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95B1 - 감시방법 및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감시방법 및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195B1
KR960005195B1 KR1019880700257A KR880700257A KR960005195B1 KR 960005195 B1 KR960005195 B1 KR 960005195B1 KR 1019880700257 A KR1019880700257 A KR 1019880700257A KR 880700257 A KR880700257 A KR 880700257A KR 960005195 B1 KR960005195 B1 KR 96000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deviation
product
manufa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2006A (ko
Inventor
스텐-아케 올라우스 리드본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날 트레이딩 에스. 알. 엘.
바레아 티지아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날 트레이딩 에스. 알. 엘., 바레아 티지아노 filed Critical 인터내셔날 트레이딩 에스. 알. 엘.
Publication of KR88070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20Calibration, including self-calibrating arrangements
    • G08B29/24Self-calibration, e.g. compensating for environmental drift or age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9Monitoring patterns of pulse tra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om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Filamentary Materials, Packages, And Safety Devices Therefo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시방법 및 감시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
제 3 도는 블록도 및 개략도에도 표시된 측정위치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파형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의 플로우챠트.
제 5a 도, 제 5b 도는 제 4 도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는 상세한 회로도.
본 발명은 다수의 상호 연속신호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한가를 감시하고, 감시신호에서 신호손실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 수 없고 허용할 수 없는 편차가 발생할 때 경보 및/또는 정지기능을 트리거링하며, 감시신호의 형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 수 있고 허용할 수 있는 편차가 발생할 때 경보 및/또는 정지기능의 트리거링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가지 상황에서 실예를 들면, 직조기와 같이 여러가지 종류의 기계에서 실의이동에 일치하는 전기신호를 감시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들을 내포하게 되는데, 이는 연속적인 신호에서 허용될 수 있고 무시될 수 있는 신호편차들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가장 일반적인 감시방법은 신호의 연속성이 중단되었는지를 감시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방식의 연속적인 신호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호편차의 발생을 정확히 지적하기란 매우 어려운데, 이는 하나의 편차 또는 그 이상의 편차들이 항시 신호의 동일위치에서 발생되지 않으며, 그 대신 신호편차 또는 신호편차들이 발생은 기계유형, 실 종류, 실의 질 등과 같은 요인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이는 매우 복잡한 조정 및 미세조정 문제는 물론 광범위한 사후 설치조정을 필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기 문제와 단점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상기 방법 및 장치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특징을 제공하므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무시될 수 있고 상당한 범위에 걸쳐 미세조정 또는 조절의 어려움을 야기하지 않는 자연적인 변동분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내에 있는 연속신호를 신뢰성 있고 믿을 수 있게 감시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 및 장치가 구현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여러번의 기계의 순화주기동안 감시될 신호의 형상을 학습하는 독자학습(autodidactic) 또는 자기학습(self-learning) 감시회로로써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인데, 이는 아마도 신호가 소위 학습기간중에 가지는 동일한 형상을 계속하여 가지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여러 가지 제품, 실예를 들면 양말을 짜는 기계에서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이 경우, 각 기계에서 실 또는 방사(yarn) 이동센서로부터의 신호는 제품 또는 패턴의 초기부터 완결시까지 기억되고, 그 다음에 검출되고 감시된 신호는 기억된 신호와 비교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우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품의 품질조정을 달성할 수 있고, 그에 의하여 각각의 주기마다에서 실 또는 여러 가닥의 실이 전체적으로 절단되지 않고 완전할 뿐만 아니라, 제품이 정확한 패턴으로 제조되며, 실 또는 방사가 혼합되게 하는 것을 보장하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한가지 실시예는 제 1 도의 블록도, 제 2 도의 개략도와 제 3 도의 파형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직조기에서 실(52)의 이동과 같은 파라미터에 응답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50)(signal emitter)는 다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디지탈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호를 증폭 및 디지탈화 회로(A)에 공급한다. 적합한 신호 발생기는 압전형일 수도 있으며, 또한 다른 유형의 신호발생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증폭/디지탈화 회로는 블록킹 비교회로(B)와 AND 게이트(30)에 연결된다. 블록킹 비교회로(B)의 출력은 AND 게이트(31)에 인가되며, 상기 AND 게이트(31)의 출력은 플립플롭이거나 몇가지 적당한 유형의 단안정회로인 경보 및/또는 정지기능 트리거 회로(C)로 인가되며, 상기 트리거회로는, 실예를 들면 직조기에서 AND 게이트(31)로부터 출력신호의 발생에 따라 직조기에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증폭/디지털화 회로(A)로부터의 신호에서 정상적인 허용가능한 신호편차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차들은 이 신호에서 항시 동일위치에서 정확히 발생되지 않으며, 따라서 어떠한 방법으로든 상기와 같은 이미 알고 있고 정상적인 허용가능한 이들 신호편차들을 무시하도록 감시회로에 알릴 필요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펄스 발생기는 기계가 작동중임을 나타내는 동기펄스의 제어를 위한 필터일 수 있는 회로(D), AND 게이트(32), 카운터 회로(E)와 트리거 회로(C)에 순차로 접속된다. 필터(D)로부터의 출력은 카운터 회로(E)의 리세트 입력단(R)에 연결되고, 카운터 회로(E)의 출력(Q)은 AND 게이트(32), AND 게이트(33) 및 전자스위치(F)에 인가된다. AND 게이트(32)의 출력은 카운터(E)의 클럭펄스입력단(CL)에 연결되며, 이 카운터는 그의 출력단(Q)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초기 작동시부터 동기펄스의 일정수를 카운트하도록 조정되고 작동된다. 스위치(F)는 소위 논리스위치로서 그의 일측 입력단은 AND 게이트(30)로부터의 출력이 인가되고, 그의 타측 입력단은 시프트레지스터(G)로부터의 출력이 인가되며, 동시에 스위치(F)의 출력은 시프트레지스터(G)의 입력단(7)에 공급된다. 또한 시프트레지스터(G)의 출력은 AND 게이트(30) 및 (33)의 일측 입력단들에 인가된다. 카운터회로(E)의 출력단(Q)은 AND 회로(34)의 일측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시프트레지스터(G)의 클럭펄스입력단은 카운터(H)의 출력단(QL)에 접속되는데, 이 카운터(H)의 리세스 입력단은 동기펄스 발생기에 연결되고, 카운터(H)의 클럭펄스 입력단(CL)은 클럭펄스 발생기(I)에 접속되어 있다. 클럭펄스 발생기(I)의 입력단은 카운터(H)의 출력단(QH)과 AND 회로(34)의 일측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AND 게이트(33)의 출력은 블록킹 비교회로(B)의 블록킹 입력으로 인가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실이 투사식, 물분사식, 공기분사식이거나 몇가지 다른 매체에 의하여 쉐드(shed)를 통해 공급되고, 쉐드의 타측에서 포획되며, 이후 일정거리로 회수되게 한 직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수작업중에 실이 완전한가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신호편차들이 진폭 및 위치 모두에서 변화하는 유형의 신호 발생기에서 발생한다. 제 2 도의 개략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평가 회로는 측정점(T1) 및 (T2) 사이에 RC 링크 또는 루우프를 구비하는데, 캐패시터는 신호에서 어느 정도의 변화분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고, 동시에 그 변화분이 매우 클 경우, 반전된 신호가 비교기의 출력단에서 발생되어 기계를 정지시키도록 AND 게이트(31)와 플립플롭(C)에 공급된다. 이 신호에서 알려지고 허용가능한 편차들의 발생에 대하여 기계가 정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AND 게이트(33)를 경유하여 한 신호가 블록킹 비교회로(B)에 공급되어, 블록킹 비교회로(B)는 신호에서 알려지고 정상적인 허용가능한 편차를 RC 링크에 채우도록 하며, 따라서 캐패시터는 방전하여 AND 게이트(31)에 출력신호를 발생시킬 시간을 갖지 않도록 한다. AND 게이트(33)로부터 신호는 시프트레지스터(G)의 작동에 따라 발생된다. 제 3 도의 파형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첫번째 8개의 기계주기 또는 동기펄스중에, 신호편차가 어디에 발생되는지를 시프트레지스터가 이를 학습하고, 신호편차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AND 회로(33)를 통하여 블록킹 비교회로(B)에 공급한다.
카운터 회로(E)에서 기계작동 회전수가 세트되며, 이는 신호 T1에서 신호편차 또는 몇개의 신호편차들이 발생하는지를 시프트레지스터(G)가 학습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계주기수가 세팅된다. 카운터(H)는 시프트레지스터(G)의 시프트 간격을 결정한다. 1 내지 8번째까지의 동기펄스 발생중에, 카운터 회로(E)는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로 스위치(F)를 유지하며, 여기서 회로(A)로부터의 신호와 시프트레지스터(G)로부터의 신호 모두가 AND 게이트(30)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영향을 미치게 하므로, 시프트레지스터는 1 내지 8번째까니의 동기펄스 발생중에 나타나는 모든 신호(T1)를 고려한다. 9번재 동기펄스에서 카운터 회로(E)는 스위치(F)를 제 1 도에 도시된 위치의 반대위치로 전환시킨다. 이에 따라 시프트레지스터(G)는 감시하고자 하는 신호의 구조 또는 형상을 학습한 것으로 된다. 그 다음 시프트레지스터의 기억내용은 정지후 기계에서 새로운 학습모드로 될 때까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신호(T1)가 제 3 도의 펄스선도와 같이 연속적으로 발생될지라도 당연히 예시된 중단 또는 절단 이상으로 벗어나는 추가 절단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추가의 중단은 신호의 종단일 수 있고, 어느 응용에서는 신호가 모든 기계 싸이클의 동일위치에서 중단되게 하는 것을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시신호의 구조 또는 그에 의한 형상은 실의 질에 따라 변화되고 기계에 따라 변화된다. 더구나 상이한 색의 실들은 다른 신호형상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다색 제조기계에서 각 실의 다양성과 실 색에 대하여 상기에 기술된 유형의 한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는 상이한 유형의 제품, 실예를 들면 스타킹 또는 양말을 직조하는 기계에 응용될 수 있다. 사용된 각각의 실은 실이동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기에 배치된다. 또한, 이 기계에는 전기신호 또는 플래그펄스(제 4 도 및 제 5 도에 "FLAG"로 표기됨)를 발생시키고, 한 기계작동 주기중에 실이동 검출기간을 한정하는 발생기가 제공되며, 상기 기계작동주기는 패턴 스테이지 또는 직조작동주기라고도 한다. 기계작동기간은 또한, 기계 싸이클이라 칭하여질 수 있다. 직조하고자 하는 제품은 제품과 그의 패턴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의 직조주기 또는 패턴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계는 각 제품의 제조시작시에 이에 따른 새로운 패턴의 시작시에 전기신호 또는 동기펄스(제 4 도 및 제 5 도에 "SYNC"로 표기함)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발생기를 구비한다.
제 5 도에 예시된 회로도는, 원칙적으로 당업자에 분명하며, 당업자가 직조기에서 스타킹 또는 양말의 제조를 감시하는 장치를 실시가능하게 한다. 제 5 도는 하드웨어부를 나타내고, 제 4 도는 소프트웨어부 또는 하드웨어부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내며, 이는 이 기술에 숙련된 자가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제 5 도의 하드웨어부는 시장에서 구입가능한 다수의 집적회로(1-11)로 이루어져 있다. 집적회로(IC3)는 집적회로(IC9)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고, 집적회로(IC9)는 판독 메모리로써 회로의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프로세서(IC3)는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 회로(IC9)에 의하여 제어되는 블록킹 회로를 제공한다. 집적회로(IC8)는 기억회로이다. 집적회로(IC10)는 AD 컨버터이며, 집적회로(IC2)는 입출력회로이다. 집적회로(IC7)는 기억회로(IC8)용 배터리 백-업 회로이고, 집적회로(IC4), (IC5) 및 (IC6)는 디코우더이다. 또 회로도에서 기호는 일반적인 약호이다. 스위치(S1)는 장치가 확인모드로 절환되게 하는 입출력회로(IC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집적회로(IC2)에는 작동후 전자회로와 프로그램을 초기위치로 리세트하는 리세트 버튼 "RESET"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패턴 스테이지 또는 기계작동주기에서 실이동이 검출되는 시간의 주기를 결정하는 플래그펄스를 수신하는 센서회로 "SENS"가 결합된다. 또한, 회로 유니트 "SYNC"는 각 제품의 제조시작시 동기펄스의 입력을 위한 입출력회로(IC2)에 접속된다. 입출력회로(IC2)에는 플래그펄스, 동기펄스, 합계검사 CHK와 학습모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D1-LD4)가 연결되어 있다. 또 입출력회로(IC2)에는 두개의 릴레이(RE1)와 (RE2)가 연결된다. 경보 및/또는 정지기능을 트리거하는 신호가 발생되자마자, 릴레이(RE1) 표시램프의 점등 또는 다른 유형의 신호 발생기를 작동시키고, 릴레이(RE2)는 기계를 정지시킨다.
기계에 포함된 모든 실이동 신호 발생기는 AD 컨버터(IC10)에 연결되고, 모든 발생기들은 전류 발생기 타입이며, 따라서 감지중에 이동하는 실이 많으면 많을수록 AD 컨버터에 더 큰 전류를 인가하고, 따라서 AD 컨버터로부터 더욱더 작은 디지탈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입력 발생기 신호가 없게 되면, 디지탈 신호는 255개의 값을 가진 출력신호로 된다. 집적회로(IC11)와 전위차계(P1)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기의 감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 4 도를 참조하여 시작단계로부터 상기 회로의 작동모드가 기술된다. "시작"부터 "정지"로 되는 주플로우챠트와 별개로, "인터럽트" 플로우챠트가 도시되며, 이는 의도된 바에 따라 제 5 도에 전원스위치(F)를 두번 눌렀을 때마다 가동되는 확인모드에 대한 것이다. 학습모드가 어떻게 진행하는지는 주플로우챠트에서 알 수 있다. 전원이 온되고 다수의 초기결합 검사가 수행될 때, 장치는 시동펄스로 적합한 동기펄스를 기다린다.
동기펄스가 발생하자마자 패턴 스테이지 0이 시작된다. 합계감사가 정확할 경우, 학습모드 또는 정상 검출모드를 수행할 것인가가 문의된다. 예를 들어, 양말과 같은 완전한 새로운 제품의 제조를 시작하기 전에, 확인 단계가 당연히 수행되며, 이때 발광다이오드(LD4)가 점등한다. 장치가 학습 또는 검출모드인지에 관계없이, 발광다이오드(LD4)가 소등되어 있는 동안 장치는 패턴 스테이지 1이 시작되어 CLR이 클리어되도록 작용하는 플래그펄스는 기다리게 되고, 기억회로(IC8)(컴퓨터 회로)는 클리어된다. 플래그펄스가 존재되는 한 AD 컨버터(IC10)로부터의 신호는 매우 짧은 기간, 실예를 들면 100밀리초내에 판독되고, 판독된 내용은 기억회로(IC8)에 기억된다. 플래그펄스가 사라지고 패턴 스테이지와 기계작동주기가 완료된 때, 펄스플래그 기간동안 수행된 판독 평균값이 산출되며, 장치가 학습모드(LEARN)에 있게 되는 경우, 그 최종의 평균값은 기억된다. 한편, 장치가 검출모드에 있게 되는 경우, 최종 평균값은 신호의 학습모드중 패턴스테이지에서 사전에 기억시킨 값과 비교된다. 검출작동중 얻어진 평균값 사이의 차가 기억된 값으로부터 소정수의 단위 이상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장치 다음의 패턴 스테이지로 이전하나, 그 차가 클경우 경보 또는 정지기능을 트리거하는 신호가 발생되어 릴레이(RE1) 및 (RE2)를 구동시킨다. 검사후 승인된 완전한 제품 또는 완전한 양말의 제조완료 후, 기억회로(IC8)에서는 검출모드에서 정상작동중 검출된 신호의 산출평균값과 비교될 각 패턴 스테이지에 대한 신호값을 기억한다.
제 4 도는 합계검사가 부정확한 경우 학습모드로 자동절환됨을 나타내지만, 거의 대부분의 경우 자동학습 모드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합계 감시가 부정확한 경우 경보 및/또는 정지기능을 트리거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기본적으로, 모든 학습모드작동이 감시되어야 하며, 연속적으로 제조완료된 제품은 검출모드로 절환이 수행되기 전에 검사되어야 한다.
학습모드를 작동하고, 이렇게하여 제조완료된 제품을 승인한 후, 각 패턴 스테이지에 대한 신호는 기억회로(IC8)에 기억되고, 기계는 수일, 수주일 또는 몇 달동안 새로운 학습모드를 이행시키지 않고도 동안 동일 제품의 제조를 위하여 작동된다.
따라서 모든 패턴 스테이지에서 여러개의 실 또는 방사 또는 다른 종류의 실 또는 방사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장치가 모든 패턴 스테이지에서 검출하고 제조동작중 검출된 실이동, 소위 마스터 양말 또는 최소에 제조된 양말 또는 학습단계에서 제조된 양말에 의하여 미리 얻어진 패턴 스테이지에서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기계작동주기 또는 모든 패턴 스테이지에서 여러 가지의 검출작동이 수행되고, 사전에 기억된 신호와 비교되는 모든 검출 평균값이 얻어지므로, 신호에서의 어떠한 편차는 기계정지를 시키지 않고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에 관련한 첨부의 청구범위를 일게 되면, 다수의 연속 이어지는 신호들은 연속 제조되는 제품에서 한가지 동일 패턴 스테이지로부터의 신호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패턴 스테이지들이 동일하고 각 패턴에 대한 기억신호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기억신호와 검출시간에 허용된 편차 이상 서로 상이하지 않을 경우, 이 신호 또한 동일 제품에서 몇가지 연속 이어지는 패턴 스테이지에 의한 신호들로써 당연히 이해될 수 있다.

Claims (9)

  1. 신호 발생기(50)로부터 수신되며 마스터 제품의 제조를 대표하는 기준신호를 포함하는 신호가 알려지고 허용가능한 편차 범위내의 편차를 가지고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신호 발생기(50)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각 다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디지탈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생기(50)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디지탈화하는 디지탈화 회로(A) ; 신호 발생기(50)로부터의 수신신호에서 허용 불가능한 편차를 표시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회로(C) ; 상기 디지탈화 회로(A)로부터 제공된 신호에서 신호편차를 감시하며, 마스터 제품의 제조시작시에 시작되고 마스터 제품의 제조완료시에 종료하는 미리 설정된 학습주기 동안 편차 감시시의 기준신호가 되는 비교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저장회로(G) ; 검출주기중에 상기 디지탈화 회로(A)로부터 제공된 신호와 상기 저장회로(G)로부터의 비교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탈화 회로(A)로부터 제공된 신호가 알 수 있고 허용가능한 범위 이상의 편차를 가졌는지를 검출하고, 만약상기 디지탈화 회로(A)로부터 제공된 신호가 알 수 있고 허용가능한 범위 이상의 편차를 가지지 않았다면 상기 트리거 회로(C)가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디지탈화 회로(A) 및 상기 트리거 회로(C) 사이에 연결된 블록킹 비교회로(B) ; 및 상기 학습주기 및 검출주기 사이를 전환시키며, 상기 학습 주기중에 상기 트리거 회로(C)에 의한 경보신호 발생을 억제하는 상기 블록킹 비교회로(B)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F)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 기준신호는 상기 발생기(50)로부터의 각각의 수신신호에서 허용가능한 편차를 나타내며, 상기 블록킹 비교회로(B)는, 만약 검출주기중에 상기 디지탈화 회로(A)로부터 제공된 신호가 상기 비교 기준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 가변한다면, 상기 트리거 회로(C)가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실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50)와 제조에 이용된 실이 서로 연관되는 제품의 제조에서 실의 이동을 감시하며, 상기 발생기는 제품의 첫번째 패턴 스테이지에 상응하는 동기 펄스와 상기 각각의 패턴 스테이지에서 상기 검출주기에 상응하는 각각의 패턴 스테이지의 플래그 펄스를 발생시키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회로(G) 및 상기 블록킹 비교회로(B)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블록킹 비교회로(B)에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회로(C)에 의해 경보신호가 발생한 후에 초기 상태로 상기 블록킹 비교회로(B)를 전환시키는 리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회로(G)는 상기 학습주기중에 수신신호의 평균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수신신호가 알 수 있고 허용가능한 범위 이내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감시방법에 있어서, 각각 다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디지탈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생기(50)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디지탈화하는 단계 ; 및 상기 디지탈화하는 단계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블록킹 비교회로(B) 및 저장회로(G)에 제공하여, 상기 블록킹 비교회로(B)가 상기 트리거 회로(C)를 통해 선택적으로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허용가능한 범위 이상의 편차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하며, 저장회로(G)가 상기 디지탈화 단계로부터 제공된 신호에서 허용가능한 편차를 인식하여 상기 제공된 신호에서의 편차가 알 수 있고 허용가능한 범위 이내일 때 상기 블록킹 비교회로(B)가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지탈화 단계로부터 제공된 디지탈 신호를 블록킹 비교회로(B) 및 저장회로(G)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탈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 이상 상기 디지탈화 회로(A)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는 편물기계에서의 기계 사이클의 일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기계 사이클은 편물제품에서의 하나의 편물주기 또는 편물제품에 대한 패턴에서 하나의 패턴 스테이지에 상응하며, 상기 수신신호는 상기 기계사이클중에 발생하는 실의 이동에 상응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 동안 상기 저장회로(G)에 의한 저장은 마스터 제품의 제조시작시 시작되며 마스터 제품의 제조완료시 종료하는 학습주기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방법.
  6. 마스터 제품의 제조를 대표하는 기준신호를 포함하며, 제품제조에서 단계를 나타내는 수신신호가 알수 있고 허용가능한 편차 범위 이내의 편차를 가졌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제품의 제조를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 다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디지탈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품제조에서 단계를 나타내는 수신신호를 디지탈화하는 단계 ; 허용가능한 편차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학습주기 이상 상기 기준신호에서 편차를 표시하는 비교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 상기 디지탈화 단계로부터 제공된 또다른 신호가 허용가능한 범위 이상의 편차를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학습주기가 종료한 후에 시작하는 검출주기중에 상기 비교 기준신호와 상기 또다른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 또다른 신호가 허용가능한 범위이상의 편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트리거 회로(C)에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 및 또다른 신호가 허용가능한 범위 이상의 편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경보신호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주기는 마스터 제품의 제조시작시에 시작하며 마스터 제품의 제조완료시에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제조를 감시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주기 및 감지주기는 편물기계에서 다수의 기계 사이클의 일부분에 상응하며, 상기 기계 사이클은 편물 제품에서 편물주기 또는 편물제품에 대한 패턴에서 패턴 스테이지에 상응하며, 상기 또다른 디지탈신호는 상기 기계 사이클중에 발생하는 실의 이동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제조를 감시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기준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준신호에서 편차의 평균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기준신호에서의 상기 편차의 평균값과 상기 또다른 디지탈신호에서의 편차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만약 상기 또다른 디지탈 신호에서의 편차가 상기 평균값을 초과하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제조를 감시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주기 및 검출주기는 상기 제품을 제조하는 다수의 기계 사이클의 일부분에 상응하며, 각각의 기계 사이클은 패턴 스테이지에 상응하며, 상기 비교단계는 기계 사이클 동안 저장된 상기 평균값에서 저장된 패턴 스테이지에 상응하는 값을 감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만약 상기 감산하는 단계의 결과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트리거 회로(C)가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제조를 감시하는 방법.
KR1019880700257A 1986-07-07 1987-07-06 감시방법 및 감시장치 KR960005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603005-3 1986-07-07
SE8603005A SE450186B (sv) 1986-07-07 1986-07-07 Sett och anordning for overvakning av att flera efter varandra foljande signaler har huvudsakligen samma vagform
PCT/SE1987/000320 WO1988000412A1 (en) 1986-07-07 1987-07-06 Improved monitoring methodolog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2006A KR880702006A (ko) 1988-11-07
KR960005195B1 true KR960005195B1 (ko) 1996-04-22

Family

ID=2036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257A KR960005195B1 (ko) 1986-07-07 1987-07-06 감시방법 및 감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420836B1 (ko)
JP (1) JP3146435B2 (ko)
KR (1) KR960005195B1 (ko)
AT (1) ATE118660T1 (ko)
DE (1) DE3751068T2 (ko)
RU (1) RU2090935C1 (ko)
SE (1) SE450186B (ko)
WO (1) WO1988000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4454B (en) * 2000-07-04 2004-05-26 Tmc Consultancy Ltd Tracking unit signal filter
DE10112795A1 (de) 2001-03-16 2002-09-26 Iro Ab Verfahren zur Produktionsüberwachungs/Einstellung einer Strickmaschine, und Produktionsüberwachungs/Einstellungs-Vorrichtung
FR2943154B1 (fr) * 2009-03-12 2011-04-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u reveil d'organes esclaves d'un reseau lin, par analyse des raisons du reveil
US9030328B2 (en) * 2012-10-10 2015-05-12 Siemens Aktiengsellschaft Integrated circuit to operate in an area of ionizing radiation, and having an output for a radiation dose-dependent way damage information, and alarm indicators and correspon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7552A (en) * 1966-10-24 1969-07-22 Hughes Aircraft Co Adaptive self-organizing pattern recognizing system
US3581281A (en) * 1967-03-28 1971-05-25 Cornell Aeronautical Labor Inc Pattern recognition computer
US3594585A (en) * 1968-05-31 1971-07-20 Chesapeake Systems Corp Pulse recognition circuit
US3623015A (en) * 1969-09-29 1971-11-23 Sanders Associates Inc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system with continual update of acceptance zone limits
US3725875A (en) * 1969-12-30 1973-04-03 Texas Instruments Inc Probability sort in a storage minimized optimum processor
US3652943A (en) * 1970-05-04 1972-03-28 Honeywell Inc Apparatus including delay means for detecting the absence of information in a stream of bits
US3831039A (en) * 1973-10-09 1974-08-20 Minnesota Mining & Mfg Signal recognition circuitry
DE2644646C2 (de) * 1976-10-02 1983-04-0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s oder mehrerer fehlender Impulse in einer sonst regelmäßigen Impulsfolge
IT1123396B (it) * 1979-10-01 1986-04-30 Lonati Cost Mecc Dispositivo di comando in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in particolare una macchina per calze
US4628269A (en) * 1984-05-23 1986-12-09 Motorola, Inc. Pulse detector for missing or extra pul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8603005D0 (sv) 1986-07-07
JP3146435B2 (ja) 2001-03-19
RU2090935C1 (ru) 1997-09-20
EP0420836A1 (en) 1991-04-10
SE450186B (sv) 1987-06-09
JPH01503190A (ja) 1989-10-26
EP0420836B1 (en) 1995-02-15
DE3751068T2 (de) 1995-06-22
KR880702006A (ko) 1988-11-07
ATE118660T1 (de) 1995-03-15
DE3751068D1 (de) 1995-03-23
WO1988000412A1 (en) 198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8378A (en) Sensor controller system
JP2556658B2 (ja) 織物ウェブにおけるエラーの検出法
US3886413A (en) Presence sensing and self-checking control system
US4612445A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input circuits to a central control and monitoring unit for machines and/or devices usable in production and/or product packaging lines
US4744227A (en) Pattern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KR960005195B1 (ko) 감시방법 및 감시장치
JPH0460548B2 (ko)
US5136499A (en) Monitoring for distinguishing normal from abnormal deviations in a knitting machine
US5341029A (en) Method for supervising a switch
IT9020087A1 (it) Perfezionamenti relativi al controllo del corretto assorbimento dei fili utilizzati in una macchina tessile, in particolare per maglieria o calzetteria
EP0127072B1 (en) Control system with a microprocessor
KR970000017B1 (ko) 편성기용 모니터링 장치
US4140919A (en) Apparatus for the surveillance of one or more electrical signals
US5207763A (en) Monitoring system for knitting machines
EP0985064B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to discriminate false contacts and signal temporary contacts in a loom warp stop motion device
JP3237086B2 (ja) 動作監視装置
CN1031771A (zh) 改进的监控方法及其设备
RU2033483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работы ремизных рамок на ткацком станк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830000802B1 (ko) 유체분사식 직기의 위입 검지 장치
KR840000661B1 (ko)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방법
LT3383B (en) Method for testing for defects of textile materials
US3975928A (en) Synchronizing signal detect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CS217033B1 (cs) Elektronická vyhodnocovací jednotka s opakovaným vyhodnocováním signálů vad v textiliích, zejména v pleteninách
JPH043465B2 (ko)
CN117867745A (zh) 一种提花机的坏针检测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