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777B1 - 가스탕비기 - Google Patents

가스탕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777B1
KR960005777B1 KR1019920013432A KR920013432A KR960005777B1 KR 960005777 B1 KR960005777 B1 KR 960005777B1 KR 1019920013432 A KR1019920013432 A KR 1019920013432A KR 920013432 A KR920013432 A KR 920013432A KR 960005777 B1 KR960005777 B1 KR 96000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water
valve
hot water
safet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634A (ko
Inventor
고오시 안도오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탕비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가스탕비기의 외관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가스탕비기의 구조설명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가스탕비기 지수밸브 부근의 요부확대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가스탕비기에 이용되는 연소제어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가스탕비기의 블럭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연소제어기의 폐변제어회로가 송출하는 폐변신호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교환수로 2 : 지수밸브
3 : 가스버너 4 : 가스관로
5 : 수류스위치 6 : 전지
7 : 조작스위치 8 : 연소제어기
11 : 급수관 12 : 열교환기
13 : 출탕관 21 : 모터
41 : 전자안전밸브 A : 가스탕비기
g : 연료가스
본 발명은 모터 구동식 지수밸브를 채용한 전지식 가스탕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급수관의 열교환기 및 출탕관을 연설해서 이루어진 열교환수로와, 이 열교환수로내에 배설되는 모터 구동식 지수밸브, 열교환수로내를 물이 흐르면 접점이 ON이 되는 수류스위치, 열교환기를 가열하는 가스버너, 전자안전밸브를 배설해서 상기 가스버너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로, 급탕의 개시라든지 정지의 지시를 행하는 조작스위치, 그 조작스위치의 지시에 따라 모터라든지 전자안전밸브를 통전하는 연소제어기 및, 전지를 구비한 가스탕비기가 알려져 있다.
이 가스탕비기에서는 조작스위치가 급탕의 개시를 지시하면, 모터가 작동해서 지수밸브를 개변(열림)상태를 하므로써 열교환수로내를 물이 흘러 수류스위치가 ON이 되는 한편, 연소제어기는 전자안전밸브를 개변함과 함께 가스버너를 연소시키게 되므로 출탕관으로부터 탕(온수)이 토출된다.
또, 조작스위치가 급탕의 정지를 지시하면, 모터가 작동해서 지수밸브를 폐변(닫힘)상태로 하므로써 열교환수로내를 물이 흐르지 않게 되어 수류스위치가 OFF되고, 연소제어기는 전자안전밸브를 닫음과 동시에 가스버너를 소화시키므로 온수가 멎는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탕비기에서는 급탕중에 모터가 작동불능한 전압(예를 들면 1.9V 미만)으로 전지의 기전력이 저하하면, 조작스위치가 급탕의 정지를 지시해도 모터가 작동불능으로 되어 지수밸브는 열림상태를 유지하고, 수류스위치도 온상태를 유지하며, 전자안전밸브가 열림상태를 유지하므로써 연소는 계속되어 온수의 토출이 계속된다고 하는 불리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모터 구동식 지수밸브를 채용한 전지식 가스탕비기에서 급탕중에 전지의 기전력이 저하되어도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확실하게 전자안전밸브가 폐변해서(닫아져서) 가스버너를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탕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관과 열교환기 및 출탕관을 연설해서 된 열교환수로와, 상기 열교환수로내에 배설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지수밸브,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수류를 검지하는 수류스위치, 상기 열교환기를 가열하는 가스버너, 상기 가스버너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로, 상기 가스관로중에 배설되어 통전에 의해 밸브가 열리는 전자안전밸브, 급탕의 개시와 정지의 지시를 행하는 조작스위치, 상기 조작스위치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모터라든지 상기 전자안전밸브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연소제어기 및, 상기모터와 전자안전밸브 및 연소제어기의 작동용 전력을 축적한 전지를 구비한 가스탕비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가 급탕의 개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연소제어기는 상기 수류스위치에 의한 수류 검지에 따라 상기 전자안전밸브로 통전시키고, 급탕중에 상기 조작스위치가 급탕의 정지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연소제어기는 상기 수류스위치에 의한 수류검지의 여하에 관계없이 상기 전자안전밸브로의 통전을 정지시키는 가스탕비기가 제공된다.
[급탕 개시시의 작동 : 전지의 전압 정상]
사용자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해서 조작스위치가 급탕의 개시를 지시하면, 연소제어기는 모터를 통전시켜 지수밸브를 연다. 이어, 열교환수로에 물이 흐르므로 수류스위치는 열교환수로를 흐르는 물을 검지하게 되고, 연소제어기는 수류스위치의 수류 검지를 기초로 전자안전밸브를 통전시키며, 가스버너에 연소를 지시한다. 그에 따라 가스버너는 연소를 개시해서 열교환기를 가열한다. 이어, 물이 열교환기를 통과하면 온수로 되어 출탕관으로부터 토출된다.
[급탕 정지시의 작동 : 전지의 전압 정상]
급탕중에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해서 급탕정지를 지시하면, 연소제어기는 전자안전밸브로의 통전을 정지하므로써 가스버너로의 가스공급이 중단되고 가스버너는 소화된다. 또, 연소제어기는 모터를 통전하므로 지수밸브가 닫아져서 온수의 토출이 멎는다.
[급탕중에 모터가 작동불능한 전압으로 전지의 기전력이 저하된 경우]
급탕중에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해서 급탕정지를 지시하면, 연소제어기는 전자안전밸브로의 통전을 정지하므로써 가스버너로의 가스공급이 중단되고 가스버너는 소화한다. 단, 모터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지수밸브는 열림상태를 유지하여 출탕관으로부터 냉수가 토출된다.
급탕중에 모터가 작동 불능한 전압으로 전지의 기전력이 저하해도 가스버너의 연소를 확실하게 정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제6도를 기초로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탕비기(A)는 급수관(11), 열교환기(12) 및 출탕관(13)을 연설해서 된 열교환수로(1)와, 모터(21)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지수밸브(2), 열교환기(12)를 가열하는 가스버너(3), 가스버너(3)로 연료가스(g)를 공급하는 가스관로(4), 열교환수로(1)내의 물이 흐르면 접점이 닫혀지는 수류스위치(5), 가스관로(4)에 배설되는 전자안전밸브(41), 전지(6), 조작스위치(7) 및, 상기 전자안전밸브(41)라든지 모터(21) 등으로 통전을 행하는 연소제어기(8)를 구비한다. 또한, 제1도에 나타내는 (9)는 전지전압 확인용 LED로서 스파크중에 전지(6)의 전압이 2.1V 이상인 경우에 점등함과 동시에 급탕을 정지할 때 폐변신호 h가 송출되어 소정시간이 경과해도 위치스위치(25; 제3도에서 후술)가 다시 열리지 않는(지수밸브(2)의 닫힘을 검지하지 않음)경우, 점멸해서 전지(6)의 교환을 알린다.
급수관(11)은 최상류에 지수밸브(2)를 배설하고, 그 하류에 수방응동부재로서도 작용하는 수가버너밸브(14)를 배설하며, 수가버너밸브(14)의 하류에 수량조절밸브(112)를 배설하고 있다.
출탕관(13)은 금속제의 플랙시블관에 수지관을 피복해서 구성되고, 선단에 샤워헤드(131)를 감착하고 있다. 이 샤워헤드(131)에는 수류전환기(132)가 부착되어 샤워 또는 스트레이트 형태의 수류(133)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수밸브(2)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핀들(22)이 눌리어지게 되면 파이롯트밸브(23)가 작동해서 개방되는 밸브이다.
모터(21)가 회전구동하는 캠(24)에는 절결(241)(242)이 형성되고, 얇은부분(243)(절결 242측), 두꺼운부분(244)(절결 241측)을 가지며, 두꺼운부분(244)이 스핀들(22)을 누르는 단면원형의 캠(24)을 구동축에 고착하고 있다. 또, (25)는 위치스위치로서 모터(21)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 모양의 가동편(251)이 캠(24)의 절결(241)(242)에 끼이면 전기 접점이 열린다.
가스관로(4)는 상류측에서부터 전자안전밸브(41), 수가버너밸브(14)에 연결된 수압응동밸브(42), 가스가버너밸브(43) 및 가스량조절밸브(44)를 배설하고 있다. 또한, 가스량조절밸브(44)는 수량조절밸브(112)와 함께 탕온설정레바(L)에 연결되고, 탕온설정레바(L)의 슬라이드량에 대응한 가스량, 수량이 가스버너(3), 열교환기(12)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탕온설정레바(L)을 좌단으로 한 경우에는 냉·온수 전환스위치(S)가 열림상태가 되어 가스버너(3)는 점화되지 않고, 샤워헤드(131)로부터 냉수가 토출된다.
수류스위치(5)는 수가버너밸브(14) 및 수압응동밸브(42)에 연결되고, 수가버너밸브(14)가 연교환수로(1)내의 유수를 검지하면 전지접점이 도통한다.
전지(6)는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형 1.5V의 망간 건전기를 2개 직렬로 연결한 것이고, 정상시에는 3V의 기전력을 낸다.
조작스위치(7)는 가벼운 누름조작에 의해 접점이 도통되는 상개형의 누름버튼 스위치이다.
제5도에 나타내는 연소제어기(8)는 F/F등으로 구성한 지수밸브구동회로(81)와, CR,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된 폐변제어회로(82), 후술하는 안전신호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전자안전밸브(41)를 개방상태로 유지함과 더불어 폐변신호 h가 입력되면 안전신호가 유지되고 있어도 바로 전자안전밸브(41)를 폐변시키는 전자안전밸브구동회로(38), 열전대(841) 및 플레임로드(842)에 의해 가스버너(3)의 연소를 감시해서 정상연소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전자안전밸브구동회로(83)로 안전신호를 송출하는 연소검출회로(84), 수류스위치(5)와 냉·온수 전환스위치(S)가 모드 닫힘 상태가 되면 작동하고, 소정 시간동안 스파커(851)에 통전해서 가스버너(3)를 점화하는 점화제어회로(85)를 구비한다.
지수밸브구동회로(81)에는 조작스위치(7) 및 위치스위치(25)의 각 저항측 단자로부터 송출되는 각 전기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전기신호에 따라서 모터(21)로 통전(단, 모터(21)의 구동에는 전지 전압이 1.9V 이상 필요)한다.
이하, 가스탕비기(A)의 작동(전지전압이 정상시)을 제4도의 플로우차트와 함께 설명한다.
가변운 누름조작을 조작스위치(7)에 실시하여 스텝 s1)에서 YES) 조작스위치(7)의 접점을 닫으면 지수밸브구동회로(81)의 입력단자(81a)에 하이신호가 입력되어 모터(21)는 구동한다(스텝 s2). 또한, 이때 모터(21)를 구동시켜도 수류스위치(5)가 늦게 닫히므로 지수밸브구동회로(81)가 구동신호 d를 송출해도 폐변제어회로(82)는 작동하는 일이 없고, 전자안전밸브구동회로(83)는 폐변신호 h를 송출하지 않는다. 모터(21)의 구동에 따라서 캠(24)이 회전해서 캠(24)의 절결(241)이 위치스위치(25)의 가동편(251)의 누름을 해제하면 위치스위치(25)의 접점이 열리고(스텝 s3에서 YES), 지수밸브구동회로(81)의 입력단자(81b)에 로우신호가 입력되어 모터(21)는 정지한다(스텝 s4).
이 상태에서는 스핀들(22)이 캠(24)에 압압되어 지수밸브(2)는 개변상태가 되고, 냉수가 샤워헤드(131)로부터 토출된다. 수류스위치(5)가 수류에 의해 닫혀서(스텝 s5에서 YES),냉·온수전환스위치(S)가 닫힘상태라면 전자안전밸브구동회로(83)와 연소검출회로(84) 및 점화제어회로(85)에 전지(6)의 기전력이 가해지고, 스파커(851)가 소정시간 작동함과 더불어(스텝 s6), 전자안전밸브(41)가 통전에 의해 개변해서 연소가 개시되어(스텝s7) 출탕관(13)으로부터 온수가 토출된다.
또, 급탕중에 가벼운 누름조작을 조작스위치(7)에 실시하여(스텝 s8에서 YES), 조작스위치(7)의 접점을 닫으면, 지수밸브구동회로(81)의 입력단자(81a)에 하이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수류스위치(5) 및 냉·온수전환스위치(S)가 닫힘상태에 있으므로 폐변제어회로(82)는 지수밸브구동회로(81)가 송출하는 구동신호 d를 받아서 폐변신호 h를 송출한다(제6도 참조). 전자안전밸브구동회로(83)는 폐변신호 h가 입력되면 수류스위치(5)의 접점이 열림 상태가 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전자안전밸브(41)로의 통전을 정지해서(스텝 s9) 폐변하고 가스버너(3)로의 가스공급을 중단하고, 가스버너(3)는 소화한다. 동시에, 지수밸브구동회로(81)는 모터(21)로 통전한다(스텝 s10).
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캠(24)이 회전해서 캠(24)의 절결(242)이 위치스위치(25)의 가동편(251)의 누름을 해제하면 위치스위치(25)의 접점이 열리고(스텝 s11에서 YES), 지수밸브구동회로(81)의 입력단자(81b)에 로우신호가 입력되어 모터(21)는 정지한다(스텝 s12).
다음에, 장시간에 사용에 의해 전지(6)가 수명이 다하기 직전이 된 경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급탕중 전지(6)의 기전력이 1.9V 미만으로 저하하면 조작스위치(7)를 누름 조작해도 모터(21)가 작동하지 않게 되고, 지수밸브(2)는 개변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지수밸브구동회로(81)는 구동신호 d를 송출하고, 폐변제어회호(82)는 구동신호 d를 받아서 폐변신호 h를 타이머에서 설정된 소정시간(단시간)만큼 송출한다. 그리고, 전자안전밸브구동회로(83)는 폐변신호 h를 받으면 바로 전자안전밸브(41)로의 통전을 정지하므로, 가스버너(3)로의 가스공급은 중단되고 가스버너(3)는 소화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가스탕비기(A)의 이점을 설명한다.
(1) 가스탕비기(A)의 사용상태(온수 토출중)에 있어서, 전지(6)의 기전력이 모터(21)가 작동 불린이 되는 전압으로 저하해도 조작스위치(7)를 누름 조작하면 전자안전밸브(41)가 닫히고, 가스버너(3)가 연소 정지하므로 안전하다.
(2) 전지전압확인용 LED(9)가 스파크중에 점등하지 않게 된 경우는 전지(6)의 수명이 다하기 직전임을 알 수 있다. 또, 급탕을 정지할 때 냉수가 그치지 않을 경우는 전지전압확인용 LED(9)가 점멸하므로, 전지(6)를 교환할 필요가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급수관(11)과 열교환기(12) 및 출탕관(13)을 연설해서 된 열교환수로(1)와, 상기 열교환수로(1)내에 배설되어 모터(21)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지수밸브(2), 상기 열교환기(12)를 통과하는 수류를 검지하는 수류스위치(5), 상기 열교환기(12)를 가열하는 가스버너(3), 상기 가스버너(3)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로(4), 상기 가스관로(4)중에 배설되어 통전에 의해 밸브가 열리는 전자안전밸브(41), 급탕의 개시와 정지의 지시를 행하는 조작스위치(7), 상기 조작스위치(7)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모터(21)라든지 상기 전자안전밸브(41)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연소제어기(8) 및, 상기 모터(21)와 전자안전밸브(41) 및 연소제어기(8)의 작동용 전력을 축적한 전지(6)를 구비한 가스탕비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7)가 급탕의 개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연소제어기(8)는 상기 수류스위치(5)에 의한 수류 검지에 따라 상기 전자안전밸브(41)로 통전시키고, 급탕중에 상기 조작스위치(7)가 급탕의 정지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연소제어기(8)는 상기 수류스위치(5)에 의한 수류검지의 여하에 관계없이 상기 전자안전밸브(41)로의 통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탕비기.
KR1019920013432A 1991-12-24 1992-07-27 가스탕비기 KR960005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40701A JPH05172399A (ja) 1991-12-24 1991-12-24 ガス湯沸器
JP91-340701 1991-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634A KR930013634A (ko) 1993-07-22
KR960005777B1 true KR960005777B1 (ko) 1996-05-01

Family

ID=1833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432A KR960005777B1 (ko) 1991-12-24 1992-07-27 가스탕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72399A (ko)
KR (1) KR960005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545A (ja) * 1994-03-04 1995-09-19 Rinnai Corp マイコン使用機器
ES2171137B1 (es) * 2000-12-05 2003-12-16 Puzol Ind S A Dispositivo de control y funcionamiento de calentadores de gas a baja tens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0843B2 (ja) * 1989-03-31 1999-09-20 株式会社ハーマン 給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72399A (ja) 1993-07-09
KR930013634A (ko) 199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777B1 (ko) 가스탕비기
KR950012160B1 (ko) 가스탕비기
JP4181674B2 (ja) 燃焼装置
JP2525100B2 (ja) 湯沸器
JP3073423B2 (ja) 燃焼装置
US4102630A (en) Burner control system
KR100254099B1 (ko) 연소 제어회로
JP2765802B2 (ja) 燃焼装置
JPH06249432A (ja) 給湯器
KR20020047842A (ko)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203114B2 (ja) 燃焼器具における作動停止装置
KR950003273B1 (ko) 탕비기의 제어장치
JP2580097B2 (ja) 給湯器
JPH05133604A (ja) 給湯器
KR950005240B1 (ko) 연소기기의 점화제어장치
JP3912912B2 (ja) 燃焼制御回路
JPS5896942A (ja) 瞬間湯沸器の制御装置
KR960004845B1 (ko) 유체공급장치
JP3320910B2 (ja) 不完全燃焼防止装置付き開放型ガス燃焼機器
JP2525100C (ko)
JPH0828866A (ja) 不完全燃焼防止装置付き開放型ガス燃焼機器
JPH08312941A (ja) ガス湯沸器
JPH068698B2 (ja) 給湯器
JPH0646165U (ja) 水流検知スイッチ付き湯沸器
JP2001248835A (ja) 開放式小型湯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