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010B1 - 동력계 - Google Patents

동력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010B1
KR960014010B1 KR1019900013483A KR900013483A KR960014010B1 KR 960014010 B1 KR960014010 B1 KR 960014010B1 KR 1019900013483 A KR1019900013483 A KR 1019900013483A KR 900013483 A KR900013483 A KR 900013483A KR 960014010 B1 KR960014010 B1 KR 96001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lywheel
cooling air
chassis dynamometer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045A (ko
Inventor
후지모리 사다오
야마모또 아끼라
다네다 사또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이노구마 도끼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2350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587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255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85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2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85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38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85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3016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587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10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86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513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06589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이노구마 도끼히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Publication of KR910005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력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러 섀시 동력계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이고 도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 실시예의 섀시 동력계에 사용된 롤러를 장착하는 구조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실시예의 섀시 동력계에 사용된 동력계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A-A선을 따라 취해본 단면도.
제5도는 제1도 실시예의 섀시 동력계에 사용된 권선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1도 실시예의 섀시 동력계에 사용된 냉각 장치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 냉각 장치의 측면도.
제8도는 제6도 냉각 장치의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동력계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제9도 실시예의 섀시 동력계에 사용된 동력계에 델타 결선으로 형성된 고정자 코일의 회로도.
제11도는 제9도 실시예의 섀시 동력계에 또한 사용가능하며 스타결선으로 형성된 고정자 코일의 회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동력계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이고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제3실시예의 섀시 동력계에 사용된 롤러상에 플라이휠을 장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동력계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선 B-B을 따라 취해본 확대 단면도.
제16도 및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동력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1b : 하중 롤러 12a,12b : 자유 롤러
13,14 : 회전축 15,16 : 커플링
17 : 브레이크 20 : 롤러 동력계
21 : 고정자 코어 22 : 회전자 코어
26,27 : 회전 베어링 29 : 회전 아암
34a,34b : 중간 리프트 40a,40b : 롤러축
41a,41b : 플라이휠 42 : 브래킷
44 : 스토퍼 부재 54a,54b : 타이밍 풀
56 : 타이밍 벨트 57 : 체결 볼트
61 : 공기 안내부 62 : 공기 안내홈
63 : 연통 도관 65 : 냉각팬 유닛
본 발명은 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동력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섀시 동력계는 주행 저항, 상·하 경사 도로 및 차량 하중등을 모의 실험하여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섀시 동력계는 차량의 성능을 측정하거나 그리고/또는 연료 소비를 측정하기 위해 모의 도로 시험에 편리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섀시 동력계에 있어서 시험 조건을 적합하게 하는 것은 결과의 정확도를 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체 중량에 의해 다양하게 감지되는 관성 모멘트를 모의 실헙하는 것은 중요하다. 실제의 구동 중에 차량에 작용되는 관성 모멘트를 모의 실험하기 위해서는 플라이휠이 사용된다. 섀시 동력계의 전형적인 구조중의 하나는 1985년 8월 7일 공개된 일본국 특허 제1(미심사) 공개(도까이) 소60-149944에 기재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차량 관성 중량을 모의 실험하기 위해 플라이휠이 외부적으로 연결된 섀시 동력계가 기재되어 있다.
최근에, 두개의 롤러를 갖춘 쌍롤러형 섀시 동력계가 제안되었다. 롤러중 하나는 차량의 휠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되는 차량 접지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며, 특별히 자유 롤러로 불린다. 다른 휠은 플라이휠과 결합된다. 좀더 진보된 기술로써, 플라이휠이 그안에 장착된 자류 롤러가 개발·제안되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관성을 정확하게 모의실험하기 위해서는 플라이휠의 관성 모멘트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플라이휠의 관성 모멘트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은 관성 모멘트가 플라이휠의 네 동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플라이휠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플라이휠을 장착하는 공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플라이휠의 직경을 조절하기는 어렵다. 플라이휠을 장착하는 제한된 공간에 의해 무거운 플라이휠의 사용이 필요불가결해진다. 또한, 비교적 무거운 플라이휠이 자유 롤러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비틀림, 진동 및 소음 발생의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자유 롤러를 보강시켜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목적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동력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을 얻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동력계는, 회전가능한 축상에 지지되며 동력계를 형성하는 고정자 및 회전자가 그 안에 수납된 제1롤러와, 제1롤러와 동시회전되도록 이에 결합된 제2롤러와, 제2롤러와 회전되도록 이의 내부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동축으로 배열된 플라이휠 및 제2의 롤러에 대한 플라이휠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며 플라이휠을 제2롤러와 내부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해 플라이휠에 합체된 보유 수단을 구비하여 자동차의 성능에 대한 탁상 시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하는 섀시 동력계는, 회전가능한 축상에 지지되며 동력계를 형성하는 고정자 및 회전자가 그 안에 수납된 제1롤러와, 제1롤러와 동시 회전되도록 이에 결합된 제2롤러와, 제2롤러와 회전되도록 제2롤러의 내부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동축으로 배열된 플라이휠과, 제2롤러에 대한 플라이휠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며 플라이휠을 제2롤러의 내부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해 플라이휠에 합체된 보유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하는 섀시 동력계는 시험될 자동차의 한 방향에서 종축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를 향하는 제1롤러 유닛 및 시험될 자동차의 다른 방향에서 종축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를 향하는 제2롤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각 롤러 유닛은 회전가능한 축상에 지지되며 동력계를 형성하는 고정자 및 회전자가 그 안에 수납된 제1롤러와, 제1롤러와 동시 회전되도록 이에 결합된 제2롤러와, 제2롤러와 회전되도록 제2롤러의 내부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축방향으로 배열된 플라이휠과, 제2롤러에 대한 플라이휠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며 플라이휠을 제2롤러의 내부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해 플라이휠에 합체된 보유 수단을 포함한다.
고정자는 제1롤러 유닛의 대응 제1, 제2 및 제3단계 코일과 연속하여 연결된 제2롤러 유닛의 3단계 고정자 코일을 형성하는 제1, 제2 및 제3코일 주위에 권선된 고정자 코어를 갖는다. 이 경우에, 제1, 제2 및 제3코일의 연속 회로는 변환기 회로에 대한 델타 결선으로 연결된다. 이와 달리, 제1, 제2 및 제3코일의 연속 회로는 변환기 회로에 대한 스타 결선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고정자 코어는 제1롤러에 대해 이격되어 이 공간을 통해 냉각 공기의 축방향 유동을 허용하는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1롤러의 내주연상에 장착되기도 한다. 또 한편으로, 고정자 코어는 스페이서 브래킷중 인접한 것과의 사이에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그 내부에 외주연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스페이서 브래킷에 의해 제1롤러의 내주연상에 장착되기도 한다.
섀시 동력계는 또한, 냉각 공기 통로를 통해 제1롤러의 축방향으로 냉각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장치를 구비한다. 송풍장치는 공기를 축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송풍기와, 고정자 코어와 제1롤러 사이에 형성되어 외주연에 분포된 다수의 냉각 공기 통로를 통해 냉각 공기의 축방향 유동을 일으키도록 송풍기로 부터 방출된 냉각 공기를 외주연 방향으로 유도하는 공기 유동 안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공기 유동 안내부는 제1롤러의 한 축방향 단부쪽으로 개방되며 냉각 공기 통로의 방사상 위치에 대응하는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홈을 구비한다. 양호하게도, 공기 유동 안내부의 홈은 제1롤러의 회전이 홈의 전체 개방 단부에서 축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일으키기 위해 외주연 방향으로 공기 유동을 편향시킬 수 있는 크기로 제1롤러의 한 축방향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각 장착 브래킷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냉각 공기 보조 통로를 형성하는 원호형 부재를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고정자 코어는 구멍을 통해 냉각 공기 보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축방향 연장 구멍을 형성한다.
보유 수단은 제1롤러에 대해 분리가능한 스토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라이휠의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플라이휠의 방사상 내향으로 철회되는 보유 수단은 플라이휠에 지탱되고 제1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플라이휠의 외주면으로 부터 돌출하여 제1롤러를 통해 형성된 스토퍼 개구와 제2위치에서 결합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설명으로 부터 명확히 이해되며, 특정 실시예를 본 발명을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지 설명을 위해서 예시로써만 사용된다.
도면중 제1도에는 서로 이격배열되어 각각 시험될 자동차의 접지면에 대응하는 횡방향으로 위치한 한쌍의 롤러(11a,11b) 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동력계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롤러(11a,11b)는 하중 롤러로 하기에 언급된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중 롤러(11a,11b)는 차량의 구동축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회전축(13)을 거쳐 서로 연결된다. 커플링(15) 및 브레이크(17)는 공지된 방법으로 회전축(13)상에 제공된다. 한쌍의 자유 롤러(12a,12b)는 하중 롤러(11a,11b)에 평행하게 합체되도록 대응 방향에 제공된다. 자유 롤러(12a,12b)는 하중 롤러(11a,11b)와 유사하게 회전축(14)를 거쳐 서로 연결된다. 차량의 좌측 및 우측 구동휠 등의 각 구동휠은 하중 롤러 및 자유 롤러의 대응쌍(11a,12a 및 11b,11b) 사이에 위치한다. 회전축(14)은 커플링(16) 및 브레이크(17)를 구비한다.
롤러 동력계(20)는 하중 롤러(11a)내에 수납된다. 롤러 동력계(20)는 금속 고정자 코어(21)를 포함한다. 고정자 코어(21) 주위에는 회전자 코어(22)가 제공된다. 회전자 코일(22a)은 회전자 코어(22) 주위에 권선된다. 회전자 코어(2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착 브래킷(23)에 의해 하중 롤러(11a)의 롤러 몸체(19) 내주연에 장착된다. 한편, 고정자 코어(22)는 롤러 몸체(19) 내에 배열된 회전가능한 베어링(24,25)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회전 베어링(26,27)은 롤러 몸체(19)의 외측에 제공된다. 이들 회전 베어링(26,27)은 롤러 몸체(19)를 회전식으로 지지한다. 회전가능한 축(28)은 롤러 몸체(19)로부터 연장되며 회전 아암(29)에 결합된다. 회전 아암(29)의 한단부는 하중 요소(30)에 연결된다. 회전 아암(29)의 다른 단부는 레버 기구(29)를 거쳐 중량 매스(32)에 결합된다.
중간 리프트(34a,34b)는 하중 롤러와 자유 롤러(11a,12a 및 11b,12b)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에 마련된다. 중간 리프트(34a,34b)는 틈새로 부터 멀어지게 하기 위해 하중휠과 자유휠 사이의 틈새안으로 돌출하는 연장된 이치와 차량휠과 접축하지 않도록 틈새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는 철회된 위치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냉각팬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33)은 냉각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회전축(13) 및 (14)에 의해 각각 연결된 하중휠(11a,11b) 및 자유휠(12a,12b)은 한쌍의 타이밍 플리(54a,54b) 및 이 위로 연장되는 타이밍 벨트(56)과 함께 작용한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플라이휠(41a,41c)은 대응 자유 롤러(12a,12b)의 롤러축(40a,40b)상에 장착된다. 플라이휠(41a,41b)이 롤러축(40a,40b)으로부터 멀어지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유 롤러(12a,12b)의 축방향 단부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브래킷(42)이 제공된다. 브래킷(42)을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서 외주연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단면의 홈(43)이 각 자유 롤러(12a,12b)의 내주연에 형성된다. 원형 단면의 스토퍼 부재(44)는 이의 반부가 각 자유 롤러(12a,12b)의 내주연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홈(43)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환형 스토퍼 플랜지(45)는 스토퍼 부재(44)의 축방향 내측에 제공된다. 스토퍼 플랜지(45)는 절결부(45)에 서 스토퍼 부재(44)에 결합될 수 있도록 플랜지의 외주연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절결부(45a)로 형성된다. 스토퍼 플랜지(45)는 브래킷(42)을 통해 형성된 개구(42a)를 통해 연장되는 체결 볼트(46)와 결합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사관통 구멍(45b)을 형성한다. 한편, 브래킷(42)의 방사상 중앙부는 플랜지(48) 및 체결 볼트(48)에 의해 또 다른 베어링(50)으로 회전자축(40a,40b)에 장착된 베어링(49)에 또한 고정된다.
도시된 구조에서, 각 플라이휠(41a,41b)은 하기의 공정에 따라 자유 롤러(12a,12b) 중 합체된 하나의 내부 공간내에 장착된다. 우선, 스토퍼 부재(44)가 플라이휠(41a 또는 41b) 및 스토퍼 플랜지(45)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홈(42)으로부터 제거된다. 그 다음에, 브래킷(42)이 체결 볼트(46)를 나사 관통 구멍(45b)에 체결하고 체결 볼트(57)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이로써, 브래킷(42)이 자유 롤러(12a,12b)의 내부 공간에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추가의 관성 모멘트가 필요하면, 추가의 플라이휠(51a,51b)을 장착한다. 이 경우에, 체결 볼트(46,47)는 브래킷(42)을 제거시키기 위해 분리된다. 그 다음에, 스토퍼 부재(44)는 플랜지(45)가 자유 롤러(12a 또는 12b)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멀리 제거될 수 있도록 홈(43)에서 제거된다. 따라서, 추가의 플라이휠(51a,51b)을 삽입시키기 위한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브래킷(42)은 상술한 방법으로 재장착된다.
홈(43), 스토퍼 부재(44) 및 절결부(45)가 전체 외주연에 걸쳐 연장될 필요는 없다. 또한, 다수쌍의 홈, 스토퍼 부재 및 절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구조에서 플라이휠의 직경은 자유 롤러의 내부 공간내에 장착되기에 필요한 방사상 틈새를 없애기 위해 최대가 될 수 있다. 더우기, 도시된 구조는 차량휠 상에 부과될 관성 모멘트를 조정하기 위해 어떠한 수의 플라이휠을 장착하는 것도 용이하게 해준다. 이는 플라이휠에 의해 생성된 관성 모멘트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실제 구동 저항을 정확하게 모의 실험하게 해준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동력계의 동시된 실시예에 사용된 롤러 동력계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롤러 동력계(20)는 하중 롤러(11a)의 롤러 몸체(19)내에 수납된다. 회전자 코어(22)는 주어진 외주연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장착 브래킷(23)에 의해 장착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구조에서, 각 장착 브래킷(23)은 제4도에 도시된 C형 반원형 단면의 구조로 형성된다. 각 장착 브래킷(23)은 이의 상부에서 롤러 몸체(19)의 내주연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도시된 구조에서는 8개의 장착 브래킷(23)이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된다. 도시된 구조에서, 장착 브래킷(23)은 롤러 몸체(19)의 내주연과 외전자 코어(22)의 외주연 사이에 틈새를 제공하는 스페이서로써 작용한다. 이 틈새에 의해 냉각 공기가 이를 통해 유동할 수 있어서 회전자 코어(22)에서 방사된 열이 롤러 몸체(19)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롤러 몸체(19)는 차량을 마모시키지 않는 충분히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가능한 축(28)은 리이드선(35)이 연장되는 리이드선 수납공간(36)을 형성한다. 리이드선(35)은 한단부에서 롤러 동력계(20)의 고정자 코일에 연결된다. 리이드선(35)은 가요성 도체(39)를 거쳐 기부(37)를 통해 연장되는 연장선(38)에 연결된다. 기부(37)의 개구에는 그로밋(40,grommet)이 제공된다. 롤러 동력계(20)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비틀림 토오크가 리이드선(35)에 작용한다. 리이드선(35)상의 비틀림 토오크는 연장선(38)에 전달되지 않도록 가요성 도체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동력계의 제1실시예에 사용된 냉각 유닛(33)의 양호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냉각 유닛(33)은 정면도에서 대체로 환형링 형상인 공기 안내부(61)를 포함한다. 공기 안내부(61)는 외주연으로 연장되는 공기 안내홈(62)으로 형성된다. 공기 안내홈(62)은 하중 롤러(11a)의 한 축방향 단부에 근접하는 이의 한 측면에서 개방된다. 모터(67)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기 팬유닛 또는 냉각 팬유닛(65)은 플랜지(64,66)를 경유하여 유닛(65)에 연결되는 연통 도관(63)을 거쳐 공기 안내홈(62)과 연통하는 방출구를 갖는다.
도시된 구조에서, 송풍기 또는 냉각팬 유닛(5)으로부터 방출된 냉각 공기는 공기 안내홈(62)안에 도입된다. 하중 롤러(11a)가 회전되도록 구동되는 동안, 공기 안내홈(62)에 도입된 냉각 공기는 안내부를 따라 외주연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유동되도록 변류된다. 이 결과, 공기 안내홈(62)을 통한 일정한 수준의 냉각 공기 분재가 이루어진다. 한편, 공기 안내홈(62)내의 공기는 하중 롤러(11a)의 내부 공간을 통해 축방향으로 흐른다. 회전자 코어가 상술한 장착 구조를 가짐으로써, 회전자 몸체에 대한 만족스러운 냉각 효율이 얻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도입된 상술한 구조의 냉각 장치는 종래의 냉각 장치에 비해 냉각 공기가 하중 롤러의 외주연을 향해 유동되는 장점을 갖는다. 즉, 도시된 실시예서는 외주연 방향으로 향하도록 유도된 공기 유동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구동 토오크를 측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반력이 도입된다. 더우기, 냉각 유닛은 하중 롤러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냉각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실질적인 공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하중 롤러(11a,11b)의 롤러 동력계(20)에 있는 고정자 코어(21) 주위에 권선된 고정자 코일은 3단계 코일이다. 제9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중 롤러(11a)와 합체된 롤러 동력계의 3단계 코일은 U1, V1및 W1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하중 롤러(11b)와 합체된 롤러 동력계의 3단계 코일은 U2, V2및 W3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3단계 코일 U1, V1: V1, V2및 W1, W2는 각각 변환기(INV)에 대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대응 코일 U1, V1: V1, V2및 W1, W2의 연속 회로는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변환기(INV)에 대해 접속점(C1,C2및 C3)에서 델타 결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연속회로는 제11도에 도시된 것처럼 스타 결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두가지 경우에서, 두 롤러 동력계(20)의 대응 코일이 연속해서 연결되기 때문에 임피던스의 차이 또는 변동의 영향을 성공적으로 피할 수 있다.
제12도 및 제13도는 롤러 동력계(101)를 갖는 하중 롤러(102)와 플라이휠(116,117,118 및 119)을 갖는 자유휠(110,111)은 공통 회전축(107)상에 지지된다. 회전축(107)은 회전 베어링(112,113,114 및 115)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축(107)은 또한 베어링(108,109)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회전축(107)은 중량 메스(122)로 레버기구(121)에 합체된 회전아암에 연결된다.
제13도에 도시된 것처럼, 플라이휠(118)은 방사상 연장구멍으로 연장된다. 방사상 연장구멍(123)은 키이부재(124)안에 수납된다. 구멍의 내주연에는 필수적으로 V 형상인 리세스쌍(125a,125b 및 126a,126b)이 서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게 형성된다. 스프링(127a,127b) 및 볼(128a,128b)을 포함하며 키이부재(124)에 형성된 수납구멍(130a,130b)내에 수납된 한쌍의 클러치(129a,129b)는 리세스쌍(125a,125b 및 126a,126b) 중에서 하나와 결합한다. 방사상 원통형 단부(131)는 플라이휠(118)이 자유휠(111)에 장착될때 방사상 개구(132)에 결합되는 형상을 갖는다. 육각구멍(137)은 원통형 단부(131)를 통해 형성된다.
플라이휠(118)을 해제하기 위해서 육각구멍(137) 및 핸들(134)을 형성하는 육각헤드를 갖는 공구(133)가 사용된다. 육각헤드(136)는 육각구멍(137)에 삽입된다. 이 지점에서 공구(133)는 클러치(129a,129b)를 결합하도록 키이(124)를 상방으로 누르도록 더 눌리며 리세스(126a,126b)의 방사상 내부쌍과 결합된다. 이 지점에서 키이(124)의 외딘부는 플라이휠(118)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구멍(123)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플라이휠은 관성을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용이하게 제거되며 대체된다.
유사한 장착구조가 플라이휠(116,117 alc 119)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논의되었으나,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실시예 및 변경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의 롤러 동력계의 구조는 제14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 것처럼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자 코어(222)는 다소의 축방향 연장 관통개구(222a)로 형성된다. 또한 장착 브래킷(223)은 제1실시예에의 브래킷으로부터 변형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 다수의 돌출부(223a)를 갖는 장착 브래킷(223)은 주어진 간격으로 회전자 코어(222)로 장착된다. 제15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것처럼, 장착 브래킷(223)은 회전자 코어(222)의 외주연으로부터 방사상돌출된다. 롤러 동력계의 다른 구조는 상술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각각 대응 부품은 제1실시예의 도면 부호보다 200 더 큰 부호로 도시되어 있다.

Claims (25)

  1.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섀시 동력계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축상에 지지되며 동력계를 형성하는 고정자 및 회전자가 그 안에 수납하고 있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의 동시 회전을 위해 이에 결합된 제2롤러와, 그 안에서의 회전을 위해 제2롤러의 내부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동축으로 배열된 플라이휠과, 제2롤러에 대한 플라이휠과, 제2롤러에 대한 플라이휠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며 상기플라이휠을 제2롤러의 내부 공간내에 분리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플라이휠에 합체된 보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자는 냉각 공기의 축방향 유동을 허용하는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제1롤러에 대해 이격되게 이의 내주연에 확고하게 장착된 고정자 코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자 코어는 스페이서 브래킷 중의 인접한 하나와의 사이에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내부에 외주연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스페이서 브래킷에 의해 제1롤러의 내주연상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4. 제3항에 있어서, 냉각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제1롤러의 축방향으로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기 위해 송풍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5. 제4항에 있어서, 송풍기 유닛은 축방향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기와, 고정자 코어와 제1롤러 사이에 형성되어 외주연적으로 분포된 다수의 냉각 공기 통로를 통해 냉각 공기의 축방향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 송풍기에서 방출된 냉각 공기를 외주연 방향으로 유도하는 공기 유동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6. 제5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 안내부는 냉각 공기 통로의 방사상 위치에 대응하는 방사상 위치에서 연장되며 제1롤러의 한 축방향 단부쪽으로 개방되는 환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7. 제6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 안내부의 홈은 이의 전체 개구에 걸쳐 축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일으키기 위해 제1롤러의 회전이 공기 유동을 외주연 방향으로 변류시킬 수 있는 범위로 제1롤러의 한 축방향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8. 제4항에 있어서, 각 장착 브래킷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원호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9. 제4항에 있어서, 고정자 코어는 이를 통해 보조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10. 제1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제1롤러에 대해 분리가능한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11. 제1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스토퍼 부재가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하여 제1롤러를 통해 형성된 스토퍼 개구와 결합하는 제1위치와 보유수단이 플라이휠의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플라이휠의 철회된 내측에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플라이휠로 지지된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12.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섀시 동력계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축상에 지지되며 동력계를 형성하는 고정자 및 회전자를 그 안에 수납하고 있는 제1롤러와, 이 제1롤러와의 동시 회전을 위해 이에 결합된 제2롤러 및 이 제2롤러와의 회전을 위해 이의 내부 공간 내에 분리가능하게 동축으로 배열된 플라이휠을 각각 가지며 시험될 자동차의 한방향으로 종축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있는 제1롤러 유닛과, 시험될 자동차의 다른 방향으로 종축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있는 제2롤러 유닛과, 제2롤러에 대한 플라이휠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며 플라이휠을 제2롤러의 내부 공간내에 분리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플라이휠에 합체된 보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13. 제12항에 있어서, 고정자는 제2롤러 유닛의 각각의 제1,제2 및 제3코일이 제1롤러 유닛의 제1, 제2 및 제3대응 코일에 대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3단계 고정자 코일을 형성하는 제1, 제2 및 제3코일 둘레에 권선된 고정자 코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제2 및 제3코일의 연속 회로는 변환기 회로에 대해 델타 결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제2 및 제3코일의 연속 회로는 변환기 회로에 대해 스타 결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16. 제15항에 있어서, 고정자 코어는 냉각 공기의 축방향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제1롤러에 대해 이격되게 이의 내주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17. 제16항에 있어서, 고정자 코어는 스페이서 브래킷중의 인접한 하나와의 사이에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내부에 외주연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브래킷에 의해 제1롤러의 내주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18. 제17항에 있어서, 냉각 공기 통로를 통해 제1롤러의 축방향으로의 냉각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19. 제18항에 있어서, 송풍기 유닛은 축방향 공기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기와, 고정자 코어와 제1롤러 사이에 형성되어 외주연적으로 분포된 다수의 냉각 공기 통로를 통해 축방향 냉각 공기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 송풍기에서 방출된 냉각 공기를 외주연 방향으로 유도하는 공기 유도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20. 제19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 안내부는 냉각 공기 통로의 방사상 위치에 대응하는 방사상 위치에서 연장되며 제1롤러의 한 축방향 단부쪽으로 개방되는 환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21. 제20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 안내부의 홈은 이의 전체 개구에 걸쳐 축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일으키기 위해 제1롤러의 회전이 공기 유동을 외주연 방향으로 변류시킬 수 있는 범위로 제1롤러의 한 축방향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22. 제18항에 있어서, 각 장착 브래킷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원호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23. 제18항에 있어서, 고정자 코어는 이를 통해 보조 냉각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24. 제12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제1롤러에 대해 분리가능한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25. 제12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은 스토퍼 부재가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하여 제1롤러를 통해 형성된 스토퍼 개구와 결합하는 제1위치와 보유수단이 플라이휠의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플라이휠의 철회된 내측에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플라이휠로 지지된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동력계.
KR1019900013483A 1989-08-31 1990-08-30 동력계 KR960014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2597 1986-10-13
JP10235089U JPH0645870Y2 (ja) 1989-08-31 1989-08-31 ツインローラ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ローラ装置
JP1225528A JP2748585B2 (ja) 1989-08-31 1989-08-31 ローラダイナモメータ
JP102350 1989-08-31
JP225528 1989-08-31
JP1242597A JP2748593B2 (ja) 1989-09-19 1989-09-19 フライホイール内蔵のローラダイナモメータ
JP1243883A JP2748594B2 (ja) 1989-09-20 1989-09-20 ローラダイナモメータ
JP243883 1989-09-20
JP11301689U JPH0645871Y2 (ja) 1989-09-27 1989-09-27 ローラダイナモメータにおける冷却装置
JP113016 1989-09-27
JP1261023A JP2748600B2 (ja) 1989-10-05 1989-10-05 ローラダイナモメータ
JP261023 1989-10-05
JP1651390U JP2506589Y2 (ja) 1990-02-21 1990-02-21 ロ―ラダイナモメ―タにおけるリ―ド線接続装置
JP16513 1990-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045A KR910005045A (ko) 1991-03-29
KR960014010B1 true KR960014010B1 (ko) 1996-10-11

Family

ID=2756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483A KR960014010B1 (ko) 1989-08-31 1990-08-30 동력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63773A (ko)
EP (1) EP0424636B1 (ko)
KR (1) KR960014010B1 (ko)
DE (1) DE6902331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076Y2 (ja) * 1990-02-06 1999-04-19 株式会社明電舎 フラット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
JP2841726B2 (ja) * 1990-05-30 1998-12-24 株式会社明電舎 ツインローラシャーシダイナモメータ
US5375461A (en) * 1991-06-24 1994-12-27 Kabushiki Kaisha Meidensha Control system for chassis dynamometer for simulating road test of automotive vehicle
US5533388A (en) * 1994-02-23 1996-07-09 Kabushiki Kaisha Meidensha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ally isolating an automobile
DE10207110A1 (de) * 2002-02-20 2003-08-28 Maha Gmbh & Co Kg Rollenprüfstand für Kraftfahrzeug
US20060217237A1 (en) * 2004-12-30 2006-09-28 Rhodes Jeffrey F Exercise apparatus
EP2225542A2 (en) * 2007-12-04 2010-09-08 Techlusion Corporation Dynamometer
KR101629528B1 (ko) * 2008-09-08 2016-06-21 버크 이. 포터 머쉬너리 컴퍼니 차량 검사 조립체
DE102009022675A1 (de) 2009-05-26 2010-12-16 Horiba Europe Gmbh Prüfstand mit temperaturgesteuertem Kühlgebläse
JP5605383B2 (ja) * 2012-02-29 2014-10-15 株式会社明電舎 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
DE102015224638A1 (de) 2015-12-08 2017-06-08 Zf Friedrichshafen Ag Radkraftdynamometer zur Messung von Reifenkräften
DE102015224636A1 (de) 2015-12-08 2017-06-08 Zf Friedrichshafen Ag Radkraftdynamometer zur Messung von Reifenkräft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72203A5 (ko) * 1973-11-09 1976-01-30 Leschot Georges Andre
US4077255A (en) * 1975-10-24 1978-03-07 Hitachi, Ltd. Roller type chassis dynam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4636A2 (en) 1991-05-02
EP0424636B1 (en) 1995-11-02
KR910005045A (ko) 1991-03-29
US5063773A (en) 1991-11-12
DE69023313D1 (de) 1995-12-07
DE69023313T2 (de) 1996-03-28
EP0424636A3 (en)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010B1 (ko) 동력계
US6247357B1 (en) Dynamometer for simulating the inertial and road load forces encountered by motor vehicles and method
JP2007298359A (ja)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
EP0441298A1 (en) Flat belt type chassis dynamometer with compact construction
US20100251832A1 (en) Dynamometer
US5676025A (en) Apparatus for balancing a rotary member
JP2010071864A (ja) カップリング試験装置及び方法
US5861552A (en) Chassis dynamometer
JP3444163B2 (ja) エンジンおよびドライブトレーンの性能試験装置とトルク検出装置
EP0418830B1 (en) Chassis dynamometer
US20020043102A1 (en) Roller type test stand for testing motor vehicles and/or tires
US20010042401A1 (en)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speeds and torques and for the simulatio of driving conditions on a driven shaft for a motor vehicle wheel
JPH06129508A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WO2023287881A1 (en) Motor encoder assembly providing optimized sensor alignment
US8015863B2 (en) Chassis dynamometer having an eddy current brake with adjustable air gap and modular components
WO1999012011A1 (en) Snowmobile dynamometer
JPH0348514Y2 (ko)
JP2003098041A (ja) エンジン補機駆動用ベルト装置の性能評価方法
JPH0618352A (ja)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ー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CN209372421U (zh) 一种汽车同步器的扭矩测试装置
JPH0645227Y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試験装置
KR200160620Y1 (ko) 드래그토오크측정용 지그장치
CA1288973C (en) Flywheel assembly for dynamometers
JP2508733Y2 (ja) シャ―シ―ダイナモメ―タの軸受構造
JPH03779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