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761B1 -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761B1
KR0173761B1 KR1019960040971A KR19960040971A KR0173761B1 KR 0173761 B1 KR0173761 B1 KR 0173761B1 KR 1019960040971 A KR1019960040971 A KR 1019960040971A KR 19960040971 A KR19960040971 A KR 19960040971A KR 0173761 B1 KR0173761 B1 KR 0173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d
detecting
gea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949A (ko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76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추돌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고속주행시에 전방의 일정거리로부터 물체가 감지되면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켜 자동차의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자동차의 엔진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회전수계(10)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센서(12)와, 상기 엔진회전수계(10) 및 차속감지센서(12)의 감지신호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와, 상기 제어부(14)의 제어신호로 일정거리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16)와, 상기 물체감지센서(16)로부터 출력된 신호로 스위칭되는 릴레이(18)와, 상기 릴레이(18)의 상태전환으로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으로 구동되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기어부(30)와, 기어부(30)의 구동으로 브레이크페달(50)에 답력을 전달시키는 로드부(40)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을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 자동차의 추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추돌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고속주행시에 전방의 일정거리로부터 물체가 감지되면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켜 자동차의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동차의 고속주행시에 전방으로부터 돌발적으로 물체가 나타나거나 전방에서 진행중이던 자동차의 급정거로 인하여 운전자의 전방의 상황판단과 동시에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시간을 포함하여 실제로 자동차가 정지하기까지는 많은 제동거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더라도 고속으로 주행할 때와 같은 경우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자동차를 정지시키기에는 위험이 뒤따랐었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고속주행시에 돌발적인 사고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내재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를 일정속도이상으로 주행시에 소정의 거리에 물체나 전방의 자동차가 감지되면 브레이크페달을 자동으로 작동시켜 주행중인 자동차를 감속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회전수계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센서와, 상기 엔진회전수계 및 차속감지센서의 감지신호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일정거리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와, 상기 물체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로 스위칭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상태전환으로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기어부와, 기어부의 구동으로 브레이크페달에 답력을 전달시키는 로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에 관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기어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회전수계 12 : 차속감지센서
14 : 제어부 16 : 물체감지센서
18 : 릴레이 20 : 모터
22 : 회전축 30 : 기어부
32 : 피니언기어 34 : 랙기어
36 : 종단감지센서 40 : 로드부
42 : 제 1로드 44 : 가이드
46 : 제 2로드 50 : 브레이크페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의 블록도로, 자동차의 엔진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회전수계(10)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센서(12)와, 상기 엔진회전수계(10) 및 차속감지센서(12)의 감지신호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와, 상기 제어부(14)의 제어신호로 일정거리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16)와, 상기 물체감지센서(16)로부터 출력된 신호로 스위칭되는 릴레이(18)와, 상기 릴레이(18)의 상태전환으로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으로 구동되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기어부(30)와, 기어부(30)의 구동으로 브레이크페달(50)에 답력을 전달시키는 로드부(40)로 구성된다.
도 2는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의 주요구성도이고, 첨부한 제 3도는 모터(20) 및 기어부(30)의 구성도이며, 제 4도는 로드부(40)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기어부(30)는 상기 모터(20)의 회전축(22)에 구성되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32)와, 상기 피니언기어(32)의 회전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랙기어(34)를 포함하고, 상기 랙기어(34)의 일단에는 상기 피니언기어(32)를 감지하는 종단감지센서(36)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부(40)는 상기 기어부(30)에 고정된 제 1로드(42)와, 브레이크페달(50)의 배면일측에 고정되어 일정의 각으로 절곡된 제 2로드(46)와, 상기 제 1로드(42)에 연결되고 상기 제 2로드(46)의 작동을 지지하는 가이드(44)가 포함된다. 또, 상기 가이드(44)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2로드(46)의 일단을 지지하는 장공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동차의 주행시에 자동차의 엔진회전수는 엔진회전수계(1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14)로 출력되고, 자동차의 차속은 차속감지센서(12)에서 감지하여 제어부(14)로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엔진회전수계(10)의 엔진회전수와 차속감지센서(12)로부터 소정의 차속을 감지하여 내장된 기준치와 비교한다. 즉, 제어부(14)는 자동차의 차속이 소정의 속도이상(기준치)일 경우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물체감지센서(16)를 작동시킨다. 일례로, 자동차의 차속이 50Km이상이라면, 차속감지센서(12)는 일정거리의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이다.
물체감지센서(16)가 일정거리로부터 돌발적으로 감지되는 물체나 또는 전방에서 소정의 속도로 진행하던 자동차가 일정의 거리내로 감지되면, 릴레이(18)를 작동시킨다. 릴레이(18)의 작동은 모터(20)에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을 공급시켜 모터(20)를 구동시킨다. 모터(20)의 구동은 모터(20)의 회전축(22)을 회전시키고, 회전축(22)의 종단에 구성된 기어부(30)의 피니언기어(32)가 회전을 한다. 피니언기어(32)의 회전은 랙기어(34)를 직선운동시키고, 랙기어(34)의 일단에 연결된 로드부(40)의 제 1로드(42)를 당기게 된다. 제 1로드부(40)의 인장으로 가이드(44)가 당겨지고, 가이드(44)의 장공에 삽입된 제 2로드(46)가 브레이크페달(50)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 2로드(46)의 일단은 브레이크페달(50)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44)의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삽입된다.
즉, 제 2로드(46)는 기어부(30)로부터 인장력이 작용되지 않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0)을 밟았을 경우에는 제 2로드(46)가 가이드(44)의 장홈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되어 브레이크페달(50)의 수동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로드(46)가 가이드(44)를 따라 작동되는 스트로크는 통상 구간의 1/5정도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속도이상으로 자동차를 주행시에 돌발적인 상황이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일정거리내에 물체가 감지되었을 때에는 모터(20)의 구동으로 기어부(30)의 작동과 로드부(40)의 작동으로 브레이크페달(50)을 당겨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0)을 밟지 않아도 자동으로 자동차의 진행을 감속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제어부(14)에 내장된 기준치보다 작거나 자동차가 다시 주행을 시작하면, 제어부(14)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릴레이(18)를 오프시킨다. 릴레이(18)의 오프로 모터(20)에는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에 의해 역전압이 걸려 역회전을 하고, 모터(20)의 역회전은 기어부(30)의 피니언기어(32) 및 랙기어(34)를 역구동시켜 로드부(40)의 인장력을 해제시킨다. 로드부(40)는 브레이크페달(5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는 로드부(40)의 제 2로드(46)는 가이드(44)의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또한, 상기 랙기어(34)의 일단에 구성된 종단감지센서(36)는 피니언기어(32)의 역진행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니언기어(32)가 종단감지센서(36)에 접촉되면, 소정의 거리만큼 리턴되게 한다.
상기 물체감지센서(16)의 감지거리는 운전자의 운전감각에 의한 제동능력에 따라 세팅시킬 수 있고,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안하여 차속에 따라 감지거리를 다르게 세팅시켜 두어야 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40)의 작동범위에 대해서는 페달스트로크가 30°일때에는 1/5인 6°정도로 하여 브레이크페달(50)의 작동각도를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50)을 살짝 밟는 정도로 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경고함과 동시에 차속을 감속시켜 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속도로 자동차를 주행시에 일정거리내에서 돌발적으로 물체가 감지되거나 일정거리로 진행중인 전방의 자동차가 일정거리내로 감지되었을 경우 또는 운전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순간제동이 어려울 때에 이를 감지하여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을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 자동차의 추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자동차의 운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자동차의 엔진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회전수계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센서와, 상기 엔진회전수계 및 차속감지센서의 감지신호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일정거리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와, 상기 물체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로 스위칭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상태전환으로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기어부와, 기어부의 구동으로 브레이크페달에 답력을 전달시키는 로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성되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과,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랙기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의 일단에는 상기 피니언기어를 감지하는 종단감지센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기어부에 고정된 제 1로드와, 브레이크페달의 배면일측에 고정되어 일정의 각으로 절곡된 제 2로드와, 상기 제 1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 2로드의 작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2로드의 일단을 지지하는 장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KR1019960040971A 1996-09-19 1996-09-19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KR0173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971A KR0173761B1 (ko) 1996-09-19 1996-09-19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971A KR0173761B1 (ko) 1996-09-19 1996-09-19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49A KR19980021949A (ko) 1998-06-25
KR0173761B1 true KR0173761B1 (ko) 1999-01-15

Family

ID=1947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971A KR0173761B1 (ko) 1996-09-19 1996-09-19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859A1 (ko) * 2016-01-15 2017-07-20 (주)언맨드솔루션 차량용 브레이크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5135A (zh) * 2018-03-26 2018-07-13 刘泰远 汽车自动制动机构及汽车
CN109760651B (zh) * 2019-03-28 2024-03-19 南京超靖界智能科技有限公司 车辆紧急制动装置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859A1 (ko) * 2016-01-15 2017-07-20 (주)언맨드솔루션 차량용 브레이크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49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65862A (ja) 自動車のクルーズ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用の操作装置
KR0173761B1 (ko)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KR19980021953A (ko)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KR0131686Y1 (ko) 자동 변속 차량의 크리프 제한 장치
KR0116175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KR0120237Y1 (ko) 가속페달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 방지장치
KR100211700B1 (ko) 자동차용 후진방지장치
KR100214970B1 (ko) 자동차의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100217575B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장치
KR100228988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970069708A (ko) 구동부 이상발생 감지 및 자동 브레이크시스템
KR100252419B1 (ko) 엔진브레이크의 경고장치
KR0121661Y1 (ko) 핸들급조작시의 오토크루즈 자동해제장치
KR200166635Y1 (ko) 자동차의 급회전 경고장치
KR0149612B1 (ko) 차량의 비상등 점등식 속도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214706B1 (ko) 차량정보시스템 및 차량정보처리방법
KR960000669A (ko) 자동차용 핸드 브레이크 자동 제어장치
JP2022065543A (ja) 自動車の衝突回避装置
KR19980040138A (ko) 자동차의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970040533A (ko) 핸드 브레이크의 자동제어장치
KR890014311A (ko) 자동차의 사고방지 장치
KR19980035406A (ko) 주차 브레이크 자동 해제장치
KR19990018988U (ko) 자동차의 클러치장치
KR19980021138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시 접촉 사고 방지 장치
KR970061663A (ko) 자동차의 조향각 급변동에 따른 자동 제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