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360B1 -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360B1
KR100367360B1 KR10-1999-0058429A KR19990058429A KR100367360B1 KR 100367360 B1 KR100367360 B1 KR 100367360B1 KR 19990058429 A KR19990058429 A KR 19990058429A KR 100367360 B1 KR100367360 B1 KR 100367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ump
unit
cupp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6813A (ko
Inventor
정우협
Original Assignee
정우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협 filed Critical 정우협
Priority to KR10-1999-005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360B1/ko
Priority to PCT/KR2000/001468 priority patent/WO2001043793A2/en
Priority to AU20300/01A priority patent/AU2030001A/en
Publication of KR2001005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항기구의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부항을 시술시에 전기 뿐만아니라 충전용 밧데리를 전원공급부로 이용하여 마이컴 및 CPU, 반도체 등을 제어 휴대가 가능하여 언제든지 부항을 시술 할 수 있으며 기존 프로그램의 문제점인 마이컴이나 CPU,반도체 등에입력되어 있는 그대로를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체 획일적으로 적용하던 것을 본기기는 공기펌프의 동작 시간을 사용자가 환자의 상태 및 신체조건등에 따라 환자마다 따로따로 조절하게 함으로써부항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한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항용기(110)의 공기밸브(100) 상부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노즐부(11)가 돌설되며, 그 일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흡기관(41)이 상기 노즐부(11)에 유도관(41a)으로 연결되고, 배기관(42)이 상기 배기홀(10a)에 연통되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작동을 하는 펌프(4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사용자가 환자의 신체조건 및 체질등에 따라 각 환자에게 적당한 부항시술시간 및 압력을 입력할수 있는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 또한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펌핑시간 및 압력을 지령하는 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환자의 신체조건 및 체질등을 고려하여 각 환자의 특성에 맞는 압력 및 시간을 입력하면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상기 펌프(40)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4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Sucking Air from Cupping Glass}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항기구의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부항을 시술시에 전기 뿐만아니라 충전용 밧데리를 전원공급부로 이용하여 마이컴 및 CPU, 반도체 등을 제어 휴대가 가능하여 언제든지 부항을 시술 할 수 있으며 기존 프로그램의 문제점인 마이컴이나 CPU,반도체 등에입력되어 있는 그대로를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체 획일적으로 적용하던 것을 본기기는 공기펌프의 동작 시간을 사용자가 환자의 상태 및 신체조건등에 따라 환자마다 따로따로 조절하게 함으로써 부항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한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부항기기는 환자의 신체적인 여건 및 체질을 파악하지 못하고 오로지 시술자의 감각에 의존하여야만 하며 또한 기존의 마이컴 및 반도체등 제어부 모든 부분이 해외에서 수입되어 사용하여야 하는 부품이다. 따라서 사용또한 마이컴등 반도체 제조회사의 사용조건에 무조건 따라 편일적으로 사용하는 현시점에서 동양의학의 방대한 치료효과를 나타내기에는 상당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중 부항의 마이컴 및 반도체등을 이용하는 제어기등은 미리 프로그램되어있는 시간을 누구나 편일적으로 무조건 사용하여야만 하게 미리 입력 시간 및 자료를 프로그램화하여 작동되게 하므로 체질 및 신체조건이 다른 환자들을 획일적으로 치료하게 되는 상당한 문제점이 커서 환자들의 정확한 치료에는 상당한 문제점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함에 있어서 부항의 시술시간을 사용시 마다 시술자가환자에 따라 원하는 만큼 설정 할 수 있게 하므로 제질 및 신체조건이 다른 환자들을 환자에 따라 치료하여 부항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수 있게 하고 또한 충전식 밧데리로 모든 제어기기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꼭 전기가 있는 곳에서만 시술이 가능한 것을 언제 어디에서든지 시술을 받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및 시간을 입력하여 펌프를 구동하는 것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0a : 배기홀, 11 : 노즐부, 12 : 디스플레이부, 75 : 작동시간입력표시부, 70 : 작동시간입력제어부, 25 : 작동스위치, 30 : 제어부, 35 : 릴레이, 40 : 펌프, 41 : 흡기관, 42 : 배기관, 50 : 부저, 60 : 타임제어부, 65 : 타임표시부, 110 : 부항용기, 100 : 공기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항용기(110)의 공기밸브(100) 상부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노즐부(11)가 돌설되며, 그 일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흡기관(41)이 상기 노즐부(11)에 유도관(41a)으로 연결되고, 배기관(42)이 상기 배기홀(10a)에 연통되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작동을 하는 펌프(4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사용자가 환자의 신체조건 및 체질등에 따라 각 환자에게 적당한 부항압력을 입력할수 있는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 또한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펌핑시간 및 압력을 지령하는 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환자의 신체조건 및 체질등을 고려하여 각 환자의 특성에 맞는 압력 및 시간을 입력하면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상기 펌프(40)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4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4은본 발명에 따른 압력 및 시간을 입력하여 펌프를 구동하는 것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은, 몸체(10),스위칭수단, 제어부(30) 및 펌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통 형상으로서, 벽면에 배기홀(10a)이 천공되고, 하단부에 노즐부(11)가 돌설되는데, 상기 노즐부(11)는 부항용기용 공기밸브의 상부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나팔형상의 주둥이를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40)는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흡기 작용을 하는 공기펌프로서, 흡기관(41)과 배기관(42)을 갖으며,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흡기관(41)은 유도관(41a)을 경유하여 상기 노즐부(1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출력단에는 전원스위치(SW)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원스위치(SW)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로부터의 전압 출력 여부가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전원스위치(SW)의 작동시 전원표시등이 점등됨으로써, 전원스위치(SW)가 온 스위칭상태임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Vcc)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몸체(10)에 내장되는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함으로써, 반복적인 재충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Vcc)를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다수의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된 전하량 표시용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시키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남아있는 전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5는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고,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기 구동용 전원을 외부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콘넥터이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지령하기 위하여 수단으로서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상기 펌프(40)에 인가하여 펌프(40)가 작동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Vcc)와 상기 펌프(40)의 사이에는 릴레이(35)가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을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을 입력받은 상기 펌프(40)가 흡기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펌프(40)의 작동시간 및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와, 상기 펌프의 작동을 압력단위로 할것인지 아니면 시간단위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압력단위설정버튼(80)과 시간단위설정버튼(90)과 상기 펌프(40)의 작동을 지령하는 작동스위치(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작동스위치(25)의 작동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에 의하여 환자의 신체조건이나 체질등 조건에 따라 환자 개개인에 맞는 압력 및 설정된 시간 만큼, 일 예로 2초, 3초 또는 5초 동안이나 압력센서의 압력게이지(일예로 cmHG, mmHG등) 만큼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소망의 설정된 시간 및 압력 만큼 상기 펌프(40)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를 한다. 상기 압력 및 시간 결정버튼은 압력단위설정버튼(80)와 시간단위설정버튼(90)으로 나누어지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환자의 신체조건이나 체질등 조건에 따라 환자 개개인에 맞는 압력 및 시간만큼 펌프를 작동하기 위한 것인데 만약 사용자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한후 5분간 펌프 작동이 되기를 소망할 시에 시간단위설정버튼(90)을 누른 후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의 각 설정 버튼(71,72,73)을 누르면서 희망시간을 설정하면 되고, 또한 압력단위로 부항을 시술하고자 할 때에는 압력단위설정버튼(80)을 누른 뒤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의 각 설정 버튼(71,72,73)을 누르면서 희망압력을 설정하면 된다.상기 압력는 부항 시술시 부항컵속등 및 펌프의 흡입압력등 부항시술시 환자에게 적용시키는 압력도 포함되는데 이는 압력센서를 직접 상기 몸체에 장착하여 압력센서에 의한 압력게이지(예로 cmHG, mmHG등)로 정확하게 부항 시술시의 부항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에는 10분/10cmHG 또는 10mmHG등 단위버튼(71), 1분/1cmHG 또는 1mmHG등 단위버튼(72) 및 시작/정지버튼(73)이 구비되며, 상기 10분/10cmHG 또는 10mmHG등 단위버튼(71) 및 1분/1cmHG 또는 1mmHG등 단위버튼(72)이 작동됨에 따라 10분/10cmHG 또는 10mmHG등 씩 또는 1분/1cmHG 또는 1mmHG등 씩 증가된 시간 및 압력이 상기 작동시간입력표시부(75)에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정지버튼(73)이 한번 눌러지면 상기 작동시간입력표시부(75)에 희망의 압력 및 시간이 설정되고 스위칭수단(25)가 작동되면 작동시간입력표시부(75)에 정해진 시간 및 압력만큼 펌프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시작/정지버튼(73)이 두 번째 눌러지면 상기 작동시간입력표시부(75)의 설정된 시간 및 압력이 제로(0)로 리셋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동시간입력표시부(75)에 설정된 시간 및 압력동안 펌프가 작동을 마치면 이를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상기 부항 시술 압력의 제어는 압력센서를 상기 부항 몸체에 직접 장착하여 압력센서에 의한 정확한 압력으로 부항 시술을 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의 사용자 희망의 압력 및 시간을 입력시켜 공기펌프를 조절하는 방법을 다시한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전원공급부를 온 스위칭시키면 전원공급부의 전압이 펌프에 연결된 상기 릴레이부(6) 까지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전압이 감압부를 거쳐 소정의 저전압으로 감압된 후 제어부(3)등 모든 소자들이 작동하기 위한 초기화 단계(s8)에서 스텝 (s9)로 이동한다 .스텝 (s9)에서는 사용자가 환자의 상태 및 신체조건에 따라 희망하는 압력 및 시간을 스위칭 수단을 통해 입력하게되면 스템(s10)으로 넘어가게되는데 이때 설정시간이 맞으면 설정을 하고 틀리면 다시 스텝(s9)로 돌아가 재 입력을 하게된다. 이로서 설정이 끝나면 설정 led 램프가 켜진다. 이때 스위치 수단을 통해 작동을 지령하게 된다
상기 스텝(s12)에서는 희망 시간 및 압력 동안 펌프의 펌핑이 작동되게 된다.
상기 스켑(s13)에서는 사용자의 희망하는 펌핑시간 및 압력과 실제 펌프의 펌핑시간 및 압력을 제어부에서 비교하여 만약 실제 펌프 펌핑시간 및 압력이 희망의 펌핑시간 및 압력 보다 적다면 스텝(s12)로 가서 계속 펌핑을 하게 되고 만약 실제 펌프 펌핑시간 및 압력과 희망의 펌핑시간 및 압력이 같아지면 이로써 스텝(s14)로 가게된다.
상기 스텝(s14)에서는 제어부(3)가 펌프로 인가되던 전원공급부의 전압을 차단하게 되어 펌프의 펌핑이 끝나고 스텝s(15)으로 이동하여 제어부(3)의 감지 지령에 따라 희망시간의 끝을 알려주는 소정의 음향을 울리게 함으로써 모든 환자의 상태 및 체질등에 따라 설정한 희망압력 및 시간동안 펌핑을 하고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0) 일측에는 부저(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부저(50)는 상기 전원스위치(SW), 작동스위치(25), 압력 및 시간단위설정 전환 버튼(80,90) 및 각 작동시간입력제어부버튼(71,72,73)이 작동될 때마다 소정의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어부(30)에 연결 구성됨으로써, 소정의조종이 입력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타임제어부(60)와 타임표시부(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임제어부(60)에는 10분 단위버튼(61), 1분 단위버튼(62) 및 시작/정지버튼(63)이 구비되며, 상기 10분 단위버튼(61) 및 1분 단위버튼(62)이 작동됨에 따라 10분씩 또는 1분씩 증가된 시간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정지버튼(63)이 한번 눌러지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되어 감소되며, 상기 시작/정지버튼(63)이 두 번째 눌러지면 상기 타임표시부(65)의 설정된 시간이 제로(0)로 리셋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타임제어부(60)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다운되어 제로(0)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면 상에서, 상기 전원스위치(SW)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감압부(5)는 상기 제어부(30), 작동스위치(25) 및 각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 버튼(71,72,73), 압력 및 시간설정버튼(80,90)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저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전원공급부(Vcc)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을 입력받고 소정의저전압(5V)으로 감압하여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부(Vcc)를 온 스위칭시키면,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펌프(40)에 연결된 상기 릴레이(35)까지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전압이 감압부(5)를 거쳐 소정의 저전압으로 감압된 후, 제어부(30), 작동스위치(25),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 및 타임제어부(60) 등에 인가됨으로써 각 전자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Vcc)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상에 표시된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의 각 설정버튼(71,72,73)을 눌러 환자에게 가장 잘 맞는 부항시간 및 압력을 결정하여 눌러지는 버튼에 따라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작동시간입력표시부(75)에표시된다.
이와 같이 소망의 압력, 즉 환자의 체질 및 신체조건에 따른 일회 펌핑시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에 밀착시킨 부항용기(110)의 공기밸브(100)에 상기 몸체(10)의 노즐부 (11)를긴밀하게 결속시킨 다음, 상기 작동스위치(25)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지정된 시간 및 압력동안 상기 릴레이(35)를 온 스위칭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Vcc)의 전압이 상기 펌프(40)에 인가됨으로써, 펌프(40)가 지정된 시간동안 펌핑작용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부항용기(110) 내부의 공기가 공기밸브(100), 노즐부(11), 유도관(41a) 및 흡기관(41)을 거쳐 흡입되게 됨으로써, 상기 부항용기 내부가 진공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펌프(40)의 펌핑작용은, 환자의 체질 및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에 입력한 지정된 시간, 2초, 3초 또는 지정압력동안 지속되며, 상기 지정된 시간 및 압력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릴레이(35)로 인가하던 전압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릴레이(35)가 오프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펌프(40)로 인가되던 전원공급부(Vcc)의 전압도 차단되어 펌프(40)의 펌핑작동이 중단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부항용기(110)에 형성된 부압에 의해 상기 공기밸브(100)가 페쇄됨으로써, 상기 부항용기(110) 내부의 진공상태는 그대로 유지되게 되며, 따라서, 환부에 생성된 고름이나 독혈을 빨아 내고 환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부항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펌프(40)의 펌핑작용은 환자의 체질 및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에 입력한 후에, 상기 작동스위치(25)를 작동시킬 때마다 반복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작동시간입력제어부 (70)의 압력과 시간설정을 조절함으로써 부항용기(110) 내의 압력을 사용자의 소망하는 대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에 부저(5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원스위치(SW), 작동시간입력제어부(70) 및 작동스위치(25)가 작동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부저(50)에 전압을 인가하여 부저(5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부(30)로 소정의 작동이 입력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펌프(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부항용기(110)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기 펌프(40)의 배기관(42)을 통하여 배출된 후, 상기 몸체(10)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기홀(1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 상기 몸체(10)를 경유하는 배출공기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설치된 각 전자장치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항용기(110) 내부를 진공상태 만들어 환부가 부항용기(110) 내부로 강하게 흡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몸체(10)의 노즐부(11)를 상기 공기밸브(100)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리고, 상기 타임제어부(60)를 조절하여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소정의 시간이 설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타임제어부(60)의 시작/정지버튼(63)을 작동시키면,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count down)되면서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임표시부(65)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타임표시부(65)에 표시된 시간이 제로(0)가 되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30)에서 부저(50)를 울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소망의 시간동안 부항을 놓았음은 인지하고 환부에 압착되어 있는 부항용기(110)를 제거하여 부항작업을 종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충전용 배터리로 마이컴 및 CPU,반도체등 제어기를 컨트롤 할 수있게 함으로써 전기가 없는 어느곳에던지 시술이 가능하다.또한 부항기기전자 입력 제어장치를 이용한 부항기기에 의하여, 사용자가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환자의 신체조건이나 체질을 분별하고 그에 맞는 부항압력 및 시술시간을시술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확실한부항시술을 하여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으며 마이컴이나 CPU, 반도체등으로 전자 제어장치를쓰고 있는 지금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무조건 프로그램되어있는 시간 그대로 시술을하기에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환자상태에 따르는 정확한 판단과 그 판단에 따른 각 환자들의 정확한 시술시간 및 압력을 각각 정하여 시술함으로써 부항 치료의 극대화를 이루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부항용기의 공기밸브 상부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노즐부가 돌설되며, 그 일면에 배기홀이 천공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흡기관이 유도관을 통해 상기 노즐부에 연결되고 배기관이 상기 배기홀에 연통되며, 소정의 펌프동작전압이 공급될 때 부항용기의 내부공기가 상기 유도관 및 상기 흡기관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펌핑동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펌프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펌프사이에 개재하는 릴레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을 압력단위로 설정하기 위한 압력단위설정버튼과,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을 시간단위로 설정하기 위한 시간단위설정버튼과, 상기 압력단위설정버튼 및 시간단위설정버튼의 설정상태에 따라 환자의 신체조건 및 체질을 반영하여 각 환자에게 적당한 상기 펌프의 압력단위 작동시간 및 시간단위 작동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과 상기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을 표시하는 작동시간입력표시부와 상기 작동시간입력표시부에 표시된 시간을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작/정지버튼을 갖는 작동시간입력제어부와, 상기 펌프의 일회 작동을 지령하는 작동스위치를 가지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부항용기의 내부압력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작동스위치의 작동시마다, 소정의 타이머의 출력신호 및 상기 압력센서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펌프의 작동시간동안 상기 펌프에 펌프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측에는 타임조정부와 타임표시부가 구비되되, 상기 타임조정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타임표시부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다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펌프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단위설정버튼과 압력단위설정버튼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1회 조작시 상기 작동시간입력표시부(75)에 10분/10cmHG씩 증가되도록 작동하는 10분/10cmHG 단위버튼과, 1분/1cmHG씩 증가되도록 작동하는 1분/1cmHG단위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10-1999-0058429A 1999-12-16 1999-12-16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100367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429A KR100367360B1 (ko) 1999-12-16 1999-12-16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PCT/KR2000/001468 WO2001043793A2 (en) 1999-12-16 2000-12-15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sucking air from cupping glass
AU20300/01A AU2030001A (en) 1999-12-16 2000-12-15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sucking air from cupping gla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429A KR100367360B1 (ko) 1999-12-16 1999-12-16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813A KR20010056813A (ko) 2001-07-04
KR100367360B1 true KR100367360B1 (ko) 2003-01-14

Family

ID=1962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429A KR100367360B1 (ko) 1999-12-16 1999-12-16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67360B1 (ko)
AU (1) AU2030001A (ko)
WO (1) WO20010437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908A (ko) * 2000-11-18 2002-05-24 정우협 휴대용 부항기 컵 흡입 압력 전자장치
WO2007128163A1 (fr) * 2006-05-08 2007-11-15 Zhigang Zhao Dispositif d'application de ventouses électronique
CN201519324U (zh) * 2009-11-10 2010-07-07 符仲华 一种电脉冲治疗罐
CN103721302B (zh) * 2012-10-10 2016-06-29 天津赛思科技发展有限公司 电动智能保健负压罐
CN103721301B (zh) * 2012-10-10 2016-06-29 天津赛思科技发展有限公司 无线控制电动智能保健负压罐
CN111358434B (zh) * 2020-03-13 2022-09-23 陕西省中医医院 防止拔罐时间过长的自动放气拔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7855A (en) * 1978-10-02 1980-04-05 Taiyo Yuden Kk Skin blood circulation quickening appliance
JPS552369A (en) * 1979-03-19 1980-01-09 Sony Corp Manufacturing process of stator of brushless motor
KR100339510B1 (ko) * 1999-03-23 2002-05-31 정우협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43793A3 (en) 2002-03-28
KR20010056813A (ko) 2001-07-04
AU2030001A (en) 2001-06-25
WO2001043793A2 (en) 200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51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US20140171858A1 (en) Breastpump with Letdown Feature
KR10036736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기기
KR101042837B1 (ko)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 장치
KR100519478B1 (ko) 다기능 치료 부항기기
KR100383401B1 (ko) 휴대용 함몰 유두교정기
KR100353900B1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흡인기기
KR100353899B1 (ko) 휴대용 전자식 흡인기기
KR20020038904A (ko) 휴대용 전자식 부항컵
KR100365552B1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KR100528830B1 (ko) 혈액등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부항기
KR200291474Y1 (ko) 양압 및 부압 제어가 가능한 부항기
KR20020038905A (ko) 휴대용 전자식 무릎 치료 부항컵
KR20020038907A (ko) 휴대용 전자식 팔꿈치 치료 부항컵
KR20020038906A (ko) 휴대용 전자식 어깨 치료 부항컵
KR20020038908A (ko) 휴대용 부항기 컵 흡입 압력 전자장치
KR100387959B1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
KR100395236B1 (ko) 네브라이져기 제어 전자장치
KR20010056814A (ko) 휴대용 부항기 흡입 압력 전자장치
KR100378840B1 (ko) 피부미용기기기 제어 전자장치
KR101292564B1 (ko) 수직으로 이동되는 고주파 발생부를 가지는 부항 장치
KR100395235B1 (ko) 함몰유두교정기기기 압력 전자장치
KR100401267B1 (ko) 디스크치료기기 압력 전자장치
KR101142020B1 (ko) 내부 압력 감지형 레이저 부항 장치
KR20020010271A (ko) 휴대용 전자식 뜸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