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101Y1 - 리드프레임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101Y1
KR960004101Y1 KR92000051U KR920000051U KR960004101Y1 KR 960004101 Y1 KR960004101 Y1 KR 960004101Y1 KR 92000051 U KR92000051 U KR 92000051U KR 920000051 U KR920000051 U KR 920000051U KR 960004101 Y1 KR960004101 Y1 KR 960004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pad
package
lead frame
edge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0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793U (ko
Inventor
박영욱
Original Assignee
안시환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시환,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시환
Priority to KR92000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101Y1/ko
Publication of KR930018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7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드프레임
제1도는 리드프레임이 팩키지화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리드프레임의 다이패드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a도는 노치홈방식의 다이패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제b도는 십자형장공방식의 다이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패드 1a : 요철부
2 : IC칩 3 : 리드단자
본 고안은 리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IC칩이 부착되는 다이패드의 구조를 개량한 리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반도체 개발추세가 고밀도, 박형실장형으로 감에 따라 팩키지사이즈(package size)에 비하여 IC칩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증대되고, 팩키지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팩키지 신뢰성 시험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IC칩(10)이 부착된 다이패드(11)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팩키지(12)의 클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팩키지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2a도, 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패드(20)의 저면에 노치(notch)형상의 홈(21)을 복수개 형성하거나, 다이패드(30)의 중앙부에 십자형 장공(31)을 형성하며, 팩키지와 다이패드의 계면사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팩키지의 크랙을 방지하도록 하였다(미설명 부호 22, 32는 리드단자임).
그러나 이러한 종래 다이패드는 팩키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다이패드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적어 여전히 다이패드 가장자리부위에서의 팩키지 크랙이 발생되게 되며, 십자형장공방식의 경우 팩키지과정에서 몰드물이 십자형장공을 통해 오버플로우(over flow)되고 IC칩의 부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이패드 가장자리부위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극소화 시킬 수 있도록 다이패드를 개량한 리드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IC칩이 부착되는 다이패드와, 상기 다이패드의 IC칩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리드단자를 구비하여된 리드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다이패드의 가장자리에 팩키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응력을 분산시키는 요철부가 형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IC칩(2)이 부착되는 다이패드(1)와, 상기 다이패드(1)에 부착된 IC칩(2)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리드단자(3)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다이패드(1)의 가장자리에는 팩키지와 다이패드(1)의 계면사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가장자리 부근의 응력을 분산시키는 요철부(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은, 다이패드(1)의 가장자리에 요철부(1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요철부(1a)에 이해 팩키지와 다이패드의 계면사이의 접촉면적이 증대되게 됨과 동시에 다이패드의 가장자리부위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분산되게 됨에 따라 다이패드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발생되는 팩키지의 크랙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리드프레임은 IC칩이 부착되는 다이패드의 가장자리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이패드 가장자리 부위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다이패드 가장자리부위의 팩키지 크랙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2차 정정) IC칩이 부착되는 것으로 패키지에 매몰되는 다이패드와 상기 다이패드의 IC칩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리드 단자를 구비한 리드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리드단자를 향하는 다이패드(1)의 가장자리에 상기 패키지의 일부가 진입되는 요철부가 다수 마련되어 상기 패키지와 상기 다이패드의 가장자리 간의 접촉면적이 확대됨과 아울러 패키지와 다이패드 가장자리 접촉부분의 응력이 분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KR92000051U 1992-01-06 1992-01-06 리드프레임 KR960004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051U KR960004101Y1 (ko) 1992-01-06 1992-01-06 리드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051U KR960004101Y1 (ko) 1992-01-06 1992-01-06 리드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793U KR930018793U (ko) 1993-08-21
KR960004101Y1 true KR960004101Y1 (ko) 1996-05-21

Family

ID=1932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0051U KR960004101Y1 (ko) 1992-01-06 1992-01-06 리드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1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793U (ko) 199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5227A (en) Resin molded typ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nductor film
US5195023A (en) Integrated circuit package with strain relief grooves
US6437427B1 (en) Lead frame used for the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packages and semiconductor package fabricated using the same
US6177724B1 (en) Semiconductor device
US5539257A (en) Resin molded typ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nductor film
KR960004101Y1 (ko) 리드프레임
EP0177251B1 (en)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reliable bonding pad structure
US5552639A (en) Resin molded typ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nductor film
US5083186A (en) Semiconductor device lead frame with rounded edges
JP2002110888A (ja) アイランド露出型半導体装置
JP2914409B2 (ja) 半導体素子
JPH0685133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960002496B1 (ko) 반도체 패키지
JPH04199721A (ja) ワイヤボンディグ方式半導体装置
GB2115220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426498B1 (ko) 반도체패키지의그구조
KR0152941B1 (ko) 반도체 패키지
KR200249560Y1 (ko) 비·엘·피 및 이를 이용한 패키지 스택
KR0151045B1 (ko) 슬릿을 구비하는 반도체 칩
KR970001139Y1 (ko) 비엘피(blp)용 리드 프레임
JP2022142230A (ja) 半導体装置
KR100476667B1 (ko) 리드프레임및이를이용한반도체칩패키지
KR940002774Y1 (ko) 패드부분을 얇게 한 리드프레임
KR950006232Y1 (ko) 반도체 패키지용 리드프레임 패들
JPS59112638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