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98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것과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것과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98B1
KR970001198B1 KR1019910019663A KR910019663A KR970001198B1 KR 970001198 B1 KR970001198 B1 KR 970001198B1 KR 1019910019663 A KR1019910019663 A KR 1019910019663A KR 910019663 A KR910019663 A KR 910019663A KR 970001198 B1 KR970001198 B1 KR 97000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cess cartridge
photosensitive drum
developer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370A (ko
Inventor
요시야 노무라
다다유끼 쯔다
신이찌 사사끼
이사오 이께모또
가즈시 와다나베
히로유끼 시라이
도시유끼 가라까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544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7540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370A/ko
Priority to KR9603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87Remanufacturing,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03G2221/1633Details concerning the developing proc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using seals, e.g. to prevent scattering of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69Details about used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76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for production purposes, e.g. manufacture or mass prod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것과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2a,제2b 및 2c도는 각각 제1도의 선 a-a, b-b 및 c-c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6a도는 상체의 사시도.
제6b도는 하체의 사시도.
제7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예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9도는 액상 엘라스토머가 카트리지 프레임내의 접합부에 주입될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10도는 액상 엘라스토머가 토너 컨테이너의 접합 표면에 주입된 후의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11도는 액상 엘라스토머가 주입된 후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13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체와 하체로 분할될때의 단면도.
제14도는 액상 엘라스토머가 상체의 접합부에 주입될때의 단면도.
제15도는 액상 엘라스토머용 주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예시도.
제16도는 액상 엘라스토머 주입 시스템의 개략도.
제17도는 종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2 : 감광드럼(화상담지부재) 11, 204 : 현상장치(현상수단)
12, 205 : 대전기(대전수단) 13, 203 : 세정자치(세정수단)
14, 201 : 프로세스 카트리지 14a : 제1프로세스 카트리지(상측)프레임
14b : 제1프로세스 카트리지(하측) 프레임
110, 212 : 토너용기 204 : 현상제 용기
t : 토너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계 또는 레이저 빔 프린터와 같은 전자사진기계, 정전기록기계의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복사기계와 같은 화상형성기계는, 화상담지부재(감광드럼)의 교체, 현상장치의 교체 또는 현상제(토너)의 보충, 대전장치의 방전 와이어의 세정, 잔여토너로 채워진 세정장치의 교체, 및 감광드럼주위의 몇몇 요소의 조정 및 교체를 포함하는 일정기간 작동후의 보수 및 점검작업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보수 및 점검작업은 숙련된 지식과 기능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통상적인 사용자에게는 용이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구조에 있어서 현상장치, 대전장치, 세정장치등과 같은 감광드럼 및 프로세스 수단을 유니트로서 포함하고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구조가 제안되어 왔다.
유니트로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주조립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보수 또는 점검작업이 프로세스 수단에 필요하면, 전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되므로 보수 및 점검작업의 필요성이 제거된다.
먼저, 제17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동도에는 그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감광드럼(10)과, 이 감광드럼(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세정장치(13) 및 현상장치(11)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적으로 현상장치(11)위에는 현상장치(11)와 결합되어 있는 토너 용기(110)가 있다. 감광드럼(0)위에는 대전장치(12)가 있다.
세정장치(13)는 감광드럼(10)을 다음 화상형성작동을 준비시키도록 감광드럼(10)의 둘레표면으로부터 잔여토너를 제거시키는 기능을 한다.
세정장치(13)는 제거된 잔여토너를 수용하는 세정제 용기(13a)와, 감광드럼(10)의 둘레표면에서 잔여토너를 긁어내는 세정 블레이드(131)와, 세정 블레이드(131)에 의해 긁어내어진 토너를 받아내어 이를 세정제용기(13a)로 향하게 하는 토너 받아내기 쉬트(132), 및 세정제 용기에 의해 받아내어진 토너를 이 용기 내부로 운반하는 교반부재(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장치(11)는 토너를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이 잠상을 가시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현상장치(11)는, 현상제 용기(11a)와, 토너를 감광드럼(10)의 둘레표면에 공급하는 현상슬리부(112)와, 이 현상슬리브(112)에 미끄럼 접촉상태로 되어 토너를 마찰전기적으로 대전시키고 현상슬리이브(112)상에 일정 두께를 가진 토너층을 형성시키는 현상 블레이트(11b)로 구성되어 있다.
감광드럼(10)으로부터 원격되어 있는 현상제 용기(11a)의 벽은, 토너 수용용 토너용기(110)의 도시하지 않은 개방구멍과 연이어 통하여 있는 개방구멍(11c)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현상제 용기(1a)와 토너용기(110)는 서로 연이어 통한다.
토너용기(110)내의 토너가 다 사용되었을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교체되어져야만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수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타입에 따라 변화되어야 한다.
예컨대 고속복사기계의 경우에 있어서는 1개월당 복수부수가 많은 경우에는 그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 교체빈도수가 높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사용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다 더 큰 용량의 토너 용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소용량 복사기계의 경우에 있어서는 1개월당 복사부수가 적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주조립체의 중량 및 크기의 감소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크기는 토너용량의 감소에 의해 감소된다.
따라서, 상이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의 상이한 주조립체에 대하여 준비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공장에서 제작될때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이한 사용수명을 가지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현상프레임 그리고 이 카트리지와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현상프레임 그리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현상프레임 그리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용이하게 조립 또는 분해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부품들이 재사용가능하고, 이에 의해 환경오염이 감소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현상프레임 그리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기록물체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주조립체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 상기 프레임은 : 감광드럼 ; 상기 감광드럼상에 현상제로 현상되는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수단 ; 상기 감광드럼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감광드럼의 상기 현상수단과 건너편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세정수단 ; 상기 현상수단에 의해 현상된 화상의, 상기 감광부재로부터 상기 기록물체상으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개구부 ; 상기 현상수단에 인접한 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1물림부재 ; 및 상기 세정수단에 인접한 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물림부재를 포함하며 ; 상기 제2프레임은 : 상기 현상수단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 ;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조조립체에 장착될때, 상기 감광드럼으로 하여금 주조립체의 노출수단으로부터 화상정보를 노출시키도록 허용하는 노출 개방구멍 ; 상기 제1물림부재와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물림가능한 다수의 제1탄성 후크부재 ; 및 상기 제2물림부재와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물림가능하며, 상기 노출개방구멍에 대해서 상기 현상제 유입부로부터 반대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탄성 후크부재를 포함하며 ;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감광드럼 및 상기 현상수단의 상측부를 덮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맞물리며 ;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형성하도록 연결될때,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은 상호 협력하여,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상기 세정수단에 의해 제거된 상기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가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타트리지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보다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3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동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감광드럼 형태의 화상담지부재는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감광드럼(10)의 둘레에는 현상장치(11), 대전기(12) 또는 세정장치(13)와 같은 화상형성 프로세스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감광드럼(10) 및 그와같은 프로세스수단은 플라스틱 재료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레임(14a 및 14b)상에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4)는 장치의 주조립체(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따라서, 보수 또는 점검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케이싱의 구조는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4)가 주조립체에 장착될때, 전사 대전기(15)는 감광드럼(10) 아래에 있다. 전사 대전기(15)의 쉬트 공급측에는 쉬트이송트레이(16), 픽업 로울러(17) 및 정합로울러(18)가 있다.
반면에 전사대전기의 쉬트 배출측에는 쉬트가이드(19), 화상정착장치(20), 쉬트배출로울러(21) 및 쉬트 배출트레이(22)가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4)위에는 원고조사램프(23)로부터 방사되며 원고(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감광드럼(10)상에 상을 비추는 단촛점 광학요소 어레이(24)가 배치되어 있다.
주조립체(1)의 정상에는 방향 A로 왕복운동 가능한 원고 캐리지(25)가 있다. 원고 커버는 참조번호 26으로 표시되어 있다.
감광드럼(10)은 대전기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며 광학 요소 어레이(24)를 통하여 원고(0)으로부터의 광에 노출되므로, 정전잠상이 원고의 정보에 따라 감광드럼(10)상에 형성된다.
정전잠상은, 잠상이 거기에서 토너(t)에 의해 토너화상으로 현상되는 현상장치(11)로, 감광드럼(10)의 회전에 의해 담지된다.
그 다음에 전사쉬트(P)는 쉬트이송로울러(17)를 통하여 쉬트트레이(16)로부터 정합로울러(18)로 이송된다.
그후, 전사쉬트는 정합로울러(18)에 의해 잠상과 정시관계(timed relation)로 감광드럼(10)과 전사대전기(15)와의 사이로 이송된다. 토너화상은 전사대전기(15)에 의해 감광드럼(10)으로부터 전사쉬트(P)상으로 전사된다. 전사된 토너화상을 담지하는 전사쉬트(P)는 토너화상이 영구화상으로 정착되는 정착장치(20)로 이송된다.
그후, 전사쉬트(P)는 배출로울러(21)에 의해 배출트레이(22)상으로 배출된다. 화상전사완료후에, 감광드럼(10)은 잔여 토너를 제거시키는 세정장치(13)에 의해 세정되므로 감광드럼(1)은 이제 다음 화상형성 작동준비를 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주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14)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 형태의 장착수단은 참조번호 30a 및 30b로 표시되어 있다.
제1,2a,2b 및 2c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4)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신감광부재 및 현상수단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14b)과 현상제 용기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14a)으로 구성되며, 양자(14a,14b)는 분리가능하도록 맞물리게 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4)의 케이싱은 상부 케이싱인 케이싱 A(14a)와 하부 케이싱인 케이싱 B(14b)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 A 및 B는 서로 접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케이싱 A 및 B는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된다.
케이싱 A의 오른쪽에는 현상제 용기로서 기능하는 토너 용기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11)는 용기를 밀봉시키기 위하여 용융상태로 만들어진다.
현상장치(11)와 연이어 통하는 토너 용기(110)의 개방구멍(111a)은 제2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착된 밀봉부재(113)에 의해 폐쇄된다. 밀봉부재(113)의 끝은 절첩되어 케이싱 A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그립(114)이 그 끝에 연결되어 있다.
조작자가 그립(114)을 당길때, 밀봉부재(113)가 개방구멍(111a)으로부터 제거되므로 토너(t)가 현상슬리브(112)에 공급되게 된다.
토너 용기(110) 아래에는 케이싱 A 및 B를 결합시키는 포올(27)이 있다.
제2프레임(14a)의 케이싱 A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포올(27)과 제1프레임(14b)의 케이싱 A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포올(27)과 제1프레임(14b)의 케이싱 B상에 형성된 결합용 개방구멍과의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상부 및 하부케이싱(케이싱 A 및 B)은 단순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4개의 그와같은 포올(27)과 이에 상응하는 결합용 개방구멍(28)은 도면상의 쉬트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보다 더 상세히는 결합용 개방구멍(28)은 포올의 경사표면(27a)을 통하여 포올(27)에 의해 맞물리며, 결합용 개방구멍(28)의 끝(28a)은 포올(27)의 바닥표면(27b)에 의해 잠겨진다.
포올(27)이 그와같은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방구멍(28)과의 맞물림과 개방구멍으로부터의 맞물림 해제는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개방구멍(28)에 의한 결합이 보장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케이싱 A의 왼쪽에는 잔여토너용기(130; 현상제 용기)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A의 끝은 절첩되어 용기(130)의 바닥표면의 일부분(14a1)을 형성한다. 하부 케이싱 B는 상기 바닥표면(14a1)과 겹쳐지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여기에서 이들은 겹침위치에서 나사(29)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컨테이너(130)의 바닥표면은 케이싱 A 및 B의 부분에 의해 구성된다.
감광드럼(10)의 상부에 대면된 케이싱 A의 일부분은 화상노출을 위하여 광의 통과를 허용하는 노출개방구멍(141)으로 구비되어 있다. 토너 용기 및 세정제 용기내의 개방구멍 둘레에는 토너가 용기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재료로 된 밀봉부재(26a 및 26b)가 있다.
제2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 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4)의 바닥부분을 덮으며, 측 표면으로부터, 벽(102a 및 102b)이 세워져서 케이싱 A의 바닥표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케이싱 B의 벽(102a 및 102b)에는 감광드럼(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103a 및 103b)이 감광드럼(10) 아래에서 나사(106a 및 106b)에 의해 확고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케이싱 B는 감광드럼(10)으로부터 전사쉬트(P)로의 토너화상의 전사를 허용하며, 화상형성장치의 주조립체의,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를 수용하는 구동장치 수용개방구멍(101)이 구비되어 있다.
케이싱 B의 측벽(102a)위에는 대전기 케이스(122)가 고정핀(1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대전기 케이스(122)의 다른쪽 끝에는 핀(128)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케이싱 B의 측벽(102b)내에 형성된 구멍(12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대전기 케이스(122)내에 있는 베어링(123a 및 123b)은 대전로울러(121)를 감광드럼(10)쪽으로 가압하면서 대전로울러(121)의 축(130)을 지지한다.
대전기 케이스(122)의 끝은 케이싱 B의 외부로 뻗으며 전력을 대전로울러(121)에 공급하는 전극판(126)을 포함한다.
전극판(126)은 화상형성장치의 주조립체의 전력공급콘택트(도시되지 않음)와 접속 가능하다.
제1 및 제2b도를 참조하여, 세정장치(13) 및 현상장지(11)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케이싱 B는 감광드럼(10)의 둘레표면에서 잔여 토너를 긁어내기 위하여 감광드럼(10)에 접촉하는 세정 블레이드(131)를 장착시키기 위한 시이트(133a 및 133b)를 구비하고 있다.
세정 블레이드(131)는 나사(135)에 의해 시이트(133a 및 133b)상에 고착된다. 케이싱 B의 하부측에 형성된 구동장치 수용개방구멍(101)의 길이방향 끝의 부근에는 받아내기 쉬트(132)가 접착되어 있다.
케이싱 B의 측벽은 토너 용기(110) 부근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다. 만곡부는 현상슬리브(112)를 지지하는 슬리이브 베어링(117a 및 117b)을 스프링(118a 및 118b)을 통하여 지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현상슬리브(112)는 현상슬리브(112)의 표면과 감광드럼(10)과의 사이에 일정간극을 유지시키기 위해 스페이서(116a 및 116b)를 가지고 있다.
스페이서(116a 및 116b)는 스프링(118a 및 118b)에 의해 감광드럼에 가압된다. 현상슬리이브(112)의 여러 단부중의 하나에는 드럼(10)에 장착된 드럼기어(104)와 이가 맞물리어 있는 기어(119)가 장착되어 있다.
감광드럼(10)의 회전으로 기어(119)가 회전하며, 따라서 현상슬리브(112)는 제1도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현상슬리브(112)내에는 원통형 자석로울러(1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로울러에는 복수의 자극이 구비되어 있다.
그 끝핀은 케이싱 B에 의해 지지된다.
현상슬리브(112) 위에는 블레이드(120)가 케이싱 B의 측벽(102a 및 102b)으로부터 돌출된 도시되지 않은 시이트상에 장착되어 있다.
하부 케이싱 B는 감광드럼(10), 세정 블레이드(131), 받아내기 쉬트(132), 대전기(12), 현상슬리브(112), 및 현상슬리브용 블레이드(120)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감광드럼(10)에 대한 다양한 요소들의 위치정밀도는 케이싱 B의 정밀도에 의해 보장되며, 따라서 정확한 위치잡기가 보다 더 용이하게 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4)는 상부 케이싱 A 및 하부 케이싱 B로 분해될 수 있다.
토너가 모두 사용되어 버린 프로세스 카트리지(14)는 회수되어진다.
회수된 카트리지(14)는 케이싱 A 및 B로 분해된다.
그후, 케이싱 A가 세척되며, 새로운 밀봉부재(113)가 본딩되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토너캡이 충전용 개방구멍으로부터 분리되어, 토너가 그 개방구멍을 통하여 공급된다. 이후, 개방구멍은 다시 토너캡에 의해 폐쇄되어진다. 또한, 낡은 부분 및 변형된 고무등 재사용할 수 없는 것들은 새로운 것으로 대체된다. 그후, 케이싱들은 상호 결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4)는 이제 공장으로부터 배포된다.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케이싱 B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더 큰 토너용량 및 케이싱 B의 그것보다 더 큰 잔여토너 용량을 갖는 다른 케이싱(14c)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더 긴 사용기간을 가지며 상이한 타입의 주조립체에 사용가능한 또다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파이프(13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4)로부터의 잔여토너의 방출은 위하여 구비되어 있다. 파이프는 화상형성장치의 주조립체내의 표시되지 않은 잔여토너병(도시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잔여토너용기(113) 내부에는 잔여토너를 방출파이프(138)로 공급하기 위한 나선형 잔여토너컨베이어(139)가 구비되어 있다. 잔여토너컨베이어(139)의 일단은 구동기어(도시않음)와 연결된다.
그 구동기어는 드럼기어(104)와 맞물린다.
이 예에 있어서, 상구 케이싱 A가 단지 토너용기(110)로 구비되어 있다면 그것은 충분할 것이다. 잔여토너용기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면, 잔여토너용량이 토너용량에 의존적이라는 것은 불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잔여토너용기는 케이싱 A와 케이싱 B와의 사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가상선 14c는 케이싱 A의 다른 예의 형태를 나타낸다.
제3의 케이싱(14c)의 경우에, 토너용기(110)는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토너용기(110)내에는 토너컨베이어수단(도시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케이싱 B는 토너용기(110)의 양측으로 뻗어 있으며 케이싱 A의 토너용기(110) 끝에 형성된 결합포올(27)과 맞물린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수단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현상수단을 갖지 않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세정수단용 잔여토너용기에 적용된다.
제5,5a 및 6b도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5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며, 제6a도는 상부 케이싱의 사시도, 제6b도는 하부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케이싱(케이싱 A 및 B)은 포올과 개방구멍과의 사이의 맞물림뿐만 아니라 또한 나사에 의해 결합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 A 및 B는 단지 포올과 결합용 개방구멍과의 맞물림에 의해서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대응하는 기능을 가진 요소로 특정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간략성을 위해 생략된다.
제5도에서의 선 a-a, b-b 및 c-c에 따른 단면도는 제2a,2b 또는 2c도로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그것은 이전에 설명되었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또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주조립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싱 A 및 케이싱 B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나사(29) 대신에 포올(27b)과 결합용 개방구멍(29)과의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확고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포올(27b)은 케이싱 A의 좌측에 형성된 잔여토너용기(130)의 바닥외측표면(14a1)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대응하여, 케이싱 B에는 케이싱 A의 바닥표면과 겹쳐진 벽에 4개의 결합용 개방구멍(29)이구비되어 있다. 토너용기(110)쪽과 유사하게, 케이싱 A의 포올(27b)과 케이싱 B의 결합용 개방구멍(29)은 잔여토너용기(130)쪽에서 서로 맞물림되어서, 케이싱 A 및 B는 함께 결합된다.
참조번호 27c로 표시된 것은 포올(27b)의 경사면이며, 29a는 결합용 개방구멍(29)의 맞물림끝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용기(110)쪽에 있는 포올(27)과 잔여토너용기(130)쪽에 있는 포올(27b)은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한편 이들은 상호 이격되어 경사져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플라스틱 재료의 케이싱 A 및 B의 탄성, 보다 상세하게는 포올(27 및 27b)의 탄성은 그들이 결합용 개방구멍(28 및 29)과 맞물릴때 잠금 맞물림을 향상시키도록 협동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케이싱(케이싱 A 및 B)은 포올(27 및 27b)에 의해 결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되게 될때, 프로세스(14)는 분리장치(200)상에 놓여 있다.
그때, 로드(201 및 202)가 가압되어 포올(27 및 27b)이 가압된다. 그러면, 상부 케이싱(A)이 하부 케이싱 B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분리장치(200)의 사용없이, 케이싱 A 및 B는 포올(27 및 27b)을 적당하게 가압하여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복수의 포올을 동시에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분리장치(200)가 사용되는 것이 더 용이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또다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적인 밀봉부재가 카트리지의 외측으로 현장제의 누설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채용된다.
제8,9,10 및 11도에 관련하여, 밀봉부재를 가지고 있는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에 대하여 설명이 있을 것이다.
제8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1)는 감광드럼(202)의 형태인 화상담지부재 및 그 둘레에 배치된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수단은 세정장치(203), 현상장치(204), 및 카트리지 프레임(201a)상에 지지된 대전기(205)를 포함한다. 이것들은 유니트로서, 화상형성장치의 주조립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유니트를 구성한다.
감광드럼(202) 및/또는 현상장치가 사용기간의 한계에 도달할때, 세정장치(203)가 잔여토너로 충전될때 또는 현상장치(204)내의 토너가 모두 소모될때, 프로세스 카트리지(201)의 전체가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교체된다
따라서, 보수 또는 점검작업이 용이하다. 본 실시에서, 대전기(205)는 공지의 코로나(corona) 대전기의 형태지만, 그것은 미합중국 특허 제4,851,96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타입 대전기로 대체될 수 있다.
세정장치(203)는 잔여 토너(잔여현상제)를 감광드럼(202)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세정 블레이드(203), 외부로의 잔여토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토너 받아내기 쉬트(231), 및 잔여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잔여토너용기(232)로 구성되어 있다.)
잔여토너용기(232)는 세정용기(203a), 블레이드 호울더(203a) 및 카트리지 프레임(201a)을 밀봉부재(213)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밀봉부재(213)는 접합부분을 통한 토너의 방지하기에 효과적이다.
현상장치(204)는 일정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토너(현상제)를 그 외주로부터 감광드럼(202)으로 공급하는 데 효과적인 현상슬리브(240), 그 현상슬리브(240)상에의 현상제 층두께를 조절하는 조절 블레이드(241), 및 토너를 수용하며, 현상제를 현상슬리브(240)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용기(242)로 구성되어 있다. 그 토너용기(242)는 토너용기(212)와 현상제 용기(204)에 의해 구성되며, 분리 및 세정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밀봉부재(214)로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된다.
밀봉부재(214)는 접합부분을 통한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드럼(202)은 대전기(205)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어 화상광에 노출되며, 따라서 정전잠상이 감광드럼(202)상에 형성된다.
감광드럼(202)의 회전으로, 정전잠상은, 토너화상으로 현상되도록 잠상이 현상슬리브(240)로부터 토너가 공급되는 곳에서, 현상장치(204)에 도달한다.
토너화상은 도시하지 않은 전사대전기를 등을 통하여 전사쉬트상에 전사된다.
화상전사작동의 완결 후, 감광드럼(202)은 잔여 토너가 감광드럼(202)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세정 블레이드(230)에 의해 세정된다.
그후, 감광드럼(202)은 다음 화상형성작동을 위해 준비된다.
세정 블레이드(230)에 의해 제거된 잔여토너는 수용쉬트(231)를 감광드럼(202)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세정장치(203)의 잔여토너용기(232)에 수집된다.
제9도 및 제10도에 관련하여, 밀봉주재(213 및 214)에 대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밀봉부재는 2액상 우레탄 고무재료(R)를 노즐(215)로부터 카트리지 프레임(201a)의 연결표면(201b) 및 토너용기(212)의 연결표면(212a)(제10도)에 주입함으로써 구비된다.
재료(R)는 발포재료이며, 따라서 주입 후 대략 20초 내지 10부내에 거품이 일며 연결표면(201b 및 212a)상에 엘라스토머로 응고된다.
제9도에 있어서, 상기 재료(R)는 화살표 216 및 217을 따라 포인트(a)로부터 연장되며 포인트(a)로 복귀하여 폐루프를 구성한다.
제10도에 도시한 밀봉부재(214)에 관련하여, 주입은 포인트(b)에서 시작하며 화살표 218 및 219의 방향을 따라 최초 포인트(b)로 복귀한다.
결합표면(201b 및 212a)에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211)이 사전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최후로 밀봉부재가 되는 상기 재료(R)는 홈안으로 흘러들어가서 탄성 엘라스토머롤 응고된다. 따라서, 밀봉부재는 쉽게 제거되거나 쉽게 벗어나지 않는다.
카트리지 프레임(201a) 및 토너용기(212)상의 응고된 밀봉부재(213 및 214)로서, 카트리지 프레임(201a) 및 토너용기(212)가 세정용기(203a) 및 현상용기(204a)와 각각 결합되며, 이에 의해 연결부를 통한 토너누설이 적절하게 방지될 수 있다. 고형화 후, 엘라스토머 부재(213 및 214)의 높이 h(제11도 참조)는 용기들이 결합된 후의 간극(C)보다 더 크며, 따라서 밀봉부재는 간극(C)에 동등한 높이로 하향 가압되며, 이에 의해 간극을 충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노즐로부터의 상기 재료(R) 주입 또는 시여, 주입속도, 주입률은 완전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어서, 밀봉재료는 확실하게 연결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시스템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잡한 형상을 편리하게 접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발포 폴리우레탄 고무가 밀봉부재재료(R)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그 재료는 이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연질고무와 같은 다른 재료 또는 실리콘 고무 또는 또다른 엘라스토머(탄성 고중합체 재료)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가 동일한 효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내의 현상장치(204), 세정장치(203)의 토너용기 및 잔여토너용기와 같은 복수 부재의 결합부를 밀봉시키기 위하여 발포 폴리우레탄 고무등과 같은 액상 엘라스토머를 고형화시킴으로써 구비된다. 따라서, 토너밀봉은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는 용기의 결합부분내에서 용이하게 완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폐루프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밀봉부재 연결부분을 통한 토너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제12,13 및 14도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도시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이 도면에서 상부 프레임(A) 및 하부 프레임(B)으로 구성되며, 제8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대응하는 기능을 가진 요소를 의미한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도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포올(250) 및 나사(251)에 의해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A 및 B)을 갖는다.
상부 프레임(A)의 포올(250)은 하부 프레임(B)내에 형성된 결합용 개방구멍(251)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며, 이에 의해 상부 프레임(A) 및 하부 프레임(B)이 결합된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A 및 B)은 밀봉부재(213b 및 214b)를 개재시킨다. 토너용기(242)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A 및 B)을 결합시키고 상구 프레임(A) 및 조절 블레이드(241) 지지용 블레이드 호울더(241a)를 결합시킴으로써 구성된다. 결합부는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부재(214a)가 구비된다. 세정장치(203)의 잔여토너용기(232)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A 및 B)을 결합시키고 상부 프레임 및 세정 블레이드(230) 지지용 세정 호울더(230a)를 결합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14도는 제13도에서 I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액상 우레탄 고무재료(R)는 노즐(215)로부터 토너용기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분과 잔여토너 용기와의 사이의 결합표면으로 시여된다.
그 재료는 발포성이기 때문에, 주입 또는 시여 후 대략 30초 내지 10분내에 거품이 일며 결합표면(201b 및 212a)상에서 엘라스토머가 된다.
주입경로는 (a)에서 시작하여 화살표 216 및 217의 방향으로 뻗어 위치(a)로 복귀되며, 따라서 폐루프가 형성된다. 재료(R)를 수용하는 표면(결합표면 ; 201b,212 a)은 사전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재료(R)는 용이하게 홈안으로 흘러들어가며, 그리고 엘라스토머로 응고된다. 따라서, 밀봉부재는 쉽게 제거되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이 방식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A)상의 응고된 밀봉부재(213 및 214)로 상부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B)과 결합되며, 밀봉부재(213 및 214)는 토너용기 및 잔여토너용기로부터의 토너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고형화 후, 밀봉부재(213 및 214)의 높이 h(제11도 참조)는 프레임이 결합된 후의 간극(C1,C2,C3 및 C4)(제12도)보다 높으며 이에 따라, 엘라스토머는 간극(C1 내지 C4)에 동등한 높이로 가압되며, 따라서 간극을 충전시킨다.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경로, 주입속도 및 주입률은 완전 제어되어 밀봉부재는 확실하게 결합표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주입부는 프레임의 한곳에 집중되며, 따라서, 주입 또는 시여조작은 단지 한곳의 프레임 위치선정 후 완결될 수 있다. 이는 많은 제조단계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전 실시예에 유사하게, 상기 재료(R)는 연질 플라스틱 등의 연질고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상 엘라스토머는 결합표면으로 시여된다.
제15도에 관련하여서는 2액활성재(액상 엘라스토머)를 혼합시키며 그것을 노즐(215)을 통하여 분산시키는 시스템에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5도에 있어서, 액체(A) 및 액체(B)는 용기(A60 및 B61)내에 담겨있다. 이들은 그것의 혼합률이 그 액상반응에 적절하도록 정밀 미터링 펌프(262 및 263)에 의해 혼합 및 교반 작업소(264)로 측정되어 보내진다.
혼합 및 교반 작업소(264)에 있어서, 액체(A) 및 액체(B)는 모우터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된다.
혼합액체가 탄성 엘라스토머로 응고되는데 대략적으로 적어도 30초가 필요하며, 따라서 혼합액체는 반응의 중간에 분사기(265)의 노즐을 통하여 분사된다. 혼합 및 교반작업소(264), 분사기(265) 및 노즐(215)을 포함하고 있는 주입헤드는 액체 엘라스토머가 분사되고 있는 동안 용기 등의 상대적 배치에 접하도록 X-축, Y-축, Z-축을 따라 움직인다.
미터링 펌프(262 및 263)에 의한 측정, 혼합 및 교반속력, 3개의 축에 따른 분사헤드의 운동 또는 분사속력 등은 도시않은 공업로봇의 제어기내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된다.
따라서, 주입작업은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제16도에 관련하여, 단일액상반응타입액체가 사용된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다. N가스가 액체내로 주입되어 액체를 발포시키며, 그 액체는 노즐(16)을 통하여 분사된다.
제16도에 있어서, 주로 폴리우레탄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액상 엘라스토머는 용기(266)에서 히터에 의해 70℃ 내지 100℃로 가열된다. 그것은 펌프에 의해 포옴 혼합기(268)로 공급된다.
포옴(form) 혼합기(268)내에서, 용기(266)로부터 공급된 액체는 발포되도록 N가스와 혼합된다. 액상 엘라스토머가 고형화되기전에, 그것은 분사기(270)의 노즐(215)을 통하여 토너용기 등과 같은 부재로 분사된다.
2액상 타입재료의 경우와 유사하게, 도시않은 산업용 로봇이 사용되어서, 제어기는 N가스의 혼합, 재료의 공급, 주입헤드의 3축방향의 운동 및 주입속력등을 적절하게 제어한다. 따라서, 주입 또는 시여작동이 자동적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엘라스토머는 100-200%의 신장률, 4-15의 경도(아스커 C 경도), 90% 이상의 압축-복원도를 갖는다.
상기에서는 세정수단용 잔여토너용기와 현상수단용 토너용기 양자 모두를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경우로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한개의 용기를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밀봉부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제 용기의 복수의 연결부에 대하여 시여된 액상 엘라스토머를 고형화시킴으로써 구성되며, 따라서, 현상제의 누설이 종래보다 더욱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으며, 더하여 본 발명은 밀봉이 복잡한 연결부를 접할 수 있다는 것에 잇점이 있다.
또한, 액상 엘라스토머 주입에 대한 자동제어가 가능하며,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조립작업이 더 용이해진다.
상기 설명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담지부재 및 그 화상담지부재상에 직간접적으로 작동가능한 적어도 한개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유니트로서 전자사진 감광부재 및 댄전수단, 현상수단 및/또는 세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트리지는 복사기계 또는 레이저 빔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가능하며, 그중 하나는 화상담지부재 및 그 위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는 토너입자 및/또는 잔여토너 용기를 가지고 있는 토너용기를 포함한다. 그것들은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조립되며, 그후,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1. 토너용기(현상제 용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상이한 사용시간 및 횡단면을 가진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2. 화상담지부재 및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은 제조 관리가 더 단순화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3.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비어있는 토너용기) 수집 프레임 분해, 낡은 부분 교체 및 새로운 토너로 충전된 토너용기의 결합에 의해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이한 조립특성을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그것을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여기서 개시된 구조를 참고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기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개량의 목적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되는 것을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13)

  1. 기록물체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주조립체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 상기 제1프레임은 : 감광드럼 ; 상기 감광드럼상에 현상제로 현상되는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수단 ; 상기 감광드럼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감광드럼의 상기 현상수단과 건너편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세정수단 ; 상기 현상수단에 의해 현상된 화상의, 상기 감광부재로부터 상기 기록물체상으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개구부 ; 상기 현상수단에 인접한 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1물림부재 ; 및 상기 세정수단에 인접한 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물림부재를 포함하며 ; 상기 제2프레임은 : 상기 현상수단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 ;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때, 상기 감광드럼으로 하여금 주조립체의 노출수단으로부터 화상정보를 노출시키도록 허용하는 노출 개방구멍 ; 상기 제1물림부재와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물림가능한 다수의 제1탄성 후크부재 ; 및 상기 제2물림부재와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물림가능하며, 상기 노출개방구멍에 대해서 상기 현상제 유입부로부터 반대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탄성 후크부재를 포함하며 ;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감광드럼 및 상기 현상수단의 상측부를 덮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맞물리며 ;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형성하도록 연결될때,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은 상호 협력하여, 상기 감광으로부터의 상기 세정수단에 의해 제거된 상기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가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 아래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 상기 제1후크부재는, 상기 제1물림부재로서 기능하는 결합용 개방구멍과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물림가능하며 ; 상기 제1후크부재의 끝은, 상기 노출개방구멍이 배치된 측면과 반대되는 측으로 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 상기 제2후크부재의 끝은, 상기 노출개방구멍이 배치된 측면을 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부재는, 상기 제2물림부재로서 기능하는 결합용 개방구멍과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물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그들 사이에서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호 밀봉부재에 의해 맞물리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나사에 의하여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주어셈블리에 장착될때, 상기 제1프레임은 더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더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기록물체에 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장착수단 ; 현상된 화상을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기록물체상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 ; 및 기록물체를 이송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 상기 제1프레임은 : 감광드럼 ; 상기 감광드럼상에 현상제로 현상되는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수단 ; 상기 감광드럼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감광드럼의 상기 현상수단과 건너편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세정수단 ; 상기 현상수단에 의해 현상된 화상의, 상기 감광부재로부터 상기 기록물체상으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개구부 ; 상기 현상수단에 인접한 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1물림부재 ; 및 상기 세정수단에 인접한 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물림부재를 포함하며 ; 상기 제2프레임은 : 상기 현상수단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체 수용부 ;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조립체에 장착될때, 상기 감광드럼으로 하여금 주조립체의 노술수단으로부터 화상정보를 노출시키도록 허용하는 노출개방구멍 ; 상기 제1물림부재와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물림가능한 다수의 제1탄성 후크부재 ; 및 상기 제2물림부재와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물림가능하며, 상기 노출개방구멍에 대해서 상기 현상제 유입부로부터 반대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탄성 후크부재를 포함하며 ;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감광드럼 및 상기 현상수단의 상측부를 덮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맞물리며 ;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때,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은 상호 협력하여, 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상기 세정수단에 의해 제거된 상기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가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나사에 의하여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19910019663A 1990-11-06 1991-11-06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것과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97000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032954A KR970001199B1 (en) 1990-11-06 1996-08-08 Toner replenishing method of process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177990 1990-11-06
JP90-301779 1990-11-06
JP3054446A JP2877540B2 (ja) 1991-03-19 1991-03-19 画像形成装置に着脱自在な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91-054446 1991-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370A KR920010370A (ko) 1992-06-26
KR970001198B1 true KR970001198B1 (ko) 1997-01-29

Family

ID=263952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663A KR970001198B1 (ko) 1990-11-06 1991-11-06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것과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96032954A KR970001199B1 (en) 1990-11-06 1996-08-08 Toner replenishing method of process cartridg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6032954A KR970001199B1 (en) 1990-11-06 1996-08-08 Toner replenishing method of process cartridg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3) EP0485271B1 (ko)
KR (2) KR970001198B1 (ko)
CN (4) CN1040045C (ko)
DE (3) DE69132193T2 (ko)
HK (2) HK1011755A1 (ko)
SG (1) SG791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328A (en) *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5828928A (en) * 1990-04-27 1998-10-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JP3270121B2 (ja) *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0584417B1 (en) * 1992-06-30 1997-11-1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able same therein
EP0770932B1 (en) * 1992-09-04 1999-08-2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0134171B1 (ko) * 1992-09-04 1998-04-22 미타라이 하지메 프로세스카트리지
DE69309194T2 (de) * 1992-09-04 1997-08-07 Canon Kk Arbeitseinheit, Verfahren zum Zusammenbau dieser Einheit und Bilderzeugungsgerät
JP3259985B2 (ja)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47476B2 (ja) * 1993-06-30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TW257839B (ko) * 1993-07-14 1995-09-21 Canon Kk
JPH07319362A (ja) * 1994-05-19 1995-12-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R2750115B1 (fr) 1996-06-19 1998-08-28 Valois Bague de fixation metallique vissable pour fixer un organe de distribution sur un recipient
GB9613901D0 (en) * 1996-07-03 1996-09-04 Procter & Gamble Cleansing compositions
US5809376A (en) * 1997-11-14 1998-09-15 Xerox Corporation Limited life electrostatographic process cartridge having a waste toner electro-sump subassembly
US5826132A (en) * 1997-11-14 1998-10-20 Xerox Corporation Variable size, replaceable toner sump pans for print cartridges
JP2000250310A (ja) * 1999-02-26 2000-09-1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感光体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126967B1 (ja) 1999-10-29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US7082660B2 (en) 2001-08-24 2006-08-01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anufactured using recycling method
US6983113B2 (en) 2001-08-31 2006-01-03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ing method using a modified par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anufactured using the recycling method
WO2003069414A1 (fr) * 2002-02-05 2003-08-21 Print-Rite . Unicorn Image Products Co., Ltd. Of Zhuhai Cartouche de revelateur
EP1637933B1 (en) * 2004-08-06 2010-07-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 and mechanic connections to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s, developer cartridge and process cartridge
JP5110866B2 (ja) * 2006-12-13 2012-12-26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
KR20100010598A (ko) * 2008-07-23 2010-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용 일체형 실링 부재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JP4821884B2 (ja) * 2009-05-29 2011-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構成ユニットおよび現像ユニット
CN101893838B (zh) * 2010-05-05 2012-06-06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处理盒
CN101916063B (zh) * 2010-07-22 2013-03-2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感光元件盒
JP7009133B2 (ja) *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0360A (en) * 1980-04-04 1981-11-02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Image recorder
JPS6156370A (ja) * 1984-08-28 1986-03-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4757344A (en) * 1985-07-16 1988-07-12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cartridges
JPS62134654A (ja) * 1985-12-09 1987-06-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4866482A (en) * 1986-10-24 1989-09-1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device for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having a slidable replacement holding case
US4851960A (en) 1986-12-15 1989-07-25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device
EP0276910B1 (en) * 1987-01-09 1994-07-2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ATE69899T1 (de) * 1987-01-16 1991-12-15 Berolina Schriftbild Verfahren zum wiederverwendbarmachen von wegwerfkartuschen fuer fotokopiergeraete und laserdrucker.
US4862212A (en) * 1987-03-03 1989-08-2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DE8716525U1 (de) * 1987-12-15 1988-01-28 Keilbach, Manfred, 7102 Weinsberg Kassette für Kleinkopiergeräte und wartungsarme Laserdrucker
JP2629945B2 (ja) * 1988-02-24 1997-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2163769A (ja) * 1988-12-16 1990-06-25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603117B2 (ja) * 1988-11-01 1997-04-23 コニカ株式会社 多色画像形成装置
US5028966A (en) * 1988-11-10 1991-07-02 Mita Industrial Co., Ltd. Image-forming machine
JP2612197B2 (ja) * 1988-12-22 1997-05-21 新電元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DE4003695C2 (de) * 1989-02-10 1993-11-25 Minolta Camera Kk Elektrofotografisches Druck- oder Kopiergerät mit einer herausnehmbaren Prozeßeinheit
JP2856759B2 (ja) * 1989-03-30 1999-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8907136U1 (de) * 1989-06-10 1989-07-20 Keilbach, Manfred, 7102 Weinsberg Kassette für Kopiergeräte u.dg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85271A3 (en) 1992-09-09
EP0692745A3 (en) 1996-11-20
EP0485271A2 (en) 1992-05-13
HK1011754A1 (en) 1999-07-16
EP0692746A3 (en) 1996-11-20
DE69126947T2 (de) 1997-11-20
CN1114432A (zh) 1996-01-03
KR920010370A (ko) 1992-06-26
DE69132410D1 (de) 2000-10-12
CN1060271C (zh) 2001-01-03
CN1066271C (zh) 2001-05-23
CN1062795A (zh) 1992-07-15
CN1066546C (zh) 2001-05-30
DE69132410T2 (de) 2001-02-15
DE69132193D1 (de) 2000-06-15
EP0692746A2 (en) 1996-01-17
HK1011755A1 (en) 1999-07-16
EP0692745A2 (en) 1996-01-17
SG79187A1 (en) 2001-03-20
CN1099879A (zh) 1995-03-08
CN1040045C (zh) 1998-09-30
EP0692746B1 (en) 2000-09-06
CN1125855A (zh) 1996-07-03
KR970001199B1 (en) 1997-01-29
EP0692745B1 (en) 2000-05-10
DE69126947D1 (de) 1997-08-28
EP0485271B1 (en) 1997-07-23
DE69132193T2 (de) 200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198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것과 사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5294960A (en)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5907749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EP0453963B1 (en)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EP0816939B1 (en) Support part,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403736B1 (en) Recycling method for a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6788908B2 (en) Process cartridge remanufacturing method, disassembling method and assembling method, positioning and connect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EP2357538B1 (en)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82144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に対する現像剤の再充填方法
JP2877540B2 (ja) 画像形成装置に着脱自在な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20037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
JP327843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436296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809911B2 (ja)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
KR20190114917A (ko)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US2024000432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KR20150019275A (ko) 현상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H06230673A (ja) トナー容器およびその受承装置
JP2001048349A (ja) ステータ及びそれを成形するステータ成形用射出成形型、それからなる粉体移送ポンプ、トナー供給装置、再使用トナー分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4142562A (ja) 画像形成装置
JPH08179609A (ja) 現像装置ユニット
JPH0534165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