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457B1 -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의 접속기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의 접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457B1
KR960005457B1 KR1019930024341A KR930024341A KR960005457B1 KR 960005457 B1 KR960005457 B1 KR 960005457B1 KR 1019930024341 A KR1019930024341 A KR 1019930024341A KR 930024341 A KR930024341 A KR 930024341A KR 960005457 B1 KR960005457 B1 KR 96000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sealing member
cylindrical
suction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439A (ko
Inventor
슈우수케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아주마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슈우수케 야마시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마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슈우수케 야마시타 filed Critical 아주마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3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0Sleeveless joints between two pipes, one being introduced into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1Gaske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청소기에 있어서의 흡인관의 접속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접속기구를 사용하여 흡인호스와 보장관을 접속하는 경우를 표시하는 전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봉지부재의 단면도.
제4도는 봉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청소기 2 : 흡인호스
2a : 접속용 파이프 3 : 보장관
3a : 접속용 파이프 4 : 흡인파이프
5 : 흡입용 헤드 5a : 관
11 : 보장관 본체 12 : 이옴매통
12a : 접속부 13 : 계지돌기
14 : 나사 15 : 형상의 조작자
15a : 감착부 16, 26 : 봉지부재
17, 27 : 확경부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인호스나 흡인파이프 등의 흡인관에 그 길이를 보충하기 위한 흡인용 보장관(補長管)을 접속하는 경우나 먼지를 흡인하기 위한 흡입용 헤드를 접속하는 경우 등에, 그들 관 끼리의 접속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흡인관용 접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흡인구에 접속된 가요성 흡인호스에 각종 형상의 흡입용 헤드를 직접 또는 흡인파이프를 개재하여 접속하므로써 여러 곳을 청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이런 종류의 진공청소기는 기본적으로 바닥면의 청소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므로 예를 들면 천정, 벽면 등을 청소할 경우, 가요성 흡인호스 또는 흡인파이프의 전체 길이가 충분하지 못하여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한 흡인호스나 그것에 접속된 흡인파이프 등에 그들의 길이를 보충하는 보장관을 접속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상기한 흡인호스나 흡인파이프 등의 흡인관은 접속구의 지름이나 형상이 각 제작회사나 기종 등에 의하여 서로 다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보장관을 선택사양(option)으로 구입한 경우, 이 보장관을 여러가지 기종의 흡인관에 공통으로 접속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문제는 선택사양으로서 구입한 흡인용 헤드를 여러가지 기종으로 사용할 경우 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진공청소기에 있어서의 흡인호스나 흡인파이프 등의 흡인관의 접속구가 대개 공통적으로 원통형상의 내면을 보유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그 원통형상의 내면을 이용하여 어떠한 기종의 진공청소기라도 보장관이나 흡입용 헤드 등을 간단하고 기밀하게 접속할 수 있는 범용성이 있는 흡인관용 접속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진공청소가 서로 접속해야 할 제1 및 제2의 흡인관 중에서 제1의 흡인관에 제2의 흡인관의 접속구에 삽입 가능한 외경을 가진 이음매통을 설치하고, 이 이음매통의 외면에 축방향으로의 압축에 의하여 확경부가 제2의 흡인관의 내면으로 압접하는 통형상의 연질체로 이루어진 봉지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의 흡인관의 접속기구가 제공된다.
상기한 봉지부재는 이음매통의 선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계지돌기와 이음매통의 외주에 나사식으로 부착된 통형상의 조작자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부착되고, 그 통형상의 조작을 회전 조작하여 이음매통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그 통형상의 조작자와 계지돌기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봉지부재의 확경부는 그 봉지부재의 내면을 원주형상으로 잘라내어 얇게 하므로서 형성할 수 있고, 그 확경부는 봉지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할 수 있다.
흡인관의 접속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조작자의 외경을 제2의 흡인관의 접속구의 내경보다도 대경으로 함과 아울러, 그조작자에 있어서의 봉지부재 측의 단부에 선단이 접속구의 내경보다도 소경을 이루는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형상의 감착부를 형성하며, 양쪽 흡인관의 접속시에 그 감착부가 제2의 흡인관의 접속구의 구 가장자리에 당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면, 제1도는 진공청소기(1)에 있어서의 흡인호스(2)의 선단에 본 발명의 접속기구를 개재하여 그 흡인호스(2)의 길이를 보충하기 위한 보장관(3)을 접속할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그 보장관(3)의 선단에 흡입파이프(4)가 접속되어 그 흡입파이프(4)에 흡입용 헤드(5)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보장관(3)은 제2도에 상세하게 표시하듯이 주름상자식 호스로 된 보장관 본체(11)의 단부에 흡인호스(2)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접속용 파이프(2a)의 접속구에 삽입할 수 있는 외경을 보유한 이음매통(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이음매통(12)은 선단부 외주에 계지돌기(13)를 설치함과 아울러 기단측 외면에 나사(14)를 설치한 것이고, 그 이음매통(12)의 외면에는 상기한 계지돌기(13)와 상기한 나사(14)로 나착한 통형상의 조작자(15)사이로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하는 통형상의 연질체로 형성된 봉지부재(16)를 장착하고 있다.
이 봉지부재(16)는 조작자(15)를 회전시켜 이음매통(12)의 축선방향 앞쪽으로 변이시키므로써 그 조작자(15)와 계지돌기(13)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중간의 확경부(17)가 원형으로 확경하도록 형성된 것이고, 제3도에 상세하게 표시하듯이 그 봉지부재(16)의 중간부에 그 내면측의 일부를 잘라내어서 얇게 변화시키므로서 상기한 확경부(17)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보유하는 흡인관의 접속기구에 의하면, 보장관 본체(11)의 단부에 설치한 이음매통(12)을 조작자(15)를 후퇴시켜서 봉지부재(16)의 확경부(17)가 확경하여 있지 않은 상태로 하여 접속대상인 파이프(2a)의 접속구에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조작자(15)를 회전시켜서 전진시키므로써 이음매통(12)에 바깥으로 끼운 봉지부재(16)를 축방향으로 압축하면 제2도에 표시하듯이 그 봉지부재(16)의 확경부(17)가 원형으로 확경하여 상기한 파이프(2a)의 내면에 압접하고 이것에 의하여 보장관(3)의 파이프(2a)에 기밀하게 접속된다.
이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봉지부재(16)의 내면측을 얇게하여 형성된 확경부(17)는 조작자(15)를 진진시켜서 그 봉지부재(16)를 축방향으로 압축한다고 하는 간단한 수단에 의하여 쉽게 확경되며, 게다가 그 확경량을 조작자(15)의 변이량에 따라서 비교적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2a) 내면으로의 압접에 의한 봉지에 극히 유효하게 기능하는 것이다.
제4도에는 상기한 봉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봉지부재(26)는 그 축방향으로 복수의 얇게 한 확경부(27)를 병설한 것이고, 그 때문에 조작자(15)에 의하여 그 봉지부재(26)를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그들의 확경부(27)를 확경시키면, 각 확경부(27)가 복수의 위치에서 파이프(2a)의 내면에 압접하여 보장관 (3)과 파이프(2a)가 보다 확실하게 봉지된 상태에서 접속되게 된다.
제3도에 표시하는 봉지부재(16)를 사용한 경우, 그 봉지부재(16)에 있어서의 단일한 확경부(17)가 파이프(2a)의 내면으로 압접할 뿐이므로 그 압접부를 중심으로 하여 이음매통(12)이 요동하게 된다. 이 이음매통(12)의 요동이 청소를 실시하는데 따라서 기능상 특히 지장을 초래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지만, 제4도에 표시하게 되는 복수의 확경부(27)를 보유하는 봉지부재(26)를 사용하면 이들의 확경부(27)가 복수의 위치에서 파이프(2a)의 내면으로 압접하므로 이음매통(12)의 접속상태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제3도에 표시하게 되는 봉지부재(16)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제4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속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데는 제2도에 표시하고 있듯이 통형상의 조작자(15)의 외경을 파이프(2a)의 접속구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함과 아울러, 그 통상의 조작자(15)의 봉지부재(16)측의 단부에 선단이 파이프(2a)의 접속구에 부분적으로 끼워넣는 감착부(15a)를 설치하고, 그 감착부(15a)의 외주면을 선단이 차츰 세경화하는 테이퍼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보장관(3)의 접속시에 파이프(2a)의 접속구의 내면으로 확경부(17)의 압접함과 아울러 파이프(2a)의 접속구의 구 가장자리에 통형상의 조작자(15)의 테이퍼형상 감착부(15a)가 압접하게 되어 이음매통(12)의 연결이 보다 안정화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퍼형상의 감착부(15a)를 파이프(2a)의 단부에 압접한 상태에서 이음매통(12)을 파이프(2a)에 연결할 경우에는 그것을 연결할 때에 우선 테이퍼형상의 감착부(15a)를 파이프(2a)의 단부에 압접하고 그 상태에서 이음매통(12)을 통형상의 조작자(15)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봉지부재(16)를 축방향으로 압축하면 좋고, 그것에 의하여 봉지부재(16)의 확경부(17)를 확경시키면 그 확경부(17) 및 통형상의 조작자(15)의 감착부(15a)가 함께 파이프(2a)에 압접하므로 연결을 안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음매통(12)을 보장관 본체(11)와의 접속부(12a)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보유하는 흡인관의 접속기구에 의하면, 진공청소기 본체의 흡인구, 그것에 접속하는 흡인호스의 선단의 접속구, 혹은 그 흡인호스에 접속하는 흡인파이프의 선단의 접속구 등이 어느것도 대개 공통적으로 원통형상의 내면을 보유하고 잇는 것을 이용하여, 어떠한 기종의 진공청소기에도 간단하게 보장관을 접속하여 흡인호스나 흡인파이프의 길이를 보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범용성이 있는 보장관을 제공하여 진공청소기의 흡인호스나 흡인파이프의 길이 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흡인용 헤드(5)의 관(5a)에도 상술한 접속기구를 설치하여 두므로써 상기한 보장관(3)의 다른 쪽 끝의 접속용 파이프(3a)에 그 흡입용 헤드(5)를 직접 또는 흡인파이프(4)를 개재하여 접속할 경우에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
이와같이,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에 있어서의 흡인호스나 흡인파이프 등의 흡인관의 접속구가 원통형상의 내면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어떠한 기종의 진공청소기에 대해서도 보장관이나 흡인용 헤드 등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Claims (4)

  1. 제2의 흡인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1의 흡인관의 한쪽 끝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의 앞쪽 끝 연결부에서 개구부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외경을 보유하고,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의 상기한 개구부에 삽입되는 그단부는 그 외주부 주위에 형성된 환형상의 계지돌기(13)로 구성된 이음메통(12)과, 이음매통(12)을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한 이음매통(12)에 나사식으로 고정되며, 테이퍼형상의 감착부가 있는 통형상의 조작자(15)와 상기한 통형상의 조작자(15)와 상기한 환형상의 계지돌기(13) 사이의 상기한 이음매통(12)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탄성재로 만들어지며, 확경부가 설치되어 있는 통형상의 봉지부재이며, 상기한 통형상의 봉지부재에 대한 상기한 통형상의 조작자(15)의 이동은, 상기한 환형상의 계지돌기(13)와 상기한 통형상의 조작자(15)사이의 상기한 통형상의 봉지부재를 압박하도록 상기한 환형상의 계지돌기(13)에 대해서 상기한 통형상의 봉지부재를 밀게 되며, 이에 의해서, 통형상의 봉지부재의 상기한 확경부를 상기한 확경부 내에서 직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의 내주면에 대해서 압박하도록 하는 통형상의 봉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한 통형상의 조작자(15)는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의 앞쪽 연결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배열되며, 상기한 봉지부재의 윗면 앞쪽 단부에 상기한 테이퍼형상의 감착부가 설치되고, 상기한 테이퍼형상의 감착부의 말단부의 직경은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의 앞쪽 끝부분 연결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한 제1의 흡인관의 제2의 흡인관이 서로 연결되면,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의 앞쪽 끝부분 연결부에서 개구부 주위의 가장자리부분과 접촉결합하기에 적합하여, 제1의 흡인관과 제2의 흡인관의 연결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의 흡인관의 접속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봉지부재의 상기한 확경부가 그 내주면에서 상기한 원통형 봉지부재의 벽의 얇은 부분에 의해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의 흡인관의 접속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봉지부재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위치에 상기한 확경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의 흡인관의 접속기구.
  4. 제2의 흡인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1의 흡인관의 한쪽 끝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의 앞쪽 끝 연결부에서 개구부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외경을 보유하고,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의 상기한 개구부에 삽입되는 그 단부는 그 외주부 주위에 형성된 환형상의 계지돌기(13)로 구성된 이음매통(12)과, 이음매통(12)을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한 이음매통(12)에 나사식으로 고정되며, 테이퍼형상의 감착부가 있는 통형상의 조작자(15)와, 상기한 통형상의 조작자(15)와 상기한 환형상의 계지돌기(13)사이의 상기한 이음매통(1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통형상의 봉지부재이며, 상기한 통형상의 조작자(15) 변위가 상기한 통형상의 봉지부재에 대해서 상기한 테이퍼형상의 감착부를 누르도록 하여, 상기한 환형상의 계지돌기와 상기한 통형상의 조작자 사이의 상기한 통형상의 봉지부재를 압박하도록 상기한 통형상의 봉지부재를 상기한 환형상의 계지돌기에 대해서 누르도록 하는 확경부로 구성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한 통형상의 봉지부재의 상기한 확경부를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의 내부면에 대해서 직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통형상의 봉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한 테이퍼형상의 감착부의 크기는, 상기한 제1의 흡인관과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이 서로 연결되었을 때, 테이퍼의 단부를 개재하여 상기한 제2의 흡인관의 앞쪽 끝부분 연결부에서 개구부 주위의 가장자리부분이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의 흡인관의 접속기구.
KR1019930024341A 1992-12-28 1993-11-16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의 접속기구 KR960005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60745A JP2670956B2 (ja) 1992-12-28 1992-12-28 真空掃除機における吸引用補長管の接続機構
JP92-360745 1992-12-28
JP360745 1992-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439A KR940013439A (ko) 1994-07-15
KR960005457B1 true KR960005457B1 (ko) 1996-04-25

Family

ID=1847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341A KR960005457B1 (ko) 1992-12-28 1993-11-16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의 접속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01061A (ko)
JP (1) JP2670956B2 (ko)
KR (1) KR960005457B1 (ko)
GB (1) GB2273752B (ko)
HK (1) HK1007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23726D0 (en) * 1994-11-24 1995-01-11 Horobin Ltd Connector
GB9603744D0 (en) * 1996-02-22 1996-04-24 Vax Ltd Vacuum cleaner hose
US6168212B1 (en) 1999-07-06 2001-01-02 The United Electric Company Of Ohio Twist-lock connector for adjustably interlocking telescopic tubular members
US6890005B1 (en) 1999-10-29 2005-05-10 Hutchinson Fts, Inc. Self-centering tubular connection
DE10162455A1 (de) * 2001-12-19 2003-07-17 Werner Jablonski Staubsaugerteil
DE10245185B3 (de) * 2002-09-26 2004-03-25 Fieber, Hans-Jürgen Adapterteil für eine Saugeinrichtung
EP1445046A1 (fr) * 2003-02-07 2004-08-11 Vesuvius Crucible Company Dispositif de connexion d'une canalisation de circulation de fluide à une pièce réfractaire et pièce réfractaire
US7226302B2 (en) * 2003-09-22 2007-06-05 Scotech Systems Inc. Vacuum cleaner current-carrying hose connection system
GB0511519D0 (en) * 2005-06-07 2005-07-13 Smiths Group Plc Vacuum cleaners, hose assemblies and fittings
US7441810B2 (en) * 2005-09-07 2008-10-28 Samuel Wayne Buff Recreation vehicle waste pipe sealing unit
FR2913087B1 (fr) * 2007-02-28 2011-05-06 Gerlon S A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tuyaux pour un systeme d'aspiration
FR2935166B1 (fr) * 2008-08-20 2011-10-21 Gerlon S A Dispositif de raccord de type universel entre un appareil et un systeme d'aspiration
CN105526447B (zh) * 2014-09-30 2017-12-29 丹阳市腾辉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防振动密封管接头装置
US11602761B1 (en) * 2017-07-17 2023-03-14 Joseph D. Osborne Blower-attached product applicator, and method for dispensing a product into a moving airstream
CL2020003104A1 (es) * 2020-11-27 2021-03-26 Juan Claudio Droguett Larrain Un dispositivo accesorio aspirador que provee una solución doméstica y no doméstica para aspirar y limpiar lugares de difícil acceso y objetos y lugares delicados que requieren de una acción más puntual y acotada sobre una pieza o lugar en particula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00A (en) * 1889-05-07 Expanding plug for closing pipes
GB149078A (en) * 1919-05-12 1920-08-12 William Henry Atkinson Improvements in joints and couplings for pipes and tubes
US1657488A (en) * 1926-09-11 1928-01-31 Charles J Shadden Hose coupling
GB488075A (en) * 1936-11-03 1938-06-30 Buderus Eisenwerk Packing for socket pipe connections
GB551782A (en) * 1941-01-17 1943-03-09 Dresser Mfg Compan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pe joints
US2574109A (en) * 1949-02-17 1951-11-06 Jr Frank A Kane Device for adjustably interfitting two coactive members
GB681662A (en) * 1951-02-26 1952-10-29 Bernard Halstead Improvements in pipe couplings
BE530583A (ko) * 1954-07-22
GB957909A (en) * 1961-11-11 1964-05-13 Crosweller & Co Ltd W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couplings
AU5736773A (en) * 1972-07-05 1975-01-09 Dresser Industries, Inc Boltless coupling
DE2426234C2 (de) * 1974-05-29 1985-04-04 Allstar Verbrauchsgüter GmbH & Co KG, 6000 Frankfurt Verbindungsstück aus Kunststoff oder Metall zum lösbaren Anschluß von Rohren mit unterschiedlichen Durchmessern
FR2416734A1 (fr) * 1978-02-10 1979-09-07 Micro Mega Sa Embout pour l'injection d'un produit liquide a l'interieur d'une piece, en particulier pour la lubrification d'une piece a main dentaire
US4486002A (en) * 1982-09-24 1984-12-04 Fmc Corporation Combined metallic and flexible non-metallic pressure seal
JPH0795993B2 (ja) * 1987-08-28 1995-10-18 株式会社テック 電気掃除機の接続管
GB8830202D0 (en) * 1988-12-23 1989-02-22 Parkfield Group Plc Pipe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07791A1 (en) 1999-04-23
GB2273752B (en) 1996-02-07
GB2273752A (en) 1994-06-29
US5401061A (en) 1995-03-28
JP2670956B2 (ja) 1997-10-29
JPH06197852A (ja) 1994-07-19
GB9325987D0 (en) 1994-02-23
KR940013439A (ko) 199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457B1 (ko)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의 접속기구
JP2794365B2 (ja) チューブをパイプに接続するための差込形継手
US4941689A (en) Coupl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JP2592358B2 (ja) 管継手
JP2003166727A (ja) ドレンホースの接続構造
JPH10238678A (ja) 管用回転自在継ぎ手
JPH05177178A (ja) 管内清掃用具
JP3019906U (ja) ホース接続装置
CN217784525U (zh) 一种管道连接装置及高压清洗机
JPH0726636Y2 (ja) 流体配管用ソケット
JPH02104320A (ja) 掃除機用の吸引パイプ
JPS6342238Y2 (ko)
JPS6120389Y2 (ko)
JP2001056076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構造およびコルゲート管
JP2537360Y2 (ja) 吸着パッド用アダプタ
JPH0231675Y2 (ko)
JPH0654988U (ja) 管継手
JP2524588Y2 (ja) 文具の軸筒に対する部品の取付構造
JP2555345Y2 (ja) ホースの接続構造
RU20591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рукавов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JPH0439388U (ko)
JPH038877Y2 (ko)
JPH0443656B2 (ko)
JPH1157534A (ja) 散水用ノズル
JPH0410184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