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501Y1 -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501Y1
KR960003501Y1 KR2019930013602U KR930013602U KR960003501Y1 KR 960003501 Y1 KR960003501 Y1 KR 960003501Y1 KR 2019930013602 U KR2019930013602 U KR 2019930013602U KR 930013602 U KR930013602 U KR 930013602U KR 960003501 Y1 KR960003501 Y1 KR 960003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switch
hose
brake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574U (ko
Inventor
김재동
송길호
Original Assignee
김재동
송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동, 송길호 filed Critical 김재동
Priority to KR2019930013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501Y1/ko
Publication of KR9500035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작동라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2 : 휴즈
3 : 엔진키 4 : 스톱스위치
5 : 전자콘프롤브레이크유니트(ELECTRONIC CONTROL BRAKE UNIT)
6 : 파워릴레이(POWER RELAY)
7 : 스피트센서(SPEED SENSOR)
8 : 악세레이터페달
9 :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
10 : 오토/노멀스위치(AUTO/NOMAL SWITCH)
11 : 도난방지비상스위치 12 : 엔진
13 : 진공탱크(VACCUM TANK)
14 : 첵크밸브 15, 15A, 15B : 호스
17 : 실린더 18 : 피스톤
18A : 로드 19 : 브레이크페달
본 고안은 자동차가 주행시 신호대나 자동차의 심한 정체현상으로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오랫동안 정차하고 있을시에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기능이 발휘되게 하여 브레이크를 계속 밟고 있어야 하는 심적부담과 운전자의 피로와 부주의로 브레이크페달에서 발을 떼게 됨으로 인한 앞차와의 충돌사고 의 위험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경사길의 정차상태에서 출발시 출발직전에 후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 초보운전자도 부담없이 수월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행상태에서 클러치페달과 브레이크를 밟아 체인지레버를 중립으로 변속시켜 정차시킨 상태에서도 브레이크페달을 계속 밟고 있어야 함으로 운전자의 운전부담이 따르게 되어 홀가분한 기분으로 운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운전자의 피로나 부주의로 브레이크페달에서 발을 떼게 됨으로 인하여 앞차와의 충돌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따르게 되었음과 아울러 경사길의 주차 또는 정차상태에서 핸들레버를 푸는 순간 자동차가 뒤로 밀리게 됨으로 운전이 아직 미숙한 초보운전자는 물론 숙달된 운전자도 신경을 써야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완전 정차시킨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에서 발을 떼게 되면 엔진의 흡기 다기관과 연결된 진공탱크의 흡입력에 의하여 브레이크페달을 발로 밟지 않아도 브레이크페달을 브레이크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합리적인 구조의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1), 휴지(2), 엔진키(3)와 스톱스위치(4) 및 스톱램프(21)를 전선으로 연결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엔진키(3)와 스톱스위치(4)의 전선을 스피트센서(7)가 부설된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와 전선(가)(나)으로 연결하여, 상기의 전선(가)에 연결한 전선(다)에는 파워릴레이(6)를 개재하여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와 연결하고, 또한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에 악세레이터페달(8)에 의하여 작동되는 마이크로스위치(8A)를 연결하고, 파워릴레이(6)와 솔레노이드밸브(9)를 오토/노멀스위치(10) 및 도난방지비상스위치(11)를 개재한 전선으로 연결하고, 솔레노이드밸브(9)와 엔진(12)은 호스(15), 첵크밸브(14), 호스(15A), 진공탱크(13), 호스(15B)로 연결하고, 솔레노이드밸브(9)와 실린더(17)를 호스(15C)로 연결하여 솔레노이드밸브(9) 및 진공탱크(13)의 작동에 의하여 피스톤(18)이 이동되어 피스톤(18)의 로드(18A)에 연결된 브레이크페달(19)가 당겨져 브레이크되게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6은 공기연통관이고, 20은 휴즈이며, 21은 스톱램프이고, 22는 리턴스프링이다.
주차상태에서 엔진키(3)를 작동하여 시동을 걸게 되면 배터리(1)의 전원이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의 ①번 단자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때 브레이크페달(19)을 밟으면 브레이크스톱스위치(4)의 전원이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의 ⑦번 단자에 +전원이 연결되어 메모리되고, 이 상태에서 악세레이터페달(8)이 오프(OFF) 상태로 유지되면,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의 ⑤번 단자에 발생되는 출력에 의하여 파워릴레이(6)가 작동되고, 이때 오토/노멀스위치(10)가 온(ON)되어 있을 때는 솔레노이드밸브(9)가 개방되어 진공탱크(13)의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실린더(17)내의 피스톤(18)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고 브레이크페달(19)은 피스톤(18)의 로드(18A)에 당겨져 브레이크상태로 되는 것이다.
브레이크상태에서 출발코져 악세레이터페달(8)을 밟으면 마이크로스위치(8A)가 작동되고, 이의 마이크로스위치(8A)의 작동에 의하여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의 ⑤번 단자에 출력이 해제되어 파워릴레이(6)의 작동이 해제됨으로 솔레노이드밸브(9)는 오프(OFF)되고 이와 동시에 외부의 대기압이 솔레노이드밸브(9)를 통하여 실린더(17)로 유입되어 실린더(17)의 진공압은 상쇄됨과 동시에 리턴스프링(22)의 당김력에 의하여 브레이크페달(19)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상태는 해제되어 출발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주행중에 횡단보도 및 신호등의 정차신호에 따라 통상의 정차방법으로 정차한 상태는 악세레이터페달(8)은 오프되고, 브레이크스톱스위치(4)에 의하여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의 ③번 단자에 입력신호가 메모리 되는데, 이때 차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7)에 의하여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의 ⑦번 단자에 제로(0) 펄스가 입력되면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의 ⑤번 단자에 발생되는 출력에 의하여 파워릴레이(6)가 작동되고, 솔레노이드밸브(9)가 개방되어 진공탱크(13)의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실린더(17)내의 피스톤(18)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고 브레이크페달(19)은 피스톤(18)의 로드(18A)에 당겨져 브레이크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평상시 항상 OFF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운전자만 알 수 있는 도난방지비상스위치(11)를 온(ON)시켜 놓았기 때문에 주차하여 도어를 잠그어 놓은 상태에서 외부인이 무단으로 침입하여 출발시키고자 시동을 걸어도 엔진키(3)와 연결된 도난방지비상스위치(11)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밸브(9)가 온되어 브레이크상태로 유지됨으로 출발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를 도난당할 염려가 없다.
또한 오토자동차는 평지에서 정차시에 변속레버를 전진위치에 놓은 상태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바퀴까지 전달되어 클립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앞으로 전진구동력이 발생하게 됨으로 항상 브레이크페달(19)을 밟던지 사이드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아야 하지만 본 고안의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의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정차시킨 후 계속 브레이크페달(19)을 밟고 있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브레이크상태로 유지됨으로 운전자의 수고를 덜 수 있음과 아울러 운전자의 피로나 부주의로 인한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경사길의 정차상태에서 출발시 뒤로 밀리는 일이 없게 되어 초보운전자라도 부담을 느낌이 없어 편안한 마음으로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터리(1), 휴즈(2), 엔진키(3)와 스톱스위치(4) 및 스톱램프(21)를 전선으로 연결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엔진키(3)와 스톱스위치(4)의 전선을 스피트센서(7)가 부설된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와 전선(가)(나)으로 연결하여, 상기의 전선(가)에 연결한 전선(다)에는 파워릴레이(6)를 개재하여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와 연결하고, 또한 전자콘트롤브레이크유니트(5)에 악세레이터페달(8)에 의하여 작동되는 마이크로스위치(8A)를 연결하고, 파워릴레이(6)와 솔레노이드밸브(9)를 오토/노멀스위치(10) 및 도난방지비상스위치(11)를 개재한 전선으로 연결하고, 솔레노이드밸브(9)와 엔진(12)은 호스(15), 첵크밸브(14), 호스(15A), 진공탱크(13), 호스(15B)로 연결하고, 솔레노이드밸브(9)와 실린더(17)를 호스(15C)로 연결하여 솔레노이드밸브(9) 및 진공탱크(13)의 작동에 의하여 피스톤(18)이 이동되어 피스톤(19)의 로드(18A)에 연결된 브레이크페달(19)가 당겨져 브레이크되게 한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
KR2019930013602U 1993-07-19 1993-07-19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 KR960003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602U KR960003501Y1 (ko) 1993-07-19 1993-07-19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602U KR960003501Y1 (ko) 1993-07-19 1993-07-19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74U KR950003574U (ko) 1995-02-17
KR960003501Y1 true KR960003501Y1 (ko) 1996-04-24

Family

ID=1935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602U KR960003501Y1 (ko) 1993-07-19 1993-07-19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5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103B1 (ko) * 2000-06-17 2002-04-22 서인철 자동차 전. 후진 자동 제동장치
KR102253094B1 (ko) * 2014-11-28 2021-05-14 현대중공업터보기계 주식회사 압축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74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8819A (en) Vehicular brake system
JPH0561139B2 (ko)
US20190217862A1 (en) Automatic brake hold release directly to vehicle creep
JP2002515840A (ja) ブレーキ装置
KR960003501Y1 (ko) 자동차의 자동브레이크장치
US3433336A (en) Throttle operated brake holder
KR200299327Y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제어장치.
KR200320526Y1 (ko) 자동차용 자동브레이크장치
JPH09221010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0136741B1 (ko) 엔지시동 오프시 브레이크 부스터 진공작동 장치
KR100387793B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H0920230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0120251Y1 (ko) 자동 파킹 브레이크 겸용 브레이크 장치
KR200148199Y1 (ko) 파킹브레이크작동시클러치연동장치
JPH02193747A (ja) 自動変速機を備える自動車のブレーキ制御装置
KR0123490Y1 (ko)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0116175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KR0118840Y1 (ko) 차량 파킹시 시동오프 제어장치
KR0113831Y1 (ko) 브레이크장치
KR100199724B1 (ko) 자동차의 수동식 클러치 장치
KR100217659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970006772Y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013124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0113832Y1 (ko) 브레이크장치
KR900006188A (ko) 자동차의 사고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