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904A -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904A
KR20020038904A KR1020000068805A KR20000068805A KR20020038904A KR 20020038904 A KR20020038904 A KR 20020038904A KR 1020000068805 A KR1020000068805 A KR 1020000068805A KR 20000068805 A KR20000068805 A KR 20000068805A KR 20020038904 A KR20020038904 A KR 20020038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upping
portable electronic
ti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협
Original Assignee
정우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협 filed Critical 정우협
Priority to KR102000006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8904A/ko
Publication of KR2002003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항용기에 압력을 넣을 수 있는 펌프와 부항컵을 일체형으로 개발 함으로 써 부항펌프와 부항컵을 따로 사용하는 번거러움을 줄이고 사용자가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부항용기를 환부에 흡착시킬 수 있으며, 특히 십여개 이상의 부항용기를 계속하여 환부에 흡착시킬 때에도 사용자가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부항용기 내부의 흡착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항용기(70)와 부항펌프작동부분이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노즐부(11)가 돌설되며, 그 일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흡기관(41)이 상기 노즐부(11)에 유도관(41a)으로 연결되고, 배기관(42)이 상기 배기홀(10a)에 연통되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작동을 하는 펌프(4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지령하는 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상기 펌프(40)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4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Sucking Air from Cupping Glass}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항용기에 압력을 넣을 수 있는 펌프와 부항컵을 일체형으로 개발 함으로 써 부항펌프와 부항컵을 따로 사용하는 번거러움을 줄이고 사용자가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부항용기를 환부에 흡착시킬 수 있으며, 특히 십여개 이상의 부항용기를 계속하여 환부에 흡착시킬 때에도 사용자가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부항용기 내부의 흡착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기는 환부에 생성된 고름이나 독혈을 빨아내거나 환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단부에 공기밸브가 결합된 부항용기와, 상기 부항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그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일측에 결속관이 돌설되고 펌프를 구비하는 흡기용 부항컵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항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부항용기로 환부를 덮은 다음, 상기 부항기기를 상기 부항용기 상단의 공기밸브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부항컵에 구비된 작동손잡이를 작동시키면 펌프가 펌핑작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공기밸브가 개방되면서 부항용기 내부의 공기가 빨려나오게 됨으로써, 환부에 덮인 부항용기 내부가 진공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손잡이의 작동을 중단시키면, 펌프의 작동이 중단됨과 동시에, 상기 공기밸브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부항용기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부항용기에 의하여 덮인 환부가 부항 내부로 강하게 흡착됨으로써, 환부의 고름이나 이상 혈액이 부항용기 내부로 융출되게 되어 환부가 치료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항컵는, 하나의 부항용기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기 위하여 펌프를 작동시킬 때마다 사용자가 작동손잡이를 강하게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넓은 환부를 따라 십여개 이상의 부항용기를 흡착시킬경우 사용자의 노동력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항기는, 부항컵의 작동손잡이를 누르는 사용자의 악력에 따라 펌프의 펌핑량이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부항용기 내부의 진공정도가 달라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부항용기 내부의 흡착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항기는, 부항용기와 펌프부분이 따로 구비되어있어 부항시술시 불편함과 어려움이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항용기와 펌프를 일체형으로 만들고 부항컵 상단부 내부에 모터펌프를 구비시키고, 스위치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모터펌프가 작동되어 부항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부항용기를 환부에 흡착시킬 수 있으며, 특히 십여개 이상의 부항용기를 계속하여 환부에 흡착시킬 때에도 사용자가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부항용기와 펌프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부항시술시 펌프와 부항용기를 따로 구비하여 시술시의 문제점과 불편함을 없애는데 있으며 또한 상기 모터펌프를 작동시키는 상기 스위치수단을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시키고, 각 버튼이 작동됨에 따라 각각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모터펌프가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항용기 내부의 흡착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0a : 배기홀, 11 : 노즐부, 12 : 디스플레이부, 21 : 설정버튼부, 21a,21b,21c : 압력버튼, 21f : 압력표시부, 25 : 작동스위치, 30 : 제어부, 35 : 릴레이, 40 : 펌프, 41 : 흡기관, 42 : 배기관, 50 : 부저, 60 : 타임제어부, 65 : 타임표시부, 70 : 부항용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항용기와 펌프장치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펌프장치쪽 일측에 노즐부가 돌설되며, 그 일면에 배기홀이 천공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흡기관이 상기 노즐부에 유도관으로 연결되고, 배기관이 상기 배기홀에 연통되며,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작동을 하는 펌프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의 작동을 지령하는 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압이 상기 펌프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0), 스위칭수단, 제어부(30) 및 펌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통 형상으로서, 벽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고, 하단부에 노즐부(11)가 돌설되는데, 상기 노즐부(11)는 부항용기용 상단부가 일체형으로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나팔형상의 주둥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부와 흡착을 하는 부항용기(70)부분은 실리콘이나 고무등 탄성체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40)는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 작용을 하는 전기펌프로서, 흡기관(41)과 배기관(42)을 갖으며,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흡기관(41)은 유도관(41a)을 경유하여 상기 노즐부(1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출력단에는 전원스위치(SW)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원스위치(SW)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로부터의 전압 출력 여부가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전원스위치(SW)의 작동시 전원표시등(13)이 점등됨으로써, 전원스위치(SW)가 온 스위칭상태임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Vcc)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몸체(10)에 내장되는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함으로써, 반복적인 재충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Vcc)를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다수의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된 전하량 표시용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시키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남아있는 전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5는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고,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부항컵 구동용 전원을 외부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콘넥터이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지령하기 위하여 수단으로서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상기 펌프(40)에 인가하여 펌프(40)가 작동되도록 하는장치이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Vcc)와 상기 펌프(40)의 사이에는 릴레이(35)가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을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입력받은 상기 펌프(40)가 흡기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펌프(40)의 작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버튼부(21)와,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지령하는 작동스위치(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작동스위치(25)의 작동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설정버튼부(21)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만큼, 일 예로 2초, 3초 또는 5초 동안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킴으로써,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펌프(40)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를 한다.
상기 설정버튼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약 압력버튼(21a), 중압력버튼(21b), 강 압력버튼(21c)인 3개의 압력설정버튼과, 5개의 발광램프로 구성된 압력표시부(21f)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각 압력버튼(21a)(21b)(21c)과 상기 압력표시부(21f)는 각각 제어부(30)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버튼 (21a)(21b)(21c)들중 선택된 버튼에 따라 상기 압력표시부(21f)를 다단계로 점등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압력버튼(21a), 중압력버튼(21b) 및 강 압력버튼(21c)의 작동이 감지될 때마다, 1개, 3개 및 5개의 발광램프를 각각 점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 일측에는 부저(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부저(50)는 상기 전원스위치(SW), 작동스위치(25) 및 각압력버튼(21a)(21b)(21c)이 작동될 때마다 소정의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어부(30)에 연결 구성됨으로써, 소정의 조종이 입력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타임제어부(60)와 타임표시부(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임제어부(60)에는 10분 단위버튼(61), 1분 단위버튼(62) 및 시작/정지버튼(63)이 구비되며, 상기 10분 단위버튼(61) 및 1분 단위버튼(62)이 작동됨에 따라 10분씩 또는 1분씩 증가된 시간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정지버튼(63)이 한번 눌러지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어 감소되며, 상기 시작/정지버튼(63)이 두 번째 눌러지면 상기 타임표시부(65)의 설정된 시간이 제로(0)로 리셋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타임제어부(60)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어 제로(0)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면 상에서, 상기 전원스위치(SW)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감압부(5)는 상기 제어부(30), 작동스위치(25) 및 각 압력버튼(21a)(21b)(21c)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저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입력받고 소정의 저전압(5V)으로 감압하여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부(Vcc)를 온 스위칭시키면,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펌프(40)에 연결된 상기 릴레이(35)까지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전압이 감압부(5)를 거쳐 소정의 저전압으로 감압된 후, 제어부(30), 작동스위치(25), 설정버튼부(21) 및 타임제어부(60) 등에 인가됨으로써 각 전자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설정버튼부(21)는 저 압력버튼(21a)이 자동 설정되어, 압력표시부(21f)에는 1개의 발광램프가 점등되며, 상기 제어부(30)에는 저 압력버튼(21a)의 선택이 자동 기억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Vcc)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시된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설정버튼부(21)의 약 압력버튼(21a), 중압력버튼(21b) 및 강 압력버튼(21c) 중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눌러지는 버튼에 따라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압력표시부(21f)의 발광램프를 1개, 3개 또는 5개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작동된 버튼(21a)(21b)(21c)을 기억해 둔다.
이와 같이 소망의 압력, 즉 일회 펌핑시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에 부항용기(70)을 밀착시킨 다음, 상기 작동스위치(25)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설정버튼부(21)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지정된 시간동안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상기 펌프(40)에 인가됨으로써, 펌프(40)가 지정된 시간동안 펌핑작용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부항용기(70) 내부의 공기가, 노즐부(11), 유도관(41a) 및 흡기관(41)을 거쳐 흡입되게 됨으로써, 상기 부항용기 내부가 진공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펌프(40)의 펌핑작용은, 상기 설정버튼부(21)에 의해 지정된 시간, 2초, 3초 또는 5초동안 지속되며,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면,상기제어부(30)에서 상기 릴레이(35)로 인가하던 전압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릴레이(35)가 오프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펌프(40)로 인가되던 전원공급부(Vcc)의 전압도 차단되어 펌프(40)의 펌핑작동이 중단된다. 이때 부항용기(70) 내부의 진공상태는 그대로 유지되게 되며, 따라서, 환부에 생성된 고름이나 독혈을 빨아내고 환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부항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펌프(40)의 펌핑작용은 상기 작동스위치(25)를 작동시킬 때마다 반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수회에 걸쳐서 상기 펌프(40)가 펌핑작용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설정버튼부(21)를 조절함으로써 부항용기(70) 내의 압력을 사용자의 소망하는 대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에 부저(5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원스위치(SW), 설정버튼부(21) 및 작동스위치(25)가 작동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에 전압을 인가하여 부저(5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부(30)로 소정의 작동이 입력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펌프(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부항용기(70)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기 펌프(40)의 배기관(42)을 통하여 배출된 후, 상기 몸체(10)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기홀(1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 상기 몸체(10)를 경유하는 배출공기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된 각 전자장치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항용기(70) 내부를 진공상태 만들어 환부가 부항용기(70) 내부로 강하게 흡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타임제어부(60)를 조절하여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소정의 시간이 설정되도록 상기 타임제어부(60)의 시작/정지버튼(63)을 작동시키면,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count down)되면서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표시된 시간이 제로(0)가 되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30)에서 부저(50)를 울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소망의 시간동안 부항을 놓았음은 인지하고 환부에 압착되어 있는 부항용기(70)를 제거하여 부항작업을 종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에 의하여, 사용자가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부항용기를 환부에 흡착시킬 수 있으며, 특히 십여개 이상의 부항용기를 계속하여 환부에 흡착시킬 때에도 사용자가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항컵에 의하여, 사용자가 부항용기 내부의 흡착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항기에 의한 정밀한 치료가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환부의 고름이나 이상혈액을 융출시키는 등의 치료작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부항용기(70)와 부항펌프작동부분이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노즐부(11)가 돌설되며, 그 일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흡기관(41)이 상기 노즐부(11)에 유도관(41a)으로 연결되고, 배기관(42)이 상기 배기홀(10a)에 연통되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작동을 하는 펌프(4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지령하는 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상기 펌프(40)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4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충전기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버튼부와, 상기 펌프의 일회 작동을 지령하는 작동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스위치의 작동시마다, 상기 설정버튼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압이 상기 펌프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버튼부는 다수의 압력설정버튼과 압력표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설정버튼의 작동에 따라 상기 압력표시부를 다단계로 점등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측에는 타임조정부와 타임표시부가 구비되되, 상기 타임조정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타임표시부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펌프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를 흡착하는 부항용기(70)부분의 재질은 실리콘 및 고무등 탄성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KR1020000068805A 2000-11-18 2000-11-18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KR20020038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805A KR20020038904A (ko) 2000-11-18 2000-11-18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805A KR20020038904A (ko) 2000-11-18 2000-11-18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904A true KR20020038904A (ko) 2002-05-24

Family

ID=1969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805A KR20020038904A (ko) 2000-11-18 2000-11-18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890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905A (ko) * 2000-11-18 2002-05-24 정우협 휴대용 전자식 무릎 치료 부항컵
CN103721301A (zh) * 2012-10-10 2014-04-16 天津赛思科技发展有限公司 无线控制电动智能保健负压罐
CN103721302A (zh) * 2012-10-10 2014-04-16 天津赛思科技发展有限公司 电动智能保健负压罐
KR20190069844A (ko) * 2017-12-12 2019-06-20 차진석 휴대용 부항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315Y1 (ko) * 1987-10-31 1991-01-18 주식회사 금성사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카세트 자동인출장치
KR960004078U (ko) * 1994-07-12 1996-02-14 김형욱 부항기의 흡입단속 장치
KR20000061103A (ko) * 1999-03-23 2000-10-16 정우협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20010048234A (ko) * 1999-11-25 2001-06-15 정우협 휴대용 전자식 부항흡인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315Y1 (ko) * 1987-10-31 1991-01-18 주식회사 금성사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카세트 자동인출장치
KR960004078U (ko) * 1994-07-12 1996-02-14 김형욱 부항기의 흡입단속 장치
KR20000061103A (ko) * 1999-03-23 2000-10-16 정우협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20010048234A (ko) * 1999-11-25 2001-06-15 정우협 휴대용 전자식 부항흡인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905A (ko) * 2000-11-18 2002-05-24 정우협 휴대용 전자식 무릎 치료 부항컵
CN103721301A (zh) * 2012-10-10 2014-04-16 天津赛思科技发展有限公司 无线控制电动智能保健负压罐
CN103721302A (zh) * 2012-10-10 2014-04-16 天津赛思科技发展有限公司 电动智能保健负压罐
KR20190069844A (ko) * 2017-12-12 2019-06-20 차진석 휴대용 부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51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US9199017B2 (en) Breastpump with letdown feature
KR20020038904A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KR10036736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10035390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흡인기기
KR100383401B1 (ko) 휴대용 함몰 유두교정기
KR100519478B1 (ko) 다기능 치료 부항기기
KR100442098B1 (ko) 멀티 부항기
KR100353899B1 (ko) 휴대용 전자식 흡인기기
KR20020038905A (ko) 휴대용 전자식 무릎 치료 부항컵
KR20020038906A (ko) 휴대용 전자식 어깨 치료 부항컵
KR20020038907A (ko) 휴대용 전자식 팔꿈치 치료 부항컵
KR100365552B1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US20020188231A1 (en) Device for performing can sucking therapy
KR100528830B1 (ko) 혈액등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부항기
KR20020038189A (ko) 휴대용 전자식 코속이물질제거기
KR20020038190A (ko) 휴대용 전자식 여드름 및 피지 제거기
KR100353898B1 (ko) 휴대용 전자식 로얄제리 추출기
KR100387959B1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
KR20020003259A (ko) 전자 뜸 기기가 구비된 침대 및 침대 조절장치
KR200253246Y1 (ko) 멀티 부항기
KR200395374Y1 (ko) 부항기용 자동펌핑기구
KR20020010271A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KR20020003723A (ko) 전자 뜸 기기가 구비된 매트 및 장판 조절장치
KR900001414B1 (ko) 진공압을 이용한 마사아지기의 진공압발생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