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692B1 - 관로의 지수방법과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및 지수재 - Google Patents

관로의 지수방법과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및 지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692B1
KR970001692B1 KR1019910700447A KR910700447A KR970001692B1 KR 970001692 B1 KR970001692 B1 KR 970001692B1 KR 1019910700447 A KR1019910700447 A KR 1019910700447A KR 910700447 A KR910700447 A KR 910700447A KR 970001692 B1 KR970001692 B1 KR 97000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base
hose
flange portion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744A (ko
Inventor
신기찌 오오까
유끼오 스즈끼
히사시 기다지마
히데히로 노다
Original Assignee
신기찌 오오까
도아 구라우또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유끼오 스즈끼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가이하쯔고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찌 오오까, 도아 구라우또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유끼오 스즈끼,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가이하쯔고오기 filed Critical 신기찌 오오까
Publication of KR92070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79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specially adapted for bends, branch units, branching pip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28Gas and water specific plumbing component making
    • Y10T29/49442T-shaped fitting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관로의 지수방법과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및 지수재
하수도의 본관인 제1관로와 지관(枝管)과 같은 제2관로와의 연결부는 일반적으로 몰타르와 같은 접합제로 액밀(液密)하게 접합되어 있다. 접합제는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관로가 상대적으로 조금만 변위하여도 제1 또는 제2 관로로부터 박리된다. 그 결과 연결부에 틈새가 형성되어 연결부의 액밀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연결부에 형성된 틈새로부터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수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지수처리는 보통 시멘트계 또는 용액계의 지수제(止水劑)를 틈새내 및 연결부 둘레에 주입하여 이 지수재를 응결시키는 소위 약액(藥液) 주입법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약액주입법은 실제로 누수가 되고 있으면 유실 또는 희석으로 지수제가 고화되지 않는 일이 있으며, 또 관로내로 유입된 지수제를 제거하는 후처리 작업을 실시해야만 한다.
또 시멘트계의 지수제를 사용하는 약액주입법에서는, 지수제가 경화된 후에 탄력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진동이나 지반의 침하등에 기인하여 관이 변위하면 경화된 지수제가 관로로부터 박리되거나, 경화된 지수제에 균열이 발생하여 장기간의 안정된 지수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다.
그리고 용액계의 지수제를 사용하는 약액주입법에서는 지수제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지수효과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가 없다.
발생의 개시
본 발명은 지수제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부를 지수처리할 수 있는 관로의 지수 방법과, 관로연결부의 구조 및 지수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관로와 이 제1관로에서 분기된 제2관로와의 연결부를 지수하는 방법은 신축가능한 호스부와, 이 호스부의 일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불투수성 지수부재를 플랜지부가 제1관로내에 위치하고 또한 호스부가 제2관로내에 위치하도록 제1 및 제2관로에 배치하고 계속해서 플랜지부가 제1관로의 내면에 액밀적으로 접촉하고 호스부가 제2관로내를 연장하도록 지수부재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관로와 이 제1관로에서 분기된 제2관로와의 연결부 구조는 신축이 가능한 호스부와 이 호스부의 일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플랜지부를 갖는 불투수성 지수부재를 포함한다. 플랜지부는 제1관의 내면에 액밀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호스부는 제2관로내를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관로와 이 제1관로에서 분기된 제2관로의 연결부를 지수하는데 사용하는 본 발명의 지수제는 신축이 가능한 호스부와 이 호스부의 일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불투수성 지수부재를 포함한다.
지수부재는 플랜지부가 제1관로내에 위치하며 또한 호스부가 제2관로내를 연장하도록 제1관로내로부터 또는 제2관로의 상단부측으로 배치된다.플랜지부와 제1관로 사이의 액밀성은 플랜지부가 제1관로의 내면에 액밀적으로 접촉되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이에 대해 호스부와 제2관로 사이의 호스부가 제2관로내를 지하수의 수면보다 높은쪽까지 연장하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에 형성된 틈새를 폐쇄하는 지수를 사용하지 않고 관로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지수부재를 플랜지부가 제1관로의 내면에 액밀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으로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한 통형으로 감긴 시트형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는 제1관로내에 배치된 후 반경방향으로 벌어진다. 이에따라 플랜지부는 베이스에 의해 제1관로의 내면에 눌려진다. 그 후 베이스는 이곳에 설치된 다수의 결합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플랜지부는 제1관로의 내면에 액밀적으로 접촉된다.
유지수단으로서, 시트형 베이스와 탄성변형이 가능한 슬리브를 포함하는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베이스는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슬리브내에 배치된 상태로 시트와 함께 제1관로내에 배치된 후 반경방향으로 벌어진다. 이에따라 플랜지부는 베이스 및 슬리브에 의해 제1관로의 내면에 눌려진다. 그후 베이스는 이곳에 설치된 다수의 결합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플랜지부는 제1관로의 내면에 액밀적으로 접촉된다.
어떠한 유지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라도 지수재를 배치하기에 앞서 플랜지부와 슬리브 및 베이스를 이들이 제1관로 내면으로 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요입부를 제1관로의 내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수부재에 있어서, 플랜지부는 호스부의 측면 및 이것과 반대측면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같이 하면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감겨진 시트형 베이스를 제1 관로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게 하여 플랜지부를 베이스에 의해 제1관로의 내면에 밀어누를때 돌출부를 주로 탄성변형을 시킬 수가 있다.
돌출부가 호스부의 측면과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플랜지부가 제1관로의 내면에 눌려져서 탄성변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에 의해 제1관로의 내면과 플랜지부 사이의 액밀성이 유지된다.
이에 대해 돌출부가 호스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돌출부가 제1관로의 내면에 눌려져서 탄성변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에 의해 제1관로의 내면과 플랜지부 사이의 액밀성이 유지된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제2관로와 호스부 사이는 호스부가 지하수의 수면보다 위쪽까지 연장하는 것에 의해 액밀적으로 유지된다.
돌출부는 호스부의 축선둘레를 연속하여 연장하는 환상(環狀)의 돌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이와같이 하면 플랜지부와 제1관로의 내면과의 접촉부가 호스부의 축선둘레를 연속하여 연장하기 때문에 플랜지부와 제1관로의 내면과의 액밀성을 보다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수재료는 또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제1관로내에 배치되어 플랜지부를 제1관로의 내면에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시트형 베이스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재는 이 베이스가 벌어졌을때 서로 결합되어 베이스를 반경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를 갖는다.
이 대신에 지수재는 또 제1관로내에 배치되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슬리브와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슬리브내에 배치되어 슬리브를 개재하여 플랜지부를 제1관로의 내면에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시트형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베이스는 이 베이스가 반경방향으로 벌어졌을때 서로 결합되어 베이스를 반경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를 갖는다.
호스부는 신축가능한 기재(基材)와 이 기재에 함유되고 열 또는 빛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랜지부는 호스부의 단부를 반경방향으로 확대한 주부(主部)와 이 주부의 호스부측에 부착된 탄성변형이 가능한 보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이 경우 돌출부는 보조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지수부재(10)는, 지중에 매설된 제1관로(12)와 이 제1관로에서 분기된 제2관로(14)와의 연결부(16)로부터의 누수방지에 사용된다.도시한 예에서는 제1관로(12) 및 제2관로(14)는 각각 지중에 부설된 본관 및 지관(枝管)이다.그러나 제1관로(12)는 이미 부설된 본관과 이 관의 내측에 형성된 코팅관, 즉 보수관부로 이루어지는 관로일 수도 있다.
지수부재(10)는 신축 가능한 호습부(18)와 이 호스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이어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플랜지부(20)를 갖는다. 호스부(18)는 이것을 배치하기 위해 제2관로(14)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는 동시에 제2관로(14)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또한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光硬化性)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호스부(18)는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합성수지를 직물, 편물,스폰지와 같은 소재 등에 의해 호스형으로 형성한 신축이 가능한 기재에 함유시킨 것이어도 괜찮다.
플래지부(20)는 제2관로(14)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동시에 호스부(18)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플랜지부(20)에는 호스부(18)의 축선 둘레를 연속하여 연장하는 다수의 돌출부(22)가 호스부(18) 측면이 아닌 그 반대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호스부(18) 및 플랜지부(20)의 두께는 도시한 예처럼 대략 같게 해도 좋고 다르게 하여도 좋으나 특히 호스부(18)의 두께를 플랜지부(20)의 두께보다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6)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제3도에 도시한 시트형 베이스(24)가 사용된다. 베이스(2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시트부(26)와, 이 시트부의 일단부에 혀성된 다수의 암(암)결합부(28)와, 시트부(26)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암결합부(28)는 Z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시트부(26)에 고정된 길다란 금속체로 되고, 수결합부(30)는 시트부(26)의 타단부이며 또 암결합부(28)가 설치된 면에 대해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호스부(18)의 두께, 플랜지부(20)의 두께, 돌출부(22)의 높이 및 베이스(24)의 두께는 각각 예를 들면 0.2-5mm, 1-6mm, 4-8mm, 및 0.5-3mm로 할 수있다.
지수부재(10)는 고무나 합성수지와 같은 고분자 재료로 된 제품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베이스(24)는 스테인레스, 동, 동합금과 같이 내식성을 갖는 금속재료제 혹은 염화비닐과 같은 합성재료제로 된 제품이 바람직하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24)는 시트부(26)의 암결합부(28)측 단부가 수결합부(30)측 단부의 바깥쪽이 되도록 미리 소용돌이 모양이나 또는 통형 으로 감겨져 있다.
지수처리시 먼저 제1관로(12) 및 제2관로(14)내가 청소된다.
이어서 플랜지부(20)가 제1관로(12)내에 위치하고 호스부(18)가 제2관로(14)내를 연장하도록, 지수부재(10)가 제1관로(12)내를 통해 또는 제2관로(14)의 상단부측을 통해 제2관로(14)내로 삽입된다.
지수부재(10)는 예를 들면, 호스부(18)의 탄단을 폐쇄한 상태에서 압축공기와 같은 유체를 이요하여 호스부(18)의 일부가 제2관로(14)에서 위쪽으로 돌출할 때까지 지수부(10)를 제2관로(14)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제1관로(12)내를 통해 배치할 수 있다.
또 지수부재(10)는 예를 들면, 플랜지부(20)를 이것이 제2관로(14)내를 통과가능한 크기로 접어 그 상태에서 플랜지부(20)를 탄성변형이 가능한 1개 이상의 막대형 부재에 의해 제2관로(14)내에 그 상단부측을 통해 밀어넣어 플랜지부(20)가 제1관로(12)내에 도달하도록 하여 플랜지부(20)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는 것에 의해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플랜지부(20)가 제1관로(12)의 내면에 접하도록 지수부재(10)가 제관로(14)의 상단부측으로 끌어당겨진다.
다음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24) 및 이것을 반경방향으로 벌어지게 하는 확개기(32)가 함께 제1관로(12)내의 연결부에 배치된다. 확개기(32)는 축부(34)와, 이 축부둘레를 연속하여 연장하도록 고정되는 동시에 또한 압축공기와 같은 압력유체에 의해 튜브형으로 팽창되는 팽창부(36)와, 압력유체용 니플(38)을 구비한다. 이와같은 확개기(32)로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중 하나인 도우 구라우또 공업주식회사에서 파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지수선(止水栓)을 사용할 수 있다.제5도는 팽창부(36)를 팽창시켜 베이스(24)를 반경방향으로 벌어지게 한 상태를 도시한다.
확개기(32)는 팽창부(36)가 수축된 상태에서 베이스(24)내에 배치되며 이어서 지상에 설치된 유체원(流體源)으로부터 호스를 거쳐 니플(38)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베이스(24)가 확개기(32)에 대해 변위하지 않을 정도로 팽창부(36)가 팽창된 상태로 베이스(24)와 함께 제1관로(12)내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확개기(32) 축부(34)에는 팽창부(36)와 니플(38)을 연통하는 유로(40)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4) 및 확개기(32)는 예를 들면, 제1관로(12)의 직경이 그곳에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을 정도의 치수일 경우 로프를 제1관로(12)내의 일단에서 탄단으로 통관시키고, 이 로프를 제1관로(12)의 타단부측에서 확개기(32)에 연결한 후, 이로프를 제1관로(12)의 일단부측으로 소정거리 만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관로(12)내의 소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TV 카메라를 확개기(32)에 장착하여 이 TV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모니터로 감시하면서 베이스(24) 및 확개기(32)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24) 및 확개기(32)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면 확개기(32)의 니플(38)에 압력유체가 공급되어 팽창부(36)가 팽창된다. 이에따라 베이스(24)는 시트부(26)의 양단부가 약간 겹쳐지는 정도, 즉 수결합부(30)가 어느 하나의 암결합부(28)와 결합가능하게 되는 정도로 반경방향으로 벌어진다. 그 결과 지수 부재(10)의 플랜지부(20)가 시트부(26)에 의해 제1관로(12)의 내면에 눌려지고, 플랜지부(20)의 돌출부(22)가 탄성변형된다.
다음에 팽창부(360내의 압력유체가 제거된 후 확개기(32)가 제거된다. 이에따라 베이스(24)는 돌출부(22)의 복원력에 의해 수결합부(30)가 어느 하나의 암결합부(28)와 결합할 때까지 오므라든다. 이때문에 플랜지부(20)는 베이스(24)에 의해 제1관로(12)의 내면에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제1관로(12)의 내면과 플랜지부(20)와의 사이는 액밀적으로 유지되며, 플랜지부(20)와 베이스(24) 사이는 길밀적(氣密的)으로 유지된다.
그 다음에 지수부재(10)의 호스부(18)가 팽창되어 제2관로(14)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 상태로 가열공기나 빛에 의해 경화된다. 호스부(18)는 호스부(18)의 제1관로(12)측 단부의 개방부가 베이스(24)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타단부측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팽창시킬 수가 있다.
이어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관로(14)를 제1관로(12)내로 개방시키기위해 베이스(24)의 소정위치가 공지의 천공기에 의행 천공된다.이에따라 베이스(24)의 시트부(26)에 구멍(42)이 형성되고 구멍(42)에 의해 제1관로(12)와 제2관로(14)가 연통된다.
지수부재를 상기와 같이 배치하기 위해 예를들면, 플랜지부(20)를 배치하는 부위의 형상, 특히 제1관로(12)의 내면형상을 기억하고 있는 형상기억합금 또는 형상기억수지를 플랜지부(20)에 배치하고, 플랜지부(20)가 제1관로(12)내에 배치된 후 형상기억합금 또는 형상기억수지를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또, 플랜지부(20) 및 호스부(18)를 각각 접착체 등에 의해 제1및 제2관로(12)(14)의 내면에 접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면, 호스부(18) 및 플랜지부(20)의 외면에 열용융성 접착제를 도포하던가 또는 동종의 접착제를 호스부(18) 및 플랜지부(20)에 함유시키고 압축공기로서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접착제를 가열용융서을 가진 것 이외에 다른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관로(12)의 내측에 통형의 코팅층, 즉 보수관부(44)를 형성할 때믄 보수관부(44)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랜지부(20)와 베이스(24)를 제1관로(12)와 보수관부(44) 사이에 끼이게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수관부(44)에도 제2관로(14)를 제1관로(12)내로 개방시키는 구멍이 형성된다. 보수관부(44)의 구멍은 베이스(24)의 구멍(42)과 동시에 형성하여도 괜찮다.
그러나,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수부재(10) 및 베이스(24)를 배치하기 전에 보수관부(44)를 제1관부(12)내에 형성하고, 보수관부(44)에 제2관로(12)내로 개방시키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보수관부(44)의 구멍을 규정하는 부위가 제1관로(12)와 플랜지부(20) 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상기 부위가 제1관로(12)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수부재(10) 및 베이스(24)를 배치하기에 앞서 제1관부(12)의 내면에 플랜지부(24) 및 베이스(24)가 끼워지는 요입부(4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플랜지부(20) 및 베이스(24)가 제1관로(1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입부(46)를 제1관로(12)에 형성했을 경우, 보수관부(44)를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수부재(10) 및 베이스(24)를 배치한 후에 제1관로(12)내에 형성하여도 되고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수부재(10) 및 베이스(24)를 배치하기 전에 제1관로(12)내에 형성하여도 괜찮다.
지수부재(10)에 돌출부(22)는, 베이스(24)가 벌어졌을때 탄성변형하여 베이스(24)의 암결합부(24)와 수결합부(30)를 결합시키는 형상이면 꼭 환상일 필요는 없고 원추형등 다수의 돌출부이어도 괜찮다. 또 지수부재(10)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플랜지부(20)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하여도 좋다.
지수부재(10)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제10도에 도시한 슬리브(50)를 사용하여도 괜찮다. 제10도에 도시한 슬리브(50)는 고무와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료이로 되며, 또 제1관로(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슬리브(50)를 사용할때 베이스(24)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통형으로 감긴 상태로 슬리브(50)내에 배치된다.그 상태에서 베이스(24) 및 슬리브(50)는 제5도에 도시한 확개기(32)에 배치되며, 확개기와 함께 제1관내의 소정 위치로 이동되어 확개기(32)의 팽창부(36)가 팽창되는 것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벌어진다.
이에따라 슬리브(50)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탄성변형되어 지수부재(10)의 플랜지부(20)를 제1관로(10)의 내면으로 밀어누른다. 확개기(32)의 팽창부(36)가 수축되면 슬리브(50)는 베이스(24)의 수결합부와 어느 하나의 암결합부가 결합하도록 베이스(24)를 약간 축소시킨다.
그후 확개기(32)가 제거되고, 제2관로(14)를 제1관로(12)와 연통시키기 위해 베이스(24) 및 슬리브(50)에 구멍이 천공된다. 슬리브(50)를 사용할 경우에도 플랜지부(20), 슬리브(50), 및 베이스(24)를 배치하기 위한 요입부(52)를 제1관로(12)의 내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24)의 암결합부로서는 시트부(26)에 형성된 구멍과 시트부(26)의 일부를 그 한쪽면측으로부터 다른쪽면측으로 펀칭하여 펀칭된 부위를 변형한 설편(舌片)등 다른 결합부를 사용할 수 있다. 수결합부도 돌기와 같은 다른 결합부로 할 수 있다.
제12도-제14도에 도시한 베이스(54)의 암결합부(58)는 시트부(56)의 일단부에 매트릭스형(matrix 形)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수결합부(60)와 반대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베이스(54)도 수결합부(60)가 암결합부(58)의 내측이 되도록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사용된다. 양가장자리부(62)는 베이스(54)가 반경방향으로 벌어졌을때 시트부(56)의 양단부가 시트부(56)의 폭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한다.
지수부재의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호스브의 측면에 형성하여도 좋고, 플랜지부의 양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돌출부를 호스부의 측면에 형성한 지수부재의 일실시예를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다.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지수부재(70)는 신축가능한 호스부(72)와 이호스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이어져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플랜지부(74)를 갖는다. 플랜지부(74)는 호스부(72)의 단부를 반경방향으로 넓힌 주부(主部)(76)와, 주부(76)에 있어 호스부(72)측에 부착된 보조부재(78)을 구비한다.
호스부(72) 및 주부(76)는 직물, 편물, 스폰지와 같은 소재 등에 의해 호스형으로 형성된 선축이 가능한 기재에 열, 및 등 특히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성질을 갖는 수지를 함유기키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보조부재(78)는, 고무와 같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재료로 되며 또 호스부(72)의 축선둘레를 연속하여 연장하는 다수의 돌출부(80)를 호스부(72)측면에 형성한다.
제1 및 제2관로를 연통시키는 구멍은 지수부재의 플랜지부를 제1관로의 내면에 액밀적으로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기 전에 베이스에 형성해 두어도 괜찮다. 이와같은 베이스의 일실시예를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한다.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한 베이스(8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시트부(84)와, 시트(84)의 일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암결합부(86)와, 시트부(84)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또한 암결합부(86)와 결합이 가능한 수결합부(88)와, 시트부(84)의 폭방향 양가장자리부를 시트부(84)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하는 가장자리부, 즉 절곡부(90)을 갖는다.
시트부(84)에는 원형구멍(92)이 수결합부(88)측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반원형 절개부(94)가 암결합부측에 형성되어 있다.구멍(92) 및 절개부(94)는 제2관로(14) 내경의 1/2로 대략 같은 곡률 반경을 갖는다.
구멍(92)을 규정하는 부위(96)는 절곡부(90)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암결합부(86)는 절곡부(90)의 반대측으로 펀칭한 설편이며 수결합부(88)는 시트부(84)의 타단부이다.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82)는 시트부(84)는 시트부(86)측 단부가 수결합부(88)측 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미리 제1관로(1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용돌이모양,즉 통형으로 감겨져 있다.
통혀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절곡부(90)는 반경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베이스(82)는 그 암결합부(86)의 수결합부(88)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관로(1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베이스(82)의 축선방향 길이는 지수부재의 플랜지부 직경보다 약간크다.
베이스(82)를 사용하여 지수처리를 할 경우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82)가 이것을 반경방향으로 벌어지게 하는 확개기(100)와 함께 제1관(12)내의 연결부에 배치된다. 제19도 및 제20도에서는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지수부재(70)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다.
확개기(100)는 축부(102) 둘레를 연속하여 연장하도록 고정되며 또한 압축공기와 같은 압력유체에 의해 튜브형으로 팽창되는 한쌍의 팽창부(104)와, 도시하지 않은 호스를 거쳐 압력유체를 공급받는 한쌍의 니플(106)(108)을 구비한다.
니플(108)은 양팽창부(104)에 도시하지 않은 유롤를 거쳐 연통되며, 니플(108)은 양팽창부(104) 사이에서 축부(102)에 형성된 구멍(110)에 도시하지않은 유로를 거쳐 연통되어 있다.
이와같은 확개기(100)로서는 본 발명 출원인의 하나인 도아 구라우또 공업주식회사에서 파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지수전을 사용할 수 있다.
확개기(100)는 팽창부(104)가 수축된 상태에서 베이스(82)내에 배치되고, 이어서 지상에 설치된 유체원으로부터 호스를 거쳐 니플(106)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해 베이스(82)가 확개기(100)에 대해 변위하지 않을 정도로 팽창부(104)가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에서 베이스(82)와 함께 제1관(12)내의 소정위치로 이동한다.
베이스(82)와 확개기(100)는 베이스(82)의 구멍(92) 중심이 확개기(100)의 양팽창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서로 관계가 있는 상태로 베이스(82)의 구멍(92)이 지수부재(70)의 하단개방부와 대향하도록 위치가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확개기(100)의 니플(100)에 압력유체가 공급되어 팽창부(104)가 더욱 반경방향으로 팽창된다.
이에따라 베이스(82)는 시트부(84)의 양단부가 약간 접히는 정도로, 즉 수결합부(88)가 어느 하나의 암결합부(86)와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정도로 반경방향으로 벌어진다. 그 결과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수부재(70)의 플랜지부(74) 및 베이스(82)는 제1관로(12)의 내면에 미리 형성된 요압부(112)에 배치된다. 또 지수부재(70)의 돌출부(80)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트부(84)에 의해 제1관로(12)의 내면에 눌려져서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탄성변형된다.
이어서 수결합부(88)가 돌출부(80)의 복원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암결합부(86)와 결합할 때까지 팽창부(104)내의 압력유체가 제거되어 베이스(82)가 축소된다. 이 결과 돌출부(80)는 베이스(82)에 의해 제1관로(12)의 내면에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어 제1관로의 내면과 플랜지부(74) 사이 및 플랜지부(74)와 베이스(82)사이는 기밀적으로 유지된다.
다음에 지수부재(70)가 제2관로(14)내를 연장하도록 유지되고 호스부(72)의 선단부가 기밀적으로 폐쇄되며,그리고 팽창부(104)와 베이스(82) 사이가 기밀적으로 유지된 상태로 확개기(100)의 니플(108)에 압력유체가 공급된다.
이에따라 압력유체가 축부(102)의 구멍(110)을 통해 지수부재(70)내로 공급되기 때문에 지수부재(70)는 그 호스부(72)가 제2관로(14)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반경방향으로 팽창된다.
다음에 지수부재(70)가 팽창된 상태에서 지수부재(70)가 경화된다. 이 작업은 지수부재(70)내에 미리 배치된 제20도에 도시한 경화수단(114)을 여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열, 빛, 특히 자외선을 발생시키면서 지수부재(70)내에서 그 호스부(72)방향으로 적어도 1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경화수단(114)은 로프를 이용하여 호스부(72)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팽창부(104)내의 압력유체가 제거된 후 확개기(100)가 제거된다.
또 지수부재(70)의 선단부가 개방되어 이곳을 통해 경화수단(114)이 제거되고 지수부재(70)의 선단부가 맨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82)는 돌출부(80)의 복원력에 의해 수결합부(88)가 어느 하나의 암결합부(86)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플랜지부(74)는 베이스(82)에 의해 제1관로(12)의 내면에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며, 제1관로(12)의 내면과 플랜지부(74) 사이 및 플랜지부(74)와 베이스(82) 사이는 기밀적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 연결부에서의 누수가 방지되며 또한 제2관로(14) 어느 곳에서의 누수도 방지된다.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수부재(70)의 플랜지부(74) 및 베이스(82)는 제1관로(12)의 내면에 미리 형성된 요입부(114)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는 관로의 연결부용 지수체로서 적합하지만,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관로의 연결부용 지수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발명은 하수도 관로 이외의 관로 예를들면, 전력선용 또는 전화선용 관로에 있어서 본관, 즉 제1관로와 지관, 즉 제2관로 연결부의 누수를 방지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관로와 제1관로에서 분기(分岐)된제2관로의연결부를지수(止水)하는 방법과 지수를 위한 연결부의 구조체 및 지수재(止水材)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대한 지수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지수부재를 배치한 관로의 단면도.
제3도는 지수부재와 함께 사용하는 베이스의 일실시예를 전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베이스를 통형으로 감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지수부재 및 제4도의 베이스를 장착한 관로를 베이스용 확개기(擴開機)와 함께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관로에 장착된 베이스의 구머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보수관부를 관로에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제1관로에 요입부를 형성한 경우의 지수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제1관로에 요입부를 형성한 경우의 지수구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베이스와 슬리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베이스와 슬리브를 장착한 관로의 단면도.
제12도는 베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
제13도는 제-12도의 13-13선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도시한 베이스의 좌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한 지수부재의 플랜지부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17도는 베이스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의 베이스를 전개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제19도는 제17도의 베이스를 확대기와 함께 관로내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0도는 베이스를 관로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게 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1도는 제15도에 도시한 지수부재의 돌출부가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Claims (17)

  1. 제1관로(12)와 이 제1관로(12)에서 분기된 제2관로(14)와의 연결부(16)와의 지수하는 방법으로서, 신축이 가능한 호스부(18)(72)와 이 호스부(18)(72)의 일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플랜지부(20)(74)를 갖는 불투수성 지수부재(10)(70)를, 상기 플랜지부(20)(74)가 상기 제1관로(12)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호스부(18)(72)가 상기 제2관로(14)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관로(12)(14)에 배치하고, 상기플랜지부(20)(74)가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에 액밀적으로 접촉되는 한편, 상기 호스부(18)(72)가 상기 제2관로내(14)를 연장하도록 상기 지수부재(10)(70)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지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지수부재(10)(70)를 유지하는 단계는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통형으로 감겨진 시트형 베이스(24)(54)(82)를 제1관로(12)내에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24)(54)(82)를 반경방향으로 벌어지게 하여 상기 플랜지부(20)(74)를 상기 베이스(24)(54)(82)에 의해 상기 제1관로(12)의내면으로 밀어누르며, 상기 베이스(24)(54)(82)에 설치된 다수의 결합부(28)(30)(58)(60)(86)(88)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베이스(24)(54)(82)를 반경방향으로 벌어지게 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20)(74)를상기 제1관로(12) 내면에 엑밀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지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부재(10)(70)를 배치하기에 앞서 최소한 상기 플랜지부(20)(74) 및 베이스(24)(54)(82)를 배치하는 요입부(46)(52)(112)를 제1관로(12)의 내면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지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부재(10)를 유지하는 단계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슬리브(50)와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상기 슬리브(50)내에 배치되는 시트형 베이스(24)를 상기 제1관로(12)내에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24)를 반경방향으로 벌어지게 하여 상기 플랜지부(20)를 상기 베이스(24) 및 슬리브(50)에 의해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으로 밀어누르고, 상기 베이스(24)에 설치된 다수의 결합부(28)(30)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베이스(24)를 반경방향으로 벌어지게 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20)를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에 액밀적(液密的)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지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부재(10)를 배치하기에 앞서 상기 플랜지부(20), 상기 슬리브(50) 및 상기 베이스(24)를 배치하는 요입부(46)를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지수방법.
  6. 제1관로(12)와 이 제1관로에서 분기된 제2관로(14)와의 연결부(16) 구조체로서, 신축이 가능한 호스부(18)(72)와 이호스부(18)(72)의 일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플랜지부(20)(74)를 갖는 불투수성 지수부재(10)(70)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20)(70)는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에 액밀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상기 호스부(18)(72)는 제2관로내(14)를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상기 제1관로(12)내에 배치된 시트형 베이스(24)(54)(82)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24)(54)(82)는 상기 플랜지부(20)(74)를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으로 밀어누른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랜지부(20)(74) 및 상기 베이스(24)(54(82)는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에 형성된 요입부(46)(52)(112)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12)내에 배치된 탄성변형이 가능한 슬리브(50)와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상기 슬리브(50)내에 배치되는 시트형 베이스(24)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24)는 상기 슬리브(50)를 거쳐 상기 플랜지부(20)를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으로 밀어누른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20), 상기 슬리브(50) 및 상기 베이스(24)는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에 형성된 요입부(46)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11. 제1관로(12)와 이 제1관로(12)내에서 분기된 제2관로(14)와의 연결부(16)를 지수하는데 사용되는 지수재(10)(70)로서, 신축이 가능한 호스부(18)(72)와, 이 호스부(18)(72)의 일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플랜지부(20)(74)를 구비하는 불투수성 지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20)(74)는 상기 호스부(18)(72)를 구비하는 불투수성 지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20)(74)는 상기 호스부(18)(72)측면 및 이와 반대측면중 어느 한쪽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22)(8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2)(80)는 상기 호수부(18)(72)의 축선둘레를 연속하여 연장하는 환상(環狀)의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재.
  15. 제11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상기 제1관로(12)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20)(74)를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으로 밀어누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시트형 베이스(24)(54)(82)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24)(54(82)는 이 베이스(24)(54)(82)가 반경방향으로 벌어졌을때 서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24)(54)(82)를 반경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다수의 결합부(28)(30)(58)(60)(86)(8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내(12)에 배치되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슬리브(50)와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슬리브(50)내에 배치되어 상기 슬리브(50)를 거쳐 상기 플랜지부(20)를 상기 제1관로(12)의 내면으로 누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시트형 베이스(24)를 포함하며,이 베이스(24)는 이 베이스(24)가 반경방향으로 벌어졌을때 서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24)를 벌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다수의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재.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부(72)는 신축이 가능한 기재(基材)와 이 기재에 함유되어 열 또는 빛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74)는 상기 호스브(72)의 단부를 반경방향으로 넓힌 주부(主部)(76)와, 이 주부(76)의 호스부(72)측에 부착된 탄성변형이 가능한 보조부재(78)를 구비하며, 돌출부(80)는 상기 보조부재(78)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재.
KR1019910700447A 1990-02-15 1991-02-13 관로의 지수방법과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및 지수재 KR970001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36790 1990-02-15
JP?2-32367? 1990-02-15
JP12184290 1990-11-22
JP?2-121842? 1990-11-22
PCT/JP1991/000171 WO1991012460A1 (en) 1990-02-15 1991-02-13 Method of water stopping in pipeline, construction of connecting portion of pipeline and water stop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744A KR920701744A (ko) 1992-08-12
KR970001692B1 true KR970001692B1 (ko) 1997-02-13

Family

ID=2637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447A KR970001692B1 (ko) 1990-02-15 1991-02-13 관로의 지수방법과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및 지수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24742A (ko)
EP (1) EP0468058A4 (ko)
KR (1) KR970001692B1 (ko)
AU (1) AU636455B2 (ko)
FI (1) FI912853A (ko)
WO (1) WO1991012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720A (en) * 1992-03-10 1994-10-04 Link-Pipe, Inc. Apparatus for repairing conduits
WO1997006381A1 (de) * 1995-08-04 1997-02-20 Kanal Technik Ingenieurbür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anieren von abwasserkanälen
US6001212A (en) * 1996-03-25 1999-12-14 Insituform (Netherlands) B.V. Method for lining of lateral pipelines with flow-through apparatus
TW386936B (en) * 1997-07-18 2000-04-11 Get Inc Making jig for a branch opening and pipe lining working method for a branch opening
GB0106141D0 (en) 2001-03-13 2001-05-02 Thames Water Utilities Sealing methods
GB0321636D0 (en) * 2003-09-16 2003-10-15 Chandler Brian Lining of pipelines and passageways
EP1798496A1 (en) * 2005-12-13 2007-06-20 A/S Ribe Jernindustri Flexible plug for providing forced flow in a heating device
GB0602659D0 (en) 2006-02-10 2006-03-22 Aarself As Repair of conduits
KR100606188B1 (ko) * 2006-04-28 2006-07-31 동도기공 주식회사 노후 수도관의 비 굴착 pe 라이닝 갱생공법
US7913395B1 (en) 2007-07-26 2011-03-29 Nigh Ryan C Pipe cutter with fluid diverting mean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975726B2 (en) * 2007-08-27 2011-07-12 Lmk Enterprises, Inc.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pipe
US9052051B2 (en) * 2009-04-20 2015-06-09 Link-Pip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repair of conduits
WO2016087707A1 (en) * 2014-12-04 2016-06-09 Consti Talotekniikka Oy Method for renovating a branch point in a pipeline under renovation
WO2023156340A1 (en) * 2022-02-15 2023-08-24 Per Aarsleff A/S A seal for sealing in a pipelin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078A (en) * 1902-10-11 1903-08-04 Edward F Felsing Puncture-plug.
US4018459A (en) * 1975-07-30 1977-04-19 Reed Irrigation Systems Submain connector
GB2041147B (en) * 1979-01-22 1982-12-15 Fusion Equipment Ltd Renovating sewers
US4613168A (en) * 1982-03-04 1986-09-23 Avon Industrial Polymers Limited Method of making branches in hoses
FR2549196B1 (fr) * 1983-07-13 1985-12-27 Hutchinson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raccords de derivation obtenus par moulage d'un enrobage de matiere de jonction, autour d'un insert rigide tubulaire notamment, et procede de fabrication
EP0159300A1 (en) * 1984-03-30 1985-10-23 Stig Westman Repair sleeve for piping
JPH0663592B2 (ja) * 1986-12-26 1994-08-22 日本鋼管工事株式会社 管の分岐部の補修方法
JP2617487B2 (ja) * 1987-10-02 1997-06-04 マツダ株式会社 過給機付エンジンの掃気装置
US4858966A (en) * 1988-02-12 1989-08-22 L.C.P., Inc. Introductory portion
JPH01234690A (ja) * 1988-03-14 1989-09-19 Iseki Tory Tech Inc 枝管の管口閉塞用パッカー
US4931119A (en) * 1988-06-27 1990-06-05 Watkins Richard L T Method for making a reinforced thermosetting resin structure with integral unflanged nozzle
JP2726449B2 (ja) * 1988-10-07 1998-03-11 矢野技研株式会社 分岐管部の補修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ライニング材
JP2726450B2 (ja) * 1988-10-12 1998-03-11 矢野技研株式会社 分岐管部の補修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ライニング材
JP2719831B2 (ja) * 1988-10-31 1998-02-25 リンク―パイプ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管補修のためのスリーブ、ライナー、装置および方法
US5119862A (en) * 1988-10-31 1992-06-09 Link-Pipe Technlogies, Inc. Conduit repair apparatus
CH676495A5 (ko) * 1988-11-21 1991-01-31 Himmler Kunststoff Tech
US5042532A (en) * 1989-08-01 1991-08-27 Cues, Inc. Expandable tube apparatus for repairing pipelines
CA2022301C (en) * 1989-08-14 1996-08-06 Takayuki Kawafuji Liner for pipeline repair and method for repairing pipelines
JPH0830555B2 (ja) * 1989-08-15 1996-03-27 東亜グラウト工業株式会社 管路の漏水防止方法および漏水防止用被覆体
DE8911617U1 (ko) * 1989-09-29 1989-11-1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GB2249603B (en) * 1990-11-02 1995-05-10 British Gas Plc Replacing mains
JP2845345B2 (ja) * 1990-11-22 1999-01-13 東亜グラウト工業株式会社 管路の止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12853A0 (fi) 1991-06-13
EP0468058A4 (en) 1992-08-05
US5224742A (en) 1993-07-06
AU7238391A (en) 1991-09-03
KR920701744A (ko) 1992-08-12
AU636455B2 (en) 1993-04-29
FI912853A (fi) 1991-08-16
WO1991012460A1 (en) 1991-08-22
EP0468058A1 (en) 199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692B1 (ko) 관로의 지수방법과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및 지수재
US10683960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pair the junction of a sewer main line and lateral pipe
KR100199645B1 (ko) 지관 라이닝공법
KR20060049352A (ko) 지관 라이닝 재 및 지관 라이닝 공법
US200800784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lining pipe
JP2008533405A (ja) 管路の非掘削補修部材及び補修方法
WO1994013998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lining of pipelines and passageways
KR950003302B1 (ko)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및 누수방지용 피복체
KR0178141B1 (ko) 지관 라이닝공법
US5297582A (en) Method for water leakage prevention in pipeline
US20040020544A1 (en) Pressure bag and method of lining branch pipe
JP3224246B2 (ja) 管路の分岐部及び分岐を有する管路の補修方法
JP2600037B2 (ja) 管路の止水方法、管路の連結部の構造および止水材
JPH08109672A (ja) 既設管渠における継目部の更生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する更生用被覆体
JP3691880B2 (ja) 管路の補修用被覆体
JP4137899B2 (ja) 管路の分岐部の補修方法
JP3660400B2 (ja) 管路の分岐部の補修方法及び補修装置
JPH0926081A (ja) 管路の分岐部の補修装置
WO2002001107A1 (en) Method and device for laying a separate channel inside a fluid carrying duct
JPH09100990A (ja) 管路補修方法
JPS6353434B2 (ko)
JP2688095B2 (ja) ライニング管と分岐管との連通部における止水方法
JP2002070136A (ja) 下水管の取付管接続部の更生工法
JP2001082674A (ja) 隔離装置
JPH08277569A (ja) 既設管渠の管更生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する連結用被覆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