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99B1 - 테이프 카셋트용 릴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셋트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99B1
KR970002199B1 KR1019870014141A KR870014141A KR970002199B1 KR 970002199 B1 KR970002199 B1 KR 970002199B1 KR 1019870014141 A KR1019870014141 A KR 1019870014141A KR 870014141 A KR870014141 A KR 870014141A KR 970002199 B1 KR970002199 B1 KR 970002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tape
fitting
rib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312A (ko
Inventor
유지 의와하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28Reels or cores; positioning of the reels in the casset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7Single reels or spool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용 릴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릴의 중심부의 확대 단면도.
제2도는 릴의 변형예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릴의 전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릴의 종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릴의 중요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1 : 테이프 두루감기부 12 : 릴대 끼워맞춤부
20 : 공간 6, 21 : 리브
23, 24 : 접합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테이프 카세트용 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통형인 두루감기부의 내측에 릴대 끼워맞춤부를 설치함과 더불어 테이프 두루감기부와 릴대끼워맞춤부 사이의 공간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사형의 리브를 형성토록 한 릴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릴의 중심부에 테이프 두루감기부와 릴대 끼워맞춤부를 동심원상으로 설치하도록 한 릴에 있어서, 리브의 상단측의 테이프 두루감기부와의 접합부를 상기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상단에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접합부를 릴대 끼워맞춤부와 리브와의 상단측의 접후부보다 더 상측에 치우치게 설치하도록 한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VTR이 기록매체를 구성하는 자기테이프를 권취하며 케이싱내에 수납하는 테이프 카세트용 릴은 예컨대 일본공개실용신안 소 57-5638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듯이 상하의 플랜지를 구비한 릴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 릴은 사출 성형에 의해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성형시에 용융수지가 성형 다이로 사출되고 있다. 이런 경우에, 방사상 연장 리브가 내부 및 외부 원통형 부분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하면, 용융수지가 릴의 방사상 중심을 통해 사출되어 흐르기 때문에 그 흐름이 외부 원통형 부분의 축방향 중간부 주위에서 충돌하게 된다. 용융수지 흐름의 충돌은 외부 원통형 부분의 외측 주변에서 파형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즉, 사출 성형 과정에서 2개의 용융수지 흐름이 형성된다. 제1수지 흐름은 다이부분을 통과하여 방사상으로 흘러서 하부 릴 플랜지를 형성한다. 제2수지 흐름은 내부 원통형 부분의 상단벽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의 상단 벽을 통과하고, 내부 원통형 부분의 상단 벽을 통과하고 또 리브의 상단부를 통과하여 흐르도록 형성된다. 제1흐름에서의 용융수지 일부는 내부 및 외부 원통형 부분과 리브를 따라서 상단부를 향해 흐른다. 다른 한편, 제2흐름에서의 용융수지 일부는 내부 및 외부 원통형 부분과 리브를 통과하여 하부 플랜지를 향해 흐른다. 제1 및 제2흐름에서 용융수지의 대향한 유동 방향이 축방향 중간부에서 충돌하기 때문에 수지에서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충돌부에서 불균일한 파형을 형성하게 된다. 외부원통형 부분의 외측 주변에 파형이 생기면, 테이프에 주름(wrinkles)이 형성되어 테이프에 기록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의 교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기록된 신호 또는 데이터의 그러한 교란은 비디오 테이프의 경우에 재생 영상에 교란을 일으킨다.
외부 원통형 부분의 외측 주변에 불균일한 파형의 형성은 리브 상단부에서 내부 및 외부 원통형 부분간에 불연속 흐름에 의해 제2흐름이 차단되도록 리브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테이프가 외부 원통형 둘레에 단단히 감기게 되면 외부 원통형 부분의 불연속 부분에서 내부 원통형 부분을 향해 탄성변형이 생기는 또 하나의 문제에 마주치게 된다.
즉, 리브를 단축시킴에 의해 외부 원통형 부분의 상단부에는 내향 또는 방사상 굽힘이 자유롭게 된다. 이것은 리브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 부분의 방사상의 내향 굽힘을 일으킨다. 외부 원통형 부분의 상부에서의 방사상 내향굽힘에 의해 외부 원통형 부분에 감긴 테이프가 지속적으로 폭방향에서 불균일한 힘을 받게 된다. 테이프의 횡단 방향에서 힘의 불균일성에 의해 가해진 스트레스가 크게 되면, 테이프에 주름을 형성시켜서 테이프에 기록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의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
이것을 제5도를 참고하여 다시 설명드리면, 릴은 하부의 플랜지(1)의 중앙부에 원통형의 테이프 두루감기부(2)를 설치함과 더불어 그 중심축에 릴대 끼워맞춤부(3)를 설치하며, 끼워맞춤부(3)의 상단부에서 상부 플랜지(4)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 두루감기부(2)의 릴대 끼워맞춤부(3) 사이에는 공간(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5)은 방사형 리브(6)에 의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릴의 리브(6)를 테이프 두루감기부(2)의 상단부까지 윗쪽으로 연장하면, 돌출부(7)의 하부 게이트(B)로부터 주입된 용융수지에 의해 릴이 형성될 때, 리브(6)의 상단부를 통과하는 수지의 유동과 하부 플랜지(1)의 중심쪽으로 유동되는 수지의 유동이 테이프 두루감기부(2)의 높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합류하기 때문에, 테이프 두루감기부(2)의 외주면에 파형의 요철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 두루감기부(2)에 권취된 테이프에 주름이 생기며, 신호의 드롭 아웃(drop-out)이나 화상의 흔들림이 생긴다.
이와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6)의 높이를 테이프 두루감기부(2)의 높이보다 상당히 낮게 하고, 상측으로부터의 수지의 유동과 하측으로부터의 수지의 유동의 합류점이 테이프 두루감기부(2)의 근원 부분에 위치하게 하므로써, 자기테이프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이 리브(6)의 높이를 낮게 하면 리브(6)가 없는 부분에서 테이프 두루감기부(2)가 중심쪽으로 변형되게 된다. 이것은 테이프 두루감기부(2)의 외주면에 두루감긴 자기테이프가 폭방향으로 불균일한 힘을 받게 되므로써 테이프가 변형된다. 이런 현상은 자기테이프의 「압착」이라고 칭해지며, 기록 재생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성형시의 수지유동의 합류에 의한 요철을 방지함과 더불어 테이프 두루감기부가 중심쪽으로 변형되므로서 테이프가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테이프 카세트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통형의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내측에 상기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거의 테이프 접촉 높이 전체에 걸쳐서 상기 테이프 두루감기부와 일정 거리를 떨어져서 평행하게 형성된 소정 두께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갖는 릴대 끼워맞춤부를 설치하고, 또 상기 테이프 두루감기부와 릴대 끼워맞춤부와 릴대 하단측으로 환형모양으로 접속하는 소정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접속 플랜지 부분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프 두루감기부와 릴대 끼워맞춤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테이프 두루감기부 내부 원주와 상기 접속 플랜지와 릴대 끼워맞춤부 외부 원주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소정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방사상의 리브를 형성하도록 한 릴에 있어서, 성형시의 수지 주입 게이트부를 상기 방사상 리브의 상단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릴 회전 중심부에 형성하고, 상기 리브의 상단쪽의 테이프 두루감기부와의 접합부를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상단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접합부를 릴대 끼워맞춤부와 리브와의 상단쪽의 접합부 보다도 위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고, 더구나 상기 릴대 끼워맞춤부와 리브와의 상단 접합부가 릴의 회전축 방향의 중간부 보다 충분히 위쪽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용 릴에 관한 것이다.
[작용]
성형시에 수지 주입 게이트로부터 용융 수지를 사출하면, 소정 두께를 갖는 릴대 끼워맞춤부에 대응하는 간격을 통하여 수지가 아래쪽으로 유동하고, 접속 플랜지에 해당하는 간격을 통하여 반경 방향 외주쪽으로 방사상으로 유동하고, 그래서 테이프 두루감기부에 해당하는 간격을 통하여 위쪽으로 용융 수지가 유동한다. 그리고 그 후에 릴대 끼워맞춤부의 외부 원주와 테이프 끼워맞춤부의 내부 원주를 접속하는 방사상 리브에 해당하는 좁은 통로를 통하여 수지가 외부 원주쪽으로 유동하고,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상단쪽에서 이 수지가 테이프 두루감기부에 해당하는 간격을 통하여 유동한 수지와 합류하게 된다.
[실시예]
제3도는 본 실시예의 VTR용의 테이프 카세트의 릴을 도시하고 있으며, 릴은 합성수지 성형제로 형성된 하부 플랜지(10)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10)의 중앙부에는 일체로 테이프 두루감기부(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두루감기부(11)의 안쪽에서 릴대 끼워맞춤부(12)가 설치되어 있으며, 플랜지(12)에 연결되어 있다. 릴대 끼워맞춤부(12)의 안쪽은 제4도에 도시되듯이, 홈부(13)에 구성되어서 릴대와 합체되는 합체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홈부(13)의 상부에는 접합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다수의 핀(16)이 설치되어 있다.
릴대 끼워맞춤부(12)의 접합부(15)의 상부에는 제4도에 도시하듯이 상부 플랜지(17)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17)에는 그 중심부에 홈이 부가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홈부(18)에 형성되어 있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19)에 상기 핀(16)이 삽입되어 있으며, 핀(16)의 상단부는 제4도에 도시하듯이 열용착에 의해서 압축된다. 이것으로 플랜지(17)는 접합부(15)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 두루감기부(11)와 릴대 끼워맞춤부(12) 사이에는 제1도에 확대해서 도시하듯이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리브(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브(21)는 그 상단부가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상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되어 있으며,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접합부(23)는 두루감기부(11)의 안쪽 엣지에 일치되게 되어 있다. 또한, 리브(21)는 릴대 끼워맞춤부(12)의 상단부쪽과 접합부(24)에 의해서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플랜지(17)의 홈부(18)와 떨어진 리브(21)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있으며, 테이프 접합부(24)보다 상부쪽에 위치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외주면상에 있는 상하의 플랜지(17,10) 사이에서 자기테이프가 바깥으로 감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기테이프의 단부는 절취부(30)와 합체하는 클램퍼(31)에 의해 릴에 고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두루감기부(11)와 릴대 끼워맞춤부(12) 사이의 공간(20)을 연결하는 리브(21)가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상단부폭이 중심쪽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두루감기부(11)의 바깥으로 감긴 자기테이프가 변형되어 「압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6)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게이트(B)를 통해 용융 수지를 주입하므로써 릴을 형성할 때, 리브(21)의 상단측을 통과하는 수지 유동이 높이 차이가 있는 접합부(23,24)에 의해서 그 유속이 억제되기 때문에,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외주면은 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지 유동에 의해 형성되게 되며,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외주면에 파형의 요철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요철에 의한 자기테이프의 주름도 방지되며, 신호의 드롭 아웃(drop-out)이나 화상의 난조가 없어지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한 실시예의 테이프릴은 성형 과정에서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외측 주변에서 불균일한 파형을 형성하지 않는다. 즉, 성형 과정에서 내부 원통형 부분의 상부벽을 구성하는 부분으로부터 흐르는 용융 수지의 흐름이 접합부(23,24)에서의 높이 차이에 의해 제한된다. 이것은 용융수지의 유속의 감소를 일으킨다. 그 결과, 테이프 두루감기부(11)는 하부 플랜지를 형성하는 부분에서부터 흐르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이 용융수지가 테이프 두루감기부(외부 원통형 부분)의 축방향 중간부에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외부 원통형 부분의 외측 주변에서 불균일한 파형을 형성할 수도 있는 스트레스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리브가 외부 및 내부 원통형 부분의 높이 전체를 연장하기 때문에, 리브는 내부 원통형 부분이 방사상 내부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테이프 릴에 감긴 테이프에 스트레스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할 때에도 테이프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변형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테이프 두루감기부(11)와 릴대 끼워맞춤부(12)를 연결하는 리브(21)의 상단부의 형상을 곧은 형상으로 하고, 그 수직부분에 릴대 끼워맞춤부(12)와의 접합부(24)를 형성하며, 이 접합부(24)를 테이프 두루감기부(11)쪽의 접합부(23)보다 더 아랫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단부가 곧은 리브(21)의 상단부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부 플랜지(17)에 구멍(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28)에 의해 리브(21)와 떨어져 있다.
이런 변형예에 있어서도 리브(21)가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상단부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상단부가 중심쪽으로 쓰러지듯이 변형되지 않으며, 자기테이프의 「압착」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테이프 두루감기부(11)쪽의 접합부(23)가 릴대 끼워맞춤부(12)쪽의 접합부(24)보다 더 상부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외주면에 요철이 파형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자기테이프의 주름도 방지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테이프 두루감기부(11)쪽의 접합부(23)가 릴대 끼워맞춤부(12)쪽의 접합부(24)보다 더 상부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성형중에 이런 높이 차이에 의해 용융수지의 흐름에 제한되고, 이것이 용융수지의 유속의 감소를 일으킨다. 그결과, 테이프 두루감기부(11)는 하부 플랜지를 형성하는 부분에서부터 흐르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이 용융수지가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축방향 중간부에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외측 주변에서 불균일한 파형을 형성할 수도 있는 스트레스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리브가 외부 및 내부 원통형 부분의 높이 전체를 연장하기 때문에, 리브는 내부 원통형 부분이 방사상 내부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테이프릴에 감긴 테이프에 스트레스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사용시에도 테이프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게이트를 회전 중심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릴대 끼워맞춤부가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거의 테이프 접촉 높이 전체에 걸쳐서 이 테이프 두루감기부와 일정거리를 떨어져서 평행하게 형성되고, 릴대 끼워맞춤부와 테이프 두루감기부를 접속하는 방사상 리브의 상단의 접합부를 테이프 두루감기부쪽이 릴대 끼워맞춤부 쪽보다 높게 되도록 형성하고, 더구나 이릴대 끼워맞춤부쪽의 접합부가 릴의 회전축 중간부보다 충분히 위쪽에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게이트로부터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릴을 형성하면 이 용융수지가 릴대 끼워맞춤부에 해당하는 간격에서 접속 플랜지를 형성하는 간격을 통하여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외부 원주면에 해당하는 간격의 위쪽으로 흐르게 되며, 그후에 방사상 리브에 해당하는 간격을 통하여 수지가 반경 방향의 외부 원주쪽으로 유동하고, 이 수지의 흐름이 그 악의 수지의 흐름과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상단에 있는 테이프 두루감기부로부터 편의한 위치에 합류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외부 원주면의 테이프 접촉부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릴의 테이프 두루감기부에 감기는 테이프가 구겨지는 일이 없다.

Claims (1)

  1.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통형의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내측에 상기 테이프 두루감기부의 거의 테이프 접촉 높이 걸쳐서 상기 테이프 두루감기부와 일정거리를 떨어져서 평행하게 형성된 소정 두께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갖는 릴대 끼워맞춤부(12)를 설치하고, 또 상기 테이프 두루감기부(11)와 릴대 끼워맞춤부(12)와 릴대 하단측으로 환형 모양으로 접속하는 소정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접속 플랜지 부분(A)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프 두루감기부(11)와 릴대 끼워맞춤부(12)와의 사이의 공간(20)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테이프 두루감기부 내부 원주와 상기 접속 플랜지부분(A)과 릴대 끼워맞춤부의 외부 원주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소정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방사상의 리브(21)를 형성하도록 한 테이프 카세트용 릴에 있어서, 성형시의 수지를 주입시키는 하부 게이트(B)를 상기 방사상 리브(21)의 상단 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릴 회전 중심부에 형성하고, 상기 리브(21)의 상단쪽의 테이프 두루감기부(11)와의 접합부(24)를 테이프 두루감기부(11)의 상단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접합부를 릴대 끼워맞춤부(12)와 리브(21)와의 상단쪽의 접합부(23)보다도 위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고, 또한 상기 릴대 끼워맞춤부(12)와 리브(21)와의 상단 접합부(23)가 릴의 회전축 방향의 중간부보다 충분히 위쪽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용 릴.
KR1019870014141A 1986-12-12 1987-12-11 테이프 카셋트용 릴 KR970002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1243 1986-12-12
JP1986191243U JPH0538454Y2 (ko) 1986-12-12 1986-12-12
JP191243 1986-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312A KR880008312A (ko) 1988-08-30
KR970002199B1 true KR970002199B1 (ko) 1997-02-25

Family

ID=1627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141A KR970002199B1 (ko) 1986-12-12 1987-12-11 테이프 카셋트용 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07826A (ko)
EP (1) EP0274864B1 (ko)
JP (1) JPH0538454Y2 (ko)
KR (1) KR970002199B1 (ko)
DE (1) DE3773641D1 (ko)
ES (1) ES2025171B3 (ko)
HK (1) HK51492A (ko)
SG (1) SG516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4549B2 (ja) * 1988-08-30 1998-03-30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ットリール
JP2701401B2 (ja) * 1988-12-29 1998-01-21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ットリール
US4993655A (en) * 1989-11-28 1991-02-19 Shape Inc. One-piece tape reel
JPH064982U (ja) * 1990-05-29 1994-01-21 株式会社金星社 テープ損傷防止用テープリール
KR930014536A (ko) * 1991-12-19 1993-07-23 오오가 노리오 자기테이프 카세트와 테이프릴 및 이를 제조하는 금속주형
US5433397A (en) * 1993-01-04 1995-07-18 Xerox Corporation High speed tape transport system
US5472150A (en) * 1994-02-25 1995-12-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alanced reel hub for tape cassette reels
US5911387A (en) * 1996-11-06 1999-06-15 Fuji Photo Film Co., Ltd. Reel for use in magnetic tape cassette
JP3299484B2 (ja) * 1997-09-10 2002-07-08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用テープリール
US6193730B1 (en) 1999-11-15 2001-02-27 INSTRUMENTS MéDICAUX G.B. INC. Surgical extractor
US7152826B2 (en) * 2000-12-19 2006-12-26 Fuji Photo Film Co., Ltd. Tape reel
US7300016B2 (en) * 2003-10-08 2007-11-27 Imation Corp. Tape reel assembly with stiff winding surface for a tape drive system
US20060043227A1 (en) * 2004-09-01 2006-03-02 Wataru Iino Reel and method of designing same
US20070225749A1 (en) * 2006-02-03 2007-09-27 Martin Brian B Methods and devices for restoring blood flow within blocked vasculature
JP2008097721A (ja) * 2006-10-12 2008-04-24 Fujifilm Corp リール
JP4833171B2 (ja) * 2007-08-24 2011-12-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リール
JP4933574B2 (ja) * 2008-03-05 2012-05-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単リール型のテープカートリッジ
TWI669262B (zh) * 2019-01-21 2019-08-21 頎邦科技股份有限公司 防止捲輪的限位盤變形之限制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8304Y2 (ko) * 1977-05-20 1982-06-21
JPS5728311Y2 (ko) * 1977-12-16 1982-06-21
JPS5587352A (en) * 1978-12-25 1980-07-02 Nifco Inc Tape reel for video cassette
DE3108585A1 (de) * 1980-03-07 1982-02-04 Nifco Inc., Yokohama, Kanagawa Bandspule
US4254919A (en) * 1980-05-12 1981-03-10 Polaroid Corporation Method of loading film cassette
JPS5756382A (en) * 1980-09-17 1982-04-03 Kuratomi Tatsuro Manufacture of diamond solidified body
JPS58190886U (ja) * 1982-06-12 1983-12-19 ソニー株式会社 テ−プリ−ル
US4452404A (en) * 1982-08-20 1984-06-05 Shape Inc. Tape reel hub assembly
JPS59161566U (ja) * 1983-04-08 1984-10-29 吉野 洋一 カセツトテ−プ用リ−ル
JPS59112472A (ja) * 1983-10-12 1984-06-28 Nifco Inc ビデオカセツト用テ−プリ−ル
US4564156A (en) * 1984-06-15 1986-01-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ideocassette wear button
US4664328A (en) * 1984-08-03 1987-05-12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tape reel
JPH0237192Y2 (ko) * 1984-10-30 1990-1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73641D1 (de) 1991-11-14
ES2025171B3 (es) 1992-03-16
JPH0538454Y2 (ko) 1993-09-29
KR880008312A (ko) 1988-08-30
HK51492A (en) 1992-07-24
JPS6396677U (ko) 1988-06-22
EP0274864B1 (en) 1991-10-09
EP0274864A1 (en) 1988-07-20
SG51692G (en) 1992-07-24
US4807826A (en) 198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199B1 (ko) 테이프 카셋트용 릴
CA1094036A (en) Tape reel
JPS6055900B2 (ja) 記録再生装置
JP2560357B2 (ja) ガイドドラ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55652A (ja) テープリール及び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064470Y2 (ja) 磁気テ−プカセツト
JP3427542B2 (ja) テープ用リ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テープカセット
JPH07312060A (ja) テープ用リール
JP2767854B2 (ja) テープリール
KR830000376Y1 (ko) 비데오 카셋트용 테이프릴
JPH08221937A (ja) テープ用リール
JPH0561878U (ja) テープリール
JPH0648630Y2 (ja) 磁気テープ用リール
JPS6336551Y2 (ko)
JP3135752B2 (ja) 回転ヘッドシリンダー
JPH0419654Y2 (ko)
JPH0757423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1166811A (ja)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KR19990018326A (ko) 마그네틱 테이프의 팬케이크 허브
JPH08287644A (ja) テープカセット用リールとテープカセット
JPH06349230A (ja) テープカセットの製造方法とそのテープカセット
CA2098859A1 (en) Recyclable tape cassette
JPH064982U (ja) テープ損傷防止用テープリール
JPS61258382A (ja) リ−ルの成形方法
JPS61223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