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867B1 - 차량용 사이드 보드(Side Board)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 보드(Side Board)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67B1
KR960005867B1 KR1019920015245A KR920015245A KR960005867B1 KR 960005867 B1 KR960005867 B1 KR 960005867B1 KR 1019920015245 A KR1019920015245 A KR 1019920015245A KR 920015245 A KR920015245 A KR 920015245A KR 960005867 B1 KR960005867 B1 KR 960005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rotrusion
sideboard
connecting member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502A (ko
Inventor
쓰기오 후카자와
Original Assignee
쇼와 알루미늄 가부시기가이샤
안자이 이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0528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650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405285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36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8396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78642A/ja
Application filed by 쇼와 알루미늄 가부시기가이샤, 안자이 이치로 filed Critical 쇼와 알루미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 보드(Side Board) 부착장치
제 1 도는 이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짐받이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 2 도는 사이드 보드를 180°전도시킨 상태를 나타낸 제 1 도 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갖춘 차량의 개략 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갖춘 차량의 짐받이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갖춘 차량의 짐받이 부분의 요부 측면도.
제 6 도는 분할 연결부재의 단부 어긋남 방지구조를 나타낸 제 5 도 VI-VI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 7 도는 분할 연결부재의 단부 어긋남 방지구조를 나타낸 동 요부 확대 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갖춘 차량의 짐받이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 9 도는 사이드 보드를 약 90°전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동 요부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사이드 보드를 180°전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동 요부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갖춘 차량의 짐받이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12도는 사이드 보드를 180°전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동 요부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갖춘 차량의 짐받치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갖춘 차량의 짐받이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15도는 사이드 보드를 180°전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동 요부 확대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갖춘 차량의 짐받이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갖춘 차량의 짐받이 부분의 요부 측면도.
제18도는 분할 연결부재의 단부 어긋남 방지구조를 나타낸 제17도 XVII-XVII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19도는 분할 연결부재의 단부 어긋남 방지구조를 나타낸 동 요부 확대 사시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사이드 보드 장치를 갖춘 차량의 짐받이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21도는 사이드 보드를 약 90°전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동 요부 확대 단면도.
제22도는 사이드 보드를 약 180°전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동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 보드 4 : 하방돌출부
5, 45 : 계합부 11 : 짐받이
13 : 측벽 16, 89 : 단부
20, 50, 90 : 연결부재 21, 51 : 구성부
25, 55 : 계합부 28, 58 : 안내면
29, 59 : 오목홈 40 : 돌기
본 발명은 차량에 있어서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안」이란 차량의 안쪽 방향을 「바깥」이란 차량의 바깥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다.
종래 트럭등 차량의 짐받이의 측벽에는 알루미늄 중공(中空) 압출형재로 제조된 사이드 보드가 스테인레스 강제의 경첩을 매개로 180°자유로이 요동하도록 부착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 보드 장착용 경첩은 그 부착작업이 힘들뿐만 아니라 서투른 작업자에게는 부착의 정밀도를 내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사이드 보드 부착용 경첩의 경우 그것의 추축(樞軸)을 삽입하고 있는 통형 연결부가 짐받이 측벽의 외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폭이 좁은 도로를 주행할때 보행자나 자전거가 이 경첩의 추축 삽입용의 통형 연결부에 걸릴 염려가 있고 또 짐받이 측벽의 외면에 다수의 경첩이 나타나 보이기 때문에 외관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한 차량에 있어서의 사이드 보드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사이드 보드가 짐받이의 측벽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트럭등의 차량에 있어서 사이드 보드 하단부의 외측연부에 선단에 상향으로 되점어 꺾은 계합부를 지니는 갈고리형 횡단면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가 설치되고 짐받이의 측벽에 단부가 설치되어서 이 단부의 외측 연부에 선단에 하향으로 되접어 꺾은 계합부를 지니는 갈고리형 횡단면의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가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아래쪽 돌출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사이드 보드 하면과 짐받이 측벽의 단부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이 연결부재의 상부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상향으로 되접어 꺾인 형태의 계합부가 끼워지고 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을 니티는 상부 힌지구성부가 설치되고,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의 하향 돌출부의 계합부가 오목홈의 내측에서 상부 힌지구성부의 상벽부와 이들의 선단에서 개구부를 향해서 뻗는 수직하방 계합부에 계합되고 오목홈내에 이들의 하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 보드의 요동시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이 형성되고, 동 연결부재의 하부에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가 끼워넣어지고 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을 지니는 하부 힌지구성부가 설치되며,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의 계합부가 오목홈의 내측에서 하부 힌지구성부의 하벽부와 이의 선단에서 개구부로 향해서 뻗는 수직모양 계합부에 계합되어 오목홈내에 이의 상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 보드의 요동시에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상부 힌지구성부의 오목홈내에 있어서의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의 오목홈 개구부에 가까운 부분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선단부와 계합하여 이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초기이동을 저지하는 돌기가 설치되는 동시에, 동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와 연결부재의 상부 힌지구성부의 상벽부 하면과의 사이에 이 돌기의 높이와 같거나 그것보다 큰 간극이 형성될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연결부재의 상부 힌지구성부의 오목홈내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초기이동을 저지하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보드를 외측으로 전도시키는 최초의 단계에서는,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선단부가 연결부재측의 상부 힌지구성부의 오목홈내의 돌기와 계합하여 이 돌출부의 초기의 이동이 저지되며, 따라서 최초에 사이드 보드와 연결부재가 약 90°열릴때까지 함께 요동하고, 이어서 사이드 보드와 연결부재가 대략 수평상태로 된 곳에서, 사이드 보드를 약간 외측으로 수평으로 잡아 당기면 연결부재측의 돌기와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선단부와의 계합이 벗겨져서 사이드 보드는 요동 가능하게 되어, 사이드 보드만이 180°열릴때까지 요동하므로 결국 사이드 보드를 2단계로 원활하게 열 수 있다.
다음의 제 2 실시예는 사이드 보드측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와 이와 관계되는 연결부재의 상부 힌지구성부의 구조는 본 발명의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나, 짐받이 측벽의 소요높이에, 선단에 짐받이측에 수평으로 되꺾은 계합부를 지니는 갈고리형 횡단면의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가, 보드 사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사이드 보드의 하면과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재의 하부에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의 수평으로 되꺽인 형태의 계합부가 끼워지고 또 하향으로 개구한 오목홈을 지니는 하부 힌지구성부가 설치되고,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의 계합부가 오목홈의 내측에서, 하부 힌지구성부의 짐받이측의 측벽부와 이의 선단에서 개구부를 향해서 뻗는 수평방향의 계합부에 관계되고, 오목홈내의 이의 외측벽 내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 보드의 요동시에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 원호상의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연결부재의 상부 힌지구성부의 오목홈내에 있어서의 횡단면 원호상 안내면의 오목홈 개구부 근처 부분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선단부와 관계되고, 이 힌지구성용 하방도출부의 초기이동을 저지하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동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가 연결부재의 상부 힌지구성부의 상벽부 하면과의 사이에 이 돌기의 높이와 같거나 그 보다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상기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의 경우와 같이 결국 사이드 보드를 2단계로 원활하게 열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사이드 보드가 짐받이의 측벽에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제작된 연결부재를 매개로 자유로이 요동하게 부착된 트럭등의 차량에 있어서 사이드 보드 하단부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을 지니는 힌지구성부가 설치되고 짐받이의 측벽에 사이드 보드의 하면에 대향하는 단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단부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을 지니는 힌지구성부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사이드 보드 하단부와 짐받이 측벽의 단부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이 연결부재의 상면 외측연부에 하향으로 되꺾인 계합부를 지니고 갈고리형 횡단면의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동 연결부재의 하면 외측연부에 상향으로 되꺾인 계합부를 지니는 갈고리형 횡단면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가 설치되고, 연결 부재의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의 하향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가 사이드 보드측 오목홈내에 끼워져서 계합부가 오목홈의 하벽부와 이의 선단에서 상방으로 뻗는 수직방향 계합부와 관련됨과 동시에 이 오목홈내의 상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 보드의 요동시에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원호상 횡단면의 앙내면이 형성되고, 연결부재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상향으로 되꺾인 모양의 계합부가 짐받이측 오목홈내에 끼워져서 계합부가 오목홈의 상벽부와 이의 선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뻗는 계합부에 관계되는 동시에 이 오목홈내의 하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 보드의 요동시에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원호상 횡단면의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사이드 보드의 힌지구성부의 오목홈내에 있어서의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의 오목홈 개구부 근처 부분에 연결부재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의 선단부와 관계되어 이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의 초기 이동을 저지하는 돌기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와 사이드 보드의 힌지구성부의 하벽부 상면과의 사이에 이 돌기의 높이와 같거나 그것보다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의 경우와 같이 사이드 보드를 2단계로 원활하게 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로 분할된 이른바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짐받이의 측벽에 전장에 걸쳐서 1개의 연결부재를 부착하는 것보다는 복수로 분할된 연결부재를 부착하는 편이 그 부착작업이 쉽고, 또 짐받이의 틀부재에 약간의 변형이 생겨도 분할되어 있는 개개의 직사각형의 연결부재가 짐받이 틀부재가 변형한 형상에 잘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보드의 개폐에 지장을 가져오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사이드 보드는 통상 알루미늄 중공 압출형재이고 또 연결부재는 알루미늄 압출형재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이드 보드는 기타의 재료에 의하여 만들어져도 좋고, 연결부재도 기타의 금속 혹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져도 물론 좋다.
상기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경우도 사이드 보드의 회전기구의 부착을 간소화할 수 있어 종래의 경첩이 필요없게 되고, 그 부착 공정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어 사이드 보드의 부착작업에 힘이 들지 않는다. 더욱이 초심자도 부착작업이 가능하고, 또 부착 정밀도를 확실히 낼 수 있다.
게다가, 사이드 보드의 부착부분이 짐받이 측벽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함이 없이, 예컨대 폭이 좁은 도로를 주행한 경우에도 보행자나 자전거가 사이드 보드의 부착부분에 걸릴 염려가 전혀없으므로 안정성이 매우 높은 것이다. 또 짐받이 측벽의 외면에 종래와 같은 다수의 경첩이 나타나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매우 미려하여 미관상의 문제로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할 수 있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였다.
제 1 도~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제 1 도와 제 3 도를 참조하면, 소요되는 갯수의 알루미늄 중공압출형재 패널(2)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이드 보드(1)이, 트럭등의 차량(10)의 짐받이(11)의 측벽,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짐받이틀부재(12)의 측벽부(13)에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연결부재(20)을 매개로 180°자유로이 요동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보드(1)은 2매 이상의 알루미늄 중공압출형재 패널(2)가 중첩 연결되어 구성되는 경우와 1매의 알루미늄 중공압출형재 패널(2)만에 의하여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제 1 도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사이드 보드(10 하단부의 내측연부는 짐받이(11)상에 지지되고, 또 사이드 보드(1) 하단부의 외측연부에 선단에 상향으로 되꺾인 계합부(5)를 지니는 횡단면이 갈고리형인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짐받이 틀부재(12)의 측벽부(13)에는 단부(16)이 설치되어 있고, 이 단부(16)의 외측연부에 선단에 하향으로 되꺾인 계합부(15)를 지니는 횡단면이 갈고리형인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가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보드(1) 하면과 짐받이 틀부재(12)의 측벽부(13)의 단부(16)과의 사이에 연결부재(20)가 개재되어 있고, 이 연결부재(20)의 상부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가 끼워져 있고 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29)를 지니는 상부 힌지구성부(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계합부(5)와 오목홈(29)의 내측에서 상부 힌지구성부(21)의 상벽부(24)와 이의 선단에 개구부를 향해서 수직 하방으로 뻗은 계합부(25)와 연관되어 있다.
또 오목홈(29)내에는 이들 하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 보드(1)의 요동시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2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부재(20)의 하부에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15)가 끼워지고 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31)을 지니는 하부 힌지구성부(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의 계합부(15)가 오목홈(31)의 내측에서 하부 힌지구성부(22)의 하벽부(26)과 이의 선단에서 개구부를 향해서 수직으로 뻗는 계합부(27)과 관계되어 있다.
또 오목홈(31)내에는 이의 상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 보드(1)의 요동시에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3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짐받이 틀부재(12)의 단부(16)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연결부재(20)가 회동하면 그 하부 힌지구성부(22)의 하벽부(26)의 선단부(26a)를 하측으로 피하게 하는 우회용 오목부(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보드(1)를 트럭등 차량(10)의 짐받이(11)에 부착하려면, 예컨대 먼저 사이드 보드(1)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와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를 짐받이의 오목홈(29)내에 그 홈의 단부로부터 상기 보드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를 슬라이드 시키면서 삽입하여 계합시키고, 다음에 이 연결부재(20)이 부착된 사이드 보드(1)를 짐받이(11)의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에 연결부재(20)의 하부힌지구성부(22)의 오목홈(31)내에 그 홈의 단부로부터 상방돌출부(14)의 계합부(15)를 슬라이드 시키면서 삽입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사이드 보드(1)의 부착은,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제작된 사이드 보드 구성패널(2)와 연결부재(20)을 짐받이(11)의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에 끼워 맞출뿐이고 초심자도 작업이 가능하고, 사이드보드(1)의 회전기구의 부착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 보드의 부착작업에 수고가 덜하고, 또 부착정밀도를 확실하게 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보드(10를 제 1 도 및 제 3 도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기립상태에서 바깥쪽으로 쓰러뜨리면 우선 사이드 보드(1)은 연결부재(20)과 함께 요동하고 연결부재(20)의 하부 힌지구성부(22)와 계합하는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15)가 그것의 하단을 회전중심(A점)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하여 결국 사이드 보드(1)이 연결부재(20)과 함께 90°회전한다.
계속하여 사이드 보드(1)를 쓰러뜨리면 연결부재(20)은 이제 더 이상 회동할 수 없기 때문에 이번에는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사이드 보드(1)만이 요동하고,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과 관계되는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가 그것의 상단을 회전중심(B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사이드 보드(1)은 연결부재(20)에 대하여 다시 90°회전하고 기립상태에서 180°전도되어 제 2 도 및 제 3 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된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상이한 점은,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0)이 폭이 넓게 만들어져 있으므로, 사이드 보드(1)이 그 기립상태에서 짐받이(11)에 지지되어 있지 않고, 연결부재(20)의 상면에 직접 배치된다는 점에 있다.
제 5 도 내지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상이하는 점은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0)으로서 예컨데 4개로 분할된 직사각형의 분할 연결부재(20a)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 있다.
또, 짐받이(11)의 틀부재(12) 및 분할 연결부재(20a)의 형상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나, 틀부재(12)의 상단외측 연부에 긴 돌출부(18)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상이하다.
또 분할 연결부재(20a)가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이들 분할 연결부재(20a)의 전후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즉, 트럭등의 짐받이(11)의 전후 양단에는 지주(6), (6)가 세워져 있고, 사이드 보드(1)는 1매 또는 적층된 소정 매수의 알루미늄 중공압출형재로 제작된 패널(2)와 이들의 전후양단부에 부착된 수평단면이 대략 ㄷ형인 알루미늄 압출형재료 제작된 단부종재(縱材)(32), (32)로 구성된다. 각 단부종재(32)에는 수평단면이 대략 L형인 시일재 부착부(33)이 일체로 설치되고, 이들 내측에 시일재(35)가 끼워져 있다. 사이드 보드(1)의 전후 양단부 종재(32), (32)와, 전후 양측의 지주(6), (6)과의 사이에는 각각 수평단면이 대략 ㄷ형인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된 스페이서(36), (36)이 그 개구부를 외측을 향해서 개재되어 있고, 각 ㄷ형 스페이서(36)의 한측벽은, 지주(6)에 따르도록 고정되고, 스페이서의 다른 측벽의 선단이 단부종재(32)의 시일재부착부(33)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져서 시일재(35)에 맞대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보드(1)의 전후양단 종재(32), (32)에, 상기 분할 연결부재(20a)의 전후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기위한 돌출부(34), (34)가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전후 양방향 외측의 분할 연결부재(20a), (20a)의 단면의 바깥 반부분에 각각 맞닿아 있다. 또, 상기 스페이서(36), (36)의 하측에 수직단면이 대략 ㄷ형인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된 어긋남 방지용 스토퍼(37), (37)이 배치되어 있다. 각 어긋남 방지용 스톱퍼(37)의 상벽부(37a)는 짐받이 부재(12)의 긴 돌출부(18)의 하면에 나사(19)로 고정되고, 스톱퍼의 하벽부(37b)는 짐받이 부재(12)의 단부(16)의 우회용 오목부(17)의 바닥벽상에 지지되어 있다. 각 어긋남 방지용 스톱퍼의 수직벽부(37c)는 전후양 외측의 분할 연결부재(20a), (20a)의 단면의 내측 절반부분에 각각 맞닿고, 이것에 의해서도 분할 연결부재(20a), (20a)의 전후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방지하고 있다.
이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분할 연결부재(20a)의 부착작업이 짐받이(11)의 틀부재(12)에 전체길이에 걸쳐서 한개의 연결부재(20)를 부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다. 그리고, 예컨대 짐받이(11)의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제작된 틀부재(12)에 약간의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분할된 개개의 직사각형의 연결부재(20a)가 짐받이 틀부재(12)의 변형된 형상에 잘 따르고, 사이드 보드(1)의 개폐가 원활하다.
제 8 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이 제 4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같으나 상이한 점은 사이드 보드(1)를 2단계로 원활하게 열 수 있도록 연결부재(21)에,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초기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돌기(40)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의 오목홈(29)내에는 이의 아래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 보드(1)의 요동시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원호상 횡단면의 안내면(28)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 원호상 횡단면의 안내면(28)의 오목홈 개구부 근처 부분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와 관계되어 이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초기이동을 저지하는 돌기(40)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와, 이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의 상벽부(24) 하면과의 사이에 이 돌기(40)의 높이와 같거나 그것보다 큰 간극(41)이 열려져 있다.
또한, 사이드 보드(1)의 기립 상태에서는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는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의 오목홈(29)내에서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28)의 오목홈 개구부 근처부분상에 얹혀져서 지지되어 있고, 또 이 오목홈(29)내에서 지지부분의 상면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선형 돌출부(즉, 로레트부)(42)가 연결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보드(1)의 기립상태에서는 제 8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가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의 오목홈(29)내에 있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28)의 오목홈 개구부 근처부분의 미끄럼 방지용의 선형 돌출부(로레트부)(42)상에 얹어져서 지지되어 있다.
이 제 8 도의 상태로부터 사이드 보드(1)을 2단계로 원활하게 또 확실하게 열수 있다.
즉, 사이드 보드(1)을 외측으로 쓰러뜨리면, 먼저 사이드 보드(1)은 연결부재(20)과 함께 요동하고 연결부재(20)의 하부 힌지구성부(22)의 외향 개구 오목홈(31)에 들어가 있는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15)가 그것의 하단을 회전중심(A점)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사이드보드(1)이 연결부재(20)과 함께 약 90°요동한다(제 9 도 참조).
그 이유는 사이드 보드(1)을 외측으로 쓰러뜨리는 최초의 단계에서는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가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의 오목홈(29)내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40)과 걸려있고 또 다수의 선형돌출부(로레트부)(42)가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 돌출부(4)의 초기의 이동이 저지되고, 따라서 사이드 보드(1)이 연결부재(20)과 함께 요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연결부재(20)의 회동에 의하여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의 선단부는 연결부재(20)의 하부 힌지구성부(22)의 오목홈(31)내의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30)을 따라서 안내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하여 사이드 보드(1)과 연결부재(20)이 약 90°요동하여 수평 상태로된 곳에서(제 9 도 참조), 계속하여 사이드 보드(1)를 외측으로 쓰러뜨리면 연결부재(20)은 이미 그 이상 회동할 수 없으므로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이번에는 사이드 보드(1)만이 요동한다.
따라서, 사이드 보드(1)과 연결부재(20)이 수평 상태이기 때문에 사이드 보드(1)을 약간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가 이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의 선단부와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의 상벽부(24)와의 사이의 간극(41)이 없어지도록 이동하여 그 결과 사이드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와 돌기(40)과의 계합상태가 분리되어, 사이드 보드(1)은 요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의 외향 개구오목홈(29)에 들어가 있는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가 이의 상단을 회전심(B점)으로서 회동하고, 사이드 보드(1)이 연결부재(20)에 대하여 다시 약 90°요동하여 기립상태에서 180°전도되고, 제10도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이때의 사이드 보드(1)의 요동에 의하여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는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의 오목홈(29)내의 횡단면 원호상의 안내면(28)을 따라서 안내된다.
제11도와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보드(1)측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 및 이와 관계되는 연결부재(50)의 상부 힌지구성부(51)의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나 짐받이(11)측의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와 연결부재(50)의 하부 힌지구성부(52)의 구조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약간 상이하다.
즉, 사이드 보드(1) 하단부의 외측연부에 선단에 상향으로 되꺾인 계합부(5)를 지니는 횡단면이 갈고리형인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가 설치되고 짐받이(11)의 틀부재(12)의 측벽부(13)의 소정높이로 선단에 짐받이(11)측에 수평으로 되꺾인 계합부(45)를 지니는 횡단면이 갈고리형인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가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보드(1) 하면과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와의 사이에 개재된 연결부재(50)의 상부에는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가 삽입되어 있고, 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59)를 지니는 상부 힌지구성부(51)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계합부(5)가 오목홈(59)의 내측에서 상부 힌지구성부(51)의 상벽부(54)와 그것의 선단에서 개구부로 향해서 수직 하방으로 뻗는 계하부(55)와 관련되어 있다.
또 오목홈(59)내에 이의 하면에서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 보드(1)의 요동시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이 안내면(5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재(50)의 하부에는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의 수평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45)가 끼워지고 또 하향으로 개구한 오목홈(61)을 지니는 하부 힌지구성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의 계합부(45)가 오목홈(61)의 내측에서 하부 힌지구성부(52)의 짐받이(11)측의 측벽부(56)과 이의 선단에서 개구부를 향해서 수평으로 뻗는 계합부(57)와 관련되어 있다.
또 오목홈(61)내에 이의 외측벽(62) 내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보드(1)의 요동시에 짐받이측 힌지 구성용 외방돌출부(44)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 원호상의 안내면(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5 실시예의 사이드보드(1)을 짐받이(11)에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 같으며, 예컨대 먼저 사이드보드(1)의 힌지 구성용 하방돌출부(4)와 연결부재(50)의 상부힌지구성부(51)을, 후자의 오목홈(59)내의 단부에서 전자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를 슬라이드 시키면서 삽입하여 결합하고, 다음에 이 연결부재(50)이 부착된 사이드보드(1)를 짐받이(11)의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에 연결부재(50)이 하부 힌지 구성부(52)의 오목홈(61)내의 단부에서 외방돌출부(44)의 계합부(44)의 계합부(45)를 삽입하면 된다.
이 제 5 실시예의 사이드보드(1)의 부착도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아서 초심자 일지라도 작업이 가능하다.
또 이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이드보드(1)측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 및 이와 연관되는 연결부재(50)의 상부 힌지 구성부(51)의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므로 제11도에 도시하는 기립상태에서 사이드보드(1)를 외측으로 쓰러뜨리면, 우선 최초에 사이드보드(1)은 연결부재(50)과 함께 요동하고, 연결부재(50)의 하부힌지구성부(52)의 하향개구 오목홈(61)에 들어가 있는 짐받이 측 힌지구성용 외방 돌출부(44)의 수평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45)가 그 외측단을 회전중심(A점)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결국 사이드보드(1)이 연결부재(50)과 함께 90°회전한다.
계속하여 사이드보드(1)을 넘어뜨리면 연결부재(50)은 이제 그 이상 회동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 1 발명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사이드보드(1)만이 연결부재(50)에 대하여 다시 90°회전하여 기립상태에서 180°전도되어 제12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이 제 6 실시예는 상기 제 5 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나, 상이한 점은 사이드보드(1)을 2단계로 원활히 열 수 있도록 연결부재(50)에 힌지 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초기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돌기(40)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연결부재(50)의 상부힌지구성부(51)의 오목홈(59)내에는 그것의 하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보드(1)의 요동시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룰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58)이 형성되어 있으나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58)의 오목홈 개구부 근처부분에 사이드 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와 계합하여 이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초기이동을 저지하는 돌기(40)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되꺽인 형태의 계합부(5)와 연결부재(50)의 상부힌지 구성부(51)의 상벽부(54) 하면과의 사이에 이 돌기(40)의 높이와 같거나 그것보다 큰 간극(5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재(50)의 오목홈(59)내에 있어서의 지지부분의 상면에 사이드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선형 돌출부(즉 로레트부)(42)가 연결부재(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사이드보드(1)측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 및 이와 계합하는 연결부재(50)의 상부힌지 구성부(51)의 구조, 및 연결부재(50)의 상부힌지 구성부(51)의 오목홈(59)내에 설치된 초기이동지지용 돌기(40), 및 이 돌기(40)의 높이와 같거나 그 보다 큰 간극(41)에 의한 작용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그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기립상태에서 사이드보드(1)을 외측으로 넘어뜨리면 최초에는 사이드보드(1)은 연결부재(51)와 함께 요동하고, 연결부재(50)의 하부힌지 구성부(52)의 하향개구 오목홈(61)에 들어가 있는 짐받이측 힌지극성용 외방돌출부(44)의 수평으로 되꺽인 형태의 계합부(45)가 마치 이의 외측단을 회전중심(A점)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하여 사이드보드(1)은 연결부재(50)과 함께 약 90°요동한다.
사이드보드(1)을 외측으로 쓰러뜨리는 최초의 단계에서는 사이드보드측 힌지 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가 연결부재(50)의 상부힌지 구성부(51)의 오목홈(59)내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40)과 계합하고, 또 다수의 선형돌출부(로레트부)(42)가 돌출부(4)의 선단부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 힌지 구성용 하방 돌출부(4)의 초기의 이동이 저지되고 따라서 사이드보드(1)이 연결부재와 함께 요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이드보드(1)와 연결부재(50)이 약 90°요동하여 수평 형상으로된 곳에서 사이드보드(1)을 약간 외측으로 수평으로 잡아당기면 사이드보드측 힌지 구성용 하방돌출부(4)가 이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의 선단부와 연결부재(50)의 상부힌지 구성부(51)의 상벽부(54)와의 사이의 간극(41)이 없어지도록 요동하고, 그 결과 사이드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와 돌기(40)과의 계합이 벗어지고 사이드보드(1)은 요동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연결부재(50)의 상부힌지 구성부(51)의 외향개구 오목홈(59)에 들어가 있는 사이드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가 이것의 상단을 회전 중심(B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사이드보드(1)이 연결부재(50)에 대하여 다시 약 90°요동하여 기립상태에서 180°로 전도되고, 사이드보드(1)은 2단계로 원활하게 바깥쪽으로 열린다.
제14도와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 7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갯수의 알루미늄 중공 압출형재로 제작된 패널(2)로 구성되는 사이드보드(1)은 트럭등의 차량(10)의 짐받이(11)의 측벽이, 더욱 상세하게는 짐받이를 부재(12)의 측벽부(13)에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제작된 연결부재(90)을 통하여 180°자유로이 요동하게 부착되어 있다.
사이드보드(1) 하단부의 내측연부는 짐받이(11) 위에 지지되고, 또 사이드보드(1) 하단부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76)을 지니는 힌지구성부(7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짐받이(11)의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제작된 틀부재(12)의 측벽부(13)에 사이드보드(1)의 하면에 대향하는 단부(89)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단부(89)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86)을 지니는 힌지구성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재(90)은 사이드보드(1) 하단부와 짐받이 틀부재(12)의 측벽부(13)의 단부(89)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이 연결부재(90)의 상면외측연부에 하향으로 되꺾인 계합부(95)를 지니는 횡단면이 갈고리형인 힌지 구성용 상방돌출부(91)이 설치되는 동시에 동연결부재(90)의 하면외측연부에 상향으로 되꺾인 계합부(97)을 지니는 횡단면이 감고리형인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9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90)의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5)가 사이드보드 측 오목홈(76)내에 끼워들어가 계합부(95)가 오목홈(76)의 하벽부(77)과 이의 선단에서 상방으로 수직으로 뻗는 계합부(65)에 계합하고 있다.
또 오목홈(76)내에는 이것의 상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보드(1)의 요동시에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78)이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연결부재(90)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92)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7)이 짐받이측 오목홈(86)내에 삽입되어, 계합부(97)이 오목홈(86)의 상벽부(87)과 이의 선단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뻗은 계합부(85)에 계합되어 있다.
또 오목홈(86)내에는 이음의 하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보그(1)의 요동시에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92)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8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보그(1)을 트럭등 차량(10)의 짐받이(11)에 부착하는데는 예컨대 먼저 사이드보그(1)의 상부힌지 구성부(74)와 연결부재(90)의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을 오목홈(76)내에 이홈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5)를 활주시키면서 삽입하여 계합시키고, 다음에 이 연결부재(90)부착 사이드보드(1)을 짐받이(11)의 하부힌지 구성부(84)에 계합시키면 된다. 이때 하부 힌지 구성부(84)의 오목홈(86)내에 이의 단부에서 연결부재(90)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92)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7)을 활주시키면서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사이드보드(1)의 부착은 사이드보드 구성패널(2)와 연결부재(90)은 짐받이(11)의 하부 힌지구성부(84)에 끼워 맞춰질 뿐이므로 초심자도 작업이 가능하며 사이드보드(1)의 회전기구의 부착을 감소화할 수 있고 사이드보드의 부착작업에 시간이 걸리지 않으며 또 부착정밀도를 확실하게 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보드(1)를 제14도에 도시한 기립상태에서 바깥쪽으로 쓰러뜨리면, 최초에 사이드보드(1)는 연결부재(90)와 함께 요동하고 짐받이(11)측의 힌지구성부(84)의 외향 개구 오목홈(86)에 들어가 있는 연결부재(90)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92)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7)가 그것의 상단을 회전중심(A점)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하여 결국 사이드보드(1)이 연결부재(90)과 함께 90°회전한다.
계속하여 사이드보드(1)을 넘어뜨리면, 연결부재(90)은 이제 그 이상 회동할 수 없기때문에 연결부재(90)에 대하여 이번에는 사이드보다(1)만이 요동하고, 사이드보드(1)의 상부 힌지구성부(74)의 외향개구 오목홈(76)에 들어가 있는 연결부재(90)측 힌지 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5)가 그것의 하단을 회전중심(B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결국 사이드보드(1)이 연결부재(90)에 대하여 다시 90°회전하고 기립상태에서 180°전도되어 제15도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7 실시예의 경우와 상이한 점은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제작된 연결 부재(90)이 폭이 넓게 제작되므로, 사이드보드(1)은 그 기립상태에서 짐받이(11)상에 지지되어 있지 않고, 연결부재(90)의 상면에 직접 얹혀져 있다는 점에 있다.
제17도~제19도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제 7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점은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제작된 연결부재(90)으로서 예컨대 4개로 분할된 직사각형의 분할연결부재(90a)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짐받이(11)의 틀부재(12) 및 분할연결부재(90a)의 형상은 상기 제 7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또 분할연결부재(90a)가 이른바 직사각형의 것이기 때문에 이들 분할연결부재(90a)의 전후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트럭등의 짐받이(11)의 전후 양단에는 지주(9)(9)가 세워져 있고, 사이드보드(1)은 1장 또는 적층된 소정 매수의 알루미늄 중공 압출형재제의 패널(2)와, 이들의 전후 양단부에 부착된 수평단면 대략 ㄷ형의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제작된 단부종재(102)(102)로 이루어진다. 각 단부종재(102)에는 수평 단면이 대략 ㄴ형인 시일재 부착부(103)이 일체로 설치되고 이의 내측에 시일재(105)가 삽입되어 있다. 사이드보드(1)의 전후 양단부종재(102)(102)와 전후양지주(79)(79)와의 사이에는 각기 수평단면이 대략 ㄷ형인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된 스페이서(106)(106)이 그 개구부를 외측으로 향해서 개재되어 있고, 각 ㄷ형 스페이서(106)의 일측벽은 지주(79)에 일치하게 고정되고, 그 스페이서의 타측벽의 선단이 단부종재(102)의 시일재부착부(103)의 내측에 삽입되어 시일재(105)에 서로 맞물려 있다.
그리고, 사이드보드 패널(2)의 전후양단부에 수평단면 대략 ㄷ형의 단부종재(102)(102)가 부착되어 있는 결과 패널(2)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있는 분할연결부재(90a)의 전후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보드 패널(2)하단부에 설치된 힌지구성부(74)에 연결부재(90)의 횡단면이 갈고리형인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이 계합되어 있기때문에 사이드보드 패널(2)의 전후양단부에 수평단면으로 대략 ㄷ형의 단부 종재(102)(102)가 부착되면 이들 전후단부종재(102)(102)의 각각 하단부가 전후양외측의 분할연결부재(90a)(90a)의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91)에 닿고, 결국 모든 분할연결부재(90a)의 전후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스페이서(106)(106)의 하측에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된 어긋남 방지용 스토퍼(107)(107)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어긋남 방지용 스토퍼(107)은 짐받이틀부재(12)의 측벽부(13)에 설치된 단부(89)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평벽부(107a)와 이 수평벽부(117a)의 내측연부에서 상방으로 뻗고 또 짐받이틀부재(12)의 측벽부(13)에 나사(108)에 의하여 고정된 상부수직벽부(107b)와, 상기 수평벽부(107a)의 외측 연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뻗고 또 단부(89) 하측의 외향 개구 오목홈(86)의 개구부 바닥벽상에 지지된 횡단면이 ㄴ형인 다리부(107c)로 구성되고 있다.
사이드보드(1)의 전후양단부에 있어서 이들의 어긋남 방지용 스토퍼(107)(107)이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결과, 전후 양단 외측의 분할연결부재(90a)(90a)가 이들 스토퍼(107)(107)에 닿고 이것에 의해서도 모든 분할연결부재(90)의 전후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제 9 실시예에 의하면 분할연결부재(90a)의 부착작업이 짐받이(11)의 틀부재(12)에 전장에 걸쳐서 1개의 연결부재(90)를 부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다. 그리고 예컨대 짐받이(11)의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제작된 틀부재(12)에 약간의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분할된 개개의 직사각형의 연결부재(90a)가 짐받이틀부재(12)의 변형된 형상에 잘 추종하고, 사이드보드(1)의 개폐가 원활하다.
제20도~제22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이 제10실시예는 상기 제 7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같으나, 상이한 점은 사이드보드(1)의 2단계로 원활하게 열 수 있도록 사이드보드(1) 하단의 힌지구서부(74)에 연결부재(90)측의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초기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돌기(110)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즉 상기 사이드보드(1) 하단의 힌지구성부(74)의 오목홈(76)내에 있어서의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78)의 오목홈 개구부 근처부분에 연결부재(90)측의 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선단부와 계합부하여 이 돌출부(91)의 초기이동을 저지하는 돌기(110)이 설치되는 동안에, 그 힌지 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5)와 사이드보드(1)의 힌지구성부(74)의 하벽부(77)상면과의 사이에 이 돌기(110)의 높이와 동일하든가 그것보다 큰 간격(111)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보드(1)의 기립상태에서는, 연결부재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선단부는 사이드보드(1)의 힌지구성부(74)의 오목홈(76)내에서는 횡단면이 원호상이 안내면(78)의 오목홈 개구부 근처부분에 아래에서 맞닿아 있고, 또 이 오목홈(76)내에서 맞닿은 부분의 하면에 연결부재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선단부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선형돌출부(즉 로테트부)(112)가 사이드보드(78)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기립상태에서 사이드보드(1)의 외측으로 쓰러뜨리면 먼저 사이드보드(1)은 연결부재(90)과 함께 요동을 하고 짐받이 축 힌지구성부(84)의 외향개구 오목홈(86)에 들어가 있는 연결부재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92)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7)이 이것의 상단을 회전중심(A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하여 사이드 보드(1)의 연결부재(90)과 함께 약 90°요동한다(제11도 참조).
사이드보드(1)는 그것을 외측으로 쓰러뜨리는 최초의 단계에서는 연결부재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선단부가 사이드보드(1)의 힌지구성부(74)의 오목홈(75)내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110)과 계합하고 또 다수의 선형돌출부(로테르부)(112)가 돌출부(91)의 선단부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초기의 이동이 저지되고, 따라서 사이드보드(1)이 연결부재(90)과 함께 요동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연결부재(90)의 회동에 의하여 연결부재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92)의 선단부는 짐받이(11)의 힌지구성부(74)의 오목홈(86)내의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88)에 따라서 안내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하여 사이드보드(1)과 연결부재(90)이 약 90°요동하여 수평으로된 곳에서(제21도 참조) 계속하여 사이드보드(1)을 외측으로 쓰러뜨리면 연결부재(90)은 이제 그 이상 회동할 수 없으므로 연결부재(90)에 대하여 이번에는 사이드보드(1)만이 요동한다.
그것은 사이드보드(1)과 연결부재(90)이 거의 수평상태이기 때문에 사이드보드(1)을 약간 외측으로 수평으로 잡아당기면 사이드보드(1)이 힌지구성부(74)의 하벽부(77)과, 연결부재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5)의 선단부와의 사이의 간극(111)이 없어지도록 이동하며, 그 결과 연결부재측 힌지 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선단부와 돌기(110)과의 계합상태에서 벗어나서 사이드보드(1)은 요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문에, 사이드보드(1)의 힌지구성부(74)의 외향 개구 오목홈(76)에 들어가 있는 연결부재 힌지 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5)가 그것의 하단을 회전중심(B점)으로 하여 사이드보드(1)이 연결부재(90)에 대하여 다시 90°요동하여 기립상태에서 180°전도되어 제22도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또 이때의 사이드보드(1)의 요동에 의하여 연결부재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선단부는 사이드보드(1)의 오목홈(76)내의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78)에 따라서 안내되는 것이다.

Claims (9)

  1. 사이드보드(1)이 짐받이(11)의 측벽(13)에 연결부재(20)을 통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트럭 등의 차량용의 사이드보드(1) 하단부의 외측연부 선단에 상향으로 되꺾인 계합부(5)를 지니는 횡단면이 갈고리 모양인 힌지 구성용 하방돌출부(4)가 설치되고, 짐받이(11)의 측벽(13)에 단부(16)이 설치되어서 상기 단부(16)의 외측연부에 선단에 하향으로 되꺾인 계합부(15)를 지니는 횡단면인 갈고리형인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가 사이드보드측 힌지 구성용 하방돌출부(4)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20)이 사이드보드(1) 하면과 짐받이 측벽(13)의 단부(16)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 연결부재(20)의 상부에 사이드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가 삽입되고 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29)를 지니는 상부힌지 구성부(21)가 설치되고, 사이드보드측 힌지 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계합부(5)가 오목홈(29)의 내측에서 상부 힌지 구성부(21)이 상벽부(24)와 이것의 선단에서 개구부를 행해서 수직으로 뻗는 계합부(25)에 계합되고, 오목홈(29) 안에 이홈의 하면에서 개구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보드(1)의 요동시에 사이드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28)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의 하부에 짐받이 구성용 상방돌출부(14)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15)가 삽입되고 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31)을 지니는 하부힌지 구성부(22)가 설치되며, 짐받이측 힌지 구성용 상방돌출부(14)의 계합부(15)가 오목홈(31)의 내측에서 하부힌지 구성부(22)의 하벽부(26)과 이의 선단에서 개구부를 향해서 수직으로 뻗은 계합부(27)에 계합되고, 오목홈(31)내에 이홈의 상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보드(1)의 요동시에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14)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30)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보드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20)의 상부 힌지구성부(21)의 오목홈(29)내에 있어서의 횡단면 원호상 안내면(28)의 오목홈 개구부 근처 부분에 사이드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와 계합하여 이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초기이동을 저지하는 돌기(40)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힌지 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꺾인 형태의 계합부(5)와 연결부재(20)의 상부힌지 구성부(21)의 상벽부(24) 하면과의 사이에 이 돌기(40)의 높이와 같거나 그것보다 큰 간극(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보드 부착장치.
  3. 사이드보드(1)이 짐받이(11)의 측벽(13)에 연결부재(50)을 통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트럭등의 차량용의 사이드보드(1)의 하단부의 외측연부에 선단에 상향으로 되꺾은 계합부(5)를 지니는 횡단면이 갈고리형인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가 설치되고, 짐받이(11)의 측벽(13)의 소요높이에 선단에 짐받이(11)측에 수평으로 되꺾인 계합부(45)를 지니는 횡단면이 갈고리형인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가 사이드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50)이 사이드보드(1) 하면과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50)의 상부에 사이드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가 삽입되고 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59)를 지니는 상부 힌지구성부(51)이 설치되고, 사이드보드측 힌지 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계합부(5)가 오목홈(59)의 내측에서 상부 힌지구성부(51)의 상벽부(54)와 이의 선단에서 개구부를 향해서 수직 하방으로 뻗는 계합부(55)에 계합되며, 오목홈(59)내의 하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보드(1)의 요동시에 사이드보드측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58)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50)의 하부에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의 수평으로 꺾인 형태의 계합부(45)가 삽입되고 또 하향으로 개구한 오목홈(61)을 지니는 하부힌지 구성부(52)가 설치되며,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의 계합부(45)가 오목홈(61)의 내측에서 하부힌지 구성부(52)의 짐받이(11)측의 측벽부(56)과 이 측벽부의 선단에서 개구부를 향해서 수평으로 뻗은 계합부(57)에 계합되고, 오목홈(61)내에, 이 홈의 외측벽(62) 내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보드(1)의 요동시에 짐받이측 힌지구성용 외방돌출부(44)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보드부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50)의 상부힌지 구성부(51)의 오목홈(59)내에서 횡단면이 원호상이 안내면(58)의 오목홈 개구부 근처부분에 사이드보드 측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선단부와 계합하여 이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초기 이동을 저지하는 돌기(40)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4)의 상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5)와 연결부재(50)의 상부힌지구성부(51)의 상벽부(54)하면과의 사이에 이 돌기(40)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큰 간극(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보드 부착장치.
  5. 사이드보드(1)이 짐받이(11)의 측벽에 연결부재(90)을 통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트럭등의 차량용의 사이드보드(1)하단부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76)을 지니는 힌지구성부(74)가 설치되고, 짐받이(11)의 측벽(13)에 사이드보드(1)의 하면에 대향하는 단부(89)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단부(89)에 외향으로 개구한 오목홈(86)을 지니는 힌지구성부(84)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90)이 사이드보드(1) 하단부와 짐받이 측벽(83)의 단부(89)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이 연결부재(90)의 상면 외측연부에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5)를 지니는 횡단면이 갈고리형인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이 설치되는 동시에 동연결부재(90)의 하면외측연부에 상향으로 되꺾인 계합부(97)를 지니는 횡단면이 갈고리형인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92)가 설치되고, 연결부재(90)의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하향으로 되꺾인 형태의 계합부(95)가 사이드보드측 오목홈(76)내에 삽입되어 계합부(95)가 오목홈(76)의 하벽부(77)와 이 하벽부의 선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뻗은 계합부(75)에 계합되는 동시에 이 오목홈(76)내의 상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보드(1)의 요동시에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78)이 형성되고, 연결부재(90)의 힌지구성용 하방돌출부(92)의 상향으로 되꺽인 형태의 계합부(97)이 짐받이측 오목홈(86)내에 삽입되어 계합부(97)이 오목홈(86)의 상벽부(87)과 상부벽부의 선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뻗는 계합부(85)에 계합되는 동시에 이 오목홈(86)내의 하면에서 개구부 대향면에 걸쳐서 사이드보드(1)의 요동시에 힌지 구성용 하방돌출부(92)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횡단면이 원호상인 안내면(8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보드 부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이드보드(1)의 힌지구성부(74)의 오목홈(76)내에 있어서의 횡단면이 원호상 안내면 단부와 계합하고, 이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초기이동을 저지하는 돌기(110)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힌지구성용 상방돌출부(91)의 하향으로 외꺾인 형태의 계합부(95)와, 사이드보드(1)의 힌지구성부(74)의 하벽부(77) 상면과의 사이에 이 돌기(110)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큰 간극(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보드 부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20)(50)(90)이 복수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보드 부착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20)(50)(90)이 복수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보드 부착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20)(50)(90)이 복수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보드 부착장치.
KR1019920015245A 1992-03-11 1992-08-25 차량용 사이드 보드(Side Board) 부착장치 KR960005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052851A JPH0565082A (ja) 1991-04-26 1992-03-11 車両におけるアオリ取付装置
JP92-52851 1992-03-11
JP92-52850 1992-03-11
JP4052850A JPH0813671B2 (ja) 1991-04-26 1992-03-11 車両におけるアオリ取付装置
JP4083968A JPH05278642A (ja) 1992-04-06 1992-04-06 車両におけるアオリ取付装置
JP92-83965 1992-04-06
JP92-83968 1992-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502A KR930019502A (ko) 1993-10-18
KR960005867B1 true KR960005867B1 (ko) 1996-05-03

Family

ID=2729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245A KR960005867B1 (ko) 1992-03-11 1992-08-25 차량용 사이드 보드(Side Board)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036Y1 (ko) * 2018-05-15 2019-04-22 (주)대덕아이엠티 2단식 사이드 게이트 구조를 갖는 화물차 적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502A (ko) 199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45426A (ja) 車両のセツトル−フ取付構造
CN211184587U (zh) 一种拼装式数据机柜的结构
KR960005867B1 (ko) 차량용 사이드 보드(Side Board) 부착장치
JPH0828546A (ja) 回転ヒンジ
CN216970339U (zh) 一种折叠箱
JP3218343B2 (ja) 車両荷台における幌シート取付装置
JP2602767B2 (ja) ウイング車
JPS6117175Y2 (ko)
JPH07215692A (ja) 産業車両のバッテリ収納構造
JPH0565081A (ja) 車両におけるアオリ取付装置
JPS6350362Y2 (ko)
JP2838466B2 (ja) 車両におけるアオリ取付装置
KR100388170B1 (ko) 모울드 삽입식 플랩 고정구조
JPH06255371A (ja) ウイング車
JPS5931898Y2 (ja) 自動扉の扉停止装置
JPS6117176Y2 (ko)
KR200144933Y1 (ko) 문틀의 조립 구조
JPH05278642A (ja) 車両におけるアオリ取付装置
JP2609984B2 (ja) 車両荷台のアオリ・パネル支持用中柱の取付装置
JP3136344B2 (ja) ヒンジ
JPH0826147A (ja) トラック等の車両におけるアオリ取付装置
JP4478261B2 (ja) 建設機械のスライドドア機構
KR0137368Y1 (ko) 전자제품의 도어
KR890006628Y1 (ko)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커버 장착장치
JP2002242388A (ja) 樋支持具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