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815B1 -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815B1
KR100337815B1 KR1019960057424A KR19960057424A KR100337815B1 KR 100337815 B1 KR100337815 B1 KR 100337815B1 KR 1019960057424 A KR1019960057424 A KR 1019960057424A KR 19960057424 A KR19960057424 A KR 19960057424A KR 100337815 B1 KR100337815 B1 KR 100337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assenger
warning
dri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513A (ko
Inventor
전영훈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5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81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창문 개방상태를 센서(S1)로 감지하고 시스템이 작동되는 단계, 창밖으로 승차원의 신체가 돌출되는 것을 목표감지센서(S2)로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운전석에 위치표시램프(A)가 점등되며 동시에 해당좌석의 경고램프(L)와 경고음발생수단(B)을 작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승차원의 안전성향상 및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할 수 있어서 주행안정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의 승차원이 창문 밖으로 신체를 내밀 때 이를 감지하고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며, 해당 승차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등과 같은 승합차량에서는 다수의 승차원이 탑승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주행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특히 어린이와 같은 승차원의 경우 창밖으로 손이나 머리를 내미는 경우가 있어서 매우 위험한 바, 이러한 상황은 승차원의 안전은 물론이고 운전자에게도 크게 신경쓰이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즉, 운전에 집중해야할 운전자가 이러한 승차원의 상황을 끊임없이 확인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서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것인 바, 종래에는 운전자가 승차원의 상황을 인지하는 방법으로서 차실내의 룸미러나 사이드미러를 통한 시각에 의존해야 했으므로 신경이 쓰이고 매우 불편하여 운전에 집중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실내에 탑승한 승차원이 차창 밖으로 신체의 일부를 내미는 것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인지시킴과 동시에 승차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차량에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S2 : 센서 A : 위치표시램프
L : 경고램프 B : 경고음발생수단
SW : 메인스위치 10 :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창문 개방상태를 센서(S1)로 감지하고 시스템이 작동되는 단계, 창밖으로 승차원의 신체가 돌출되는 것을 목표감지센서(S2)로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운전석에 위치표시램프(A)가 점등되며 동시에 해당좌석의 경고램프(L)와 경고음발생수단(B)을 작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각 창문의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 소정부위에 창문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센서(S1)를 설치하며, 해당되는 좌석의 한정하지 않는 소정부위에 경고램프(L)와 경고음발생수단(B)을 설치한다. 이때 경고음발생수단으로는 부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의 소정부위, 즉 운전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위치에는 위치표시램프(A)를 설치하는 바, 이는 차실내의 좌석배치에 따른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구성도로서, 메인스위치(SW)와 감지센서(S1)(S2)가 제어부(10)를 경유하여 경고램프(L) 및 경고음발생수단(B)을 작동시키게 되는 상황을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도 1,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메인스위치(SW)를 '온'시키면 센서(S1)가 창문의 개방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어느 창문이 개방된 상태일 경우 시스템이 작동하게 되며 승차원의 손이나 머리 등 목표물이 창밖으로 돌출하게 되면 목표를 감지하는 센서(S2)에 감지된다. 이러한 신호가 제어부(10)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운전석의 위치표시램프(A)가 점등되며, 이와 동시에 해당 좌석에 경고램프(L)가 점등되고 경고음발생수단(B)이 경고음을 울리게 되어 승차원에게 경고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이러한 경고음으로 상황을 인지하고 운전석의 위치표시램프(A)에 표시된 좌석을 확인하여 별도의 안전경고방송을 할 수 있다. 승차원의 신체가 다시 차실내로 복귀되어 상황이 해제되면 운전자는 메인스위치(SW)를 '오프'시켜 경고램프(L)와 경고음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다시 메인스위치(SW)를 '온'시키면 시스템의 재가동 준비상태로 돌입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버스 등 다수의 인원이 승차하는 차량에서 승차원의 신체 일부를 밖으로 내밀게 되는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고할 수 있어서 승차원의 안전성이 향상되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할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고 주행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

Claims (1)

  1. 차량의 창문 개방상태를 센서(S1)로 감지하고 시스템이 작동되는 단계, 창밖으로 승차원의 신체가 돌출되는 것을 목표감지센서(S2)로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운전석에 위치표시램프(A)가 점등되며 동시에 해당좌석의 경고램프(L)와 경고음발생수단(B)을 작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KR1019960057424A 1996-11-26 1996-11-26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KR10033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424A KR100337815B1 (ko) 1996-11-26 1996-11-26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424A KR100337815B1 (ko) 1996-11-26 1996-11-26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513A KR19980038513A (ko) 1998-08-05
KR100337815B1 true KR100337815B1 (ko) 2002-07-18

Family

ID=3748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424A KR100337815B1 (ko) 1996-11-26 1996-11-26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52706A2 (en) * 2007-05-04 2009-04-29 Fondazione Catis Medical vehicle specifically for transporting passengers to be submitted to non-urgent medical treat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52706A2 (en) * 2007-05-04 2009-04-29 Fondazione Catis Medical vehicle specifically for transporting passengers to be submitted to non-urgent medical treatment
EP2052706A3 (en) * 2007-05-04 2009-09-16 Fondazione Catis Medical vehicle specifically for transporting passengers to be submitted to non-urgent medical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513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916B1 (ko) 차량 내 잔류승객 감지 및 경보 장치
KR20200053851A (ko)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KR100337815B1 (ko)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WO2019035640A1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JPH11321562A (ja) シートベルト着用表示装置
KR200273277Y1 (ko) 차량 내부의 잔여인원 감지시스템
JPS59220421A (ja) 飲酒運転防止用自動車
KR20190000493U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KR0171342B1 (ko) 자동차 탑승객 소지품 분실방지 경보장치
KR20070076801A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착용감지장치
JPS58225376A (ja) 車両の追突防止装置
KR0123272Y1 (ko) 자동차의 도어개방시 후방물체감지장치
KR100216700B1 (ko)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93061B1 (ko) 조수석아기보조의자설치경고장치
KR0151671B1 (ko) 자동차 위치감지장치
KR19980016336U (ko) 차량 조수석에 어린이 탑승시 경고장치
KR100202111B1 (ko)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
KR0153628B1 (ko) 자동차 안전사고 예방장치
JPS59186743A (ja) 飲酒運転防止装置
JP2503104Y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19980055170A (ko) 자동차의 전방위험 경고장치
KR19980042808U (ko) 발광센서를 이용한 차간 안전거리 유지장치
KR970020705A (ko) 차량의 안전거리 경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41257A (ko) 졸음 운전 경보 장치
KR20090124863A (ko) 버스 승객 하차용 안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