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702B1 -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702B1
KR960015702B1 KR1019940038746A KR19940038746A KR960015702B1 KR 960015702 B1 KR960015702 B1 KR 960015702B1 KR 1019940038746 A KR1019940038746 A KR 1019940038746A KR 19940038746 A KR19940038746 A KR 19940038746A KR 960015702 B1 KR960015702 B1 KR 96001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brake
driver
car
roa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050A (ko
Inventor
이기봉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3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702B1/ko
Publication of KR96002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5Longitudinal vehicle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자동차 안전주차점검을 위한 본 발명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위한 플로우 차트.
제3도는 다른 일실시예의 블럭구성도.
제4도는 제3도를 위한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르막내리막감지센서 20 : 도어록감지센서
30,301: 사이드브레이크감지센서 40 : 핸들감지센서
50,110 : 핸들경보부 60,601,100 :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
70,701: 운전자좌석감지센서 80 : 모터
90 : 사이드브레이크 120 : 사이드브레이크재가동부
200 : 안전주차제어부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를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오르막 내리막길에서 자동차를 안전하게 주차시켜 주는 안전주차장치를 구비하고 잊지못해 자동차를 경사진 오르막 또는 내리막길에다 주차시켜 놓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자리를 뜨게 되면 사이드브레이크가 간혹 풀리는 경우가 발생되어 대형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가져다 주는등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를 오르막 또는 내리막길에 주차시에는 사이드브레이크의 작동상태 및 자동차의 바퀴가 회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아무 조치없이 하차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사이드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자동차를 오르막 또는 내리막길에 안전하게 주차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또다른 목적은 사이드브레이크가 풀렸을때도 사이드브레이크를 재가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를 안전하게 주차시키도록 제어하는 안전주차제어부와, 사이드브레이크가 풀렸을때도 사이드브레이크를 재가동시키 수 있도록 사이드브레이크재가동부를 구성한 것이 특징이 있다.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자동차 안전점검을 위한 본 발명의 블럭구성도로서, 제1도에서와 같이, 자동차를 주차시키기 위해 경사진 도로임을 감지하는 안전주차제어부(200)내의 오르막내리막감지센서(10)와, 운전석문이 열렸는가를 감지하는 도어록감지센서(20)와, 경사진 도로에서 운전석문이 열리면 이를 감지하는 사이드브레이크감지센서(30)와, 자동차 바퀴가 회전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핸들감지센서(40)와, 자동차 바퀴가 회전되어 있지 않으면 경보등을 점등시키는 핸들경보부(50)와, 사이드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면 경보등을 점등시키는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60)와, 점등과 동시에 운전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운전자좌석감지센서(70)와, 운전자좌석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80)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사이드브레이크(90)와, 사이드브레이크의 동작에 의해 사이드브레이크감지센서(30)가 동작하여 사이드브레이크경보등과 핸들경보등을 점멸시키는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100)와, 핸들경보부(11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르막내리막감지센서(10)에서는 자동차를 주차시키기 위해 경사진 도로인가 아닌가를 감지하여(단계 1) 경사진 도로이면 도어록감지센서(20)로 하여금 운전석의 문이 열렸는가 안열렸는가를 감지한다.(단계 2)
만일 경사진 도로에서 운전석문이 열렸으면, 도어록감지센서(20)로부터 핸들감지센서(40)가 작동인가 아닌가를 감지하여(단계 3) 작동이면 핸들경보부(50)내의 핸들경보등이 점등되고(단계 4), 따라서 사이드브레이크감지센서(30)가 작동인가 아닌가를 감지하여(단계 5) 작동이 아니면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60)내의 사이드브레이크경보등이 점등된다.(단계 6)
이때 운전자좌석감지센서(70)에서는 운전자가 자리이탈인가 아닌가를 감지하여(단계 7) 자리이탈이면 모터(80)에 감지신호를 보내 모터를 구동시키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사이드브레이크(9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사이드브레이크(90)가 작동되면 사이드브레이크감지센서(30)가 작동하여(단계 8)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100)내의 사이드브레이크경보등이 점멸(OFF)되고(단계 9), 이와 동시에 핸들경보부(110)내의 핸들경보등이 점멸(OFF)된다(단계 9).
한편 제3도는 다른 일실시예의 블럭구성도로서, 제3도에서와 같이, 사이드브레이크가 풀렸을때도 사이드브레이크를 재가동시킬 수 있도록 사이드브레이크감지센서(301)와,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601) 및 운전자좌석감지센서(701)로 이루어진 사이드브레이크제가동부(120)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제4도는 제3도를 위한 플로우 차트로서, 제3도 및 제4도에 따라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이드브레이크감지센서(301)에서는 사이드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사이드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면(단계 1) 즉 사이드브레이크가 풀렸으면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601)내의 사이드브레이크경보등이 점등되고, 이와 동시에 운전자좌석감지센서(701)에서는 운전자가 자리이탈인가 아닌가를 감지하여(단계 2) 자리이탈이면 모터에 감지신호를 보내 모터를 구동시키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사이드브레이크를 제가동시킨다.(단계 3)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를 오르막 내리막길에 주차시 사이드브레이크의 작동상태 및 자동차의 바퀴가 회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 주므로써 자동차를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안전하게 주차시킬 수 있게 하였으면, 또한 사이드브레이크가 풀렸을때도 사이드브레이크를 재가동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자동차를 주차시키기 위해 경사진 도로인가 아닌가를 감지하는 도로감지단계와, 경사진 도로이면 운전석의 문이 열렸는가 안열렸는가를 감지하는 문감지단계와, 경사진 도로에서 운전석문이 열렸으면 사이드브레이크감지센서와 핸들감지센서가 작동인가 아닌가를 감지하는 작동감지단계와, 작동이면 사이드브레이크경보등과 핸들경보등을 점등시키는 점등단계와, 점등과 동시에 운전자가 자리이탈인가 아닌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자리이탈이면 사이드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작동단계와, 사이드브레이크가 작동되면 사이드브레이크경보등과 핸들경보등을 점멸시키는 점멸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2. 통상의 핸들경보부(50),(110)와,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60),(100) 및 모터(80), 그리고 사이드브레이크(90)로 구성된 자동차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경보부(50),(110)와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60),(100) 및 사이드브레이크(90) 사이에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를 안전하게 주차시키도록 제어하는 안전주차제어부(200)를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사이드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사이드브레이크가 풀려서 사이드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면 사이드브레이크경보등을 점등시키는 점등단계와, 점등과 동시에 운전자가 자리이탈인가 아닌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자리이탈이면 모터를 구동시켜 사이드브레이크를 재가동시키는 재가동단계로 수행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를 안전하게 주차시키도록 제어하는 상기 안전주차제어부(200)는 자동차를 주차시키기 위해 경사진 도로임을 감지하는 오르막내리막감지센서(10)와, 운전석문이 열렸는가를 감지하는 도어록감지센서(20)와, 경사진 도로에서 운전석문이 열리면 이를 감지하는 사이드브레이크감지센서(30)와, 자동차 바퀴가 회전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핸들감지센서(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60)와 모터(80) 사이에 운전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운전자좌석감지센서(70)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브레이크(90)가 풀렸을때도 사이드브레이크를 재가동시킬 수 있도록 사이드브레이크재가동부(12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막 내리막길에서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브레이크재가동부(120)는 사이드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사이드브레이크감지센서(301)와, 사이드브레이크가 풀려서 사이드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면 사이드브레이크경보등을 점등시키는 사이드브레이크경보부(601)와, 점등과 동시에 운전자가 자리이탈인가 아닌가를 감지하여 자리이탈이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사이드브레이크를 재가동시킬 수 있도록 운전자좌석감지센서(70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장치.
KR1019940038746A 1994-12-29 1994-12-29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KR96001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46A KR960015702B1 (ko) 1994-12-29 1994-12-29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46A KR960015702B1 (ko) 1994-12-29 1994-12-29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050A KR960022050A (ko) 1996-07-18
KR960015702B1 true KR960015702B1 (ko) 1996-11-20

Family

ID=1940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746A KR960015702B1 (ko) 1994-12-29 1994-12-29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83B1 (ko) * 2011-10-26 2013-07-2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경사로 주차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251A (ko) *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자동차의 주차경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83B1 (ko) * 2011-10-26 2013-07-2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경사로 주차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050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43033A1 (en) Vehicle safety warning control system
KR960015702B1 (ko)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KR100210300B1 (ko) 졸음 운전시의 경고 및 안전시스템
JP2799927B2 (ja) 車両制御装置
KR0134220Y1 (ko) 차량 급제동 알림 장치
KR0145835B1 (ko) 사이드 브레이크의 잠금확인 경보장치 및 경보방법
KR20040082110A (ko)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등 및 점멸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910003822Y1 (ko) 차량용 안전거리감지 장치
KR100187432B1 (ko) 자동차의 접촉사고 방지장치
JP2503104Y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0150921B1 (ko)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0125735Y1 (ko) 브레이크 작동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비상등
KR19990026996U (ko)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
KR0140558Y1 (ko) 자동차의 훼손방지 경고장치
KR100216700B1 (ko)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14502A (ko) 자동 경보등 점멸장치
JPS5848205Y2 (ja) 車両の左折事故防止装置
KR19980038512A (ko) 차량의 주간 주행시 램프점등상태 경보장치
JPS5848206Y2 (ja) 車両の左折事故防止装置
KR19980049622A (ko)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록 점검 장치 및 방법
KR20050102875A (ko) 차량의 자동 조향 시스템
KR19990049729A (ko) 자동차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70037669A (ko) 차량의 비상등 자동제어장치
KR20050100144A (ko) 후방 차량의 상향등 확인 장치 및 방법
KR19980049620A (ko) 차량의 도어 파손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