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127B1 - 가스절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127B1
KR960015127B1 KR1019880700050A KR880700050A KR960015127B1 KR 960015127 B1 KR960015127 B1 KR 960015127B1 KR 1019880700050 A KR1019880700050 A KR 1019880700050A KR 880700050 A KR880700050 A KR 880700050A KR 960015127 B1 KR960015127 B1 KR 960015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sulated
bus
insulated main
mai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987A (ko
Inventor
히로시 스즈야마
요시로오 스즈끼
미노루 사까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80701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6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gas-insul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2Layouts for duplicate bus-bar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가스절연 개폐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변전소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단선에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5도는 제2도의 변형예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평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평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전소에 있어서 사용하는 버스섹션유니트를 갖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변전소 구성에 있어서, 계통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모선을 2중화하거나, 모선을 단절하여 각각 따로따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주모선간을 접속하는 버스섹션유니트를 설치하거나, 병렬설치되는 양주모선간을 접속하는 버스타이유니트를 설치하고, 2중주모선간에 피이더유니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예를 들면 일본국 「전기 협동 연구」제41권 제5호의 제67∼68항 또는 일본국 실개소 56-80616호 공보에서 알려져 있다.
상기의 변전소 구성을 단선으로 나타낸 제1도의 회로도에 따라 설명한다. 주모선 1 및 3과 2는 병설하는 2중 주모선방식이나, 동일축선상에서 배치하는 한쪽의 주모선 1,3은 버스섹션유니트(S)에 의하여 단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섹션유니트(5)는 주모선(1)에 일단을 접속한 단로기(斷路器)(4a)와, 주모선(3)에 일단을 접속한 단로기(4b)와, 이들 단로기 간을 접속하는 차단기(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병설하는 주모선 1과 2 또는 2와 3간은 버스타이유니트(T)로 반리 가능하게 접속하고, 이들 상호간에서의 전력의 융통을 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모선 1,2 또는 2,3에는 가능하게 피이더유니트(F)를 접속하여 변압기나 부하에 이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선 구성으로 함으로써, 버스섹션(S)으로 접속하고 있는 예를 들면 주모선(3)측의 점검시 및 고장일때, 차단기(5)를 동작시키고 또 차단기(4a,4b)를 열도록(OFF)하고, 또 버스타이섹션(T)도 동작시킴으로써 나머지의 주모선 1과 2는 사용할 수 있게 행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변전소 구성에 있어서,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의하여 버스섹션유니트(S)로 하기 위한 구조로서, 예를 들면 상기한 일본국 실개소 56-80616호 공보에 기재된 예가 있다. 여기에 기재한 것은 설치면의 동일축선상에 분리하여 배치한 각 가스절연 주모선간을 접속하기 위하여 연결용으로 사용하는 보조 가스절연 모선을, 양 가스절연 주모선의 대향단부의 옆쪽에 배치하여 쌍방의 접속에 이용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가스절연 주모선과 접속용으로 사용하는 보조 가스절연 주모선을 방설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폭방향 치수가 커져 버스섹션유니트로서 이용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전체의 설치면적이 커져버리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면적을 축소할 수 있고, 또 내진성이 우수한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할 수 있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3상 일괄형의 가스절연 주모선 설치의 거의 평행한 2직선상에 병설하고, 이들중 동일축선상에 구분하여 가스절연 주모선을 배치하고, 그 옆쪽에 버스섹션유니트용의 3상분의 차단기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한 가스절연 주모선중 차단기에 가까운 직선상에 배치한 것을 버스섹션유니트에 의하여 접속 구분하도록 할때, 이 차단기측을 구분한 가스절연 주모선의 어느 한쪽은, 차단기로부터 먼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의 상부에 모선 전위부(轉位剖)를 배치하고, 이 모선 전위부를 사용하여 차단기와의 접속을 행한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기측의 구분배치한 가스절연 주모선의 한쪽에 모선 전위부를 형성하고, 또한 모선 전위부는 차단기로부터 먼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의 상부에 배치했기 때문에, 모선 전위부는 하부의 가스절연 주모선에 지지시키므로, 비교적 낮은 위치에 유지할 수 있어 내진성에 뛰어난 구성이 되고, 또 설치면적의 증대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모선 전위부의 상기의 위치는 그 상세를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버스섹션유니트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가 있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가장좋은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 기본적으로는 동일축선상에 구분하여 배치하는 가스절연 주모선 1 및 3과 구분부가 없는 가스절연 모선(2)과는 설치면 가까이 대략 수평이고 평행인 2식선상에 배치되고, 3상일괄의 2중모선구성을 하고 있다. 이들 2중의 가스절연 주모선의 일축에, 버스섹션유니트용으로서의 종형(從形)의 차단기(5)가 3상분을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 차단기(5)에 가까운 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섹션유니트에 의하여 구분 가능하게 저속되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가스절연 주모선(1,3)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1,3)의 접속부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가스절연 주모선(3)의 단부는 차단기(5)로부터 먼쪽의 가스절연 주모선(2)의 상방에 배치되고, 그 하부에 형성한 다리부(10)를 주모선(2)의 받침부(受部)(11)에 예를 들면 볼트로 결합함으로써, 가스절연 주모선(3)의 단부를 가스절연 주모선(2)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이점을 제2도의 평면도 및 측면도인 제3도 및 제4도에 따라 설명하면, 가스절연 주모선(3)은, 가스절연 주모선(1)과 동일 직선상을 연정되어 나란히 설치되는 가스절연 주모선(1)의 단면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된 후, 지름 방향으로 비스듬히 도출한 모선분기부(3b)를 거쳐 모선전위부(3a)에 플랜지에 접속되어 있다. 이 모선전위부(3a)는, 제2도에 나타낸 가스절연 주모선(2)상에 위치하는 가스절연 주모선(3)의 단부이고, 가스절연 주모선(1)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중복부를 형성하고 있고, 그 축의 깊이는 버스섹션유니트의 구성에 필요한 길이이다.
이와 같은 가스절연 주모선 구성에 있어서의 차단기(5)와의 접속을 다음에 설명한다. 차단기(5)의 상하에는 각각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전로(電路)가 되는 1쌍의 접속부가 형성되고, 각각 변류기를 배치하는 접속용기(7a,7b)가 접속되어 있다. 가스절연 주모선(1)의 위축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도출부(1c)가 있고, 이 분기도출부(1c)에 접지개폐기(6b)를 포함하는 단로기(4b)가 접속되고 이 단로기(4b)는 신축조인트(8b)를 거쳐 접속용기(7b)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가스절연 주모선(3)의 모선전위부(3a)의 상방에는 분기도출부(3c)가 형성되고, 이 분기도출부(3c)에 단로기(4a)가 접속되어 있다. 단로기(4a)는 접지개폐기(6a)를 포함하는 접속도체를 거쳐 접속용기(7a)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단기측의 가스절연 주모선(3)에 모선전위부(3a)를 형성하고, 이 모선전위부(3a)를 차단기(5)로부터 먼쪽의 가스절연 주모선(2)의 상부에 배치하여 지지했기 때문에, 모선전위부(3a)의 설치를 위하여 특별히 설치면적을 크게할 필요도 없고, 또 전위부(3a)가 비교적 낮은 위치에 구성할 수 있으므로, 내진성에도 우수하다.
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기(5)에 의하여 구분 가능하게 접속되는 각 가스절연 주모선(1,3)은, 기본적으로 동일 직선상에 구성되나, 그 단부는 상이한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모선전위부(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절연 주모선(1,3)과 차단기(5)간의 접속은 차단기(5)나 단로기(4a,4b)등의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하는 각 기기를 거의 동일한 수직면에 구성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각 가스절연 주모선의 축길이를 버스섹션유니트의 구성을 위하여 현저하게 증대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단로기(4a,4b)는 측면 형상이 +자형상의 용기를 사용한 동일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과, 가스절연 주모선(3)의 주체부와 모선전위부(3a)를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모선분기부(3b)에서 비스듬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단로기(4a)와 접기개폐기(6a)를 각각 구성했으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로기(4b)와 접기개폐기(6b)의 조합과 마찬가지로 일체적으로 구형해도 좋고, 이와 같이 하면 호환성이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병형예를 나타낸 제5도의 실시예에서는 제2도에 있어서 종형의 차단기(5)의 아래쪽 전로에 삽입하고 있었던 신축조인트(8b)를 생략하여 단로기(4b)와 접속용기(7b)를 직결하고, 이 대신에 이 위쪽 전로의 단로기(4a)에 인접하여 신축조인트(8a)를 배치하고, 이것에 의하여 각 기기의 치수변환 및 설치시에 있어서의 오차를 흡수하도록 한 것으로, 다른 부분은 완전히 동일 구조이다. 이와 같이 신축조인트(8a)를 상측 전로중에 설치토록 하면, 종형의 단로기(5)를 가스절연 주모선에 가까이 배치할 수가 있으므로 버스섹션유니트의 설치면적을 더 한층 축소할 수가 있다.
또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도 내지 제4도의 예와 마찬가지로 가스절연 주모선(1,3)은 동일축선상에 배치되고, 또 차단기(5)나 다른 기기도 같은 구조이나, 가스절연 주모선(3)과 그 단부인 모선전위부(3a)와의 접속을 행하는 모선분기부(3b)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다. 즉, 모선분기부(3b)는, 가스절연 주모선(3)의 접속플랜지 부분으로부터 가스절연 주모선(2)의 상부에 배치한 모선전위부(3a)의 접속플랜지 부분의 높이까지 올라오게 한 후에 대략 수평으로 절곡되는 대략 역 L자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것에 의하여 양자간을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직각으로 절곡되는 형상의 모선분기부(3b)를 사용하면, 마찬가지로 상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스절연 주모선(3)과 모선전위부(3a)에 있어서의 접속플랜지 부분의 제작이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접속 작업도 가스절연 주모선(3)으로 지지시킨 상태에서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것은 차단기(5)를 가대(5a)상에 재치한 횡형을 사용하고, 가스절연 주모선(1)으로부터 떨어진 접속용기(7a)에 연결하여 단로기(4a)에 이르는 전로를, 차단기(5)의 상측을 되접도록 한 것이고, 다른 구조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것과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다. 차단기(5)를 횡형을 사용했을 때에는, 수평방향의 치수가 길어지기 때문에, 상하에 각각 신축조인트(8a,8b)를 개재시킬 필요가 있고, 버스섹션유니트 전체가 가로방향으로 뻗으므로, 설치면적은 커진다. 그러나, 변전소의 회로 전압이 높을 경우에는, 종형의 차단기에서는 그 높이 치수가 커져 버스섹션유니트 부분의 내진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므로 사용할 수 없는데에 대하여, 횡형의 차단기를 사용한 버스섹션유니트 구성에서는 내진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2중주모선 구성의 변전소에 있어서의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에 버스섹션유니트를 설치하는 예를 설명했으나, 나란히 설치되는 상방의 가스절연 주모선을 구분하여 설치하고, 버스섹션유니트를 설치할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중주모선 구성으로 할 때 차단기측에 위치하여 동일축선상에 구분배치하는 가스절연 주모선의 어느 한쪽의 단부에, 차단기로부터 먼쪽에 병설(倂設)한 가스절연 주모선의 상부에 배치하여 지지한 전위부를 형성하고, 구분배치한 가스절연 주모선의 다른쪽과 축방향으로 중복하는 부분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설치면적으로 크게 하는 일 없이 비교적 낮은 위치에서 전위부를 지지하여 모선분기부에서 접속할 수 있어, 내진성이 우수한 버스섹션유니트 구조가 얻어진다.

Claims (21)

  1. 설치면상이 대략 평행한 2직선상에 각각 3상 일괄형의 가스절연 주모선을 병셜하고, 상기 가스절연 주모선 중 적어도 한쪽의 동일축선상에는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을 배치하고, 양측에 단로기를 가지고 병설하는 3상분의 차단기를 접속하여 구분배치한 2개의 가스절연 주모선간을 구분가능하게 접속한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구분배치한 상기 가스절연 주모선의 옆쪽에 배치하고, 동일선상의 상기 양 가스절연 모선 중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은, 상기 차단기로부터 먼쪽의 상기 직선상에 배치하는 가스절연 주모선의 상부에 지지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과 축방향으로 중복한 모선전위부를 가지고 구성하고, 상기 전위부와 상기 다른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의 중복부 간에 상기 차단기와 단로기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 상기 모선전위부와의 사이는, 경사지게 배치하는 모선분기부에서 직선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 상기 모선전위부와의 사이는, 대략 역 L자 형성으로 형상한 모선분기부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섹션유니트에는 종형의 차단기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섹션유니트에는 횡형의 차단기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에 연결되는 상기 모선전위부와, 상기 모선전위부에 중복하는 다른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은, 각각 그 상측에 분기도출부를 가지고, 이 분기도출부에 상기 단로기를 각각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로기는 측면형상이 +자 형상의 용기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8. 설치면상의 대략 평행한 2직선상에 각각 3상 일괄형의 가스절연 주모선을 병설하고, 상기 가스절연 주모선 중 적어도 한쪽으로 동일축선상에는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을 배치하고, 양측에 단로기를 가지고 병설되는 3상분의 차단기를 접속하여 구분배치한 2개의 가스절연 주모선간을 구분 가능하게 접속한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구분배치한 상기 가스절연 주모선의 옆쪽에 종형의 차단기를 배치하고, 동일선상의 상기 양가스 절연모선 중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은, 상기 차단기로부터 먼쪽의 상기 직선상에 설치하는 가스절연 주모선의 상부에 지지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과 축방향으로 높이를 다르게 하여 중복된 모선전위부를 가지고 구성하고 이 모선전위부와 상기 다른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의 중복부의 사이는 상기 차단기와의 상부전로에 개재시키는 단로기 및 하부전로에 개재시키는 단로기를 각각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이 가스절연 주모선과 상기 모선전위부와의 사이는, 비스듬하게 배치하는 모선분기부로 직선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 상기 모선전위부와의 사이는, 대략 역 L자 형상으로 형성한 모선분기부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1. 설치면상의 대략 평행한 2직선상에 각각 3상 일괄형의 가스절연 주모선을 병설하고, 상기 가스절연 주모선 중 적어도 한쪽으로 동일축선상에는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을 배치하고, 양측에 단로기를 가지고 병설하는 3상분의 차단기를 접속하여 구분배치한 2개의 가스절연 주모선간을 구분가능하게 접속한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구분 배치한 상기 가스절연 주모선의 옆쪽에 횡형의 차단기를 배치하고, 동일선상의 상기 양 가스절연 모선 중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은, 상기 차단기로부터 먼쪽의 상기 직선상에 설치하는 가스절연 주모선의 상부에 지지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과 축방향으로 높이를 다르게 하여 중복시킨 모선전위부를 가지고 구성하고, 상기 모선전위부와 상기 다른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의 중복부위 사이는, 상기 차단기의 상측을 접어꺽인 전로에 개재시키는 단로기 및 가스절연 주모선측의 전로에 위치하는 단로기를 각각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 상기 모선 전위부와의 사이는 비스듬하게 배치하는 모선 분기부에서 직선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 상기 모선전위부와의 사이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한 모선분기부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4. 설치면상의 대략 평행한 2직선상에 각각 3상 일괄형의 가스절연 주모선을 병설하고, 상기 가스절연 주모선 중 적어도 한쪽으로 동일축선상에는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을 배치하고, 양측에 단로기를 가지고 병설하는 3상분의 차단기를 접속하여 구분배치한 2개의 가스절연 주모선간을 구분가능하게 접속한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구분배치한 상기 가스절연 주모선의 옆쪽에 배치하고, 동일선상의 상기 양 가스절연 모선 중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에는 모선분기부에서 접속하는 모선전위부를 설치하고, 상기 모선전위부는 상기 차단기로부터 먼쪽의 상기 직선상에 설치하는 가스절연 주모선의 상부에 지지함과 동시에 다른쪽을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과 축방향으로 중복시키고, 상기 모선전위부와 상기 다른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의 중복부의 사이는, 상기 차단기와의 이 각 전로에 개재시키는 단로기에 각각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 상기 모선전위부와의 사이는, 비스듬하게 배치하는 모선분기부로 직선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 상기 모선전위부와의 사이는, 대략 역 L자 형상으로 형성한 모선분기부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섹션유니트에서는 종형의 차단기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섹션유니트에서는 횡형의 차단기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에 연결되는 상기 모선전위부와, 상기 모선전위부에 중복하는 다른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은, 각각 그 상측에 분기도출부를 가지고, 이 분기도출부에 상기 단로기를 각각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로기는 측면형상이 +자상의 용기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21. 설치면상의 대략 평행한 2직선상에 각각 3상 일괄형의 가스절연 주모선을 병설하고, 상기 가스절연 주모선 중의 적어도 한쪽의 동일축선상에는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을 배치하고, 양측에 단로기를 가지고 병설하는 3상분의 차단기를 접속하여 구분배치한 2개의 가스절연 주모선간을 구분가능하게 접속한 버스섹션유니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구분배치한 상기 가스절연 주모선의 옆쪽에 종형의 차단기를 배치하고, 동일선상의 상기 양 가스절연 모선 중 한쪽의 가스절연 주모선에는, 모선분기부로 접속하는 모선전위부를 설치하고 상기 모선전위부는 차단기로부터 먼쪽의 상기 직선상에 설치하는 가스절연 주모선의 상부에 지지함과 동시에 다른쪽을 구분된 가스절연 주모선과 축방향으로 중복시키고, 상기 모선전위부와 상기 다른쪽의 가스절연 주모선과의 높이가 다른 중복부의 사이는 상기 종형의 차단기와 이 상부전로 및 하부전로에 배치하는 측면형상이 +자상의 용기로 구성한 단로기로 각각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9880700050A 1986-10-07 1987-10-05 가스절연 개폐장치 KR960015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237254 1986-10-07
JP23725486 1986-10-07
PCT/JP1987/000742 WO1988002941A1 (en) 1986-10-07 1987-10-05 Gas insulating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987A KR880701987A (ko) 1988-11-07
KR960015127B1 true KR960015127B1 (ko) 1996-10-28

Family

ID=1701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050A KR960015127B1 (ko) 1986-10-07 1987-10-05 가스절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62319A (ko)
EP (1) EP0286689B1 (ko)
JP (1) JPH0787648B2 (ko)
KR (1) KR960015127B1 (ko)
DE (1) DE3784920T2 (ko)
WO (1) WO1988002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25B2 (ja) * 1988-03-11 1996-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DE3936759A1 (de) * 1989-11-02 1991-05-08 Siemens Ag Dreipolige, metallgekapselte, druckgas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
AU1271592A (en) * 1991-01-18 1992-08-27 Dexter Chemical Corporation Malic acid derivative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psoriasis
JPH0662513A (ja) * 1992-08-06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密閉形開閉装置
JP2887857B2 (ja) * 1992-08-07 1999-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EP0678950B1 (de) * 1994-04-19 1997-10-08 Asea Brown Boveri Ag Erdbebenschutzvorrichtung für eine gasisolierte Schaltanlage
JP3206305B2 (ja) * 1994-07-05 2001-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3136932B2 (ja) * 1994-12-28 2001-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3158986B2 (ja) * 1995-08-30 2001-04-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DE19805705A1 (de) * 1998-02-06 1999-08-12 Asea Brown Boveri Gasisolierte metallgekapselte Schaltanlage
DE29806652U1 (de) * 1998-04-03 1998-06-18 Siemens Ag Gekapselter, dreiphasiger Leistungsschalter mit anschließenden Kapselungsbausteinen
JP2003189430A (ja) * 2001-12-18 2003-07-04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4969657B2 (ja) * 2007-11-29 2012-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US8254088B2 (en) * 2007-12-28 2012-08-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insulated switchgear
DE102018213934A1 (de) * 2018-08-17 2020-02-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hrphasige Schaltanlag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03102A1 (de) * 1972-01-20 1973-07-26 Siemens Ag Druckgasisolierte schaltanlage
US4032820A (en) * 1974-05-06 1977-06-28 Hitachi, Ltd. Horizontal double plane high voltage switching assembly
JPS5442418Y2 (ko) * 1975-06-20 1979-12-10
EP0156107B1 (en) * 1981-05-20 1989-06-14 Hitachi, Ltd. Gas insulated switchgear equipment
DE3217186A1 (de) * 1982-05-04 1983-11-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Druckgas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 mit insbesondere einphasiger metallischer kapselung
JPS59106808A (ja) * 1982-12-10 1984-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S59165905A (ja) * 1983-03-11 1984-09-19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開閉装置
JPS59185107A (ja) * 1983-04-04 1984-10-20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開閉装置
JPS602005A (ja) * 1983-06-15 1985-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987A (ko) 1988-11-07
WO1988002941A1 (en) 1988-04-21
DE3784920T2 (de) 1993-06-24
US4862319A (en) 1989-08-29
JPS63228907A (ja) 1988-09-22
EP0286689B1 (en) 1993-03-17
DE3784920D1 (de) 1993-04-22
EP0286689A4 (en) 1989-11-07
JPH0787648B2 (ja) 1995-09-20
EP0286689A1 (en) 198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12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012621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455988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A1225456A (en) Gas-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JP288785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S5920440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734603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3143133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S6127966B2 (ko)
JPS5915445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S59106808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572418B2 (ja) 受電用変電設備
JPH0646163Y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3170512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613541Y2 (ja) ガス絶縁開閉設備
JPS62110408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2202306A (ja) 母線のための縦続結合装置
JPS609401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を用いた配電装置
JPS6338925B2 (ko)
JPS6218160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9990066920A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
JPH0213524B2 (ko)
JPH0213522B2 (ko)
JPS6312140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326540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