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959B1 - 휴대용 전자식 뜸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식 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959B1
KR100387959B1 KR10-2000-0043885A KR20000043885A KR100387959B1 KR 100387959 B1 KR100387959 B1 KR 100387959B1 KR 20000043885 A KR20000043885 A KR 20000043885A KR 100387959 B1 KR100387959 B1 KR 10038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ump
time
control unit
moxi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272A (ko
Inventor
정우협
Original Assignee
정우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협 filed Critical 정우협
Priority to KR10-2000-0043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9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뜸기구의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뜸을 시술시에 필터가 장착된 쑥 수납기기를 통하여 신체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뜸의 연기를 통하여 환부에 맛사지를 할 수있는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식 뜸기{.}
본 발명은 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뜸을 시술시에 전기 뿐만아니라 충전용 밧데리를 전원공급부로 이용, 휴대가 가능하여 언제든지 뜸을 시술 할 수 있으며 신체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뜸의 연기의 량 및 온도을 제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뜸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위 뜸시술기는 뜸의 연기가 대기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사용시 상당한 불편함이 있고 또한 더불어 시술자나 시술받는자 또는 주변 사람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되어 한방에 있어 중요한 뜸을 제대로 이용하기를 꺼리고 있다. 또한 뜸의 온도와 시간을 시술받는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하여야 함은 물론인데 이러한 시술 행위를 시술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시술함으로 화상등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많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어서 마이컴,CPU, 반도체등 제어장치가 내장된 뜸기기에 공기펌프를 연결하여 시술받는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된 시간동안 배출하게 하여 쑥의 연기가 환부에 직접 강하게 부딪치게 함으로 뜸연기 마사지기능을 강화하여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쑥이 탄 연기를 필터가 장착된 뜸용기 배기홀로 방출시켜 대기중으로 연기가 직접 방출되는 것을 막아 시술자나 시술받는자 혹은 주위 사람이 부담없이 뜸시술을 하게 하는데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배출시간조절등을 통한 연기량 조절 및 뜸 시술시간이 이 간단한 조작운영이 가능해짐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뜸 기기를 제공하고 또한 온도 조절센서를 내부에 장착 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술시 설정하여 놓은 온도이상으로 되면 경보음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더불어 뜸의 연기를 시술부위에 머무르는 시간을 시술자가 자유롭게 조절하므로써 뜸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뜸기구의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뜸을 시술시에 필터가 장착된 쑥 수납기기를 통하여 신체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뜸의 연기를 통하여 환부에 맛사지를 할 수있는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뜸시술기는 뜸의 연기가 대기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사용시 상당한 불편함이 있고 또한 더불어 시술자나 시술받는자 또는 주변 사람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되어 한방에 있어 중요한 뜸을 제대로 이용하기를 꺼리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쑥이 직접 타는 (뜸용기(100)) 쑥 수납기기에 필터를 직접 장착을 하고 펌프에서 공기를 흡입. 배출을 하여 쑥 수납기기안으로 공기를 넣어 주어 산소를 공급해주고 시간이 되면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데 먼저 공기를 배출시에는 흡입펌프에서 생성된 공기를 뜸용기(100)안으로 계속적으로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뜸 연기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강중약조절버튼(900)을 선택한후 뜸용기(100)안으로 조절된공기를 넣어준다 이때 뜸용기안의 쑥이 탈 때 필요한 산소가 자동적으로 공급되게 되며 사용자가 지정한 시술시간이 끝나면 흡입펌프를 작동시켜 뜸용기(100)안의 연기를 밖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필터(1000,1000a,1000b)가 장착된 쑥 수납기기를 통하여 쑥 수납기기안의 뜸 연기는 필터가 장착된 틈으로 거쳐서 흡입 및 배출되므로 시술자나 시술받는자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연기로 인한 거부감을 없애면서 연기가 환부에 머무르는 시간을 조절함으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뜸기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0a : 배기홀, 11 : 노즐부, 12 : 디스플레이부, 500 : 배출시간제어부, 700 : 배출시간표시부, 25 : 작동스위치, 30 : 제어부, 35 : 릴레이, 40 : 배기펌프, 41 : 배기관, 42 : 흡기관, 50 : 부저, 60 : 타임제어부, 65 : 타임표시부, 120 : 온도표시부, 70 : 온도제어부 , 100 : 필터를 장착할 수 있는 쑥등 뜸을 담기위한 병, 80 : 손잡이, 90 : 병 마게, 150 : 속이 빈관, 110 : 온도센서 , 1000,1000a,1000b : 정화필터, 2000 : 시술 쑥, 3000 : 아래쪽에 연기 및 뜸이 환부에 닿게 할수 있는 공기 통로, 1500 : 흡입펌프, 1510 : 배기홀, 1520 : 흡기홀, 900 : 맛사지 강중약조절버튼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뜸을 뜨기위해 쑥등을 담기위한 온도센서(110)가 장착된 필터(1000,1000a,1000b)를 장착할 수 있는 용기(100)와 쑥등을 넣고 빼고 할구 있는 용기 뚜껑(90)과 몸체의 노즐부(11)과 연결되어 뜸의 연기와 온도센서(11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포함된 속이 빈관(150)을 연결하는 손잡이(80)를 갖는 필터(1000a,1000,1000b)를 장착한 용기(100)를 가지며 또한 그 일면에 배기홀이 천공되는 몸체(10);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배출 작동을 하는 펌프(40)와; 또한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 작동을 하는 펌프(1500)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의 작동을 지령하는 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압이 상기 펌프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뜸기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1000,1000a,1000b)가 포함된 뜸용기(100), 뜸용기 뚜껑(90), 온도센서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고 펌프로 생성된 공기를 통해 연기 마사지와 뜸 용기 안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고 연기를 흡입 할 수 있는 속이 빈관(150)와, 온도센서(110) , 몸체(10), 스위칭수단, 제어부(30) 및 펌프(40,1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1000,1000a,1000b) 가 포함된 뜸용기(100)은 직접 쑥등 뜸의 연기 및 열기가 직접 피부에 작용하는 곳으로 온도센서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고 펌프(40,150)로 생성된 공기를 통해 연기마사지와 뜸 용기 안에 산소를 공급하고 연기를 흡입할 수 있는 속이 빈관(150)에 연결되며 그 통로는 손잡이로(80)써 도 2과 같이 구성된다. 이 뜸용기의 마게(90)는 탄성체등으로 구성시키므로 연기 및 열기등이 밖으로 나가지 않게 하고 연기를 정해진 시간동안 뜸 용기(100)안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를 강하게 밀어넣게 하여 환부에 강하게 부딪치게하므로 뜸 연기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통 형상으로서, 벽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고, 하단부에 노즐부(11)가 돌설되는데, 상기 노즐부(11)는 온도센서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고 연기를 필터가 장착된 배기홀로 흡입 및 배출 할 수 있도록 펌프로 생성된 공기를 통하게 할수 있는 속이 빈관()과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나팔형상의 주둥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펌프(40)는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배기 작용을 하는 공기펌프로서, 배기관(41)과 흡기관(42)을 갖으며,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배기관(41)은 유도관(41a)을 경유하여 상기 노즐부(1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펌프(1500)는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 작동을 하는 공기펌프(1500)로서, 배기관(1510), 흡기관(1520)을 갖으며,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흡기관(1520)는 유도관(1500a)를 경유하여 상기 노즐부(1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출력단에는 전원스위치(1)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원스위치(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로부터의 전압 출력 여부가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전원스위치(1)의 작동시 전원표시등(2)이 점등됨으로써, 전원스위치(1)가 온 스위칭상태임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Vcc)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4와 5의 실시예와 같이 전기 및 차량용 시가잭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몸체(10)에 내장되는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함으로써, 반복적인 재충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Vcc)를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다수의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된 전하량 표시용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시키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남아있는 전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5는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고,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휴대용 뜸기 구동용 전원을 외부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콘넥터이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펌프(40,1500)의 작동을 지령하기 위하여 수단으로서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상기 펌프(40,1500)에 인가하여 펌프(40,1500)가 작동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Vcc)와 상기 펌프(40,1500)의 사이는 릴레이(35)가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을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입력받은 상기 펌프(40,1500)가 흡입 및 배기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펌프(40)의 펌핑배출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배출시간제어부(500)와, 상기 펌프(40,1500)의 작동을 지령하는 작동스위치(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작동스위치(25)의 작동이 감지될 때마다, 온도제어부(70)의 설정 시간과 온도센서의 실제 온도가 같으면 배기펌프(40)의 배기펌핑을 중단하고 만약 다르다면 상기 배출시간제어부(500)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만큼, 일 예로 2초, 3초 또는 5초 동안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킴으로써,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흡기펌프(1500)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를 한다.
상기 배출시간제어부(500)는, 배출시간제어표시부(700)와 배출시간제어부(5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시간제어부(500)에는 10분 단위버튼(501), 1분 단위버튼(502) 및 시작/정지버튼(503)이 구비되며, 상기 10분 단위버튼(501) 및 1분 단위버튼(502)이 작동됨에 따라 10분씩 또는 1분씩 증가된 시간이 상기 배출시간표시부(700)에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정지버튼(503)이 한번 눌러지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30)에서 온도제어부(70)에 설정된 온도와 온도센서의 실제 온도를 비교하여 온도제어부(70)의 설정된 온도가 온도센서의 온도와 다르면 계속해서 상기 배기펌프(40)를 구동시키게 되며 설정된 온도가 온도센서의 온도와 같아지면 상기 배기펌프(40)에 의한 배기펌핑이 중단되고 배출시간제어표시부(700)에 설정된 시간만큼 흡입펌프(1500)를 구동 시키게되며, 상기 시작/정지버튼(63)이 두 번째 눌러지면 상기 배출시간제어표시부(700)의 설정된 시간이 제로(0)로 리셋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배출시간제어부(500)에 희망의 펌핑 배출 시간을 입력하면 이를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펌프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촉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몸체(10) 일측에는 부저(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부저(50)는 상기 전원스위치(1), 작동스위치(25) 및 각부의 설정버튼(61,62,63),(501,502,503),(71,72,73)등이 작동될 때마다 소정의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어부(30)에 연결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조종이 입력 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타임제어부(60)와 타임표시부(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임제어부(60)에는 10분 단위버튼(61), 1분 단위버튼(62) 및 시작/정지버튼(63)이 구비되며, 상기 10분 단위버튼(61) 및 1분 단위버튼(62)이 작동됨에 따라 10분씩 또는 1분씩 증가된 시간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정지버튼(63)이 한번 눌러지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어 감소되며, 상기 시작/정지버튼(63)이 두 번째 눌러지면 상기 타임표시부(65)의 설정된 시간이 제로(0)에 리셋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타임제어부(60)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어 제로(0)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 상기 몸체의(10)의 일측에는 온도제어부(70)와 온도표시부(120)가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제어부(70)에는 10도 단위 버튼(71), 1도 단위버튼(72) 및 시작/정지버튼(73)이 구비되며, 상기 10도 단위버튼(71) 및 1분 단위버튼(72)이 작동됨에 따라 10도씩 또는 1도씩 증가된 온도가 상기 온도표시부(120)에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정지버튼(73)이 한번 눌러지면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온도표시부(120)에 설정된 온도가 뜸용기의 온도 센서(110)에서 감지한 온도와 같은지 다른지 비교를 시작하며 상기 시작/정지버튼(73)이 두 번째 눌러지면 상기 온도표시부(120)의 설정된 온도가 제로(0)로 리셋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온도제어부(70)에 설정된 온도가 뜸용기(100) 안의 온도센서(110)가 상기 설정한 온도와 같아지면 이를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면 상에서, 상기 전원스위치(1)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감압부(5)는 상기 제어부(30), 작동스위치(25) 및 각부의 설정버튼(61,62,63),(501,502,503),(71,72,73) 등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저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입력받고 소정의 저전압(5V)으로 감압하여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부(Vcc)를 온 스위칭시키면,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펌프(40,1500)에 연결된 상기 릴레이(35)까지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전압이 감압부(5)를 거쳐 소정의 저전압으로 감압된 후, 제어부(30), 작동스위치(25), 배출시간제어부(500), 및 타임제어부(60), 온도제어부(70), 온도센서(110) 등에 인가됨으로써 각 전자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전원공급부(Vcc)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시된다. 배기펌프(40)은 이때부터 계속해서 펌핑을 하게 되는데 연기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강중약조절버튼(900)으로 조절할 수가 있고 산소는 조절된 공기로 같이 뜸용기 안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배출시간제어부(500)의 설정버튼(501,502,503)을 눌러 희망하는 펌프를 통한 펌프 구동시간을 설정하는데,상기 제어부(30)에서는 설정된 시간을 기억하여 둔다.
이와 같이 일회 펌핑시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0,1000a,100b)를 장착한 뜸용기(100)와 상기 배기펌프(40)의 작동에 의해 공기펌프에서 생성된 공기가 배기관(41)을 통해 유도관(41a)노즐부(11), 온도센서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고 산소를 뜸용기(100)안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연기를 강하고 약하게 밀어낼 수 있게 하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속이 빈관(150),손잡이(80),와 긴밀히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노즐부(11)가 돌설되며, 이 노즐부(11)와 연결된 관(150)를 단단히 결속시킨 다음, 상기 작동스위치(25)를작동시키면,
상기 제어부(30)에서는 배기 펌프(40)를 작동시켜 사용자 편의에 따라 산소를 공급함과 동시에 뜸 연기를 환부에 강하게 마사지 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온도제어부(70)의 설정된 온도와 실제 온도센서의 온도와 온도가 다르면 배기펌프(40)에 의한 배기작동은 계속해서 진행되며 실제온도센서의 온도와 온도제어부에 설정된 온도가 같아지면 배기펌프(40)에 의한 배기작동은 정지되며 흡입펌프(1500)에 의해 배출시간제어부(500)에 설정된 시간동안 흡입펌프(0)에 의해 흡기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때 흡입펌프가(1500)작동함에 뜸용기(100) 안의 연기가 손잡이(80),온도센서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고 산소를 공급할수 수 있게 하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속이 빈관(150), 노즐부(11),유도관(1500a),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 뜸용기(100)내의 연기가 필터(1000,1000a1000b)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때 연기는 필터를 거치게 되므로 뜸을 시술하는 시술자 및 주위사람들에게 연기로 인한 피해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펌프(40,1500)의 펌핑작용은 상기 작동스위치(25)를 작동시킬 때마다 상기 제어부(30)에서 배기펌프(40)에 의한 배기작동은 계속해서 하게 되어 산소 및 연기 마사지를 할 수 있게 하며 온도제어부(70)를 감지하여 결과에 따라 배기펌프에 의한 배기작용은 정지시키고 배출시간제어부(500)에 설정된 시간만큼 흡기펌프(1500)의 흡기작용되게하고 또한 상기 결과에 따라 흡입펌프(1500)에 의한 흡기작용은 정지시키고 배기펌프(40)에 의한 배기작용만 하게 반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수회에걸쳐서 상기 펌프(40,1500)가 펌핑작용을 반복 하도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배출시간제어부(500)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소망하는 대로 뜸연기의 피부 접촉시간을 조절함으로써치료의 효과를극대화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에 부저(5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원스위치(1), 각부의 설정버튼(61,62,63),(501,502,503),(71,72,73) 등 및 작동스위치(25)가 작동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에 전압을 인가하여 부저(5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부(30)로 소정의 작동이 입력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배기펌프(40)의 작동에 의해 공기펌프에서 생성된 공기가 배기관(41)을 통해 유도관(41a)노즐부(11), 온도센서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고 뜸용기안에 산소를 공급하고 연기를 밀어낼 수 있게 하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속이 빈관(150),손잡이(80),을 통해 필터(1000,1000a,1000b)를 장착할 수 있는 뜸용기(100)내에 쑥이 탈수 있도록 산소공급과 함께 연기를 환부에 강하게 부닺치게 하여 뜸 연기를 통한 연기 마사지효과를 보게하여 연기 성분에 의한 뜸 효과를 최대한 볼 수 있게 함에 따라 치료효과를 최대한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남은 연기를 필터(1000,1000a,1000b)가 장착되어 있는 배기홀로 밀어내어 연기가 밖으로 나가게 된다 이때 연기는 필터를 거치게 되므로 뜸을 시술하는 시술자 및 주위사람들에게 연기로 인한 피해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펌프(1500)에 작동에 의하여 뜸용기(100)에서 생성된 뜸 연기는 뜸용기에 장착된 필터를 통해, 손잡이(80),온도센서와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전선을 포함하고 뜸용기 안에 산소를 공급하고 연기를 밀어낼 수 있게 하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속이 빈관(150),노즐부(11)유도관(1500a)공기펌프의 흡기관과 배기홀을 통해 밖으로 방출된다 이때 뜸연기는 뜸용기(100)에 장착된 필터(1000,1000a,1000b)를 거치게 되므로 뜸을 시술자 및 주위사람들에게 연기로 인한 피해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임제어부(60)를 조절하여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소정의 시간이 설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타임제어부(60)의 시작/정지버튼(63)을 작동시키면,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count down)되면서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표시된 시간이 제로(0)가 되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30)에서 부저(50)를 울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시술 총시간을 알수가 있어 소망의 시간동안 치료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제어부(70)를 작동시키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30)에서는 온도센서(110)와 상기 온도 표시부(120)에 표시된 온도와 자동으로 비교를 시작하여 온도를 조절하는데 상기 시작/정지버튼(73)이 한번 눌러지면 상기 온도표시부(120)에 설정된 온도가 온도센서(110)의 실제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와 같은지 다른지 비교를 시작하며 상기 시작/정지버튼(73)이 두 번째 눌러지면 상기 온도표시부(120)의 설정된 온도가 제로(0)로 리셋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온도제어부(70)에 설정된 온도와 뜸용기(100) 안의 온도센서(110)가 상기 설정한 온도와 같아지면 이를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를 작동시키도록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어서 마이컴,CPU, 반도체등 제어장치가 내장된 뜸기기에 공기펌프를 연결하여 시술받는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된 시간동안 배출하게 하여 쑥의 연기가 환부에 직접 강하게 부딪치게 함으로 뜸연기 마사지기능을 강화해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연기를 필터가 장착된 뜸용기의 배기홀로 방출시켜 대기중으로 연기가 직접 방출되는 것을 막아 시술자나 시술받는자 혹은 주위 사람이 부담없이 뜸시술을 하게 하는데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배출시간조절을 통한 연기량 조절이 간단한 조작운영이 가능해짐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뜸 기기를 제공하고 또한 온도 조절 센서를 내부에 장착 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술시 설정 하여 놓은 온도이상으로 되면 경보음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더불어 뜸의 연기를 시술부위에 머무르는 시간을 시술자가 자유롭게 조절하므로써 뜸의 효과를 극대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9)

  1. 뜸을 뜨기위해 쑥등을 담기위한 온도센서(110)가 장착된 필터(1000,1000a,1000b)를 장착할 수 있는 용기(100)와 쑥등을 넣고 빼고 할구 있는 용기 뚜껑(90)과 몸체의 노즐부(11)과 연결되어 뜸의 연기와 온도센서(11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포함된 속이 빈관(150)을 연결하는 손잡이(80)를 갖는 필터(1000a,1000,1000b)를 장착한 용기(100)를 가지며 산소를 공급하고 연기마사지의 강중약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스위치(900)을 가지며또한 그 일면에 배기홀이 천공되는 몸체(10);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배출 작동을 하는 펌프(40)와; 또한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 작동을 하는 펌프(1500)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의 작동을 지령하는 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압이 상기 펌프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충전기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펌프(40)의 펌핑배출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배출시간제어부(500)와, 상기 펌프(40, 1500)의 작동을 지령하는 작동스위치(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작동스위치(25)의 작동이 감지될 때마다, 온도제어부(70)의 설정 시간과 온도센서의 실제 온도가 같으면 배기펌프(40)의 배기펌핑을 중단하고 만약 다르다면 상기 배출시간제어부(500)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만큼,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켜 흡입펌프(150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뜸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시간제어부(500)는, 배출시간제어표시부(700)와 배출시간제어부(500)로 이루어지는데 제어부(30)에서 온도제어부(70)에 설정된 온도와 온도센서의 실제 온도를 비교하여 온도제어부(70)의 설정된 온도가 온도센서의 온도와 다르면 계속해서 상기 배기펌프(40)를 구동시키고 설정된온도가 온도센서의 온도와 같아지면 상기 배기펌프(40)에 의한 배기펌핑이 중단되고 배출시간 제어표시부(700)에 설정된 시간만큼 흡입펌프(1500)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뜸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측에는 타임조정부와 타임표시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타임조정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타임표시부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뜸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측에는 온도제어부와 온도표시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온도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도표시부에 설정된 온도가 뜸용기의 온도 센서(110)에서 감지한 온도와 같은지 다른지 비교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뜸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펌프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8. 삭제
  9. 삭제
KR10-2000-0043885A 2000-07-28 2000-07-28 휴대용 전자식 뜸기 KR100387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885A KR100387959B1 (ko) 2000-07-28 2000-07-28 휴대용 전자식 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885A KR100387959B1 (ko) 2000-07-28 2000-07-28 휴대용 전자식 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272A KR20020010272A (ko) 2002-02-04
KR100387959B1 true KR100387959B1 (ko) 2003-06-19

Family

ID=1968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885A KR100387959B1 (ko) 2000-07-28 2000-07-28 휴대용 전자식 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058A (ko) * 2002-05-03 2003-11-07 정복현 전기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272A (ko) 200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51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100387959B1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
KR100365552B1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KR10036736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20020010271A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KR20020003259A (ko) 전자 뜸 기기가 구비된 침대 및 침대 조절장치
KR100353899B1 (ko) 휴대용 전자식 흡인기기
KR20050025533A (ko) 다기능 치료 부항기기
KR10035390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흡인기기
KR100387958B1 (ko) 종합 한방 치료기
KR100752157B1 (ko) 치과용 온도 조절 에어 주입기
KR100415292B1 (ko) 전자 뜸 기기가 구비된 매트 및 장판 조절장치
KR100415294B1 (ko) 종합 한방 치료기를 구비한 매트 및 장판
KR100383401B1 (ko) 휴대용 함몰 유두교정기
KR100415293B1 (ko) 종합 한방 치료기를 구비한 매트 및 장판
KR100528830B1 (ko) 혈액등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부항기
KR20020038904A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KR20020010275A (ko) 종합 한방 치료기를 구비한 침대 및 침대 조절기
KR20020010274A (ko) 종합 한방 치료기를 구비한 매트 및 장판 조절기
CN215961433U (zh) 一种多功能拔罐式热敷药物渗透治疗仪
CN213911310U (zh) 一种具有遥控装置的足蒸器
KR20020010280A (ko) 종합 한방 치료기를 구비한 침대
KR100378840B1 (ko) 피부미용기기기 제어 전자장치
KR20020010276A (ko) 종합 한방 치료기를 구비한 침대
KR20020038190A (ko) 휴대용 전자식 여드름 및 피지 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