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842A -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842A
KR20020047842A KR1020000076463A KR20000076463A KR20020047842A KR 20020047842 A KR20020047842 A KR 20020047842A KR 1020000076463 A KR1020000076463 A KR 1020000076463A KR 20000076463 A KR20000076463 A KR 20000076463A KR 20020047842 A KR20020047842 A KR 20020047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heating
hot water
unit
temperature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2856B1 (ko
Inventor
이황의
김석구
봉근욱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성모
Priority to KR10-2000-0076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85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23N5/2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6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regulation in func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domestic hot 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의 리모콘(2)내에는 예열기능 선택부(201)와, 신호전달부(202),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203), 예열온도 설정부(204), 발진기(205), 타이머(206), 표시부 출력부(207), 표시부 제어회로부(208), 표시부(209) 및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210)를 구비시키고, 제어부(1)내에는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01)와, 리모콘 정보 송수신부(102),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 예열기능 이행부(104), 연소,소화 지시부(105), 부하제어군(106), 출력부하 제어회로군(107), 부하군(108), 센서입력 부하군(109), 입력부하군회로(110) 및 입력부하군 정보인식부(111)를 구비시켜, 예열설정키가 작동되면 온수꼭지의 작동 유무에 무관하게 중간순환수의 온도를 이미 설정해 놓아 있는 온수예열 설정온도에 이를 때 까지 예열작동을 실시토록 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 온수꼭지를 열어 온수를 사용할때 설정온수의 출탕시간을 단축시켜 설정온도 이전 까지의 차가운 물을 버리는 낭비를 방지하고, 출탕시간 단축에 따른 순간온수의 출탕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eheat of biler}
본 발명은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온수를 사용하기 직전에 사용자가 예열기능을 통하여 사전에 보일러의 온수회로부내에 저장되어있는 직수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수온도까지 예열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 온수꼭지를 열어 온수를 사용할때 설정 온수의 출탕시간을 단축시켜 설정온도 이전 까지의 차가운 물을 버리는 낭비를 방지하고, 출탕시간 단축에 따른 순간온수의 출탕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종래의 보일러는 온수예열기능 자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온수사용시 리모콘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선택 스위치를 ON시킨 후 온수(수도)꼭지를 열게되는 순간부터 온수 운전이 작동되어 온수의 출탕온도 상승속도가 더디어, 적정 설정온도까지 온수온도가 상승할 때 까지 온수 사용을 사용자는 기다려야만 되고, 이에 따라 직수의 낭비는 물론 순간식 온수의 출탕시간 지연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리모콘 또는 본체 기구 조작부에 설치된 예열설정키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온수꼭지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보일러내에 저장된 온수의 출탕 대기 직수의 온도를 이미 설정되어진 온수설정온도에 맞추어 안전하게 예열되도록 하여 온수의 출탕속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일러 겸용 순간온수기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온수작동시 온수가 적정온도까지 상승하기 이전의 직수 배출량을 줄여 물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조작버튼으로 간편한 설정이 가능하고 온수설정온도 이내에서 안전하게 작동하여 제한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예열기능이 해제되거나 사용자가 예열은 다시 취소할 수 있는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리모콘 또는 본체 기구 조작부에는 예열설정키를 설치하고 리모콘내 및 본체내 제어회로부에는 상기 예열설정키의 조작이 있을시 이를 알리는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와 예열기능 이행부 등을 부가시켜 예열설정키가 작동되면 온수꼭지의 작동 유무에 무관하게 중간순환수의 온도를 이미 설정해 놓아 있는 온수예열 설정온도에 이를 때 까지 예열작동을 실시토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온수의 출탕온도 상승속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보일러 겸용 순간온수기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온수작동시 온수가 적정온도까지 상승하기 이전의 직수 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 불필요한 물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보일러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어부2 : 리모콘
3 : 케이싱4 : 연소기
15 : 2차 열교환기36 : 온도센서
101,210 :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02 : 리모콘 정보 송수신부
103 : 리모콘 정보 이행부104 : 예열기능 이행부
105 : 연소,소화 지시부106 : 부하제어군
107 : 출력부하 제어회로군108 : 부하군
109 : 센서입력 부하군110 : 입력부하군회로
111 : 입력부하군 정보인식부 201 : 예열기능 선택부
202 : 신호전달부203 :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
204 : 예열온도 설정부205 : 발진기
206 : 타이머207 : 표시부 출력부
208 : 표시부 제어회로부209 : 표시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일러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리모콘(2)이 외부에 연결된 케이싱(3)안에 설치되어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1)와; 난방수 및 온수를 데우기 위해 가스 등과 같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기(4)와; 난방순환수를 저장하는 물탱크(5)와; 온수와 냉수의 순환을 위한 서로 다른 경로를 지니고 있는 2차 열교환기(15)를 상호 결합하여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소기(4) 주연부에 난방수 환수로(6)가 형성된 원통형의 연소실(7)의 저부에는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8)가 설치되고, 그의 상측 방향에는 과열을 방지시키기 위한 온도퓨즈(10)가 부착된 1차 열교환기(9)가 설치되어 그곳을 통과하는 물을 상기 버너(8)이 가열하게 되며, 상기 연소기(4)의 바닥면에는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3)가 설치되고, 상기 버너(8)의 근방에는 버너을 점화하는 스파커에 연결된 스파커플러그(11)와 버너(22)의 착화를 감지하는 프레임로드(12)가 설치되며, 상기 연소기(4)의 상면부에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부(14)가 보일러 케이싱(3)을 뚫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너(8)의 하방에는 가스를 공급시키기 위한 가스관(16)이 설치되는데, 여기에는 통전시 가스를 통과시키는 2개의 전자변(17)과,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비례변(18) 및 안전변(19)가 가스공급경로에 대하여 가스관(16)의상류로 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5)에는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물탱크내의 수량을 검지하기 위한 플로트스위치와, 넘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관이 있고, 온돌바닥을 회전한 난방수를 회수하는 것으로 필터(20)가 설치된 난방 환수관(29) 및 상기 1차 열교환기(9)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21)이 설치되는데, 이 때 상기 물공급관(21)에는 난방수의 순환을 위한 순환펌프(22)와 순환수속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분리시켜내는 기수분리기(23)가 아래방향에 설치되어진다.
한편, 상기 2차 열교환기(15)에는 상기 1차 열교환기(9)로 부터 유입되는 온수를 안내하는 온수관(24)과, 수도관을 통해 온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온수방출관(25), 가스보일러의 외부로 부터의 직수를 유입하는 것으로 필터(26)와 직수의 흐름을 검지하는 수량스위치(27)가 설치된 직수유입관(28) 및 상기 난방환수관(29)에 연결되어 2차 열교환기(15)를 순환한 물이 물공급관(21)을 경유하여 1차 열교환기(9)로 환수되도록 하는 보조관(30)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물공급관(21)은 삼방변(31)을 통하여 온수관(25)과 난방을 위한 물이 통과되는 난방온수 공급관(32)에 연결되어진다.
또한, 1차 열교환기(9)를 통과하는 상기 물공급관(21)에는 잔화방지 바이메탈(33)과 1차 열교환기(9) 출력단의 출탕온도를 측정하는 더어미스터(34)가 물의 흐름에 대하여 상류로 부터 각각 설치되고, 상기 환수관(29)과 직수유입관(28)사이에는 물탱크(5)에 물이 부족할 때 물을 보충해 주기 위한 물 보급변(35)이 설치되며, 이밖에도 외부적인 상황에 의해 난방관으로 물이 흐르지 못할때 비등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패스관(37)이 상기 환수관과 난방온수 공급관 사이에 연결되고, 보일러의 외부온도를 감지하는 저온감지 바이메탈(38)은 보일러 케이싱의 내벽에 설치되어진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상기 리모콘(2)은 사용자에 의해 그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키가 선택적으로 조작되면 예열기능이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예열기능 선택부(201)와; 상기 예열기능 선택부(201)에서 출력되는 예열작동 온;오프신호를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203)로 전달하는 신호전달부(202)와;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 예열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예열온도 설정부(204)와; 발진기(205)의 클럭펄스에 부응하여 소정의 타이밍신호를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203)로 출력하는 타이머(206)와; 상기 타이머(206)에 의해 제한된 시간동안 표시부 출력부(207)와 표시부 제어회로부(208)를 통해 표시부(209)를 작동시켜 표시부상에 예열기능이 작동중임을 알림과 동시에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210)를 통해 예열기능 선택정보를 본체 제어부(1)측으로 발생시키는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203)와;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각종 선택신호를 본체 제어부측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본체 제어부측에서 전송되어 오는 보일러의 각종 상태정보 등을 수신하는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210)와;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203)의 제어를 받아 표시부 제어회로부(208)에 예열기능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 출력부(207)와; 상기 표시부 출력부(207)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는 문자 및 도형 등이 표시부(209)상에 나타나도록 하는 표시부 제어회로부(208)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내의 제어부(1)는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각종 선택신호를 수신하여리모콘 정보 송수신부(102)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리모콘 정보 송수신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보일러의 각종 상태정보 등을 리모콘(2)의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210)로 전송하는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01)와; 상기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01)와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 사이에서 주고 받는 각종 제어신호 및 상태정보 등을 교번으로 송수신하는 리모콘 정보 송수신부(102)와; 상기 리모콘 정보 송수신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리모콘 정보를 이행함과 동시에 예열기능 이행부(104)에서 출력되는 예열기능 수행상태를 포함한 각종 상태정보등을 리모콘 정보 송수신부(102)로 출력하는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와; 상기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들 중 사용자가 예열기능을 선택한 경우로 판정되면 입력부하군 정보인식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1차 열교환기(9)의 중간순환수 온도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수예열 설정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그 결과에 부응하는 신호를 연소,소화 지시부(105)로 출력함과 동시에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측으로 출력하는 예열기능 이행부(104)와; 상기 예열기능 이행부(104)의 출력신호에 따라 부하제어군(106)에 연소 또는 소화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소,소화 지시부(105)와; 상기 연소,소화 지시부(10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는 각종 부하제어신호를 출력부하 제어회로군(107)으로 출력시켜 주는 부하제어군(106)과; 상기 부하제어군(106)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예열기능에 따른 연소 및 소화작동 등을 포함하여 부하군(108)내의 각종 구성부품들의 구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출력부하 제어회로군(107)과; 1차 열교환기(9)의 온수관(24)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34) 등을 포함하여 각종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는 센서입력 부하군(109)과; 상기 센서입력 부하군(109)을 통해 입력되는 각종 센서를 실시간으로 입력부하군 정보인식부(111)에 전달해 주는 입력부하군회로(110)와; 상기 입력부하군회로(110)를 통해 입력받은 온도센싱신호를 포함한 각 구성부품들의 상태정보를 예열기능 이행부(104)로 전달시켜 주는 입력부하군 정보인식부(11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에서 별도의 블럭으로 표기한 리모콘(2)내의 타이머(206)와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203) 및 표시부 출력부(207)를 포함하여 제어부(1)내의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와 예열기능 이행부(104), 연소,소화 지시부(105), 부하제어군(106) 및 입력부하군 정보인식부(111)는 리모콘 또는 제어부내에 기설치되어 있는 마이컴내에 내장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보일러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면 사용자에 의해 온수예열 설정키가 "온"되는지를 계속 검출하여 "온"되면 리모콘(2)의 표시부(209)에 온수예열중임을 표시한 후 1차 열교환기(9)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중간 순환수의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이미 설정되어 있는 온수예열 설정온도 보다 높은지를 검출하여 그 보다 낮으면 상기 중간 순환수의 온도가 온수예열 설정온도 보다 높을 때 까지 정해진 예열제한시간 동안 지속해서 온수예열 연소작동을 수행시키되, 온수예열 연소작동 중 정해진 예열제한시간이 경과되면 예열작동을 정지시키고 정해진 예열제한시간내에 중간 순환수의 온도가 온수예열 설정온도 보다 높거나 같으면 온수예열기능의 대기상태로 들어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거나 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능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에 설치된 온수예열 설정키가 작동되어 예열기능 선택부(201)에 소정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예열기능 선택부(201)에서는 신호전달부(202)를 통해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203)에 예열기능의 작동 ON/OFF신호 즉, ON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203)에서는 타이머(206)에 의해 제한된 시간내에서 표시부 출력부(207)와 표시부 제어회로부(208)를 통해 예열기능의 작동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표시부(209)에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리모콘(2)의 표시부(209)에는 온수가 예열중임을 알리는 문자나 그림 등이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203)에서는 리모콘(2)내의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210)와 본체의 제어부(1)내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01)의 교번통신을 하고 이어서 리모콘 정보 송수신부(102) 및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를 통해 예열기능 이행부(104)에 예열기능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예열기능 이행부(104)에서는 연소,소화 지시부(105)와 부하제어군(106) 및 출력부하 제어회로군(107)을 통해 부하군(108)을 가동시켜 예열기능에 필요한 펌프, 삼방변, 전자변, 이그나이터 및 FAN 모터 등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예열기능 이행부(10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들 중 사용자가 예열기능을 선택한 경우로 판정되었을시 입력부하군 정보인식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1차 열교환기(9)의 중간순환수 온도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는 온수예열 설정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연소,소화 지시부(105)에 연소 또는 소화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예열기능 이행부(104)에서는 센서입력 부하군(109)으로 부터 입력부하군회로(110)와 입력부하군 정보인식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중간 순환수의 온도와 사용자에 의해 이미 설정되어 있는 온수예열 설정온도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현재 중간 순환수의 온도가 온수예열 설정온도 보다 낮으면 온수의 사용상태를 검지하는 수량스위치(27)의 상태에 무관하게 온수를 예열을 위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소,소화 지시부(105)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연소,소화 지시부(105)에서 부하제어군(106) 및 출력부하 제어회로군(107)을 통해 부하군(108)을 가동시키게 되어 예열기능에 필요한 부하군(108)내 펌프, 삼방변, 전자변, 이그나이터 및 FAN 모터 등이 작동되어 온수가 자동 예열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온수예열 작동은 1차 열교환기(9)내의 중간 순환수 온도가 온수예열 설정온도 보다 높을 때 까지 정해진 예열제한시간 동안 지속시키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정해진 예열제한시간 동안 온수예열 연소작동을 수행시키던 중 중간 순환수의 온도가 온수예열 설정온도 보다 높거나 같으면 버너의 연소를 정지시키고(즉, 소화시키고) 온수예열기능의 대기상태로 들어가되, 중간 순환수의 온도가 온수예열 설정온도 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온수예열 연소작동을 정해진 예열제한시간 동안 지속시키고 그 시간이 경과되면 예열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수기능을 선택하였을 경우 온수의 초기 출탕온도 상승속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보일러 겸용 순간온수기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온수작동시 온수가 적정온도까지 상승하기 이전의 직수 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 불필요한 물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은 온수예열작동은 도 1과 같은 1관 2수로 방식의 보일러에서 온수사용상태 대기중이거나 난방사용중 또는 난방사용상태 대기중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로 온수의 출탕속도를 극대화하여 보일러 겸용 순간온수기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둘째로 온수작동시 온수가 적정온도까지 상승하게 이전의 직수배출량이 줄어들어 물낭비를 줄일수 있으며, 세째로 조작버튼으로 간편한 설정이 가능하고 온수설정온도 이내에서 안전하게 작동하여 제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예열기능이 해제되거나 사용자가 예열은 다시 취소할 수 있어 조작 및 사용이 간편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7)

  1. 리모콘(2)이 외부에 연결된 케이싱(3)안에 설치되어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1)와; 난방수 및 온수를 데우기 위해 가스 등과 같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기(4)와; 난방순환수를 저장하는 물탱크(5)와; 온수와 냉수의 순환을 위한 서로 다른 경로를 지니고 있는 2차 열교환기(15)로 구성된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2)은 사용자에 의해 온수예열 설정키가 선택적으로 조작되면 예열기능이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예열기능 선택부(201)와;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 예열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예열온도 설정부(204)와; 발진기(205)의 클럭펄스에 부응하여 소정의 타이밍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206)에 의해 제한된 시간동안 표시부 출력부(207)와 표시부 제어회로부(208)를 통해 표시부(209)를 작동시켜 표시부상에 예열기능이 작동중임을 문자나 도형 등으로 알림과 동시에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210)를 통해 예열기능 선택정보를 본체 제어부(1)측으로 발생시키는 예열작동 지시 출력부(203)를 구비시키고,
    상기 제어부(1)내에는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01)와 리모콘 정보 송수신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리모콘 정보를 이행함과 동시에 예열기능 이행부(104)에서 출력되는 예열기능 수행상태를 포함한 각종 상태정보등을 리모콘 정보 송수신부(102)로 출력하는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와; 상기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들 중 사용자가 예열기능을 선택한 경우로 판정되면 입력부하군 정보인식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2차열교환기(15)의 중간순환수 온도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수예열 설정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그 결과에 부응하는 신호를 연소,소화 지시부(105)로 출력함과 동시에 리모콘 정보 이행부(103)측으로 출력하는 예열기능 이행부(104)와; 상기 예열기능 이행부(104)의 출력신호에 따라 부하제어군(106)에 연소 또는 소화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부하제어군(106)으로 하여금 출력부하 제어회로군(107)을 적절히 제어시켜 부하군(108)이 연소 및 소화작동되도록 하는 연소,소화 지시부(105)와; 1차 열교환기(9)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34) 등을 포함하여 각종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센서입력 부하군(109)과 입력부하군회로(110)를 통해 입력받은 온도센싱신호를 포함한 각 구성부품들의 상태정보를 예열기능 이행부(104)로 전달시켜 주는 입력부하군 정보인식부(111)를 구비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상기 온수예열 설정키를 리모콘(2)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상기 온수예열 설정키는 보일러의 케이싱(3)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4. 보일러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면 사용자에 의해 온수예열 설정키가 "온"되는지를 계속 검출하여 "온"되면 리모콘(2)의 표시부(209)에 온수예열중임을 표시하고 1차 열교환기(9)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중간 순환수의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이미 설정되어 있는 온수예열 설정온도 보다 높은지를 검출하여 그 보다 낮으면 온수예열 연소작동을 실시하고 그 보다 높거나 같으면 예열대기를 실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수예열 연소작동은 정해진 예열제한시간 동안 지속해서 실시하고 해당 시간이 경과되면 온수예열 연소작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정해진 예열제한시간 동안 온수예열 작동을 실시하던 중 중간 순환수의 온도와 온수예열 설정온도을 계속 검출하여 중간 순환수의 온도가 온수예열 설정온도 보다 높거나 같으면 온수예열 대기상태로 들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수예열동작은 온수사용 중 또는 온수사용 대기중 및 난방사용 대기중에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방법.
KR10-2000-0076463A 2000-12-14 2000-12-14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422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63A KR100422856B1 (ko) 2000-12-14 2000-12-14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63A KR100422856B1 (ko) 2000-12-14 2000-12-14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842A true KR20020047842A (ko) 2002-06-22
KR100422856B1 KR100422856B1 (ko) 2004-03-12

Family

ID=2768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463A KR100422856B1 (ko) 2000-12-14 2000-12-14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943B1 (ko) * 2013-06-28 2015-03-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난방공급 및 난방환수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 연소 제어방법
WO2019054605A1 (ko) * 2017-09-14 2019-03-21 주식회사 경동원 설치환경에 따른 효율적인 온수 예열시간 자동 판단 제어방법
WO2023163360A1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수 예열이 가능한 온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동작 판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538B1 (ko) 2014-01-29 2016-02-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난방수 열을 이용한 온수 예열방법
KR101731533B1 (ko) 2015-08-26 2017-05-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온수 과열 방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177A (ko) * 1995-07-29 1997-02-21 배순훈 가스보일러의 온수 공급 방법
JPH09126482A (ja) * 1995-10-31 1997-05-16 Tokyo Gas Co Ltd 外部熱源により給水を予熱した温水を利用する全自動注湯及び給湯方法及びその装置
KR0125781Y1 (ko) * 1996-03-18 1998-11-02 배순훈 Ptc 히터를 이용한 부분 가열 냉온수기
KR100512497B1 (ko) * 1999-07-22 2005-09-06 대우가스보일러(주) 보일러의 온수공급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943B1 (ko) * 2013-06-28 2015-03-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난방공급 및 난방환수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 연소 제어방법
WO2019054605A1 (ko) * 2017-09-14 2019-03-21 주식회사 경동원 설치환경에 따른 효율적인 온수 예열시간 자동 판단 제어방법
WO2023163360A1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수 예열이 가능한 온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동작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2856B1 (ko) 200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856B1 (ko) 보일러의 온수예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181674B2 (ja) 燃焼装置
JP3714215B2 (ja) 給湯システム
KR100422867B1 (ko) 콘덴싱 보일러에서의 초기온수 출탕온도 최적화방법
KR100243899B1 (ko) 가스보일러의 연소제어방법
KR930011050B1 (ko) 가스보일러의 외출기능운전 연소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472066B1 (ko) 기름보일러의초기온수출탕수온제어장치및그방법
KR960000677B1 (ko) 엘피지(lpg) 가스보일러에서의 가스량부족시 연소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930001846B1 (ko) 강제소화 타이머 동작중 난방설정 온도상향 조절시 난방의 재연소방법
KR100512497B1 (ko) 보일러의 온수공급 제어방법
JP2004205128A (ja) 熱機器および熱機器の燃焼制御方法
KR960004853B1 (ko) 엘피지(lpg) 가스보일러에서의 가스량부족시 연소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930001844B1 (ko) 가스보일러에서의 난방설정온도 하향 변화시 연속연소 제어타이머의 작동제어방법
KR940002074B1 (ko) 가스보일러에서의 연속 연소 제어 타이머를 이용한 가스연소 제어방법
JP3698329B2 (ja) 追焚き機能付給湯器
KR930005462B1 (ko) 차압스위치를 이용한 가스보일러의 운전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950005240B1 (ko) 연소기기의 점화제어장치
KR950003273B1 (ko) 탕비기의 제어장치
KR930001845B1 (ko) 가스보일러에서의 강제소화타이머 작동 후 재점화시 연소제어방법
JP3855919B2 (ja) 燃焼装置
JP2023160430A (ja) 給湯暖房熱源機
JPH1183004A (ja) 燃焼装置および点火制御方法
KR930001843B1 (ko) 가스보일러에서의 난방설정온도 상향 변화시 연속연소 제어타이머의 작동제어방법
KR950000934B1 (ko) 저출력 가스보일러의 온수 급속가열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91359A (ko) 온수정지기능을 구비한 실내온도조절기 및 그것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