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815B1 - 하이 벌키(high bulky) 양모사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하이 벌키(high bulky) 양모사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815B1
KR960014815B1 KR1019940030021A KR19940030021A KR960014815B1 KR 960014815 B1 KR960014815 B1 KR 960014815B1 KR 1019940030021 A KR1019940030021 A KR 1019940030021A KR 19940030021 A KR19940030021 A KR 19940030021A KR 960014815 B1 KR960014815 B1 KR 96001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roove
wool
grooves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960A (ko
Inventor
김군희
손수호
윤영휘
이창직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현식 filed Critical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3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815B1/ko
Priority to EP95100030A priority patent/EP0712948A1/en
Priority to AU10002/95A priority patent/AU672344B2/en
Priority to US08/367,595 priority patent/US5553357A/en
Priority to JP7003365A priority patent/JP2728639B2/ja
Publication of KR960017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70Constructional features of drafting elements
    • D01H5/74Rollers or roller bearings
    • D01H5/78Rollers or roller bearings with flutes or other integral surfac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하이 벌키(high bulky) 양모사 및 그 제조장치
제1도는 정방기에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드래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드래프트 장치중에서 후론트 롤러부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의 후론트 톱 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3도 선 A-A'선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후론트 톱 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B-B'선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7a도는 종래의 양모 기편사(機編絲; knitting yarn)의 확대된 평면도이고, 제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모 기편사의 확대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 롤러(back roller)부 2 : 미들 롤러(middle roller)부
3 : 후론트 롤러(front roller)부 11 : 백 바톰 롤러(back bottom roller)
12 : 백 톱 롤러(back up roller)
21 : 미들 바톰 롤러(middle bottom roller)
22 : 미들 톱 롤러(middle top roller)
23 : 바톰 고무 에이프런(bottom rubber apron)
24 : 톱 고무 에이프런(top rubber apron)
31 : 후론트 바톰 롤러(front bottom roller)
32 : 후론트 톱 롤러(front top roller)
33 : 크리닝 롤러(cleaning roller) 34 : 드래프팅부
35, 36 : 고무 롤러 37 : 사선홈
38 : 충진부재 39 : 홈
40, 50 : 사속(絲束; yarn bundle) 41 : 모우(毛羽)
51 : 벌키 루프(bulky loop) 60 : 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벌키 루프(bulky loop)를 갖는 하이 벌키(high bulky) 양모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속(絲束; yarn bundle)에 벌키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벌키성 갖는 양모 기편사(羊毛 機編邪; wool knitting yarn) 또는 직물용 양모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벌키 루프를 갖는 하이 벌키 양모사를 제조하기 위한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에 관한 것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에 있어서 로빙(粗絲; roving)이 드래프트되는 접지점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속에 벌키 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종래의 후론트 톱 롤러(front top roller)의 구조를 개선한 하이 벌키 양모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 구조가 개선된 본 발명의 후론트 톱 롤러를 사용하여 사속에 벌키 루프를 갖는 하이 벌키 양모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도 포함한다.
[발명의 배경]
양모를 원료로 하는 기편사(knitting yarn)와 직물용사(weaving yarn)에 있어서는 양모원료의 가공, 전방공정, 정방공정, 또는 염색공정의 개선을 통하여 양모사 또는 최종 제품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벌키성을 증진시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기편사에 있어서 양호한 벌키성을 갖는 양모사를 제조하기란 용이하지 않는 실정이었다.
높은 벌키성을 갖는 양모 기편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것은 벌키 양모사의 물성의 불안정과 필링(pilling)의 발생이었다. 즉 종래의 벌키 양모 기편사는 사속(絲束; yarn bundle)에 벌키성을 부여하는 벌키 루프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양모의 벌키성이 높지 않으며 또한 양모 기편사의 물성에 불안정을 초래하여 왔다. 또한 종래의 벌키 양모 기편사는 사속에 모우가 형성됨으로써 그 모우에 의하여 필링현상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벌키 양모 기편사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도록, 사속에 벌키성을 부여하는 벌키 루프를 균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양모 기편사의 물성을 안정한 상태로 유지하고, 모우 발생을 극소화시킴으로써 필링현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높은 벌키성을 갖는 양모 기편사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하이 벌키 양모사는 편물용 기편사 뿐만 아니라 직물용 제직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 벌키 양모는 사속에 균일한 벌키 루프를 형성하여 높은 벌키성을 부여함으로써 촉감이 양호하고, 원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착용감이 우수하고, 또한 제품을 경량화할 수 있는 발명으니 효과를 갖는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사속에 벌키성을 부여하는 벌키 루프를 균일하게 형성시킨 하이 벌키 양모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속에 모우 발생을 극소화함으로써 필링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벌키 양모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속에 균일한 벌키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촉감이 양호하고, 원료를 절감하며, 착용감이 우수하고, 그리고 제품을 경량화할 수 있는 하이 벌키 양모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속에 균일한 벌키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벌키성을 갖고, 사속에 모우 발생을 극소화함으로써 필링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하이 벌키 양모사를 제공하기 위한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하기 벌키 양모사를 사속에 벌키성을 부여하기 위한 벌키 루프를 균일하게 형성시키고, 사속에 모우 발생을 극소화함으로써 필링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양모 기편사 또는 직물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양모사를 제조하기 위하여 정방공정을 행하는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에 있어서, 로빙이 드래프트되는 접지점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속에 벌키 루프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후론트 톱 롤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후론트 톱 롤러는 그 후론트 톱 롤러의 고무롤러 표면에 축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을 형성시키고 축과 약 45°각도를 이루도록 복수개의 사선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사선홈에 다시 내마모성이 양호한 충진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구조를 갖는다. 상기 사선홈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충진부재의 높이는 홈이 형성되지 않은 고무롤러의 표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유지한다. 상기 본 발명의 후론트 톱 롤러를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에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하이 벌키 양모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론트 톱 롤러와 후론트 바톰 롤러(front bottom roller)가 그 접점 부위에서 로빙을 파지하여 드래프트한다. 백 롤러(back roller)부에 의하여 방출되는 로빙은 미들 롤러(middle roller)부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파지되어 드래프트되며, 미들 롤러부에 의하여 방출되는 로빙은 후론트 롤러(front roller)부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파지되어 드래프트된다. 다시 말해서 로빙은 백 롤러부와 미들 롤러부 사이에서 낮은 드래프트 비율로 드래프트되는 제1차 드래프트가 행해지고, 미들 롤러부와 후론트 롤러부 사이에서 높은 비율로 드래프트되는 제2차 드래프트가 행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제2차 드래프트가 행해지는 후론트 롤러부의 후론트 톱 롤러의표면구조를 로빙이 규칙적으로 접지되는 부분과 접지되지 않은 부분으로 형성시켜 사속에 주기적으로 균일하게 벌키 루프를 형성할 수 있는 하이 벌키 양모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양모원료로부터 양모사를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즐모공정, 전방공정, 정방공정 및 정사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양모사를 염색하는 공정은 양모원료를 염색하는 경우에는 즐모공정 전에 행해지며, 양모사를 염색하는 경우에는 정방공정 후에 행해진다. 특수한 성질을 갖는 양모사나 또는 양호한 품질의 양모사를 제조하기 위하여 양모원료의 가공, 전방공정, 정방공정, 또는 염색공정의 개선이 수반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모사를 제조하기 위하여 정방공정을 행하는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를 개선시킨 것이다. 제1도는 정방기의 부착되어 사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드래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는 백 바톰 롤러(11)와 백 톱 롤러(12)로 이루어진 백 롤러부; 미들 바톰 롤러(21), 미들 톱 롤러(22), 바톰 고무 에이프런(23) 및 톱 고무 에이프런(24)으로 이루어진 미들 롤러부(2) 및 후론트 바톰 롤러(31), 후론트 톱 롤러(32) 및 클리닝 롤러(33)로 이루어진 후론트 롤러부(3)로 구성된다.
로빙은 백 롤러부(1)의 백 바톰 롤러(11)와 백 톱 롤러(12) 사이를 통과하고, 다시 이 로빙은 미들 롤러(2)의 바톰 고무 에이프런(23)과 톱 고무 에이프런(24) 사이를 통과하며, 다시 이 로빙은 후론트 롤러부(3)의 후론트 바톰 롤러(31)와 후론트 톱 롤러(32) 사이를 통과한다. 로빙은 상기 백 롤러부(1), 미들 롤러부(2) 및 후론트 롤러부(3)를 통과하며, 이 구간에서 로빙은 드래프트되어 후론트 롤러부(3)의 하부에 위치한 각각의 콥(도시되지 않음)에 권취된다.
로빙은 백 롤러부(1)와 미들 롤러지부(2) 사이에서 낮은 드래프트 비율로 제1차 드래프트가 행해지는데 여기서의 드래프트 비율은 통상 1.0 내지 2.0의 범위이다. 그리고 로빙은 미들 롤러부(2)와 후론트 롤러부(3) 사이에서 높은 드래프트 비율로 제2차 드래프트가 행해지고 여기서의 드래프트 비율은 통상 12 내지 2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하이 벌키 양모사를 제조하기 위한 드래프트장치는 후론트 롤러부(3)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론트 톱 롤러(32)에 관한 것이다. 후론트 롤러부(3)는 후론트 바톰 롤러(31), 후론트 톱 롤러(32) 및 클리닝 롤러(32)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도는 이들에 대해 분해 사시도이다.
후론트 바톰 롤러(31)는 일체로 형성되며, 후론트 톱 롤러(32)의 고무롤러(35,36)와 접촉하는 부위에서 축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드래프팅(34)를 형성한다. 후론트 톱 롤러(32)의 상단에는 고무롤러(35,36)의 표면에 부착된 실오라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33)가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클리닝 롤러(33)의 외부에는 고무롤러(35,36)표면으로부터 실오라기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천으로 싸여져 있다.
종래의 후론트 톱 롤러(32)는 그 고무롤러(35,36)가 둥근 표면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후론트 톱 롤러(32)는 고무롤러(35,36)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드래프트되는 접지점을 변화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의 후론트 톱 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후론트 톱 롤러(32)는 그 고무롤로(35,36)의 표면에 축(6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39)을 형성시키고, 축(60)과 약 45°각도를 이루도록 복수개의 사선홈(37)을 형성시키며 상기 사선홈(37)에는 다시 내마모성이 양호한 충진부재(38)를 삽입시킨 구조를 갖는다.
제4도는 제3도의 A-A'선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고무롤러(35,36)의 표면에 축(60)과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39)의 수는 1인치당 약 50 내지 60이며, 상기 홈(39)의 폭(a)은 약 0.15mm이고, 상기 홈(39)과 홈(39) 사이에 노출된 표면의 폭(b)은 약 0.35mm이며, 상기 홈(39)의 깊이(c)는 약 0.6mm이다. 고무롤러(35,36)의 표면에 축(60)과 약 45°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사선 홈(37)의 수는 고무롤러(35,36)의 직경이 약 50mm인 경우에 약 20이다. 이 사선홈(37)의 숫자는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며 양모원료, 정방조건, 양모사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지만, 하나의 고무롤러에 대하여 통상 15 내지 25개의 사선홈(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선홈(37)은 깊이가 약 1.5mm이며 그 폭은 약 0.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선홈(37)은 다시 충진부재(38)에 의하여 견고하게 충진된다. 충진부재(38)는 내마모성이 강한 물질로 구성되며,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충진부재(38)의 표면은 고무롤러(35,36)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사선홈(37)에 다시 충준부재(38)를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이유는 고무롤러(35,36)의 표면에 홈(39)을 형성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무롤러(35,36)에 복수개의 홈(39)을 일정한 간격과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고, 다시 사선홈(37)을 일정한 간격과 일정한 깊이로 형성한 후, 그 사선홈(37)에 충진부재(38)를 삽입시켜 충진부재(38)의 표면과 고무롤러(35,36)의 표면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물론 제작공정상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고물롤러(35,36)에 복수개의 홈(39)을 형성시킬 수 있으면 사선홈(37)은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며 그 사선홈(37)에 충진되는 충진부재(38)도 필요없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후론트 톱 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 구체예에서는 고무롤러(35,36)에 복수개의 사선홈(37)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복수개의 홈(39)만이 사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6도는 제5도의 B-B'선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후론트 톱 롤러(32)의 고무롤러(35,36)의 표면에 복수개의 홈(39)을 사선방향으로 즉 축(60)과 약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로빙의 제2차 드래프트가 행해질때 로빙내의 양모 단섬유가 규칙적으로 접지되는 부분과 접지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사속에 주기적으로 균일하게 벌키 루프(51)를 형성할 수 있다.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에서 제2차 드래프트가 행해지는 곳은 미들 롤러부(2)와 후론트 롤러부(3) 사이이다. 즉 로빙은 미들 롤러로부(2)의 바톰 고무 에이프런(23)과 톱 고무 에이프런(24)사이를 통과하고, 다시 후론트 롤러부(3)의 후론트 롤러부(3)의 후론트 바콘 롤러(31)와 바톰 롤러(32) 사이를 통과한다. 이 때 본 발명의 후론트 톱 롤러(32)를 사용함으로써 로빙내의 양모 단섬유가 접지되는 부분과 접지되지 않는 부분이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고무롤러(35,36)의 홈(39)의 위치를 통과하는 양모 단섬유는 후론트 바톰 롤러(31)에 의하여 접지되지 않으므로 제2차 드래프트 과정중에 사속내에 루프 형태의 파일(pile)을 형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무롤러(35,36)의 홈(39)을 제외한 부분이나 충진부재(38)의 표면을 통과하는 양모 단섬유는 후론트 바톰 롤러(31)에 의하여 접지되어 제2차 드래프트 과정중에 사속내에 루프 형태의 파일을 형성한다. 이때 루프 파일은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되고 이 형성된 루프 파일이 양모사에 벌키성을 부여하는 벌키 루프(51)이다. 즉 벌키 루프(51)는 양모의 단섬유가 루프형태의 파일(pile)을 형성함으로써 양모사에 벌키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제7a도는 종래의 양모 기편사의 확대된 평명도이고, 제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모 기편사의 확대된 평면도이다. 종래의 양모사는 루프형태의 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양모 단섬유의 끝이 사속(40)밖으로 튀어나온 모우(41)가 존재함으로써 벌키성을 갖지 못하고 필링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모사는 루프 형태의 벌키 루프(51)가 존재함으로써 높은 벌키성을 갖는 양모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 벌키 양모사는 본 발명의 후론트 톱 롤러(32)를 사용한 정방기에 의하여 제조될 수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후론트 톱 롤러(32)를 사용하여 하이 벌키 양모사를 콘 형태로 권취한 후에 콘의 부피와 중량을 측정하여 양모사의 벌키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현미경을 통하여 벌키성의 유무를 관찰하였으며, 제직후의 필링시험을 통하여 필링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1) 양모사 콘의 부피와 중량 측정
종래의 양모사와 본 발명에 따른 양모사를 콘에 권취하여 거의 동일한 부피의 양모사 콘을 제조한 다음 각각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종래의 양모사 : 본 발명의 양모사의 중량의 비는 약 1.5~2.0 : 1의 범위이 었다.
(2) 벌키성의 현미경 관찰
종래의 양모사의 본 발명의 양모사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종래의 양모사는 제7a도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본 발명의 양모사는 제7b와 같은 형상을 가짐이 관찰되었다.
(3) 제직후의 필링시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양모사 2/32Nm×1을 12게이지 플레인(plain) 조직으로 0.43의 cover factor하에서 ICI BOX법으로 측정한 필링등급은 2시간 경과시에 3이었으며, 0.38의 cover factor하에서 ICI BOX법으로 측정한 필링등급은 2시간 경과시에 3~4시간 경과시에 4이었다. 이는 종래의 양모사에 측정한 필링등급 보다 1등급정도 양호한 수준이다.

Claims (10)

  1. 백 롤러부(1), 미들 롤러부(2) 및 후론트 롤러부(3)로 구성되고 상기 후론트 롤러부(3)가 후론트 바톰 롤러(31), 후론트 톱 롤러(32) 및 클리닝 롤러(33)로 구성된 드래프트 장치를 갖는 양모사 정방기에 있어서, 상기 후론트 톱 롤러(32)가 그 고무롤러(35,36)의 표면에 축(6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39)이 형성되고, 축(65)과 45°각도를 이루도록 복수개의 사선홈(370이 형성되며, 상기 사선홈(37)에는 충진부재(38)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39)은 1인치당 50 내지 60개가 형성되며, 상기홈(39)의 폭(a)은 0.15mm이고, 상기 홈(39)과 홈(39)과 홈(39) 사이에 노출된 표면의 폭(b)은 0.35mm이며, 상기 홈(39)의 깊이(c)는 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홈(37)의 하나의 고무롤러에 대하여 15 내지 25개가 형성되며, 상기 사선 홈(37)의 깊이는 1.5mm이고, 상기 사선홈(37)의 폭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38)가 상기 사선홈(37)에 삽입된 후의 표면은 고무롤러(35,36)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38)는 내마모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38)는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
  7. 백 롤러부(1), 미들 롤러부(2) 및 후론트 롤러부(3)로 구성되고 상기 후론트 롤러부(3)가 후론트 바톰 롤러(31), 후론트 톱 롤러(32) 및 클리닝 롤러(33)로 구성된 그래프트 장치를 갖는 양모사 정방기에 있어서, 상기 후론트 톱 롤러(32)가 그 고무롤러(35,36)의 표면에 축(6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북수개의 홈(39)이 축(60)과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39)은 1인치당 50 내지 60개가 형성되며, 상기 홈(39)의 폭(a)은 0.15mm 이고, 상기 홈(39)과 홈(39) 사이에 노출된 표면의 폭(b)은 0.35mm이며, 상기 홈(39)의 깊이(c)는 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
  9. 백 롤러부(1), 미들 롤러부(2) 및 후론트 롤러부(3)로 구성되고 상기 후론트 롤러부(3)가 후론트 바톰 롤러(31), 후론트 톱 롤러(32) 및 클리닝 롤러(33)로 구성된 드래프트 장치를 갖는 정방기는 양모사를 정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론트 톱 롤러(32)의 고무로러(35,36)의 표면에 축(6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39)이 형성되고, 축(60)과 45°각도를 이루도록 복수개의 사선홈(37)이 형성되며, 상기 사선홈(37)에는 충진부재(38)가 삽입되고 고정된 후론트 톱 롤러(32)를 이용하여 상기 미들 롤러부(2)와 상기 후론트 롤러부(3) 사이에서 제2차 드래프트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모사의 정방 방법.
  10. 백 롤러부(1), 미들 롤러(2) 및 후론트 롤러부(3)로 구성되고 상기 후론트 롤러부(3)가 후론트 바톰 롤러(31), 후론트 톱 롤러(32) 및 클리닝 롤러(33) 및 클리닝 롤러(33)로 구성된 드래프트 장치를 갖는 정방기로 양모사를 정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론트 톱 롤러(32)의 고무롤러(35,36)의 표면에 축(6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39)이 형성되고, 축(70)과 45°각도를 이루도록 복수개의 사선홈(37)이 형성되며, 상기 사선홈(37)에는 충진부재(38)가 삽입되어 고정된 후론트 톱 롤러(32)를 이용하여 상기 미들 롤러부(2)와 상기 후론트 롤러부(3) 사이에서 제2차 드래프트를 행함으로써 사속(50)에 벌키 루프(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벌키 양모사.
KR1019940030021A 1994-11-16 1994-11-16 하이 벌키(high bulky) 양모사 및 그 제조장치 KR96001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021A KR960014815B1 (ko) 1994-11-16 1994-11-16 하이 벌키(high bulky) 양모사 및 그 제조장치
EP95100030A EP0712948A1 (en) 1994-11-16 1995-01-02 A high bulky wool spun yarn and a drafting apparatus for preparing the yarn
AU10002/95A AU672344B2 (en) 1994-11-16 1995-01-03 A high bulky wool spun yarn and a drafting apparatus for preparing the yarn
US08/367,595 US5553357A (en) 1994-11-16 1995-01-03 High bulky wool spun yarn and a drafting apparatus for preparing the yarn
JP7003365A JP2728639B2 (ja) 1994-11-16 1995-01-12 ハイバルキー羊毛糸及びその製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021A KR960014815B1 (ko) 1994-11-16 1994-11-16 하이 벌키(high bulky) 양모사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960A KR960017960A (ko) 1996-06-17
KR960014815B1 true KR960014815B1 (ko) 1996-10-21

Family

ID=1939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021A KR960014815B1 (ko) 1994-11-16 1994-11-16 하이 벌키(high bulky) 양모사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53357A (ko)
EP (1) EP0712948A1 (ko)
JP (1) JP2728639B2 (ko)
KR (1) KR960014815B1 (ko)
AU (1) AU672344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880B1 (ko) * 2004-05-28 2006-06-1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방사기에서의 섬유다발 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6958B1 (en) * 1998-06-05 2001-03-06 Tokai Rubber Industries, Ltd. Toner supply roll including cylindrical polyurethane sponge structure having helical protrusions on its outer surface
GB0029932D0 (en) * 2000-12-06 2001-01-24 Woolmark Europ Ltd Fibrillation of natural fibres
JP2005113274A (ja) * 2003-10-02 2005-04-28 Murata Mach Ltd ドラフト装置
JP5251118B2 (ja) * 2007-12-21 2013-07-31 村田機械株式会社 ドラフトローラ
JP5177571B2 (ja) * 2008-09-19 2013-04-03 株式会社アイ.エス.テイ 嵩高紡績糸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8579774B2 (en) * 2009-07-09 2013-11-12 Deere & Company Drive roller for flat belts
TR201001420A2 (tr) * 2010-02-25 2012-02-21 Gökhan Gündüzalp İsmai̇l Bir iplik makinesi çekim ünitesi.
WO2011138754A1 (en) * 2010-05-05 2011-11-10 Ismail Gokhan Gunduzalp Traction unit for welded yarn
CN102443899A (zh) * 2011-09-19 2012-05-09 福兴织造(苏州)有限公司 凹槽胶辊
DE102014110665A1 (de) 2014-07-29 2016-02-18 Rieter Ingolstadt Gmbh Messwalze und Vorrichtung zum Messen eines Faserverbandes
DE102014113000A1 (de) * 2014-09-10 2016-03-10 Rieter Ingolstadt Gmbh Beschichtung für einen Drehteller
CN104294441A (zh) * 2014-11-04 2015-01-21 常州市第八纺织机械有限公司 扁丝整经机的牵引罗拉
CN105624854B (zh) * 2016-04-05 2017-10-27 江南大学 一种改善成纱质量的纺纱装置与纺纱方法
CN113529217B (zh) * 2021-06-23 2022-05-17 无锡长江精密纺织有限公司 一种可加热的牵伸辊及其环锭纺细纱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33A (en) * 1864-01-19 Improvement in spinning-rollers
US54067A (en) * 1866-04-17 Improvement in rollers for spinning-machines
US709694A (en) * 1901-07-23 1902-09-23 Alfred Bietenholz Draw-off or stretching rollers for textile machinery.
US2077312A (en) * 1935-02-13 1937-04-13 Howard F Donald Tension roll
US2223589A (en) * 1938-03-02 1940-12-03 St George Textile Corp Drawing frame for treating vegetable, animal, or artificial fibers of varying lengths
US2244461A (en) * 1938-10-15 1941-06-03 Saco Lowell Shops Fiber working roll for textile machines
FR1033490A (fr) * 1951-03-06 1953-07-10 Procédé d'étirage de fibres textiles et dispositifs en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US2787811A (en) * 1952-07-12 1957-04-09 Deering Milliken Res Corp Clearer for textile machines
FR64786E (fr) * 1953-11-09 1955-12-02 Procédé d'étirage de fibres textiles et dispositifs en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US3153316A (en) * 1958-07-15 1964-10-20 Celanese Corp Bulky yar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yarn
US3438094A (en) * 1966-09-02 1969-04-15 Du Pont High speed drafting process
US4288889A (en) * 1979-09-05 1981-09-15 Tikhonov Valentin N Apparatus for drafting fibers
US4768262A (en) * 1987-03-31 1988-09-06 Industrial Innovator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extile strand drafting
JPH055229A (ja) * 1991-06-21 1993-01-14 Murata Mach Ltd スラブヤーン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880B1 (ko) * 2004-05-28 2006-06-1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방사기에서의 섬유다발 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2948A1 (en) 1996-05-22
JP2728639B2 (ja) 1998-03-18
US5553357A (en) 1996-09-10
AU1000295A (en) 1996-05-23
AU672344B2 (en) 1996-09-26
JPH08144133A (ja) 1996-06-04
KR960017960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815B1 (ko) 하이 벌키(high bulky) 양모사 및 그 제조장치
Oxtoby Spun yarn technology
US4991387A (en) Polyester and cotton blended yarn and polyester staple fiber stock used therein
US6250060B1 (en) Method of producing improved knit fabrics from blended fibers
US10655247B2 (en) Method for producing multi-hole ultra soft yarns
CN109594163A (zh) 石墨烯锦纶和棉混纺纱的生产方法
KR101869416B1 (ko) 흡한속건성 및 내마찰성이 우수한 아크릴/리오셀 에어젯트 혼합방적사 및 그 제조방법
US3768246A (en) Spun yarn and its doubled yarn and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6248528A (ja) 表面変化に富んだ紡績糸・複合紡績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301290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ухоперьевого волок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08025037A (ja) 紡績糸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繊維製品
Salhotra Quality improvement of sirospun yarns through use of finer rovings
CN112725965A (zh) 一种含羊毛纱线涡流纺生产工艺
JPH01213430A (ja) 空気仮撚法による麻/ポリエステル混紡糸
JP2550132B2 (ja) 空気仮撚法による麻/レーヨン/ポリエステル混紡糸
CN113737340A (zh) 一种含有艾草纤维的包芯纱及其制造方法
US3421185A (en) Tow combing process
JP2588706B2 (ja) 潜在ループヤーン
CN116536807B (zh) 一种制备起绒纱的喷嘴
JPH03206139A (ja) 空気仮撚法による抗菌ポリエステル/羊毛,抗菌ポリエステル/羊毛/ポリエステル混紡糸及びその製造方法
Ishtiaque Longitudinal fiber distribution in relation to rotor spun yarn properties
JPS5848650B2 (ja) 紡績糸
JPH01213426A (ja) 空気仮撚法による絹/ポリエステル混紡糸
Chattopadhyay et al. Introduction: textile manufacturing process
CA1043197A (en) Spun yarn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