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340B1 -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그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그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340B1
KR960007340B1 KR1019920001291A KR920001291A KR960007340B1 KR 960007340 B1 KR960007340 B1 KR 960007340B1 KR 1019920001291 A KR1019920001291 A KR 1019920001291A KR 920001291 A KR920001291 A KR 920001291A KR 960007340 B1 KR960007340 B1 KR 960007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cid
amides
block polyether
under
poly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859A (ko
Inventor
마 필립
뀌쟁 다니엘
Original Assignee
엘프 아토켐 에스. 에이
끌로드 트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프 아토켐 에스. 에이, 끌로드 트뢰이 filed Critical 엘프 아토켐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92001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4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0Polya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10T428/2969Polyamide, polyimide or polyest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그의 합성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 블록 및 올리고아미드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 중합체, 다시 말해서 폴리에테르-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에 관한 다양한 언급은 공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기 식의 폴리에테르-아미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2,273,021호 및 제2,401,94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식에서, A는 폴리아미드 블록을 나타내고, B은 지방족 폴리에테르 블록을 나타낸다.]
이것은, 고 진공하에 100~400℃의 온도에서 촉매로서 식 M(OR)4[식 중, M은 티타늄, 하프늄 또는 지르코늄을 나타내고, R은 탄소수 1~24의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낸다.]의 금속 테트라알콕시드 1종 이상의 존재하에, Mn이 300~15,000인 디카르복실 폴리아미드와 Mn이 200~6000인 폴리에테르디올을 용융상태반응 시킴으로써 수득된다.
상기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는 양호한 기계적·화학적 성질을 갖는다.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2,384,810호에는, 230~300℃의 온도에서 자연발생 압력하에,
-1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단량체,
-Mn이 160~3000인 알파, 오메가-디히드록시-(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PTMG, 및
-적어도 1종의 이산
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물의 존재하에 중합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한 후, 250~280℃의 온도에서 상압 또는 감압으로 되돌림으로써 수득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수득된 생성물은 서열 또는 블록 중합체이며, 저온 충격강도가 양호하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따라 수득되는 중합체는, 소정의 경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보다 융점이 더욱 낮다.
US 특허 제4,307,227호에는, 디카르복실산, 1차 아민 및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의 혼합물과 카프로락탐 유래의 반복단위 50~80%로 구성된 열-용융형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사용되는 방법(220℃~250℃에서 촉매 부재하에 모든 구성성분을 반응시킴)에 의해서는, 폴리에테르 블록의 Mn이 1000보다 큰 생성물이 합성될 수 없다.
일본국 특허출원 제63-035622호 및 63-277239호는, 금속 테트라알콕시드인 에스테르화 촉매의 존재하에, 250℃보다 높은 온도에서 고 진공하에, 1종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디옥시 블록을 함유하는 PA-6,6의 올리고아미드와 저질양의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또는 디올을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는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저 질량의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또는 디올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생성물보다 융점이 확실히 낮은 생성물이 얻어진다.
일본국 특허출원 제63-182343호는, 디아민 말단을 갖는 PA-6,6 블록과 디카르복실 사슬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 블록의 용융상태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라 수득되는 중합체는 230℃보다 높은 고 융점을 가지며, 높은 전환온도가 필요하므로, 전환시에 생성물이 분해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는 다양한 블록의 가장 확률 높은 사슬이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
[상기 식에서,
D은 Mn이 300~3000, 바람직하게는 500~2000인 이산 올리고아미드의 잔기 및/또는 이산 제한제의 잔기를 나타내고,
PE는 Mn이 200~5000, 바람직하게는 200~300인 폴리에테르디올의 잔기를 나타내고,
X는 4~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사슬을 나타내고,
n은 1~4, 바람직하게는 1에 근접하며,
m은 2~50, 바람직하게는 5~2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는 상이한 성질의 D 및 PE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 예로서, 올리고아미드 블록이 한편으로는 PA-6 올리고머로 구성되고, 다른 한편 PA-12 올리고머로 구성된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를 언급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이산 올리고아미드는, 이산 사슬 제한제의 존재하에, 락탐 및/또는 아미노산, 및 임의로 50중량% 이하의 1종 이상의 이산, 1종 이상의 디아민 및/또는 그의 염을 중합시킴으로써 수득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올리고아미드는 카프로락탐 및/또는 도데카락탐으로부터 유래된 것들이다.
이산 사슬 제한제 중에서, 아디프산 및 테레프탈산, 바람직하게는 도데칸디온산을 매우 특별하게 언급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디올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TMG),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에테르디올의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PEG 및 PTMG가 특히 바람직하다.
코폴리에테르디올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부틸렌 글리콜의 랜덤 및/또는 블록 공중합체를 언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의 고유점도는 일반적으로 0.6~2.5dl/g, 바람직하게는 0.8~2, 유리하게는 1~1.8이다. 이것은 m-크레졸 100g당 중합체 0.5g의 최초 농도를 사용하여 m-크레졸 중에서 20℃에서 측정된다.
이들의 수-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10,000~50,000, 바람직하게는 15,000~30,00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는 2단계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하기 식의 이산 다블록 생성물은, 이산 올리고아미드 및 폴리에테르디올의 중축합에 의해, 또는 올리고아미드 단량체, 이산 사슬 제한제 및 폴리에테르디올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다 블록 생성물의 합성은 용액 또는 계면 중축합, 바람직하게는 용융상태에서의 중축합과 같은 공지의 중축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폴리에테르디올 1몰당, 일반적으로 (n+1)몰의 이산 올리고아미드 또는 이산올리고아미드 사슬 제한제를 사용하며, n은 상기 정의한 바와같다.
용융상태의 중축합은, 일반적으로 230~280℃의 온도에서 대기압하에 행해지거나, 또는 초기에는 수증기압하에 수행되고 서서히 압력을 낮춘후 대기압합에서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는 상기 기술된 다 블록 생성물과 식 NH2-X-NH2의 디아민의 용융상태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바람직한 디아민으로는, 다음을 언급할 수도 있다 : m-크실렌디아민,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더욱 특별하게는 도데카메틸렌디아민, 유리하게는, 이산 올리고아미드 1몰당 0.8~1.3몰, 바람직하게는 0.9~1.15몰의 디아민을 사용한다.
상기 2단계에 대해 각각 에스테르화 촉매 및 아미드화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촉매를 합성의 개시부터 및/또는 합성시에 첨가할 수도 있다.
아세트산 아연을 에스테르화 촉매의 예로 언급할 수도 있고, 인산 H3PO2를 아미드화 촉매의 예로 언급할 수도 있다.
이들 단계는 또한 감압하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는 그 자체로 사용될 수도 있고, 성형 및 압출품, 필름, 외장, 및 복합재, 예를들어 다층 필름의 제조를 위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는 또한 다른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와 혼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의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는 특별한 성질을 갖는다.
예를 들자면, 폴리에테르 블록이 주로 PEG로 구성된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류는, 그 자체 또는 ABS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기타 중합체와의 혼합물로서, 우수한 대전방지 및 기체 투과성을 가지고 있음을 언급할 수도 있다.
대전방지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중에서, 올리고아미드 블록이 PA-6으로부터 유래된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 투과성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중에서는, 올리고아미드 블록이 PA-12로부터 유래된 것들이 바람직하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면서 이를 예증하고 있다.
전체 명세서에서, Mn은 수-평균 분자량에 상응한다. 쇼어 경도 D(5s)는 ISO 규격 R868에 따라 결정된다.
삼 블록 생성물의 합성
[실시예 1]
Mn이 2000인 PTMG 디올 350g 및, 아디프산에 의해 제한되고 148℃의 융점을 가지며 Mn이 1028인 PA-12 이산 올리고아미드 360g을, 앵커형 교반기가 장착된 4l 스테인레스 강철 오오토클레이브에 넣는다.
5바아의 질소하에 4회 퍼어지시킨 후, 반응기의 내용물을 대기압에서 질소의 완만한 기류하에 두고, 100분 동안 260℃로 가열한다. 반응을 상기 조건하에서 120분 동안 행한 후, Mn이 4080이고 융점이 153℃인 생성물에 상응하며 0.49meq/g의 잔류산 작용기를 함유하는 삼블록 생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 Mn이 2000인 PTMG 디올 604g과 도데칸디온산에 의해 제한되고 융점이 147℃인 PA-12 이산 올리고아미드 613g과의 반응을 260℃에서 질소기류하에 수행한다. 260℃까지 100분간 가열한 후, 이 온도에서 65분간 반응시켜, Mn이 4080이고 융점이 155℃인 생성물에 상응하며 0.49meq/g의 잔류산 작용기를 함유하는 삼블록 생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 Mn이 2000인 PTMG 디올 350g과 테레프탄산에 의해 제한되고 융점이 155℃이며 Mn이 933인 PA-12 이산 올리고아미드 327g을 반응시킨다. 260℃까지 50분간 가열한 후, 이 온도에서 질소기류하에 150분간 반응시켜, Mn이 3700이고 융점이 147℃인 생성물에 상응하고 0.54meq/g의 잔류산 작용기를 함유하는 생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 Mn이 2000인 PTMG 디올 200g과 Mn이 2000이고 융점이 160℃인 PA-12 이산 올리고아미드 400g을 반응시킨다.
260℃까지 45분간 가열시킨 후, 이 온도에서 300분간 반응시켜, Mn이 5970(목표 Mn6000)이고 융점이 169℃인 생성물에 상응하고 0.335meq/g의 잔류산 작용기를 함유하는 생성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의 합성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이산 삼블록 생성물 30g과, 이산 삼블록 생성물 1몰당 1.04몰의 디아민에 상응하는 도데카메틸렌디아민 1.53g을, 유리재 앵커형 교반기, 질소 도입용 튜브 및 응축기가 장착된 유용 목적 100㎤의 유리재 반응기내에 넣는다.
반응기를 질소로 퍼어지시킨 후, 220℃의 오일 배스에 침지시킨다. 반응물의 혼합물이 용융될때, 교반을 시작하고, 40분에 걸쳐 260℃로 온도를 올린다. 반응을 이 온도에서 3시간동안 계속한 다음, 약 13.3Pa의 잔류 압력이 얻어질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점차 진공하에 둔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2시간 경과후, 질소의 주입에 의해 반응 혼합물을 점차 대깅답으로 되돌린 다음, 교반을 멈추고, 항온배스에서 반응기를 꺼내어 가열을 멈춘다. 냉각후에, 고유점도가 0.84dl/g이고 융점이 153℃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 기술된 조건하에,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이산 삼블록 생성물 30g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1.55g을 반을시킨다.
대기압하 질소기류하에 220℃에서 15분간, 240℃에서 30분간, 260℃에서 50분간, 최종적으로 약 26.6Pa의 감압하에 3시간 30분간 반응시킨 후, 융점이 158℃이고 고유점도가 0.78dl/g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7]
실시예 5에 기술된 조건하에, 실시예 3에서 수득된 삼블록 생성물 20g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1g을 반응시킨다. 반응기를 약 133Pa의 감압하에 놓고, 5분간에 걸쳐 200℃로 올린다. 교반을 시작하고, 여전히 감압상태인 방응 혼합물을 15분에 걸쳐 260℃로 올리고 압력을 약 13.3Pa로 감소시킨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융점이 163℃이고 고유점도가 0.6dl/g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집한다.
[실시예 8]
실시예 5에서 기술된 조건하에, 실시예 1로부터 수득된 삼블럭 중합체 30g, 도데카메틸렌디아민 1.5g 및 하이포아인산 50% 수용액 60㎕를 반응시킨다. 질소기류하에 방치한 반응 혼합물을 5분에 걸쳐 220℃로 올리고, 이 온도에서 10분간 유지시킨 다음, 7분에 걸쳐 240℃로 올리고 이 온도에서 63분간 유지시킨다.
최종적으로 반응 혼합물을 7분에 걸쳐 260℃로 올리고 이 온도에서 3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이렇게 하여 고유점도가 1.15dl/g이고 융점이 156℃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9]
실시예 5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삼블록 생성물 30g, 도데카메틸렌디아민 1.5g 및 하이포아인산의 50% 수용액 0.06ml를 반응시킨다. 대기압하에 질소로 정화시키면서, 260℃에서 105분간 반응시킨 후, 고유점도가 1dl/g이고 융점이 156℃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10]
실시예 5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삼블록 생성물 34.2g, 도데카메틸렌디아민 1.73g 및 하이포아인산의 50% 수용액 0.06ml를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기류하에 대기압에서 3분에 걸쳐 240℃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10분간 유지시킨 다음, 8분에 걸쳐 260℃까지 올린다. 이 온도에서 38분 유지시킨 후, 고유점도가 1.08dl/g이고 융점이 146℃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11](비교)
일본국 출원 제63-035621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삼블록 생성물 30g 및 Mn이 1000인 PTMG 7.1g을, 실시예 5에서와 유사한 100-㎤ 유리재 반응기내에 넣는다. 반응기를 질소로 퍼어지시킨 후, 260℃로 유지시킨 오일 배스내에 침지시킨다. 반응물의 혼합물이 용융될때 교반을 시작한다. 대기압에서 질소기류하에 2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압력을 30분에 걸쳐 13.3Pa로 내린다. 10분 후에, Zr(OBu)40.1g을 첨가하면 격렬한 반응이 유발된다. 20분 후에 교반을 멈추고, 질소순환에 의해 반응 혼합물을 대기압으로 되돌린 다음, 오일배스에서 튜브를 꺼내어 주위온도로 냉각시킨다. 융점이 142℃이고 고유점도가 1.53dl/g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12](비교)
실시예 11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삼블록 생성물 20g 및 1.10-데칸디올 0.85g을 260℃에서 반응시킨다. 대기압에서 질소기류하에 상기 온도에서 1시간 경과후, 압력을 40분에 걸쳐 13.3Pa로 감소시킨다. 상기 온도에서 100분간 반응시킨 후, Zr(OBu)40.3g을 가하고, 혼합물을 상기 압력하에 90분간 유지시킨다. 고유점도가 1.14dl/g이고 융점이 149℃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13]
미리 질소로 퍼어지시키고 터어빈 교반기가 장착된 880l 스테인레스 강철 오오토클레이브 내에서 라우릴락탐 95㎏ 및 도데칸디온산 28.4㎏을 자연발생 압력하에 290℃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대기압으로 되돌린 후, Mn이 2000인 PTMG 123.6kg을 도입하고, 혼합물을 대기압에서 질소기류하에 240℃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킨다. 240℃에서 1시간동안 자연발생 압력하에서 헥사메틸렌디아민 7.2kg과 균질화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대기압으로 되돌리고, 앵커형 교반기가 장착된 880l 스테인레스 강철 반응기내에 넣는다. 84% 인산 수용액 240g을 도입한 후, 혼합물을 5.3×103Pa의 감압하에 두고 이 조건하에서 6시간동안 중축합 반응시킨 후, 융점 150℃, 고유점도가 1.12dl/g 및 쇼어 경도 D 28.9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14](비교)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 384 810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앵커형 교반기가 장착된 100 스테인레스 강철오오토클레이브내에, 라우릴락탐 11.544kg, 도데칸디온산 3.454kg, 헥사메틸렌디아민 0.87kg, Mn이 2000인 PTMG 15kg 및 물 2l를 넣는다. 질소로 수회 퍼어지시킨 후, 전체를 교반하면서 25바아의 수증기압하에 270℃의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 조건하에서 8시간동안 유지한다.
90분 동안 대기압으로 낮추고 질소로 정화시킨 후, 84% 인산 수용액 36.8g을 도입하고, 대기압에서 9시간동안 질소기류하에 270℃에서 증축합반응을 계속한다. 고유점도 1.58dl/g, 융점 147℃ 및 쇼어 경도 D 34.6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15](비교)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 401 947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앵커형 교반기가 장착된 100l 스테인레스 강철오오토클레이브내에, 라우릴락탐 11.544kg, 도데칸디온산 3.454kg, 헥사메틸렌디아민 0.87kg 및 물 2.9l를 도입한다. 질소로 수회 퍼어지시킨 후 32 바아의 자연발생 압력하에 혼합물을 270℃까지 가열하고, 이 조건하에서 3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압력을 대기압으로 낮추고, 질소로 정화하에 혼합물을 둔 다음, Mn이 2000인 PTMG 15kg을 도입한다. 질소 기류하에 250℃로 유지시킨 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압력을 점차 50밀리바아까지 낮추고 온도를 240℃까지 내린다. 이어서, 부탄올 중의 Zr(OBu)480% 용액 65㎤을 도입한다. 10분 후에, 압력을 10 밀리바아로 낮춘다. 이 조건하에서 15분 후에, 고유점도 1.08dl/g, 융점 145℃ 및 쇼어 경도 D 34.3인 백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3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반응기를 질소로 수회 퍼어지시킨 후, 자연발생 압력하에 290℃에서 2시간동안 라우릴락탐 126kg 및 도데칸디온산 37.8kg을 반응시킨다. 대기압으로 되돌린 후, Mn이 1000인 PTMG 82kg을 도입하고, 혼합물을 대기압에서 질소기류하에 240℃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킨다.
240℃에서 1시간동안 자연발생 압력하에 헥사메틸렌디아민 9.54kg으로 균질화시킨 후, 앵커형 교반기가 장착된 스테인레스 강철 반응기내로 반응 혼합물을 옮기고, 1시간에 걸쳐 대기압으로 서서히 낮춘다. 84%인산 수용액 240g을 반응 혼합물에 도입하고, 이를 점차 4×103Pa의 감압하에 둔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4시간동안 중합시킨 후, 융점 148℃, 고유점도 1.26dl/g 및 쇼어경도 D 42.7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실시예 17](비교)
실시예 14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앵커형 교반기가 장착된 100l 스테인레스 강철 오오토클레이브 내에 라우릴 락탐 15.394kg, 도데칸디온산 4.606kg, 헥사메틸렌디아민 1.162kg, Mn이 1000인 PTMG 10kg 및 물 1l을 넣는다. 질소로 수회 퍼어지시킨 후, 15바아의 중기 압력하에 교반하면서 전체를 270℃의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러한 조건하에서 8시간동안 유지시킨다. 25분 동안 대기압으로 서서히 낮추고 질소로 정화시킨 후, 84% 인산 수용액 37.1g을 도입하고, 대기압에서 질소기류하에 4시간동안 270℃에서 중축합 반응을 계속한다. 고유점도 1.58dl/g, 및 쇼오 경도 D 47.3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수득한다.

Claims (7)

  1. 하기 일반식에 상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류 :
    [상기 식에서, D는 Mn이 300~3000인 이산 올리고아미드의 잔기 또는 이산 제한제의 잔기를 나타내고, · PE는 Mn이 200~5000인 폴리에테르디올의 잔기를 나타내고, · X은 탄소수 4~20의 직쇄 또는 측쇄(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사슬을 나타내고, · n은 1~4이며, · m은 2~50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산 올리고아미드가, 이산 사슬 제한제 또는 그의 염의 존재하에, 락탐, 아미노산 또는 이들 모두 및 1종 이상의 디아민의 중합반응에 의해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류.
  3.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디올이 PEG, PPG, PTMG,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 또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유 점도가 0.6~2.5dl/g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류.
  5. a) 계면 또는 용액 중축합에 의하여, 이산 올리고아미드 및 폴리에테르디올을 중축합(polycondensation)시키거나, 또는 올리고아미드 단량체, 이산 사슬 제한제 및 폴리에테르디올을 중축합시킴으로써 하기 식의 다블록 생성물을 제조하고;
    b) (a)에서 수득된 다블록 생성물을 용융상태에서 식 NH2-X-NH2의 디아민류, 예를 들면, m-크실렌디아민,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헥사메틸렌디아민 또는 도데카메틸렌디아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류의 2단계 합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촉매를 상기 방법 단계중의 어느 1단계 또는 두 단계 모두에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방법.
  7. 제 1 항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우수한 대전 방지 및 기체 투과성을 가지는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자체 또는 다른 중합체와 혼합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또는 압출품, 필름, 외장 및 복합재의 제조 방법.
KR1019920001291A 1991-01-30 1992-01-29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그의 합성방법 KR960007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01032A FR2672053B1 (fr) 1991-01-30 1991-01-30 Polyether bloc amides, leur procede de synthese.
FR9101032 1991-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859A KR920014859A (ko) 1992-08-25
KR960007340B1 true KR960007340B1 (ko) 1996-05-31

Family

ID=940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291A KR960007340B1 (ko) 1991-01-30 1992-01-29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그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213891A (ko)
EP (1) EP0506495B1 (ko)
JP (1) JP2635259B2 (ko)
KR (1) KR960007340B1 (ko)
CN (1) CN1036525C (ko)
AT (1) ATE146201T1 (ko)
AU (1) AU651168B2 (ko)
CA (1) CA2060269C (ko)
DE (1) DE69215732T2 (ko)
FI (1) FI920401A (ko)
FR (1) FR2672053B1 (ko)
IE (1) IE920300A1 (ko)
NO (1) NO920382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39723A (en) * 1990-09-18 1993-06-25 Chicopee Blends comprising a hydrophilic block poly (ether-co-amide) and a hydrophobic polymer
US5489667A (en) * 1991-03-20 1996-02-06 Atochem Deutschland Gmbh Polyetheresteramides and proces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EP0608976B1 (en) * 1993-01-08 1997-11-12 Tosoh Corporation Esteramide copolymers and production thereof
US5342918A (en) * 1993-04-30 1994-08-30 Texaco Chemical Company Carboxyl-terminated polyetheramines
WO1996025451A1 (en) * 1995-02-17 1996-08-22 W.R. Grace & Co.-Conn. Thermoplastic block copolymer with inherent anti-fog properties
ES2216042T3 (es) * 1995-04-11 2004-10-16 Atofina Embalaje de polimero en bloque poliamida y bloque polieter p.
US6027592A (en) * 1995-06-06 2000-02-22 Gillette Canada Inc. Dental floss
US5845652A (en) * 1995-06-06 1998-12-08 Tseng; Mingchih M. Dental floss
WO1996039117A2 (en) * 1995-06-06 1996-12-12 Gillette Canada Inc. Dental floss
US5900471A (en) * 1997-04-03 1999-05-04 Alliedsignal Inc. Films of blended nylon resins and laminates therefrom
AUPP610798A0 (en) 1998-09-23 1998-10-15 Swig Pty Ltd Improved polymers
BR0112428A (pt) * 2000-07-12 2003-11-25 Gryphon Therapeutics Inc Quimiocinas sintéticas boativas modificadas por polìmero e métodos para sua produção e uso
US7118737B2 (en) * 2000-09-08 2006-10-10 Amylin Pharmaceuticals, Inc. Polymer-modified synthetic proteins
AU2001273385B2 (en) * 2000-09-08 2005-04-07 Gryphon Therapeutics, Inc. Polymer-modified synthetic proteins
US20040077835A1 (en) * 2001-07-12 2004-04-22 Robin Offord Chemokine receptor modulators, production and use
WO2004061094A1 (en) 2002-12-30 2004-07-22 Gryphon Therapeutics, Inc. Water-soluble thioester and selenoester compound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394471B2 (en) * 2004-12-14 2013-03-12 Parker-Hannifin Corporation Electrically-conductive hose
WO2006105993A2 (en) 2005-04-05 2006-10-12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Method for shielding functional sites or epitopes on proteins
US7985783B2 (en) 2006-09-21 2011-07-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ldehyde tags, uses thereof in site-specific protein modification
FR2927631B1 (fr) 2008-02-15 2010-03-05 Arkema France Utilisation d'un promoteur d'adherence dans une solution de nettoyage de la surface d'un substrat a base de tpe et/ou de pa, pour augmenter l'adherence dudit substrat avec les joints de colle aqueux.
FR2936803B1 (fr) 2008-10-06 2012-09-28 Arkema France Copolymere a blocs issu de matieres renouvelab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opolymere a blocs.
FR2941700B1 (fr) 2009-02-02 2012-03-16 Arkema France Procede de synthese d'un alliage de copolymere a blocs presentant des proprietes antistatiques ameliorees.
FR2954151B1 (fr) 2009-12-17 2012-03-16 Oreal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elastomere filmogene pour le traitement de la transpiration humaine
FR2958649B1 (fr) 2010-04-07 2012-05-04 Arkema France Copolymere a blocs issu de matieres renouvelab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opolymere a blocs
US8889821B2 (en) * 2010-05-19 2014-11-1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ester amide compound
FR2960773B1 (fr) 2010-06-03 2015-12-11 Oreal Procedes de traitement cosmetique utilisant un revetement a base d'un polymere polyamide-polyether
FR2972351B1 (fr) 2011-03-09 2013-04-12 Oreal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de la transpiration humaine comprenant l'application d'un film polymerique anti-transpirant solubilisable
JP6208658B2 (ja) 2011-07-05 2017-10-04 バイオアシ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97−抗体結合体および使用方法
EP2880156B1 (en) 2012-07-31 2017-08-23 biOasis Technologies Inc Dephosphorylated lysosomal storage disease protei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4074218A1 (en) 2012-11-12 2014-05-15 Redwood Bioscience,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conjugate
US9605078B2 (en) 2012-11-16 2017-03-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ictet-Spengler ligation for protein chemical modification
US9310374B2 (en) 2012-11-16 2016-04-12 Redwood Bioscience, Inc. Hydrazinyl-indole compound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conjugate
CN105263958B (zh) 2013-03-13 2019-09-27 比奥阿赛斯技术有限公司 p97片段及其应用
EP3038657A2 (en) 2013-08-28 2016-07-06 Bioasis Technologies Inc. Cns-targeted conjugates having modified fc reg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R3011550B1 (fr) * 2013-10-07 2016-11-18 Arkema France Copolymere a blocs polyamide et a bloc polyether
US9493413B2 (en) 2013-11-27 2016-11-15 Redwood Bioscience, Inc. Hydrazinyl-pyrrolo compound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conjugate
EP3199568B1 (en) * 2014-09-24 2020-12-16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CN111094462A (zh) 2017-12-26 2020-05-01 贝克顿·迪金森公司 深紫外线可激发的水溶剂化聚合物染料
US10844228B2 (en) 2018-03-30 2020-11-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Water-soluble polymeric dyes having pendant chromophores
WO2020023300A1 (en) 2018-07-22 2020-01-30 Bioasis Technologies, Inc. Treatment of lymmphatic metastases
FR3096683B1 (fr) 2019-05-27 2022-03-04 Arkema France copolyesteramide auto-ignifugé
FR3096684B1 (fr) 2019-05-29 2022-03-04 Arkema France Copolymère à blocs à résistance améliorée au sébum
US20210355468A1 (en) 2020-05-18 2021-11-18 Bioasis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lewy body dementia
US20210393787A1 (en) 2020-06-17 2021-12-23 Bioasis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frontotemporal dementia
EP4155349A1 (en) 2021-09-24 2023-03-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Water-soluble yellow green absorbing dyes
WO2024007016A2 (en) 2022-07-01 2024-01-04 Beckman Coulter, Inc. Novel fluorescent dyes and polymers from dihydrophenanthrene derivatives
WO2024044327A1 (en) 2022-08-26 2024-02-29 Beckman Coulter, Inc. Dhnt monomers and polymer dyes with modified photophysical properti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73021B1 (ko) * 1974-05-31 1977-03-11 Ato Chimie
FR2378058A1 (fr) * 1977-01-24 1978-08-18 Ato Chimie Copolyetheresteramides stables a l'hydrolyse
FR2401947A1 (fr) * 1977-09-02 1979-03-30 Ato Chimie Procede de preparation de polyether-ester-amides sequences utilisables, entre autres, comme produits a mouler, a extruder ou a filer
DE2913460A1 (de) * 1979-04-04 1980-10-16 Bayer Ag Estermodifizierte polyamide
DE2932234C2 (de) * 1979-08-09 1982-01-28 Chemische Werke Hüls AG, 4370 Mar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ther(ester)amiden
DE2936977C2 (de) * 1979-09-13 1986-06-12 Hüls AG, 4370 Mar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ther(ester)amiden
DE2936976C2 (de) * 1979-09-13 1986-09-18 Hüls AG, 4370 Mar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ther(ester)amiden
FR2470141B1 (fr) * 1979-11-19 1985-05-31 Ato Chimie Nouveau procede de synthese de copolycondensats sequences polyetheresteramide
JPS5790017A (en) * 1980-11-25 1982-06-04 Toray Ind Inc Production of polyether-ester-amide
US4578451A (en) * 1983-07-15 1986-03-25 Ethicon, Inc. Surgical filaments from block copolyetheramides
US4536563A (en) * 1983-11-18 1985-08-2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manufacturing polyetheresteramide
JPS6335622A (ja) * 1986-07-31 1988-02-16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アミド弾性体の製造方法
JPS6348332A (ja) * 1986-08-15 1988-03-01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エ−テルエステルアミドの製造方法
JPS63182343A (ja) * 1987-01-23 1988-07-27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エ−テルエステルアミドの製造法
JPS63277239A (ja) * 1987-05-08 1988-11-15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アミドエラストマ−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60269C (fr) 1996-09-24
CA2060269A1 (fr) 1992-07-31
CN1063876A (zh) 1992-08-26
EP0506495A3 (ko) 1994-03-02
US5213891A (en) 1993-05-25
AU1056092A (en) 1992-08-06
NO920382D0 (no) 1992-01-29
IE920300A1 (en) 1992-07-29
CN1036525C (zh) 1997-11-26
AU651168B2 (en) 1994-07-14
EP0506495A2 (fr) 1992-09-30
DE69215732D1 (de) 1997-01-23
FI920401A0 (fi) 1992-01-29
FR2672053B1 (fr) 1993-04-23
ATE146201T1 (de) 1996-12-15
NO920382L (no) 1992-07-31
DE69215732T2 (de) 1997-06-26
EP0506495B1 (fr) 1996-12-11
KR920014859A (ko) 1992-08-25
FR2672053A1 (fr) 1992-07-31
JP2635259B2 (ja) 1997-07-30
JPH04337325A (ja) 1992-11-25
FI920401A (fi) 199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340B1 (ko) 블록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그의 합성방법
KR0125582B1 (ko) 블럭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이의 합성방법
KR930005139B1 (ko)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00487B1 (ko) 신규 폴리아미드류 및 이로부터 수득되는 물품
US4331786A (en) Moldable and/or extrudable polyether-ester-amide block copolymers
CA2082667C (en) Polyamidopolyfunctional amines
JPH04227633A (ja) 混合アミンからポリエーテルアミドを製造する方法
JPS5811459B2 (ja) 成形、押出、又は紡糸用エ−テル↓−エステル↓−アミドブロツクポリマ−の製法
US4349661A (en) Preparation of polyether ester amides
US5191060A (en) Preparation of dodecane terephthalamide polymers
JPH04227632A (ja) 新規なポリエーテルアミド及びその製法
JPS6338052B2 (ko)
JPH04227634A (ja) テトラエチレングリコールジアミン及び芳香族ジカルボン酸からのポリエーテルアミドの製法
CA2107386A1 (en) Poly(etheramide) segmented block copolymers
EP0161549B1 (en) Acid halide functional materials
US5574128A (en) Polymers comprising both polyamide-diacid/polyetherdiol blocks and polyamide-diacid/polyetherdiamine blocks, and their preparation
US5723569A (en) Random copolymerized polyamide resi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EP0313861A1 (en) Amide-etheramide copolymer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5280087A (en) Preparation of block copolyether-ester-amides
GB2063280A (en) Manufacture of a block copolymer containing a polyetheramide and a polylactam
US4849498A (en) 4.6/4.I copolyamide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H04226534A (ja) 射出成形に適したブロックコポリエ−テルアミドおよびその製法
GB2063279A (en) New Thermoplastic Elastomers Based on Aliphatic Copolyetheresteramide Blocks of High Molecular Weight
KR100347314B1 (ko) 유연성과투명성이우수한폴리아미드의제조방법
JPS60168723A (ja) ナイロンブロツク共重合体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