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221B1 - 취입 또는 압출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 Google Patents

취입 또는 압출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221B1
KR960007221B1 KR1019920019610A KR920019610A KR960007221B1 KR 960007221 B1 KR960007221 B1 KR 960007221B1 KR 1019920019610 A KR1019920019610 A KR 1019920019610A KR 920019610 A KR920019610 A KR 920019610A KR 960007221 B1 KR960007221 B1 KR 96000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copolymer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062A (ko
Inventor
토시오 시와쿠
켄지 히지카타
켄지 후루이
마사토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가스가히 다꾸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가스가히 다꾸죠 filed Critical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31Making articles having hollow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6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or containing aids for mould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86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rubber-like compound conta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취입 또는 압출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본 발명은 취입 또는 압출성형에 적당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취입성형, 압출성형등에 의하여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중공형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적절히 균형이 잡힌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야품성, 및 전기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전형적인 공업용 플라스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에 대하여는 대부분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보다 진전되고 전문화된 용도로 지향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므로, 중공형 성형품을 얻기위하여 취입성형, 압출성형등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성형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예컨대, 취입성형품에 관하여 자동차이 기관실에 사용되는 파이프 및 탱크는 고온의 분위기에서 사용되어야 함은 물론 높은 기계적 특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주로 금속으로 제조된 것이었다. 중량을 감소시키고,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취입성형함으로 파이프 및 탱크를 제조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필름, 튜브 및 전선피복물 같은 압출성형품의 재료로서 이들 수지의 사용이 또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이들 수지를 성형함에 있어서 높은 용융장력이 가장 중용한 특성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수지의 드로다운은 낮은 용융장력으로 인하여 심각하기 때문에 소망하는 형상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와같은 결점은 높은 중합도 및 높은 고유점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되는 방법, 분지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되는 방법, 또는 충전제를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는 방법에 의하여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긴 하지만, 그 개선의 정도는 아직 불충분하여 이들 물질은 상술한 성형방법에 사용하기에 아직도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화합물 같은 분지제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혼합시키므로서 용융장력을 향상시키고 드로다운을 위한 방법이 일본특허공개 제80391/1977호 및 제114687/1977호의 명세서에 제안되어 있긴 하지만, 이 방법의 효과는 아직도 불충분하며 성형성은 불안정하고, 우수한 성형품이 용이하고 안정성있게 얻어질 수 없다. 에틸렌/α, β-불포화 글리시딜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혼합시킴으로서 용융장력 및 취입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 일본특허공개 제162750/1979호 및 제12745/1986호의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들 명세서에는 이것과 함께 3가인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서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행하여진 조사결과 글리시딜기를 갖는 그와같은 에틸렌 공중합체는 비교적 많은 양이 사용되어야만 하므로, 용융장력을 향상시키고 드로다운을 억제하기 위한 효과는 가령 있다하더라도 아직 불충분하며, 특히 3가인 화합물이 이 공중합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용융점성은 현저하게 증가되나 용융장력의 향상은 용융점성의 증가와 비교하여 그렇게 현저하지는 않으며, 심지어 소망하는 용융장력이 얻어지는 경우에도 취입성형성은 빈약한 유동성으로 인하여 빈약하고 불안정하며 또 부분겔화가 일어나 성형품의 표면상태를 손상시킨다는 것을 알았다.
통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것보다 훨씬 우수하며 특히 취입성형방법에 의하여 우수한 기계적특성, 내열성, 치수 정밀도 및 표면상태를 갖는 중공형 성형품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용융장력, 취입성형성, 압출성형성 및 패리슨 드로다운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목적으로 광범위한 조사를 행한 후, 본 발명자들은 이 목적은 소량의 특정 스티렌 공중합체를 그 속에 혼합시킴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A)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유도체 및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 조성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 (B)40∼97의 스티렌, 60∼3중량%의 α, β- 블포화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0∼50중량%의 다른 비닐 단량체로 조성되는 스티렌 공중합체 0.5∼10중량부; 및 (C)섬유, 분말 및 박편층전제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충전제 0∼100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용융반죽시키므로서 제조되는 취입 또는 압출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취입성ㅅ형함으로서 제조되는 중공형 성형품을 제공하여 준다.
본 발명의 조성둘의 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주로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하이드록시 화합물과 중축합시킴으로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수지(A)가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라에스테르 인가에 관계없이 얻어진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를 구성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디페닐디카르복실산 같은 공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가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두개 이상이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주로 테레프탈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세스테르(A)의 다른 주요성분인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하이드로시 화합물의 예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 클리콜, 엑산디올, 사이클론 헥산디올,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치환유도체가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두개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주로 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하이드록시 화학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하가 위하여 상술한 단량체에 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코모노머에는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α, β-비스(4-카르복시페녹시)에탄, 아디핀산, 세바신산, 아제라인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도데칸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및 이량체산 같은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형성 유도체, 펜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헥산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사이클로 헥산디메탄올, 하이드로퀴논, 비스페놀A, 2,2-비스(4'-하이드록시 에톡시페닐)프로판, 크실렌 글리콜 및 각각의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오리고머 같은 글리콜; 글리콜산, 하이드록사민산, 하이드록시안식향산, 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및, 나프틸글로콜산 같은 하이드록시 카르복실산; 및 프로피오락톤, 부티로락톤, 카르로락톤 및 발레로락톤 같은 락톤이 있다.
분지 또는 가교구조를 가지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탈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또는 파이로멜리트산 같은 다기능 에스테르 형성 성분으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열가소성이 유지되는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설포이소프틸산 또는 나트륨 p-하이드록시에틸페닐설포네이트 같은 이온기를 갖는 에스테르 형성 성분으로 구성될수도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치호나제로서 할로겐 화하물을 함유하는 방향족 환 및 디브로모테레프탈산, 테트라브로모테레프탈산, 테트라클로로테레프탈산, 1,4-디메틸올테트라브로모벤젠,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및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의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어넉트 같은 에스테르 형성기로 구성되는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할로겐화 코폴리에스테르 일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브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주로 이것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특히 바람직한 코모노머 성분은 이소프탈산, 에틸렌글리콜, 비스페놀A,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2,2-비스(β-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β-하이드록시에톡시테트라브로모페닐)프로판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세개이상의 에스테르 형성 기능기를 갖는 소량의 상술한 코모노머와의 중축합에 의하여 얻어지는 적당히 분지 또는 가교된 구조를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또한 특히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A)의 점성은 이것이 사출성형될 수 있는 한 특히 제한되어 있지 않다. 통상적으로 0.6∼2.0의 고유점성을 갖는 폴리에스트레가 사용될 수 있다. 심저어 낮은 점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가 혼합시 성분(8)를 사용함으로서 취입성형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그러나, 그 자체가 지나치게 높은 점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는 유동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취입-성형성 또는 압출-성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스티렌 공중합체(B)는 필수성분으로서 α, β-불포화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스티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와 같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스티렌 단위의 양은 40∼97중량&, 특히 50∼95중량%가 바람직하다.
공중합체(B)의 다른 필수성분인 α, β-불포화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는 다음 일반식(Ⅰ)의 화합물이다.
상기 식중, R은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글리시딜 에스테르기이다.
이들은 예컨대 글리시들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에타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를 포함하며, 이들중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위의 양은 3∼60중량%, 특히 5∼50중량%가 바람직하다. 양이 다량인 경우, 조성물은 겔화되어 취입성형성 및 성형품의 표면상태를 손상시키기 쉬운 반면에, 양이 너무 적은 경우, 용융장력 같은 취입-성형성 및 드로다운의 방지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전혀 달성될 수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될 공중합체(B)는 상술한 두 성분에 더하여 하나이상의 특정 비닐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서 제조되는 다성분 공중합체 일수도 있다. 제3의 성분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클로라이드, α-메틸스티렌, 브롬화스틸렌 및 페닐말레이미드가 있다. 이들 제3의 성분중 아크릴로니트릴이 가장 바람직하다. 50중량%이하, 바람직하기로는 40중량%이하의 아크릴로니트릴로 구성되는 테르폴리머는 취입성형성을 증진시킴에 있어 훨씬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다성분 공중합체는 상술한 성분에 더하여 부성분으로서 소량의 다른 비닐단량체를 또한 함유할수도 있다. 그러나,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텐-1 같은 올레핀 단량체의 혼합은 그와 같은 단량체가 오히려 효과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40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바, 그 이유는 이와같은 다량의 에틸렌의 혼합은 용융장력 및 드로다운에 대한 저항같은 취입성형성 및 성형품의 표면상태를 심각하게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스티렌 공중합체(B)는 라디칼 중합촉매의 존재하에 통상의 라디칼 중합방법에 의하여 상술한 단량체로부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중합체(B)는 분지 또는 가교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소량의 다른 비닐중합체와 화학적으로 결합된 상술한 선형스티렌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일수도 있다. 분지 또는 가교부분을 구성하는 비닐 단량체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알킬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이 있다. 분지 또는 가교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와 관하여 예컨대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형성되도록 상술한 성형 스티렌 공중합체의 존재하에 상술한 비닐 단량체의 최소한 하나의 라디칼 중합가능한 유기 과산화물을 공중합시킨다음 가열하에 반죽함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될 성분(B)자체는 용융반죽온도에서 유동성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지나치게 고도로 그래프트된 스티렌 공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에서 감소된 유동성 및 빈약한 분산성을 가지므로 취입성 및 성형품의 표면상태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바람직하지 못하게 손상시킨다.
스티렌 공중합체(B)의 양은 성분(A)100중량부에 대하여 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로는 1∼8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 양이 너무 적은 경우, 본 발명의 의도된 효과, 즉 취입성형서의 향상이 전혀 달성될 수 없는 반면에, 이 양이 너무 많은 경우, 시스템은 전체로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겔화된다.
취입 또는 압출성형을 위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성분(C)으로서 섬유, 분말 또는 박편충전제를 또한 함유할수도 있다. 충전제는 성형품의 기계적 특성, 특히 성형품이 강도 및 경도의 증진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섬유 충전제의 예로서는 유리, 석면, 카본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질화붕소, 질화규소, 붕소 및 포타슘 타나네이트의 섬유, 및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티탄, 동 및 놋쇠 같은 금속의 섬유같은 무기섬유 물질이 있다. 특히 대표적인 섬유충전제는 유리섬유이다.
분말충전제로서는 카본블랙;실리카, 석영분말, 유리구슬, 유리분말, 칼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카울린, 탈크, 규조토 및 규회석 같은 실리케이트; 산화철, 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알루미나 같은 금속산화물; 탄산칼슘 밑 탄산마그네슘 같은 금속탄산염; 황산칼슘 및 황산바륨 같은 금속황산염; 탄화규소; 질화규소; 질화붕소; 및 각종 금속분말이 있다.
박편 충전제에는 운모, 유리박편 빛 각종 금속호일이 있다. 이들 무기충전제는 단독으로 또는 두개이상이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섬유충전제(특히 유리섬유)와 분말 또는 박편충전제의 혼합이 향상된 기계적 강도, 치수정밀도 및 전기특성, 특히 향상된 취입성 형성을 갖는 성형품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하다.
그와같은 충전제는 결합제 또는 표면처리제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예로서는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티타네이트 및 실란 화합물 같은 기능화합물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전제(C)의 양은 폴리에스테르(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70중량부 이하이다. 이 양이 ㅜㄹ충분하면 성형품의 경도 및 강도는 저하되기 쉬운 반면에, 이 양이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조작이 바람직하지 않게 방해받게 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것에 더하여 부성분으로서 소량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는 상술한것 이외의 스티렌 (공)공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릴알킬 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설폰,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테르 케톤 및 플루오로레진 같은 고온에서 안정한 열가소성 수지 일수있다. 단독으로 또는 두개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요망하는 특성을 위하여 안정제(예컨대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 정전기 방지제; 착색제(예컨대 염료 및 안료); 윤활제; 이형제; 결정 촉진제; 및 핵형성제 같은 합성수지에 통상 혼합되는 공지 물질을 적당히 함유할수도 있다.
본 발명의 취입성형방법에서, 상술한 스티렌 공중합체(B)는 폴리에스테르 수지(A)가 첨가되고,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 취입성형되기 전에 다른 소망하는 성분과 용융-반죽한다. 성분의 용융-반죽에 있어서, 이들을 취입성형하기전에 단일 스크류 또는 이중 스크류 압출기에서 펠리트로 만들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용융-반족된 덩어리를 즉시 주형에 넣어 취입성형용 패리슨을 형성한 다음 성형을 행한다.
본 발명에서, 취입성형은 열가소성 수지의 취입성형에 통상 사용되는 취입성형기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하여 진다. 특히, 중공형 성형품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 등에서 가소화하고, 가소화된 조성물을 환상다이를 통하여 압출 또는 사출하여 중간물로서 환상의 용융된 또는 연화된 패리슨을 형성하고, 주형에 패리슨을 위치시켜 가스를 불어넣오 패리슨을 팽창시키고 팽창된 패리슨을 냉각에 의하여 고화시킴으로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성형조건에 관하여, 실린더 및 다이의 각각의 온도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성분(A)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200∼290℃, 특히 230∼260℃가 바람직히다. 주형의 온도는 40∼130℃, 특히 80∼100℃가 바람직하다. 패리슨에 취입되는 가스는 공기, 질소 또는 기타 가스이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공기가 바람직하기로는 3∼10kg/cm의 취입압력하에서 사용된다. 더욱이 3차원 성형기 같은 특수 취입성형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하나이상의 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다른 문질로 제조된 층과 결합함으로서 다층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수지 또는 그 조성물의 용융장력보다 높은 용융장력을 가지며, 취입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패리슨이 드로다운되는 것이 방지되고, 현저하게 증진되 취입성형성 또는 압출성형성을 가지며, 기계적특성과 내열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두께와 양호한 외관을 갖는 중공형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차량의 흡입 다기관, 엔진 주위의 흡입 밑 배기부분, 고온액체, 용매 및 화학약품용 용기, 부구 및 파이프용 체임버, 및 관제품(불규칙한 형상의 것을 포함)같은 상당히 엄격한 조건하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중공형,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6 및 비교실시예 1-2]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S/G 공중합체)를 표 1에 기술된 바와같은 다양한 고유점성을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의 각각의 100중량부와 혼합한 다음 혼합물을 이중 스크류 압출기에서 용융-반죽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펠리트를 만들었다.
이들 펠리트로부터, 평균 두께가 2.5㎜인 500㎖용량의 원통형 용기를 250℃의 실린더 온도, 250℃의 다이(직경 : 50㎜, 거리 : 3㎜)온도, 80℃의 주형온도 및 5㎏/㎠이 평균 취입온도로 구성되는 조건하에서 취입성형기(플라코 캄파니 리미티드가 제작한 S-45ND)에서 제조하였다. 조작중, 성형성(드로다운, 취입단계에서의 파괴, 성형품의 두께의 균일성 및 외관(표면의 거칠음 및 불균일)을 평가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S/G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여러가지 특성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1)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성; 고유점성을 25℃에서 0-클로로페널에서 측정하였다.
2) 용융장력 : 1㎜의 직경을 갖는 오리피스로부터 유동되응 수지를 255℃에서 10의 드로다운 비율로 제거할 때 가해지는 하중을 모세관을 유량계를 사용하여 로드셀로 측정하였다.
3) 용융점성 : 100sec-1의 전단속도에서 용융점성을 직경이 1㎜이고 길이가 10㎜인 오리피스를 갖는 모세관 유량계를 사용하여 255℃에서 측정하였다.
4) 인장강도 : 인장강도를 ASTM D-638에 따라 측정하였다.
5) 취입 성형성 : 브로다운 : 이것은 취입 성형기로부터 압출된 패리슨의 길이가 120㎜가 될때까지 걸린 시간을 그 길이가 600㎜가 될때까지 걸린 시간에 대한 비율, 즉 드로다운의 지수도 환상하여 평가하였다. 드로다운이 완전히 없는 수지는 5의 드로다운의 지수를 가지며, 즉시 드로다운되는 수지가 1의 드로다운의 지수를 갖는다.
취입단계에서의 파괴; 재료의 파괴의 발생은 취입성형단계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성형품의 두께의 균일성: 원통형 성형품을 절단하여 그의 상측부분, 중간부분 및 하측부분의 각각의 두께를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여 두께의 변하(평균 두께에 대한 최대두께와 최소두께 사이의 차이의 백분율)를 측정하였다.
외관 : 표면의 매끄러움(거칠음)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우수", "양호" 및 "불량"의 세가지 등급으로 분루하였다.
[실시예 7-13 및 비교실시예 3-8]
표 2에 기재된 PBT 및 각종 S/G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수지 조성물을 상술한것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본 발명의 성분(B)과 상이한 글리시딜 함유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기술된 바와 같다.
[실시예 14-19 및 비교실시예 9-12]
PBT를 표 3에 기재된 각종 PBT공중합체로 대체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것과 동일한 시험을 반복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S/G공중합체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반족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기술된 바와같다.
[실시예 20-22 및 비교실시예 13-15]
PBT 폴리에스테르(A)를 다른 폴리에스케르로 대체시킨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시험을 반복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S/G공중합체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기술된 바와같다.
[실시예 23-25비교실시예 16-19]
S/G공중합체 및 충전제로서 유리섬유를 표 5에 기재된 바와같이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시험을 반복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S/G공중합체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 경우 용
융장력을 2의 드로다운 비율에서 측정하였다.
[표 1]
[표 2]
[표 3]
[표 4]
[표 5]

Claims (4)

  1. (A)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및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 조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 (B)스티렌 40∼97중량%, α, β-불포화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60∼3중량% 및 다른 비닐 단량체 0∼50중량%로 조성되는 스티렌 공중합체 0.5∼10중량부; 및 (C)섬유, 분말 및 박편 충전제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충전제 0∼100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용융-반죽함으로서 제조되는 취입 또는 압출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공중합체(B)는 스티렌; α, β-불포화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콜롤라이드, α-메틸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및 페닐말레이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단량체로 구성되어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주로 반복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구성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기재한 바와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취입성형함으로서 제조되는 중공형 성형품.
KR1019920019610A 1991-10-23 1992-10-23 취입 또는 압출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KR960007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547791A JP3210702B2 (ja) 1991-10-23 1991-10-23 ブロー成形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91-275477 1991-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062A KR930008062A (ko) 1993-05-21
KR960007221B1 true KR960007221B1 (ko) 1996-05-29

Family

ID=1755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610A KR960007221B1 (ko) 1991-10-23 1992-10-23 취입 또는 압출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23135A (ko)
JP (1) JP3210702B2 (ko)
KR (1) KR960007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9849B (it) * 1994-05-27 1997-04-15 Enichem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bottiglie riutilizzabili a partire da pet modificati
KR19990008048A (ko) * 1995-04-26 1999-01-25 크리스로저에이취. 폴리에스테르 성형조성물
US6099924A (en) * 1996-07-22 2000-08-08 Toyo Seikan Daisha, Ltd. Laminate and container made of the same
US5935510A (en) * 1997-01-21 1999-08-10 R & J Hansen, L.L.C. Method for using recycled glass as a filler in molded plastics
US5872174A (en) * 1997-04-04 1999-02-16 Ball Corporation Plastic articles and processes
US5982654A (en) * 1998-07-20 1999-11-09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devices
US6552144B1 (en) 1999-07-14 2003-04-22 Johnson Polymer, Inc.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gel free polymers, and powder and liquid coating applications containing gel free polymers
US6605681B1 (en) 2000-07-12 2003-08-12 Johnson Polymer, Inc.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epoxylated addition polymers, and powder and liquid coating applications containing epoxylated addition polymers
US6727324B2 (en) 2000-08-28 2004-04-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lcium reactants in blends containing copolyether ester elastomers and ethylene(meth)acrylate/unsaturated epoxide copolymers
EP1302713A1 (en) * 2001-10-12 2003-04-16 Dsm N.V. Thermoplastic cable tie
US20030113490A1 (en) * 2001-12-13 2003-06-19 Zo-Chun Jen Polyester bottles with reduced bottle-to-bottle friction
CA2474251C (en) * 2002-02-01 2009-05-12 Johnson Polymer, Llc Oligomeric chain extenders for processing, post-processing and recycling of condensation polymers, synthesis,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JP4257569B2 (ja) * 2002-02-15 2009-04-22 東洋紡績株式会社 異形押出し成形加工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品
JP4196251B2 (ja) * 2002-02-15 2008-12-17 東洋紡績株式会社 異形押出し成形加工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品
JP4196263B2 (ja) * 2002-12-11 2008-12-17 東洋紡績株式会社 異形押出し成形品
US6986864B2 (en) * 2002-04-30 2006-01-17 David Scott Porter Polyester compositions
US6699546B2 (en) * 2002-07-22 2004-03-02 Nan Ya Plastics Corporation, America Low haze polyester containers
US20060048924A1 (en) * 2004-08-31 2006-03-09 Valeo, Inc. Fluid reservoir for modular systems
WO2008077468A1 (de) * 2006-12-21 2008-07-03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Formulierung, daraus hergestellter prefor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treckgeblasener opaker kunststoffbehälter
US7691311B2 (en) * 2007-04-27 2010-04-06 Vec Industries, L.L.C.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fiber reinforced article, and a glass fiber reinforced article
KR100960866B1 (ko) * 2008-06-19 2010-06-08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안정성, 광안정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60622B1 (ko) * 2008-07-09 2010-06-07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도장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AU2010101182A4 (en) 2010-07-14 2010-12-09 Basf S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429005B2 (ja) * 2014-08-25 2018-11-28 東洋紡株式会社 ブロー成形用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樹脂組成物
WO2023048255A1 (ja) * 2021-09-27 2023-03-30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2750A (en) * 1978-06-15 1979-12-24 Toray Ind Inc Aromatic polyester composition
WO1985003718A1 (en) * 1984-02-24 1985-08-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ened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JPS6112745A (ja) * 1984-06-27 1986-01-21 Toray Ind Inc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ト中空成形品
DE3721338A1 (de) * 1987-06-27 1989-01-05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phenylenethern und polyestern
DE3733838A1 (de) * 1987-10-07 1989-04-20 Basf Ag Glasfaserverstaerk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yestern und pfropfpolymerisaten
JP2674179B2 (ja) * 1989-01-30 1997-11-12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US5373057A (en) * 1989-07-20 1994-12-1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Resin composition and copolymer
US5128404A (en) * 1990-06-18 1992-07-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blow moldable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US5268438A (en) * 1991-09-06 1993-12-07 Rohm And Haas Company Aromatic polyester melt strength impr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10702B2 (ja) 2001-09-17
US5523135A (en) 1996-06-04
KR930008062A (ko) 1993-05-21
JPH05112701A (ja) 199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221B1 (ko) 취입 또는 압출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US5354532A (en) Methods for molding composite polyester articles having rigid and flexible regions
CA1087788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US5354802A (en) Resin composition for blow molding and blow molded item made therefrom
US5277864A (en) Toughened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JP2574055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中空成形品及びその製造法
EP0682080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blowing or extrusion and hollow molded article made therefrom
CA1082394A (en) Thermoplastc molding composition
JPH01242618A (ja) 改良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法
JP2790961B2 (ja) ブロー成形用又は押出成形用液晶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2730811B2 (ja) ブロー成形用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中空成形品
EP0584953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or blow or extrusion molding and hollow molded article thereof
JPH05301273A (ja) ブロー成形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中空成形品
JP2529751B2 (ja) ポリアリ―レンサルファイド系樹脂中空成形品及びその製造法
JP350027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3332401B2 (ja) ブロー成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中空成形品
KR920009539B1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JP4869860B2 (ja) ブロー成形用液晶性樹脂組成物
JPH0550493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アイド樹脂製エンジン周辺機構部品用中空成形品
JPS612746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3325102B2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047472B2 (ja) ブロー中空成形品
JP3321355B2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ブロー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67220B2 (ja) ブロ−中空成形品
KR930007443B1 (ko) 개량된 할로겐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