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287B1 -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287B1
KR970001287B1 KR1019930003941A KR930003941A KR970001287B1 KR 970001287 B1 KR970001287 B1 KR 970001287B1 KR 1019930003941 A KR1019930003941 A KR 1019930003941A KR 930003941 A KR930003941 A KR 930003941A KR 970001287 B1 KR970001287 B1 KR 97000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ignal
relay
sett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107A (ko
Inventor
유우지 쓰지야마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0552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565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414432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32593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도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7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compressors within refrigeration or heat pum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의 제어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 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공기조화기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기회로도.
제 3도는 제1도에 나타낸 공기조화기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기회로도.
제 4도는 제3도에 나타낸 전기회로도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원격제어장치의 전기회로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 6도는 제5도에 나타낸 공기조화기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기회로도.
제 7도는 제5도에 나타낸 공기조화기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기회로도.
제 8도는 제7도에 나타낸 전기회로도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전기회로도.
제 9도는 제7도에 나타낸 전기회로도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전기회로도.
제10도는 제9도에 나타낸 전기회로도의 커넥터에서 접속되는 원격제어장치의 전기회로도.
제11도는 제5도에 나타낸 공기조화기의 주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12도는 제5도에 나타낸 공기조화기의 주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압축기 4 : 4방향전환밸브
7 : 실내측 열교환기 9 : 전기가열기
10 : 실외측 열교환기 13 : 전동기
21 : 선택스위치 22 : 온도조절기
30 : 커넥터 41a,42a,43a : 커넥터
41b,42b,43b : 커넥터 44-54 : 다이오우드
81,82 : 전환스위치 91 : 커넥터
92 : 선택스위치 95 : 온도조절기
98 : 팬주기스위치 124 : 제1설정치
270 : 풍량선택스위치 271 : 운전모우드 선택스위치
272 : 온도설정스위치 283 : 전환스위치
284,285 : 설정스위치 286,287 : 스위치
306 : 전환스위치 309 : 팬제어스위치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본체의 운전제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이 공기조화기에 원격제어장치를 접속할때의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로서는 일본국 특개평 3-233247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것이 있었다.
이 공보에 기재된 것은 공기조화기의 본체에 탑재되는 제어장치로, 이 제어장치의 선택스위치를 조작해서 운전신호를 압축기나 송풍기에 부여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에서는 공기조화기 본체에 선택스위치가 있었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공기조화기 본체까지 갈 필요가 있었다.
또, 선택스위치(2)를 공기조화기 본체로부터 분리해서 이용자가 사용하기 좋은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 계전기나 변압기등의 부품을 추가해서 전기회로를 개량할 필요가 있어 공기조화기를 설치할때에 전기공사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해서 운전제어부의 공기조화기의 본체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게한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압축기, 응축기, 감압장치, 증발기등을 사용한 냉동주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이 공기조화기는 피조화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의 온도검지수단과, 소망하는 온도를 설정하는 제1의 온도설정수단과 제1의 온도검지수단이 검출하는 온도가 제1의 온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소망하는 온도에 접근하도록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공기조화운전을 행함과 동시에, 이 제어장치는 전환스위치와 이 전환스위치가 유효한 상태에 있을때에 원격제어장치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 원격제어장치는 공기조화기와 분리된 곳에 배치되어 제어수단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다시 또 이 원격제어장치는 피조화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의 온도검지수단과 소망의 온도를 설정하는 제2의 온도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제2의 온도검지수단이 검출하는 온도가 제2의 온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소망의 온도에 접근하도록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에서는 이용자가 공기조화기 본체에 설치된 운전제어부 또는 원격제어장치의 어느것을 소망해도 공기조화기를 설치하는 대의 전기공사가 용이하게 행해지는 것이다.
또, 이미 방에 부착되어 있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해서 새로이 설치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를 행하는때에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장치에서 설정되지 않은 운전조건에 의한 기능은 제1설정부에 의한 설정치로 제어되는 것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공기조화기의 케이스를 떼어내고, 또한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면중 1은 공기조화기의 저판으로 금속판을 판금가공한 것이다.
2는 압축기로 실내측 열교환기(7)과 실외측 열교환기(10) 및 4방향전환밸브(4), 감압장치로 냉동주기를 구성하고 있다.
실외측 열교환기(7)이 증발기로서 작용하고, 실외측 열교환기(10)이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때에는 압축기(2), 실외측 송풍장치가 운전됨에 따라 피조화실의 냉방운전이 행해진다.
또 4방향전환밸브를 전환해서 실내측 열교환기(7)을 응축기로서 작용시키고, 실외측 열교환기(10)을 증발기로서 작용시키므로서 피조화실의 난방운전이 가능해진다.
3은 구획벽으로 공기조화기내를 실외측 조화실과 실내측 조화실로 나누기 위한 것이다.
이 실외측 좌화실은 압축기(2), 실외측 송풍장치(12)(프로펠러팬), 실외측 열교환기(10), 팬케이스(11)등을 갖고 있다.
13은 실외측에 설치된 전동기로 이 전동기를 운전시킴으로서 배면 그릴로부터 흡입된 외기가 실외측 열교환기(10)의 측면부로 흐르고, 팬케이스(11)의 이면으로부터 실외측 열교환기(10)으로 송풍된다.
26은 실외측 열교환기측에 설치된 성에부착검출기로 실외측 열교환기(10)에 성에가 부착되므로서 접속단자가 폐색되는 것이다.
실내측 조화실은 실내측 송풍장치(6)(시로코팬), 실내측 열교환기(7), 전기가열기(9)등을 갖고 있다.
실내측 송풍장치(6)은 양쪽전동기(13)의 회전축에 실외측 송풍장치(12)와 함께 접속되어 있고, 전동기(13)이 운전됨에 따라 실외측 송풍장치(12)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이 전동기(13)이 운전됨에 따라 실내측의 흡입그릴로부터 흡입된 피조화실내의 공기가 실내측 열교환기(7)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고, 다시 전기가열기(9)에서 가열된 후, 실내측의 분출그릴로부터 피조화실로 토출된다.
또한, 흡입그릴 분출그릴은 저판(1)이 부착된 합성수지성의 캐비닛에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19a는 전기가열기(9)의 온도를 검출하여 이 온도가 소정의 보호온도 이상이 된때에 접속단자를 개방하는 온도스위치(보호스위치)이며, 19b는 이 전기가열기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의 전류치 이상이 된때에 용해절단되는 전류퓨우즈이다.
16은 전장상자로 내부에 전장기판등의 제어장치를 수납시키고 있다.
21,22는 각각 제어장치에 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기조화운전의 모우드(냉방운전을 행하는 COOL모우드, 피조화실로의 송풍운전을 행하는 FAN모우드,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OFF모우드, 난방운전을 행하는 HEAT모우드)를 전환하는 선택스위치 실온을 설정하는 온도조절기(설정된 소망하는 온도와 실온과의 대소로서 접속단자가 전환된다).
25는 전장상자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코우드이다.
26은 성에부착 검지스위치로 실외측 열교환기에 성에가 부착되었을 때 접속단자를 폐색한다.
또, 온도조절기(22)은 피조화실의 온도를 검출하고, 내부에 봉입된 가스의 온도팽창에 의해 뒤에 설명하는 접속단자(22a)(22b)를 개폐한다.
또한, 이 온도조절기(22)는 실내측 열교환기(7)의 1차측에 설치되고, 팬(6)에서 흡입된 피조화실내의 공기의 온도 즉, 실온을 검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28은 온도검출기로 온도조절기(27)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검출기(28)은 설정온도가 고정되어 있고, 실온이 설정온도(섭씨 3℃)이상이 되면 상기 폐색접속단자를 개방하는 것이다.
29는 동결방지 온도조절기로 실내측 열교환기(7)의 동결을 검지해서 상시폐색접속단자를 개방하는 것이다.
동결의 검지는 실내측 열교환기(7)의 온도가 섭씨 -7℃이하가 된때이다.
30은 원격제어장치를 접속하는 커넥터이며, 31은 집중제어기의 신호선이 접속되는 커넥터이다.
32는 팬주기스위치로 이 스위치를 (FC)측으로 하므로서, 압축기(2)의 ON/OFF에 전동기(13)의 ON/OFF를 연동시킬 수가 있다.
또, 이 스위치(32)를 (CONT)측으로 하므로서 압축기(2)의 ON/OFF에 관계없이 전동기(13)이 연속운전된다.
33은 전환스위치로 이 스위치가 (a)측에 있는때에 커넥터(30)에 접속되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운전신호(직류전압)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를 행하고, 스위치가 (b)측에 있는때에는 선택스위치(21)로부터의 운전신호(직류전압)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를 행한다.
34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스위치이다.
제2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전기회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커넥터(41a)와 커넥터(42a)와 (42b)는 상호적 단자번호가 일치하도록 접속되어서 제2도, 제3도의 전기회로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도에 있어서, (44)-(45)는 다이오우드로 운전신호(직류전력)의 흐름을 한방향으로 한정하고 있다.
55는 보조계전기로 동결방지온도조절기(29), 상시폐색접속단자(56)를 거쳐서 직류전력이 흘러 통전한다.
상시폐색접속단자(56)은 보조계전기(57)이 통전된 때에 접속단자를 개방시키는 상시폐색접속단자(56)이며, 동결방지온도조절기(29)의 접속단자가 개방되면 보조계전기(55)의 통전이 차단되어서 보조계전기(55)의 상시 개방접속단자(58)가 개방되고, 압축기(2)에의 통전이 차단된다.
또한, 59는 압축기(2)의 과부하스위치로 압축기(2)에 흐르는 전류 즉, 과부하스위치의 접속단자(바이메탈접속단자)에 흐르는 전류가 압축기(2)에 대해 과대하게 흐르면, 접속단자가 자기발열해서 회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 60은 압축기(2)의 구동원에 단상유도전동기를 사용한 때의 운전용 축전기이다.
61은 보조계전기로 상기한 개방접속단자(62)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보조계전기(61)이 통전되므로서 상기 개방접속단자(62)가 폐색돠고, 4방향전환밸브(4)가 난방운전측으로 전환된다.
63은 전환계전기로 전환접속단자(64)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전환계전기(63)이 통전되므로서 전환접속단자(64)가 (B)→(A)로 전환되어 전동기(13)의 회전수를 고속으로부터 저속으로 전환한다.
또, 65는 전동기(13)에 단상유도전동기를 사용한 때의 운전용축전기이다.
66은 보조계전기로 상시개방접속단자(67)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보조계전기(66)가 통전되므로서 상시개방접속단자(67)가 폐색되어 전동기(13)이 운전된다.
68,69는 보조계전기로 각각 상시개방접속단자(70)(71)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보조계전기(68)(69)가 통전되므로서 상시개방접속단자(70)(71)이 폐색되어 전기가열기(9)가 통전된다.
72는 보조계전기로 상시폐색접속단자(73)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보조계전기(72)가 통전되므로서 상시폐색접속단자(73)이 개방되어 커넥터(43a)의 3번단자와 4번단자와의 사이가 개방된다.
74는 강압변압기로 교류전원(75)로부터의 교류전력을 강압한다.
이 강압된 교류전력을 전파정류회로(76)으로 정류해서 평활콘덴서(77)로 평활시킨다.
정류평활된 후의 직류전력은 커넥터(43a)의 1번단자와 2번단자에 공급된다.
또한, 제2도에 있어서 1점쇄선으로 포위된 범위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제3도에 있어서 81, 82는 전환스위치로 (a)측 (b)측이 연동해서 전환된다.
전원스위치(34)가 폐색되어 있고, 또한 이 전환스위치(81)(82)의 접속단자가 (a)측에 있는 때에는 커넥터(43b)의 1번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전원스위치(34), 상시폐색단자(75)를 거쳐서 스위치(82)의 (a)측에 공급되고, 또한 커넥터(30)을 거쳐서 원격제어장치에 직류전력이 공급된다.
또, 접속단자가 (b)측에 잇는데에는 커넥터의 1번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력은 팬주기스위치(32)를 거쳐서 선택스위치(21), 온도조절스위치(27)에 공급된다.
선택스위치(21)은 연동하는 접속단자(21a)-(21d)를 갖고, 각각 강난방(UEAT-H), 약난방(UEAT-L), 정지(STOP), 송풍(FAN), 약난방(COOL-L), 강냉방(COOL-H)에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선택스위치(21)의 접속단자(21a)-(21d)가 정지(STOP)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커넥터(41b)의 어느 단자에도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제2도에 나타내는 모든 보조계전기가 불통전상태가 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는 정지상태가 된다.
선택스위치(21)이 접속단자(21s)-(21b)가 강난방(HEAT-H)이 위치에 있는 때에는 접속단자(21b)와 접속단자(21d)가 접속된다.
접속단자(21b)가 접속되므로서 커넥터(41b)의 5번 단자를 거쳐서 제2도에 나타낸 보조계전기(61)이 통전되어 4방향전환밸브(4)가 전환되어 난방운전용의 냉동주기가 된다.
동시에 온도조절기(22)의 1단계째(1st) 접속단자 및 2단계째(2nd)를 거쳐서 제2도의 보조계전기(55) 또는 보조계전기(57)(68)(69)가 통전된다.
온도조절기(22)는 검출온도에 따라서 전환되는 접속단자(22a)(22b)를 갖고, 접속단자(22a)는 (a)측, (b)측의 전환온도(설정온도)를 섭씨 18℃-32℃의 범위내에서 임의로 변경할 수가 있으며, 검출온도가 이 전환온도보다 높은 때에는 접속단자(22a)는 (b)측에 있다.
또, 접속단자(22b)는 (a)측, (b)측의 전환온도가 접속단자(22a)에 연동하여 접속단자(22a)보다 섭씨 1.5℃ 낮은 온도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실온이 이 온도보다 낮아지면 접속단자(22b)는 (a)측이 된다.
따라서 난방운전시(강난방시, 약난방시)에는 온도조절기(22)의 검출온도와 설정온도로부터 접속단자(22a)가 전환되고, 접속단자(22a)가 (a)측인 때에는 다시 또 온도조절기(22)의 접속단자(22a)가 (a)측인가 (b)측인간에 의해 압축기(2)를 운전할 것인가 전기가열기(9)를 통전시킬 것인가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온도조절기(22)의 접속단자(22b)가 (a)측에 있는 때(제3도에 나타내는 상태)에는 커넥터(41b)의 3번 단자를 거쳐서 제2도에 나타내는 보조계전기(57)(68)(69)가 통전되어 전기가열기(9)가 통전된다.
동시에, 상시폐색접속단자(56)이 개방되어서 보조계전기(55)로의 통전을 저지한다.
접속단자(22b)가 (b)측에 있는때에는 커넥터(41b)의 1번단자를 거쳐서 보조계전기(55)가 통전되어 압축기(2)를 운전된다.
압축기(2)의 운전중에 동결방지 온도조절기(29)의 접속단자가 개방되면, 압축기(2)의 운전이 정지되어서 실내측 열교환기의 해동을 행하고, 성에부착검지스위치(26)의 접속단자가 폐색된 때에는 보조계전기(57)(68)(69)가 폐색되어서 전기한 바와 같은 전기가열기의 통전운전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선택스위치(21)의 접속단자(21d)가 접속되므로서 강난방(강냉방시에도 동일함)시에는 보조계전기(66)이 통전되고, 상기 개방접속단자(67)이 폐색되어 전동기(13)이 고속회전한다.
또한, 이 접속단자(21d)가 약난방(약 냉방시에도 동일함)시에는 보조계전기(63)(66)이 통전되고, 상기 개방접속단자(67)이 폐색되면, 상시개방접속단자(64)가 전환되어 전동기(13)이 저속회전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있어서 팬주기스위치(32)가 (FC)측에 있으면, 선택스위치(21)의 접속단자(21d)는 온도조절기(22)의 접속단자(22d)가 (a)측[냉방운전시에는 (b)측]에 있는때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한 바와 같이 전동기(13)의 운전을 제어한다.
즉, 온도조절기(22)가 작동해서 압축기(2)가 운전 또는 전기가열기가 통전되고 있는 때에만 전동기(13)이 운전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 온도검출기(28)의 접속단자가 폐색되어 있는때(검출온도가 섭씨 3℃이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가열기의 운전이 행해져 피조화실내의 온도가 섭씨 3℃이하가 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 커넥터(31)의 단자간이 외부제어기로 단락된 경우에는 보조계전기(72)가 통전되어서 상시폐색접속단자(73)이 개방되기 때문에 선택스위치(21)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행해지는 일이 없다.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커넥터(30)에 접속되는 원격제어장치의 전기회로도로, 예를 들면 이 원격제어장치는 제너럴 일렉트릭사의제의 3AAT82-B23A1이다.
제4도에 있어서, 91은 커넥터로 제3도에 나타낸 커넥터(30)에 접속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커넥터(91)과 커넥터(30)의 각각의 동일기호의 단자끼리가 접속된다.
또, 원격제어장치는 피조화실의 실내의 벽등에 설치할 수가 있다.
92는 선택스위치로 연동하는 접속단자(93)(94)를 갖고 있다.
이 선택스위치가 냉방(COOL)의 위치에 있는때에는 커넥터(91)의 (R)단자를 거쳐서 접속단자(93)에 직류전력이 공급되고, 선택스위치가 난방(HEAT)의 위치에 있는 때에는 커넥터(91)의 (R)단자를 거쳐서 접속단자(94)에 직류전력이 공급되며, 커넥터(91)의 (C)단자를 거쳐서 접속단자(93)의 마이너스(-)의 직류전력에 접속되어 있다.
95는 온도조절기로 온도검출에 따라 접속단자(96)(97)이 전환되는 것이다.
접속단자(96)은 검출온도가 설정치보다 높은때에는 (H)측에 있고, 검출온도가 설정치보다 낮은 때에는 (L)측에 있다.
설정온도는 화씨 50℉-90oF의 범위로 설정가능하며, 접속단자(96)이 전환되는 때의 차이는 화씨 2℉이다.
접속단자(97)은 접속단자(96)과 마찬가지로 검출온도가 소정온도이하가 된때에 접속단자(97)이 (L)측이 되는 것이다.
이 소정치는 화씨 40℉이다.
98은 팬주기스위치로 제3도에 나타낸 팬주기스위치와 같은 목적의 것이다.
90-100은 앤티시베이터용의 전기가열기로 난방운전시에 통전되어서 온도조절기(95) 주위를 가열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원격제어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난방운전시에 온도조절기(95)가 검출하는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때에는 커넥터(91)의 (R)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력[제3도에 나타내는 스위치(34)가 ON이고, 전환스위치(81)(82)가 (a)측에 있는 때]은 선택스위치(92)의 접속단자(94), 온도조절기(95)의 접속단자(96)[검출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기때문에 접속단자는 (L)측에 있다] 커넥터(91)의 (Y)단자를 거쳐서 제2도에 나타내는 커넥터(42a)의 (Y)단자에 공급되고, 보조계전기(55)가 통전된다.
동시에 커넥터(91)의 (B)단자를 거쳐서 제2도에 나타내는 커넥터(42a)의 (B)단자에도 직류전력이 공급되고, 보조계전기(61)이 통전된다.]
다시 또 커넥터(91)의 (G)단자를 거쳐서 제2도에 나타내는 커넥터(42a)의 (G)단자에도 직류전력이 공급되고, 보조계전기(66)이 통전된다.
이상과 같이, 보조계전기(55)(61)(66)이 통전되므로서 가열펌프주기에 의한 난방운전이 행해진다.
또한, 온도조절기(95)의 검출온도가 낮고 저속단자(97)이 (L)측에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91)의 (R)단자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은 선택스위치(92)의 접속단자(94), 온도조절기(95)의 접속단자(97), 커넥터(19)의 (W)단자를 거쳐서 제2도에 나타내는 커넥터(42a)의 (W)단자에 공급되어 보조계전기(57)(68)(69)가 통전된다.
따라서 압축기(2)의 운전이 정지되고, 전기가열기(9)에 의한 난방운전이 행해진다.
제4도의 선택스위치(92)가 냉방(COOL)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91)의 (R)단자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은 선택스위치(92)의 접속단자(93), 온도조절기(95),접속단자(96), 커넥터(91)의 (Y)단자를 거쳐서 제2도에 나타내는 커넥터(42a)의 (Y)단자에 공급되어서 난방운전시와 같은 모양으로 압축기(2)의 운전이 행해진다.
또한, 이때 보조계전기(61)은 통전되지 않기 때문에 냉동주기는 냉방운전을 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제어장치는 원격제어장치를 커넥터(30)에 접속한때에는 스위치(81)(82)를 (a)측으로 전환하므로서 원격제어장치로부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행할 수가 있고, 또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스위치(81)(82)를 (b)측으로 하므로서 공기조화기 본체에서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5도는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101은 공기조화기의 몸체를 나타내고, 후면측 절반은 가옥의 벽면에 후면측이 외기에 접하도록 묻혀있다.
103은 전면패널로 몸체(101) 전방의 개방구(102)를 덮고 있다.
104는 격리벽으로 몸체(101)의 내부를 전면측의 실내측공간(105)와 후면측의 실외측공간(106)으로 나누고 있다.
실내측공간(105)에는 플레이트핀형의 열교환기(107), 크로스플로우팬(108)과 지지부(109a)(109b)(109c)로 고정된 소비전력이 2kw의 제1전기가열기(110)과 소비전력이 5kw의 제2전기가열기(111)(112)가 순납되어 있다.
실외측공간(106)에는 압축기(113), 플레이핀형의 열교환기(114), 팬케이스(115), 팬케이스(115)에 수납되는 프로펠러팬(116)이 수납되어 있다.
피조화실내의 공기는 크로스플로우팬(108)에 의해 전면패널(103)에 설치된 공기흡입구(117), 공기여과기(118), 열교환기(107), 전기가열기(110)(111)(112)를 거쳐서 흡입된 후, 전면패널(103)에 형성된 공기토출구(119)로부터 피조화실로 토출된다.
한편, 외기는 프로펠러팬(116)에 의해 몸체의 후면측의 일단의 그릴(120)으로부터 열교환기(114)를 거쳐서 흡입되어 후면측의 중앙그릴로부터 밖으로 토출된다.
냉방모우드시는 열교환기(107)이 증발기로서 작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우드시에는 열교환기(107)이 응축기로서 작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가열하고, 전기가열기(110)(111)(112)는 난방모우드시에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통전에 제어된다.
몸체의 전면하부에는 낮은 리브(122)가 형성되고, 이 리브(122)와 전면패널(103)의 사이에 공간(121)을 형성하고 있다.
실내의 공기는 이 공간(121)과 흡입구(117)을 거쳐서 흡입된다.
123은 제어상자로 몸체(101)의 실내측공간(105)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어상자(123)에는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제1의 설정부(12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상자(123)에는 압축기(113), 크로스플로우팬(108)을 구동시키는 전동기(125), 프로펠러팬(116)을 구동시키는 전동기(126), 전기가열기(110)(111)(112)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127은 원격제어장치를 접속하는 커넥터이다.
128은 전원접속을 위한 공간으로 공간(121)의 제어상자(123)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전원코드(129)는 일단에 1차측커넥터(130)이 접속되고, 타단에 공간(121)을 거쳐서 몸체의 외부로 빼내지 않는 플러그(131)에 접속되어 있다.
1차측커넥터(130)에 끼워지는 2차측커넥터(132)는 제어장치(123)의 공간(128)에 면한 벽에 부착되어 있다.
(134)는 보호장치로 온도퓨우즈(134a), 바이메탈 온도조절기(134b)로 구성되고, 전기가열기(110)(111)(112)의 이상발열시에 전기가열기(110)(111)(112)의 통전을 차단한다.
141, 142, 143, 144는 각각 온도센서로서 141은 열교환기(107)의 온도를, 142는 실내온도를, 143은 외기온도를, 144는 열교환기(114)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공기정화기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기회로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50은 마이크로프로세서(TI사제 TMS 2600)로 내부의 기억부(ROM)에 미리 격납된 프로그램에 기초해서 제어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151은 정전압회로로 커넥터(152)를 거쳐서 입력되는 단상교류전력을 전파정류회로(다이오우드 브릿지)(153)로 정류한 후의 정류전력을 안정화시킨다.
154-157은 평활용의 축전기로 축전기(154)에서 직류 +24V의 안정화를 행하고, 스위칭트랜지스터(162)와 이 트랜지스터(162)를 ON/OFF시키는 제너다이오우드(158)로 직류 +5V의 안정화를 행하고 있다.
159-161은 트랜지스터이고, 162는 제너다이오우드(158)의 전류제한용 저항이다.
163은 차동증폭기로 전류부스터로서 사용된다.
164,165는 분압용의 저항이며, 저항(164)에서 정해지는 기준전압은 차동증폭기(163)에서 전력증폭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VREF)에 주어진다.
166은 축전기로 단자(VREF)에 인가되는 전압을 안정화한다.
167은 분압용의 저항으로 분압전압은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VASS)에 주어진다.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VREF),(VASS)에 인가된 전압차를 A/D(아날로그/디지탈)변환시의 아날로그 전압인력폭으로 설정한다.
168은 차동증폭기로 마이크로프로세서(15)에 재설정신호를 부여하기 위한 비교기로서 사용된다.
저항(170), 제너다이오우드(171)을 거쳐서 전하가 축적되는 축전기(169)의 단자전압이 단자(VASS)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이상으로 된때에 마이크로프로세서(150)에 재설정신호가 주어진다.
다이오우드(172)는 축전기(166)에 축절된 저하의 방전로를 구성한다.
173은 계전기코일로 이 계전기코일이 통전되면, 크로스플로우팬(108)이 회전해서 송풍을 행한다.
이 계전기코일(173)은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R13) 또는 (F)(제7도의 F로 연결된다)로부터 부여되는 출력에 응답해서 동작하는 인버어터회로(완충기)(174)로 통전된다.
인버어터회로(174)에서 (H)전압(+5)가 주어진때 계절기코일(173)이 통전된다.
175,176은 보호용의 다이오우드이며, (177)은 저항이다.
178은 계전기코일로 이 계전기코일(178)이 통전되면, 4방향밸브가 통전된다.
4방향밸브가 통전되면, 냉매의 흐르는 방향이 변하여 냉방모우드/난방모우드가 선택된다.
계전기코일(178)이 통전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냉방모우드가 되어, 실내측 열교환기(107)이 증발기로서 작용하고 실외측 열교환기(114)가 응축기로서 작용해서 냉방운전이 행해지고, 계전기코일(178)이 통전된 상태에서는 난방모우드가 되어 실내측 열교환기(107)이 응축기로서 작용하고 실외측 열교환기(114)가 증발기로 작용해서 난방운전이 행해진다.
179는 인버어터회로이고, 180,181은 다이오우드이다.
또 (E)는 제7도의 (E)로 연결된다.
182는 계전기오일로 이 계전기오일(182)가 통전되면, 크로스플로우팬(108) 및 프로팰러팬(116)의 회전수가 전환된다.
즉, 계전기오일(182)가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속회전하고, 계전기오일(182)가 통전되면 고속회전이 되는 것이다.
183은 인버어터회로이다.
184-186은 계전기오일로 계전기오일(184)와 계전기오일(185)가 통전되면, 전기가열기(110)이 통전되고, 계전기오일(184)와 계전기오일(186)이 통전되면 전기가열기(111), 전기가열기(112)가 통전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R7)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면 계전기오일(184)(185)(173)이 통전되고, 단자(R6)으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면 계전기오일(184)(186)(173)이 통전된다.
187, 188은 인버어터회로이며, 189-192는 다이오우드이다.
193, 194는 계전기코일로 계전기코일(193)이 통전되면 압축기(113)의 통전을 행하고, 계전기코일(194)가 통전되면 프로팰러팬(116)이 회전된다.
195, 196은 인버어터회로이다.
또한 제6도중의 (P)는 제7도중의 (P)로 연결된다.
제7도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A1)-(A4)는 아날로그 전압입력단자로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은 이 단자에 인가된 전압을 A/D변환해서 내부에 격납한다.
단자(A1)에는 실온을 검출하는 온도센서(142)가 접속되어 있다.
201-204는 저항이며, 온도센서(142)의 검출온도에 기초한 내부저항의 변화에 대응하는 전압변화를 직선화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205는 잡음흡수용의 축전기이다.
같은 모양으로, 단자(A2)에는 열교환기(107)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41)이 접속되고, 단자(A3)에는 열교환기(114)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44)가 접속되며, 단자(A4)에는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43)이 접속되어 있다.
206-217은 저항으로 같은 모양으로 직선화 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218-220은 잡음흡수용의 축전기이다.
221은 수정진로자로 저항(222)-(224), 축전기(225)-(226)과 함께 발진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발진회로로부터 얻어지는 발진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기준신호가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R0)(R1)(R2)(R3)(06)(07)는 주사출력의 출력단자이며, 단자(K1)(K2)(K4)(K8)은 주사입력단자이다.
이들 단자간의 개폐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은 제8도, 제9도에 나타내는 제1설정부의 설정상태를 판단해서 격납시킨다.
227은 출력단자 보호용의 저항이며, 조립체(228)-(232)는 출력단자에 접속된 출력저항이다.
233-236은 저항이고, 237-240은 축전기로 각각의 입력단자에의 잡음침입을 억제하는 여파기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214는 입력단자보호용의 저항조립체이다.
242a,243a,244a는 커넥터로 커넥터(242a)는 제8도에 나타낸 커넥터(242b)에, 커넥터(234a)는 제9도에 나타낸 커넥터(243b)에, 커넥터(244b)는 제9도에 나타낸 커넥터(244b)에 각각의 단자가 일치하도록 접속된다.
245는 보조계전기로 코일(246)와 상기 개방접속단자(247)(248)을 갖고 있다.
제7도는코일(246)이 통전된 상태이다.
코일(246)이 통전되는 것을 제8도에 나타내는 운전스위치(249)(조작마다에 접점의 개폐가 전환된다)의 접속단자가 폐색되어 있는 때에 또는 제9도에 나타내는 커넥터(250)의 단자간이 단락되어 있는 때이다.
컨버터(250)에는 개폐스위치가 접속되며, 이 개폐스위치는 원격조작용의 스위치이다.
251-254는 앤드게이트로 신호의 논리치를 취한다.
255-261은 저항이며, 262-264는 축전기이고, 266-269는 다이오우드이다.
제8도는 제5도에 나타낸 제1설정부(124)의 전기회로도로 송풍량, 운전모우드, 설정온도등의 공기조화운동조건을 설정한다.
270은 풍량선택스위치로 크로스플로우팬(108)의 회전수를 설정한다.
이 설정은 제1설정부(124)의 손잡이를 LOW(소풍량), HIGH(대풍량), AUTO(실온이 설정치 근처일때에는 소풍량, 기타는 대풍량으로 자동전환된다)에 의해 행해진다.
271은 운전모우드 선택스위치로서 손잡이로 COOL(냉방모우드), FAN(송풍모우드), HEAT(난방모우드)를 설정한다.
이 (1)-(12)의 값에는 각각 온도설정치가 대응해서 정해져 있다.
273은 서비스램프로 공기정화기에 이상이나 고장이 생긴때에 점등된다.
이 램프(273)은 저항(274)를 거쳐서 제7도에 나타내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01)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01)의 출력이 (H)레별전압(+5V)이 된때 이 램프(273)은 점등된다.
스위치(270)(271)(272)의 설정상태는 제7도에 나타낸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R0)(R1)으로부터 출력되는 주사출력의 유무를 주사단자(K1)(K2)(K4)(K8)에서 판단해서 입력하여 격납시킨다.
예를 들면, 풍량설정스위치(270)의 손잡이가 AUTO로 설정되어 있는때에는 단자(RO)로부터 출력된 주사출력이 단자(K1)에 전달되어서 판단된다.
275-282는 다이오우드로 주사출력의 전송방향을 규제하고 있다.
제9도는 제5도에 나타낸 제어장치(123)에 설치된 스위치부의 전기회로도이다.
283은 전환스위치로 원격제어장치를 커넥터(127)에 접속(R)하는가 아닌가(N)를 설정한다.
전환스위치(283)을 (R)측에 설정하므로서 접속단자(283a)가 (R)측이 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06)으로부터 출력되는 주사출력을 항상 단자(K8)에 부여하여 스위치(283)이 (R)측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마이크로프로세서(150)에 판단시킨다.
접속단자(286b)가 (R)측에 있는때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RO)로부터 출력되는 주사출력을 제7도에 나타내는 앤드게이트(251)(252)측에 부여하고, 접속단자(283b)가 (N)측에 있는 때에는 주사출력은 제7도에 나타낸 스위치(273)에 부여된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가 커넥터(127)에 접속되어 있는 때에는 스위치(271)에 의한 설정은 무효가 되고, 그 대신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설정신호가 앤드게이트(251)(255)를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K4)(K8)에 부여된다.
접속단자(283c)가 (R)측으로 되어 있는때에는 컨버터(127)의 단자(R)에 +24K의 직류전력이 공급된다.
284,285는 설정스위치로 각각 냉방모우드에서 온도설정스위치(272)의 하한치의 상승 난방모우드에서 온도설정스위치(272)의 상한치의 하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설정스위치(284)의 설정이(TL1)인 때에는 스위치(272)의 (1)에서 설정되는 값과 (2)에서 설정되는 값과 같은 값으로 변경되고, 설정스위치(284)의 설정이(TL2)인때에는 스위치(272)의 (1)(2)에서 설정되는 값과 (3)에서 설정되는 값과 같은 값으로 설정되며, 설정스위치(284)의 설정이 (TL7)인때에는 스위치(272)의 (1)-(7)에서 설정되는 값과 (8)에서 설정되는 값과 같은값으로 변경된다(미국특허 4898230 참조).
286, 287은 스위치로 각각 설정스위치(284)의 설정을 유효하게 하고, 설정스위치(285)의 설정을 유효하게 하는 스위치이다.
288은 전원스위치로 단자(A)(B)가 전원공급선에 접속되어 이 전원공급선의 개폐를 행한다.
289, 290은 저항이고, 291-297은 다이오우드로 신호의 흐르는 방향을 규제한다.
제10도는 제9도에서 나타낸 커넥터(127)에 단자부호가 일치하도록 접속되는 원격제어장치(제2설정부), 예를 들면 제너럴 일렉트릭사제의 3AAT82B 23AI의 전기회로도이다.
301, 302는 온도조절기의 동작접속단자로 설정온도와 검지온도와의 대소에 따라 (C)측 또는 (H1)측 개방 또는 (H2)측으로 전환한다.
동작접속단자(302)는 동작접속단자(301)보다 소정온도 낮은 온도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03-305는 전기가열기로 동작접속단자(301)(302)가 (H1)(H2)측인때 통전되어서 동작접속단자(301)(302)의 동작에 차이를 준다.
306은 운전모우드의 전환스위치로 운전모우드(HEAT,OFF,COOL)을 설정한다.
307,308은 연동하는 전환접속단자로 운전모우드에 맞추어서 전환한다.
전환접속단자(307)(308)이 HEAT(난방모우드)측에 있는 때에는 전환접속단자(308)을 거쳐서 동작접속단자(301)(302)에 전력이 공급된다.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동작접속단자(301)이 (H1)측에 있기 때문에 단자(Y)에 단자(R)로부터 얻어진 +24V의 직류전압신호(압축기 ON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 검출온도가 설정온도보다 소정온도 낮아지면 동작접속단자(302)가 (H2)측이 되기 때문에 같은 모양으로 단자(W)로부터 +24V의 직류전압신호(보조 열원용의 전기가열기의 통전신호)를 출력한다.
또, 단자(B)로부터는 항상 +24V의 직류전압신호(4방향밸브의 전환신호)가 출력된다.
전환접속단자(307)(308)이 COOL(냉방모우드)측에 있는 때에는 전환접속단자(307)을 거쳐서 동작접속단자(301)에 전력이 공급된다.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동작접속단자(301)이 (C)측에 있기 때문데 단자(Y)에 +24V의 직류전압 신호가 출력된다.
309는 팬제어스위치이며, AUTO(자동)측에 있는 때에는 단자(Y)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신호와 동기해서 단자(G)로부터 +24V의 직류전압신호[크로스플로우팬(108)의 운전신호]가 출력된다.
즉, 압축기(113)의 ON/OFF에 크로스플로우팬(108)의 운전을 연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단자(G)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이다.
팬제어스우치(309)가 ON(연속운전)측에 있는때에는 압축기(113)의 ON/OFF에 관계없이 직류전압신호가 연속 출력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정화기는 전환스위치(283)이 (N)측에 있는때는 제8도에 나타난 제1설정부의 설정된 운전조건에 기초해서 공기조화운전이 행해지고, 전환스위치(283)이 (R)측에 있는 때에는 제10도에 나타낸 원격제어장치로 설정된 운전조건과 원격제어장치로 설정할 수 없는 다른 운전조건[풍량선택스위치 설정스위치(284)(285)의 설정등]에 기초해서 공기조화운전을 행한다.
제11도, 제12도는, 제6도와 제7도에 나타낸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주된 동작을 나타내는 유통도이다.
단계(S1)은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개시후에 실행되는 단계로 키이주사를 행하여 각각의 설정스위치의 설정상태를 입력해서 기억영역에 격납한다.
이 기억영역에 격납된 주사결과에 기초해서 다음의 단계(S2)에서 우선 스위치(283)의 접속단자(283a)가 REM(원격제어장치)측에 있는가 (N)측에 있는가의 판단이 행해지고, (REM)측에 있는 경우에는 단계(S3)의 SUB(제12도에 나타내는 유통도)로 진행한다.
단계(S4)에서는 온도센서(141)-(144)를 사용하여 실내측 열교환기의 온도와 실온(T)와 외기온도 및 실외측 열교환기의 온도를 A/D변환해서 기록하여 기억영역에 격납시킨다.
단계(S5)에서는 마찬가지로 주사결과로부터 스위치(286)(287)이 ON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하고, 스위치(286)(287)의 어느 것인가가 ON이 되어 있을때에는 단계(S6)으로 진행한다.
단게(S6)에서는 스위치(286)이 ON으로 냉방모우드시[스위치(271)의 설정이 COOL시]는 설정스위치(284)의 설정에 기초해서 설정온도치가 보정되고, 스위치(287)이 ON이고, 난방모우드시는 설정스위치(285)의 설정에 기초해서 설정온도치가 보정된다.
단계(S7)에서 설정온도치와 실온(T)와의 대소에 기초해서 압축기의 ON/OFF를 기억영역에 설정하고, (ON← →OFF)의 전환에는 소정의 차이를 설정), 스위치(270)에서 설정된 송풍량을 기억영역에 설정하고 [AUTO에 설정되어 있는때는 설정온도치의 실온(T)와의 온도차에 기초하여(LOW) 또는 (HIGH)가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스위치(271)이 HEAT(난방모우드)에 설정되어 있으면, 4방향밸브의 ON을 기억영역에 설정하고, 또 COOL시 또는 성에제거운전시에는 4방향밸브의 OFF를 기억영역에 설정하고, 난방모우드에서 설정온도치보다 실온(T)가 소정온도이상 낮을 때 또는 외기온도가 낮은때에 ON을 기억영역에 설정한다.
단계(S8)에서는 공기조화기 또는 각 기기의 이상상태(실내측 열교환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온도이상등)을 판단하여 필요한 보호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단계(S9)에서는 기억영역에 설정된 ON/OFF에 기초해서 각 기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1설정부에서 설정된 공기조화조건에 기초해서 압축기등의 기기를 운전이 제어한다.
제12도는 제11도의 단계(S3)의 상세를 나타내는 유통도이다.
단계(S10)에서는 우선 4방향밸브신호가 출력되어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행한다.
4방향밸브신호(+24V)는 커넥터(127)의 단자(B)로부터 출력되고, 앤드게이트(251)에서 주사 신호에 동기한 주사출력으로 변경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의 단자(K4)에 부여된다.
이 주사는 스위치(271)의 HEAT의 설정의 주사와 동일한 단자에서 행해지지만 스위치(283)의 상태에 의해 구별된다.
4방향밸브신호가 있는때에는 단계(S11)로 진행하여 4방향밸브의 ON을 기억영역에 설정하고, 4방향밸브 신호가 없는때에는 단계(S12)로 진행하여 4방향밸브의 OFF를 기억영역에 설정한다.
단계(S13)에서는 같은 모양으로 커넥터(127)의 단자(G)에 FAN신호(+24V)가 출력되고 있을때에는 단계(S14)로 진행해서 제11도의 단계(S7)에서 행한 FAN의 송풍량의 설정과 같은 동작을 행하여 기억영역에 송풍량의 설정을 행한다.
단게(S15)에서는 FAN(크로스플로우팬)의 정지를 기억영역에 설정한다.
단계(S16)에서는 같은 모양으로 커넥터(127)의 단자(Y)(W)에 압축기의 ON신호(+24V)와 전기가열기의 ON신호(+24V)가 출력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신호의 유무에 의해 단계(S17)(S18)을 실행하며, 압축기 신호가 있는때는 압축기의 ON을 설정하고, 압축기 신호가 없는 때에는 압축기의 OFF를 설정하며, 전기가열기 신호가 있는 때에는 전기가열기의 ON을 설정하고, 전기가열기 신호가 없는 때에는 전기가열기의 OFF를 각각 기억영역에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S19)에서 스위치(286)(287)의 ON/OFF를 판단하여 단계(S19)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때에는 단계(S20)(S21)로 진행하며, 냉방모우드에서 실온(T)가 하한[스위치(284)에서 설정되는 하한 설정치]이하의 경우와 난방모우드에서 실온(T)가 상한[스위치(285)에서 설정되는 상한 설정치] 이상의 경우에는 단계(S22)로 진행하여 압축기의 OFF를 기억영역에 설정한다.
즉, 실온(T)가 이 상한과 하한의 사이에 있는때에 압축기의 ON의 기억영역에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단계(S23)을 경유해서 제11도에 나타낸 단계(S8)로 진행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행하므로서, 스위치(283)이 원격제어장치측에 설정되어 있는때에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압축기의 ON신호, FAN의 ON신호, 전기가열기의 ON신호, 4방향밸브의 ON신호에 의해 각각의 기기의 운전이 제어되지만, 크로스플로우팬의 송풍량은 설정스위치(270)의 설정에 기초해서 행해지고, 온도설정치의 상한, 하한은 설정스위치(284)(285)의 설정에 기초해서 행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 응축기, 감압장치, 증발기를 사용한 냉동주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피조화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의 온도검지수단과 소망하는 온도를 설정하는 제1의 온도설정수단과, 제1의 온도검지수단이 검출하는 온도가 제1의 온도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소망의 온도에 접근하도록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해서 공기조화운전을 행함과 동시에 이 제어수단은 전환스위치와 이 전환스위치가 유효한 상태에 있는때에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 원격제어장치는 공기조화기와 분리된 곳에 배치되며, 이 원격제어장치는 제어수단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다시 또 이 원격제어장치는 피조화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의 온도검지수단과 소망의 온도를 설정하는 제2의 온도설정수단을 구비하여 제2의 온도검지수단이 검출하는 온도가 제2의 온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소망의 온도에 접근하도록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수단에 전달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운전제어부 또는 원격제어장치의 어느것으로부터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에 접속한 경우 원격제어장치로 설정된 운전조건에 기초해서 공기조화운전이 행해지고, 보호동작이나 원격제어장치로 설정되지 않는 운전조건은 제1설정부의 설정에 기초해서 제어되어 공기조화기가 구비한 상위 기능을 잃는 일이 없이 원격제어장치의 설정에 기초해서 공기조화운전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압축기(2)(113), 응축기, 감압장치, 증발기를 사용한 냉동주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는 피조화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의 온도검지수단과, 소망의 온도를 설정하는 제1의 온도설정수단과, 제1의 온도검지수단이 검출하는 온도가 제1의 온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소망의 온도에 근접하도록 압축기(2)(113)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해서 공기조화운전을 행함과 동시에, 싱기 제어수단은 전환스위치(33)(283)과, 이 전환스위치(33)(283)이 유효한 상태에 있는 때에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압축기(2)(113)의 운전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공기정화기와 분리된 곳에 배치되어 제어수단으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다시 또 이 원격제어장치는 피조화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의 온도검지수단과 소망의 온도를 설정하는 제2의 온도설정수단을 구비하여 제2의의 온도검지수단이 검출하는 온도가 제2의의 온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소망의 온도에 접근하도록 압축기(2)(113)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수단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압축기(2)(113)으로의 통전을 행하기 위한 제1의의 계전기 수단과 제1의 온도검지수단이 검출하는 온도와 제1의 온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소망의 온도의 대소를 비교하는 제1의 비교수단과, 이 제1의 비교수단의 비교결과에 따라 제1의 계전기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과, 전환스위치(33)(283)이 유효한 상태에 있는 때에 이 수단의 작동을 무효로 함과 동시에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1의 계전기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원격제어장치는 제2의 온도검지수단의 검출온도와 제2의 온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소망의 온도의 대소를 비교하는 제2의 비교수단과, 이 제2비교수단의 비교결과에 따른 신호를 제어수단에 전달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피조화실의 공기조화운전을 행하기 위해 송풍장치를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송풍장치로의 통전을 행하기 위한 제2의 계전기수단과, 압축기(2)(113)의 운전/정지 연동해서 제2의 계전기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과, 전환스위치(33)(283)이 유효한 상태에 있는 때에 이 수단의 동작을 무효로함과 동시에,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송풍장치용의 신호에 따라 제2의 계전기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원격제어장치는 제2의 비교수단의 비교결과에 따라 송풍장치용의 신호를 생성시키는 수단과 이 송풍장치용의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전달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피조화실의 송풍운전을 행하기 위한 송풍장치를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압축기(2)(113)에 통전을 행하기 위한 제1계전기수단과, 송풍장치로의 통전을 행하기 위한 제2계전기수단과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기기의 이상을 판단하기 위해 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과, 제1의 온도검지수단의 검출하는 온도와 제1의 온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소망의 온도 및 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의 검출치를 입력시켜 이들 검출치에 기초해서 제1의 계전기수단과 제2의 계전기수단을 동작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을 구비하고, 피조화실의 공기조화운전과 기기가 이상상태인 때에 기기의 보호동작을 행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은 전환스위치(33)(283)이 유효한 상태에 있을 때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고, 제1의 계전기수단의 동작을 제어해서 압축기(2)(113)의 운전을 제어하는 수단의 동작을 행함과 동시에 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의 검출치를 입력시켜 기기가 이상상태인 때에 기기의 보호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전환스위치(33)(283)이 유효한 상태에 있는 때에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송풍장치용의 신호에 응답해서 제2계전기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은 전환스위치(33)(283)이 유효한 상태에 있는때에 제2의 계전기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를 해제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원격제어장치는 제2의 비교수단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송풍장치용의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이 송풍장치용 신호를 제어수단에 전달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압축기(2)(113)으로의 통전을 행하기 위한 제1의 계전기수단과 제1의 온도검지수단이 검출하는 온도와 설정온도와의 대소를 판단하여 이 판단결과에 기초해서 제1의 계전기수단을 동작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150)과 규제스위치를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은 규제스위치가 유효한 상태에 있는때에 제1의 온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소망의 온도를 미리 정한 온도의 범위내에 수용하는 값으로 보정한 후 온도를 설정온도로 하는 수단과, 규제스위치가 무효한 상태에 있는때에 제1의 온도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소망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하는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다시 또 마이크로프로세서(150)은 전환스위치(33)(283)가 유효한 상태에 있고, 또 규제스위치가 유효한 상태에 있는 때에 판단결과가 제1의 계전기수단을 동작시켜서 압축기(2)(113)의 통전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때에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제1의 계전기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KR1019930003941A 1992-03-13 1993-03-13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KR970001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55215 1992-03-13
JP4055215A JPH05256503A (ja) 1992-03-13 1992-03-13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92-144326 1992-06-04
JP4144326A JPH05332593A (ja) 1992-06-04 1992-06-04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107A KR930020107A (ko) 1993-10-19
KR970001287B1 true KR970001287B1 (ko) 1997-02-05

Family

ID=2639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941A KR970001287B1 (ko) 1992-03-13 1993-03-13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99430A (ko)
KR (1) KR970001287B1 (ko)
GB (1) GB2265026B (ko)
TW (1) TW2005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9567A1 (en) * 1993-04-05 1994-10-12 Whirlpool Corporation Oven temperature condition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domestic appliance
US5611484A (en) * 1993-12-17 1997-03-18 Honeywell Inc. Thermostat with selectable temperature sensor inputs
US5419489A (en) * 1994-01-18 1995-05-30 Burd; Alexander L. Mobile thermostat to control space temperature in the building
GB2289958A (en) * 1994-06-01 1995-12-06 Sanyo Electric Co Air conditioning control circuit
JPH09113003A (ja) * 1995-10-23 1997-05-02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US5833134A (en) * 1995-10-27 1998-11-10 Ho; Tienhou Joseph Wireless remote temperature sensing thermostat with adjustable register
US5839654A (en) * 1996-02-05 1998-11-24 Innova Patent Trust Portable air comfort system thermostat enabling personal localized control of room temperature
US5924300A (en) * 1998-06-10 1999-07-20 American Standard Inc. Modular self contained air conditioning unit
KR100307228B1 (ko) * 1998-11-27 2002-02-19 윤종용 공기조화기의절전운전제어방법_
ES2200638B1 (es) * 2001-05-16 2005-05-01 Bsh And Fedders International Air Conditioning S.A. Aparato de aire acondicionado con un elemento de control remoto.
WO2006011704A2 (en) * 2004-07-27 2006-02-0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US7738228B2 (en) * 2005-04-07 2010-06-15 Pv Powered, Inc. Inverter thermal protection
US7793513B2 (en) * 2006-07-19 2010-09-14 Trane International Inc. Configurable PTAC controller with alternate temperature sensors
US20120053738A1 (en) * 2009-11-24 2012-03-01 Friedrich Air Conditioning Co., A Division Of U.S. Natural Resources, Inc. Remote control system for a room air conditioner and/or heat pump
US20120279248A1 (en) * 2010-10-28 2012-11-08 Hector Delgadillo Turbo Coil Refrigeration System
US11674706B2 (en) * 2021-09-09 2023-06-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ir conditioner unit having an auxiliary electric heat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82352B (en) * 1980-08-13 1984-12-12 Anthony William Robert Control arrangement for air-conditioning
US4682648A (en) * 1982-12-29 1987-07-28 Morton Fried Temperature offset control system
JPS63298093A (ja) * 1987-05-29 1988-12-05 Toshiba Corp ワイヤレスリモコンシステム
GB2205973A (en) * 1987-06-03 1988-12-21 Electronic Systems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controlling the ambient temperature in a room
JPH067022B2 (ja) * 1988-02-01 1994-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4936104A (en) * 1988-07-21 1990-06-26 Hicke Gerald E Air cond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igerated vehicles
US5012973A (en) * 1988-08-26 1991-05-07 Hunter Fan Company Window air conditioning unit having a built-in programmable thermostat with remote temperature sensor
GB2224863B (en) * 1988-09-01 1992-06-24 Hunter Melnor Inc Electronic programmable thermostat for a room air conditioning unit
JPH0681346B2 (ja) * 1988-09-14 1994-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65026A (en) 1993-09-15
GB9304584D0 (en) 1993-04-21
GB2265026B (en) 1995-08-16
TW200560B (en) 1993-02-21
US5299430A (en) 1994-04-05
KR930020107A (ko) 199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28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US5778147A (en) Dew preven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s
KR96001063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US5131455A (en) Low power electrical fan motor and heater thermal protection circuit for air conditioner
US3901308A (en) Electrical overload control for a combination apparatus
KR96001063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JP2001254990A (ja) 空気調和機
JP4130047B2 (ja) 空気調和機
JPH1073300A (ja) 空気調和機
JPH09113014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4259668B2 (ja) 空気調和機
JPH1183121A (ja) 空気調和機
JP2003161500A (ja) 室内空調システム
JP3738091B2 (ja) 空気調和機
JPS59191842A (ja) 空気調和機の送風制御装置
JP3416471B2 (ja) 空気調和機
JPH05296548A (ja) 空気調和装置
JP4242979B2 (ja) 空気調和機
KR0146408B1 (ko) 제어장치의 오동작 방지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
JPH03117845A (ja) 空気調和機の送風制御方式
KR10023104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525650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328651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H0533259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408621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