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183Y1 -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183Y1
KR960009183Y1 KR2019940002899U KR19940002899U KR960009183Y1 KR 960009183 Y1 KR960009183 Y1 KR 960009183Y1 KR 2019940002899 U KR2019940002899 U KR 2019940002899U KR 19940002899 U KR19940002899 U KR 19940002899U KR 960009183 Y1 KR960009183 Y1 KR 960009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mmand
power
relay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265U (ko
Inventor
심범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이씨
김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이씨, 김유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이씨
Priority to KR2019940002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183Y1/ko
Publication of KR950025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05Y2400/456Control modes for programming, e.g. learning or AI [artificial intellige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 제어 장치를 기존의 윈도우 개폐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회로 결선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제어 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부 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1 : 정전압부 12 : 버퍼
13, 14, 15, 16 : 릴레이 17, 18 : 필터회로부
19, 20 : 검출저항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윈도우를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윈도우를 닫지 않고 내리는 경우에 운전자가 하차후 도어를 닫을 때 열려있는 윈도우를 자동적으로 닫아주고 또한 차량 외부에서 닫혀있는 윈도우를 원격 제어로 열어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동기(모터)를 이용해서 자동차 윈도우를 개폐하는 장치는 운전석을 기준으로 좌우측 윈도우의 업다운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였을 때 이를 감지한 신호로 윈도우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켜 윈도우를 전동으로 개폐하는 장치이나, 이러한 장치의 경우 운전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윈도우를 닫지 않고 하차하게 되어도 이에 대처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가 윈도우가 열린 것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다시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를 조작하여 윈도우를 닫아준 후 하차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윈도우가 열린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열려진 윈도우로 인하여 차량의 도난이나 손상이 빈번하게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에 승차하였을 때 통상 환기를 위해 윈도우를 잠시 열어두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환기를 위한 윈도우 열림 조작을 수동으로 일일이 수행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를 닫고 하차한 경우 열려진 윈도우가 있으면 이를 운전자가 도어를 잠글 때 자동적으로 닫아주고, 자동차 외부에서 닫혀있는 창문을 원격 제어를 통해 열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윈도우 전동 개폐 시스템의 사용에 편리를 기하고, 운전자가 부주위로 윈도우를 열어두는 경우에도 이에 대처해 줌으로써, 보안 유지와 안전 유지 및 도난 방지를 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면 제1도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개폐 제어장치를 기존의 리모콘 제어에 의한 록 및 언록 시스템+윈도우 전동개폐장치에 적용하는 경우는 배선 관계를 보이고 있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윈도우 업다운 시스템(1)은 전원(POWER)(GROUND) 라인을 통해 소정의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좌측 도어(2)의 윈도우(3)를 윈도우 구동모터(4)를 정역회전 구동시켜 업다운(개폐)해주고, 또한 우측 도어(5)의 윈도우(6)도 구동모터(7)를 정역회전 구동시켜 업다운(개폐)해 주며, 이러한 업다운 명령은 윈도우 스위치부(9)에서 레프트 업 스위치(9A), 레프트 다운 스위치(9B) , 라이트 업 스위치(9C), 라이트 다운 스위치(9D)를 조작하였을 때 이를 윈도우 업다운 시스템(1)이 인지함에 따라 실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윈도우 업다운 시스템(1)에는 알람부(8)와 리모콘 수신기가 연결되는데, 이 리모콘 수신기는 원격 제어로 도어를 록(LOCK) 및 언록(VNLOCK) 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통상의 원격 제어기(리모콘)를 이용해서 도어 록 또는 언록 명령을 내리면, 이 명령을 리모콘 수신기가 수신하여 윈도우 업다운 시스템(1)에서 도어의 록과 언록 구동을 자동으로 실행해 주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시스템에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 제어 장치를 연결하여 기존의 윈도우 업다운, 도어 록 및 언록 원격제어, 알람 시스템 등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도면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 제어 장치의 구성은, 도어 록 및 언록 신호와 윈도우 업다운 명령에 따라 윈도우 모터의 구동 제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를 비롯한 회로 각 부분에 정전압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정전압부(1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 출력되는 명령과 업다운 스위치 명령에 따라 레프트 윈도우 모터(4)를 정회전(업) 구동시키는 릴레이(13)와, 상기 버퍼(12)에서 출력된 명령과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 명령에 따라 레프트 윈도우 모터(4)를 역회전(다운) 구동시키는 릴레이(14)와 상기 버퍼(12)에서 출력된 명령과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에 의한 명령을 출력해주기 위한 버퍼(12)와, 상기 버퍼(12)에서 출력된 명령과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 명령에 따라 라이트 윈도우 모터(7)를 정회전(다운) 구동시키는 릴레이(15)와, 상기 정전압부(11)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안정 및 평활된 전원을 레프트 윈도우 릴레이(13)(14)를 통해 레프트 윈도우 모터(4)의 전원으로 공급해주는 제1필터회로부(17)와, 상기 정전압부(11)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안정 및 평활된 전원을 라이트 윈도우 릴레이(15)(16)를 통해 라이트 윈도우 모터(7)의 전원으로 공급해주는 제2필터 회로부(18)와 상기 제1필터회로부(17)에서 레프트 윈도우 모터(4)로 공급되는 전원의 변동으로부터 윈도우가 닫힌 상태를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공급해주기 위한 검출저항(19)과, 상기 제2필터회로부(18)에서 라이트 윈도우 모터(7)로 공급되는 전원의 번동으로부터 윈도우가 닫힌 상태를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공급하는 검출저항(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면에서 LOCK INPUT은 리모콘 도어 록신호의 입력단다 UNLOCK INPUT은 리모콘 도어 언록 신호의 입력단자 R1-R28은 저항, C1-C10은 콘덴서, Q1-Q7은 트랜지스터 D1-D5는 다이오드 F1은 퓨즈, 11A는 정전압 IC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윈도우 스위치는 점퍼(J1-J4) 또는 점퍼(J1'-J4')를 통해서 본 고안의 회로와 연결되는데 점퍼(J1-J4)는 기존의 윈도우 업다운 시스템(1)이 포지티브 회로 결선인 경우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고, 점퍼(J1'-J4')는 기존의 윈도우 업다운 시스템(2)이 네가티브 회로 결선인 경우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점퍼를 이용해서 기존의 회로 방식에 적합한 회로 결선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윈도우 전동 개폐 시스템과의 호환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록 입력 단자(LOCK INPUT)와 언록 입력단자(VNLOCK INPUT)는 (+)외부입력이나 (-)외부입력 모두에 호환성을 갖기 위하여 (+ 외부 입력의 경우는 각각 저항(R25)(R26) 및 트랜지스터(Q6)의 반전회로를 경유하여 록 입력신호를 반전시킨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입력해주고, 저항(R27)(R28) 및 트랜지스터(Q7)의 반전 회로를 경유하여 언록 입력 신호를 반전시킨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입력해 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존의 리모콘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신호이건 또는 로우 신호이건 관계없이 적절한 신호 라인에 본 고안의 회로를 결선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동작은 포지티브 결선 즉 윈도우 스위치(9)의 레프트 윈도우 업 및 다운 스위치(9A)(9B)를 점퍼(J1)(J2)를 통해 연결하고, 라이트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9C)(9D)를 점퍼(J3)(J4)를 통해 연결하여 사용하며, 레프트 윈도우 구동모터(4)를 릴레이(13)(14)측의 업다운(UP/DN-LEFT)단에 결선하고, 라이트 윈도우 구동모터(7)를 릴레이(15)(16)측의 업다운 (UP/DN-RIGHT) 단에 결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전압부(11)는 12V 입력 전원을 평활하고 리플을 제거하며, 정전압 전원으로 만들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전원과 제1 및 제2 필터회로부(17)(18)의 입력으로 가해준다.
제1필터회로부(170 및 제2필터 회로부(18)는 입력된 정전압 전원에서 각종 노이즈 등을 제거하고, 안정 및 평활환 전원으로 만들어서 윈도우 구동 모터(4)(7)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원으로 각 릴레이(13-16)접점에 인가해 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차 후 도어를 닫게되면 도어 록 입력단(LOCK INPUT)을 통해 도어록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입력된다.
도어록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그 출력단에서 윈도우를 닫아주라는 명령을 출력하고, 이 명령은 버퍼(12)를 경유하여 해당 릴레이(13)(15)의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켜 준다.
또는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존의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부(9)의 윈도우 업스위치(9A)(9C)를 조작한 경우에도 버퍼(12)를 통해 해당 명령이 출력되고, 이 명령은 릴레이(13)(15)를 동작시켜 준다.
따라서, 릴레이(13)가 동작하여 그 점점이 온되면 제1필터회로부(17)로부터 릴레이(13) 접점을 통해 레프트 윈도우 구동 모터(4)에 정회전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레프트 윈도우 구동 모터(4)는 정회전 구동되고, 이에 따라 레피트 윈도우(3)는 닫혀진다.
윈도우(3)가 닫혀져서 부하가 걸리게 되면 이러한 부하 변동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윈도우 구동 모커(4)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가 과부하에 의해 변동되고 이 변동된 전류를 검출저항(19)에서 검출되어 제1필터회로부(17)의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위를 변동시켜 준다.
이러한 전위 변동분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0)가 받아서 윈도우가 닫혔음을 판정하고 윈도우 업 명령의 출력을 중단해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부하의 검출은 윈도우가 닫히는 도중에 어린이 등의 부주위로 인하여 팔이 윈도우 사이에 끼는 경우 이를 검출하고 윈도우의 업 구동을 정지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대책도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윈도우 업 명령은 일정한 소정의 시간(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타이머 시간)동안 출력해서 윈도우를 닫아줌으로써 불필요한 개폐 동작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해 준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윈도우 업 명령에 의해 렐리이(15)가 동작하여 그 접점이 온되면 제2필터 회로부(18)로부터 릴레이(15) 접점을 통해 라이트 윈도우 구동 모터(7)에 정회전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라이트 윈도우 구동 모터(7)는 정회전 구동되고, 이에 따라 라이트 윈도우(6)는 닫혀진다.
윈도우(6)가 닫혀져서 부하가 걸리게 되면 이러한 부하 변동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윈도우 구동 모터(7)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가 과부하에 의해 변동되고 이 변동된 전류를 검출조항(20)에서 검출되어 제2 필터회로부(18)의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위를 변동시켜 준다.
이러한 전위 변동분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0)가 받아서 윈도우가 닫혔음을 판정하고 윈도우 업 명령의 출력을 중단해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부하의 검출은 윈도우가 닫히는 도중에 어린이 등의 부주위로 인하여 팔이 윈도우 사이에 끼는 경우 이를 검출하고 윈도우의 업 구동을 정지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대책도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윈도우 업 명령은 일정한 소정의 시간(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타이머 시간) 동안 출력해서 윈도우를 닫아줌으로써 불필요한 개폐 동작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해 준다.
다른 경우로서, 사용자가 하차 후 도어를 리모콘으로 오픈시키는 명령을 송출하면 도어언록 입력단(LOCK INPUT)을 통해 도어 언록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입력된다.
도어언록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그 출력단에서 윈도우를 열어주라는 명령을 출력하고, 이 명령은 버퍼(12)를 경유하여 해당 릴레이(14)(16)의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켜 준다.
또는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존의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부(9)의 윈도우 다운 스위치(9B)(9D)를 조작한 경우에도 버퍼(12)를 통해 해당 명령이 출력되고 이 명령은 릴레이(14)(16)를 동작시켜 준다.
따라서, 릴레이(14)가 동작하여 그 점점이 온되면 제1필터회로부(17)로부터 릴레이(14) 접점을 통해 레프트 윈도우 구동 모터(4)에 역회전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레프트 윈도우 구동 모터(4)는 역회전 구동되고, 이에 따라 레프트 윈도우(3)는 열려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윈도우 다운 명령은 일정한 소정의 시간(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타이머 시간)동안 출력해서 윈도우를 열어줌으로써 불필요한 개폐동작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해 준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윈도우 다운 명령에 의해 릴레이(16)가 동작하여 그 접점이 온되면 제2필터회로부(18)로부터 릴레이(16) 접점을 통해 라이트 윈도우 구동 모터(7)에 역회전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라이트 윈도우 구동 모터(7)는 역회전 구동되고 이에 따라 라이트 윈도우(6)는 열려진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윈도우 다운 명령은 일정한 소정의 시간(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타이머 시간)동안 출력해서 윈도우를 열어줌으로써 불필요한 개폐 동작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해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윈도우를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해 열어놓은 상태에서 하차해도, 도어를 록시키면 자동적으로 닫아주게 되므로 편리하고, 과부하를 검출하여 자동 정지를 실행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리모콘으로 도어는 여는 동작이 실행되면 윈도우를 자동적으로 열어줌으로써 운전자의 윈도우 조작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록 및 언록 신호와 윈도우 업다운 명령에 따라 윈도우 모터의 구동 제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를 비롯한 회로 각 부분에 정전압 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정전압부(1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 출력되는 명령과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에 의한 명령을 출력해주기 위한버퍼(12)와, 상기 버퍼(12)에서 출력된 명령과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 명령에 따라 레프트 윈도우 모터(4)를 정회전(업) 구동시키는 릴레이(13)와, 상기 버퍼(12)에서 출력된 명령과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 명령에 따라 레프트 윈도우 모터(4)를 역회전(다운) 구동시키는 릴레이(14)와, 상기 버퍼(12)에서 출력된 명령과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 명령에 따라 라이트 윈도우 모터97)를 정회전(업) 구동시키는 릴레이(15)와, 상기 버퍼(12)에서 출력된 명령과 윈도우 업다운 스위치 명령에 따라 라이트 윈도우 모터(7)를 역회전(다운) 구동시키는 릴레이(16)와 상기 정전압부(11)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안정 및 평활된 전원을 레프트 윈도우 릴레이(13)(14)를 통해 레프트 윈도우 모터(4)의 전원으로 공급해주는 제1필터회로부(17)와, 상기 정전압부(11)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안정 및 평활된 전원을 라이트 윈도우 릴레이(15)(16)를 통해 라이트 윈도우 모터(7)의 전원으로 공급해주는 제2필터회로부(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회로부(17)에서 레프트 윈도우 모터(4)로 공급되는 전원의 변동으로부터 윈도우가 닫힌 상태를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공급해주기 위한 검출저항(19)과, 상기 제2필터회로부(18)에서 라이트 윈도우 모터(7)로 공급되는 전원의 변동으로부터 윈도우가 닫힌 상태를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공급하는 검출저항(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존의 윈도우 전동 개폐 또는 알람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기존의 시스템의 전원 결선 방식(포지티브. 네가티브)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기 윈도우 스위치부(9)와의 연결을 점퍼(J1-J4)(J1'-J4')로 결선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 제어 장치.
KR2019940002899U 1994-02-17 1994-02-17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제어장치 KR960009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899U KR960009183Y1 (ko) 1994-02-17 1994-02-17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899U KR960009183Y1 (ko) 1994-02-17 1994-02-17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265U KR950025265U (ko) 1995-09-15
KR960009183Y1 true KR960009183Y1 (ko) 1996-10-15

Family

ID=1937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899U KR960009183Y1 (ko) 1994-02-17 1994-02-17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1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265U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3531A1 (en) Electrically foldable rearview mirrors interlocked with door locks
US5459380A (en) Moisture activated window closer
KR960009183Y1 (ko) 자동차 윈도우의 자동 개폐제어장치
JPH1131067A (ja) 車載用電子制御ユニット
JPH1025961A (ja) パワーウインドウ閉め忘れ防止装置
JPH0138002B2 (ko)
JPH0223384B2 (ko)
JP2853582B2 (ja) パワーウィンドウの制御方法
JPH0819172A (ja) モータの過負荷検出装置
JP3333740B2 (ja) 自動車用パワーウインド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3558208B2 (ja) 車両の水没対策装置
KR920001525B1 (ko) 차량용 창유리자동닫힘장치
JPH0312594Y2 (ko)
JPH068667U (ja) 車両の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KR100337591B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의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KR0145661B1 (ko) 주차시 자동차 창문의 자동 닫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1014002A (ja) マイコンの動作停止時のバックアップ方法及びマイコンのバックアップ装置及び自動車用パワーウインドウ制御装置
KR0159690B1 (ko) 창문개방시 키탈거방지장치
JP2721232B2 (ja) 車上装備の駆動制御装置
KR19980014013A (ko) 자동 닫힘기능을 갖는 차량의 파워윈도우
JP3982088B2 (ja) 自転車の錠駆動用モータの制御装置
JP2758640B2 (ja) 車上装備の駆動制御装置
KR100312868B1 (ko) 자동차용 선 루프의 자동 닫힘 방법
JPH0674782U (ja) 自動車用パワーウィンド装置
JPH08184259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