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567B1 - 헤어 드라이어 후드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567B1
KR960014567B1 KR1019890018090A KR890018090A KR960014567B1 KR 960014567 B1 KR960014567 B1 KR 960014567B1 KR 1019890018090 A KR1019890018090 A KR 1019890018090A KR 890018090 A KR890018090 A KR 890018090A KR 960014567 B1 KR960014567 B1 KR 96001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ir
hair dryer
hood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005A (ko
Inventor
몰 라이너
키나스트 패터
개스너 한스
Original Assignee
올림프 카를 헤르쪼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원본 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9538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145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8815146U external-priority patent/DE8815146U1/de
Priority claimed from DE8911354U external-priority patent/DE8911354U1/d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프 카를 헤르쪼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원본 미기재 filed Critical 올림프 카를 헤르쪼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ublication of KR90000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0Helmets without hot air supply or other ventilation, e.g.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 A45D20/24Shape or structure of the helmet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 A45D20/24Shape or structure of the helmet body
    • A45D2020/245Shape or structure of the helmet body of open configuration, e.g. with several movable heat source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 후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의한 헤어 드라이어 후드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어 후드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어 후드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어 후드의 캡 정상부의 횡단면도.
제5도는 제2실시예에의한 헤어 드라이어 후드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어 후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 2 : 돌출부
4, 5 : 아암 6 : 슬리브
7 : 중공 원통체 8 : 적외선 방사기
9 : 공기 유출 오리피스 10 : 반사경
11 : 반사경 하우징 12 : 적외선 방사기
13 : 송풍기 14 : 분리벽
15,16 : 공기 통로 17 : 보조가열 요소
18,18 : 격자 21,22 : 제어 장치
23 : 지지대 수용부 25 : 프레임
26 : 접촉 핀 31 : 캡
34,35 : 아암 38 : 적외선 방사기
39 : 공기 유출 오리피스 40 : 반사경
41 : 반사경 하우징 42 : 적외선 방사기
44 : 공기 통로 56 : 조작 장치
57 : 표시 요소 58 : 표시판
60 : 자석 63 : 온도 센서
본 발명은 가열 요소, 특히 적외선 방사기와 송풍기(blower)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후드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장치는 대개 종 형상으로 형성되어 열의 체류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과열되기 쉽다. 게다가, 머리를 완전히 덮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갑갑한 느낌을 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장치를 근복적으로 개량할 뿐만 아니라, 미용사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헤어드라이어 후드에 있어서, 측방으로 개방되어 거의 낫 형상으로 만곡된 가열요소를 구비한 캡이 설치되어있고, 그 캡의 거의 일방향의 단부로부터 타방향의 단부의 방향으로 가열 요소를 구비한 아암이 양측에서 각기 연장하고있으며, 그 아암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자형의 돌출부가 연장하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요소에 의하여 형성된 열이 특히 화학적 과정을 보조하는데 대하여,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공기 흐름은 습기를 제거함에 의해서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 측방에서 개방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갑갑한 느낌이 제거되며, 아울러, 미용사는 용이하게 머리를 접근할 수 있으며, 이로써 건조 과정중에 헤어 스타일을 조정하기위하여 머리를 손을 접근할 수 있다.
머리 형태를 완전히 파악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캡은 그것의 돌출부로부터 어느 정도 하방으로 연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헤어드라이어 후드를 머리의 형태에 보다 양호하게 합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아암이 캡 또는 돌출부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어있어 약간 외측으로 굴곡되어있는 것이 유리하다. 아암이 피봇 가능함으로써, 미용자는 건조 과정중에 계속해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캡과 아암에의해 차폐된 부분을 추가로 손질해야하는 경우에는, 이들 아암을 이격 방향으로 피봇시킬 수 있다. 캡과 아암에 의해서 제한된 실내에 공기를 될수있는한 균일하게 분배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는 상기 돌출부에 설치된 송풍기가 캡이나 아암에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기 통로와 접속되어있으며, 이들 공기 통로는 상응하게 지향된 공기 유출 오리피스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 이들 공기 유출 오리피스는 노즐 형상으로 형성되어, 특히, 경사지게 배치되어있는 것이 유리하며, 이로써, 공기 분사류는 머리에 대하여 연직이 아닌 가급적 접선방향으로 유출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 통로는 공기 유출 오리피스를 구비한 통로 커버에의해 덮혀있고, 상기 통로 커버는 반사경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경우, 이들 반사경의 앞에는 격자에의해 보호된 가열 요소가 위치되어있다. 이 경우에도, 직접 조사를 가능한한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가열 요소의 부분 차폐가 이루어진다. 건조 과정을 보조하여, 또한 불쾌할 정도로 차가운 느낌을 초래하지않기 위하여, 공기는 송풍기로 부터 단수 또는 복수의 보조 가열 요소를 거쳐 공기 통로로 안내된다.
캡의 횡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이 캡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공기 통로가 배치되면 특히 유리한 구성이 얻어진다. 이들 공기 통로는 캡의 거의 전체의 폭에 걸쳐서 연장하며, 상호 중첩하여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상기 통로의 사이에 설치된 분리벽은 캡 하부, 약 1/3의 지점에서 종결된다. 이 경우에, 직접적으로 공기 유출 오리피스에 접촉하고있는 통로의 공기 흐름은 보조 가열요소를 거쳐 흘러 나간다. 이에 대하여, 타방의 통로는 가열되지않은 공기를 안내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이유는 반사경이 특히 캡의 정상부에서 가열 요소에의해서 가열되고, 이로써 이 장소를 지나는 공기를 가열하기 때문이다. 이 공기가 미리 가열되면, 캡의 전체 범위에 걸쳐 극히 불균일한 열 분배가 야기된다. 그에 대하여, 공기 유출 오리피스에 접촉하는 통로를 지나는 가열된 공기는 이미 캡의 하부로부터, 즉 이 장소에 위치하는 반사경의 조금밖에 가열되지않은 지점으로부터 흡출된다.
캡 또는 후방 돌출부에 아암을 취부하기 위해서는 캡 또는 돌출부에 지지되어 아암과 결합된 구형체(球形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구형체는 특히 송풍기와 공기 통로와의 사이를 접속하기위한 관통공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형체 대신에 아암과 결합된 슬리브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이들 슬리브는 캡과 함께 배치된 중공 원통체에 회전가능하게, 또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이 경우에, 슬리브의 회전 범위 및 길이 방향 슬라이드 범위는 파지구 및 스톱퍼(stopper)에의해서 제한되며, 이 경우 단수 또는 복수의 고정 위차가 정해져 있다. 돌출부를 구비한 캡이 거의 아암의 관절식의 결합부 높이에서 2개로 부분으로 분할되어있으며, 이 경우, 아암과 결합된 구형체 또는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하여 각 부분 또는 하나의 부분에 반쪽 셀(half shell)이나 중공 원통체가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특히 간단한 구성이 얻어진다.
머리카락을 공기 건조시키기위한 가열 장치에 관해서는 대개 적외선 방사기로서 구성된 전기식 가열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외선 방사기에 배치된 권선이 외측으로 좁고 내측으로 넓게 감겨있는 것이 유리하다.
즉, 적외선 방사기에의해 형성된 열은 많은 경우 캡 횡단면 중심에 집중하므로, 이 범위를 적외선 방사기로 지나치게 가열하지않고, 그 대신에 외측 범위에 보다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캡에는, 측방으로 접촉 핀이 스프링에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있고, 이 접촉 핀이 동시에 전력 공급부로서의 역할을 하면 적외선 방사기에관한 특히 단순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송풍기 및 가열 장치는 제어하기위하여, 제어 장치가 피봇 가능하게 상자형의 돌출부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부가적으로, 캡의 자유단에도 피봇가증한 제어장치가 특히 특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되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후드를 이용하면, 공기 공급없는 건조나, 임의적으로 선택가능한 공기량을 이용한 건조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모발의 성질이나 헤어 스타일이 다른 경우에 대하여 건조 조건을 용이하게 최적화할 수 있다.
헤어드라이어 후드 아래에서의 열체류와, 지나치게 강한 가열을 억제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서는 헤어드라이어 후드에 공기 유출 오리피스를 구비한 공기 통로가 연장하고있는바, 이 경우 송풍기와 상기 공기 통로와의 사이에 보조 가열 요소가 위치하며, 상기 공기 통로가 흐름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보조 가열요소바로 앞에서 출구 구멍을 가지고 있고, 이 출구 구멍은 내실로 향하여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거의 하단부에 배치된 유출 오리피스와 접속되어있다. 이 경우에, 송풍기에의해 형성되어 부분적으로 공기 통로를 통해서 사용자의 머리로 안내된 공기 흐름이 머리의 습기를 포착하여 나감으로써 머리의 건조를 촉진하고, 이로써 헤어드라이어 후드 아래에서의 사용자의 체류 시간에 감소된다. 공기 통로에 설치된 출구 구멍에의해 송풍기에의해 형성된 공기 흐름의 일부는 사용자의 목 부위로 공급된다. 따라서, 건조 과정에서 이 부위가 가열되지않을 뿐아니라, 사용자는 이 부가적인 공기 흐름에의해서 일반적으로 머리가 냉각된다.
출구 구멍에 해제가능한 폐쇄구가 장착되어있으므로, 목 부위로 향하는 공기 흐름이 필요한 경우에만 접속 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1의 변형예에서는 폐쇄구가 출구 구멍의 자유로운 관통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는 공기 통로의 출구 구멍과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유출 오리피스와의 사이에 부(副) 공기 통로가 구성되어있다. 이로써, 출구 구멍과 유출 오리피스와의 사이의 간단한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 이유는 각각의 공기 통로 대신에 전체의 유출 오리피스와 접속된 공통의 부 공기 통로가 사용되고있기 때문이다. 유출 오리피스는 사용자의 정상부 전체가 냉각되도록 배치되어있으므로, 부공기 통로는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냉각을 위한 방향으로 부여된 공기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출 구멍중 적어도 하나가 하방으로 향하여, 그리고 경사지게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내벽으로까지 연장하는 공기 안내부를 가지고있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공기 안내부는 간극(間隙)으로 구성되어있고, 이 간극의 깊이가 그 간극의 폭의 약 3배로서 상기 내벽에 대하여 약 30°의 각도로 연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구성에서는 부 공기 통로에 부 공기 가열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목을 덮는 긴 머리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 부 공기 가열 장치의 회로를 폐로(閉路)하면, 목 부위로 향한 공기 흐름을 사용하여 목 부위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 과정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이 부 공기 가열 장치는 온도 조절 장치와 접속되어있다.
본 발명의 변형 형태에서는, 가열 요소, 특히 적외선 방사기와,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가열 요소등을 위한 표시 요소를 구비한 조작 장치와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후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가 표시 요소상으로 피봇하여 덮힐 수 있는 표시판을 구비하고 있고, 그 표시 판이 표시 요소를 덮고있을때, 상기 표시요소를 절환(切換)하기위한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어있다. 이 조작 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건조 프로그램을 다이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요소는 각각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스위치가 피봇 가능한 표시판에 의해서 다른 작동상태, 또는 다른 건조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절환 작동은 간단하게 실시될 수 있다. 스위치가 피봇 가능한 표시판, 특히 이 표시판의 피봇측과 결합된 자석과, 조작 장치에 배치된 홀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공기의 헤어드라이어 후드에 있어서, 가열 요소의 온도 제어는 대개 머리에 견고하게 클램프된 온도 센서를 매개로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헤어드라이어 후드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온도 센서, 특히 감열 요소(thermo-element)내부로 돌출되어 가열 요소의 열 제어 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온도 센서의 경우에도 별도의 부착 작업이 불필요한바,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는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맞닿아 머리 부분의 어떠한 위치 변화에도 최적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머리가 유지되고있는 상태에서 보다 간단한 온도제어가 가능해진다. 온도 센서가 U자형의 유지 장치의 횡방향 로드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유지 장치가 두개의 유지 레그 각각의 일단부에서 헤어드라이어 헤드의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유리한 구성에서는, 헤어드라이어 후드와 유지 장치와의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기위한 측정 장치가 설치되어 가열 요소의 열 제어 장치와 접속되어있다. 이 각도가 사용자의 머리의 유지와 직접 관련이 있으므로, 이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열 제어 장치를 각 머리 부분의 위치에서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헤어드라이어 후드는 낫 형상으로 만곡된 캡(1)과, 이 캡의 거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상자 형상의 돌출부(2)로 구성되어있고, 이 경우 캡(1)은 돌출부(2)로부터, 또한, 부분편(3)만큼 하방으로 연장한다. 캡(1)과 돌출부(2)와의 사이의 결합 부위에는 2개의 아암(4,5)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이 경우에 아암(4,5)에는 슬리브(6)가 결합되어있다. 캡(1) 또는 돌출부(2)에는 중공 원통체(7)가 설치되어있고, 이 중공 원통체에는 상기 슬리브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캡(1)의 횡단면은 U자형으로 형성되어있고, 이 캡의 길이 방향으로는 균일하게 분포된 전기식의 적외선 방사기가 배치되어있으며, 또한 이들 적외선 방사기의 뒤에는 공기 유출 오리피스(9)를 구비한 반사경(10)이 위치되어 있다. 아암(4,5)은 각각 반사경 하우징(11)내에 적외선 방사기(12)를 가지고 있다.
상자형의 돌출부(2)에는 송풍기(13)가 배치되어있으며, 이 송풍기의 공기 흐름은 U자형의 횡단면인 캡(1)을 따라서 흘러 공기 유출 오리피스(9)를 통해서 캡(1)과 아암(4,5)과의 사이의 실(室)로 흘러 나온다. 이 경우에 분리벽(14)에 의해 2개의 통로(15,16)가 형성되어있다. 공기 유출 오리피스(9)에 설치된 통로(16)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보조 가열 요소(17)가 배치되어있다. 이 가열 요소에의해 가열된 공기는 캡의 하단부로부터 충분하게 유출한다. 이에 대하여, 통로(16)의 뒤에 위치하는 통로(15)에는 직접적으로 송풍기(13)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미리 가열되지 않고 캡(1)의 상부 및 전방부로 유입하여, 이 장소에서부터 공기 유출 오리피스(9)를 통해서 유출한다. 결국, 이 경우에는 적외선 방사기(8)에 의해서 반사경(10)이 가열되고, 공기는 이 반사경에의해 반사된 열에의해 미리 가열된다. 그렇게하여, 전체 캡 범위에 걸쳐서 충분히 균일한 열 분포가 이루어진다. 적외선 방사기(8,12)에 본의 아니게 접촉함으로써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 적외선 방사기의 앞에는 격자(18,19)가 배치되어있다.
적외선 방사기(8,12)는 프레임(25)에 유지되어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25)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스프링에 대항하여 지지된 접촉핀(26)이 설치되어있으며, 이 접촉 핀은 적외선 방사기(8,12)를 고정함과 아울러 전력 공급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돌출부(2)와 캡(1)의 전단부(20)에는 가열 장치와 송풍기를 위한 제어 장치(21,22)가 설치되어있으며, 이들 제어 장치는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시된 두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이 헤어드라이어 후드에는 또한 지지대 수용부(23)가 설치되어있다. 이 지지대 수용부 대신에 벽 수용부(24)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 후드는 낫 형상으로 만곡된 캡(31)과 이 캡의 거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자형의 돌출부(32)로 구성되어있는바, 이 경우 상기 캡(31)은 돌출부(31)로부터, 또한 부분편(33)만큼 하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캡(32)와 돌출부와의 결합 부위에는 2개의 아암(34,35)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캡(31)의 횡단면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있고, 이 캡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는 전기식의 적외선 방사기(38)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적외선 방사기의 뒤에는 공기 유출 오리피스(39)를 구비한 반사경(40)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34,35)은 각각 반사경 하우징(41)내에서 적외선 방사기(42)를 가지고 있다.
상자형의 돌출부(32)에는 송풍기(43)가 배치되어있는바, 이 송풍기의 공기 흐름은 공기 통로(44)안을 U자형 횡단면인 캡(31)을 따라 흘러 공기 유출 오리피스(39)를 통해거 캡(31)과 아암(34,35)사이의 실로 유출한다. 공기 통로(44)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보조 가열 요소(45)가 배치되어있다. 공기 통로(44)는 흐름방향으로 보았을때 보조 가열 요소(45)의 바로 앞에 출구 구멍(47)을 가지고 있으며, 이 출구멍은 안내 박판(48)의 관통공으로 구성되어있다. 안내 박판(48)은 송풍기(43)로부터 캡(31)으로 연장하고 있고, 캡에서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보조 가열 요소(45)로 향하여 안내되고 있다. 출구 구멍(47)에는 해체 가능한 폐쇄체가 장착되어있는바, 이 폐쇄체는 조절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매개로 제어가능하다. 이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출구 구멍(47)의 개방도를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출구 구멍(47)은 부(副) 공기 통로(52)를 거쳐 캡(31)의 내실(49) 안으로 향해져서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하단부(50)의 상방에 배치된 유출 오리피스(46,51)와 연결되어있다. 부 공기 통로(52)는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된다. 출구 구멍(47)의 근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유출 오리피스(51)는 하방으로 향하여 경사져서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내벽(53)까지 연장하는 공기 안내부(54)를 가지고있다. 공기 안내부의 깊이는 그 공기 안내부의 폭보다 약 3배정도 크게 형성되어 내벽(53)에 대하여 약 30도의 각도로 연장하고 있다. 또 하나의 유출 오리피스(46)는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하단부(50)의 근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수평의 슬릿으로 구성되어있다. 부 공기 통로(52)내에는 하측의 유출 오리피스(46)와 상측의 유출 오리피스(51)와의 사이에 부 공기 가열 장치(55)가 배치되어있고, 이 부 공기가열 장치는 온도 조정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있다.
돌출부(32)에는 송풍기와 가열 요소, 그리고 부 공기 가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위한 표기 요소를 구비한 조작 장치가(56)가 설치되어있다. 조작 장치(56)에는 표시 요소(57)상으로 피봇하여 덮힐 수 있는 표시판(58)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표시 판(58)이 표시 요소(57)를 덮으면 이 표시 판이 표시 요소(57)를 절환하기위한 스위치(59)를 작동시킨다. 이 스위치(59)는 표시판(58)과 접속된 자석(60)과, 조작 장치(56)에 배치된 홀 접점(61)으로 구성된다.
캡(31)의 상부에는 온도 센서(63)를 위한 U자형의 유지 장치(62)가 설치되어있으며, 이 유지 장치는 횡방향 로드(64)와 양쪽의 유지 레그(65)로 이루어져있다. 양쪽의 유지 레그(65)각각의 일단부(66)는 캡(31)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온도 센서(63)는 횡방향 로드(64)에 고정되어 가열 요소의 열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되어있다. 캡(31)에는 또한 측정 장치(67)가 배치되어있으며, 이 측정장치는 캡(31)과 유지 장치와의 사이의 각도(68)를 측정한다. 이 측정 장치는 가열요소의 상기 열 제어 장치과 접속되어 각도(68)의 크기에따라 가열 요소의 가열 출력을 조절한다.
이 드라이어 후드의 작동시에는 한편으로 송풍기(43)에 의해 형성되어 보조 가열 요소(45)에의해 가열된 공기 흐름이 공기 통로(44)와 공기 유출 오리피스(39)를 통해서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내실(49)로 안내되어 사용자의 머리로 안내된다. 다른 한편으로, 송풍기에의해 형성된 차가운 공기 흐름의 일부는 보조 가열 요소의 바로 앞에서 공기 통로(44)로부터 출구 구멍(47)을 통해서 유출하여, 부 공기 통로(52)와 공기 안내부(54)를 구비한 유출 오리피스(51)를 통해서 헤어드라이어 후드의 내실(49)로 안내되고, 이어서 사용자의 목 부위로 안내되며, 이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는 이 공기 흐름에의해 냉각된다. 이 공기 흐름은 폐쇄기와 조절 장치에 의해서 접속 및 차단도 가능하고,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 공기 흐름을 하측의 유출 오리피스(46)를 거쳐 목 부위로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부 공기 통로(52)에 배치된 부 공기 가열 장치(55)가 이 공기 흐름의 가열을 가능하게 하므로, 사용자의 머리가 긴 경우에 목 부위에서의 건조 과정을 촉진할 수 있다.
건조 프로그램 다이알의 선택은 가열 요소등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위한 표시 요소(57)를 구비한 조작 장치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다른 작동 상태 및 다른 건조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표시판(58)을 표시 요소(57)위로 피봇시킬 수 있는바, 이 경우 표시판(58)이 덮히면 표시 요소(57)를 절환하기위한 스위치(59)가 작동된다.
건조 프로그램을 다르게할 필요가있다면, 가열 요소의 열 제어는 온도 센서(63)를 매개로하여 수행된다. 이 온도 센서(63)는 유지 장치(62)를 매개로 캡(31)에 피봇가능하게 현가되어 있으므로, 머리 부분의 유지 형식이 다른 경우에도 문제없이 머리에 맞춰질 수 있다. 머리 부분이 유지 형식을 달리할때, 필요하다면, 가열요소의 열 출력의 변화는 측정 장치(67)에의해 제어된다. 이 측정 장치(67)는 예를들면 슬라이드 레지스터로 구성되어있고, 이 슬라이드 레지스터의 저항은, 사용자의 위치가 변화하면, 유지 장치(62)와 캡(31)과의 사이의 각도 변화에의해 변화한다.

Claims (11)

  1. 낮 형상으로 만곡되어 측부가 개방된 캡(1)과 송풍기(13)를 구비하고, 상기 캡에는 격자(18)에의해 차폐된 가열 요소(8)가 장착되어있는 헤어드라이어 후드로서, 상기 캡의 각각의 측부에는 그 캡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아암(4,5)이 연장하고 있으며, 각각의 아암에는 격자(19)에의해 차폐된 추가의 가열 요소(12)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아암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송풍기(13)가 장착되는 상자형 돌출부(2)가 연장하고 있는 헤어드라이어 후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내에 장착된 송풍기(13)는 상기 캡(1)과 상기 아암(4,5)중 하나 혹은 양자 모두에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기 통로(15,16)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통로는 반사경에 의해 형성된 통로 커버(10) 및, 소정의 각도로서 정렬되어 상기 캡과 아암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으로 지향되도록 상기 통로 커버에 형성된 공기 유출 오리피스(9)를 구비하고, 그 유출 오리피스 전방에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한 커버가 장착된 상기 가열 요소(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1)은 U자형 단면을 가지며, 그 캡에는 두개의 공기 통로(15,16)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공기 통로(15,16)는 상기 캡(1)의 전체의 폭에 걸쳐 연장하되, 하나의 통로가 다른 통로 위에 배치되고, 그들 통로 사이에는 하방으로 상기 캡의 하부 1/3에서 종결되는 분리벽(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기(3)로부터 발생된 공기 흐름은 하나의 보조 가열 요소(17)를 거쳐 상기 공기 통로(16)로 안내되며, 상기 보조 가열 요소(17)는 상기 공기 유출 오리피스가 형성된 캡(1)의 커버(10)에 배치된 상기 공기 통로(16)안에 또는 그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3.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5)이 상기 캡(1) 혹은 상기 돌출부(2)에 장착된 볼(ball)에 연결되며, 상기 볼은 상기 송풍기와 상기 공기 통로 사이를 연결시키기위한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전기식 가열 요소로서 코일을 구비한 적외선 방사기(8,12)로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코일은 상기 방사기(8,12)상에 배치되되 외측은 좁게, 그리고 내측은 넓게 감겨 있으며, 상기 적외선 방사기(8,12)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적외선 방사기(8,1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탄력적으로 장착된 접촉 핀(26)이 상기 캡(1)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내에는 공기 유출 오리피스(39)를 갖는 공기 통로(44)가 연장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44)와 송풍기(43)사이에는 보조 가열 요소(45)가 배치되어있고, 상기 공기 통로(44)는 공기 흐름 방향으로 상기 보조 가열 요소(45)전방에 공기 출구 구멍(47)을 포함하며, 상기 출구 구멍(47)은 상기 후드의 하단부(50)에 배치되어 있는 후드의 내실(49)로 지향되어있는 공기 유출 오리피스(46,5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구멍(47)에는 탈착 가능한 폐쇄 수단이 장착되어있고, 그 탈착 가능한 폐쇄 수단은 출구 구멍을 자유로이 통과하게 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44)의 상기 출구 구멍(47)과 상기 후드의 유출 오리피스(46)사이에는 상기 후드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는 부 공기 통로(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44)의 상기 출구 구멍(47)과 상기 후드의 유출 오리피스(46,51)사이에는 상기 후드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는 부 공기 통로(52)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유출 오리피스중 하나(51)이상은 상기 후드의 내벽에 대하여 30°의 각도로 하방으로 연장하고 깊이가 폭의 3배인 슬릿으로 형성된 공기 안내 수단(54)을 구비하며, 상기 부 공기 통로(52)에는 부 공기 가열 수단(55)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9.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5)은 상기 캡(1)과 결합된 중공 원통체(7)에 회전가능함과 아울러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슬리브(6)에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6)의 회전 및 종방향 변위 범위는 접촉 스톱퍼 및 파지구(catch setting)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가 결합되는 상기 캡(1)은 상기 아암(4,5)의 관절식 결합부의 수준에서 두 부분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분에는 상기 아암(4,5)에 연결되는 상기 볼을 위한 장착 수단을 구비하는 반쪽 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가 결합되는 상기 캡(1)은 상기 아암(4,5)의 관절식 결합부의 수준에서 두 부분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하나의 부분에는 상기 아암(4,5)에 연결되는 슬리브(6)용 장착 수단을 구비하는 중공 원통체(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후드.
KR1019890018090A 1988-12-06 1989-12-05 헤어 드라이어 후드 KR960014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8815146U DE8815146U1 (ko) 1988-12-06 1988-12-06
DEG8815146.8 1988-12-06
DEG8911354.3 1989-09-23
DE8911354U DE8911354U1 (ko) 1989-09-23 1989-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005A KR900009005A (ko) 1990-07-02
KR960014567B1 true KR960014567B1 (ko) 1996-10-16

Family

ID=2595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090A KR960014567B1 (ko) 1988-12-06 1989-12-05 헤어 드라이어 후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63688A (ko)
EP (1) EP0372443B1 (ko)
JP (1) JP3068833B2 (ko)
KR (1) KR960014567B1 (ko)
CN (1) CN1024999C (ko)
AT (1) ATE109629T1 (ko)
DE (1) DE58908183D1 (ko)
ES (1) ES206190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7851B1 (fr) * 1993-07-20 1995-08-25 Seb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 séchage et/ou de mise en forme de cheveux à cycle et paramètres de séchage à variation automatique.
DE9318614U1 (de) * 1993-12-06 1994-01-27 Olymp Karl Herzog Gmbh & Co Vorrichtung zur Haarbehandlung mit feuchten Medien
DE4427374A1 (de) * 1994-08-02 1996-02-08 Wella Ag Haarbehandlungsgerät mit einem Infrarotstrahlerelement und einem Gebläse
USD409331S (en) * 1996-09-25 1999-05-04 Oohiro Works Ltd. Hair treatment promoting device
USD408100S (en) * 1996-09-25 1999-04-13 Oohiro Works Ltd. Hair treatment promoting device
US6606800B2 (en) 2000-01-22 2003-08-19 Wella Ag Electric hair treatment appliance
KR100783442B1 (ko) * 2000-09-08 2007-12-07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모발처리촉진장치
JP4456254B2 (ja) * 2000-10-20 2010-04-28 株式会社大廣製作所 頭髪処理促進機
JP4435398B2 (ja) * 2000-10-25 2010-03-17 株式会社大廣製作所 頭髪処理促進機
JP4295440B2 (ja) * 2001-01-09 2009-07-15 株式会社三龍社 同心逆回転減速機を有する頭髪加熱機
KR20030030041A (ko) * 2001-10-05 2003-04-18 임채윤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
KR20030083461A (ko) * 2002-04-23 2003-10-30 송웅부 헤어 드라이 장치
WO2005102036A1 (en) * 2004-04-20 2005-11-03 Thorsen, Roland Method and cap for treatment against lice and nits
JPWO2005122536A1 (ja) 2004-06-08 2008-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
EP1855559B1 (en) 2005-02-23 2014-12-24 Wella GmbH Device for the treatment of head hair by means of heat
WO2006090306A1 (en) * 2005-02-28 2006-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 for heat treatment
ATE489019T1 (de) * 2007-07-31 2010-12-15 Wella Ag Infrarotstrahlungsvorrichtung
US8859938B2 (en) * 2009-01-26 2014-10-14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cabin heating system
EP2272391B1 (de) * 2009-07-10 2020-04-29 Braun GmbH Automatisierter Haarpflegeprozess
CN107594847A (zh) * 2017-09-20 2018-01-19 林广华 一种全方位吹风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33851A1 (de) * 1981-08-27 1983-03-24 Wella Ag Waermebehandlungsgeraet fuer kopfhaare
JPS5832075U (ja) * 1981-08-28 1983-03-02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トラツク等のアオリパネル
JPS60101003U (ja) * 1983-12-16 1985-07-10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毛髪促進装置
DE3482024D1 (de) * 1983-12-16 1990-05-31 Takara Co Ltd Haarbehandlungsapparat.
JPH0728770B2 (ja) * 1987-11-24 1995-04-05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毛髪処理促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43104A (ja) 1990-09-27
EP0372443A3 (de) 1992-01-22
EP0372443A2 (de) 1990-06-13
JP3068833B2 (ja) 2000-07-24
KR900009005A (ko) 1990-07-02
CN1043078A (zh) 1990-06-20
ES2061905T3 (es) 1994-12-16
EP0372443B1 (de) 1994-08-10
US5063688A (en) 1991-11-12
CN1024999C (zh) 1994-06-15
DE58908183D1 (de) 1994-09-15
ATE109629T1 (de) 1994-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567B1 (ko) 헤어 드라이어 후드
US4232454A (en) Variable airflow hair treatment device
EP2713806B1 (en) Hair dryer with a device at the air outlet for changing the flow of air
EP0459528B1 (en) Hair drier
US4914273A (en) Hair processing apparatus utilizing a plurality of infrared units positionable about the head
US6269549B1 (en) Device for drying hair
US5467423A (en) Mirror defogger with telescoping hot air outlet mounted adjacent a mirror side directing heated airflow thereover
US3797752A (en) Hair dryer nozzle
US20030052115A1 (en) Instant heat hot air curling iron
US4490602A (en) Air flow adjusting mechanism for hand held hot air hair dryer
JP2000506769A (ja) 整髪用具
US3674980A (en) Divided flow hairdryer
US4297564A (en) Hair dryer
US5235760A (en) Hair dryer with blower and radiant heating modes of operation
WO1998027843A1 (en) Instrument for styling hair
KR101721592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200489452Y1 (ko) 고데기 겸용의 헤어 드라이기
KR200483727Y1 (ko) 헤어 컬러
US20060254074A1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head hair by means of heat
JP4171689B2 (ja) 頭髪処理装置
JPH053131Y2 (ko)
US1782626A (en) Hair-drying apparatus
ES2247454T3 (es) Aparato para producir una corriente de aire caliente.
WO2015015197A1 (en) Hairdryers
KR200226384Y1 (ko) 모발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