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970B1 - 탄소 섬유용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섬유용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970B1
KR960005970B1 KR1019930027248A KR930027248A KR960005970B1 KR 960005970 B1 KR960005970 B1 KR 960005970B1 KR 1019930027248 A KR1019930027248 A KR 1019930027248A KR 930027248 A KR930027248 A KR 930027248A KR 960005970 B1 KR960005970 B1 KR 96000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weight
precursor
carbon fiber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757A (ko
Inventor
임대우
김순식
강창권
김진익
Original Assignee
제일합섬주식회사
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합섬주식회사, 박홍기 filed Critical 제일합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970B1/ko
Publication of KR95001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D01F9/20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 D01F9/21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9/2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acrylonitri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탄소 섬유용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강도, 고탄성의 탄소섬유 제조용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아크릴로니트릴과 그 공중합단량체로 제조되는 탄소섬유 제조용 아크릴계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섬유는 다른 복합재료용 강화섬유에 비해 그 비강도 및 비탄성율이 우수하여 이용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 왔는데, 현재까지의 주용도로는 스포츠 레져, 항공우주산업 및 건축 등 일반산업용 등에 일부 사용되고 있으나, 전기적 특성 및 열적 성질이 우수하여 그 용도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탄소섬유의 제법은 그 전구체로서 아크릴계, 레이온계, 피치계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섬유를 제조하여 산화성 분위기 하에서 200~400℃의 열처리를 통해 내염화 섬유를 제조하고, 이어 아르곤,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열처리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상기 공정 중 내염화 공정은 전구체 섬유내에 나프티리딘환 등의 환화구조를 형성, 섬유의 내열성을 향상시켜 이후 고온처리 공정에서 열적 안정성을 주기 위한 공정으로서, 탄소섬유의 물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내염화 공정은 발열반응으로서 내염화 열처리시 반응이 진행함에 따라 급격한 발열을 동반하며, 필요에 따라 연신이 행해져야 한다. 이때 국부적인 축열이 일어나면 용착이 발생, 섬유의 분해, 절사가 일어나 탄소섬유의 품질 및 생산성의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혹한 환경하에서 단시간 융착 및 절사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탄소섬유의 품질 및 생산성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단사간의 융착은 내염화공정 이전에 전구체 제조 중에도 일어나는데, 내염화공정 이전 공정인 연신공정, 건조치밀화 공정중에도 단시간 융착이 확인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절사현상이 내염화 및 탄소화 공정에서 빈번히 나타난다. 이러한 공정에서의 단사간 융착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탄소섬유 제조에 있어 품질 및 조업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요인이 된다.
종래에는 전구체 제조공정 및 내염화 처리시 단사간의 융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전구체 제조공정에서 실리콘유제를 사용하는데, 예로서, 일본공개특허 평 2-91224호에는 아미노변성 실리콘유제를 부여하여, 그 섬유를 소성시켜 고성능의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다량의 필라멘트를 토우상으로 처리해야 하는 내염화공정에서의 발열반응에 의한 단시간융착을 방지하는데 있어 유제에 의한 방법은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아닌 것으로, 즉, 내염화 공정 중의 융착은 환화 및 산화반응에 의한 열이 섬유내 축열되므로서 일어나게 되며, 따라서 단사간 융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순간적인 축열을 방지해야 하며, 전구체 자체가 이어한 가혹한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물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탄소섬유 제조용 전구체 섬유의 제조시 중합 및 방사공정에 소정의 처리를 함으로서 내염화공정 중 발생하는 단사간 융착을 방지하고 섬유가 분해 절사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여 최종 탄소섬유의 물성 및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 90중량% 이상을 함유한 고중합도의 아크릴 중합체를 합성하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20중량% 이상인 방사액으로 만들어 방사한 후, 30~99℃의 물 및 가압수중기하에서 다단 연신을 행하며, 다단연신 중 습윤상태에서 유제처리 및 염기의 수용액 또는 증기로 처리하여 내염화 및 탄소화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채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90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99.9~95중량%), 공중합단량체 10중량% 이내(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의 공중합단량체로 이루어지며, 이때 공중합단량체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및 이것들의 메틸에스터, 알카리염 및 아크릴술폰산, 스티렌술폰산 및 이것들의 알카리금속염 등이 사용가능하다. 물성의 개선을 위해 첨가되는 공중합 단량체를 0.01% 미만으로 사용하면 물성개선효과가 미약하고 10중량% 초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물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괴상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등 여러가지 중합법으로 중합이 가능하며, 이때 좋은 물성의 전구체를 얻기 위해서는 극한점도가 1.4-3.5(바람직하게는 2.0-3.0)인 공중합체를 중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물성을 지닌 전구체를 얻기 위해 상기 범위의 극한 점도를 지닌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사용한다. 중합용매로는 물,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염화아연수용액, 로단염수용액을 사용하며,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염화아연수용액, 로단염수용액 중에 녹여 방사원액을 만든다.
통상 아크릴계 섬유의 경우 방사방법은 습식방사법 또는 건습식 방사법으로 방사하여 섬유를 제조하는데, 탄소섬유 제조에 있어서는 건습식법에 의한 전구체를 사용한 경우가 섬유간의 융착이 한층 덜 일어나므로 보다 나은 물성의 탄소섬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중합시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20~40중량%인 고농도의 방사액을 제조하여 고연신전구체를 제조하는데, 아크릴로니트릴함량이 20중량% 미만인 방사액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연신을 하는데 있어 로울러상에 융착이 발생되기 쉬운 문제가 있으며 40중량% 초과하게 되면 방사시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고농도의 방사액을 제조함과 아울러, 방사와 내염화공정 사이에 2단 이상의 연신을 하고, 1차 혹은 2차 연신전후 또는 연신중에 염의 증기 또는 염의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연신은 30~99℃의 물 중에서 다단연신을 행하고, 그후 가압수증기하에서 연신 또는 완화를 한다. 이때 다단연신을 30℃ 미만의 온도를 지닌 물중에서 행하는 경우엔 연신력이 떨어지고, 99℃ 이상의 물 중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연신의 조절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연신비는 10~15배 가량으로, 10배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나쁘고, 15배 초과하게 되면 섬유간 융착이 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연신은 통상 연신욕 입출구에 설치된 로울러에 의해 행해지며, 연신배율에 따라 입구측과 출구 사이의 로울러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섬유에 의해 행해지며, 연신배율에 따라 입구와 출구 사이의 로울러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섬유에 연신 및 완화를 행하게 된다. 그러나 구동 로울러에 의해 연신을 할 경우 섬유와 로울러 표면 사이의 강간 압착으로 인해 단섬유간에 융착이 발생하는데, 특히 연신비가 높을수록 강한 토크에 의한 융착이 심해지며, 또 섬유내의 용매 함량이 많을수록 융착이 쉽게 일어난다. 이러한 로울러상의 융착은 유제를 처리하여 방지할 수 있으며 유제를 균일하게 부여해야 하므로 키스-롤법이 가이드법보다 유리하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폴리실록세인계 유제의 구조식 예는 아래와 같다.
(여기서, R1, R2, R3, R4, R5, R6, R7은 메틸 또는 에틸기이며, R8은 알킬기, 수산기, 알콕시기 및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이다. m,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m+n은 20-2000 사이의 값을 갖는다.)
내염화공정중의 융착은 환화 및 산화반응에 의한 열이 섬유내에 축열되므로서 일어나며, 이는 1차 혹은 2차 연신 전후 또는 가압수증기하에서의 연신 혹은 완화중에서 염기의 수용액 또는 증기로 처리함으로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금속염 등이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가압수증기하에서 연신 혹은 완화중에 트리에틸아민 또는 암모니아의 수용액 또는 증기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중합개시제로 사용하여 디메틸설폭사이드 중에서 아크릴로니트릴 99.0중량%, 이타콘산 1.0중량%의 공중합체를 55℃에서 용액중합하여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이 25wt%이고, 공중합체의 극한점도가 2.4인 고중합도 디메틸설폭사이드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60℃로 유지하고, 홀수 1000, 홀크기 0.1mm의 구금을 통해 30℃, 디메틸설폭사이드 30%의 수용액에 4mm의 에어갭을 주어 방사하였다. 이어 50℃의 수용액 중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90℃의 열수중에서 8배 연신을 하였다. 연신후 폴리실록세인계 유제를 가하고, 120℃의 가압수증기 상에 노즐을 설치하여 트리에틸아민을 분사하면서 5배의 연신을 한 후 폴리실록세인계 유제를 가하고, 130℃의 가열 롤러를 사용하여 건조 치밀화한 후, 230~270℃의 온도 구배를 갖는 열풍산 화성 분위기의 내염화노에서 50분간 처리하였다. 이어 질소분위기 중에서 1000℃ 이상의 온도에서 2분간 처리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중량을 30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중합개시제로 사용하여 디메틸설폭사이드 중에서 아크릴로니트릴 98.0중량%, 이타콘산 2.0중량%의 공중합체를 60℃에서 용액중합하여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이 10중량%인 디메틸설폭사이드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60℃로 유지하고, 홀수 1500, 홀크기 0.1mm의 구금을 통해 50℃, 디메틸설폭사이드 30%의 수용액에 4mm의 에어갭을 주어 방사하였다.
이어 50℃의 수용액 중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90℃의 열수중에서 4배 연신을 하였다. 연신후 폴리실록세인계 유제를 가하고, 120℃의 가압수증기 상에 노즐을 설치하여 트리에틸아민을 분사하면서 3배의 연신을 한 후 폴리실록세인계 유계를 가하고 130℃의 가열 롤러를 사용 건조 치밀화 한 후, 230~270℃의 온도구배를 갖는 열풍산화성분위기의 내염화노에서 50분간 처리하였다. 이어 질소분위기 중에서 1000℃ 이상의 온도에서 2분간 처리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중량을 15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가 동일한 방법으로 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탄소섬유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표시하였으며 물성측정법은 JIS R-7601에 준하여 에폭시수지 함침 스트랜드의 물성을 측정하였고, 10회의 평균치를 표시하였다.

Claims (4)

  1. 아크리로니트릴 90~99.99중량%와 공중합단량체 10~0.01중량%를 공중합하여 제조된 극한점도 2.0~3.0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농도를 20~40중량%의 용액으로 한 방사원액을 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얻은 섬유에 30~99℃에서 총 연신비가 10~15배에 달하는 다단연신을 행하고 가압수증기하에서 연신 및 완화를 하는 과저에서 로울러 상의 융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실록세인계 유제를 가하고 섬유내 축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염기의 수용액 또는 증기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코난 및 이들의 메틸에스터, 에틸에스터, 알카리염 및 아릴술폰산, 스티렌술폰산 및 이들의 알카리금속염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용매는 물,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염화아연수용액, 로단염수용액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염기는 트리에틸아민,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금속염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용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
KR1019930027248A 1993-12-10 1993-12-10 탄소 섬유용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 KR96000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248A KR960005970B1 (ko) 1993-12-10 1993-12-10 탄소 섬유용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248A KR960005970B1 (ko) 1993-12-10 1993-12-10 탄소 섬유용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757A KR950018757A (ko) 1995-07-22
KR960005970B1 true KR960005970B1 (ko) 1996-05-06

Family

ID=1937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248A KR960005970B1 (ko) 1993-12-10 1993-12-10 탄소 섬유용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9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3730A (zh) * 2014-11-03 2015-01-28 镇江奥立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纳米碳纤维的拉伸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3730A (zh) * 2014-11-03 2015-01-28 镇江奥立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纳米碳纤维的拉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757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2991B2 (ja) 炭素繊維の製造方法及び炭素繊維用前駆体繊維
US8236273B2 (en) Method of producing pre-oxidation fiber and carbon fiber
JP5691366B2 (ja) 炭素繊維の製造方法
KR102507899B1 (ko)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의 치밀화
KR870000533B1 (ko)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JPS6211089B2 (ko)
JP2001172880A (ja) 炭素繊維用シリコーン油剤および炭素繊維の製造方法
KR20130078788A (ko) 탄소섬유용 복합 전구체 멀티 필라멘트 및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JP2012201727A (ja) ポリアクリロニトリル共重合体、炭素繊維前駆体繊維および炭素繊維の製造方法
KR960005970B1 (ko) 탄소 섬유용 전구체섬유의 제조방법
KR101909892B1 (ko)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및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101490529B1 (ko)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 제조 방법
KR102102984B1 (ko)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JPS63203878A (ja) 炭素繊維製造用前駆体繊維の製造方法
JP4983709B2 (ja) 炭素繊維前駆体繊維および炭素繊維の製造方法
JP5504678B2 (ja) ポリアクリロニトリル系重合体溶液と炭素繊維前駆体繊維と炭素繊維の製造方法
KR950010748B1 (ko) 고강도·고탄성 탄소섬유용 전구체의 제조방법
JP2007186802A (ja) 耐炎化繊維および炭素繊維の製造方法
JP2002371476A (ja) 炭素繊維用シリコーン油剤および炭素繊維の製造方法
EP3546623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acrylonitrile-based fiber, and polyacrylonitrile-based copolymer used therein
JP6264819B2 (ja) アクリロニトリル系共重合体、炭素繊維前駆体アクリロニトリル系繊維、炭素繊維及び炭素繊維の製造方法
KR101276469B1 (ko) 탄소섬유용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JP2012025837A (ja) ポリアクリロニトリル混合溶液および炭素繊維前駆体繊維および炭素繊維の製造方法
KR0123937B1 (ko) 탄소섬유 제조용 전구체 섬유 제조방법
JP3964011B2 (ja) 炭素繊維用アクリロニトリル系前駆体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