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260B1 - 펌프의 배관접속부 - Google Patents

펌프의 배관접속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260B1
KR960010260B1 KR1019890701983A KR890701983A KR960010260B1 KR 960010260 B1 KR960010260 B1 KR 960010260B1 KR 1019890701983 A KR1019890701983 A KR 1019890701983A KR 890701983 A KR890701983 A KR 890701983A KR 960010260 B1 KR960010260 B1 KR 96001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asing
pump
annular rib
pip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762A (ko
Inventor
겐이찌 가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후지무라 히로유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후지무라 히로유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70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50Flanged connections
    • F16B2200/506Flanged connections bolted or rive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Compressor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펌프의 배관접속부
종래 강판으로 제작된 펌프의 배관접속부의 구조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구측에 있어서는 케이싱본체(1)의 외면부(1a)의 토출개구부의 토출구(2a)를 가지는 배관접속플렌지(2)가 용접되어 설치되고, 그 배관접속부 플렌지(2)의 플렌지면의 뒤쪽에 두꺼운 철판(3)이 용접되어 있다.
한편, 흡입구쪽에 있어서는 케이싱본체(1)의 흡입측 측면부(1b)의 흡입개구부에 흡입구(4a)를 가지는 흡입플렌지(4)가 용접되고 그 흡입플렌지(4)의 이면측에는 볼트구멍(5a)을 가지는 두꺼운 철판(5)이 용접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6은 흡입칸막이판, 7은 주변에 구멍(7a)를 가지는 소용돌이(Volute)내벽, 8은 케이싱커버, 9는 임펠러이다.
또, 제 2 도에 나타낸 종래예에 있어서는 박판(강판)구조의 펌프케이싱(11)의 흡입접속부에 흡입단관(短管)(12)을 둘러싸도록 하여 흡입측 케이싱벽(11a)과, 접속플렌지(13)와, 그 접속플렌지(13)와 펌프케이싱(11) 사이에 연장되는 지지체(14)로 이루어진 박스지지체(15)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16은 케이싱 단벽(短碧)이다(서독 특허공개 제3,517,828호 공보 참조).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 배관접속플렌지면의 이면측에 두꺼운 강판을 용접한 경우(제 1 도)는 플렌지 평면부의 강도는 충분하나 가격이 높다는 결점이 있다. 또 흡입측의 접속플렌지(13)을 흡입단관(12)의 외측에 배치된 지지체(14)에 의하여 지지하도록 한 경우(제 2 도)는 접속플렌지(13) 자체를 두껍게 제작하므로 전체를 내식성 재료로 할 필요가 있으며, 도중의 통수로(흡입단관)(12)도 별개의 부품으로 되기 때문에 공정수가 많아져 가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식성 유로를 가지고, 플렌지 접합면의 강성이 크며, 또 플렌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펌프의 배관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펌프의 배관접속부를 아래와 같은 구조로 했다.
플렌지본체를 강판으로 제조하고, 통수로를 형성하는 내주부를 케이싱본체측으로 연장하고 그 연장부를 상기 케이싱본체의 유체출입구에 직접 또는 통체를 개재시켜 용접하여 설치하며, 상기 플렌지본체의 플렌지면에 복수개의 볼트구멍을 천공하고 ; 외측을 각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케이싱본체 방향으로 하향돌출한 U자형 단면의 환상리브를 갖고, 상기 환상리브의 U자단면의 저부에 상기 볼트구멍과 각각 대응하는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면의 이면측에 맞닿게 되는 상승면이 상기 환상리브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수압판을 상기 플렌지면의 이면측에 접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수압관의 상기 환상리브의 외측에도 상기 플렌지면의 이면에 맞닿게 되는 상승면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본체의 유체출입구의 직경보다 큰 통부를 가지고, 상기 통부의 플렌지방향쪽의 단부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확장하여 상기 플렌지본체의 외측통부에 접합하며, 상기 확장부에 상기 볼트구멍에 대응하는 볼트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통부의 케이싱측 단부를 상기 케이싱본체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성형하여 용접하도록 되어 있는 플렌지를 상기 수압판의 상기 환상리브의 저부에 맞닿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강플렌지의 통부의 일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한 리브를 설치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 3 도(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펌프의 토출측 배관접속부의 평면도, 제 3 도(b)는 제 3 도(a)의 AOB선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본체(21)는 얇은 내식성 강판에 의하여 제작되고 있고 플렌지면(대향하는 플렌지가 맞닿는 면)(21a)의 내측에서 통수로를 형성하는 내주부(21b)는 플렌지면(21a)으로부터 케이싱의 유체출입구(22a)에 대략 원통상의 토출구노즐(25)를 거쳐 밀봉 용접되어 수밀(水密)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플렌지면(21a)의 외주에는 케이싱본체(22)측으로 연장되는 외측원통부(21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통부(21c)에 의하여 리브효과와 외관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플렌지면(21a)의 이면측에는, 일반적으로 플렌지상승면[RF(raised face)]부분에 해당하는 외주부에 이르는 비교적 두터운 수압판(23)이 플렌지본체(21)의 내주부(21b)의 외측부로부터 플렌지본체(21)의 이면에 고착되어 있다. 이 수압판(23)은 상기 상승면의 중간부에 케이싱본체(22)측으로 하향 돌출된 U자형 단면의 환상리브(23R)를 가지고 있고, 상기 환상리브(23R)는 플렌지본체(21)의 볼트구멍(21d)에 대응하는 볼트구멍(23a)을 뚫은 저부의 평면부(단면 U자형의 저부)(23b)와 그 평면부(23b)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플렌지본체(21)의 외주원통부(21c)와 거의 동등한 높이까지 연장된 원통부(23c)와, 동일반경방향 외측에 동일하게 외주원통부(21c)와 거의 동일한 높이까지 연장된 각형(角形)의 박스 형상부(形狀部)(23d)와, 상기 원통부(23c)의 상단으로부터 내경측으로 플렌지면(21a)의 이면에 맞닿도록 내주부(21b)의 근방까지 돌출된 상승면(23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승면(23e)이 상기한 플렌지 상승면(RF)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토출구노즐관(25)을 플렌지본체(21)와 별개부품으로 했으나 플렌지본체(21)의 내주부(21)를 유체출입구(22a)까지 연장하여 토출노즐관부를 플렌지본체(21)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펌프의 토출측 배관접속부의 단면도{제 3 도(a)의 AOB선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상리브(23R)가 플렌지면(21a)의 이면에 당접하도록 내주부(21b) 근방까지 돌출한 상승면(23e)과, 박스 형상부(23d)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외측원통부(21c) 근방까지 돌출한 상승면(23f)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두 상승면(23e,23f)이 상기한 플렌지상승면(RF)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또, 상기 수압판(23)의 U자 단면저부의 평면부(23b)와 맞닿도록 보강플렌지(24)가 플렌지본체(21)의 이면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플렌지(24)는 케이싱본체(22)의 유체출입구부(22a)의 직경보다 큰 원통부(24a)를 가지며, 그 원통부(24a)는 플렌지측(도면에서 상방)으로 수압판(23)의 하단면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그 단부를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연장시켜 본체(21)의 외측원통부(21c)의 내측으로 접혀들어가도록 하여 접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확장부(24b)는 수압판(23)의 환상리브의 하면에 맞닿게 되어 있고, 또 상기 확장부(24b)에는 상기 볼트구멍(21d,23b)에 대응하는 볼트구멍(24c)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보강플렌지의 원통부(24a)의 케이싱측 방향의(도면에서는 아래쪽) 단부(24d)는 케이싱본체(22)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접되어 있다.
제 5 도(a)는 상기 보강플렌지(24)의 요부평면도이고, 제 5 도(b)의 실선부분은 제 5 도(a)의 COD선에 의한 단면도, 2점쇄선부분은 EOD선에 의한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플렌지(24)의 원통부(24)의 원통부(24a)의 일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리브(24e)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 3 도(b)의 배관접속부에 있어서는 볼트로 죄여진 플렌지본체(21)의 플렌지면(21a)의 이면에 맞닿게 형성된 수압판(23)의 상승면(23e)이 보강재로서 작용한다. 또 제 4 도의 배관접속부에서는 수압판(23)의 두 상승면(23e,23f)이 보강재로 작용한다. 또 수압판(23)에는 볼트구멍(23a)을 평면부(23b)에 천공하고 그 외측을 각형의 박스 형상부(23d)로 형성한 U자형 단면의 환상리브(23R)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볼트로 죄었을 경우 수압판(23)의 볼트와 볼트의 사이에 변형력이 작용하더라도 박스 형상부(23d)의 각편(角片)이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는 리브로서 작용한다. 또 이 볼트죄임에 의하여 수압판(23)에 비틀림(torsion) 힘도 작용하나 박스 형상부(23d)의 각편은 이 비틀림에 대한 강성을 크게하는 작용도 가진다.
또 플렌지본체(21)의 이면측에 설치되는 보강플렌지(24)는 상기 플렌지본체(21)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 보강플렌지(24)의 원통부(24a)에 리브(24e)를 형성시킴으로써 보강플렌지(24)의 강도가 한층 더 증가하여 변형방지의 작용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수압판(23)의 원통부(23c)는 반드시 원통이어야 할 필요는 없고 다각형통등의 통체이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펌프의 토출측의 배관접속부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상기 배관접속부의 구조는 펌프의 흡입측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다.
플렌지본체를 강판으로 제작하고 통수로를 형성하는 내주부를 케이싱본체측으로 연장하여 그 케이싱본체의 유체출입구에 직접 또는 통체를 개재하여 설치함으로써 케이싱본체 또는 케이싱본체와 통체를 내식성 재료로 구성하는 것만으로 유로에 내식성을 갖게 할 수가 있다.
또 플렌지본체에 천공된 복수개의 볼트구멍에 대응하는 볼투구멍을 U자단면의 저부에 평면부에 천공하고 외측의 각형의 박스형상을 형성한 환상리브를 가지고 또 상기 환상리브의 내측 또는 외측과 내측에 플렌지면의 이면에 당접하는 상승면을 일체로 형성한 수압판을 상기 플렌지면의 이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수압판이 플렌지면의 보강재로서의 작용할 뿐만 각형의 박스 형상부의 각편이 복수개의 볼트와 볼트의 사이의 변형을 방지하는 리브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비틀림에 대한 강성을 크게하는 작용을 가진다.
또 플렌지본체의 이면측에 키이싱본체의 유체출입구보다 지름이 큰 원통부와, 플렌지방향쪽의 단부를 바깥쪽으로 확장하여 대응하는 볼트구멍을 설치한 확장부와, 케이싱본체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케이싱쪽 단부로 이루어진 보강플렌지를 설치함으로써 플렌지본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보강플렌지의 통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플렌지본체의 변형을 더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렌지본체와 같이 펌프의 양수액에 접하는 접액(接液)부와 수압판이나 보강플렌지와 같이 양수액에 접하지 않는 비접액부를 분리할 수가 있으므로 접액부는 내식성을 중시하고 비접액부는 강도를 중시하여 설계할 수 있으므로 내식성 및 강도의 설계가 용이하고 또한 내식성이 뛰어난 고가의 재료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펌프의 배관접속부는 플렌지본체의 강판으로 제작하고 통수로를 형성하는 내주부를 케이싱본체측으로 연장하여 그 케이싱본체의 유체출입구부에 직접 또는 통체를 개재시켜 용접하여 설치하고, 그 플렌지본체의 플렌지면에 복수개의 볼트구멍을 천설하고, 외측을 각형으로 형성하여 케이싱본체측 방향으로 돌출한 U자형 단면의 환상리브를 가지고 그 환상리브의 U자형 저부에 상기 볼트구멍와 대응하는 볼트구멍을 설치하고 또 그 환상리브의 내측 또는 내측과 외측에 플렌지면의 이면에 당접하는 상승면을 일체로 형성한 수압판을 상기 플렌지면의 이면측에 접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유로에 내식성을 필요로 하고, 또 플렌지 접합면에 큰 강성을 필요로 하고 플렌지를 변형시키는 외력이 큰 펌프의 배관접속부로서 사용하면 적합하다.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등의 강판으로 제작된 펌프의 흡입구측 및/또는 토출구측의 배관접속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종래의 배관접속부를 구비한 펌프의 단면도,
제 3 도(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배관접속부의 평면도 및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관접속부의 단면도,
제 5 도(a) 및 (b)는 보강플렌지의 평면도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5)

  1. 배관접속플렌지를 구비한 펌프케이싱을 포함하는 펌프의 배관접속부에 있어서 : 플렌지본체를 강판으로 제조하고, 통수로를 형성하는 내주부를 케이싱본체측으로 연장하고 그 연장부를 상기 케이싱본체의 유체출입구에 직접 또는 통체를 개재시켜 용접하여 설치하며, 상기 플렌지본체의 플렌지면에 복수개의 볼트구멍을 천공하고 ; 외측을 각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케이싱본체 방향으로 하향돌출한 U자형 단면의 환상리브를 갖고, 상기 환상리브의 U자단면의 저부에 상기 볼트구멍과 각각 대응하는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면의 이면측에 맞닿게 되는 상승면이 상기 환상리브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수압판을 상기 플렌지면의 이면측에 접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펌프의 배관접속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판의 상기 환상리브의 외측에도 상기 플렌지면의 이면에 맞닿게 되는 상승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수압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배관접속부.
  3. 제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본체의 유체출입구의 직경보다 큰 통부를 가지고, 상기 통부의 플렌지방향쪽의 단부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확장하여 상기 플렌지본체의 외측통부에 접합하며, 상기 확장부에 상기 볼트구멍에 대응하는 볼트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통부의 케이싱측 단부를 상기 케이싱본체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성형하여 용접하도록 되어 있는 보강플렌지를 상기 수압판의 상기 환상리브의 저부에 맞닿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배관접속부.
  4. 제1 내지 제 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플렌지의 통부의 일부에 바깥쪽으로 돌출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배관접속부.
  5. 배관접속 플렌지를 구비한 펌프케이싱을 포함하는 펌프의 배관접속부에 있어서 : 강판으로 제작되고, 통수로를 형성하는 내주부가 상기 펌프케이싱의 본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본체의 유체출입구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플렌지면에 복수의 볼트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본체 ; 상기 플렌지면의 상기 볼트구멍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환상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플렌지면의 이면측에 맞닿게 되는 상승면이 상기 환상리브의 내측상단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승면에 의해 상기 플렌지의 상기 이면측에 맞닿도록 장착되는 수압판 ; 및 상기 수압판의 상기 환상리브와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는 보강플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배관접속부.
KR1019890701983A 1988-02-29 1989-02-28 펌프의 배관접속부 KR960010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25172 1988-02-29
JP2517288 1988-02-29
PCT/JP1989/000207 WO1989008195A1 (en) 1988-02-29 1989-02-28 Piping connection part of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762A KR900700762A (ko) 1990-08-16
KR960010260B1 true KR960010260B1 (ko) 1996-07-26

Family

ID=1215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983A KR960010260B1 (ko) 1988-02-29 1989-02-28 펌프의 배관접속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33642A (ko)
EP (1) EP0406418B1 (ko)
KR (1) KR960010260B1 (ko)
AT (1) ATE118600T1 (ko)
AU (1) AU3187189A (ko)
DE (1) DE68921203T2 (ko)
DK (1) DK172263B1 (ko)
WO (1) WO1989008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080B2 (ja) * 1989-07-15 1995-06-2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板金製うず巻ポンプケーシング
IT1248200B (it) * 1991-01-11 1995-01-05 Ebara Corp Cassa in lamiera metallica per pompa centrifuga
JP2676450B2 (ja) * 1991-01-11 1997-11-1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板金製ポンプケーシング
DE4214026A1 (de) * 1992-04-29 1993-11-04 Klein Schanzlin & Becker Ag Pumpengehaeuse
US6742816B2 (en) * 1998-06-23 2004-06-01 Taco, Inc. Pipe flange and piping system
US6314894B1 (en) 2000-08-30 2001-11-13 Jakel Incorporated Furnace blower housing with integrally formed exhaust transition
US6494152B2 (en) 2000-08-30 2002-12-17 Jakel Incorporated Stamped blower housing with 4″ transition
US6468034B1 (en) 2000-12-04 2002-10-22 Fasco Industries, Inc. Flush mount round exhaust fabricated inducer housing
US6902373B1 (en) 2002-09-26 2005-06-07 Fasco Industries, Inc. Sheet metal exhaust adapter for draft inducers
US7354244B2 (en) 2004-09-01 2008-04-08 Aos Holding Company Blower and method of conveying fluids
DE202005004180U1 (de) * 2005-03-14 2006-07-27 Ebm-Papst Landshut Gmbh Radialgebläse
CN101943031B (zh) * 2010-10-25 2013-10-16 上海电气电站设备有限公司 低压内缸中分面自密封结构
US8777561B2 (en) * 2010-11-05 2014-07-15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mpressor shroud having a retention cover channel for receiving a retention cov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03809A1 (de) * 1972-01-27 1973-08-02 Wilhelm Schulz Ueberwurfflansch
DE2261367A1 (de) * 1972-12-15 1974-06-20 Wilhelm Schulz Rohrreduzierstueck
DE2451759A1 (de) * 1974-10-31 1976-05-13 Schulz Wilhelm Ueberwurfflansch
DE2807444A1 (de) * 1978-02-22 1979-08-23 Schulz Wilhelm Rohrleitungsflansch
EP0025070B1 (de) * 1979-09-07 1984-01-18 Wilhelm Schulz Apparate- und Rohrleitungsbau Edelstahl-Press- und Stanzwerk GmbH Flansch
JPS59160893A (ja) * 1983-03-01 1984-09-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読出し専用メモリ
JPS59160893U (ja) * 1983-04-14 1984-10-2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鋼板製ポンプのフランジの構造
AU5224386A (en) * 1985-02-01 1986-08-07 Bankamerica Corp. Lubricant for alcohol fuel engines
JPH025120Y2 (ko) * 1985-05-02 1990-02-07
DE3517827A1 (de) * 1985-05-17 1986-11-20 Klein, Schanzlin & Becker Ag, 6710 Frankenthal Kreiselpumpengehaeuse
ATE96207T1 (de) * 1989-01-19 1993-11-15 Ebara Corp Pumpengehae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762A (ko) 1990-08-16
EP0406418A4 (en) 1991-10-16
WO1989008195A1 (en) 1989-09-08
DK205990D0 (da) 1990-08-28
US5133642A (en) 1992-07-28
DK172263B1 (da) 1998-02-09
DE68921203T2 (de) 1995-10-12
DK205990A (da) 1990-10-29
ATE118600T1 (de) 1995-03-15
AU3187189A (en) 1989-09-22
DE68921203D1 (de) 1995-03-23
EP0406418B1 (en) 1995-02-15
EP0406418A1 (en) 1991-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260B1 (ko) 펌프의 배관접속부
US5358380A (en) Pump casing made of sheet metal
US5055006A (en) Submerged motor pump having an outer casing which is radially deformable
JP5394434B2 (ja) 入れ子を備えたポンプハウジング組立体
KR100252683B1 (ko) 강판제 펌프케이싱과 이 펌프케이싱을 구비한 전주류형 펌프
EP0566086B1 (en) Full-circumferential flow pump
KR920012757A (ko) 강판으로 만든 펌프용 중간케이싱
US20090068002A1 (en) Pump housing assembly with liner
CA1266797A (en) Centrifugal pump housing
JP3661820B2 (ja) 水中ポンプのポンプケーシング
JPH025120Y2 (ko)
KR200281017Y1 (ko)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JP4435944B2 (ja) 水中ポンプにおけるサクションカバーおよびストレーナの定着構造
KR920003639Y1 (ko) 수직형 펌프의 토출 파이프 고정구조
JPH0534749Y2 (ko)
JPH0579839B2 (ko)
JPH07208382A (ja) 水中ポンプ
JPH09287588A (ja) 水中ポンプのポンプケーシング
JP2000179489A (ja) 残水排水ポンプ
KR20160130881A (ko) 수직펌프의 토출관 조립체
JPH0610890A (ja) 板金製ポンプケーシング及び該ポンプケーシングを備えた全周流型ポンプ
JPH0618678U (ja) ポンプ
JPH05302597A (ja) 板金製ポンプケーシングの据付脚
JPH05302598A (ja) 設置型板金製ポンプ
JP2001001769A (ja) タンクに配管を取り付けるため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