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041A -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 - Google Patents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041A
KR20030030041A KR1020010061573A KR20010061573A KR20030030041A KR 20030030041 A KR20030030041 A KR 20030030041A KR 1020010061573 A KR1020010061573 A KR 1020010061573A KR 20010061573 A KR20010061573 A KR 20010061573A KR 20030030041 A KR20030030041 A KR 20030030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od
unit
heater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윤
Original Assignee
임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윤 filed Critical 임채윤
Priority to KR102001006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0041A/ko
Publication of KR2003003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04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4Portable drying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 A45D4/18Supports or suspending means for devices heating hair-curling or hair-waving means while in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가 제공되어있다. 그러한 미용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드부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며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에어 발생부와, 상기 에어 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와, 상기 에어 발생부 및 히터부를 제어하여 압력 및 온도 제어된 에어가 분출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미용기기에 따르면, 후드에 송풍 팬을 채용 함이 없이 파머, 드라이, 셋팅 등의 다양한 선택모드에 따라 최적의 열풍을 후드를 통해 송출하는 효과가 있으며, 헤어손상 및 화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히터부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전자파에 대하여 인체의 노출이 최소화된다. 더구나, 인체감지센서를 통하여 자동으로 설정된 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안전성이 증대되고 최적의 헤어 트리트먼트가 제공되며, 열풍의 출구에 에어 필터를 채용하는 경우에 고청정에어를 후드로 제공하여 헤어 뿐만 아니라 호흡기에 유해한 에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한 대의 기계로 드라이, 파마, 염색, 뿐만 아니라 스팀, 음이온, 원적외선, 약품등의 기능을 수동 및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multi function hair beauty apparatus with filtered air supplying type}
본 발명은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헤어 트리트먼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헤어 트리트먼트(hair treatment)는 자신을 타인에게 표현하는 하나의 중요한 형태이다. 특히, 미적 감각을 중시하는 여성인 경우에 다양한 헤어 트리트먼트 예컨대, 드라이, 파마, 염색 등은 자신의 외관을 개성 있게 표현하는 중요한 형태로서, 완료된 헤어 트리트먼트의 결과는 매우 민감한 부분이다. 헤어의 손상은 많은 스트레스와 공해 또는 음식물의 편식 등에서 근본적으로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미용을 추구하기 위하여 화학약품을 이용한 퍼머를 자주 시행하거나 열 드라이를 사용함으로써 헤어에서 수분이 과다 증발되는 경우에도 헤어 손상이 심하게 초래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미용실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용기기 예컨대 모발 드라이기는 몸체부와 건조부로 구성된다. 모발 드라이기의 몸체부에는 열선이 전형적으로 설치되고, 그 후방에 통풍로를 형성하여 송풍 팬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에는 송풍 팬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종래의 모발 드라이기는 단순히 열선에 의해서 가열된 에어를 송풍 팬으로 불어주어 건조부의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시켜 모발을 건조시킨다.
통상적인 파마기도 후드(hood)부에 히터와 송풍 팬이 설치되고 후드부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하여 송풍 팬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이 제공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다. 또한, 최근에는 헤어의 건강유지와 그 치료에 대한 많은 지식과 함께 헤어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미용기기들도 많이 알려져 있다. 상기 손상된 헤어의치료와 영양공급을 위한 미용기기로서는 모발 클리닉 파마기가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드라이 및 파마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전형적인 헤어 트리트먼트용 미용기기는 인체의 머리부분을 수용하는 후드부에 송풍 팬을 직접적으로 채용하는 구조이므로 모발의 손상을 많이 초래하고 귀를 통해 들려지는 팬 소음이 시끄러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열원을 생성하는 히터부가 후드부 내에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과열이나 접촉 시 헤어손상 및 화상이 유발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히터부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전자파에 인체의 머리부분이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그리고, 상부 및 후부 또는 좌우 측면에 설치되는 후드부간에 수용되는 머리부분이 움직이게 된 경우에 안전성이 보장되기 어렵고 최적의 헤어 트리트먼트가 제공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더구나, 후드를 통해 송출되는 열풍은 실내의 에어를 그대로 송출시키는 송풍팬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열풍에 먼지나 오염원이 포함되어 헤어트리트먼트가 지장을 받게 됨은 물론 인체의 호흡기에 유해한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헤어 트리트먼트 모드 예를 들어, 드라이, 파마, 염색 등을 서비스 받기 위해 클라이언트는 실내의 이곳 저곳에 각기 떨어져 설치된 한두 가지 전용기능을 갖는 미용기기로 자리를 옮겨 다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에 송풍 팬을 채용함이 없이도 냉풍 또는 열풍을 후드를 통해 송출할 수 있는 미용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히터와의 접촉에 의한 헤어손상 및 화상을 방지하고 히터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전자파가 인체에 닿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미용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용되는 머리 부분과 후드간의 거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설정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미용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생되는 고청정 에어를 각각의 후드로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미용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대의 기계로 드라이, 파마, 염색, 뿐만 아니라 스팀, 음이온, 원적외선, 약품등의 기능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 미용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미용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드부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며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에어 발생부와, 상기 에어 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와, 상기 에어 발생부 및 히터부를 제어하여 압력 및 온도 제어된 에어가 상기 후드부를 통해 분출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히터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내부공간내에서 상기에어 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헤어손상 및 화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히터부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전자파에 대하여 인체의 노출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히터부의 에어 출력라인에는 스팀 공급라인, 오존 공급라인, 및 원적외선 공급라인중의 적어도 하나가 병렬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발생부의 출구 및 상기 후드부의 에어 분출구에는 에어 정화를 위한 에어필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용기기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딩 유닛과 위치센서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후드부는 인체의 머리부분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동작 제어부는 냉/열 드라이, 셋팅, 파마, 염색, 스팀, 오존 발생, 원적외선, 약품처리등의 각 동작모드에 따라 구별적으로 에어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후드부에 송풍 팬을 채용함이 없이도 파머, 드라이, 셋팅 등의 다양한 선택모드에 따라 최적의 열풍을 후드를 통해 송출하며, 기기의 소음을 없애거나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더구나, 머리 부분과 후드간의 거리를 위치센서로써 감지하여 자동으로 설정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에어를 정화하는 에어 필터에 의해 고청정 에어를 후드로 제공하여 오염원이 함유된 에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한 대의 기계로 드라이, 파마, 염색, 뿐만 아니라 스팀, 음이온, 원적외선, 약품 등의 기능을 수동 및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중 동작 제어 패널부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동작 제어 패널부에 대한 디스플레이 및 키조작부의 외관도
도 4는 도 1의 미용기기 내의 각 후드에 열풍 제공을 위한 배관 계통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미용기기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등록 및 갱신 제어흐름의 예시도
도 6은 도 1의 미용기기의 동작모드 수행에 관한 제어흐름의 예시도
도 7은 도 1의 미용기기의 평면, 측면, 및 정면을 보인 구체적 예시도
도 8은 도 7중 상부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를 보인 구체적 예시도
도 9는 도 7중 후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를 보인 구체적 예시도
도 10은 도 7중 상부 후부 측면 후드의 전후 주행부를 보인 구체적 예시도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 그리고 타의 목적 및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하에서, 다기능 미용기기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내에서 서로 동일한 부분이나 유사한 부분들은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어 있더라도 참조의 편의상 동일 내지 유사한 참조부호로써 부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미용기기의 상부, 후부, 및 양측면부에는 각기 상부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1), 후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2), 및 측면부 후드 및 블로어조립부(3)가 설치된 구조가 보여진다. 상기 상, 후, 측면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1,2,3)는 모두 각각의 위치에서 메인 프레임(4)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지지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4)은 "U" 형상의 하부지지 프레임(4-1),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수직방향으로 "C"형상을 이루며 대체로 사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된 수직지지 프레임(4-2),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 프레임(4-2)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지지 프레임(4-1)과 나란한 상부지지 프레임(4-3)으로 이루어져 결합된 하나의 단일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부지지 프레임(4-1)의 "U"형상 내부에는 헤어 트리먼트를 원하는 클라이언트의 의자가 놓여지게 된다. 상기 수직지지 프레임(4-2)의 사각형의 기둥에는 에어 콤프레셔 등과 같은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지지 프레임(9)은 2개의 측면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3)를 지지하기위해 상기 메인 프레임(4)에 연장 설치된다. 상기 하부지지 프레임(4-1)의 하단 부위에는 바퀴(5)들이 부착되며, 상기 바퀴(5)들에는 미용기기의 동작 시에 미용기기를 실내바닥 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레이크가 각기 채용되어 있다. 이동 손잡이(10)는 상기 미용기기의 이동시 사용자가 힘을 주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에어 발생부로서 기능하는 에어 콤프레셔(6) 및 에어 탱크(7)는 상기 메인프레임(4)의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설정된 압력을 가지는 압축 에어를 생산한다. 에어 콤프레셔(6)의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을 행하는 피스톤에 의해 생성된 에어는 배관라인을 거쳐 상기 에어 탱크(7)에 압축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콤프레션(6)의 용량은 0.75HP, 정격압력은 7kg/㎠ 이다. 상기 에어 탱크(7)는 공기의 소모량이 많은 경우에도 일정한 송출 압력으로 에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서비스 탱크이다. 상기 에어 탱크(7)의 출구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풍량이 자동으로 조절되게 하는 에어 제어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에어 탱크(7)가 상기 에어 콤프레셔(6)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있지만, 에어 탱크의 외부에 맺힐 수 있는 수분방울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에어 탱크(7)는 상기 에어 콤프레셔(6)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 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12)는 발열기능을 위해 채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전기 히터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에어 탱크(7)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는 상기 히터부(12)를 통과하면서 열풍으로 바뀐다. 상기 히터부(12)의 발열온도는 써미스터 등이 장착된 온도 콘트롤 회로에 의해 조절되거나, 온도감지 센서를 통하여 온도를 센싱 후 기준온도와 비교에 의해 히터부(12)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약 18도씨에서 70도씨 범위까지로 온도가 조절되어진다. 히터부(12)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히터부(12)는 전극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고 세라믹 분체코팅된 발열부로 구성되는 세라믹 히터로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세라믹에 의한 발열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것은 본 분야에 알려져 있다.
상기 상, 후, 측면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 (1,2,3)내의 각 후드부의 열풍출구에는 청동으로 제작된 파이프 형상의 금속 소결망 필터가 설치되어 공기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을 미크론 단위로 여과한다. 이에 따라 청정 에어가 공급된다.
상기 동작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동작 제어 패널부(8)는 상기 메인 프레임(4)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발생부 및 히터부를 제어하여 압력 및 온도 제어된 에어가 상기 후드부를 통해 각기 분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제어 패널부(8)의 디스플레이 및 각종 선택 키들이 있는 키조작부는 조작성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상기 메인 프레임(4)외부에 노출시키거나 별도의 배선을 통해 이동 가능한 패널 내에 분리설치 하는 것이 좋다.
도 2는 도 1중 동작 제어 패널부(8)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타임설정을 위한 타이머부(82), 동작상태 및 메시지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4), 소리 또는 설정된 음성을 송출하는 스피커(85), 메모리(86),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동작하는 제어부(88), 상기 제어부(88)의 제어 하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90), 데이터 인터페이싱을 위한 인터페이스부(92),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키조작부(100)를 포함하는 구성이 보여진다. 상기 인터페이스부(92)는 키조작부(100), 위치 센서부(94), 온도 센서부(96), 및 압력 센서부(98)와 연결되어 키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부(90)는 히터부(12),모터부(102), 에어 콤프레셔(6), 및 밸브부(13)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88)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대상물의 온/오프 및 조절을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도 2에서, 상기 제어부(88)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부의 제반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86)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Read Only Memory)과 작업용 메모리로서의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되어있다. 프로그램의 등록 및 갱신이 자유롭도록 상기 ROM은 바람직하기로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플래쉬 EEPROM 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동작 제어 패널부에 대한 디스플레이부(84) 및 키조작부(100)의 외관을 별도로 보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키조작부(100)는 전원키(101), 자동/수동 전환키(120), 타이머(82), 에어콤프레셔(104), 히터(105), 모터(106), 업/다운키(121), 프로그램 등록 및 기능 선택키(130), 스팀(107), 적외선(108), 파마(110), 염색(111), 드라이(112), 오존살균(113), 기타1(115), 약품(114), 및 기타2(116) 키이(key)들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4)는 상기 키 조작부(100)의 키가 눌려졌을 경우에 그 키가 눌려졌다는 것을 화면창 예컨대 액정창(LCD)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여 현재의 동작상태를 기기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고 각종 동작시 문자 또는 숫자를 메시지로서 표시하는 표시창(84-1)을 가진다. 예컨대 전원키(101)가 눌려지고 파마(110)키가 눌려진 경우에 상기 표시창(84-1)내에 마련된 전원 및 파마 문자가 점등된다. 또한, 상기 문자 또는 숫자로써 예를 들어, 현재의 열풍 온도가 몇도이며 열풍의 압력(분출 세기)이 얼마라는 것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84) 및 키조작부(100)는 상기 동작 제어 패널부(8)와 분리되어 별도의 리모트 콘트롤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1의 미용기기 내의 각 후드부에 냉풍 또는 열풍 제공을 위한 배관계통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 콤프레셔(6)에서 생성된 에어는 라인(L1)을 통해 에어 탱크(7)에 저장된다. 상기 에어 탱크(7)에서 라인(L2)를 통해 출력되는 에어는 필터(15)를 통해 필퍼링된 후, 라인(L3)을 경유하여 밸브(16)의 입력으로 제공된다. 상기 밸브(16)는 개폐량을 제어하는 신호(V1)에 응답하여 개폐량을 조절한다. 조절된 에어는 라인(L4)를 통해 히터(12)에 인가되어 히터의 동작시 열풍으로 바뀐다. 상기 히터(12)의 발열온도는 히터제어신호(H1)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히터(12)를 통과하여 생성된 열풍은 라인 (L5,L7)을 통하여 필터(19)에 제공된다. 상기 필터(19)에 의해 최종적으로 필터링된 열풍 또는 냉풍은 라인 (L8)을 통해 각 후드부로 제공된다. 또한, 선택신호(V2)에 응답하는 선택밸브(17)의 채용에 의해 입력라인들(IN1,IN2,IN3)을 통해 인가되는 스팀, 원적외선,오존 등의 선택이 다양하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살균을 위하여 오존의 선택시 라인(L6)을 통해 인가되는 오존은 라인(L5)를 통해 인가되는 열풍 또는 냉풍과 믹싱되어 라인(L7)으로 제공된다. 상기 스팀, 원적외선, 오존의 발생은 상기 메인 프레임(4)의 공간 제약상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원적외선 라인을 별도로 설치함이 없이 원적외선 램프를 상기 후드부의 내부에 직접적으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팀의 공급은 헤어를 구성하는 큐티클 층과 간충물질이 손상되거나 헤어에 수분이 부족할 때에 필요하게 된다. 이 때뜨거운 수분 (mist: 3미크론이하의 수분 10~15%)과 간충물질(단백질등의 영양분)을 공급시켜 손상된 헤어에 투입하면 헤어의 건강이 현저히 유지된다 즉, 기체의 초음파(1초에 167,500회의 파장)수단에 의해 발생된 찬 수분을 600~800℃의 고온에 의해 순간적으로 온미스트로 변환시켜 약 1~3미크론 이하의 입자로 분사되는 수증기와 함께 단백질 등의 영양분을 손상된 모발에 분사하는 것이다. 오존 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오존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외부에 설치되는 오존 발생기로부터 오존이 인가된다. 상기 오존 발생기는 고주파가 에어중에 방전되면 오존이 발생되는 통상의 원리를 이용한 오존 발생기기이다. 한편, 오존 및 스팀을 함께 공급하기 위한 구조는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즉, 물을 담기 위해 외부 물통을 설치하고 상기 물통의 상부에 오존이 인가되는 공급 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물통의 저면에는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발진기를 설치한다. 상기 발진기 내에는 상하로 미세하게 초음파 진동으로 작동하는 진동자를 설치한다. 그렇게 함에 의해 상기 진동자의 미세진동에 의해 3 미크론 이하의 수증기가 발생되고, 수증기는 인가되는 오존과 믹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히터(12)가 도 1의 메인 프레임(4)의 내부공간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외부로의 열 누설을 막기 위해 메인 프레임(4)의 내부공간을 세라믹 코팅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안이 다른 경우에 상기 히터(12)는 상기 상,후,측면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 (1,2,3)의 각 후드부 내에 깊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히터(12)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 거의 보이지 않게 2차 필터(19)의 후단에 설치된다.
도 5는 도 1의 미용기기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등록 및 갱신 제어흐름의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S5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88)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초기화 동작에 의해 미용기기의 각 부분의 동작은 초기상태로 유지되고, 각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이전의 센싱 값은 클리어되며, 제어부(88)내부의 각종레지스터 값은 초기화된다. S51 단계는 프로그램 관련키가 눌려졌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프로그램 관련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경우에 S52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S52 단계는 프로그램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키가 눌려졌는 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사용자에 의해 등록 키(130)가 눌려졌을 경우에 S53단계가 실행된다. 상기 S53 단계에서는 파마, 염색, 드라이 등의 동작모드에 관해 인가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모드별 동작 수행 및 제어에 필요한 각종 기준 파라메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다. 모드별로 오존 살균, 원적외선, 스팀 등의 동시공급에 관한 제어 데이터도 저장된다. 예를 들어 파마 동작모드시에 온도는 55도씨로 설정하고 에어 압력은 3.2kg/㎠ 로 설정하며 셋팅 타임은 40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이에 따라 등록되는 것이다. 상기한 S53 단계의 저장동작은 상기 제어부(88)가 별도의 연결라인을 통해 외부의 프로그램 라이터 또는 컴퓨터와 연결되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86)에 저장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S54 단계는 등록 완료인가를 체크하는 단계로서, 등록이 완료키가 눌려지면 리턴된다. 상기한 프로그램 등록 동작은 온 보오드 상에서 수행되는 경우이나, 사안이 다른 경우에 롬 라이터에 의해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직접 로딩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S55단계는 갱신 키가 눌려졌는 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상기 갱신 키는 이미 등록된 프로그램이 있을 경우 온도나 동작의 일부를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파마 시의 온도를 55도씨에서 60도씨로 변경하는 경우에 갱신이 수행되는 것이다. 갱신 키가 눌려진 경우에 S56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창에 동작 모드별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보고서 업/다운 키를 눌러 갱신을 행하게 된다. S57 단계는 메뉴선택이 있은 후, 인가되는 갱신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이다. S58 단계에서 갱신완료가 체크되면, S59 단계로 천이하여 메인 동작 모드로 리턴된다.
도 6은 도 1의 미용기기의 동작모드 수행에 관한 제어흐름의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S61 단계에서 초기화가 수행된다. 상기 초기화 동작에 의해 미용기기의 각 부분의 동작은 초기상태로 유지되고, 각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이전의 센싱값은 클리어되며, 제어부(88)내부의 각종 레지스터 값은 초기화된다. S62 단계는 동작 모드키 입력을 체크하는 단계이다. S63 단계는 조작자가 파마 키를 눌렀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파마 키가 눌려진 경우에 S64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는 타이머 세팅, 히터 구동 및 에어 밸브를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 구동 및 조절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히터의 온도 조절은 온도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온도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파마 시의 온도 데이터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의 전원을 인가/차단하는 것에 달성된다. 상기 에어 밸브의 제어는 에어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의 값을 수신하여 이를 미리 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S65 단계에서는 센싱 값들이 정상인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S66단계는 위치 센서로부터 이상입력이 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이는 후드부 내에서 클라이언트가 머리를 움직인 경우에 이상입력으로 판정된다. 이에 따라, S67단계에서 설정된 근접 거리를 유지하도록 후드부를 이동시키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는 슬라이딩 유닛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S68 단계는 그러한 이동 보상이 정상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위치센서는 각 후드부에 2개씩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약 40-60밀리미터의 거리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유닛 및 후드부를 이동시켜 조절한다. S69 단계는 타이머 세팅 만료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이며, 만료이면 종료를 하되 스피커를 통해 종료음을 송출하도록 하거나 미리 메모리에 녹음된 사람의 음성으로 "이제 파마가 완성되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라는 음성이 송출되게 한다. S70 단계는 히터 온/오프 및 밸브 개폐량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한편, S71단계는 염색키가 눌려졌는 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염색키가 눌려진 경우에 등록된 염색 프로그램에 따른 온도 및 에어 압력이 유지되고 그에 따른 동작이 순차로 수행된다. S72 단계는 드라이 키가 눌려졌는 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S73 단계는 살균을 위한 오존 선택 키가 눌려졌는 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S74 단계는 해당 입력을 선택하는 실행 단계이다. S75 단계는 원 적외선 선택 키가 눌려졌는 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S76 단계는 스팀 선택 키가 눌려졌는 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S77 단계는 기타 키가 눌려졌는 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한편, 기능키를 적절히 사용하여 스팀 및 오존이 동시에 선택되게 할 수 도 있다. 스팀과 오존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경우에 수증기 내에 오존이 포함된 상태로 후드부를 통해 분출되므로 파머의 약액으로 인하여 알칼리성을 갖게 된 헤어가 중성을 띠게 된다. 그리고 헤어내에 잔류 중인 유해균이 살균되고, 파마 약액의 냄새가 현저히 제거된다. 더구나, 그러하 경우에 모근 내의 지방샘의 환원요소를 중화시켜 모발 세포의 활성화가 일어나고, 피지방의 과잉분비가 억제되어 탈모 방지 및 헤어 건강이 증대된다.
도 7은 도 1의 미용기기의 평면, 측면, 및 정면을 보인 구체적 예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중 상부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를 보인 구체적 예시도 이고, 도 9는 도 7중 후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를 보인 구체적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7중상부 후부 측면 후드의 전후 주행부를 보인 구체적 예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7에서 보여지는 상기 메인 프레임(4)은 각 부분의 고정 및 지지에 충분한 강도를 가짐은 물론 미용기기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경량 형강으로써 제작되어진다. 상기 메인 프레임(4)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 콤프레셔(6)와 에어 탱크(7)가 에어의 발생을 위해 설치된다. 상기 에어 콤프레서(6)는 고무 등의 진동흡수체를 개재하여 프레임에 고정되고, 방음재에 의해 방음처리되어 있어, 외부에서 들려지는 소음이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종래의 미용기기에 채용되어 왔던 송풍 팬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정숙한 상태에서 헤어 서비스를 받게 된다. 히터(12)가 메인 프레임(4)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내부 공간에는 필터, 배관라인 및 제어라인들이 설치되어 도 4와 같은 구조가 수직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4)의 외면은 0.8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냉간 압연강판으로써 마감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4)의 모서리 부분에는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여 취급 시에 상처의 위험성이 적도록 한다. 하부지지프레임(4-1)의 하단 부위에는 미용기기의 이동을 손쉽게 하기 위한 바퀴(5)들이 부착되며, 상기 바퀴(5)들에는 미용기기의 동작 시에 미용기기를 실내바닥 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레이크가 각기 채용되어 있다. 이동 손잡이(10)는 상기 미용기기의 이동시 사람이 힘을 주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며, 이를 통해 이동 력이 미용기기에 전달되면 상기 바퀴(5)들이 실내의 바닥 위에서 회전하게 되어 클라이언트가 앉아 있는 의자에 미용기기가 접근된다.
상부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1), 후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2), 및 측면부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3)는 미용기기의 상부, 후부, 및 양측면부에 각기 설치되며, 상기 조립부 들(1,2,3)이 설치된 4곳에는 각기 인체의 머리부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예컨대 초음파 센서가 2개씩 설치된다. 도 8에서 보여지는 상부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1)의 구조에서, 후드부(804) 내로 수용되는 머리 부분과 후드간의 거리는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머리 부분이 움직여진 경우에 도 8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설치된 복수의 슬라이딩 유닛(801,802,803)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거리가 조절된다. 상기 후드부(804)의 외부 표면에는 에어가 고르게 모발에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드부(804)내에는 히터(12)가 설치된다, 물론 이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4)내에 히터가 설치되는 아니하는 경우이다. 만약, 메인 프레임(4)내에 히터가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참조부호12는 적외선 램프가 될 수 있다. 각기 상/하, 좌/우, 전/후방향으로 상기 후드부(804)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 유닛(801,802,803)은 모터(M) 및 리드 스크류(S), 기어(G1,G2)를 각기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부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1)와 도 9에서 보여지는 후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2)는 각기 채용된 3개의 모터로 써 각각의 후드부(804,904)를 전,후, 좌,우, 상,하로 구동한다. 도 7에서 보여지는 측면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3)는 각기 내부에 채용된 2개의 모터로써 각각의 후드부를 전,후, 좌,우로 구동한다. 에어가 출력되는 후드부의 슬라이딩 및 이동을 위해 채용된 상기 모터(M)들은 직류 기어드 모터들이며 각 부분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동력을 적절히 선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터(부품번호 15)에 의해 발생된 동력은 리드 스크류(부품번호 2)를 회전시키고, 후드부는 상기 리드 스크류(부품번호 2)에 체결되는 리드 스크류 너트(부품번호 4)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리드 스크류 너트(부품번호 4)는 동합금 재질을 사용하여 내마모성 및 윤활성이 좋도록 한다. 또한, 후드부가 흔들림이 없이 정숙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직선 베어링(부품번호 10) 및 가이드 바아(부품번호 8)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 후, 측면부 후드 및 블로어 조립부 (1,2,3)내에서 미설명된 주행관계와 세부는 상기한 설명을 통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므로 생략한다.
상기한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에 따르면, 후드에 송풍 팬을 채용함이 없이도 파머, 드라이, 셋팅 등의 다양한 선택모드에 따라 최적의 열풍을 후드를 통해 송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원을 생성하는 히터부가 기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헤어손상 및 화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히터부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전자파에 대하여 인체의 노출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인체감지 센서를 통하여 수용되는 머리 부분과 후드간의 거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설정된 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안전성이 증대되고 최적의 헤어 트리트먼트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풍의 출구에 에어 필터를 채용하는 경우에 고청정 에어를 후드로 제공하여 헤어 뿐만 아니라 호흡기에 유해한 에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한 대의 기계로 드라이, 파마, 염색, 뿐만 아니라 스팀, 음이온, 원적외선, 약품등의 기능을 수동 및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는 자리를 옮길 필요가 없이 한 자리에서 원하는 헤어 트리트먼트를 편리하게 서비스 받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도면에 따라 설명되고 예를 들어 한정되었지만 사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여러 가지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에 따르면, 후드부에 송풍 팬을 채용함이 없이도 파머, 드라이, 셋팅 등의 다양한 선택모드에 따라 최적의 열풍을 후드를 통해 송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송풍 팬의 제거는 귀를 통해 들려지는 소음을 없애거나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정숙 효과를 갖게 한다.
또한, 열원을 생성하는 히터부가 기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헤어손상 및 화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히터부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전자파에 대하여 인체의 노출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인체감지 센서를 통하여 수용되는 머리 부분과 후드간의 거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설정된 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안전성이 증대되고 최적의 헤어 트리트먼트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 필터를 채용하는 경우에 고청정 에어를 후드로 제공하여 헤어 뿐만 아니라 호흡기에 유해한 에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한 대의 기계로 드라이, 파마, 염색, 뿐만 아니라 스팀, 음이온, 원적외선, 약품등의 기능을 수동 및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는 자리를 옮길 필요가 없이 한 자리에서 원하는 헤어 트리트먼트를 편리하게 서비스 받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미용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드부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며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에어 발생부와,
    상기 에어 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와,
    상기 에어 발생부 및 히터부를 제어하여 압력 및 온도 제어된 에어가 상기 후드부를 통해 분출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내부공간내에서 상기 에어 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후드부의 내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의 에어 출력라인에는 스팀 공급라인, 오존 공급라인, 및 원적외선 공급라인중의 적어도 하나가 병렬로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발생부의 출구에는 에어 정화를 위한 에어필터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에어 분출구에는 에어 정화용 금속소결 에어필터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딩 유닛과 위치센서를 더 구비함에 의해 상기 후드부는 인체의 머리 부분의 이동에 대응하여 사방 및 상하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냉/열 드라이, 셋팅, 파마, 염색, 스팀, 오존 발생, 원적외선, 약품처리등의 각 동작모드에 따라 구별적으로 에어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기.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드부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며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에어 발생부와, 상기 에어 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를 구비한 미용기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조작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에어 발생부의 에어 송출압력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여 송출되는 에어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히터부에 의해 온도 유지된 에어를 정화하여 상기 후드부를 통해 분출시키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61573A 2001-10-05 2001-10-05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 KR20030030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573A KR20030030041A (ko) 2001-10-05 2001-10-05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573A KR20030030041A (ko) 2001-10-05 2001-10-05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553U Division KR200293383Y1 (ko) 2001-10-06 2001-10-06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041A true KR20030030041A (ko) 2003-04-18

Family

ID=2956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573A KR20030030041A (ko) 2001-10-05 2001-10-05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00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3333A1 (en) * 2006-04-22 2007-11-01 Gook Hyun Shim The piping system of the air supply to a several calm hair dryer for the beauty parlor shop
KR102166209B1 (ko) * 2019-12-30 2020-10-15 박진숙 헤어 건조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4900A (ko) * 1983-12-16 1985-08-19 요시 가와 히데가즈 모발처리 촉진장치 및 그 제어장치
US4541442A (en) * 1981-08-27 1985-09-17 Wella Aktiengessellschaft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heating human hair on the head
JPS6293922U (ko) * 1985-11-29 1987-06-16
US5063688A (en) * 1988-12-06 1991-11-12 Olymp Karl Herzog Gmbh & Co. Hair drier hood
JPH0856741A (ja) * 1994-08-23 1996-03-05 Yamada Denki Seisakusho:Kk 頭髪乾燥機
KR19980020336U (ko) * 1996-10-11 1998-07-15 강석태 퍼어머넌트용 가온기
KR20000006849A (ko) * 1999-11-08 2000-02-07 주식회사 오비에스 다기능 퍼머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1442A (en) * 1981-08-27 1985-09-17 Wella Aktiengessellschaft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heating human hair on the head
KR850004900A (ko) * 1983-12-16 1985-08-19 요시 가와 히데가즈 모발처리 촉진장치 및 그 제어장치
JPS6293922U (ko) * 1985-11-29 1987-06-16
US5063688A (en) * 1988-12-06 1991-11-12 Olymp Karl Herzog Gmbh & Co. Hair drier hood
JPH0856741A (ja) * 1994-08-23 1996-03-05 Yamada Denki Seisakusho:Kk 頭髪乾燥機
KR19980020336U (ko) * 1996-10-11 1998-07-15 강석태 퍼어머넌트용 가온기
KR20000006849A (ko) * 1999-11-08 2000-02-07 주식회사 오비에스 다기능 퍼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3333A1 (en) * 2006-04-22 2007-11-01 Gook Hyun Shim The piping system of the air supply to a several calm hair dryer for the beauty parlor shop
KR102166209B1 (ko) * 2019-12-30 2020-10-15 박진숙 헤어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762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752809B2 (ja) スキンケア装置
US20060260609A1 (en) Therapy device for the specifically local treatment of illnesses transmitted by droplet infection, in particular colds
KR20170077974A (ko) 다기능 틀니 살균장치
KR200473945Y1 (ko) 스팀 맛사지 장치
KR200293383Y1 (ko)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
KR101627762B1 (ko) 피부미용 시스템
CN107319999A (zh) 干脚器
KR20030030041A (ko) 청정에어 공급형 다기능 미용기기
KR200382759Y1 (ko) 고주파 심부발열을 이용한 미용기기
KR20110105676A (ko) 그린 청정 에어 공급 멀티 미용기기
KR100519478B1 (ko) 다기능 치료 부항기기
JPH10277125A (ja) 美・理容装置
JP2001314473A (ja) 超音波美顔器
CN210612517U (zh) 共享艾灸舱
KR100365552B1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JPH02268762A (ja) エステテイツク装置
KR100496927B1 (ko) 지장수 머드 제조 방법 및 목욕 장치
KR100702658B1 (ko) 미용 시술을 위한 스팀 건 및 그 스팀 건을 구비한 작업대
CN209490247U (zh) 平衡水疗舱
CN210408957U (zh) 一种具有可折叠加热结构的洁面按摩装置
KR100387959B1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
CN207785038U (zh) 干脚器
KR101556962B1 (ko) 얼굴 피부미용 관리장치
JP5928947B2 (ja)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処理促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