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175Y1 -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175Y1
KR0116175Y1 KR920004201U KR920004201U KR0116175Y1 KR 0116175 Y1 KR0116175 Y1 KR 0116175Y1 KR 920004201 U KR920004201 U KR 920004201U KR 920004201 U KR920004201 U KR 920004201U KR 0116175 Y1 KR0116175 Y1 KR 0116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vehicle
state
clutch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04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004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175Y1/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자동차가 정지상태에 있을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파킹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므로 빈번한 파킹 브레이크의 동작으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상태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와; 기어를 변속하거나 동력의 전달을 차단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환되는 클러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상태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클러치 동작 감지부와; 상기 차속 감지부와 클러치 동작 감지부에 연결되어, 차석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판정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주행 속도일 경우, 파킹 브레이크가 동작될 수 있는 일정 시간동안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주행 속도가 아닐 경우엔, 클러치 동작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클러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클러치의 상태가 비동작 상태일 경우 파킹 브레이크의 동작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일정 시간동안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와; 상기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와 연결되어,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접점 위치가 가변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되어, 솔레노이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작동 또는 해제되는 파킹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의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고안은 자동차를 정지시키거나 주차시킬 경우에 자동차의 안전을 위하여 동작시키는 파킹 브레이크(parking brake)의 동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주행중에 자동차를 주차시키거나 일시적으로 정지상태에 있을 경우에 파킹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킹 브레이크는 자동차를 주차시킬 경우나, 경사진 길을 주행하는 도중에 잠시 정지상태에 있을 경우에 동작시켜 자동차가 뒤로 밀리거나 외부의 작은 충격이나 힘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사고나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심한 교통체증과 빈번한 정지동작으로 인하여 파킹 브레이크를 자주 동작시켜야 하므로 운전자의 피로를 가중시켜 운전동작에 방해가 된다.
그러므로 파킹 브레이크를 자동차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고안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공고번호 제92-5588호(출원일자:1989년 12월 28일)의 차량용 주차브레이크의 자동 제어장치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차량용 주차브레이크의 자동 제어장치는 자동차의 시동 스위치가 동작되면 파킹 브레이크의 상태를 해제하고, 시동 스위치의 조작으로 시동동작을 꺼버리면 파킹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동작되는 시동 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용 주차브레이크의 자동 제어장치는 단지 시동장치의 조작상태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므로 자동차가 시동상태일 경우 자동차의 상태에 주행길의 상태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를 동작시킬 경우에는 수동으로 파킹 브레이크를 동작시켜야 하므로 여전히 운전동작에 부담을 주고 운전자의 피로를 가중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가 정지상태에 있을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파킹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므로 빈번한 파킹 브레이크의 동작으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상태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와; 기어를 변속하거나 동력의 전달을 차단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환되는 클러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상태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클러치 동작 감지부와; 상기 차속 감지부와 클러치 동작 감지부에 연결되어, 차속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판정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주행 속도일 경우, 파킹 브레이크가 동작될 수 있는 일정 시간동안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주행 속도가 아닐 경우엔, 클러치 동작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클러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클러치의 상태가 비동작 상태일 경우 파킹 브레이크의 동작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일정 시간동안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와; 상기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와 연결되어,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접점 위치가 가변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되어, 솔레노이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작동 또는 해제되는 파킹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의 블럭도이고, 제 2 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차속 감지부(1)와, 클러치 동작 감지부(2)와, 차속 감지부(1)와 클러치 동작 감지부(2)와 연결되어 있는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3)와,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3)와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4)와, 상기 솔레노이드(4)와 연결되어 있는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cable, 51)과,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51)과 연결되어 있는 파킹 브레이크(5,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2도의 동작 순서도는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10)와, 자동차의 차속도를 판단하는 단계(20)와, 자동차의 속도가 0이 아닐 경우에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키는 단계(30)와, 클러치의 동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40)와, 자동차의 속도가 0이고 클러치를 동작시키지 않았을 경우에 솔레노이드(4)를 동작시키는 단계(50)와,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판단하는 단계(60)와,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이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를 주행시키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시동장치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하면 동작은 시작한다.
그러므로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3)는 차속 감지부(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의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자동차의 속도가 0일 경우에는 자동차의 상태가 정지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차의 속도가 0이 아닐 경우에는 자동차는 소정의 속도가 주행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속도가 0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파킹 브레이크(5,5′)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솔레노이드(4)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여 솔레노이드(4)를 동작시켜 자동차의 좌/우측 바퀴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파킹 브레이크(5,5′)와 연결되어 있는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51)을 솔레노이드(4)의 A접점에 연결한다. 그러므로 파킹 브레이크(5,5′)를 동작시키고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4)의 동작으로 파킹 브레이크가 동작하여 고정되면 비로소 솔레노이드(4)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시킨다. 이미 파킹 브레이크(5,5′)가 완전히 동작되어 이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4)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시켜도 파킹 브레이크(5,5′)에 대한 상태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차속 감지부(1)에서 감지되는 자동차의 속도가 0이 아닐 경우에는,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3)는 클러치 동작 감지부(2)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클러치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클러치가 동작되지 않아 동력전달축으로 엔진의 동력이 정상적으로 전달되고 있을 경우에는 자동차는 소정의 주행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로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3)가 판단하므로, 파킹 브레이크(5,5′)를 동작시키지 않고 정상적인 주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4)의 B접점에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51)이 접속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4)를 동작시키고 완전히 B접점에 고정되면 솔레노이드(4)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시킨다.
그러므로 파킹 브레이크(5,5′)를 풀어주기 위하여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51)을 당겨 자동차의 주행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 후 자동차의 시동이 정지되면 동작을 끝내고, 시동이 정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자동차의 상태를 판단하여 파킹 브레이크(5,5′)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나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3)가 클러치 동작 감지부(2)의 신호를 이용하여 클러치 페달의 동작으로 엔진의 동력이 자동차의 바퀴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시 차속 감지부(1)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3)는 자동차의 속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파킹 브레이크(5,5′)는 솔레노이드(4)의 전기적인 동작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수동적인 운전자의 동작으로도 파킹 브레이크(5,5′)의 케이블을 동작시켜 파킹 브레이크(5,5′)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므로 상황에 따라서 운전자가 직접 파킹 브레이크(5,5′)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고안의 효과는 구조와 설치가 매우 간단한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상황에 맞게 파킹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므로 자동차의 운전에 대한 부담감과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감을 덜 수 있다.
그리고 언덕길에서 파킹 브레이크의 미숙한 조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동차의 출발시에 뒤로 밀리는 문제나, 파킹 브레이크를 미처 동작시키지 않았을 경우에 발생하는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상태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1)와; 기어를 변속하거나 동력의 전달을 차단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환되는 클러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상태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클러치 동작 감지부(2)와; 상기 차속 감지부(1)와 클러치 동작 감지부(2)에 연결되어, 차속 감지부(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판정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주행 속도일 경우, 파킹 브레이크가 동작될 수 있는 일정 시간동안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주행 속도가 아닐 경우엔, 클러치 동작 감지부(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클러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클러치의 상태가 비동작 상태일 경우 파킹 브레이크의 동작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일정 시간동안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3)와; 상기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3)와 연결되어, 파킹 브레이크 제어부(3)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접점(A,B) 위치가 가변되는 솔레노이드(4)와;
    상기 솔레노이드(4)와 연결되어, 솔레노이드(4)의 동작 상태에 따라 작동 또는 해제되는 파킹 브레이크(5,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 장치.
KR920004201U 1992-12-02 1992-12-02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KR0116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4201U KR0116175Y1 (ko) 1992-12-02 1992-12-02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4201U KR0116175Y1 (ko) 1992-12-02 1992-12-02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16175Y1 true KR0116175Y1 (ko) 1998-04-21

Family

ID=1933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04201U KR0116175Y1 (ko) 1992-12-02 1992-12-02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1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4386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driven vehicle
KR0116175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KR100228988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217575B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장치
KR100228987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0173761B1 (ko)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KR100980991B1 (ko) 차량용 경사로 미끄럼 방지 장치
KR100783864B1 (ko) 경사로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의 안전차단장치
KR100240406B1 (ko) 자동브레이크 시스템
KR100579726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380614B1 (ko) 자동차의 자동 파킹장치
KR0131686Y1 (ko) 자동 변속 차량의 크리프 제한 장치
KR100211700B1 (ko) 자동차용 후진방지장치
KR0120251Y1 (ko) 자동 파킹 브레이크 겸용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5406A (ko) 주차 브레이크 자동 해제장치
KR19980040138A (ko) 자동차의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100514827B1 (ko) 자동차의 언덕길 뒤로밀림 방지 제어로직
KR200149530Y1 (ko)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의 파킹폴 장치
KR960000669A (ko) 자동차용 핸드 브레이크 자동 제어장치
KR970041082A (ko) 자동차의 자동 트래킹 주차장치
KR19980034910U (ko) 경사길에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9980025647U (ko) 출발시 자동해제 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9980022569U (ko) 주차브레이크 로크된 상태로 운행시 경고음발생장치
KR19980074750A (ko) 파킹브레이크 및 도어오픈시 출발차량의 제동장치
KR970040533A (ko) 핸드 브레이크의 자동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