07-29
DE69116914D1 (de) 1996-03-21
US5251195A (en) 1993-10-05
JP2599015B2 (ja) 1997-04-09
EP0450528A2 (en) 1991-10-09
JPH03286468A (ja) 199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2194B1 (ko) 디스크 플레이어
US5119357A (en) Disc player
US6314073B2 (en) Disc drive apparatus with insertion error inhibit means for recording media having different structures
JP282869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100202047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픽업구동기구
JPH0724490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693030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632065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装置
JP2630848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H11238278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
JP2919791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US20060130081A1 (en) Disc loading device
JPH11238274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
JP2554034Y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4608808B2 (ja) 媒体装着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KR950010965B1 (ko) 콤팩트 디스크 오토체인저 플레이어
KR20040051433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로딩장치
JPH04140545A (ja) ラックと一対のピニオンによる動力伝達機構
KR20020032139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장치
JPH1011645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1124150A (ja) オー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
US20140223457A1 (en) Optical disk drive including spindle unit and chucking structure
JPH08161813A (ja) ディスク演奏装置
JPH01124145A (ja) 情報記録ディスク演奏装置
JPH02126462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