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474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474B1
KR960010474B1 KR1019920004096A KR920004096A KR960010474B1 KR 960010474 B1 KR960010474 B1 KR 960010474B1 KR 1019920004096 A KR1019920004096 A KR 1019920004096A KR 920004096 A KR920004096 A KR 920004096A KR 960010474 B1 KR960010474 B1 KR 96001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aper
image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536A (ko
Inventor
마사히꼬 고바야시
마사가쓰 아까시
주니찌 히로베
쓰도무 스가야
요시히사 다나까
도시아끼 구스다
이꾸오 마끼에
유끼히로 아이까와
사또시 이시이
요스께 오하다
Original Assignee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8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9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har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로서의 복사기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한 복사기의 단면도.
제3도는, 상기한 복사기의 분해단면도.
제4도는, 상기한 복사기의 상부케이스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상기한 상부케이스의 주요부 단면도.
제6도는, 상부케이스에 의한 기능부품의 유지상태를 나타내는 상기한 상부케이스의 저면도.
제7도는, 상기한 복사기의 하부케이스의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제9도는, 상기한 하부케이스에 장착되는 용지공급 트레이(tray)의 일부 절단 사시도.
제10도는, 상기한 용지공급 트레이의 주요부 단면도.
제11도는, 상기한 용지공급 트레이 및 용지배출 트레이가 장착된 하부케이스의 사시도
제12도는, 상기한 용지공급 트레이 및 용지배출 트레이가 장착된 하부케이스의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용지공급 트레이의 일부 절단사시도.
제14도는, 제12도의 실시예를 채용한 하부케이스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능부품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기능부품에 전사충전기를 부착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기능부품에 전사충전기를 부착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배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전사충전기의 다른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능부품의 분해사시도.
제20도는, 제19도의 기능부품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토너 회수용기의 구성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23도는, 배기관을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
제25도는, 제23도의 장치본체의 개략 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34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
제36도는, 제35도의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제37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38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의 장치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고대 2 : 장치본체
3 : 노출수단 4 : 화상제작수단
5 : 용지반송수단 6 : 정착수단
7 : 구동수단 8 : 전장품
9 : 폭 안내부재 11 : 원고누름판
17 : 배기팬 21 : 용지배출구
22 : 용지공급 트레이 22c,22d : 랙누름부재
23 : 용지배출 트레이 24 : 상부케이스
24e : 뚜껑부 24f,24g : 하향리브
25 : 하부케이스 26 : 용지공급구
27 : 용지배출구 28,29,33a : 관부재
31 : 형광램프 32 : 로드렌즈
33 : 광학하우징 41 : 현상장치
42 : 감광체 드럼 41c : 토너카아트리지
43 : 대전충전기 44 : 전사충전기
44a : 절연체 하우징 45 : 소제기
45a : 소제용날 47 : 토너회수용기
48 : 뚜껑물체 51 : 반송로울러쌍
51a : 구동로울러 52 : 용지 저지부재
61 : 가열로울러 62 : 압축로울러
63 : 스테이 71 : 전동기
72 : 기어기구 92a,92b : 랙기어
93 : 피니언기어 D : 흡기관
G : 손끝 삽입 안내부재.
종래에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tonor)상으로 현상화한 후 용지에 전사하는 정전식의 복사기나 인쇄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로서 극히 소형화된 소위 휴대형의 것이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평 2-17453호 공보 참조).
이런 종류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를 노출시켜서 감광체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출수단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화한 후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화상제작수단과, 용지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수단을 포함하고, 용지를 장치본체내로 도입함과 동시에 상기한 화상제작수단을 통해서 장치본체로부터 배출시키는 용지반송수단과,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전장품과를 각각 구성하는 각종 기능부품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기능부품은 수지성형품으로된 상자형의 장치본체내에 배치된 한쌍의 측면판이나 이 측면판 끼리를 연결하는 판 등으로 된 금속제의 보강프레임에 대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화성형성장치를 가정용 및 개인용으로서 보급시키기 위해서는 될수 있는 한 소형 경량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제조비용 및 판매가격을 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한 기능부품을 부착시키기 위한 보강프레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분만큼 부품 점수가 많아지고, 소형 경량화를 달성할 수가 없음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또, 보강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한 여분의 공수도 필요하고, 한층 제조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수록 누구든지 자유로이 들고다닐 수가 있기 때문에 장치를 부딪치거나 떨어뜨리든가 해서 그 장치에 과도한 충격이 부하될 위험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장치에 과도한 충격이 부하된 경우 특히 장치본체와 보강프레임과의 결합부에 있어서 양자의 재질적, 강도적인 차이에 의해 갈라짐이나 소성 변형 등의 파손이 생기기 쉽게된다.
여기서, 상기한 보강프레임을 폐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장치본체의 강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종래의 구조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았든 기능부품에의 외부의 힘이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 된다.
특히, 소형 경량화된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정용·개인용으로서 보급시키는 것을 상품의 개념으로 하고 있는 것이며, 보수 점검의 면에서는 전문의 보수요원이 아니고, 사용자 자신이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능부품이 외부의 힘에 의해 기능을 하지 않게 된 경우, 그 원인이 스스로의 기술적 지식에 의한 취급에 있는 것조차 발견할 수가 없는 사용자가 그 대응을 스스로 행하는 것은 실제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외부의 힘에 의한 기능부품에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은 휴대형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피해갈 수 없는 중요한 요건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강프레임이 불필요하고, 보다 소형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한편 외부의 힘에 의한 기능부품에의 영향을 억제할 수가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또, 본 발명은 제조비용의 저감화를 달성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를 노출시켜서 감광체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출수단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화한 후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화상제작수단과, 용지에 전사된 토너성을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을 포함하고, 용지를 장치본체내로 도입함과 동시에 상기한 화상제작수단을 통해서 장치본체로부터 배출시키는 용지반송수단과,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전장품과를 각각 구성하는 각종 기능부품을 적어도 구비하고, 각 기능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지제의 장치본체를 모노코크(monocock)구조의 상호 분리가능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구성하고 있다.
다시 또,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를 노출시켜서 감광체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출수단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화한 후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화상제작수단과, 용지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수단을 포함하고, 용지를 장치본체내에 도입함과 동시에 상기한 화상제작수단을 통해서 장치본체로부터 배출시키는 용지반송수단과,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전장품과를 각각 구성하는 각종 기능부품을 적어도 구비하고, 각 기능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장치본체의 상호 분리 가능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성하고, 상기한 상부케이스를 수지제의 모노코크 구조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적어도 상부케이스를 모노코크 구조로 해서 소망의 강성을 확보하고, 이 모노코크 구조의 케이스에 의해 기능부품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금속제의 보강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외부의 힘이 영향을 억제한 상태에서 장치본체내에 상기한 기능부품을 배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그러한 특징 목적 및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전체를 통해서 동등한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첨부도면으로부터 일층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우선, 제1도를 참조해서 이 도면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로서의 복사기는 투명한 유리판으로 된 원고대(1)을 제2도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서 그 원고대(1)에 탑재된 원고를 조명 주사하는 소위 테이블 이동형의 것이다.
상기한 원고대(1)의 위쪽에는 탑재된 원고를 누르기 위한 원고누름판(11)이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도,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한 장치본체(2)는 상호 분리가능하게 나사조임된 수지제의 상부케이스(24)와 하부케이스(25)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들 상부케이스(24)와 하부케이스(25)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출수단(3), 화상제작수단(4), 용지반송수단(5), 정착수단(6), 구동수단(7)(제6도 참조) 및 전장품(8)(제6도 참조) 등을 각각 구성하는 각종 기능부품이 내부에 유지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우선 노출수단(3)은 원고대(1)에 의해 이동되는 원고를 조명 주사시키기 위한 것이며, 광학하우징(housing)(33)내에 원고를 조명시키기 위해 옆으로 걸쳐진 막대형상의 형광램프(31) 및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화상제작수단(4)로 인도하는 로드(rod)렌즈(32) 등의 기능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광학하우징(33)은 장치본체(2)의 상부케이스(24)에 대해 나사조임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노출수단(3) 전체가 상부케이스(24)내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한 화상제작수단(4)는 노출수단(3)에 의해 형성된 원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화한 후 용지에 전사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한 원고상을 정전잠상으로 갖고 있는 감광체 드럼(42)와 감광체 드럼(42)의 주위에 순차로 배치되어 있는 대전충전기(43)과 현상장치(41), 전사충전기(44) 및 소제기(45) 등의 기능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대전충전기(43)은 상기한 광학하우징(33)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상부케이스(24)에 유지되어 있다.
다른한편, 상기한 현상장치(41), 감광체 드럼(42), 전사충전기(44) 및 소제기(45)는 상부케이스(24)에 대해 나사조임된 화상제작 프레임(46)에 조립되어서 장치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대전충전기(43)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 드럼(42)의 외부원주면에 노출수단(3)으로부터의 원고상을 결상시켜서 정전잠상을 갖고 있게한 후 그 정전잠상을 현상장치(41)에 의해 토너상으로 현상화하고, 전사충전기(44)에 의해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시키고 잔류 토너를 소제기(45)에 의해 회수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4도를 참조해서 장치본체(2)의 상부케이스(24)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 상부케이스(24)의 상면에는 원고를 조명 주사시키기 위한 틈새(24c), 원고대(1)의 한쪽끝 부분을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슬라이더(S)(제5도 참조)를 부착시키기 위한 오목한 홈(24i) 및 원고대(1)의 다른쪽 끝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볼록한 융기부(24j)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케이스(24)의 양측면과 교차하는 한측면에는 토너카아트리지(41c)(제2도, 제3도 참조)를 삽입 및 빼내기 위한 개방구(24b)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방구(24b)는 거기에 끼워 맞춰지는 덮개(24g)에 의해 폐색된다.
다시 또, 상부케이스(24)의 내부에는 상기한 토너카아트리지(41c)의 도입을 안내하는 한쌍의 띠의 판자형상의 안내부(24d)가 늘어져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24d)는 상부케이스(24)의 형성과 동시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한 토너카아트리지(41c)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제6도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케이스(24)의 개방구(24b)를 통해서 상기한 토너카아트리지(41c)를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을 장치본체(2)의 내부를 개방하는 일이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더구나 토너카아트리지(41c)의 삽입과 빼냄을 안내하는 안내부재(24d)를 상부케이스(24)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안내부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분만큼 부품의 점수 및 조립 공수를 적게할 수가 있고, 비용절감에 역할할 수 있게 된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상부케이스(24)의 하면 뚜껑부(24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부(24e)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토너회수용기(47)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서 그 상부개방구를 덮기 위한 것이다.
뚜껑부(24e)는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과 이 천정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틀형상의 하향의 리브(24f)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한 하향의 리브(24f)를 토너회수용기(47)의 상부의 개방구 가장자리에 밀접시켜서 그 토너회수용기(47)를 폐색시키고, 이것에 의해 토너회수용기(47)에 회수된 토너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토너회수용기(47)의 네구석에서는 림(rim)(47d)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림(47d)를 관통하는 나사(47e)(제2도 제3도 참조)에 의해 상부케이스(24)의 뚜껑부(24e)와 토너회수용기(47)과는 상호 밀착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케이스(24)에 뚜껑부(24e)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토너회수용기(47)에 별도로 뚜껑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분만큼 부품의 점수가 적게됨과 동시에 조립공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상부케이스(24)는 외장덮개를 겸하는 4변의 측면벽과 천정면과 상기한 안내부(24d) 및 하향리브(24f) 등의 돌출부와에 의해 모노코크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소망의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다음에, 제2도, 제3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하부케이스(25)는 반송되는 용지의 하면측을 안내하는 다수의 리브(rib)형상의 하부안내부재(25a)가 일체로 형성된 내면 저부를 갖고 있다.
하부케이스(25)의 저면부에는 개방구(25b)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방구(25b)에는 지지점(25c)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부재(25d)가 도입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25d)는 수지 성형품으로 된 것으로서, 상면측에는 반송되는 용지의 하면을 안내하는 리브형상의 하부안내부재(25e)가 일체 형성으로 다수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25d)를 지지점(25c)를 중심으로, 제2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하부케이스(25)의 저면부를 개방시킬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용지반송경로의 일부를 개방시켜서 용지끼움 처리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시 또, 제7도를 참조하면 상기한 하부케이스(25)에는 개방부(25b)의 주위 가장자리부에 따라서 리브형상의 기립편(25f)가 형성되어 있고, 외장덮개를 겸하는 4변의 측면벽과 내면저부와 상기한 기립편(25f)와 상기한 하부안내부재(25a) 등의 돌출부와에 의해 그 하부케이스(25)를 모노코크 구조로 해서 소망하는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용지의 하면측의 반송을 안내하는 하부안내부재(25a)가 하부케이스(2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하부안내부재(25a)를 단독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분만큼 부품의 점수를 적게할 수가 있다.
더구나 하부안내부재(25a)를 조립할 필요도 없어져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다.
상부케이스(24)와 하부케이스(25)를 일체화하기 위해, 양 케이스(24),(25)의 적어도 네구석에는 연결부(24k)(제6도) 연결구(25h)(제7도)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연결부(24k),(25h)를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케이스(24)를 하부케이스(25)에 대해, 적어도 네구석에서 나사조임하고 있기 때문에 각 케이스(24),(25)에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이것을 교정해서 양자를 정확히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즉, 상부케이스(24)를 하부케이스(25)에 대해 회전 개폐가 가능하게 축 지지해서 소위 대합껍질형(clam shell type)으로 한 경우에는 상하의 케이스(24),(25)에 변형이 있으면 양자의 정확한 위치결정이 곤란함과 동시에 축 지지부에 국부적인 응력이 발생해서 내구성이 문제가 되지만, 상기한 나사조임식으로 하므로서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할 수가 있다.
다시 또, 제8도를 참조하면 상기한 상부케이스(24)와 하부케이스(25)와의 맞대는 부분은 턱솔변탕(ship lap)형상으로 조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광선이 양자의 맞대는 부분으로부터 장치본체(2)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해서 그 침입광선에 의해 감광체 드럼(42)가 열화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장치본체(2)의 용지공급 트레이(22) 및 용지배출 트레이(23)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각 트레이(22),(23)은 각각 장치본체(2)에 공급되는 용지를 받아서 또는 화상성형 처리후에 장치본체(2)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받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트레이(22),(23)에 상기한 하부케이스(25)의 저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안내부재(25a)와 병행으로 용지의 하면측을 안내하는 안내리브(22g)(23g)를 일체로 형성해서 용지의 경사진행을 방지하고 있다.
우선, 제2도, 제3도를 참조하면 장치본체(2)에는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용지공급구(26)과 화상형성 처리후의 용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용지배출구(2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케이스(24)에는 이들 용지공급구(26) 및 용지배출구(21)의 상부측을 구성하는 절단부(24a)가 하부케이스(25)에는 하부측을 구성하는 절단부(25g)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5)의 각 절단부(25g) 부분에는 제7도에 나타내는 구멍(25i)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25i)는 용지공급구(26)에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용지공급 트레이(22)의 핀(22p)(제2도, 제3도 참조)과 용지배출구(21)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받는 용지배출 트레이(23)의 핀(22p)(제2도, 제3도 참조)과를 각각 대응하는 구멍(25i)에 끼워 넣어서 용지공급 트레이(22) 및 용지배출 트레이(23)을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트레이(22),(23)를 장치본체(2)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이들 각 트레이(22),(23)를 기립 회전시켜서 상부케이스(24)에 따라 붙여두게 되어서 복사기의 부피가 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9도, 제12도를 참조하면, 상기한 용지공급 트레이(22)에는 장치본체(2)내에의 용지의 삽입을 안내하는 폭 안내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폭 안내부재(9)는 용지의 폭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한쌍의 커솔(Cursol)(91a),(91b)와 양 커솔(91a),(91b)을 용지공급 트레이(22)의 중앙을 끼워서 상호 역방향으로 연동시키는 한쌍의 랙기어(92a),(92b)와 각 랙기어(92a),(92b)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9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커솔(91a),(91b) 및 랙기어(92a),(92b)는 수지성형품이며, 한쪽의 커솔(91a)는 랙기어(92a)의 한쪽끝 부분의 위쪽에 다른쪽의 커솔(91b)는 랙기어(92b)의 다른쪽 끝부분의 위쪽에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커솔(91a),(91b)는 각각 용지의 폭방향의 끝부분을 도입하기 위함 홈(91c)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랙기어(92a)는 용지공급 트레이(22)의 상면측에 형성된 제1안내홈(22a)에 도입되어서 그 이동이 안내되어 있고, 다른쪽의 랙기어(92b)는 상기한 제1의 안내홈(22a)와 평행으로 형성된 제2의 안내홈(22b)에 도입되어서 그 이동이 안내되고 있다.
또한, 각 안내홈(22a),(22b)의 양쪽끝은 폐색되어 있다. 각 안내홈(22a),(22b)의 용지공급 트레이(22)의 중앙을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는 각각에 도입된 랙기어(92a),(92b)의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의 랙누름부재(22c) 제2의 랙누름부재(22d)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랙누름부재(22c),(22d)는 안내홈(22a),(22b)의 폭방향으로 달아낸 상태로 대응하는 랙기어(92a),(92b)의 상면을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누르고 있고, 그 전체 길이는 각 랙기어(92a),(92b)를 대응하는 안내홈(22o),(22b)에 대해 그 위쪽으로부터 도입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각 랙기어(92a),(92b)는 그 톱니면을 상호 대향시킨 상태로 각 안내홈(22a),(22b)에 도입되어 있고, 각 용지공급 트레이(22)의 중앙에서 피니언기어(93)과 맞물려 있다.
제10도를 참조하면 피니언기어(93)은 용지공급 트레이(22)에 돌출 형성된 지지핀(22e)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핀(22e)는 위쪽끝쪽이 직경방향으로 수축이 가능하게 분할되어 있고, 최상부에는 피니언기어(93)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22f)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핀(22e)의 위쪽끝을 수축시키면서 피니언기어(93)을 끼어넣는 것만으로, 이것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할 수가 있다.
더구나, 상기한 구성 대신에 상기한 피니언기어(9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핀(22e)의 위쪽 끝에 스냅링 등을 배치해도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용지공급 트레이(22)에 의하면 각 랙기어(92a),(92b)를 안내홈(22a),(22b)에 대해 랙누름부재(22c),(22d)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축으로부터 도입하여 각 랙누름부재(22c),(22d)측으로 미끄러지게 한후 피니언기어(93)을 지지핀(22e)에 끼어넣는 것만으로 폭 안내부재(9)를 용지공급 트레이(22)에 간단히 조립할 수가 있다.
더구나, 커솔(91a),(91b)와 랙기어(92a),(92b)와의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의 점수를 적게할 수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용지공급 트레이(22) 용지배출 트레이(23)을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있지만,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트레이(22),(23)을 하부케이스(25)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제13도 및 제14도의 실시예를 채용한 경우에는 양 트레이(22),(23)을 단독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도 그분만큼 부품의 점수를 적게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각 트레이(22),(23)을 하부케이스(25)에 조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다.
더구나 하부안내부재(25a)와 용지공급 트레이(22)와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결과로 용지의 반송 불량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트레이(22),(23)에 상기한 하부케이스(25)의 저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안내부재(25a)와 나란히 용지의 하면측을 안내하는 안내리브(22g),(23g)를 일체로 형성해서 용지의 경사진 진행을 방지하고 있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제15도를 참조하면 상기한 화상제작 프레임(46)은 소제기(45)에 의해 회수된 토너를 수용해 두는 토너회수용기(47)과 일체로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다.
화상제작 프레임(46)은 감광체 드럼 장착부(46a)와 현상장치 장착부(46b)를 갖고 있다.
상기한 감광체 드럼 장착부(46a)에는 소제기(45)가 장착되어 있고, (제2도, 제3도 참조) 이 소제기(45)에 의해 감광체 드럼(42)의 잔류 토너를 토너회수용기(47)내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감광체 드럼(42)의 잔류 토너를 긁어내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제작 프레임(46)에 소제용 날(45a)를 고정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감광체 드럼(42)가 조립되는 화상제작 프레임(46)에 소제용날(45a)를 직접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감광체 드럼(42)와 소제용날(45a)와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수고를 생략할 수 있고, 더구나 정확한 위치맞춤을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16도 및 제17도를 참조하면 상기한 화상제작 프레임(46)의 하부에는 전사충전기(44)의 절연체 하우징(4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 하우징(44a)에는 용지의 반송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뻗어서 용지반송경로를 감광체 드럼(42)와의 사이에서 끼우는 방전와이어(44b)가 뻗어 설치되어 있다.
다시 또, 절연체 하우징(44a)에는 감광체 드럼(42)로 향하여 개방되는 단면이 그 ( )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철판케이스(44c)의 양쪽 끝에 부착되어 있고, 이 철판케이스(44c)에 의해 상기한 방전와이어(44b)가 둘러 쌓여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감광체 드럼(42)가 조립되어 있는 화상제작 프레임(46)에 전사충전기(44)의 절연체 하우징(44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제작 프레임(46)을 상부케이스(24)에 부착시키면 전사충전기(44)도 감광체 드럼(42)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부착되는 결과로 감광체 드럼(42)와 전사충전기(44)와의 위치의 맞춤의 수고를 생략할 수가 있다.
더구나, 절연체 하우징(44a)와 화상제작 프레임(46)과를 별도 부품으로 해서 조립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의 점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더구나,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충전기(44)을 하부케이스(25)측에 고정시킨 구성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제15도를 참조하면 상기한 토너회수용기(47)은 평면형상이 직4각형의 트레이 형상의 것이며, 용지반송수단(5)의 반송방향 하류측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제2도 참조).
제2도를 참조하면, 이 토너회수용기(47)에는 수평의 저면부(47b)에 연속시켜서 경사 형상의 측면부(47c)가 형성되고, 이 측면부(47c)의 위쪽 끝에 연속해서 용지배출구(21)방향으로 뻗는 돌출부(47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경사형상의 측면부(47c) 및 돌출부(47a)가 손끝삽입 안내부재(G)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손끝삽입 안내부재(G)는 정착수단(6)을 통과한 명함 크기 등의 적은 크기의 용지의 꺼냄을 허용하는 위치까지 장치본체(2)내에의 손끝의 삽입을 안내함과 동시에 주로 상기한 측면부(47c)에 의해 소정량 이상 손끝이 삽입되는 것을 규제해서, 그 손끝이 정착수단(6)에 접초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돌출부(47a)는 상기한 용지배출구(21)의 내부에 도입된 상태에서 그 용지배출구(21)의 위쪽 가장자리부에 밀착되어 있고, 용지가 그 위쪽 가장자리부에 걸리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토너회수용기(47)의 일부를 손끝삽입 안내부재(G)로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손끝삽입 안내부재를 배치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부품의 점수 및 조립 공수가 삭감되고, 제조비용을 싸게할 수가 있다.
제19도 및 제20도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별개의 토너회수용기(147)은 위쪽에 개방된 형상을 하고, 그 위쪽끝 가장자리부에는 계단부(14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단부(147a)에는 장치본체(2)의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과는 별개 부재의 뚜껑물체(124e) 가 나사(b1)에 의해 상호 밀착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뚜껑물체(124e)는 금속 등의 비교적 강성이 큰 재료로 된 단일의 부재를 도중에서 접어 꺽어서 형성되고 있고, 화상제작 프레임(146)을 바로위에서 덮는 위뚜껑부재(e1)과 이 위뚜껑부재(e1)과 일체로 뻗어 설치되고, 감광체 드럼(도시하지 않음)에 가까운 측의 끝부분으로부터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뻗는 날고정부(e2)를 구비하고 있다.
날고정부(e2)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감광체 드럼의 원주면에 접촉 가능한 소제용날(145a)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9도 및 제20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리 날고정부(e2)에 소제용날(145)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위뚜껑부재(e1)을 토너회수용기(147)에 장착하고, 나사(b)로 고정하는 것만으로 소제용날(145) 및 위뚜껑부재(e1)의 설치작업 및 부착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가 있다.
제21도를 참조하면 이 도면에 나타내는 다시 또 별도의 토너회수용기(247)은 그 측면판이 상부케이스(224)의 천정면으로부터 늘어진 연장부(224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연장부(224a)의 소정의 위치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42)의 원주면에 접촉 가능한 소제용날(245a)가 고정되어 있다.
제22도를 참조하면, 이 도면에 나타내는 다시 또 별개의 토너회수용기(347)은 화상제작 프레임(346)과 별개부재로 형성된 수지성형품이며, 감광체 드럼(42)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토너회수용기(347)은 위쪽[감광체 드럼(42)측]으로 향해서 개방된 본체부(347a)와 본체부(347a)에 대해 장착되는 뚜껑부재(347b)를 구비하고 있다.
뚜껑부재(347b)는 한 장의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본체부(347a)의 한쪽 측면벽을 구성하는 측면벽부(b1)과 이 측면벽부(a1) 에 대해 본체부(347a)의 내측으로 굴곡된 날고정부(b2)를 구비하고 있다.
날고정부(b2)에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42)의 원주면에 접촉 가능한 소제용날(345a)가 고정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용지반송수단(5)는 용지를 장치본체내로 도입함과 동시에 상기한 화상제작수단을 통해서 장치본체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며, 용지공급 트레이(22)에 놓여진 용지를 끼워서 장치본체(2)의 내부로 도입하는 반송로울러쌍(51)과 반송로울러쌍((51)에 의해 반송된 용지의 앞쪽끝을 부딪치게 해서, 그 용지를 일시적으로 대기시크는 용지저지부재(52)와 전기한 정착수단(6)등의 기능 부품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반송로울러쌍(51)중 상부 로울러(51a)는 현상장치(41)의 현상하우징(41a)에 돌출 설치된 상부안내부재(41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한 안내부재(41b)에 의해 상부로울러(51a)의 지지부재를 겸용하고 있다.
다시 또, 상기한 용지저지부재(52)는 지지점(52a)를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통상은 도시하지 않은 코일 용수철에 의해 제2도, 제3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이 가해져서 용지의 반송경로에 진출하고 있고, 이 진출 상태에서 용지의 앞쪽끝부분을 부딪치게해서 그 용지를 대기시킨다. 그리고, 원고대(1)이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시점에서, 예를들면 원고대(1)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기구를 거쳐서 상기한 용지저지부재(5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용지반송로로부터 퇴피시키므로서 대기시킨 용지를 화상제작수단(4)에 공급한다. 정착수단(6)은 용지를 끼워서 반송하면서 용지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것이며, 내장 가열기로 가열된 가열로울러(61)이 가열로울러(61)에 압축 접촉되어서 따라 움직이는 압축로울러(62) 등의 기능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압축로울러(62)는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축(62a)를 가열로울러(61)을 지지하는 스테이(63)의 홈부(63a)에 도입하므로서 그 가열로울러(61)에 대한 상대위치가 결정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착수단(6)의 압축로울러(62)를 상기한 하부케이스(25)의 저면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25d)에 의해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압축로울러(62)를 지지부재(25d)에 의해 지지하므로서 지지부재(25d)를 회전시켜서 장치본체(2)를 개방시키는때에 압축로울러(62)가 지지부재(25d)에 따라 움직이는 결과로 용지반송경로의 정착수단(6)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장치본체의 저면부로부터 개방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에 의하면 용지끼임 처리나 보수점검 등을 종래 제품보다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구성을 채용하므로서 상부케이스(24)에 노출수단(3)과 화상제작수단(4)와 정착수단(6)의 가열로울러(61)과 용지반송수단(5)의 구동로울러(51a)가 배치되고, 하부케이스(25)에 정착수단(6)의 압축로울러(62)와 용지반송수단(5)의 종동로울러(51b)가 배치되어 있게 된다.
제6도를 참조하면 구동수단(7)은 감광체 드럼(42) 이외에, 현상장치(41)의 토너공급로울러(41d), 교반로울러(41e) 및 현상로울러(41f) 용지반송수단(5)의 상부로울러(51a) 및 정착수단(6)의 가열로울러(61) 등의 구동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동력원 즉, 전동기(71)과 전동기(71)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기구(72)등의 기능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동수단(7)을 구성하는 기능부품은 구동수단(7)에 의한 각종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 등의 전장품(8)과 함께 상부케이스(24)의 내측에 형성된 배치부(24h)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수단(7) 및 전장품(8)을 상부케이스(24)측에 집약해서 배치하므로서 그 구동수단(7)에 대한 배선이나 전장품 상호간의 배선을 용이하고 능률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즉, 이들 구동수단(7)과 전장품(8)의 각각이 상부케이스(24)측과 하부케이스(25)측에 분배되어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 케이스(24),(25) 사이에 있어서 건너가는 배선을 행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배선작업을 집중해서 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 작업에 수고가 필요한데 대해 이들을 상부케이스(24)측에 집약해서 배치하면, 양 케이스(24), (25) 사이의 건너가는 배선이 불필요하게 됨괴 동시에, 배선작업을 한쪽의 장치본체측에서 집중적으로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능률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장치본체(2)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배기팬을 구체화한 별개의 실시예에 대해 제2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3도에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로서 복사기의 장치본체(2)에는 그 내부에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냉각 공기 도입구(2a)(제24도에만 도시함)와 내부의 열을 흡수한 공기를 장치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2b)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지배출구(27)의 상부측을 배기구(2b)로서 겸용하고 있다.
다시 또, 장치본체(2)의 내부에는 화상제작수단(4)의 화상제작 프레임(46)과 일체로 형성된 토너회수용기(47)의 양 케이스(24),(25) 사이에서 끼워 잡혀있다.
토너회수용기(47)은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의 트레이 형상의 것으로서 그 상부 개방구는 제2도, 제3도와 마찬가지로 상부케이스(24)에 형성된 뚜껑부재(24e)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토너회수용기(47)의 인접측에는 열기를 배기시키기 위해 용지반송수단(5)의 하류측 끝부분의 위쪽에 대향하는 배기팬(17)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배기팬(17)은 예를들면 열풍(sirocco)팬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양쪽 끝에 형성된 흡기부는 토너회수용기(47)의 양측에 설치된 한쌍의 흡기관(D)을 거쳐서 노출수단(3)의 형광램프(31)의 양쪽끝부분에 연달아 통하고 있다(제24도 및 제25도 참조).
제24도 및 제25도를 참조하면 상기한 흡기관(D)는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에 소정의 간격을 격리시켜서, 늘어뜨려 형성된 1조의 제1, 제2하향리브(28a),(28b)로 된 관부재(28)과 하부케이스(25)의 저면에 돌출 설치된 1조의 제1, 제2의 상향리브(29a),(29b)로 된 관부재(29)의 각 앞쪽끝 부분을 상호 맞대어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한쌍의 흡기관(D)에는 정착수단(6)의 끝부분이 각각 도입되어 있고, 그 정착수단(6)의 가열로울러(61)에 의한 열기에 대해서도 흡기관(D)를 거쳐서 효율적으로 배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노출수단(3)은 상기한 형광램프(31)을 내부에 수용하는 광학하우징(33)을 구비하고 있고, 이 광학하우징(33)을 상부케이스(24)에 나사조임하므로서 노출수단(3) 전체가 장치본체(2)에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광학하우징(33)에는 장치본체(2)에 형성된 냉각공기 도입구(2a)로 향하는 제1의 절단부와, 상기한 흡기관(D)를 향하는 제2의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4도의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팬(17)이 작동하므로서, 냉각공기 도입부(2a)로부터 장치본체(2) 이외의 공기가 도입되고, 이 공기는 광학하우징(33)내를 통해서 내부의 열을 흡수함과 동시에 흡기관(D)를 통과하는 때에 정착수단(6)의 열도 흡수하고 그후 배기구(2b)로부터 장치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흡기관(D)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제26-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하우징(33)을 단독 또는 광학하우징(33)의 일부와 상부케이스(24)의 일부와에 의해 흡기관(D)를 형성해도 된다.
제26도 및 제27도를 참조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흡기관(D)는 광학하우징(33)에 일체로 형성된 홈형단면의 관부재(33a)와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부재(33a)를 엘(L)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이 관부재(33a)와 상부케이스(24)에 형성된 하향리브(24f)에 의해 흡기관(D)를 구성해도 된다.
다시 또 제2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부재(33a)를 평판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케이스(24)에 전기한 하향리브(24f)와 평행인 제2의 하향리브(24g)를 형성하고, 이들 관부재(33a)를 하향리브(24f) 및 제2의 하향리브(24g)에 의해 흡기관(D)를 구성해도 된다.
다시 또 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부재(33a)를 틀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부케이스(24)의 일부와 조합시키는 일이 없이, 관부재(33a) 단독으로 흡기관(D)를 구성할 수가 있다.
다시 또 제31도-제3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관(D)를 토너회수용기(47) 단독 또는 토너회수용기(470의 일부와 장치본체(2)의 일부와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제31도 및 3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흡기관(D)는 토너회수용기(47)의 양측에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 토너회수용기(47)의 측면벽의 일부를 겸하는 홈형단면의 관부재(47a)와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에 상기한 제1의 하향리브(24f)와 병렬로 하향형성되고, 아래쪽끝부분을 관부재(47a)와 맞대게한 제2의 하향리브(24g)와 상기한 제1의 하향리브(24f)와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과 구성되어 있다.
흡기관(D)를 토너회수용기(47) 단독 또는 토너회수용기(47)의 일부와 장치본체(2)의 일부와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 예를들면 제3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4)에 하향리브(24f)(24g)를 형성하지 않고, 관부재(47a)의 위쪽끝을 직접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에 맞닿게하므로서 흡기관(D)를 구성해도 된다.
또 제3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부재(47a)를 틀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부케이스(24)의 일부와 조합시키는 일이 없이 관부재(47a) 단독으로 흡기관(D)를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또 제35도-제3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회수용기(47)의 상부에 그것을 폐색하는 뚜껑물체(48)을 설치하고, 이 뚜껑물체(48) 단독으로 또는 뚜껑물체(48)의 일부와 상부케이스(24)의 일부와에 의해 흡기관(D)를 구성해도 된다.
제35도 및 제36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실시예의 상기한 흡기관(D)는 토너회수용기(47)의 뚜껑물체(48)의 양측에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고, 뚜껑물체(48)의 측면벽을 겸하는 엘(L)자형의 단면의 관부재(48a)와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에 하향 형성되고, 아래쪽 끝부분은 관부재(48a)에 맞댄 하향리브(24f)와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뚜껑물체(48)은 토너회수용기(47)의 상부 개방구를 폐색시키는 합성수지제품이며 이것에 의해 토너회수용기(47)에 회수된 토너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토너회수용기(47)의 상부에 그것을 폐색시키는 뚜껑물체(48)을 설치하고, 이 뚜껑물체(48)과 상부케이스(24)의 일부와에 의해 흡기관(D)를 구성하는 때에는 이하의 구조의 것을 채용하느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제3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향리브(24f)을 폐지한 상부케이스(24)를 채용하고, 이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에 홈형의 관부재(48a)의 위쪽끝을 직접 맞닿게하므로서 흡기관(D)를 구성해도 된다.
또 제3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부재(48a)를 틀형상 단면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부케이스(24)의 일부와 조합시키는 일이 없이 단독으로 흡기관(D)를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 의하면 한쌍의 흡기관(D)에 의해 특히 고온이 되는 형광램프(31)의 양 끝부분의 열기를 효율적으로 배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기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이 배기능력이 적은 값싼 배기팬(17)을 사용할 수가 있다. 더구나 상기한 흡기관(D)가 상부케이스(24)의 일부와 하부장치본체(2) 등의 일부와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의 점수 및 조립공수가 증가하는 일이 없이 흡기관(D)에 의한 비용적인 부담증가가 거의 없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다시 또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Claims (45)

  1. 감광체를 노출시켜서 감광체상에 정전잠상을 형상하는 노출수단(3)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화한 후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화상제작수단(4)와, 용지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수단(6)을 포함하고, 용지를 장치본체(2)내로 도입함과 동시에 상기한 화상제작수단(4)을 통해 장치본체(2)로부터 배출시키는 용지반송수단(5)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7)과 전장품(8)을 각각 구성하는 각종 기능부품을 적어도 구비하고, 각 기능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지제의 장치본체(2)를 모노코크 구조의 상호 분리 가능한 상부케이스(24)및 하부케이스(25)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부케이스(24)에 노출수단(3)과 화상제작수단(4)와 정착수단(6)의 구동로울러(61a)과 용지반송수단(5)의 구동로울러(51a)와구동수단(7)과 전장품(8)이 배치되고, 상기한 하부케이스(25)에 정착수단(6)의 압축로울러(62)와 용지반송수단(5)의 압축로울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화상제작수단(4)는 상기한 상부케이스(24)에 설치되고, 상기한 상부케이스(24)는 외장덮개를 겸하는 4변의 측면벽및 천정과 상기한 화상제작수단(4)의 기능부품에 관련시켜서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모노코크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용지반송수단(5)의 일부는 상기한 하부케이스(25)에 설치되고, 이 하부케이스(25)는 외장덮개를 겸하는 4변의 측면벽 및 저면벽과 저면벽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모노코크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장치본체(2)는 상부케이스(24)와 하부케이스(25)를 상호 나사조임하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장치본체(2)는 상부케이스(24)와 하부케이스(25)를 상호 턱솔변탕(ship lap)형상으로 끼워맞추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하부케이스(25)의 돌출부는 용지의 하면측의 반송을 안내하는 하부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용지반송수단(5)를 구성하는 기능부품중의 용지반송경로의 아래쪽에 배치된 기능부품의 일부를 장치본체(2)의 저면부에 설치한 지지부재에 의해 그 장치본체(2)내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한 정착수단(6)의 용지반송경로의 아래쪽에 배치된 기능부품을 상기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지지부재가 용지반송경로의 하류측에 배치된 지지점에 의해 하부케이스(25)의 개방구에 도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한 정착수단(6)의 아래쪽에 배치된 기능부품을 상기한 지지점의 근방에서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하부케이스(25)는 장치본체(2)에 공급되는 용지를 받는 용지공급 트레이(22)와 배출된 화상형성처리후의 용지를 받는 용지배출 트레이(2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24)에 노출수단(3)과 화상제작수단(4)와 정착수단(6)의 구동로울러(61)과 용지반송수단(5)의 구동로울러(51a)가 배치되고, 상기한 하부케이스(25)에 정착수단(6)의 압축로울러(62)의 용지반송수단(5)의 압축로울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24)는 외장덮개를 겸하는 4변의 측면벽및 천정벽과 상기한 화상제작수단(4)의 기능부품에 관련시켜서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모노코크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하부케이스(25)는 외장덮개를 겸하는 4변의 측면벽 및 저면벽과 상기한 용지반송수단(5)의 용지의 하면을 안내하는 기능부품에 관련시켜서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모노코크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구동수단(7)과 전장품(8)은 상기한 장치본체(2)의 상부케이스(24)측에 집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용지반송수단(5)는 장치본체(2)에 공급되는 용지를 받는 용지공급 트레이(22)와 장치본체(2)로부터 배출된 화상형상처리후의 용지를 받는 용지배출 트레이(2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용지공급 트레이(22)와 용지배출 트레이(23)은이 각각 장치본체(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용지공급 트레이(22)와 용지배출 트레이(23)이 각각 회전 기립가능하게 장치본체(2)에 축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용지공급 트레이(22)는 상기한 하부케이스(25)의 저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안내부재와 나란히 용지의 하면측을 안내하는 안내리브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용지배출 트레이(23)는 상기한 하부케이스(25)의 저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안내부재와 나란히 용지의 하면측을 안내하는 안내리브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용지공급 트레이(22)는 장치본체(2)내에의 용지의 삽입을 안내하는 폭 안내부재(9)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폭 안내부재(9)는 상기한 용지공급 트레이(22)의 폭방향의 변위가능한 한쌍의 커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한쌍의 커솔은 한쌍의 랙기어(92a),(92b)의 각각의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랙기어(92a),(92b)는 한 개의 피니언기어(93)를 거쳐서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랙기어(92a),(92b)는 각각 용지공급 트레이(22)의 안내홈내에 도입되어 있고, 각 안내홈에는 랙기어(92a),(92b)의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랙누름부재(22c)(22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피니언기어(93)은 정상부에 이탈방지부를 갖는 지지핀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부는 직경방향으로 신축가능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감광체를 노출시켜서 감광체상에 정전잠상을 형상하는 노출수단(3)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화한 후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화상제작수단(4)와, 용지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수단(6)을 포함하고, 용지를 장치본체(2)내로 도입함과 동시에 상기한 화상제작수단(4)을 통해서 장치본체(2)로부터 배출시키는 용지반송수단(5)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7)과 전장품(8)을 각각 구성하는 각종 기능부품을 적어도 구비하고, 각 기능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장치본체(2)가상호 분리 가능한 상부케이스(24)와 하부케이스(25)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케이스(24)에 그 내면에 화상제작수단의 기능부품에 관련시켜서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수지제의 모노코크 구조로 되어 있고, 하부케이스는 그 내면에 용지의 하면측의 반송을 안내하는 하부안내부재가 돌출부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화상제작수단(4)는 상기한 상부케이스(24)에 설치되고, 그 상부케이스(24)는 외장덮개를 겸하는 4변의 측면벽 및 천정벽과 상기한 화상제작수단(4)의 기능부품에 관련시켜서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모노코크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24)에 토너카아트리지(41c)를 삽입하고 빼내기 위한 개방구 및 토너카아트리지(41c)의 삽입과 빼내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한 개방구를 덮개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화상제작수단(4)는 상기한 장치본체(2)내에 수용되는 화상제작 프레임(46)과 감광체표면의 잔류 토너를 회수하는 토너회수용기(4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화상제작프레임(46)은 전사충전기(44)의 절연하우징(44a)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47)은 상기한 화상제작 프레임(4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47)은 뚜껑부(48)에 의해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47)의 뚜껑부(48)은 상부케이스(24)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47)은 뚜껑부(48)은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과 이 천정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져서 토너회수용기(47)의 개방구 가장자리에 밀착하는 하향리브(24f)(24g)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47)의 개방구 가장자리는 상기한 하향리브(24f)와 나사조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3. 제26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47)에 감광체 표면의 토너를 긁어내는 소제용날(45a)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4. 토너회수용기(47)은 그 상면을 덮는 뚜껑부(48)을 구비하고, 이 뚜껑부(48)에 감광체 표면의 토너를 긁어내는 소제용날(45a)를 고정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47)은 상부케이스(24)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상부케이스(24)의 일부에 감광체 표면의 토너를 긁어내는 소제용날(45a)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6. 제26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47)는 정착수단(6)을 통과한 적은 크기의 용지의 꺼냄을 허용하는 위치까지 장치본체(2)내에의 손끝의 삽입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한 손끝이 정착수단(6)에 접촉하는 것을 저지하는 손끝삽입 안내부재(G)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47)의 손끝삽입 안내부재(G)는 그 일부가 용지배출구(21)의 위가장자리부에 밀착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8. 제23항에 있어서, 노출수단(3)은 장치본체(2)내에 옆으로 걸쳐져서 원고를 조명하는 막대형상의 램프(31)를 구비하고, 상기한 장치본체(2)는 그 내부의 열기를 배기시키는 배기팬(17)과 이 배기팬(17)을 상기한 램프(31)의 양쪽 끝부분과 연결하는 한쌍의 흡기관(D)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흡기관(D)는 상부케이스(24)의 천정면으로부터 늘어진 한쌍의 하향리브(24f)(24g)와 하부케이스(25)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일으켜 세워진 상향리브를 상호 맞대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흡기관(D)는 상기한 램프(31)를 수용하는 광학하우징(33)에 적어도 형성된 관부재(28)(29)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관부재(28)(29)는 광학하우징(33)과 상부케이스(24)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2. 제38항에 있어서, 흡기관(D)는 배기팬(17)과 램프(31)와의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고 감광체의 잔류 토너를 회수하는 토너회수용기(47)에 적어도 형성된 관부재(28)(29)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3. 관부재(28)(29)는 토너회수용기(47)과 상부케이스(24)와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4. 제38항에 있어서, 흡기관(D)는 배기팬(17)과 램프(31)와의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서 감광체의 잔류 토너를 회수하는 토너회수용기(47)의 뚜껑부(48)에 적어도 형성된 관부재(28)(29)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관부재(28)(29)는 상기한 토너회수용기(47)의 뚜껑부(48)과 상부케이스(24)와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20004096A 1991-03-12 1992-03-12 화상형성장치 KR960010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46963 1991-03-12
JP3046963A JP2649105B2 (ja) 1991-03-12 1991-03-12 画像形成装置
JP91-046963 1991-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536A KR920018536A (ko) 1992-10-22
KR960010474B1 true KR960010474B1 (ko) 1996-08-01

Family

ID=1276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096A KR960010474B1 (ko) 1991-03-12 1992-03-12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38390A (ko)
EP (1) EP0503610B1 (ko)
JP (1) JP2649105B2 (ko)
KR (1) KR960010474B1 (ko)
DE (1) DE6921593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8764A (ja) * 1991-04-30 1992-11-17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FR2757495B1 (fr) * 1996-12-23 1999-03-26 Canon Kk Dispositif de traitement de feuilles, notamment pour machine de bureautique
DE10323051A1 (de) * 2003-05-20 2004-12-09 Basys GmbH, Druck-, Lichtpaus- und Reprosysteme Sammelablagevorrichtung
JP5017388B2 (ja) 2010-01-29 2012-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154A (en) * 1980-05-23 1981-12-18 Minolta Camera Co Ltd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US4335950A (en) * 1980-12-24 1982-06-22 Xerox Corporation Frame assembly with upper and lower frame members for automatic reproducing apparatus
JPS57197580A (en) * 1981-05-29 1982-12-03 Toshiba Corp Picture forming device
JPS58118659A (ja) * 1982-01-08 1983-07-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4563078A (en) * 1984-08-31 1986-01-07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ographic apparatus frame with plural alternative mounting elements
US4757344A (en) * 1985-07-16 1988-07-12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cartridges
JPH0623875B2 (ja) * 1985-08-29 1994-03-30 コニカ株式会社 複写装置
JP2579460B2 (ja) * 1985-11-06 1997-02-05 三田工業株式会社 静電複写装置
EP0598701B1 (en) * 1986-12-10 1998-03-2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discharge recovery method
JPS63210878A (ja) * 1987-02-27 1988-09-0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4896190A (en) * 1987-02-27 1990-01-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battery
US5073796A (en) * 1987-08-31 1991-12-17 Kabushiki Kaisha Toshiba Cooling system for an apparatus with a heat generating element therein
US4969010A (en) * 1987-11-26 1990-11-06 Konica Corporation Copying machine
JPH0619370B2 (ja) * 1988-07-05 1994-03-16 ソニー・テ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プローブ
JP2939621B2 (ja) * 1989-02-13 1999-08-25 コニカ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2590015B2 (ja) * 1989-02-15 1997-03-12 三田工業株式会社 トナー像現像装置
JP2710664B2 (ja) * 1989-04-28 1998-0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写真記録装置
JPH04328764A (ja) * 1991-04-30 1992-11-17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3610A3 (en) 1993-04-14
EP0503610B1 (en) 1996-12-18
KR920018536A (ko) 1992-10-22
DE69215933T2 (de) 1997-07-10
EP0503610A2 (en) 1992-09-16
DE69215933D1 (de) 1997-01-30
JP2649105B2 (ja) 1997-09-03
JPH04283759A (ja) 1992-10-08
US5438390A (en) 199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7671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developing unit with movement member
US7995948B2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side cover with inclined surface
JPH06317959A (ja) 画像形成装置
KR960002897B1 (ko) 화상형성장치
KR960010474B1 (ko) 화상형성장치
JP6972531B2 (ja) 画像形成装置
JPH05281795A (ja) 画像形成装置
KR100605356B1 (ko) 화상형성장치
JPH04346362A (ja) 画像形成装置
JP2593978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346364A (ja) 画像形成装置
JP2636587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366967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10967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26369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14061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08860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46361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26377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26363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26379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26375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08863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07825A (ja) 画像形成装置
JPH0434228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