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700B1 -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700B1
KR100216700B1 KR1019950039193A KR19950039193A KR100216700B1 KR 100216700 B1 KR100216700 B1 KR 100216700B1 KR 1019950039193 A KR1019950039193 A KR 1019950039193A KR 19950039193 A KR19950039193 A KR 19950039193A KR 100216700 B1 KR100216700 B1 KR 100216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driver
chair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433A (ko
Inventor
정지열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5003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700B1/ko
Publication of KR97002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고발생을 검출하여 주위에 알리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핸들의 윗면 전체에 걸쳐 설치된 제1압력감지센서(미도시)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핸들상태검출부(10)와; 의자의 등받이에 설치된 제2압력감지센서(미도시)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등받이에 등을 기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의자등받이상태 검출부(20)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부(30)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사고의 발생을 외부에 알리는 경보표시부(50)와; 상기 핸들상태검출부(10)와 의자등받이상태 검출부(20)와 속도검출부(30)의 출력단과, 상기 경보표시부(50) 사이에 접속되어,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있는지의 여부와, 의자에 등을 기대고 있는지의 여부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므로써 자동차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경보표시부(50)를 작동시키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ECU(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와,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있는지의 여부와, 등받이에 등을 데고 있는지의 여부와, 속도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ECU(40)의 제어를 받아서 이루어진 속도인가를 검출하는 차량상태검출단계(100)와; 상기 차량상태검출부(100)를 수행하여 검출한 차량상태에 대한 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운전자가 핸들을 잡지않고 있으면서 자동차가 ECU(40)의 제어에 의해 정지하지 않았을 경우나, 운전자가 등받이에 등을 데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으면서 자동차가 ECU(40)의 제어에 의해 정지하지 않았을 경우, 이를 사고가 발생된 상태라고 판단하는 사고발생판단단계(200)와; 상기 사고발생판단단계(200)를 수행한 결과,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이를 알리는 소정의 경고음이나 경광등을 작동시키는 경보단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의 제어방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들상태검출부 20 : 의자등받이상태 검출부
30 : 속도검출부 40 : ECU
50 : 경보표시부 100 : 차량상태검출단계
200 : 사고발생판단단계 300 : 경보단계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고발생을 검출하여 주위에 알리기 위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핸들을 잡은 상태와, 운전석 의자의 등받이에 등을 기댄 상태와, 엔진의 제어상태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검출하여, 운전자가 핸들을 놓거나, 의자의 등받이에 기대어 있지 않거나, 또는 엔진이 ECU(ELECTRONIC CONTROL UINT:전자제어장치)의 제어없이 정지하거나 ECU로 일정시간 내에 차량상태에 대한 데이타(DATA)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의 상태를 조합하여 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소정의 경고음 및 경광등을 동작시키므로써, 외부에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탑승자가 이를 외부에 알리거나, 또는, 주위의 사람이 이를 발견하여 구조기관에 알리므로써 사고처리를 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고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첫째, 탑승자 전원이 완전히 의식을 잃었을 경우에는 사고의 발생을 외부에 알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둘째,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이 적은 곳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탑승자가 차량이나 사람들이 올때까지 기다려 구조를 요청해야 하므로 인해, 탑승자 전원이 부상을 당했을 경우에는 적절하게 구조를 요청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탑승자 전원이 의식을 잃었을 경우나 야간의 경우에는 사고 발생여부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아 적절한 구조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핸들을 잡은 상태와, 운전석 의자의 등받이에 등을 기댄 상태와, 엔진의 제어상태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검출하여 사고의 발생유무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소정의 경보장치 및 표시장치를 작동시키므로 인해, 사고의 발생을 외부에 용이하게 알릴 수 있는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들의 윗면 전체에 걸쳐 설치된 제1압력감지센서(미도시)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핸들상태검출부(10)와; 의자의 등받이에 설치된 제2압력감지센서(미도시)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등받이에 등을 기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의자등받이상태 검출부(20)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부(30)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사고의 발생을 외부에 알리는 경보표시부(50)와; 상기 핸들상태검출부(10)와 의자등받이상태 검출부(20)와 속도검출부(30)의 출력단과, 상기 경보표시부(50) 사이에 접속되어,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있는지의 여부와, 의자에 등을 기대고 있는지의 여부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므로써 자동차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경보표시부(50)를 작동시키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ECU(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표시부(50)는, 사고의 발생을 나타내는 소정의 경고음발생장치나 경광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있는지의 여부와 운전자에 등을 데고 있는지의 여부와, 속도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ECU(40)의 제어를 받아서 이루어진 속도인가를 검출하는 차량상태검출단계(100)와; 상기 차량상태검출부(100)를 수행하여 검출한 차량상태에 대한 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운전자가 핸들을 잡지않고 있으면서 자동차가 ECU(40)의 제어에 의해 정지하지 않았을 경우나, 운전자가 등받이에 등을 데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으면서 자동차가 ECU(40)의 제어에 의해 정지하지 않았을 경우, 이를 사고가 발생된 상태라고 판단하는 사고발생판단단계(200)와; 상기 사고발생판단단계(200)를 수행한 결과,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이를 알리는 소정의 경고음이나 경광등을 작동시키는 경보단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동작 및 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핸들과 의자의 등받이에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있는지의 여부와 등을 데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1압력센서와 제2압력센서를 설치하여 동작시키면, ECU(40)는, 상기 핸들상태검출부(10)와, 의자등받이상태 검출부(20)와, 속도검출부(30)를 사용하여,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있는지의 여부와, 의자에 등을 데고 있는지의 여부와, 자동차가 ECU(40)의 제어를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상기 차량상태검출단계(100)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자동차가 ECU(40)의 제어를 받고 있는지의 판단여부는, 상기 속도검출부(30)를 통해 입력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ECU(40)의 제어를 받아 변화하였는가를 검출하여 판단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사고가 발생하여 자동차가 정지 되었을 경우, 이 자동차가 정지된 상태가 ECU(40)의 제어에 의한 것인가를 판단하여, ECU(40)가 정지명령을 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가 정지되었을 경우, 이를 자동차가 ECU(40)의 제어를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차량상태검출단계(100)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차량상태검출단계(100)에서 검출한 차량상태에 대한 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운전자가 핸들을 잡지않고 있으면서 자동차가 ECU(40)의 제어에 의해 정지하지 않았을 경우나, 운전자가 등받이에 등을 데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으면서 자동차가 ECU(40)의 제어에 의해 정지하지 않았을 경우, 이를 사고가 발생된 상태라고 판단하게 되는 상기 사고발생판단단계(200)를 수행하게 된다.
즉, 탑승자가 급정거로 인하여 몸이 앞으로 쏠려있거나, 또는 의자에 기대어 혼절해 있을 경우에는, 핸들을 잡지 않고 있는 상태이거나 의자에 등받이에 등을 기대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를, 자동차가 ECU(40)의 제어에 의해 정지하지 않았을 경우와 조합하여 판단하므로써 자동차의 사고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고발생판단단계(200)를 수행한 결과,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경보단계(300)를 수행하여 특정의 경고음이나 경광등 등을 사용하여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외부에 알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운전자의 조작없이도 외부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려 즉시 구조를 요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특히 운전자가 핸들을 잡은 상태와, 운적석 의자의 등받이에 등을 기댄 상태와, 엔진의 제어상태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검출하여 사고의 발생유무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소정의 경보장치 및 표시장치를 작동시키므로 인해, 사고의 발생을 외부에 용이하게 알릴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핸들의 윗면 전체에 걸쳐 설치된 제1압력감지센서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핸들상태검출부와; 의자의 등받이에 설치된 제2압력감지센서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등받이에 등을 기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의자등받이상태 검출부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사고의 발생을 외부에 알리는 경보표시부와; 상기 핸들상태검출부와 의자등받이상태 검출부와 속도검출부의 출력단과, 상기 경보표시부 사이에 접속되어,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있는지의 여부와, 의자에 등을 기대고 있는지의 여부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므로써 자동차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경보표시부를 작동시키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ECU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표시부는, 사고의 발생을 나타내는 소정의 경고음발생장치나 경광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3.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있는지의 여부와, 등받이에 등을 데고 있는지의 여부와, 속도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ECU의 제어를 받아서 이루어진 속도인가를 검출하는 차량상태검출단계와; 상기 차량상태검출부를 수행하여 검출한 차량상태에 대한 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운전자가 핸들을 잡지않고 있으면서 자동차가 ECU의 제어에 의해 정지하지 않았을 경우나, 운전자가 등받이에 등을 데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으면서 자동차가 ECU의 제어에 의해 정지하지 않았을 경우, 이를 사고가 발생된 상태라고 판단하는 사고발생판단단계와; 상기 사고발생판단단계를 수행한 결과,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이를 알리는 소정의 경고음이나 경광등을 작동시키는 경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50039193A 1995-11-01 1995-11-01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16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193A KR100216700B1 (ko) 1995-11-01 1995-11-01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193A KR100216700B1 (ko) 1995-11-01 1995-11-01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433A KR970026433A (ko) 1997-06-24
KR100216700B1 true KR100216700B1 (ko) 1999-09-01

Family

ID=1943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9193A KR100216700B1 (ko) 1995-11-01 1995-11-01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7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433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12478A (ja) 車両緊急停止装置
US594156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child seat passengers
KR20040009435A (ko)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216700B1 (ko)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40405B1 (ko) 자동차 자동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S59220421A (ja) 飲酒運転防止用自動車
KR100337815B1 (ko)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KR0171342B1 (ko) 자동차 탑승객 소지품 분실방지 경보장치
JPH0521465Y2 (ko)
KR100283942B1 (ko) 졸음운전 예방 및 안전운행 유도장치_
KR960015702B1 (ko)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KR0124803Y1 (ko) 페달작동을 방해하는 장애물 감지장치
JPS6063480A (ja) 自動車用後方監視装置
KR0123272Y1 (ko) 자동차의 도어개방시 후방물체감지장치
KR0145835B1 (ko) 사이드 브레이크의 잠금확인 경보장치 및 경보방법
JPH10264751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9990038295A (ko) 운전자 주의력 감지장치 및 방법
KR20040026825A (ko) 차량 보조석 승객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59819A (ko) 자동차의 졸음운전 방지장치
KR19980078481A (ko) 졸음 운전 방지방법 및 장치
KR19980051381A (ko) 자동차의 음주운전방지장치
KR19980044690U (ko) 체온 및 맥박 감지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조향핸들
KR970000764A (ko)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방법
KR200150540Y1 (ko) 자동차용 차간거리 경고장치
CN116968546A (zh) 车辆酒精锁的控制系统、方法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