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807B1 -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807B1
KR960012807B1 KR1019940027866A KR19940027866A KR960012807B1 KR 960012807 B1 KR960012807 B1 KR 960012807B1 KR 1019940027866 A KR1019940027866 A KR 1019940027866A KR 19940027866 A KR19940027866 A KR 19940027866A KR 960012807 B1 KR960012807 B1 KR 960012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rotating member
suction port
suction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838A (ko
Inventor
기미오 사사다
아쓰오 하마다
도오루 오이께
도시나리 고바야시
도시유끼 후지요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078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628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2723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06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4000510U external-priority patent/JP3000884U/ja
Priority claimed from JP02040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6454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제2도는 동사시도.
제3도는 한쪽의 회전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하면도.
제4도는 동단면도.
제5도는 다른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6도는 차륜과 회전부재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5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4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차륜과 회전부재의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동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동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동도의 저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중 좌측절단부를 90도 회전시킨 단면도.
제16도는 동도의 주요부 분해도.
제17도는 동도면중 좌측의 회전부재 및 축받이를 떼어낸 하면도.
제18도는 동 흡입구본체의 분해저면도.
제19도는 제15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20도는 제15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21도는 제17도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제22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5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제23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중 좌측절단부를 90도 회전시킨 단면도.
제24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중 좌측절단부를 90도 회전시킨 단면도.
제25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중 좌측절단부를 90도 회전시킨 단면도.
제26도는 제25도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제27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중 좌측절단부를 90도 회전시킨 단면도.
제28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중 좌측절단부를 90도 회전시킨 단면도.
제29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중 양측절단부를 90도 회전시킨 단면도.
제30도는 동도의 주요부 분해도.
제31도는 제29도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제32도는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중 양측절단부를 90도 회전시킨 단면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흡입구본체의 평면도.
제34도는 동도의 주요부 분해도 및 동도면중 좌측의 회전부재 및 축받이를 떼어낸 하면도.
제35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중 좌측의 회전부재 및 축받이를 떼어낸 하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101. 201. 301 : 흡입구본체2. 104. 204. 304 : 접속관
4. 109. 206. 306 : 흡기구6 : 리브
8. 110. 219. 319 : 회전부재9. 113. 222. 203. 322 : 개방구
114 : 곡면부115 : 저면
202 : 통형상체207 : 돌기
210 : 커버211 : 지지부
215 : 축받이218, 318 : 축지지부
231 : 돌기223. 234 : 돌출부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접속해서 이부자리나 커어튼등을 청소하는 때에 사용되는 흡입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흡입구로서 원통상의 흡입구본체에 다공상의 회전부재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이 일본국 특개소 54-158068호 공보(92 (3) D101.9) 및 일본국 실개소 52-79761호 공보(92 (3) (D101.9)로서 알려져 있다. 이들 흡입구는 흡입구본체의 외부원주하부에 형성한 흡기구로부터 회전부재를 거처서 먼지등을 흡입하여 흡입구본체측면에 설치한 파이프로부터 전기청소기에 집진하도록 되어있다.
또 일본국 실개소 52-79761호 공보(92 (3) (D101.9)에 나타나 있는 흡입구는 외부원주하부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흡입구본체측면에 끼워맞추어 접착되고 전기청소기에 접속되는 파이프를 압입한 흡입구 뚜껑과 흡입구 뚜껑의 파이프지지부 외부원주에 흡입구 뚜껑과 파이프와의 사이에 이탈저지하게 지지되고 흡입구본체외부원주를 회전이 자유롭게 덮는 다공상의 회전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소 54-15806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흡입구에 있어서의 회전부재는 흡입구본체 외부원주전면을 덮는 1매의 환상의 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의 이동방향의 변경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고 청소작업성이 나쁜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회전부재는 단순히 망상으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머리칼이나 실보무라지가 걸리고 피청소면을 깨끗이 청소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회전부재는 흡입구본체 외부원주전면에 맞닿고 있기때문에 흡입구본체에 대한 마찰저항이 크게되고 이동성이 나쁘고 청소작업성이 나쁜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회전부재는 원통상의 흡입구본체 외부원주전면을 덮는 1매의 환상의 망으로 구성되어 흡입구는 원통부의 일부를 절단해서 형성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흡입구본체가 이부자리나 커어튼속으로 가라앉기때문에 흡입구본체의 이동성이 나빴다.
또 상기한 회전부재를 흡입구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회전부재의 양단부에 나사를 설치하여 그 나사에 대응하도록 원판의 외부원주에도 나사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소 54-158068호 공보에 기재된 흡입구에 있어서의 접속관은 흡입구본체 측면에 고착되어 있기때문에 압인조작에 수반하여 흡입구본체의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각도가 변화하고 피청소면에 대한 흡입구의 거리 각도가 변화해서 흡인력이 변화하고 청소의 불균일이 생기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국 실개소 52-79761호 공보에 기재된 흡입구는 흡입구본체 흡입구뚜껑 및 회전부재가 분리되지 않기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회전부재의 구멍에 머리칼등이 얽히는등해서 회전부재의 회전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고 청소작업성이 저하하거나 흡입구본체의 흡입구에 얽힌 머리칼에 먼지가 부착해서 흡입효율이 저하하는등의 불합리한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 접속관을 흡입구뚜껑에 압입시키는 구성이기때문에 접속관과 흡입구뚜껑의 제조오차등에 의해 접속관을 강고히 유지할수 없고 청소중에 접속관으로부터 흡입구뚜껑이 벗겨저버릴 우려가 있는등 청소작업성이 나쁜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회전부재는 전체가 동일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청소작업중에 회전부재가 흡입구본체에 밀어붙여져서 회전부재의 다수의 구멍이 흡입구본체의 흡입구에 걸려서 회전부재의 회전이 양호하게 행해지지않게 되고 이동성이 저하해서 청소작업성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작업성 및 청소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입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부재 및 흡입구본체의 보수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입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관을 흡입구본체에 강고히 유지할수 있고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형태는 대략중앙부분에 전기청소기에 접속되는 접속관을 갖는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양측의 외부원주하부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한 흡입구본체 양측외부원주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이다.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의 대략중앙부분에 전기청소기에 접속되는 접속관을 갖는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외부원주하부의 대략 전면에 걸쳐서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한 흡입구본체양측 외부원주부에 설치된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이다.
본 발명의 제3의 형태는 대략 중앙부분에 전기청소기에 접속되는 접속관을 갖는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양측의 외부원주하부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한 흡입구본체양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차륜과 그 차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흡입구본체양측 외부원주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이다.
본 발명의 제4의 형태는 외부원주하부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흡입구본체 외부원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 그 회전부재에 형성되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입구본체의 흡기구에 연통하는 작은구멍보다 개방구면적이 큰 개방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이다.
상기한 회전부재에 형성된 개방구가 흡입구본체의 흡입구와 대략 동일형상의 개방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흡기구와 상기한 회전부재에 형성된 개방구가 다같이 가로로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의 형태는 외부원주하부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의 외부원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 상기한 흡입구본체외부원주에 형성되고 회전부재에 맞닿는 리브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의 형태는 외부원주하부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외부원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 그 회전부재내면에 형성되고 흡입구본체에 맞닿는 환상리브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형태는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평면부를 갖고 전후로 곡면부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외부원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 상기한 흡입구본체에 설치되고 전기청소기에 접속되는 접속관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의 형태는 전기청소기에 연통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말단부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설치된 축받이와 그 축받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서 흡입구본체 외부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의 형태는 전기청소기에 연통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말단부를 개방한 흡입구본체과 그 흡입구본체말단부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되어서 흡입구본체말단부의 개방구를 폐색시키는 축받이와 그 축받이에 회전이 자유롭고 또한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되어서 흡입구본체외부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의 형태는 전기청소기에 연통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설치된 축받이와 그 축받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서 흡입구본체외부 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축받이를 저마찰저항재료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의 형태는 대략중앙부에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흡입구본체양측 외부원주를 덮고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흡입구본체는 대략 중앙부에 접속관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그 지지부가 임하는 개방구를 형성한 통형상체와 그 통형상체의 개방구를 폐쇄시키는 커버로 구성하고 상기한 접속관을 지지부와 커버로 끼워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의 형태는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외부원주를 덮고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회전부재외부원주에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의 형태는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외부원주를 덮고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회전 부재외부원주에 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흡입구본체의 상기한 돌출부에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부재내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의 형태는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외부원주를 덮고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회전부재외부원주에 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회전부재내면의 돌출부에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흡입구본체내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의 형태는 전기청소기에 연통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긴구멍형상의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외부원주를 회전이 자유롭게 덮는 회전부재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회전부재에 회전부재의 회전에 수반해서 흡입구에 연통하는 개방구를 형성하고 상기한 흡입구와 개방구가장자리와 회전부재의 개방구 가장자리를 교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6의 형태는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단말부에 형성된 축지지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흡입구본체외부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 상기한 흡입구본체말단부에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회전부재를 이탈저지시키는 지지부재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7의 형태는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외부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 그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갖고 상기한 흡입구본체말단부에 장착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한 흡입구본체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서 회전부재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의하면 피청소면의 먼지는 흡입구본체의 흡기구로부터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을 거쳐서 흡입된다. 흡입구본체를 이동시키면 회전부재가 피청소면과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 흡입구본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회전부재는 흡입구본체의 양측으로 각각 독립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의 이동방향이 용이하게 변경된다.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에 의하면 피청소면의 먼지는 흡입구본체의 대략 전면에 걸쳐 형성한 흡기구로부터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을 거처서 흡인된다.
흡입구본체를 이동시키면 회전부재가 피청소면과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 흡입구본체의 이동에 수반해서 회전한다. 회전부재는 흡입구본체의 양측에 각각 독립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의 이동방향이 용이하게 변경된다.
본 발명의 제3의 형태에 의하면 피청소면의 먼지는 흡입구본체의 흡기구로부터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을 거처서 흡입된다. 흡입구본체를 이동시키면 차륜의 회전에 수반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한다. 차륜 및 회전부재는 흡입구본체의 양측에 각각 독립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의 이동방향이 용이하게 변경된다.
본 발명의 제4의 형태에 의하면 피청소면의 먼지는 흡기구로부터 회전부재의 작은구멍 및 개방구를 거쳐서 흡입된다. 회전부재에는 개방구면적이 큰 개방구를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작은구멍에서의 흡인력보다 개방구에서의 흡인력이 강하게되고 머리칼이나 실밥등은 개방구를 거쳐서 흡입구본체의 흡기구로 흡인되고 회전부재에 걸리는 일이없다.
본 발명의 제5의 형태에 의하면 피청소면의 먼지는 흡입구본체의 흡기구로부터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을 거쳐서 흡인된다. 흡입구본체를 이동시키면 회전부재가 피청소면과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 흡입구본체의 이동에 수반해서 회전한다. 회전부재는 흡입구본체 외부원주에 형성된 리브에 맞닿는 것 뿐이기 때문에 흡입구본체와의 마찰저항이 적게되어 용이하게 회전하고 흡입구본체의 이동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6의 형태에 의하면 피청소면의 먼지는 흡입구본체의 흡기구로부터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을 거쳐서 흡인된다. 흡입구본체를 이동시키면 회전부재가 피청소면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흡입구본체의 이동에 수반해서 회전한다. 회전부재는 회전부재에 형성한 리브에 의해 흡입구본체에 맞닿기 때문에 흡입구본체와의 마찰저항이 적게되어 용이하게 회전하고 흡입구본체의 이동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7의 형태에 의하면 피청소면의 먼지는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을 거쳐서 흡입구본체의 흡기구로부터 흡인된다. 흡입구본체를 이동시키면 회전부재가 피청소면과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 흡입구본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회전부재는 흡입구본체의 평면부에 따라 이동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와 피청소면(이부자리나 커어튼)와의 접촉면적이 크고 흡입구본체에 이부자리나 커어튼이 얽히지않고 원활하게 흡입구본체를 이동시킬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8의 형태에 의하면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흡입구본체가 이동한다.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은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으로부터 흡입구를 거쳐서 흡입구본체로 흡인되고 접속관을 거처서 전기청소기에 집진된다. 회전부재나 흡입구본체에 얽혀있는 머리칼등을 제거하는때에는 축받이를 흡입구본체로부터 떼어내고 회전부재를 흡입구본체로부터 분리해서 보수를 행한다.
본 발명의 제9의 형태에 의하면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흡입구본체가 이동한다.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은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으로부터 흡입구를 거쳐서 흡입구본체에 흡입되고 접속관을 거쳐서 전기청소기에 집진된다. 회전부재나 흡입구본체에 얽혀있는 머리칼등을 제거하는때에는 축받이로부터 회전부재를 떼어내어 흡입구본체 및 회전부재의 보수를 행한다. 또 흡입구본체로부터 축받이를 떼어내어 흡입구본체말단부의 개방구로부터 흡입구본체의 보수를 행한다.
본 발명의 제10의 형태에 의하면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흡입구본체가 이동한다. 축받이는 저마찰저항재료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회전부재의 회전성능이 향상되고 청소작업성이 향상된다.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은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으로부터 흡입구를 거쳐서 흡입구본체로 흡인되고 접속관을 거쳐서 전기청소기로 집진된다. 회전부재나 흡입구본체에 얽혀있는 머리칼등을 제거하는때에는 축받이를 흡입구본체로부터 떼어내어 흡입구본체와 회전부재를 분리해서 보수를 행한다.
본 발명의 제11의 형태에 의하면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하여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흡입구본체가 이동한다.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은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으로부터 흡입구를 거쳐서 흡입구본체에 흡인되고 접속관을 거쳐서 전기청소기에 집진된다. 접속관은 흡입구본체에 형성한 지지부와 커버와의 사이에서 끼워갖게 되어 확실히 지지되고 청소중에 탈락할 염려가 없다. 또 흡입구본체의 중앙부에 접속관을 양측에 회전부재를 배치하므로서 균형 및 이동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커버는 흡입구본체하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관을 손상하는 일이없다.
본 발명의 제12의 형태에 이하면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하여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흡입구본체가 이동한다.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은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으로부터 흡입구를 거쳐서 흡입구본체에 흡인되고 접속관을 거쳐서 전기청소기에 집진된다. 회전부재외부원주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회전부재가 흡입구본체에 밀어붙여지기 어렵게되고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의 개방구가장자리가 흡입구본체의 흡입구의 개방구가장자리에 걸려서 회전부재의 회전을 저해하는 일이없고 이동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3의 형태에 의하면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흡입구본체가 이동한다.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은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으로부터 흡입구를 거쳐서 흡입구본체에 흡인되고 접속관을 거쳐서 전기청소기에 집진된다.
흡입구본체에 형성한 돌기에의해 회전부재와 흡입구본체와의 사이에 간격을 갖기때문에 피청소면이 흡입구본체의 흡입구를 덮는 일이없고 흡입성능이 저하하는 일이 없음과 동시에 흡입구본체와 회전부재와의 마찰저항이 저하하여 이동성이 향상된다. 또 회전부재외부원주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돌출부에 대략 대향해서 흡입구본체로부터 회전부재내면에 맞닿거나 근접하는 돌기를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회전부재가 흡에 밀어붙여지기 어렵게되고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의 개방구가장자리가 흡입구본체의 흡입구의 개방구가장자리에 걸려서 회전부재의 회전을 저해하는 일이없고 이동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4의 형태에 의하면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하여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흡입구본체가 이동한다.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은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으로부터 흡입구를 거쳐서 흡입구본체에 흡인되고 접속관을 거쳐서 전기청소기에 집진된다. 회전부재내면에 형성한 돌기에의해 회전부재와 흡입구본체와의 사이에 간격을 갖기때문에 피청소면이 흡입구본체의 흡입구를 덮는 일이없고 흡인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음과 동시에 흡입구본체와 회전부재와의 마찰저항이 저하하고 이동성이 향상된다. 또 회전부재외부원주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에 대략 대향해서 회전부재내면에 맞닿거나 혹은 근접하는 돌기를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회전부재가 흡입구본체에 밀어붙여지기 어렵게되고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의 개방구가장자리가 흡입구본체의 흡입구의 개방구가장자리에 걸려서 회전부재의 회전을 저해하는 일이없고 이동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5의 형태에 의하면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흡입구본체가 이동한다. 청소동작에 수반해서 회전부재가 피청소면에 눌려서 내경방향으로 변형하지만 회전부재의 개방구가장자리와 흡입구의 개방구가장자리와를 교차시키고 있기때문에 회전부재의 개방구가장자리와 흡입구의 개방구가장자리가 걸리는 일이없고 회전부재는 원활하게 회전한다.
본 발명의 제16의 형태에 의하면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흡입구본체가 이동한다.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은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으로부터 흡입구를 거쳐서 흡입구본체에 흡인되고 접속관을 거쳐서 전기청소기에 집진된다. 또 지지부재를 흡입구본체로부터 떼어내어 회전부재를 흡입구본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전부재나 흡입구본체에 얽힌 머리칼등을 제거하는등의 보수를 행한다.
본 발명의 제17의 형태에 의하면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흡입구본체가 이동한다.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은 회전부재의 작은구멍으로부터 흡입구를 거쳐서 흡입구본체에 흡인되고 접속관을 경유해서 전기청소기에 집진된다. 또 지지부재를 흡입구본체로부터 떼어내어 회전부재를 흡입구본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전부재나 흡입구본체에 얽혀있는 머리칼을 제거하는등의 보수를 행한다. 또 회전부재의 축지지부를 지지부재에 형성하므로서 구성이 간소화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에 기초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1)은 합성수지제의 흡입구본체로서 대략 티(T)자형상의 접속관(2)와 개방된 한쪽을 상기한 접속관(2)의 개방구가장자리에 융착고정되는 한쌍의 대략 원통형상통체(3)으로 구성되어 있다.
(4)는 접속관(2)의 외부원주하부에 천공한 복수의 흡기구, (5)는 상기한 통체(3)의 외부원주하부에 천공한 다수의 흡기구, (6)은 통체(3)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환상의 리브(rib)로서 통해(3)의 외형보다 큰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7)은 흡입구본체(1)의 양단에 장착되는 합성수지제의 차륜으로서 흡입구 본체(1)의 양단에 돌출형성되는 축지지부(10)에 축구멍(11)을 삽입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축지지부(10)에 나사부착되는 지지부재가 되는 나사(12)의 와셔에의해 탈락방지되어 있다. 상기한 차륜(7)은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후술하는 회전부재(8)의 말단부를 삽입성형에의해 또는 회전부재(8)의 말단부를 차륜(7)에 형성한 홈에 삽입해서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 하고 차륜(7)의 회전에 수반해서 회전부재(8)이 회전하게 되어 있다.
(8)은 상기한 흡입구본체(1)의 통체(3)의 외부원주에 헐겁게 끼워지는 망상의 회전부재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등의 합성수지나 고무등의 피청소면과의 마찰저항이 크고 유연한 재료로서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8)은 통체(3)의 외부원주에 헐겁게 끼워진상태에서 통체(3)의 리브(6)에 맞닿고 통체(3)의 외부원주와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9)는 회전부재(8)에 천공된 복수의 개방구로서 흡입구본체(1)의 통체(3)의 외부원주 하부에 천공한 흡기구(5)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해서 접속관(2)을 도시하지 않은 전기청소기에 접속하여 이부자리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흡입구본체(1)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차륜(7) 및 회전부재(8)이 피청소면에 맞닿기때문에 피청소면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흡입구본체(1)의 이동에 수반해서 차륜(7) 및 회전부재(8)이 회전한다. 회전부재(8)은 흡입구본체(1)에 형성한 환상의 리브(6)에 접촉해서 회전하기때문에 흡입구본체(1)과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수가 있고 흡입구본체(1)의 이동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흡입구본체(1)은 양측에 차륜(7) 및 회전부재(8)을 각각 독립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있기때문에 흡입구본체(1)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때에도 용이하게 이동방향을 변경할 수가 있다. 또 차륜(7)을 회전부재(8)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해서 회전부재(8)의 말단부를 차륜(7)로서 덮고있기때문에 회전부재(8)의 말단부가 피청소면에 걸려서 이동성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전기청소기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본체(1)의 통체(3)의 외부원주하부에 천공한 흡기구(5)로부터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을 집진하지만 리브(6)에 의해 통체(3)의 외부원주와 회전부재(8)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청소기의 흡인력에 의해 피청소면이 흡입구본체(1)의 흡기구(5)를 덮는 일은 없고 양호한 집진기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회전부재(8)에는 흡입구본체(1)의 흡기구(5)와 연통하는 개방구(9)를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회전부재(8)의 회전에 수반해서 흡입구본체(1)의 흡기구(5)와 개방구(9)가 합치한 위치에서 머리칼이나 실보무라지등의 비교적 큰 쓰레기도 확실히 흡인시킬 수가 있다.
또 흡입구본체(1)의 접속관(2)의 외부원주하부에 복수의 흡기구(4)를 천공하고 있기때문에 흡입구본체(1)의 하부전체로 집진할 수가 있고 청소의 불균일을 발생시키는 일이없다.
회전부재(8)의 다수의 작은구멍에 머리칼등이 부착한 경우등에는 나사(12)를 풀어서 회전부재(8)을 흡입구본체(1)로부터 떼어내어 회전부재(8) 및 흡입구본체(1)을 각각 수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브(6)을 흡입구본체(1)의 통체(3)의 외부원주에 환상으로 형성했으나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흡입구본체(1)의 외부원주하부에 원호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구성이면 흡입구본체(1)의 통체(3)와 회전부재(8)과의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흡입구본체(1)과 통체(3)과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리브(6)을 회전부재(8)에 환상으로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또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차륜(7)의 외부원주에 회전부재(8)의 말단부를 용착 혹은 접착에 의해 일체화해도 되고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차륜과 회전부재(8)을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제11도 내지 제14도에 기초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101)은 합성수지제의 흡입구본체, (102)는 좌우접속관(103)(104)와 그들을 연달아 통하는 연결관(105)와 그 중앙부에 설치되고 전기청소기와 접속되는 접속파이프(106)으로된 접속관으로서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흡입구본체(101)의 양측부의 벽(107)(108)에 축지지되어 있다.
(109)(109)…는 상기한 흡입구본체(101)의 저면에 복수개형성된 흡기구, (110)은 흡입구본체(101)의 외부원주에 헐겁게 끼워지는 망상의 회전부재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등의 합성수지나 고무등의 피청소면과의 마찰저항이 크고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111)은 전차륜(112)는 후차륜으로서 각각 흡입구본체(101)의 양측부의 벽(107)(108)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113)(113)…은 회전부재(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개방구로서 회전부재(110)의 그물눈(작은구멍)에 비교해서 충분히 큰 개방구면적을 갖고 있다. (114)(114)는 흡입구본체(101)의 전후에 형성된 곡면부로서 흡입구본체(101)의 저면(115) 및 이 곡면부(114)(114)의 외부원주부에 상기한 망상의 회전부재(110)이 미끄러져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접속관(102)를 도시하지않은 전기청소기에 전후방향으로 이부자리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흡입구본체(101)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차륜(111)(112) 및 회전부재(110)의 피청소면에 맞닿고 피청소면과의 사이의 마찰에의해 흡입구본체(101)의 이동에 수반해서 차륜(111)(112) 및 회전부재(110)이 회전한다. 회전부재(110)은 흡입구본체(101)의 외부원주면에 접촉해서 미끄러져 움직이면서 회전한다.
흡입구본체(101)은 양측에 차륜(111)(112)를 각각 독립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101)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때에도 용이하게 이동방향을 변경할 수가 있다. 또 차륜(111)(112)를 회전부재(110)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해서 회전부재(110)의 말단부를 차륜(111)(112)로서 덮고 있기때문에 회전부재(110)의 말단부가 피청소면에 걸려서 이동성을 손상하는 일이 적고 또 회전부재(110)이 흡입구본체(10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흡입구본체(101)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해서 흡입구본체(101)에 대해 접속관(102)가 회전하기때문에 흡입구본체(101)의 이동에 관계없이 흡입구본체(101)의 흡기구(109)(109)…가 피청소면에대해 항상 동일한 위치(피청소면에대해 항상 평행)를 유지하고 양호한 집진능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회전부재(110)에는 흡입구본체(101)의 흡기구(109)와 연통하는 개방구(113)을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회전부재(110)의 회전에 수반해서 흡입구본체(101)의 흡기구(109)와 개방구(113)이 합치한 위치에서 머리칼이나 실보무라지등의 비교적 큰 쓰레기도 확실히 힙인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15도 내지 제21도에 기초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201)은 흡입구본체로서 후술하는 통상체(202), 접속관(204), 커버(210) 및 축받이(215)에 의해 구성된다.
(202)는 합성수지 예를들면 ABS수지로 형성되는 양단을 개방한 대략 원통형상의 통상체로서 중앙부하면에 개방부(203)을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부에 상부내면에 개방구(203)에 임하게해서 도시하지 않은 전기청소기에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연달아 통하는 접속관(204)를 지지하는 지지부(20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접속관(204)는 지지부(205)에 통상체(202)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되고 소정범위 본실시예에서는 약 60도의 범위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되어있다.
(206)은 상기한 통상체(202)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구로서 긴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통상체(202)의 길이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하고 있다. (207)은 상기한 통상체(202)의 양단부외부원주에 형성된 환상의 제1돌기, (208)은 통상체(202)의 개방구(203)근방 외부원주에 형성된 제2돌기, (209)는 상기한 제1돌기(207)과 제2돌기(208)과의 사이에 형성된 환상의 제3돌기로서 제1, 제2, 제3돌기(207)(208)(209) 및 후술하는 제4돌기(214)는 후술하는 회전부재(219)에 근접 또는 맞닿아서 회전부재(219)를 지지함과 동시에 흡입구본체(201)외부원주와 회전부재(219)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210)은 통상체(202)의 개방구(203)을 폐색시키는 커버로서 합성수지 예를들면 ABS 수지로서 형성되고 지지부(205)와의 사이에서 접속관(204)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211)을 갖고 있다. 커버(210)은 지지부(211)과 대향하는 한쪽을 개방구(203)의 개방구가장자리에 걸어맞추고 통상체(202)에 일체로 형성된 보스(boss)(212)에 나사고정하게 되어있고 상기한 보스(212)는 지지부(205) 양측근방에 배치되고 흡입구(206)로부터 접속관(204)로 흡인되는 바람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213)은 상기한 커버(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입구로서 긴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을 통상체(202)에 형성된 흡입구(206)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에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214)는 상기한 커버(210)에 일체로 형성된 제4돌기로서 제2돌기에 연결되고 제2돌기(208)와로 환상이 되도록 되어있다.
(215)는 통상체(202)양단의 개방구부를 폐색시키는 축받이로서 합성수지 예를들면 ABS 수지로서 형성되고 통상체(202)의 양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걸어맞춤구멍(216)에 통상체(202)내면측으로부터 걸어맞추고 벗기는 것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는 한쌍의 걸어맞춤용돌기(217)을 갖고 있고 걸어맞춤구멍(216)에의 걸어맞춤용돌기(217)의 걸어맞춤에의해 통상체(202)양단부에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되어있다. (218)은 상기한 축받이(215)중앙부에 형성된 후술하는 회전부재(219)의 축부(220)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는 축지지부로서 통상체(2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해서 축부(220)의 축지지길이를 길게하므로서 회전부재(219)의 회전진동이 적게되도록 축지지하고 있다.
(219)는 상기한 통상체(202)의 양측외부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원통상의 회전부재로서 통상체(202), 커버(210), 축받이(215) 및 후술하는 축지지체(224)를 형성하는 재료 (예를들면 ABS수지)와 다른 합성수지, 예를들면 PP수지(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한 축부(220)을 축받이(215)의 축지지부(218)의 외부원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회전부재(219)의 타단은 통상체(202) 및 커버(210)중앙부에 외부원주방향으로 팽창형성된 팽창부(221)측면에 근접하고 회전부재(219)타단과 팽창부(221)측면과의 사이로부터 회전부재(219)와 통상체(202)와의 사이에 먼지등이 침입해서 회전부재(219)가 회전불량을 일으키거나 문질러서 이상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222)는 상기한 회전부재(219)에 형성된 복수의 긴구멍형상의 개방구부로서 그 길이방향을 통상체(202)의 길이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고 대방구부(222)의 원주방향피치를 흡입구(206)의 원주방향 피치보다 크게 형성해서 개방구부(222)의 면적을 감소시키므로서 회전부재(219)의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223)은 회전부재(219)의 양단부외부원주에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환상의 돌출부로서 제1돌기(207) 및 제2돌기(208)과 제4돌기(214)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한 통상체(202)의 팽창부(221)보다 큰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224)는 축받이(215)의 축지지부(218)에 나사조임되는 축지지체로서 합성수지 예를들면 ABS수지로 형성되고 축지지부(218)에의 나사조임에의해 회전부재(219)의 일탈방지를 행하고 있다. (225)는 축지지체(224)에 형성된 환상돌출부로서 회전부재(219)에 맞닿거나 혹은 근접해서 회전부재(219)와 축지지체(224)와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고 회전부재(219)가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226)은 축지지체(224)에 형성된 조작부로서 손으로 파지해서 축지지체(224)를 회전시키고 축지지체(224)를 축받이(215)에 붙이고 뗄수있게 되어있다.
그리하여 이상과같이 구성되는 흡입구는 접속관(204)를 도시하지 않은 흡입호오스 및 연장관을 거쳐서 전기청소기를 접속하고 전기청소기를 작동시켜 흡입구를 압인조작해서 이부자리 커어튼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접속관(204)는 소정범위 본 실시예에서는 약 60도의 범위에서 요동이 자유롭게되어 있기때문에 접속관(204)를 경사지게한 상태에서도 청소를 할수가 있고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동시에 청소중에 흡입구본체(201)이 반전하는 일이 없고 흡입구(206)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청소를 행한다고 하는 오사용을 하는 일이없다.
피청소면에 흡입구를 댄 상태에서 흡입구를 압인조작하면 압인조작에 수반해서 회전부재(219)가 회전하고 이 회전부재(219)의 회전에의해 흡입구본체(201)이 이동한다. 흡입구본체(201)은 중앙부에 접속관(204)를 갖고 양측에 회전부재(219)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기때문에 균형및 이동성이 향상되고 청소작업성이 향상된다.
회전부재(219)는 양단부에 돌출부(223)을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비교적 단단한 매트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하는때에 돌출부(223)만이 피청소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회전부재(219)의 내경방향으로 변형하고 회전부재(219)와 흡입구본체(201)과가 접촉해서 마찰저항이 증대하거나 회전부재(219)의 작은 구멍 및 개방구부(222)의 개방구가장자리가 흡입구본체(201)의 흡입구(206)의 개방구가장자리에 걸려서 회전부재(219)가 회전불량을 일으키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 회전부재(219)의 돌출부(223)의 외경을 흡입구본체(201)의 팽창부(221)의 외경보다 큰직경으로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흡입구본체(201)의 팽창부(221)과 피청소면과의 마찰이적고 흡입구의 이동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 회전부재(219)는 제1, 제2, 제3, 제4돌기 (207), (208), (209), (214)에의해 지지되어 있기때문에 회전부재(219)와 흡입구본체(201)과의 마찰저항이 적게되고 회전부재(219)는 용이하게 회전해서 흡입구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킨다.
회전부재(219)의 양단부에 돌출부(223)을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돌출부(223)이 피청소면에 밀어붙여저서 흡입구본체(201)측으로 변형하려고 하지만 흡입구본체(201)의 돌출부(223)에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부재(219) 내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는 제1돌기(207) 및 제4돌기(214)를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회전부재(219)내면이 흡입구본체(201)외부원주에 접촉하는 일은 없고 회전부재(219)의 양호한 회전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다.
피청소면에 부착한 먼지등은 회전부재(219)의 다수의 작은구멍 및 개방구부(222)로부터 흡입구(206)을 거쳐서 흡입구본체(201)내로 흡인되고 접속관(204)로부터 연장관 및 호오스를 거쳐서 전기청소기내로 집진된다.
또 회전부재(219)에는 흡입구본체(201)의 흡입구(206)과 연통하는 개방구부(222)를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회전부재(219)의 회전에 수반해서 흡입구본체(201)의 흡입구(206)과 개방구부(222)가 합치한 위치에서 머리칼이나 실보무라지등의 비교적 큰 쓰레기도 확실히 흡인된다.
커어튼이나 시이트등의 비교적 유연한 피청소면을 청소하는때등에는 피청소면이 전기청소기의 흡인력에의해 회전부재의 하부 즉 흡입구본체(201)의흡입구(206)에 대향하는 부분에 부착되지만 회전부재(219)는 제1, 제2, 제3, 제4돌기(207), (208), (209), (214)에의해 흡입구본체(201)의 외부원주와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고 있기때문에 피청소면에의해 흡입구가 덮여지는 일은 없고 흡입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회전부재(219)에 부착한 피청소면이 회전부재(219)의 개방구부(222)로부터 흡입구본체(201)의 흡입구(206)에 흡인되는 경우가 있으나 흡입구본체(201)과 회전부재(219)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피청소면이 흡입구(206)에 침입하는 일은 없고 회전부재(219)의 회전성능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회전부재(219)의 다수의 작은구멍에 머리칼등이 부착한 경우등에는 축지지체(224)를 축받이(215)로부터 떼어내어 회전부재(219)를 흡입구본체(201)로부터 떼어내어 회전부재(219)를 수세한다. 또 흡입구본체(201)의 인접하는 흡입구(206)의 사이에 머리칼등이 얽혀있거나 그 머리칼등에 먼지등이 부착해서 흡입구본체(201)내에 먼지가 고체상으로 된 경우에는 회전부재를 떼어낸 상태에서 흡입구본체(201)의 걸어맞추는구멍(216)에 드라이버등을 삽입해서 축받이(215)의 걸어맞춤돌기(217)의 걸어맞춤구멍(216)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흡입구본체(201)로부터 축받이(215)를 떼어내서 흡입구본체(201)내를 청소한다. 흡입구본체(201)은 양단부에 장착되는 축받이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가 있기때문에 흡입구본체(201)의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제15도 내지 제21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커버(210)을 ABS수지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했으나 청소동작시 커버(210)은 피청소면에 접촉하고 피청소면과의 마찰저항에의해 이동성을 손상할 우려가 있기때문에 이동성을 향상시키기위해 커버(210)은 저마찰저항재료 예를들면 폴리아세탈, 올레핀계수지등의 마찰저항이 낮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 청소동작시 사용자의 압인동작에 수반하여 흡입구를 피청소면에 밀어붙이는 힘은 접속관(204)근방이 가장 강하게되고 따라서 커버(210)의 제4돌기(214)와 회전부재(219)와의 접촉력이 가장 강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의 사용에의해 커버(210)의 제4돌기가 마모되기쉽지만 커버(210)을 저마찰저항재료로 형성하므로서 커버(210)의 제4돌기(214)와 회전부재(219)와의 마찰저항이 저감되고 흡입구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흡입구본체(201)의 외부원주에 제1, 제2, 제3, 제4돌기(207)(208)(209)(214)를 환상으로 형성하고 제1, 제2, 제3, 제4돌기(207)(208)(209)(214)를 회전부재(219)의 내면에 근접 또는 맞닿게해서 회전부재(219)를 지지하고 회전부재(219)의 회전에대한 마찰저항을 저감시키고 있으나 제22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같이 흡입구본체(201)의 하면에만 돌기(227)을 형성해도 된다. 이 구성이면 회전부재(219)와 흡입구본체(201)과의 간격을 확보해서 흡입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없이 회전부재(219)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므로서 회전부재(219)의 회전에대한 마찰저항을 저감시키고 흡입구의 이동성을 향상시켜서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흡입구본체(201)의 외부원주에 제1, 제2, 제3, 제4돌기(207)(208)(209)(214)를 일체로 형성했으나 제2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제3, 제4돌기(228)(229)(230) 및 도시하지 않은 제2돌기를 저마찰저항재료 예를들면 폴리아세탈, 올레핀계수지등의 마찰저항이 낮은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흡입구본체(201)에 점착고정시켜도 된다. 이 구성이면 회전부재(219)의 회전에대한 마찰저항을 저감시킬 수가 있고 흡입구의 이동성을 향상시켜서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흡입구본체(201)의 외부원주에 제1, 제2, 제3, 제4돌기(207)(208)(209)(214)를 형성했으나 제24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같이 회전부재(219)내면으로부터 흡입구본체(201)외부원주에 맞닿는 환상돌기(231)(232)(233)을 형성해도 된다.
또 축받이(215)의 걸어맞춤돌기(217)과 통상체(202)의 걸어맞춤구멍(216)과의 걸어맞춤을 드라이버등으로 풀어내는 구성으로 했으나 제25도 및 제26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같이 회전부재(219)내면에 걸어맞춤구멍(216)과 합치하는 위치에 걸어맞춤돌기(217)의 걸어맞춤구멍(216)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해제하는 해제부가되는 한쌍의 돌출부(234)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한 돌출부(234)는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걸어맞춤돌기(217)에는 돌출부(234)의 선단이 끼워맞추어지는 오목한곳(235)를 형성함과 동시에 양측에 경사면(236)을 형성하고 걸어맞춤구멍(216)의 원주방향측 외부가장자리부에 경사면(237)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돌출부(234)가 걸어맞춤구멍(216)에 합치하는 위치에 회전부재(219)를 회전시켜서 회전부재(219)를 내측으로 변형시켜 걸어맞춤돌기(217)의 걸어맞춤구멍(216)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다시또 회전부재(219)를 회전시킨다. 이때 돌출부(234)의 선단이 걸어맞춤돌기(217)의 오목한곳(235)에 걸어맞추어져 있기때문에 회전부재(219)의 회전에 수반해서 축받이(215)도 회전하고 걸어맞춤돌기(217)의 경사면(236)을 걸어맞춤구멍(216)의 말단부에 안내시켜서 걸어맞춤돌기(217)을 통상체(202)의 내면측으로 변형시킴과 동시에 돌출부(234)를 경사면(237)에 안내시켜서 걸어맞춤돌기(217)의 오목한곳(235)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219)의 내측에의 압압을 행해서 회전부재(219)를 흡입구본체(201)의 길이방향으로 당기므로서 축받이(215), 회전부재(219) 및 축지지체(224)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흡입구본체(201)로부터 떼어낼수가 있고 흡입구본체(201) 및 회전부재(219)의 보수작업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축받이(215)를 ABS 수지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했으나 저마찰저항재료를 예를들면 폴리아세탈, 올레핀계수지등의 마찰저항이 낮은 합성수지로 형성해도 된다. 이 구성이면 축받이(215)의 축지지부(218)과 회전부재(219)의 축부(220)과의 마찰저항이 저감되고 흡입구의 이동성을 향상시켜서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제27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같이 축받이(238)을 저마찰저항재료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올레핀계수지등의 마찰저항이 낮은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축받이(238)에 회전부재(219)의 일단의 돌기(223)에대한 위치근방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는 환상돌기(239)를 형성해도 된다. 이 구성이면 축받이(215)와 회전부재(219)와의 마찰저항이 저감되고 흡입구의 이동성을 향상시켜서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흡입구본체(201)의 외부원주에 제1, 제2, 제3, 제4돌기(207)(208)(209)(214)를 형성하고, 제1, 제2, 제3, 제4돌기(207)(208)(209)(214)를 회전부재(219)내면에 근접 또는 맞닿게하는 구성으로 했으나 제28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같이 회전부재(219)내면에 축받이(215)의 외부원주에 근접혹은 맞닿는 환상돌기(240)을 형성함과 동시에 흡입구본체(201)의 외부원주에 근접 또는 맞닿는 환상돌기(241)(242)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28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 축받이(215)를 저마찰저항재료 예를들면 폴리아세탈, 올레핀계수지등의 마찰저항이 낮은 합성수지로 형성하므로서 축받이(215)와 회전부재(219)와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킬수 있고 흡입구의 이동성을 향상시켜서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다음에 제29도 내지 제31도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243)은 통상체(202)의 양측말단 부외부원주에 통상체(202)의 외경부보다 작은직경으로 형성된 축받이로서 회전부재(219)의 말단부에 형성된 축부(244)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245)는 통상체(202)의 양말단의 개방구부를 패쇄시키는 폐쇄판으로서 합성수지 예를들면 ABS 수지로 형성되고 통상체(202)의 양달단에 형성된 한쌍의 걸어맞춤구멍(246)에 통상체(202)의 내면측으로부터 걸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는 한쌍의 걸어맞춤돌기(247)을 갖고있으며 걸어맞춤구멍(246)에의 걸어맞춤돌기(247)의 걸어맞춤에의해 통상체(202)의 양단부에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폐쇄판(245)의 통상체(202)말단부에의 장착에의해 회전부재(219)를 축받이(244)에 축지지하도록 되어있다. 또 폐쇄판(245)의 외경은 회전부재(245)가 피청소면에 접촉해서 흡입구이 동시의 저항이 되지않게 하고 있다.
걸어맞춤돌기(247)은 후술하는 돌출부(250)의 선단이 끼워맞추어지는 오목한곳(248)을 갖고있음과 동시에 양측에 경사면(249)를 형성하고 있다. (250)은 회전부재(219)내면에 걸어맞춤구멍(246)과 합치하는 위치에 형성된 해제부가 되는 한쌍의 돌출부로서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9)를 떼어내는 때에는 돌출부(250)이 걸어맞춤구멍(246)에 합치하는 위치에 회전부재(219)를 회전시켜서 회전부재(219)를 내측으로 변형시키고 걸어맞춤돌기(247)의 걸어맞춤구멍(246)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회전부재(219)를 내측으로 변형시킨상태에서 회전부재(219)를 회전시킨다.
이때 돌출부(250)의 선단이 걸어맞춤돌기(247)의 오목한곳(248)에 걸어맞추어져 있기때문에 회전부재(219)의 회전에 수반해서 폐쇄판(245)가 회전하고 걸어맞춤돌기(247)의 경사면(249)를 걸어맞춤구멍(246)의 가장자리부로 안내시켜서 걸어맞춤돌기(247)을 통상체(202)의 내면으로 변형시킴과 동시에 돌출부(250)을 걸어맞춤구멍(246)의 외부원주 가장자리에 형성한 경사면(251)로 안내시켜서 걸어맞춤돌기(247)의 오목한곳(248)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이 상서 회전부재(219)의 내측으로의 압압을 해제해서 회전부재(219)를 흡입구본체(201)의 길이방향으로 당기므로서 폐쇄판(245)를 떼어내고 회전부재(219)를 떼어낸다.
제29도 내지 제31도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상기한 각 실시예에 비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구조를 간소화 할 수가 있다.
또 통상체(202)의 축받이(243)을 형성했으나 제32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폐쇄판(245)에 축받이부(252)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를 제33도 내지 제35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319)는 상기한 통상체(302)의 양측외부원주를 덮는 원통상의 회전부재로서 일단에 형성한 축부(320)을 축받이(315)의 축지지부(318)의 외부원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부재(319)는 통상체(302), 커버(310), 축받이(315) 및 후술하는 축지지체(324)를 형성하는 재료(예를들면 ABS수지)와 다른 합성수지 예를들면 PP수지(폴리프로필렌)로 형성되고 항균제를 함유시키고 있다. 항균성능 및 항균제의 혼입에의 한 강도저하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0.1%로부터 0.2%의 항균제를 혼입시키고 있다. 상기한 회전부재(319)의 타단은 통상체(302) 및 커버(310)의 중앙부에 외주원주방향으로 팽창형성된 팽창부(321)의 측면에 근접하고 회전부재(319)의 타단과 팽창부(321)의 측면과의 사이로부터 회전부재(319)의 타단과 팽창부(321)의 측면과의 사이로부터 회전부재(319)와 통상체(302)와의 사이에 먼지등이 침입해서 회전부재(319)가 회전불량을 일으키거나 문질러서 이상음이 발생하는것을 방지하고 있다. (322)는 상기한 회전부재(319)에 형성된 복수의 긴구멍형상의 개방구부로서 그 길이방향이 흡입구본체(301)의 회전축방향 즉 길이방향과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개방구부(322)의 회전방향길이를 흡입구(306)의 원주방향피치보다 크게 형성해서 항상 개방구부(322)가 흡입구(306)에 연통하게해서 머리칼이나 실보무라지등을 확실히 흡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23)은 상기한 회전부재(319)의 양단부 외주원주에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환상의 돌출부로서 제1돌기(307) 및 제2돌기(308)과 제4돌기(314)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한 통상체(302)의 팽창부(32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부재(319)의 개방구(322)의 가장자리를 흡입구본체(301)의 흡입구(306)의 가장자리와 교차하도록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개방구(322)의 가장자리와 흡입구(306)의 가장자리와가 걸리는 것을 없게해서 회전부재(319)의 회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이부자리나 담요등의 부드럽고 어느정도 두께가있는 피청소면을 청소할때에는 회전부재(319)가 피청소면에 눌려서 내경방향으로 변형하고 회전부재(319)의 내면이 흡입구본체(301)의 하면 외부워주부에 접촉한다. 이때 개방구(322)의 가장자리가 흡입구(306)의 가장자리와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부재(319)의 회전에 수반해서 개방구(322)의 가장자리가 넓은면적에서 흡입구(306)의 가장자리에 걸리기때문에 회전부재(319)의 회전이 저해되고 흡입구의 이동성이 손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319)의 개방구(322)의 가장자리를 흡입구본체(301)의 흡입구(306)의 가장자리와 교차하도록 형성하므로서 회전부재(319)의 회전에 수반하는 개방구(322)의 가장자리의 흡입구(306)의 가장자리에의 걸림을 극력 감소시킬 수가 있고 흡입구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회전부재(319)의 개방구(322) 및 흡입구본체(301)의 흡입구(306)을 긴구멍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길이방향이 교차하도록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개방구(322)와 흡입구(306)이 회전부재(319)의 회전에 수반해서 연속해서 연달아통하고 머리칼이나 실보무라지등도 흡인할수가 있다.
또한 제33도 제34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본체(301)의 흡입구(306)의 길이방향을 흡입구본체(301)의 길이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회전부재(319)의 개방구(322)의 길이방향을 흡입구(306)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도록 형성했으나 제35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같이 흡입구본체(301)의 흡입구(306)의 길이방향을 흡입구본체(30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도록 형성함과동시에 회전부재(319)의 개방구(322)의 길이방향을 흡입구본체(301)의 길이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해서 개방구(322)의 길이방향과 흡입구(306)의 길이방향이 교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용흡입구에 의하면 청소작업성 및 청소능력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회전부재 및 흡입구본체의 보수작업성을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접속관을 흡입구본체에 강고히 유지할수있고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Claims (19)

  1. 중앙부분에 전기청소기에 접속되는 접속관(2)을 갖는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양측의 외부원주하부에 형성된 흡기구(4)와, 상기한 흡입구본체(1)의 양측외부원주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갖는 회전부재(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2. 중앙부분에 전기청소기에 접속되는 접속관(2)을 갖는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 외부원주하부의 전면에 걸쳐서 형성된 흡기구(4)와, 상기 한 흡입구본체(1)의 양측 외부원주부에 설치된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갖는 회전부재(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3. 중앙부분에 전기청소기에 접속되는 접속관(2)을 갖는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양측의 외부원주하부에 형성된 흡기구(4)와, 상기한 흡입구본체(1)의 양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차륜(7)과, 그 차륜(7)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흡입구본체(1)의 양측 외부원주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갖는 회전부재(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4. 외부원주하부에 흡기구(4)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외부원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8)와, 회전부재(8)에 형성되고, 회전부재(8)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입구본체(1)의 흡입기구(4)에 연통하는 작은구멍보다 개방구면적이 큰 개방구(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부재(8)에 형성된 개방구(9)가 흡입구본체(1)의 흡기구(4)와 동일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흡기구(4)와 상기한 회전부재(8)에 형성된 개방구(9)가 다같이 가로로 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7. 외부원주하부에 흡기부(4)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의 외부원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8)와, 상기한 흡입구본체(1)의 외부원주에 형성되고, 회전부재(8)에 맞닿는 리브(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8. 외부원주하부에 흡기구(4)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 외부원주에 회전이 자유롭게설치된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8)와, 그 회전부재(8)내면에 형성되고 흡입구본체(1)에 맞닿는 환상리브(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9. 저면(115)에 흡기구(109)를 형성한 평면부를 갖고 전후로 곡면부(114)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01)와, 그 흡입구본체(101)의 외부원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110)와, 상기한 흡입구본체(101)에 설치되고 전기청소기에 접속되는 접속관(10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전기청소기용흡입구.
  10. 전기청소기에 연통되는 접속관(204)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206)를 형성한 흡입구본체(201)와, 그 흡입구본체(201)말단부에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설치된 축받이(215)와, 그 축받이(215)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서 흡입구본체(201)의 외부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21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11. 전기청소기에 연통되는 접속관(204)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206)를 형성함과동시에 말단부를 개방한 흡입구본체(201)와, 그 흡입구본체(201)의 말단부에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장착되어서 흡입구본체(201)의 말단부의 개방구(222)를 폐색시키는 축받이(215)와, 그 축받이(215)에 회전이 자유로우며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장착되어서 흡입구본체(201)외부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21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12. 전기청소기에 연통되는 접속관(204)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206)를 형성한 흡입구본체(201)와, 그 흡입구본체(201)에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설치된 축받이(215)와, 그 축받이(215)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서 흡입구본체(201)의 외부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219)를 구비하고 상기한 축받이(215)를 저마찰저항재료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13. 중앙부에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204)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206)를 형성한 흡입구본체(201)와, 흡입구본체(201)의 양측 외부원주를 덮고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와(219)를 구비하고, 상기한 흡입구본체(201)는 중앙부에 접속관(204)을 지지하는 지지부(211)를 가짐과 동시에, 그 지지부(211)가 임하는 개방구(203)를 형성한 통형상체(202)와, 그 통형상체(202)의 개방구(203)를 폐쇄시키는 커버(210)로 구성하고, 상기한 접속관(204)을 지지부(211)와 커버(210)로 끼워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14.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204)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206)를 형성한 흡입구본체(201)와, 그 흡입구본체(201)외부원주를 덮고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219)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회전부재(219)의 외부원주에 돌출부(2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15.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204)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206)를 형성한 흡입구본체(201)와 그 흡입구본체(201)의 외부원주를 덮고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219)를 구비하고, 상기한 회전부재(219)외부원주에 돌출부(223)를 형성함과 동시에 흡입구본체(201)의 상기한 돌출부(223)에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부재(219)내면에 맞닿거나 근접하는 돌기(20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16.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201)와, 그 흡입구본체(201)의 외부원주를 덮고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219)를 구비하고, 상기한 회전부재(219)외부원주에 돌출부(234)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회전부재(219)내면의 돌출부(234)에 대향하는 위치에 흡입구본체(201)내면에 맞닿거나 근접하는 돌기(23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17. 전기청소기에 연통되는 접속관(304)을 갖고, 하면에 긴구멍형상의 흡입구(306)를 형성한 흡입구본체(301)와, 그 흡입구본체(301)의 외부원주를 회전이 자유롭게 덮는 회전부재(319)를 구비하고, 상기한 회전부재(319)에 회전부재(319)의 회전에 수반해서 흡입구(306)에 연통하는 개방구(322)를 형성하고, 상기한 흡입구(306)의 개방구가장자리와 회전부재(319)의 개방구(322) 가장자리를 교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18.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304)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306)를 형성한 흡입구본체(301)와, 그 흡입구본체(301)의 말단부에 형성된 축지지부(318)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흡입구본체(301)외부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319)와, 상기한 흡입구본체(301)의 말단부에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회전부재(319)를 이탈저지시키는 축지지부(31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19. 전기청소기에 연통하는 접속관(304)을 갖고, 하면에 흡입구(306)를 형성한 흡입구본체(301)와, 그 흡입구본체(301)의 외부원주를 덮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갖는 회전부재(319)와, 그 회전부재(319)를 지지하는 축지지부(318)를 갖고, 상기한 흡입구본체(301)의 말단부에 장착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한 흡입구본체(301)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서 회전부재(319)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흡입구.
KR1019940027866A 1993-10-28 1994-10-28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KR960012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70784 1993-10-28
JP27078493A JP3162888B2 (ja) 1993-10-28 1993-10-28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93-272380 1993-10-29
JP5272380A JP2620677B2 (ja) 1993-10-29 1993-10-29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94-510 1994-02-09
JP1994000510U JP3000884U (ja) 1994-02-09 1994-02-09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02040294A JP3286454B2 (ja) 1994-02-17 1994-02-17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94-20402 1994-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838A KR950010838A (ko) 1995-05-15
KR960012807B1 true KR960012807B1 (ko) 1996-09-24

Family

ID=2745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866A KR960012807B1 (ko) 1993-10-28 1994-10-28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650688B1 (ko)
KR (1) KR960012807B1 (ko)
AU (1) AU692175B2 (ko)
DE (1) DE6940960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1111U1 (de) * 1996-06-25 1996-09-05 Dehmel Karl Heinz Trommelsaugvorrichtung
GB0008370D0 (en) 2000-04-06 2000-05-24 Reckitt & Colmann Pro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KR100809739B1 (ko) * 2007-01-24 2008-03-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DE102008022869B4 (de) * 2008-05-08 2013-11-14 Wessel-Werk Gmbh Saugdüse für Bodenstaubsauger
KR101041585B1 (ko) * 2010-11-29 2011-06-15 주식회사 에이디아이엠 진공청소기
SE538610C2 (sv) * 2015-01-29 2016-10-04 Innovac Ab Dammsugarmunstyck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1774A (en) * 1925-03-12 1926-10-05 Carl F Scheffer Vacuum tool
FR687216A (fr) * 1929-12-24 1930-08-06 Ragonot Ets Ventouse pour aspirateur de poussières
US3147509A (en) * 1963-02-04 1964-09-08 Robert G Sieb Vacuum roller attachment
US3147508A (en) * 1963-10-14 1964-09-08 Tridon Mfg Ltd Attachment clip for automobile windshield wipers
DE2802931A1 (de) * 1978-01-24 1979-07-26 Erhard Kenk Saugkopf fuer teppichreinigungsapparate
JPH04259428A (ja) * 1991-02-15 1992-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の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09605D1 (de) 1998-05-20
KR950010838A (ko) 1995-05-15
AU692175B2 (en) 1998-06-04
AU7591194A (en) 1995-05-18
EP0650688A1 (en) 1995-05-03
EP0650688B1 (en) 1998-04-15
DE69409605T2 (de) 199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1552Y2 (ja) アプライト形電気掃除機
KR960012807B1 (ko)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US7076831B1 (en) Device for exhausting in vacuum cleaner
KR200151254Y1 (ko) 업라이트청소기
JP3000885U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3000884U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07222699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US11253122B2 (en) Suction nozzle and cleaner
JP3286527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07227369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3286452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07213461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62306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00208136B1 (ko) 업라이트청소기
JP3749576B2 (ja) 内視鏡用バルブ装置
JP3162888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0711609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960008453Y1 (ko) 브러쉬가 부설된 먼지흡착테입 회전구
JPH07124083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00314941B1 (ko) 진공청소기
KR0123249Y1 (ko) 헤드 클리너
KR19980022844U (ko) 진공청소기의 바퀴 고정구조
CN113040644A (zh) 吸尘器地刷及吸尘器
JP3528689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H0998916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