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008A - 병렬 테스트 회로를 포함한 메모리 소자 - Google Patents
병렬 테스트 회로를 포함한 메모리 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6008A KR960006008A KR1019940017663A KR19940017663A KR960006008A KR 960006008 A KR960006008 A KR 960006008A KR 1019940017663 A KR1019940017663 A KR 1019940017663A KR 19940017663 A KR19940017663 A KR 19940017663A KR 960006008 A KR960006008 A KR 960006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allel test
- output
- signal
- test signal
- memo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48—Arrangements in static store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by means external to the store, e.g. using direct memory access [DMA] or using auxiliary access path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11C11/41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18—Address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
- 총 n비트의 입력 어드레스(A1 내지 An) 중 메모리 블럭을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An)를 제외한 나머지 어드레스를 각각 입력받아 칩 선택 신호(CS)에 따라 비반전 어드레스 및 반전 어드레스를 각각 출력하는 다수의 어드레스 버퍼링 수단(1 내지 n-1); 다수의 메모리 블럭으로 나뉘어져 있는 메모리셀 어레이를 구비하는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메모리 소자내의 제어 신호의 상태가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나타날 수 없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메모리 셀 테스트 상태로 하여, 이때 병렬 테스트 신호(pt)를 출력하는 병렬 테스트 신호 발생 수단(500); 상기 n비트의 입력 어드레스(A0 내지 An) 중 제외된 어드레스(An)를 각각 입력받아 칩 선택 신호(CS)를 따라 비반전 어드레스(An) 및 반전 어드레스()를 각각 출력하되, 상기 병렬 테스트 신호 발생 수단(500)으로 부터 병렬 테스트 신호(pt)가 발생하면 두 출력단에 동일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버퍼링 수단(n'); 상기 다수의 어드레스 버퍼링 수단(1 내지 n')의 출력값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100);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200) 중에서 디코딩 수단(100)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블럭의 셀 데이타를 센싱 및 증폭하는 다수의 센스 증폭 수단(300); 출력 인에이블 신호(OE)에 따라 상기 센스 증폭 수단(300)으로 부터 출력되는 출력 데이타(S0 내지 Sm)를 입력받되, 상기 병렬 테스트 신호(pt)가 발생되면 상기 다수의메모리 블럭 중 디코딩 수단(100)에 의하여 선택된 다수개의 메모리 블럭의 출력 데이타를 입력받아 해당 메모리 셀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버퍼링 수단(4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테스트 회로를 포함한 메모리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테스트 신호 발생 수단(500)은 메모리 소자가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 표현될 수 없는 신호 형태인 칩 선택 신호(CS), 쓰기 인에이블 신호(WE),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각각 L, L, L일때 병렬 테스트 신호(pt)를 계속 출력하고, 칩 선택 신호(CS), 쓰기 인에이블 신호(WE),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각각 L, H, H일때 병렬 테스트 신호(pt)를 출력을 중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테스트 회로를 포함한 메모리 소자.※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17663A KR0135242B1 (ko) | 1994-07-21 | 1994-07-21 | 병렬 테스트 회로를 포함한 메모리 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17663A KR0135242B1 (ko) | 1994-07-21 | 1994-07-21 | 병렬 테스트 회로를 포함한 메모리 소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6008A true KR960006008A (ko) | 1996-02-23 |
KR0135242B1 KR0135242B1 (ko) | 1998-04-22 |
Family
ID=1938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17663A Expired - Fee Related KR0135242B1 (ko) | 1994-07-21 | 1994-07-21 | 병렬 테스트 회로를 포함한 메모리 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524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4992B1 (ko) * | 1997-08-06 | 2005-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집적회로의폴트검출장치및방법 |
KR100542470B1 (ko) * | 1997-09-29 | 2006-04-06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멀티뱅크메모리소자를위한뱅크인터로크설계와관련테스트모드수행을위한장치및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1313B1 (ko) * | 1997-09-11 | 2006-0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메모리장치의불량셀테스트방법 |
-
1994
- 1994-07-21 KR KR1019940017663A patent/KR013524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4992B1 (ko) * | 1997-08-06 | 2005-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집적회로의폴트검출장치및방법 |
KR100542470B1 (ko) * | 1997-09-29 | 2006-04-06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멀티뱅크메모리소자를위한뱅크인터로크설계와관련테스트모드수행을위한장치및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35242B1 (ko) | 1998-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05284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850004684A (ko) | 반도체 기억 장치 | |
KR970051455A (ko) | 리던던트셀 테스트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 |
KR850003610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870010551A (ko) | 다이나믹 ram | |
KR890017706A (ko) | 다이나믹형 반도체 기억장치 | |
KR910005321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880013168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950009279A (ko) | 메모리 시험을 실시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870009384A (ko) | 반도체 기억 장치 | |
KR910001771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910014951A (ko) | 메모리 시험장치 | |
KR950015399A (ko) | 비트 단위 데이타의 입력 및 출력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970076884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멀티비트 테스트 회로 및 그 테스트 방법 | |
KR910013285A (ko) | 불휘발성 반도체메모리 | |
KR920015374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970029883A (ko) | 고주파수 동작을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회로 및 방법 | |
KR970051415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병합 데이타 출력 모드 선택 방법 | |
KR960006008A (ko) | 병렬 테스트 회로를 포함한 메모리 소자 | |
KR960009174A (ko) | 고속테스트 기능을 갖는 메모리 소자 | |
KR930001230A (ko) | 반도체 기억장치 및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 |
KR950006876A (ko) | 롤콜 회로 | |
KR900010778A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 | |
KR900003746A (ko) | 어드레스 메모리 유니트 | |
KR100560629B1 (ko) | 에코 클락 경로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