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037B1 -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037B1
KR960004037B1 KR1019920027568A KR920027568A KR960004037B1 KR 960004037 B1 KR960004037 B1 KR 960004037B1 KR 1019920027568 A KR1019920027568 A KR 1019920027568A KR 920027568 A KR920027568 A KR 920027568A KR 960004037 B1 KR960004037 B1 KR 960004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phalosporin
kfcc
iii
fermentation
produ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775A (ko
Inventor
길광훈
손영선
유명규
이근철
박종성
Original Assignee
제일제당주식회사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제당주식회사, 김정순 filed Critical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7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037B1/ko
Publication of KR94001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3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fung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a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 e.g. cephalosporin
    • C12P35/06Cephalosporin C;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745Cephalosporium ; Acremonium
    • C12R2001/75Cephalosporium acremonium ; Acremonium strict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911Microorganisms using fungi
    • Y10S435/925Cephalosporium
    • Y10S435/926Cephalosporium acrem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팔로스포리움 아크레모니움 KFCC 10679의 변이주로서 이온인 수은에 내성을 가지며 주성분이 이성화액당, 혼합오일, 땅콩분, 콘스팁리커인 배지에서 배양시 세팔로스포린 C를 고농도로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생물을 이용하여 세팔로스포린 C를 고농도로 생산하는 방법의 경우 배지원료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Fe++, Cu++, Hg++, As++등의 농도변화에 따라 세팔로스포린 C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제거하여 어떠한 원료나 생산방법을 사용하더라도 항상 세팔로스포린 C를 고농도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중금속이온의 독성을 중화시키기 위해 세팔로스포린 C를 고농도로 생산하는 중금속 내성주를 변이처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미생물은 중금속이온 존재하에서도 생육할 수 있는 수단으로 고농도의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여 중금속이온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특징으로 가진 미생물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은 세팔로스포리움 아크레모니움 KFCC 10679를 친주로 하여 자외선 조사,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NTG)등의 변이 유발제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처리한 후 염화수은이 3-30㎍/ml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액체 또는 한천배지(포도당 10g/L, 아스파라긴 1g/L, 황산마그네슘 0.5g/L, 인산제1칼륨 0.5g/L, 인산제 2 칼륨 1g/L, pH 7.0)에서 7-10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대부분의 균주들은 염화수은의 농도가 높아 생육할 수 없으며 중금속이온에 대해 내구성이 높은 균주는 생육이 가능하므로 친주에 비해 중금속이온의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IC)가 2배 이상되는 변이주를 얻을 수 있었고 이 내성주들 중에서 세팔로스포린 C의 생상성이 향상된 염화수은 내성주 세팔로스포리움 아크레모니움 KFCC 10785을 1992년 11월 3일 한국종균협회에 기탁하였다. 상기 균주들의 균학적 성질은 중금속이온 내성 및 세팔로스포린 C의 생산성을 제외하고는 친주의 그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 미생물의 특성은 다음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1] 염화수은 농도에 대한 내성 비교
〈주〉 사용배지 ; 한천배지
+ ; 생육, - ; 생육치 못함.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 사용균주 : 본 발명 미생물(KFCC 10785)
· 1차 종배지 : 대두분 3.0%, 콘스팁리커 0.75%, 설탕 2.5%, 포도당 1.0%, 탄산칼슘 0.5%, 소포제 0.15%, pH 7.0
· 2차 종배지 : 대두분 3.0%, 땅콩분 3.0%, 콘스팁리커 1.5%, 설탕 2.5%, 포도당 1.0%, 탄산칼슘 0.5%, 소포제 0.15%, pH 6.9
· 발효배지 : 이성화액당 4.5%, 혼합오일 7.0%, 땅콩분 2.5%, 콘스트립커 3.5%, 콘밀 1.5%, 글루텐밀 3.0%, D,L-메타오닌 0.75%, 황산칼슘 1.0%, 탄산칼슘 2.5%, 소포제 0.1%, pH 6.9
· 1차 종배양 : 1차 종배지를 50ml 씩 500ml용량의 진탕용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살균후 균주를 식균하여 30℃에서 220rpm으로 90-96시간 진탕배양 하였다.
· 2차 종배양 : 2차 종배지를 7ℓ용량의 시험용 발효조에 각 5ℓ씩 분주하고 121℃에서 30분간 살균 냉각후 1차 종배양에서 얻은 배양 완료액을 15㎖씩 접종한 다음, 공기를 매분당 0.5-1.0ℓ 공급하면서 600-900rpm으로 30℃에서 80-90시간 배양하였다.
· 발효방법 : 상기 발효배지를 30ℓ용량의 시험용 발효조에 19.4ℓ씩 분주하고 121℃에서 30분간 살균, 냉각하여 2차 종배양액을 1.6ℓ씩 접종한 후 공기를 매분당 0.5-1.0ℓ 공급하면서 300-600rpm으로 25-30℃로 배양하였다. 배양중 잔존 혼합오일 농도가 4-5%가 되면 살균된 혼합오일을 수시로 공급하였다.
추가된 혼합오일과 초기에 발효배지에 첨가된 혼합오일의 합계가 발효액량 대비 12-17%가 될 때까지 계속 배양하였다. 배양중 pH는 암모니아수를 사용하여 5.0-6.0으로 조절하였다. 배양완료후 세팔로스포린 C의 농도는 KFCC 10679가 36.2g/L, KFCC 10783가 40.3g/L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생물은 통상은 세팔로스포린 C의 발효시에 사용되는 원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어떠한 원료를 사용하더라도 고농도로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할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중금속이온인 염화수은 농도가 20㎍/ml이상인 조건에서도 생육할 수 있는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세팔로스포리움 아크레모니움 KFCC 10785.
  2. 제 1 항의 미생물을 이성화액당, 혼합오일, 땅콩분, 콘스팁리커 등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하여 세팔로스포린 C를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KR1019920027568A 1992-12-31 1992-12-31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KR96000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568A KR960004037B1 (ko) 1992-12-31 1992-12-31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568A KR960004037B1 (ko) 1992-12-31 1992-12-31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775A KR940014775A (ko) 1994-07-19
KR960004037B1 true KR960004037B1 (ko) 1996-03-25

Family

ID=1934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568A KR960004037B1 (ko) 1992-12-31 1992-12-31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0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775A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0924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l-метионина, штамм бактерии escherichia coli вкпм в-8125 - продуцент l-метионина
EP1041154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5-aminolevulinic acid
CA1208579A (en) Microorganisms of the genus hyphomicrobium and process for degrading compounds which contain methyl groups in aqueous solutions
EP0055809B1 (en) Production of enduracidin and microorganisms therefor
KR960004037B1 (ko)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KR0134131B1 (ko) 세파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파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KR960004036B1 (ko)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KR960004035B1 (ko)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KR100202197B1 (ko) 원생동물 보티셀라의 단리방법 및 폐수처리용 제제로서의 용도
KR100447423B1 (ko) 세팔로스포린c 생산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c의 제조방법
KR100446110B1 (ko) 세팔로스포린 c 생산 미생물
KR100280189B1 (ko) 세팔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KR0139047B1 (ko) 폴리비닐 알코올함유 폐수처리를 위한 새로운 공생 미생물 균주 및 그를 이용한 폴리비닐 알코올 함유 폐수의 처리방법
KR910004371B1 (ko) 미생물에 의한 세팔로스포린c의 제조방법
KR970007200B1 (ko) 에리스리톨의 제조방법
JP3082973B2 (ja) 3α,7α−ジヒドロキシ−12−ケト−5β−コラン酸の製造方法
KR920005975B1 (ko) 미생물에 의한 l-글루타민의 제조방법
KR100446108B1 (ko) 세팔로스포린c생산미생물및이를이용한세팔로스포린c의제조방법
KR0162725B1 (ko) 스트렙토키나제 및 스트렙토도르나제의 동시 제조방법
FI78733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cefalosporin-c.
KR830001258B1 (ko) 미생물에 의한 l-글루타민의 제조방법
KR910007822B1 (ko) 미생물에 의한 l-글루타민의 제조방법
KR0140921B1 (ko) 신균주인 Bacillus licheniformis NSBS 2-14
JPH10262651A (ja) シアン化合物分解菌
US3434930A (en) Method of producing tetracyc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