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29805A - 비정상 전류를 이용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정상 전류를 이용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29805A
KR960029805A KR1019960001221A KR19960001221A KR960029805A KR 960029805 A KR960029805 A KR 960029805A KR 1019960001221 A KR1019960001221 A KR 1019960001221A KR 19960001221 A KR19960001221 A KR 19960001221A KR 960029805 A KR960029805 A KR 96002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tion
blocks
semiconductor device
block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5680B1 (ko
Inventor
마사루 사나다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6002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3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9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01R31/319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with comparison between actual response and known fault free respon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Marginal testing, e.g. by varying supply voltage
    • G01R31/3004Current or voltage te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Marginal testing, e.g. by varying supply voltage
    • G01R31/3004Current or voltage test
    • G01R31/3008Quiescent current [IDDQ] test or leakage current te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수의 논리 블럭들(B1, B2…)에 의해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서, 다수의 기능 검사 패턴[FTP (ADD)]이 발생된 후 상기 반도체 소자에 전송되어, 비정상 전류(Iddq)가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비정상 전류가 검출되면, 기능 검사 패턴과 그것에 의해 동작되는 논리 블럭들을 저장하는 테이블에 따라 고장 블럭이 판정된다.

Description

비정상 전류를 이용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 블럭 검출 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회로도.

Claims (13)

  1. 다수의 논리 블럭들(B1, B2···)에 의해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서 고장 블럭(fault block)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기능 검사 패턴[FTP (ADD)]과 상기 기능 검사 패턴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논리 블럭간의 관계를 저장하는 테이블 수단; 순차적으로, 상기 기능 검사 패턴을 발생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에 상기 기능 검사 패턴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비정상 전류(Iddq)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비정상 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관계에 따라 상기 고장 블럭을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2. 다수의 논리 블럭들(B1, B2…)에 의해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서 고장 블럭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기능 검사 패턴[FTP (ADD)]과 상기 기능 검사 패턴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논리 블럭 간의 관계를 저장하는 테이블 수단; 순차적으로, 상기 기능 검사 패턴을 발생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에 상기 기능 검사 패턴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비정상 전류(Iddq)가 소정 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반도체 소자가 비정상인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상기 반도체 소자가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상기 반도체 소자가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될 때마다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1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 및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다수 그룹의 상기 트랜지션 블럭들로부터 상기 고장 블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공동 블럭을 추출하는 고장 블럭 추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반도체 소자가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변경될 때마다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2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장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제1및 제2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다수 그룹의 상기 트랜지션 블럭들로부터 상기 고장 블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공통 블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비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비정상일 때마다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장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블럭으로부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트랜지션 블럭들을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비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비정상일 때마다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장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블럭으로부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트랜지션 블럭들을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정상일 때마다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장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블럭으로부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트랜지션 블럭들을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정상일 때마다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장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블럭으로부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트랜지션 블럭들을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8. 다수의 논리 블럭들(B1, B2…)에 의해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서 고장 블럭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기능 검사 패턴[FTP (ADD)]과 상기 기능 검사 패턴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논리 블럭 간의 관계를 저장하는 테이블 수단; 순차적으로, 상기 기능 검사 패턴을 발생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에 상기 기능 검사 패턴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비정상 전류(Iddq)가 소정 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반도체 소자가 비정상인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상기 반도체 소자가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상기 반도체 소자가 처음에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될 때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1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 및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이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한 후, 상기 반도체 소자가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될 때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제2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2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들로부터 상기 제2트랜지션 블럭들을 제외시켜서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들에서 상기 고장 블럭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9. 다수의 논리 블럭들(B1, B2…)에 의해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서 고장 블럭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기능 검사 패턴[FTP (ADD)]과 상기 기능 검사 패턴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논리 블럭 간의 관계를 저장하는 테이블 수단; 순차적으로, 상기 기능 검사 패턴을 발생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에 상기 기능 검사 패턴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반도체 소자를 통해 흐르는 비정상 전류(Iddq)가 소정 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반도체 소자가 비정상인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상기 반도체 소자가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상기 반도체 소자가 처음에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변경될 때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제1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1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 및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이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한 후, 상기 반도체 소자가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변경될 때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제2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2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들로부터 상기 제2트랜지션 블럭들을 제외시켜서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들에서 상기 고장 블럭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비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비정상일 때마다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들로부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트랜지션 블럭들을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비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비정상일 때마다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들로부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트랜지션 블럭들을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정상일 때마다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들로부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트랜지션 블럭들을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반도체 소자가 계속 정상일 때마다 상기 테이블에 따라 상기 논리 블럭들로부터 트랜지션 블럭들을 추출하는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은 상기 제1트랜지션 블럭들로부터 상기 제3트랜지션 블럭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트랜지션 블럭들을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01221A 1995-01-20 1996-01-20 비정상 전류를 이용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KR100195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26175 1995-01-20
JP7026175A JP2715956B2 (ja) 1995-01-20 1995-01-20 Iddqを用いたCMOS論理回路の故障箇所の絞り込み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805A true KR960029805A (ko) 1996-08-17
KR100195680B1 KR100195680B1 (ko) 1999-06-15

Family

ID=1218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221A KR100195680B1 (ko) 1995-01-20 1996-01-20 비정상 전류를 이용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50404A (ko)
JP (1) JP2715956B2 (ko)
KR (1) KR100195680B1 (ko)
DE (1) DE1960186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7204B2 (ja) * 1997-02-24 1999-09-13 日本電気株式会社 Lsiの故障箇所の特定化方法
JP3111931B2 (ja) 1997-06-11 2000-11-27 日本電気株式会社 検査結果解析装置及び解析方法並びに解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569543B1 (ko) * 1998-12-31 2006-08-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테스트 장치
JP2001208803A (ja) * 2000-01-24 2001-08-03 Advantest Corp 半導体集積回路の故障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故障シミュレータ
JP4174167B2 (ja) * 2000-04-04 2008-10-29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半導体集積回路の故障解析方法および故障解析装置
JP4488595B2 (ja) * 2000-06-08 2010-06-23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テストパターン生成方法
US6754864B2 (en) * 2001-02-22 2004-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predetermine a bitmap of a self-tested embedded array
JP2003084036A (ja) * 2001-09-10 2003-03-19 Nec Corp 診断システム及び診断方法
US20040193976A1 (en) * 2003-03-31 2004-09-30 Slaight Thomas 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 built-in self test based system management failure monitoring
CN101958262B (zh) * 2009-07-16 2012-08-2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失效检测方法以及失效检测装置
US8476917B2 (en) * 2010-01-29 2013-07-0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Quiescent current (IDDQ) indication and testing apparatu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2595A (en) * 1971-03-19 1973-11-13 Terady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digital logic fet by monitoring currents the device develops in response to input signals
JPS6170777U (ko) * 1984-10-15 1986-05-14
JPS63145549A (ja) * 1986-12-09 1988-06-17 Hitachi Ltd 論理回路シミユレ−シヨン方法
US5321354A (en) * 1990-07-23 1994-06-14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inspecting semiconductor devices
DE4117493A1 (de) * 1991-05-28 1992-12-03 Guenter Kemnitz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steuerung eines betriebsruhestromtests fuer cmos-schaltungen
DE4305288A1 (de) * 1993-02-20 1994-08-25 Bosch Gmbh Robert Selbsttestverfahren für nicht-reguläre CMOS-Schaltstrukturen mit hoher Defekterfassung
US5483170A (en) * 1993-08-24 1996-01-09 New Mexico State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Corp. Integrated circuit fault testing implementing voltage supply rail pulsing and corresponding instantaneous current response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50404A (en) 1998-12-15
JP2715956B2 (ja) 1998-02-18
DE19601862A1 (de) 1996-08-08
KR100195680B1 (ko) 1999-06-15
JPH08201486A (ja) 1996-08-09
DE19601862C2 (de) 199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170A (ko) 전력 상승동안 금지된 테스트 모드의 진입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KR880010315A (ko) 이상상태 검출기
KR960029805A (ko) 비정상 전류를 이용하는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KR970011885A (ko) 반도체 집적회로의 시험 방법 및 장치
KR970002530A (ko) 복수의 전력사용계의 동작제어장치 및 동작제어방법
KR970071268A (ko) 전자제어장치용 감시시스템
DE69939649D1 (de) Redundante schaltvorrichtung
KR890005504A (ko) 앤티로크 제어시스템의 액압회로시험장치
KR920005173A (ko) 칩 동작상에 자동 테스트 모드의 이탈을 가진 반도체 메모리
KR960036491A (ko) 통신단말장치
KR970003759A (ko) 비정상 전류 및 v-i 특성을 사용하는 결함 모드 평가 시스템
KR890017117A (ko) 에어백 장치의 고장검출 장치
KR910006811A (ko) 다중입력신호 체킹회로
KR970049834A (ko) 전기 전도성 물체, 특히 칩카드상에서 집적회로의 존재 검출 시스템
KR910005054A (ko) 무선 주파수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KR940004797A (ko) 반도체 집적 회로
KR960035043A (ko) 비정상 전류 및 비정상 데이타 출력을 이용한 고장 블럭 검출 시스템
EP0214691A2 (en) Monitor system for traffic-lights
KR910008984A (ko) 스테레오 모우드 절환시 오동작 방지 방법
KR910007308A (ko) 메시지 스위칭 장치
JPS6138363Y2 (ko)
DE69921444D1 (de) Vorrichtung mit prozessor und unterspannungserkennung
KR910005128A (ko) 중앙처리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및 방법
KR950021995A (ko) 전원회로의 평활용콘덴서 불량검출방법
AU597761B2 (en) Improved monitor circuit arrang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