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661B1 -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방법 - Google Patents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661B1
KR840000661B1 KR1019800003979A KR800003979A KR840000661B1 KR 840000661 B1 KR840000661 B1 KR 840000661B1 KR 1019800003979 A KR1019800003979 A KR 1019800003979A KR 800003979 A KR800003979 A KR 800003979A KR 840000661 B1 KR840000661 B1 KR 840000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eft
detection
loom
angl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473A (ko
Inventor
아끼오 아라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0000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661B1/ko
Publication of KR830004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34Weft stop 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방법
제1도는 종래의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위입미스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선도(線圖).
제2도는 동 위사검출장치가 풍면 (風綿 : fly waste)의 부착등에 의하여 불용(不用)신호를 발생하여 위입미스의 검출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를 표시한 선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방법의 원리동작을 설명하는 정상상태의 선도.
제4도는 동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출방법의 원리동작을 설명하는 이상발생 상태의 선도.
제5도는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장치플 표시하는 회로도.
제6도는 이상검출각도 범위의 다른 설정방법을 표시하는 원리동작도.
본 발명은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異常儉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위사는 위사필러(feeler)에 의하여 검출되는 위치 즉 직기 1회전중의 크랭크각(角) 위상(位相)은 매회 거의 일정하여 어떠한 크랭크각도 범위내로 한정된다.
따라서 위사필러가 위입미스의 검출동작을 행하는 범위를 전술한 크랭크각도범위를 포함하는 적당한 범위로 한정시킴으로써 예를들면 포지등의 위사이외의 불용(不用)한 신호의 영향을 제외시켜 신뢰성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관계를 제1도와 같은 선도(線圖)로 나타내면 크랭크각 a가 일정한 범위의 위사검출각도 범위 A1에 있어서 위사검출신호 S1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위입미스검출신호 S2는 생기지 않으며 위사검출신호 S1이 검출되지 않으면 위입미스검출신호 S2가 생기게 되고 따라서 위사검출각도범위 A1 이외에서 불용한 신호가 생겨도 검출동작은 행하여지지 않아서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위사필러의 위사검출부에 풍면이나 사설(絲屑)이 부착하거나 검출부의 셋팅이 이완되거나 전선이 단선되기 시작하여 연결과 단절이 거급되거나 혹은 외래노이즈(noise)를 수신하게 되면 많은 불용신호 S0(위사검출신호 S1과 같은 펄즈(pulse)신호로서 캣치됨)가 발생되고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위사검출 각도범위 A1 내에도 불용신호 S0가 존재하게되면 위사(위사검출신호 S1)가 검출되지 않아도 신호 S0가 있기 때문에 위입미스를 검출할 수 없게되어 공직(空織)이 되어버리는 결함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1회의 위입동작마다 위사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위사검출장치의 위사검출 각도 범위를 제의시키는 소정의 크랭크 각도 범위 내에 있어서 불용신호가 발생할 때 그 신호를 이상신호로 보고 이상검출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위사검출부에 풍면이나 사설이 부착되어 위입미스의 검출이 불가능 하게 되었을 때 이것을 효과적으로 발견하여 공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불완전 단선, 외래노이즈 또는 어어스(earth) 불량 등으로 불용 신호가 발생하여 위입미스의 검출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이것을 발견하여 공직을 방지할 수 있는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원리를 제 3,4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사가 위사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되는 위치(크랭크각 a)는, 전술한 바와같이 매회전마다 결정되어 있어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어떤범위 A1에 한정되고 따라서 위사검출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전기한 범위 A1 이외의 범위 A2에서는 아무런 신호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위사검출부 예를들면 풍면이 부착되면 이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불용신호 S0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통상 불규칙하게 나타나서 범위 A1에도 범위 A2에도 발생한다,
위사검출각도 범위 A1에 위사이의의 불용신호 S0이 발생하면 위입미스가 있어도 위사필러는 그 불용신호 S0를 위사검출신호 S0를 직접 구별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부착풍면에 의한 불용신호 S0는 전술한 바와같이 기타의 범위 A2에도 발생되고 이 범위 A2내는 정상시에는 무신호이므로 범위 A2 내의 불용신호 S0는 즉시 이상신호로 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위사검출부에의 사설의 부착, 외래노이즈, 회로접지불량 또는 불완전단선에 의하여 발생하는 신호도 풍면부착시와 마찬가지로 범위 A1 내에도 기타의 범위 A2 내에도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이 범위 A2 내에도 위사검출부에의 풍면의 부착 등에 의한 불용신호 S0가 나타나는 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원리는 범위 A2내에 불용신호 So가 있을 때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상 검출신호 S3을 발신시킨으로써 위사검출장치의 이상 즉 위입미스검출 불능의 상태를 검출시켜서 이 이상 검출신호 S3에 의하여 경고표시나 기대정지를 행하게하여 위입미스 검출불량에 기인하는 공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저 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3도,제4도에 표시되는 본 발명의 기본동작을 행하도록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회로를 제5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위사검출장치에는 예를들면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er)와 발광다이오오드(Light-emittingdiode) (LED)를 대향시킨 광전(光電) 검출기 1이 착설되고 이 광전검출기 1에 접속된 증폭파형정형 회로 2에 입력되어 동회로 2로부터 제3도에 표시된 위사검출신호 S1(불용신호 S0)가 출력된다.
크랭크각 a의 검출장치 3으로서 예를 들면 광전식 "로우터리 엔코우더"(Rotary-encoder)가 사용되며 크랭크각 a가 적당한 부호 예를들면 2진수(進數)로 발생되어 이 검출장치 3으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여 제3,4도에 표시한 각도범위신호 즉 위사검출각도범위 A1 및 신호 A1 이외의 신호 A2(이상검출각도범위 신호)가 발생된다.
전기한 증폭파형정형회로 2 및 각도범위발생 회로 4에는 2개의 AND 회로 5,6이 접속되고 한쪽의 AND회로 5에 대하여 각도범위발생회로 4로부터 위사검출각도 범위신호 A1이 입력되고 증폭 파형정형회로로 2로부터의 위사검출신호 S1이 입력되면 이 AND회로 5로부터 신호 S4가 출력되며, 다른 쪽의 AND 회로 6에 대하여 각도범위 발생회로 4로부터 이상검출각도범위 신호 A2가 입력되고 증폭 파형정형회로 2로부터 불용신호 S0가 입력되면 이 AND 회로 6으로부터 신호 S5가 출력된다.
전기한 AND 회로 5와 각도범위발생회로 4에는 "플려 플릅-원셔트 타임머"(Flip flop-one shot timer) 복합회로 7이 접속되고 이복합회로 7에 대하여 전기한 AND 회로 5의 신호 S4(logic 1)가 입력되면 그 로지크 1은 기억되고 이 상태에서 신호 A1의 다운(down)이 오면 로지크 1은 크리어(clear)되어 그 복합회로 7로부터 위입미스검출신호 s2는 출력되지 않는다. 반대로 위서검출장치에 의하여 위사가 검출되지 않고 AND 회로 5로부터 신호 S4가 전기한 복합회로 7에 입력되지 않고 그 복합회로 7에 로지크 1이 기억되지 않는 상태에서 신호 A1은 다운(down)이 오면 복합회로 7로부터 "원 셔트 펄즈"(one shot pulse)의 위입미스검출신호 S2가 발신된다.
전기한 AND 회로 6과 각도범위발생회로 4에는 "랫치 원 셔트 타임머" 복합회로 8이 접속되어 이상검출 각도범위신호 A2와 불용신호 S0가 전기한 AND회로 6에 입력되고 동회로 6으로부터 신호 S5(로지크 1)가 전기한 복합회로 8에 입력되면 그로지크 1은 기억되고 이 상태에서 신호 A2의 다운이 오게 되면 그 복합회로 8로부터 "원 셔트 펄즈"의 이상검출신호 S3이 출력된다. 따라서 신호 A2 내에 불용신호 S0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이상검출신호 S3가 출력되고 경고표시 또는 기대정지가 행하여져서 위입미스검출불량과 에에 기인한 공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사검출각도범위 A1 이외의 범위 A2 내에서 불용신호 S0가 발생 하였을 때 이것을 이상신호로 보고 AND 회로 6에 의하여 검출하여 신호 S5를 "랫치 원 셔트 타임머" 복합회로 8에 입력시켜서 기억시키고 이 상태에서 신호 A2의 다운이 왔을 때 그 복합회로 8로부터 이상검출신호 S3을 출력하도록 한 것이므로 범위 A2 내의 신호의 유무의 검출이라는 간단한 방법으로 극히 효과적으로 위사검출장치의 여러가지의 이상 즉 검출부에의 풍면의 부착, 사설의 걸림, 외래노이즈, 접지(earth) 불량, 불완전단선 또는 검출부의 셋팅이완 등을 검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사검출각도범위 A1 이외의 범위 A2내에서 불용신호 S0가 발생 하였을 때 이것을 이상신호로 보고 AND 회로 6에 의하여 검출하여 신호 S5를 "랫치 원 셔트 타임머" 복합회로 8에 입력시켜서 기억시키고 이 상태에서 신호 A2의 다운이 왔을 때 그 복합회로 8로부터 이상검출신호 S3을 출력하도록 한 것이므로 범위 A2내의 신호의 유무의 검출이라는 간단한 방법으로 극히 효과적으로 위사검출장치의 여러가지 이상 즉 검출부에의 풍면의 부착, 사설의 걸림, 외래노이즈, 접지(earth) 불량, 불완전단선 또는 검출부의 셋팅이완 등을 검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사검출각도범위 A1 이외의 범위 A2내의 불용신호 S0를 이상신호로 보고 이상검출신호 S3을 출력하게 하였으므로 광전검출기 1의 감도를 너무 올렸을 때에도 불용신호 S0가 발생되어 이상 검출동작이 행하여지고 따라서 감도조절불량을 알수있게 되어 감도조절을 용이하게 행할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더 구체와 시킬 수도 있다.
(1) 이상 검출각도 범위 A2 내에, 직포, 래피어(Rapier) 직기 등의 경우의 위입캐리어 또는 다른 직기에 구비된 기구 등에 의하여 일정한 시기에 필연적으로 신호가 발생되어버리는 경우, 또는 이와같은 현상이 생기지 않아도 제6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위사검출각도범위 A1을 제외한 크랭크각도내의 일정각도로 이상검출각도범위 A2로 설정하여도 좋다.
(2) 제4도에서는 이상검출신호 S3는 이상검출각도 범위 A2 신호의 다운에서 "원 셔트 펄즈"로서 발생시키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으나 다른 임의의 크랭크 각도위치라도 좋고 또 신호 S3를 스테프(step)신호로 하여도 좋다.
(3) 이상검출신호 S3 1회의 발생으로 곧 이상이라고 보지 않고
ㄱ. 이상검출신호 S3가 직기의 일정회전수 연속하여 발생된 경우.
ㄴ. 이상검출신호 S3가 직기의 일정회전수 예를들면 100회전 중에 어떤회수 예를 들면 20회 이상 발생한 경우.
ㄷ. 전술한 ㄱ,ㄴ의 적당한 조합 예를들면 ㄱ 또는 ㄴ의 어느 한가지 경우 또는 ㄱ과 ㄴ이 일정회전수내에 연달아 발생되는 경우
전기한 ㄱ,ㄴ,ㄷ의경우만을 이상으로 보도록 하게 할 수도 있더,
이와 같이 하게 한다면 풍면의 일시적부착, 일과성(一過性)외래노이즈 등에 의한 이상검출 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4) 이상검출각도범위 A2내에서 생긴 위사검출신호 S1을 계수(計數)하고, 그 수가 일정수를 넘었을 경우에는 이상으로 본데도 좋다.
(5) 이상 검출각도범위 A2내의 불용신호 S0의 계수에 의하여 전술한 (3)의 ㄱ,ㄴ,ㄷ의 이상으로보는 일정수를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회전내의 소정의 크랭크각도범위를 설정하고 이 시기에 위사의 존재를 검출하는 위사검출장치를 갖춘 직기에 있어서 전기한 위사검출각도를 제외한 소정의 크랭크 각도 범위 내에 위사검출장치로부터의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그 신호를 이상 신호를 취하여 위사검출장치의 이상을 검출함으로써 원사검출부에 풍면이나 사설이 부착되어 위입미스의 검출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이것을 효과적으로 발견하여 공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완전단선, 외래노이즈, 또는 접지(earth) 불량 등으로 불용신호가 발생되어 위입미스의 검출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이것을 발견하여 공전을 방지할 수가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회전 내의 소정의 크랭크각도범위를 설정하고 이 시기에 위사의 존재를 검출하는 위사검출장치를 갖춘 직기에 있어서, 전기한 위사검출각도 범위를 제외한 소정의 크랭크각도범위내에서 위사검출장치로부터의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그 신호를 이상 신호로 취하여 위사검사 장치의 이상을 검출함을 특징으로하는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장치.
KR1019800003979A 1980-10-16 1980-10-16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방법 KR840000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979A KR840000661B1 (ko) 1980-10-16 1980-10-16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979A KR840000661B1 (ko) 1980-10-16 1980-10-16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473A KR830004473A (ko) 1983-07-13
KR840000661B1 true KR840000661B1 (ko) 1984-05-09

Family

ID=1921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979A KR840000661B1 (ko) 1980-10-16 1980-10-16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6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473A (ko) 198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9015B1 (en) Fault-detecting intrusion detection device
KR970000021B1 (ko) 직물 길이의 결함 검출 방법
US4831361A (en) Environmental abnormality alarm apparatus
GB2193826A (en) Environmental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US4199755A (en) Optical smoke detector
US459827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monitoring noise levels of detectors arranged in an alarm installation
US4362190A (en) Method of sensing abnormality of weft detecting device in loom
US5293774A (en) Shaft breakage detection apparatus
KR840000661B1 (ko) 직기에 있어서 위사검출장치의 이상검지방법
US3942166A (en) Fault detection and signaling system
JPS58139637A (ja) 回転整流装置のダイオ−ド故障検出装置
US6014991A (en) Method of monitoring the function of a stop motion arrangement in an air jet loom
KR960005195B1 (ko) 감시방법 및 감시장치
JPS64494B2 (ko)
JPH0691427A (ja) 間欠歯状体の歯欠け検出装置
JP2712221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入れミス検出方法
EP0991042A2 (en) Signall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JPS6320599A (ja) 警報装置用の検出器
GB2256486A (en) Shaft breakage detection apparatus
GB2068113A (en) Detection of faults in fabrics
JP2560551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検出装置
RU20763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JPH0333824B2 (ko)
JPH0846505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04225186A (ja) 織機における緯糸検知方法及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